KR200180583Y1 -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583Y1
KR200180583Y1 KR2019980005624U KR19980005624U KR200180583Y1 KR 200180583 Y1 KR200180583 Y1 KR 200180583Y1 KR 2019980005624 U KR2019980005624 U KR 2019980005624U KR 19980005624 U KR19980005624 U KR 19980005624U KR 200180583 Y1 KR200180583 Y1 KR 200180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bbles
paper
impurities
floc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201U (ko
Inventor
이태욱
Original Assignee
이태욱
주식회사영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욱, 주식회사영경산업 filed Critical 이태욱
Priority to KR2019980005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583Y1/ko
Publication of KR199800192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2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5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수원에서 정수장으로 끌어 들이는 상수용수를 일차로 유입구를 통하여 응집 시키는 응집지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니 찌꺼기, 불순물, 부유물 및 거품등을 손쉽게 제거하여 보다 맑고 깨끗하면서 위생적인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수원(도시않음)으로부터 유입구(2)를 통하여 활성화 약품과 함께 응집지(1)로 유입되는 물에는 각종 오니 찌꺼기등의 불순물, 부유물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거품의 형태로 응집시켜주는 응집지(1)로 유입된다.
상기, 응집지(1)내로 유입된 물을 동력전달에 의하여 교반기(3)를 적절하게 회전작동 시켜서 물이 와류현상을 일으키면 불순물, 부유물 및 거품의 형태로 거품띠를 형성 하여 수면(100)위에서 일정한 곳으로 모이게 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게 한다.
상기,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응집지(1)의 횡방향으로 물이 흐르는 끝단의 벽측에 프레임(20)을 설치하고,수면(100)위에 노출된 수로부재(10)를 포함하는 가이드(12)를 거쳐서 스프링(13)을 조절축(14)에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20)에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20)이 결합된 조절축(14)에 핸들(15)을 장착하며 상기, 수로부재(10)의 상부에는 부유물 및 거품을 배출하는 유입구멍(11)과 하부에는 배출공(16)을 형성하고,하단부에는 복수개의 가요성 호스(30)와 연결되는 2단수로(31)에 접속하여 배수홈내의 오버플로우관(4)과 가요성 호스(30)와 연결되는 2단수로(31)와 배수관(32)을 유동 차단밸브(40)에 연결하고, 상기,조절핸들(15)에 의하여 유동 차단밸브(40)를 개,폐하고 핸들(15)의 조절에 의하여 수로부재(10)를 수면(100)으로부터 하강 또는 상승 시켜서 상기 응집지(1)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니 찌꺼기, 불순물, 부유물 및 거품등을 손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
본 고안은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수원에서 정수장으로 끌어 들이는 상수용수를 일차로 유입구를 통하여 응집 시키는 응집지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니 찌꺼기, 불순물, 부유물 및 거품등을 손쉽게 제거하여 보다 맑고 깨끗하면서 위생적인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생활이 나아지면서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으로 보다 깨끗하고, 위생적인 환경에서 생활 하고자 하는 것이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하수 및 폐수처리장치를 연구 개발하는등 다양한 노력들을 하여 보다 더욱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힘써오고 있다.
따라서, 상수원에서 정수장의 유입구를 통하여 응집지로 끌어들인 물은 약품처리, 여과단계, 살균단계등의 각종 처리단계를 거쳐서 정수된 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들의 각 단계에서도 수요자들에게 보다 깨끗하고 맑은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정수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정수처리 단계중 정수장으로 끌어들인 물에는 상수원의 물을 아무리 깨끗하고 맑게 보호 한다고 하여도 응집지로 유입되는 물에는 기본적으로 각종 오니 찌꺼기등의 불순물들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또한,상수원에서 물을 응집지의 유입구로 유입될때 유입구에서 각종 오니 찌꺼기 및 불순물 부유물등을 제거 한다고 하여도 수면위에 떠서 흘러 들어오는 각종 오니 찌꺼기 등의 불순물과 부유물등이 거품의 형태로 모여서 응집지로 유입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오니 찌꺼기 등의 불순물, 부유물 및 거품제거에 대하여서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있다가 수면위에 떠있는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 하고자 할 때에는 정수장의 작업자가 직접 수거통을 이용하여 불순물,부유물등을 수거하여 상판에 마련된 배수홈내의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하수구로 버리게 되어 있어 작업자에 있어서는 상단한 번거로움과 불편한 점이 있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응집지 및 약품침전지의 개략적인 부분 정면 단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상수원(도시않음)으로부터 유입구(2)를 통하여 활성화 약품과 함께 응집지(1)로 유입되는 물에는 각종 오니 찌꺼기등의 불순물, 부유물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거품의 형태로 유입된다.
상기, 응집지(1)내로 유입된 물을 동력전달에 의하여 교반기(3)를 적절하게 회전작동 시키면 서서히 물이 와류현상을 일으키면 불순물, 부유물 및 거품의 형태로 거품띠를 형성하여 수면위에서 일정한 곳으로 모이게 된다.
이때, 정수장의 작업자가 직접 수거통을 이용하여 불순물,부유물들을 수거하여 상판에 마련된 배수홈내의 오버플로우관(4)을 통해 하수구(5)로 버리게 되어 있어 작업자에 있어서는 상단한 번거로움과 불편한 점이 있었다.
한편, 선등록된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 123883 호)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에 있어서는 응집지의 약품침전지와 면한 벽근처에 오니 찌꺼기등의 부유물과 거품이 어느정도 모이게 되면 작업자는 조절핸들을 조작하여 유동차단 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레버를 잡아당겨 원하는 각도위치로 상향 이동 시키면 이에따라 레버에 연결된 링크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그에 연결된 댐퍼수단의 게이트 부재가 정해진 각도만큼 내향으로 선회 이동하게 되어 게이트 부재에 막혀있던 부유물 및 거품들이 댐퍼수단내로 들어와 그 하단부와 접속된 가요성 호스를 통해 배수관으로 흘러 오버플로우관을 거쳐서 하수구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는바, 응집지내에 있는 부유물과 거품을 제거하고자 할 때는 작업자가 일일히 레버를 상하로 이동 시키면 링크작용에 의하여 댐퍼수단의 일측에 설치된 게이트 부재가 원하는 각도로 선회 이동 시키고자 하는데 매우 불편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수원에서 정수장으로 끌어 들이는 상수용수를 응집지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니 찌꺼기, 불순물, 부유물 및 거품등을 손쉽게 제거하여 보다 맑고 깨끗하면서 위생적인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를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응집지내로 유입된 물을 동력전달에 의하여 교반기를 회전시켜 물이 와류현상을 발생하도록 하고,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응집지의 횡방향으로 물이 흐르는 끝단의 벽측에 설치하여 수면위에 노출된 수로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를 거쳐서 스프링을 조절축에 삽입하여 프레임에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이 결합된 조절축에 핸들을 장착하며 상기, 수로부재의 상부에는 유입공과 하부에는 배출공을 형성하고,하단부에는 복수개의 가요성 호스와 연결되는 2단수로에 접속하여 배수홈내의 오버플로우관과 가요성 호스와 연결되는 2단수로와 배수관을 유동차단밸브에 연결하고, 조절핸들에 의하여 유동차단 밸브를 개,폐하여 응집지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니 찌꺼기, 불순물, 부유물 및 거품등을 손쉽게 배출하여 보다 맑고 깨끗하면서 위생적인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응집지 및 약품침전지의 개략적인 부분 정면 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응집지 및 약품침전지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 장치가 설치된 개략적인 부분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 장치가 설치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유물 및 거품제거 장치의 전체구성 및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 장치가 설치되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수로부재 및 수로가 수면으로부터 정상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수로부재는 하강되고 수로가 수면으로부터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은 본 고안의 수로부재는 상승되고 수로가 수면으로부터 하강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수로부재 11 : 유입구멍 12 : 가이드
13 : 스프링 14 : 조절축 15 : 핸들
16 : 배출공 20 : 프레임 30 : 가요성 호스
31 : 2단수로 32 : 배수관 40 : 유동차단밸브
41 : 조절핸들 50 : 정상위치 60 : 상승위치
70 : 하강위치
도 3 은 본 고안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 장치가 설치된 개략적인 부분 정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 장치가 설치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유물 및 거품제거 장치의 전체구성 및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 장치가 설치되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은 상수원(도시않음)으로부터 유입구(2)를 통하여 활성화 약품과 함께 응집지(1)로 유입되는 물에는 각종 오니 찌꺼기등의 불순물, 부유물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거품의 형태로 응집시켜주는 응집지(1)로 유입된다.
상기, 응집지(1)내로 유입된 물을 동력전달에 의하여 교반기(3)를 적절하게 회전작동 시켜서 물이 와류현상을 일으키면 불순물, 부유물 및 거품의 형태로 거품띠를 형성 하여 수면(100)위에서 일정한 곳으로 모이게 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게 한다.
상기,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응집지(1)의 횡방향으로 물이 흐르는 끝단의 벽측에 프레임(20)을 설치하고,수면(100)위에 노출된 수로부재(10)를 포함하는 가이드(12)를 거쳐서 스프링(13)을 조절축(14)에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20)에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20)이 결합된 조절축(14)에 핸들(15)을 장착하며 상기, 수로부재(10)의 상부에는 부유물 및 거품을 배출하는 유입구멍(11)과 하부에는 배출공(16)을 형성하고,하단부에는 복수개의 가요성 호스(30)와 연결되는 2단수로(31)에 접속하여 배수홈내의 오버플로우관(4)과 가요성 호스(30)와 연결되는 2단수로(31)와 배수관(32)을 유동 차단밸브(40)에 연결하고, 상기,조절핸들(15)에 의하여 유동 차단밸브(40)를 개,폐하고 핸들(15)의 조절에 의하여 수로부재(10)를 수면(100)으로부터 하강 또는 상승 시켜서 상기 응집지(1)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니 찌꺼기, 불순물, 부유물 및 거품등을 손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수로부재 및 수로가 수면으로부터 정상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핸들(15)과 수로부재(10)를 수면(100)으로부터 정상위치로 조절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수로부재(10)를 정상위치(50)로 조절한 상태에서 응집지(1)내에 각종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 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조절핸들(15)로 유동 차단밸브(40)를 개폐하고,도 8에 도시한바와 같이 핸들(15)을 조절하면 가이드(12)내에서 설치된 스프링(13)은 인장된다.
이때, 수로부재(10)는 수면(100)으로부터 하강되고 수로는 상승위치(60 )로 형성된다.
또한, 스프링(13)은 수로부재(10)의 부력에 의하여 올라오는 힘을 받쳐주는 것이고 조절축(14)에 장착된 핸들(15)로 수로부재(10)의 수면(100)의 높이를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절된 수로부재(10)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멍(11)으로 부유물 및 거품이 유입되어 하부의 배출공(16)으로 배출되면 상기, 수로부재(10)의 하부에 연결된 가요성 호스(30)와 2단수로(31),배수관(32)을 통하여 상기, 유동 차단밸브(40)와 연결된 오버플로우관(4)으로 배수되어 하수구(5)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응집지(1)의 수면위에 있는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한 상태에서 폐쇄 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9에 도시한바와 같이 먼저 핸들(15)을 역회전시키면 가이드(12)내에서 인장되어 있던 스프링(13)은 압축되면서 수로부재(10)를 수면(100)으로부터 상승 시키면 수로부재(10)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멍(11)으로 배출되던 부유물 및 거품이 차단 되는 것이다.
이때, 수로는 하강위치(70)로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호스(30)와 2단수로(31),배수관(32) 및 유단 차단밸브(40)의 내부에 있던 부유물 및 거품은 오버플로우관(4)으로 완전히 배출되면 조절핸들(15)의 조작에 의하여 유동 차단밸브(40)를 폐쇄 시키면 완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응집지(1)내의 부유물 및 거품을 배출 시키고난 후 조절핸들(15)의 조작에 의하여 유동 차단밸브(40)를 폐쇄 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수면(100)에서 핸들(15)의 조절에 의하여 수로부재(10)를 하강 시키고 수로는 상승위치(60)로 고정한후 응집지(1)내에 있는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 하고자 할 때에는 조절핸들(15)의 조절에 의하여 유동 차단밸브(40)를 개,폐 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유동 차단밸브(40)을 폐쇄 시키고, 도 7에 도시한바와 같이 조절축(14)에 장착된 핸들(15)을 조절하여 수로부재(10)을 수면(100)보다 약 10mm정도 상승 시키면 수로는 정상위치(50)로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 정수장에 설치된 응집지에 대하여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 하였으나 이들은 하나의 예시적인 것이며 본 고안에 한정 하는 것은 아니고 하수 및 폐수처리장의 경우에도 적용이 될 수 도 있는 것이다.
한편,본 고안은 상수원에서 정수장으로 끌어 들이는 상수용수를 응집지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니 찌꺼기, 불순물, 부유물 및 거품등을 손쉽게 제거하여 보다 맑고 깨끗하면서 위생적인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Claims (1)

  1. 상수원으로부터 유입구(2)를 통하여 활성화 약품과 함께 응집지(1)로 유입된 물을 교반기(3)로 회전작동 시켜서 물이 와류현상을 발생하면 수면(100)위에 떠있는 부유물 및 거품을 수거하여 가요성 호스(30),배수관(32)으로 유입되어 유동 차단밸브(40)와 연결된 오버플로우관(4)을 거쳐서 하수구(5)로 배출되는 부유물 및 거품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집지(1)의 횡방향으로 물이 흐르는 끝단의 벽측 상부에 프레임(20)을 설치하고,수면(100)위에 노출된 수로부재(10)의 상부에 유입구멍(11)과 하부에 배출공(16)을 형성하고,상기, 수로부재(10)는 가이드(12)를 거쳐서 부력에 의하여 받쳐주는 스프링(13)을 조절축(14)에 삽입하여 프레임(20)에 고정하고, 상기, 조절축(14)에 장착된 핸들(15)로 수로부재(10)와 수면(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
KR2019980005624U 1998-04-10 1998-04-10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 KR200180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624U KR200180583Y1 (ko) 1998-04-10 1998-04-10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624U KR200180583Y1 (ko) 1998-04-10 1998-04-10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201U KR19980019201U (ko) 1998-07-06
KR200180583Y1 true KR200180583Y1 (ko) 2000-05-01

Family

ID=1953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624U KR200180583Y1 (ko) 1998-04-10 1998-04-10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5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958B1 (ko) * 2000-02-17 2003-07-22 (주)한국바이오스 축산 분뇨 처리시스템
KR101532272B1 (ko) * 2013-02-07 2015-06-30 홍인규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 장치 및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103B1 (ko) * 2001-07-16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 탈지탱크내 부유오일 분리 및 배출장치
KR20030018922A (ko) * 2001-08-31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도장라인의 전착탱크 거품제거장치
KR100789174B1 (ko) * 2006-09-25 2008-01-02 주식회사하이워텍엔지니어링 스컴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N203612992U (zh) * 2013-11-21 2014-05-28 张锦纶 浮油收集设备
CN116116101B (zh) * 2023-04-04 2023-07-18 深圳市林科超声波洗净设备有限公司 一种工业污水处理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958B1 (ko) * 2000-02-17 2003-07-22 (주)한국바이오스 축산 분뇨 처리시스템
KR101532272B1 (ko) * 2013-02-07 2015-06-30 홍인규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 장치 및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201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0583Y1 (ko)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
US5635064A (en) Waste water filter
JP2010155184A (ja) 担体投入型生物反応装置
KR0123883B1 (ko)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An apparautus for removing a float and a bubble in a cohesion station)
KR100632438B1 (ko) 우수토실
CN210237250U (zh) 一种高效处理底泥与排污控制综合结构
CN208055062U (zh) 自动空气排水堰
KR20020014640A (ko) 어류 양식수조의 급배수장치
KR200320035Y1 (ko) 회분식 활성슬러지 공법에 이용되는 부력조절형 부상식상등수 배출장치
KR200252677Y1 (ko) 농촌형정수처리장치
KR20010074161A (ko) 오수처리장치의 처리수 배출장치
JP2562397B2 (ja) 回分式処理槽のスカムおよび上澄液排出装置
KR20000058497A (ko) 하수관로용 우수 유입 자동차단구
JPH10202248A (ja) 汚水処理装置
KR100249465B1 (ko) 오수, 분뇨 합병정화조의 싸이폰식 여과휠타조
JPH06304554A (ja) オキシデーションディッチにおけるスカム除去装置
KR20190029918A (ko) 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위추적 및 스컴수집이 가능한 스컴수집장치
KR101380889B1 (ko) 월류수 처리장치
KR101151222B1 (ko) 자동 우수 차단장치
JP3025297B2 (ja) 汚水処理装置
KR100558372B1 (ko) 무전원 자동 수질정화장치
GB2559354B (en) A septic tank treatment enhancement apparatus
JP4411187B2 (ja) 汚水処理装置
JP2989805B1 (ja) 沈殿槽の水位調節方法
KR200298665Y1 (ko) 오폐수 및 하수의 처리된 처리수 방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