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373B1 -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373B1
KR102649373B1 KR1020240001222A KR20240001222A KR102649373B1 KR 102649373 B1 KR102649373 B1 KR 102649373B1 KR 1020240001222 A KR1020240001222 A KR 1020240001222A KR 20240001222 A KR20240001222 A KR 20240001222A KR 102649373 B1 KR102649373 B1 KR 102649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discharge pipe
sewage
septic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현
김기원
Original Assignee
(주)중앙엔지니어링
(주)유원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엔지니어링, (주)유원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중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4000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63Means for active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세대들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오수 배출관을 통해 지중에 배치되는 정화조로 배출하는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 구조물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 농도를 측정하는 악취 농도 센서들과, 상기 악취 농도 센서들의 설치 위치 근방의 상기 오수 배출관의 다수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측정되는 악취 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오수 배출관 내에서의 악취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Eco-friendly septic tank facility structure provided in apartment complexes}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세대들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정화조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악취농도센서들을 사용하여 일정 이상의 악취 농도를 이루면, 해당 오수 배출관에 연결된 악취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기시키되, 배기하는 과정에서 소취제를 분사함과 아울러, 소취제를 분사하여 요구되는 정화농도를 이루지 않는 경우 회수시켜 반복적인 소취 과정을 거쳐 외부로 배기하도록 함으로써, 오수가 정화조로 배출되는 동안에 악취 농도가 점진적으로 농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 국내에서 악취 문제가 되는 주된 시설물은 합류식 하수처리구역에 설치되는 정화조이며, 이러한 개인하수 처리 시설을 설치하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아파트나 대형 빌딩 등 지하에 위치하는 정화조에서 다량의 월류수를 펌핑하여 하수관로로 유입시, 인근 하수관로나 이와 연결된 물받이에서 심각한 악취가 발생하여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기존의 악취 저감기술은 대부분 축산폐수에 대한 연구나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종래의 개인정화조에 대한 악취저감 기술개발에 대한 것으로는 악취조절제를 사용하여 정화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키는 방법이 유일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악취의 주요 발생원으로 알려진 정화조를 대상으로 한 기술개발보다는 공공하수관로에 대한 악취 차단을 위해 연결관로 및 하수관로와 연결된 우수받이에서의 덮개장치 개발 등에 국한되어 있다.
이러한 하수관로 시설의 악취문제에 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하수관로 내에서의 악취 저감기술, 특히 맨홀에서의 낙차 방지, 펌프장에서의 악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도 필요하나, 주요발생원인인 정화조에서의 악취발생원인을 차단하면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기에 개별정화조에 대한 악취 저감기술의 개발이 매우 시급하다.
또한, 현재 오래된 구 도시로 형성된 주택가에 대한 하수관로가 대부분 합류식 하수관로로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 단지에 구비되는 정화조 구조물은 지중에 정화조가 설치되고, 이 정화조는 단지의 세대들의 오수관과 연결된다. 각 세대에서 발생되는 오수는 오수관을 통해 유동되어 정화조에 저장된다.
종래에는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오수에서 일정 부피 이상의 오물이 포함되는 경우 오수관 내에서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상태가 발생되면 해당 막힌 위치를 찾아 막힘을 작업자가 직접 해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화조로 배출된 오수가 일정 시간이 흐르면서 굳어지거나 기온 상승으로 인해 악취가 지상으로 새어 나오는 문제도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1294호(등록일자: 2019.02.1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세대들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정화조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악취농도센서들을 사용하여 일정 이상의 악취 농도를 이루면, 해당 오수 배출관에 연결된 악취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기시키되, 배기하는 과정에서 소취제를 분사함과 아울러, 소취제를 분사하여 요구되는 정화농도를 이루지 않는 경우 회수시켜 반복적인 소취 과정을 거쳐 외부로 배기하도록 함으로써, 오수가 정화조로 배출되는 동안에 악취 농도가 점진적으로 농축되는 것을 방지할 있는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가 오수 배출관을 통해 정화조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교반 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오수에 포함되는 배설물이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교반시 소취제를 동시에 분사하도록 하여 교반시 악취 발생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에 포함되는 배설물의 순환 위치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설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위치를 다수로 형성하고, 배설물을 와류 유동시키도록 함으로서 악취 발생을 억제함과 아울러 배설물의 미생물 자체의 막을 효과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의 세대들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오수 배출관을 통해 지중에 배치되는 정화조로 배출하는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 구조물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 농도를 측정하는 악취 농도 센서들과, 상기 악취 농도 센서들의 설치 위치 근방의 상기 오수 배출관의 다수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측정되는 악취 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오수 배출관 내에서의 악취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악취 배출부는, 다수를 이루어 상기 오수 배출관의 다수 위치에 연결되고,
다수를 이루는 상기 악취 배출부 각각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다수 위치 연결되고, 외부로 연장되는 악취 배출관과,
상기 악취 배출관에 설치되며, 상기 악취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하는 배기 펌프와,
상기 악취 배출관의 일정 위치에 연결되어, 저장된 소취제를 상기 악취 배출관의 내부에 분사하는 소취제 분사부와,
상기 소취제 분사부의 후류에 배치되도록 상기 악취 배출관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악취에 포함되는 2차 악취 농도를 측정하는 2차 악취 농도 센서와,
상기 2차 악취 농도 센서의 후류의 상기 악취 배출관의 일정 위치와 상기 악취 배출관의 전단을 연결하는 회수관과,
상기 회수관 상에 설치되는 회수 펌프와,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악취 농도가 상기 기설정되는 기준 악취 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배기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오수 배출관 내의 악취를 상기 악취 배출관을 통해 강제 흡입시키고,
상기 소취제 분사부를 사용하여 상기 악취 배출관을 따라 흡입되어 유동되는 악취에 소취제를 분사하고,
상기 2차 악취 농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2차 악취 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2차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기 펌프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회수 펌프를 사용하여 상기 악취를 상기 회수관을 통해 상기 악취 배출관의 전단으로 회수되도록 유동시키고,
상기 소취제 분사부를 사용하여 소취제를 연속적으로 분사시키고,
상기 측정되는 악취 농도가 상기 기설정되는 기준 악취 농도 미만을 이루면,
상기 회수 펌프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배기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기설정되는 기준 악취 농도 미만을 이루는 악취를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오수 배출관의 입구단은, 상기 세대들과 연결되어 오수가 배출되는 세대 오수관과 연결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의 출구단은, 상기 정화조의 투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은,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 오수 배출관들과,
상기 단위 오수 배출관들의 사이에 연결되는 주름관들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 오수 배출관들은, 상기 입구단에서 상기 출구단을 따라 지그 재그 형상을 이루는 서로 다른 구배를 형성하여 배치되고,
상기 주름관들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들이 각각 내장되고,
상기 주름관들에는, 배출되는 오수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유량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측정되는 상기 유량이 기설정되는 이상 유량에 이르면, 상기 이상 유량이 측정된 유량 센서가 내장되는 주름관에 내장된 진동 모듈을 설정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유량에 기설정되는 비율로 비례되어 증가되도록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화조는,
상기 오수 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정화조 몸체와,
상기 정화조 몸체의 저장 공간 바닥에 설치되며,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과,
방수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들의 승강축의 상단에 고정되고, 둘레는, 상기 정화조 몸체의 저장 공간의 내벽에 고정되는 가요성의 막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설정된 주기에 이르면, 상기 승강 실린더들의 승강축을 서로 다른 시간 간격을 이루어 반복적으로 승강시켜, 상기 막 부재의 상부에 쌓여지는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에 반복적인 충격을 가하여 분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 몸체는,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오수로 인해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주 악취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 악취 배출부는,
상기 정화조 몸체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기하는 주 악취 배기관과,
상기 주 악취 배기관의 다수 위치에 일정 범위를 이루어 설치되는 냉각 모듈들과,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냉각 모듈들로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냉각 모듈들을 일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전류 제공기와,
상기 냉각 모듈들이 배치되는 상기 주 악취 배기관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악취의 주 악취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주 악취 센서들과,
상기 주 악취 배기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악취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주 악취 농도에 설정된 비율로 비례하도록 상기 전류 제공기들을 사용하여 상기 냉각 모듈들 각각의 냉각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정화조 몸체에는, 슬러지 순환부들(600)이 설치된다.
상기 슬러지 순환부들 각각은 슬러지 순환관을 갖는다. 상기 슬러지 순환관 상에는 상기 정화조 몸체의 저장 공간에서의 슬러지를 순환시키는 슬러지 순환 펌프가 설치된다.
상기 슬러지 순환관의 일단은 정화조 몸체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정화조 몸체의 상부를 관통하여 정화조 몸체의 저장 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슬러지 순환관의 타단에는 하단 회전체가 설치된다. 상기 하단 회전체의 측단에는 상기 하단 회전체의 내부 유로를 통해 슬러지 순환관에서 유동되는 슬러지를 분사하는 분사관이 연결된다.
상기 하단 회전체는 하단 회전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하단 회전 모터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상기 하단 회전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분사관들 각각을 스윙 회전시킨다.
상기 분사관들 각각에는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이 설치된다.
상기 노즐은 외부 에어를 공급 받는 에어 튜브와 연결된다. 상기 에어 튜브상에는 외부 에어를 상기 에어 튜브로 공급하는 에어 펌프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 펌프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오수 배출관을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의 유입 유량에 설정된 비율로 비례되도록 상기 하단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분사관들 각각의 스윙 회전 속도를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 회전체는 슬러지 순환관의 회전축선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단 회전 모터는 방수처리가 이루어진 모터이다.
따라서 상기 슬러지 순환관을 통해 유동되는 슬러지는 에어를 공급 받는 노즐을 통해 에어와 혼합되어 정화조 몸체의 저장 공간으로 회전되면서 분사되어 교반 및 호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의 구멍의 내주는 와류홈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정화조 몸체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정화조 몸체의 저장 공간의 천정에 설치되는 상단 플레이트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레일 부재가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레일 부재에는 이동체가 승강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동체에는 스퀴지 부재가 연결된다.
상기 스키지 부재는 상기 이동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스퀴지 부재의 선단은 상기 정화조 몸체의 저장 공간의 내벽에 접촉되는 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이동체에는 회전체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이동체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을 갖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상단 플레이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세대들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정화조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악취농도센서들을 사용하여 일정 이상의 악취 농도를 이루면, 해당 오수 배출관에 연결된 악취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기시키되, 배기하는 과정에서 소취제를 분사함과 아울러, 소취제를 분사하여 요구되는 정화농도를 이루지 않는 경우 회수시켜 반복적인 소취 과정을 거쳐 외부로 배기하도록 함으로써, 오수가 정화조로 배출되는 동안에 악취 농도가 점진적으로 농축되는 것을 방지할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가 오수 배출관을 통해 정화조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교반 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오수에 포함되는 배설물이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교반시 소취제를 동시에 분사하도록 하여 교반시 악취 발생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에 포함되는 배설물의 순환 위치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설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위치를 다수로 형성하고, 배설물을 와류 유동시키도록 함으로서 악취 발생을 억제함과 아울러 배설물의 미생물 자체의 막을 효과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배출관 및 악취 배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 배출관 및 악취 배출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주름관들 및 이와 연결된 단위 오수 배출관을 보여주는 일부 확대 도면이다.
도 5는 정화조 몸체의 저장 공간 바닥에 가요성 막 부재가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가요성 막 부재가 상하를 따라 반복적으로 승강되어 변형이 발생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정화조 몸체에 주 악취 배출부가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정화조 몸체에 슬러지 순환부들이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정화조 몸체의 내부에 스퀴지 부재가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은 공동주택 단지의 세대들(1)의 세대 배수관(2)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오수를 오수 배출관(100)을 통해 지중에 배치되는 정화조로 배출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은 상기 오수 배출관(100)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 농도를 측정하는 악취 농도 센서들(200)과, 상기 악취 농도 센서들(200)의 설치 위치 근방의 상기 오수 배출관(100)의 다수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측정되는 악취 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오수 배출관(100) 내에서의 악취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정화조(400)는 외부 오수저장수단(미도시)으로 오수를 배출하는 외부 배출관(490)이 연결되고, 외부 배출관(490)에는 펌프(491)가 오수 배출을 위한 펌프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491)는 제어기(37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은 오수 배출관(100)에 악취 농도 센서들(200)을 설치하여 배출되는 오수의 악취 농도를 측정하고, 기준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악취 배출부(300)를 통해 오수 배출관(100) 내의 악취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공동주택 단지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악취로 인한 민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오수 배출관(100)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공동주택 단지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악취로 인한 민원을 방지할 수 있다.
악취 농도가 기준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악취 배출부(300)를 작동시킴으로써, 악취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악취 농도가 기준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악취 배출부(300)를 작동시킴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배출관 및 악취 배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악취 배출부(300)는, 다수를 이루어 상기 오수 배출관의 다수 위치에 연결된다.
다수를 이루는 상기 악취 배출부(300) 각각은 상기 오수 배출관(100)의 다수 위치 연결되고, 외부로 연장되는 악취 배출관(310)과, 상기 악취 배출관(310)에 설치되며, 상기 악취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하는 배기 펌프(320)와, 상기 악취 배출관(310)의 일정 위치에 연결되어, 저장된 소취제를 상기 악취 배출관(310)의 내부에 분사하는 소취제 분사부(330)와, 상기 소취제 분사부(300)의 후류에 배치되도록 상기 악취 배출관(310)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악취에 포함되는 2차 악취 농도를 측정하는 2차 악취 농도 센서(340)와, 상기 2차 악취 농도 센서(340)의 후류의 상기 악취 배출관(310)의 일정 위치와 상기 악취 배출관(310)의 전단을 연결하는 회수관(350)과, 상기 회수관(350) 상에 설치되는 회수 펌프(360)와, 제어기(37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370)는 상기 측정되는 악취 농도가 상기 기설정되는 기준 악취 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배기 펌프(320)를 구동시켜 상기 오수 배출관(100) 내의 악취를 상기 악취 배출관(310)을 통해 강제 흡입시킨다.
이어 상기 제어기(370)는 상기 소취제 분사부(330)를 사용하여 상기 악취 배출관(310)을 따라 흡입되어 유동되는 악취에 소취제를 분사한다.
제어기(370)는 상기 2차 악취 농도 센서(340)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2차 악취 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2차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기 펌프(32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회수 펌프(360)를 사용하여 상기 악취를 상기 회수관(350)을 통해 상기 악취 배출관(310)의 전단으로 회수되도록 유동시킨다. 이어 상기 소취제 분사부(330)를 사용하여 소취제를 연속적으로 분사시킨다.
반면, 제어기(370)는 상기 측정되는 악취 농도가 상기 기설정되는 기준 악취 농도 미만을 이루면, 상기 회수 펌프(36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배기 펌프(320)를 구동시켜, 상기 기설정되는 기준 악취 농도 미만을 이루는 악취를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오수 배출관(100)의 입구단은, 상기 세대들과 연결되어 오수가 배출되는 세대 오수관(11)과 연결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100)의 출구단은, 상기 정화조(400)의 투입관에 연결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작동 방식을 갖는다.
악취 농도 센서들(200)은 오수 배출관(100)을 따라 배출되는 오수의 악취 농도를 측정한다. 제어기(370)는 악취 농도 센서들(200)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여, 악취 농도가 기준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악취 농도가 기준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기(370)는 배기 펌프(320)를 구동시켜 오수 배출관(100) 내의 악취를 강제 흡입한다. 배기 펌프(320)에 의해 강제 흡입된 악취는 악취 배출관(3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악취 배출관(310)의 일정 위치에 설치된 소취제 분사부(330)는 악취 배출관(310)을 따라 유동되는 악취에 소취제를 분사하여 악취를 저감시킨다.
배출되는 악취에 포함되는 2차 악취 농도를 측정하는 2차 악취 농도 센서(340)의 측정 결과를 수신한 제어기(370)는 2차 악취 농도가 기준 2차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2차 악취 농도가 기준 2차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기(370)는 회수 펌프(360)를 구동시켜 악취를 상기 악취 배출관(310)의 전단으로 회수되도록 유동시킨다. 이어 소취제 분사부(330)를 사용하여 소취제를 연속적으로 분사시켜 악취를 저감시킨다. 악취 농도가 기준 악취 농도 미만을 이루는 경우, 제어기(370)는 회수 펌프(36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배기 펌프(320)를 구동시켜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작동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악취 배출관(310)에 소취제 분사부(330)를 설치하여,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2차 악취 농도 센서(340)를 설치하여, 2차 악취 농도가 기준 2차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악취를 회수하여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 배출관 및 악취 배출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주름관들 및 이와 연결된 단위 오수 배출관을 보여주는 일부 확대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오수 배출관(10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 오수 배출관들(110)과, 상기 단위 오수 배출관들(110)의 사이에 연결되는 주름관들(120)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 오수 배출관들(110)은, 상기 입구단에서 상기 출구단을 따라 지그 재그 형상을 이루는 서로 다른 구배를 형성하여 배치된다.
상기 주름관들(12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기(370)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들(130)이 각각 내장된다.
상기 주름관들(120)에는, 배출되는 오수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370)로 전송하는 유량센서들(140)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370)는 측정되는 상기 유량이 기설정되는 이상 유량에 이르면, 상기 이상 유량이 측정된 유량 센서가 내장되는 주름관(120)에 내장된 진동 모듈(130)을 설정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370)는 상기 측정되는 유량에 기설정되는 비율로 비례되어 증가되도록 상기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주름관들(120)의 내부에 진동 모듈(130)을 설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면, 오수의 표면장력이 증가하여 악취 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진동으로 인해 오수의 유동이 증가하여 악취 물질이 희석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 유량이 측정된 경우에만 진동 모듈(130)을 작동시킴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진동 모듈(130)의 진동 주파수, 진폭 등을 조절하여 악취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주름관들(120)의 재질, 형상 등을 조절하여 악취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140)의 종류, 설치 위치 등을 조절하여 악취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정화조 몸체의 저장 공간 바닥에 가요성 막 부재가 설치되는 예를 봉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가요성 막 부재가 상하를 따라 반복적으로 승강되어 변형이 발생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400)는 상기 오수 배출관(100)과 연결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100)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정화조 몸체(410)와, 상기 정화조 몸체(410)의 저장 공간 바닥에 설치되며,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421)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420)과, 방수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들(420)의 승강축(421)의 상단에 고정되고, 둘레는, 상기 정화조 몸체(410)의 저장 공간의 내벽에 고정되는 가요성의 막 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370)는 설정된 주기에 이르면, 상기 승강 실린더들의 승강축을 서로 다른 시간 간격을 이루어 반복적으로 승강시켜, 상기 막 부재(430)의 상부에 쌓여지는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에 반복적인 충격을 가하여 분산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400)는 다음과 같은 작동 방식을 갖는다.
제어기(370)는 설정된 주기에 이르면, 승강 실린더들(420)의 승강축(421)을 서로 다른 시간 간격을 이루어 반복적으로 승강시킨다. 승강 실린더들(420)의 승강축(421)의 상단에 고정된 가요성 막 부재(430)는 승강 실린더들(420)의 승강에 따라 상하를 따라 반복적으로 변형된다.
가요성 막 부재(430)의 상부에 쌓여지는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는 막 부재(430)의 변형에 따라 반복적인 충격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슬러지는 분산되어 정화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슬러지를 분산시킴으로써, 슬러지가 정화조의 바닥에 쌓여 악취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슬러지를 분산시킴으로써, 정화조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의 악취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승강 실린더들(420)의 개수, 승강축(421)의 길이, 승강 속도 등을 조절하여 슬러지 분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가요성 막 부재(430)의 재질, 두께 등을 조절하여 슬러지 분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정화조 몸체에 주 악취 배출부가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 몸체(410)는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오수로 인해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주 악취 배출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주 악취 배출부(500)는 상기 정화조 몸체(410)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기하는 주 악취 배기관(510)과, 상기 주 악취 배기관(510) 상에 설치되어 악취를 강제 배기시키는 악취 배기 펌프(511)와, 상기 주 악취 배기관(510)의 다수 위치에 일정 범위를 이루어 설치되는 냉각 모듈들(520)과, 상기 제어기(3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냉각 모듈들(520)로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냉각 모듈들(520)을 일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전류 제공기들(530)과, 상기 냉각 모듈들(520)이 배치되는 상기 주 악취 배기관(510)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악취의 주 악취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370)로 전송하는 주 악취 센서들(540)과, 상기 주 악취 배기관(510)의 단부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악취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들(55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370)는 상기 측정되는 주 악취 농도에 설정된 비율로 비례하도록 상기 전류 제공기들(530)을 사용하여 상기 냉각 모듈들 각각의 냉각 온도를 제어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 몸체(410)에 구비된 주 악취 배출부(500)는 다음과 같은 작동 방식을 갖는다.
악취 배기 펌프(511)는 주 악취 배기관(510)을 통해 악취를 강제 배기시킨다.냉각 모듈들(520)은 악취 배기관(510)의 다수 위치에 일정 범위를 이루어 설치되어 악취를 냉각시킨다. 전류 제공기들(530)은 제어기(370)의 제어에 따라 냉각 모듈들(520)로 전류를 제공하여 냉각 모듈들(520)을 일정 온도로 냉각시킨다.
주 악취 센서들(540)은 주 악취 배기관(510)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악취의 주 악취 농도를 측정하여 제어기(370)로 전송한다.
제어기(370)는 상기 측정되는 주 악취 농도에 설정된 비율로 비례하도록 상기 전류 제공기들(530)을 사용하여 상기 냉각 모듈들 각각의 냉각 온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냉각 모듈들(520)을 사용하여 악취를 냉각시킴으로써, 악취 물질의 증발을 억제하여 악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냉각 모듈들(520)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악취 물질의 증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악취 농도가 낮은 경우, 냉각 모듈들(520)의 냉각 온도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냉각 모듈들(520)의 재질, 형상 등을 조절하여 악취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류 제공기들(530)의 종류, 용량 등을 조절하여 악취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주 악취 센서들(540)의 종류, 위치 등을 조절하여 악취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정화조 몸체에 슬러지 순환부들이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정화조 몸체(410)에는, 슬러지 순환부들(600)이 설치된다.
상기 슬러지 순환부들(600) 각각은 슬러지 순환관(610)을 갖는다. 상기 슬러지 순환관(610) 상에는 상기 정화조 몸체(41)의 저장 공간에서의 슬러지를 순환시키는 슬러지 순환 펌프(611)가 설치된다.
상기 슬러지 순환관(610)의 일단은 정화조 몸체(410)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정화조 몸체(4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정화조 몸체(410)의 저장 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슬러지 순환관(610)의 타단에는 하단 회전체(630)가 설치된다. 상기 하단 회전체(630)의 측단에는 상기 하단 회전체(630)의 내부 유로를 통해 슬러지 순환관(610)에서 유동되는 슬러지를 분사하는 분사관(620)이 연결된다.
상기 하단 회전체(630)는 하단 회전 모터(640)의 축(641)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하단 회전 모터(640)는 상기 제어기(370)의 제어에 따라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상기 하단 회전체(6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분사관들(620) 각각을 스윙 회전시킨다.
상기 분사관들(620) 각각에는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700)이 설치된다.
상기 노즐(700)은 외부 에어를 공급 받는 에어 튜브(710)와 연결된다. 상기 에어 튜브(710) 상에는 외부 에어를 상기 에어 튜브(710)로 공급하는 에어 펌프(72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 펌프(720)는 상기 제어기(37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370)는 상기 오수 배출관(100)을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의 유입 유량에 설정된 비율로 비례되도록 상기 하단 회전 모터(640)를 사용하여 상기 분사관들 각각의 스윙 회전 속도를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단 회전체(630)는 슬러지 순환관(610)의 회전축선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단 회전 모터(640)는 방수처리가 이루어진 모터이다.
따라서 상기 슬러지 순환관(610)을 통해 유동되는 슬러지는 에어를 공급 받는 노즐(700)을 통해 에어와 혼합되어 정화조 몸체(410)의 저장 공간으로 회전되면서 분사되어 교반 및 호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700)의 구멍의 내주는 와류홈으로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 몸체(410)에 구비된 슬러지 순환부들(600)은 다음과 같은 작동 방식을 갖는다.
슬러지 순환 펌프(611)는 슬러지 순환관(610)을 통해 슬러지를 순환시킨다. 하단 회전 모터(640)는 하단 회전체(630)를 회전시켜 분사관들(620)을 스윙 회전시킨다. 분사관들(620)은 슬러지를 정화조 몸체(410)의 저장 공간으로 분사한다. 노즐(700)은 에어를 분사하여 슬러지와 혼합하여 분사한다. 에어와 혼합된 슬러지는 와류홈으로 인해 교반 및 호기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슬러지를 분사하여 교반하고, 에어를 분사하여 호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슬러지의 분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슬러지의 분해 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악취 물질의 발생량이 감소하여 악취를 저감할 수 있다.
슬러지의 분해 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정화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하단 회전체(630)의 재질, 형상 등을 조절하여 슬러지의 분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단 회전체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그 둘레에 요철 또는 돌기들을 형성하여 회전시 자체 교반 가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에어 펌프(720)의 종류, 용량 등을 조절하여 에어의 분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노즐(700)의 형상, 재질 등을 조절하여 와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정화조 몸체의 내부에 스퀴지 부재가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 하면, 정화조 몸체(410)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정화조 몸체(410)의 저장 공간의 천정에 설치되는 상단 플레이트(440)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레일 부재(810)가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레일 부재(810)에는 이동체(820)가 승강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동체(820)에는 스퀴지 부재(830)가 연결된다.
상기 스키지 부재(830)는 상기 이동체(8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어기(37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84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스퀴지 부재(830)의 선단은 상기 정화조 몸체(410)의 저장 공간의 내벽에 접촉되는 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이동체(820)에는 회전체(8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850)는 상기 이동체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861)을 갖는 회전 모터(860)와, 상기 회전축(861)에 설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8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370)는 상기 회전 모터(860)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축(861)을 회전시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870)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레일 부재(810)는 상기 상단 플레이트(4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 몸체(410)의 내부에 구비된 스퀴지 부재(830)는 다음과 같은 작동 방식을 갖는다.
리니어 모터(840)는 제어기(370)의 제어에 따라 스퀴지 부재(830)를 승강시킨다. 스퀴지 부재(830)의 선단은 정화조 몸체(410)의 저장 공간의 내벽에 접촉되어 슬러지를 긁어낸다. 회전 모터(860)는 제어기(370)의 제어에 따라 회전축(861)을 회전시킨다. 회전축(861)에 설치된 다수의 블레이드(870)는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분산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슬러지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퀴지 부재(830)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긁어내고, 블레이드(870)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분산시킴으로써, 슬러지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슬러지의 제거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악취 물질의 발생량이 감소하여 악취를 저감할 수 있다. 슬러지의 제거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정화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스퀴지 부재(830)의 재질, 형상 등을 조절하여 슬러지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퀴지의 선단에 강철로 형성된 미세 와이어들을 갖는 브러쉬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블레이드(870)의 형상, 재질 등을 조절하여 슬러지의 분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레일 부재(810)의 개수, 위치 등을 조절하여 슬러지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세대들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정화조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악취농도센서들을 사용하여 일정 이상의 악취 농도를 이루면, 해당 오수 배출관에 연결된 악취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기시키되, 배기하는 과정에서 소취제를 분사함과 아울러, 소취제를 분사하여 요구되는 정화농도를 이루지 않는 경우 회수시켜 반복적인 소취 과정을 거쳐 외부로 배기하도록 함으로써, 오수가 정화조로 배출되는 동안에 악취 농도가 점진적으로 농축되는 것을 방지할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가 오수 배출관을 통해 정화조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교반 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오수에 포함되는 배설물이 고형화되는 것응 방지함과 동시에, 교반시 소취제를 동시에 분사하도록 하여 교반시 악취 발생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에 포함되는 배설물의 순환 위치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설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위치를 다수로 형성하고, 배설물을 와류 유동시키도록 함으로서 악취 발생을 억제함과 아울러 배설물의 미생물 자체의 막을 효과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 오수 배출관
110 : 단위 오수 배출관
120 : 주름관
130 ; 진동 모듈
140 ; 유량 센서
200 : 악취 농도 센서
300 : 악취 배출부
310 : 악취 배출관
320 : 배기 펌프
330 : 소취제 분사부
340 : 2차 악취 농도 센서
350 : 회수관
360 : 회수 펌프
370 : 제어기
400 : 정화조
410 : 정화조 몸체
420 : 승강 실린더
421 : 승강축
430 : 막 부재
440 : 상단 플레이트
500 : 주 악취 배출부
510 : 주 악취 배기관
520 : 냉각 모듈
530 : 전류 제공기
540 : 주 악취 센서들
600 : 슬러지 순환부
610 : 슬러지 순환관
620 : 분사관
630 : 하단 회전체
640 : 하단 회전 모터
641 ; 축
710 ; 레일 부재
720 : 이동체
730 : 스퀴지 부재
740 : 리니어 모터
750 : 회전체
760 : 회전 모터
761 : 회전축
770 : 블레이드

Claims (4)

  1. 공동주택 단지의 세대들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오수 배출관을 통해 지중에 배치되는 정화조로 배출하는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 구조물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 농도를 측정하는 악취 농도 센서들과,
    상기 악취 농도 센서들의 설치 위치 근방의 상기 오수 배출관의 다수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측정되는 악취 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오수 배출관 내에서의 악취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악취 배출부는, 다수를 이루어 상기 오수 배출관의 다수 위치에 연결되고,
    다수를 이루는 상기 악취 배출부 각각은,
    상기 오수 배출관의 다수 위치 연결되고, 외부로 연장되는 악취 배출관과,
    상기 악취 배출관에 설치되며, 상기 악취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하는 배기 펌프와,
    상기 악취 배출관의 일정 위치에 연결되어, 저장된 소취제를 상기 악취 배출관의 내부에 분사하는 소취제 분사부와,
    상기 소취제 분사부의 후류에 배치되도록 상기 악취 배출관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악취에 포함되는 2차 악취 농도를 측정하는 2차 악취 농도 센서와,
    상기 2차 악취 농도 센서의 후류의 상기 악취 배출관의 일정 위치와 상기 악취 배출관의 전단을 연결하는 회수관과,
    상기 회수관 상에 설치되는 회수 펌프와,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악취 농도가 상기 기설정되는 기준 악취 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배기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오수 배출관 내의 악취를 상기 악취 배출관을 통해 강제 흡입시키고,
    상기 소취제 분사부를 사용하여 상기 악취 배출관을 따라 흡입되어 유동되는 악취에 소취제를 분사하고,
    상기 2차 악취 농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2차 악취 농도가 기설정되는 기준 2차 악취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기 펌프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회수 펌프를 사용하여 상기 악취를 상기 회수관을 통해 상기 악취 배출관의 전단으로 회수되도록 유동시키고,
    상기 소취제 분사부를 사용하여 소취제를 연속적으로 분사시키고,
    상기 측정되는 악취 농도가 상기 기설정되는 기준 악취 농도 미만을 이루면,
    상기 회수 펌프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배기 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기설정되는 기준 악취 농도 미만을 이루는 악취를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제어하는,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수 배출관의 입구단은, 상기 세대들과 연결되어 오수가 배출되는 세대 오수관과 연결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의 출구단은, 상기 정화조의 투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은,
    일정 길이를 갖는 단위 오수 배출관들과,
    상기 단위 오수 배출관들의 사이에 연결되는 주름관들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 오수 배출관들은, 상기 입구단에서 상기 출구단을 따라 지그 재그 형상을 이루는 서로 다른 구배를 형성하여 배치되고,
    상기 주름관들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들이 각각 내장되고,
    상기 주름관들에는, 배출되는 오수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유량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측정되는 상기 유량이 기설정되는 이상 유량에 이르면, 상기 이상 유량이 측정된 유량 센서가 내장되는 주름관에 내장된 진동 모듈을 설정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유량에 기설정되는 비율로 비례되어 증가되도록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는,
    상기 오수 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오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정화조 몸체와,
    상기 정화조 몸체의 저장 공간 바닥에 설치되며,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며,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과,
    방수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들의 승강축의 상단에 고정되고, 둘레는, 상기 정화조 몸체의 저장 공간의 내벽에 고정되는 가요성의 막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설정된 주기에 이르면, 상기 승강 실린더들의 승강축을 서로 다른 시간 간격을 이루어 반복적으로 승강시켜, 상기 막 부재의 상부에 쌓여지는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에 반복적인 충격을 가하여 분산되도록 하는,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 몸체는,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오수로 인해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주 악취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 악취 배출부는,
    상기 정화조 몸체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 공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기하는 주 악취 배기관과,
    상기 주 악취 배기관의 다수 위치에 일정 범위를 이루어 설치되는 냉각 모듈들과,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냉각 모듈들로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냉각 모듈들을 일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전류 제공기와,
    상기 냉각 모듈들이 배치되는 상기 주 악취 배기관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악취의 주 악취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주 악취 센서들과,
    상기 주 악취 배기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악취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주 악취 농도에 설정된 비율로 비례하도록 상기 전류 제공기들을 사용하여 상기 냉각 모듈들 각각의 냉각 온도를 제어하는,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KR1020240001222A 2024-01-03 2024-01-03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KR102649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1222A KR102649373B1 (ko) 2024-01-03 2024-01-03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1222A KR102649373B1 (ko) 2024-01-03 2024-01-03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373B1 true KR102649373B1 (ko) 2024-03-20

Family

ID=9048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1222A KR102649373B1 (ko) 2024-01-03 2024-01-03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3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361B1 (ko) * 2013-07-26 2013-12-27 주식회사 삼안 산업단지 내의 하수관 악취 방지 시설
KR101951294B1 (ko) 2016-08-03 2019-05-10 김동환 오염수 정화를 위한 자연 하수처리 시스템
KR102379348B1 (ko) * 2021-11-10 2022-03-28 (주)에코프랑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KR102387992B1 (ko) * 2021-09-16 2022-04-18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 내 친환경 상하수도 맨홀
KR102627789B1 (ko) * 2021-08-20 2024-01-23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361B1 (ko) * 2013-07-26 2013-12-27 주식회사 삼안 산업단지 내의 하수관 악취 방지 시설
KR101951294B1 (ko) 2016-08-03 2019-05-10 김동환 오염수 정화를 위한 자연 하수처리 시스템
KR102627789B1 (ko) * 2021-08-20 2024-01-23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
KR102387992B1 (ko) * 2021-09-16 2022-04-18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 내 친환경 상하수도 맨홀
KR102379348B1 (ko) * 2021-11-10 2022-03-28 (주)에코프랑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1564B2 (en) Well cleaning apparatus
CN104563274B (zh) 一种用于集水井的初期雨水溢流格栅
US8376254B2 (en) Water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KR102379348B1 (ko)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KR101723584B1 (ko) 이중 탈취구조를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KR102334347B1 (ko)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KR102649373B1 (ko)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WO2010118258A2 (en) Improved well cleaning apparatus
CN105401651A (zh) 一种双筒式一体化泵站
JP2000126514A (ja) 汚水処理槽の排泥装置
KR20050003883A (ko) 역세척형 여과조를 갖는 수처리설비
CN212506695U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底座的一体化泵站
KR102036655B1 (ko) 타워형 탈취장치
KR20070043598A (ko)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KR101700253B1 (ko) 슬러지 호퍼의 슬러지 경화방지장치
CN210367175U (zh) 一种旋转曝气喷射器结构装置
CN212025155U (zh) 一种低温等离子体城市污泥处理装置
CN214460829U (zh) 一种一体化自动除臭预制提升泵站
CN215105944U (zh) 一种地埋式一体化泵站
CN211896408U (zh) 一种洗洁剂生产用水处理设备
CN220684791U (zh) 一种低功耗黑臭水体治理电催化装置
CN220328319U (zh) 一种城市污泥区的双组合除臭设备
CN215916977U (zh) 一种糠醛生产过程产生的含VOCs废气生物处理一体化设备
CN218459119U (zh) 一种微波加热污泥用气体排放净化装置
KR101096013B1 (ko) 악취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