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789B1 -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789B1
KR102627789B1 KR1020210109987A KR20210109987A KR102627789B1 KR 102627789 B1 KR102627789 B1 KR 102627789B1 KR 1020210109987 A KR1020210109987 A KR 1020210109987A KR 20210109987 A KR20210109987 A KR 20210109987A KR 102627789 B1 KR102627789 B1 KR 102627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unit
header pipe
manifol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7799A (ko
Inventor
윤기열
김석만
문남구
김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10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78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각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 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각각의 매니폴더; 분지된 상기 매니폴더를 연결하는 헤더관; 상기 헤더관으로부터 공급된 악취 가스의 악취를 처리하는 악취 방지시설; 상기 헤더관과 악취 방지시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헤더관으로 유입된 악취 가스를 상기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하는 송풍부; 상기 악취 방지시설을 경유한 악취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부; 및 상기 헤더관으로부터 상기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의 악취 농도로 공급되도록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조절하는 악취 농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ODOR INLET LOA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악취 방지시설은 정유/석유 화학 공장, 하수처리장, 매립지 등에서 발생된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Toxic Gas, Corrosive Vapor 등을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악취 방지시설은 예를 들어, 환경기초시설, 석유화학 및 정유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각 공정으로부터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 내 악취 농도가 일정치 않아, 악취 가스 처리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가 일정치 못할 경우, 경우에 따라 악취 방지시설에서 악취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로 해당 악취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18-0022428호(2018.03.0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각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 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각각의 매니폴더; 분지된 상기 매니폴더를 연결하는 헤더관; 상기 헤더관으로부터 공급된 악취 가스의 악취를 처리하는 악취 방지시설; 상기 헤더관과 악취 방지시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헤더관으로 유입된 악취 가스를 상기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하는 송풍부; 상기 악취 방지시설을 경유한 악취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부; 및 상기 헤더관으로부터 상기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의 악취 농도로 공급되도록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조절하는 악취 농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취 농도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매니폴더 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매니폴더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개도 댐퍼부; 상기 개도 댐퍼부의 개도율을 제어하는 댐퍼 조절부; 상기 매니폴더로 이동중인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측정하는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 상기 헤더관으로 이동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측정하는 헤더관 악취 센서부; 및 상기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와 헤더관 악취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악취 정보값을 제공받으며, 복수개의 상기 댐퍼 조절부를 각각 제어하는 통합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부는, 상기 헤더관으로부터 상기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 범위를 설정하는 정보 입력부; 상기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매니폴더 악취 정보값과, 상기 헤더관 악취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헤더관 악취 정보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매니폴더 악취 정보값과 헤더관 악취 정보값을 기초로 상기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악취 농도 범위가 만족되도록 복수개의 상기 개도 댐퍼부의 개도율을 계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서 계산된 연산값에 따라 상기 댐퍼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상기 댐퍼 조절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부는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합 관리부의 작동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통합 관리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방지시설은 약액 세정탑, 바이오 필터, 활성탄 흡착탑 및 축열연소산화설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악취 농도 제어부는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의 악취 농도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각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에서 비정상 운전이 발생되어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가 급격히 증가되더라도 악취 농도 제어부는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미리 정해진 범위의 악취 농도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악취 방지시설에서의 악취 가스 처리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상 운전 과정에서의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정상 운전 과정에서의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 농도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상 운전 과정에서의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정상 운전 과정에서의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 농도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1000)은 매니폴더(100), 헤더관(200), 악취 방지시설(300), 송풍부(400), 배기부(500) 및 악취 농도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니폴더(100)는 각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 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매니폴더(100)는 각 공정과 연결된 구성으로, 이와 같은 매니폴더(10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예에서는 건조배가스, 폐수처리장, 반입장 및 건조물 보관실의 4개의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 가스를 처리하는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1000)인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악취 가스가 배출되는 공정은 상기에서 언급된 4개의 공정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악취 가스가 배출되는 공정의 개수는 다양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매니폴더(1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 가스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건조배가스와 연결된 제1 매니폴더(110), 폐수처리장과 연결된 제2 매니폴더(120), 반입장과 연결된 제3 매니폴더(130) 및 건조물 보관실과 연결된 제4 매니폴더(140)로 각 매니폴더를 구분지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헤더관(200)은 분지된 복수개의 매니폴더(100)와 연결된다. 이에, 복수개의 매니폴더(100)로부터 배출되는 악취 가스는 헤더관(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헤더관(200)에 모여진 악취 가스는 악취 방지시설(300)로 공급된다.
여기서 송풍부(400)는 헤더관(200)과 악취 방지시설(300) 사이에 구비되며, 헤더관(200)으로 유입된 악취 가스를 악취 방지시설(30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악취 방지시설(300)은 헤더관(200)으로부터 공급된 악취 가스 내 악취를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악취 방지시설(300)은 약액 세정탑, 바이오 필터, 활성탄 흡착탑, 축열연소산화설비 등 다양한 설비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악취 방지시설(300)은 악취 가스를 미리 정해진 방지 시설별 운전 조건에서 예를 들어 축열연소산화설비는 800℃ 이상에서 소각 처리하게 되며 축열연소산화설비인 악취 악취방지시설(300)은 최대 악취 가스 내 악취의 95% 이상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악취 방지시설(300)에서 악취 제거가 이루어진 악취 가스는 악취 방지시설(300)과 연결된 배기부(5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부(500)는 굴뚝일 수 있다.
한편, 악취 농도 제어부(600)는 헤더관(200)으로부터 악취 방지시설(300)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의 악취 농도를 만족하도록 악취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악취 농도 제어부(600)는 각 매니폴더(100)로부터 헤더관(200)으로 유입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기초로, 헤더관(200)으로 모여지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 농도 제어부(600)는 개도 댐퍼부(610), 댐퍼 조절부(620),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630), 헤더관 악취 센서부(640) 및 통합 관리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도 댐퍼부(610)는 복수의 매니폴더(100) 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개도 댐퍼부(610)는 제1 매니폴더(110) 내에 구비되는 제1 댐퍼(611), 제2 매니폴더(120) 내에 구비되는 제2 댐퍼(612), 제3 매니폴더(130) 내에 구비되는 제3 댐퍼(613) 및 제4 매니폴더(140) 내에 구비되는 제4 댐퍼(6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댐퍼(611) 내지 제4 댐퍼(614)는 각 댐퍼에 구비된 각각의 댐퍼 조절부(620)에 의해 개폐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댐퍼 조절부(620)는 개도 댐퍼부(610)의 개도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630)는 매니폴더(100) 내로 이동중인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630)는 제1 매니폴더(110)에 설치된 제1 악취 센서(631), 제2 매니폴더(120)에 설치된 제2 악취 센서(632), 제3 매니폴더(130)에 설치된 제3 악취 센서(633) 및 제4 매니폴더(140)에 설치된 제4 악취 센서(6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630)는 분지된 각각의 매니폴더(100)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헤더관 악취 센서부(640)는 헤더관(200)으로 이동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630)로부터 측정된 매니폴더 악취 정보값과, 헤더관 악취 센서부(640)로부터 측정된 헤더관 악취 정보값은 통합 관리부(650)로 제공된다.
이러한 통합 관리부(650)는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630)로부터 제공된 매니폴더 악취 정보값과, 헤더관 악취 센서부(640)로부터 제공된 헤더관 악취 정보값을 기초로 댐퍼 조절부(620)를 각각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통합 관리부(650)는 정보 입력부(651), 데이터 저장부(652), 연산부(653) 및 작동 제어부(6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입력부(651)는 헤더관(200)으로부터 악취 방지시설(300)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 범위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악취 방지시설(300)로 공급되는 요구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 범위 설정은 정보 입력부(651)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652)는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630)로부터 측정된 매니폴더 악취 정보값과, 헤더관 악취 센서부(640)로부터 측정된 헤더관 악취 정보값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더하여, 데이터 저장부(652)는 개도 댐퍼부(610)의 개도율 정보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연산부(653)는 제1 댐퍼(611) 내지 제4 댐퍼(614)가 열려야되는 각각의 개도율을 계산하게 된다.
이러한 연산부(653)는 데이터 저장부(652)에 저장된 매니폴더 악취 정보값과 헤더관 악취 정보값을 기초로 정보 입력부(651)에 입력된 악취 농도 범위가 만족될 수 있도록 제1 댐퍼(611) 내지 제4 댐퍼(614)의 개도율을 계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산부(653)에서 계산된 연산값은 작동 제어부(654)로 전달된다. 그리고 작동 제어부(654)는 연산부(653)에서 제공된 연산값에 따라 댐퍼 조절부(62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작동 제어부(654)는 제1 댐퍼(611) 내지 제4 댐퍼(614)에 각각 구비된 댐퍼 조절부(620)를 통해 제1 댐퍼(611) 내지 제4 댐퍼(614)의 개도율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 제어부(654)는 댐퍼 조절부(620)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일 수 있다.
이러한 통합 관리부(650)의 작동을 통해 악취 방지시설(300)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는 미리 정해진 범위의 악취 농도를 유지한 상태로 악취 방지시설(3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악취 방지시설(300)에서 악취 가스의 악취 제거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1000)이 정상적으로 운행되는 상시 운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외부로 배출 가능한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기준으로, 제1 매니폴더(110) 내로 이동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는 30,000배 이고, 제2 매니폴더(120) 내로 이동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는 3,000배 이며, 제3 매니폴더(130) 내로 이동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는 300배 이고, 제3 매니폴더(130) 내로 이동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는 600배 라고 가정하자.
이때, 제1 댐퍼(611)의 개도율은 40%로 제어되고, 제2 댐퍼(612)의 개도율은 40%로 제어되며, 제3 댐퍼(613)의 개도율은 40%로 제어되고, 제4 댐퍼(614)의 개도율은 40%로 제어되어 헤더관(200)으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는 미리 정해진 범위의 악취 농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정해진 범위의 악취 농도를 만족하는 악취 가스는 악취 방지시설(300)에서 효과적인 악취 가스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1000)이 정상적으로 운행되는 과정에서 복수개의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이 비정상적으로 운행될 경우, 해당 공정에서의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는 급격히 증가될 수 있다. 이때, 통합 관리부(650)는 제1 댐퍼(611) 내지 제4 댐퍼(614)의 개도율 조절을 통해 헤더관(200)으로 유입되는 악취 가스의 공급량 제어를 통해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합 관리부(650)는 제1 매니폴더(110) 내의 악취 농도가 급격히 증가되는 경우, 제1 댐퍼(611) 내지 제4 댐퍼(614)의 개도율을 조절하게 된다.
예로, 제1 매니폴더(110) 내의 악취 농도가 급격히 증가되는 경우, 제1 댐퍼(611) 및 제2 댐퍼(612)의 개도율은 30%로 기존 상시 운전에 비해 줄이고, 제4 댐퍼(614)의 개도율도 35%로 기존 상시 운전에 비해 줄이며, 제3 댐퍼(613)의 개도율은 60%로 기존 상시 운전에 비해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악취 농도 제어부(600)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가 낮은 매니폴더(100)의 댐퍼 개도율을 높임으로써, 헤더관(200) 내로 유입된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의 악취 농도를 만족시키도록 각 댐퍼의 개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댐퍼(611) 내지 제4 댐퍼(614)의 개도율은 연산부(653)를 통해 계산된 개도 댐퍼부(610)의 개도율 계산값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에서 비정상적인 운행이 발생되더라도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1000)은 요구되는 악취 농도를 만족하는 악취 가스를 악취 방지시설(3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관리부(650)에는 통신부(6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부(655)는 외부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사용자 단말기(미도시)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합 관리부(650)로부터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1000)의 작동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통합 관리부(650)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는 예를 들어, 문자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와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출력장치가 구비된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상관없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는 예로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도 있고,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는 통합 관리부(650)에 접속 가능한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에 한해서 접속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합 관리부(650)에 접속하는 경우, 미리 지정된 고유의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부여받은 사용자만이 통합 관리부(650)에 접속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1000)의 사용 및 관리상 보안을 위함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를 비롯한 통합 관리부(650)는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1000)의 작업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1000)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원격에서 통합 관리부(650)를 통해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1000)의 작동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매니폴더
110: 제1 매니폴더
120: 제2 매니폴더
130: 제3 매니폴더
140: 제4 매니폴더
200: 헤더관
300: 악취 방지시설
400: 송풍부
500: 배기부
600: 악취 농도 제어부
610: 개도 댐퍼부
611: 제1 댐퍼
612: 제2 댐퍼
613: 제3 댐퍼
614: 제4 댐퍼
620: 댐퍼 조절부
630: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
631: 제1 악취 센서
632: 제2 악취 센서
633: 제3 악취 센서
634: 제4 악취 센서
640: 헤더관 악취 센서부
650: 통합 관리부
651: 정보 입력부
652: 데이터 저장부
653: 연산부
654: 작동 제어부
655: 통신부
1000: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

Claims (7)

  1. 복수의 각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 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각각의 매니폴더;
    분지된 상기 매니폴더를 연결하는 헤더관;
    상기 헤더관으로부터 공급된 악취 가스의 악취를 처리하는 악취 방지시설;
    상기 헤더관과 악취 방지시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헤더관으로 유입된 악취 가스를 상기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하는 송풍부;
    상기 악취 방지시설을 경유한 악취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부; 및
    상기 헤더관으로부터 상기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의 악취 농도로 공급되도록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조절하는 악취 농도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 농도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매니폴더 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매니폴더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개도 댐퍼부; 상기 개도 댐퍼부의 개도율을 제어하는 댐퍼 조절부; 상기 매니폴더로 이동중인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측정하는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 상기 헤더관으로 이동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를 측정하는 헤더관 악취 센서부; 및 상기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와 헤더관 악취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악취 정보값을 제공받으며, 복수개의 상기 댐퍼 조절부를 각각 제어하는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통신부가 구비된 통합 관리부를 가지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합 관리부의 작동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에서 상기 통합 관리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통합 관리부는, 상기 헤더관으로부터 상기 악취 방지시설로 공급되는 악취 가스의 악취 농도 범위를 설정하는 정보 입력부; 상기 매니폴더 악취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매니폴더 악취 정보값과, 상기 헤더관 악취 센서부로부터 측정된 헤더관 악취 정보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매니폴더 악취 정보값과 헤더관 악취 정보값을 기초로 상기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악취 농도 범위가 만족되도록 복수개의 상기 개도 댐퍼부의 개도율을 계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서 계산된 연산값에 따라 상기 댐퍼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악취 농도 제어부는 상기 악취 방지시설로 상기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악취 농도 범위로 악취 가스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악취 방지시설에서 악취 가스의 악취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악취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상기 댐퍼 조절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방지시설은 약액 세정탑, 바이오 필터, 활성탄 흡착탑, 축열연소산화설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
KR1020210109987A 2021-08-20 2021-08-20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 KR102627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87A KR102627789B1 (ko) 2021-08-20 2021-08-20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87A KR102627789B1 (ko) 2021-08-20 2021-08-20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799A KR20230027799A (ko) 2023-02-28
KR102627789B1 true KR102627789B1 (ko) 2024-01-23

Family

ID=8532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987A KR102627789B1 (ko) 2021-08-20 2021-08-20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7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373B1 (ko) * 2024-01-03 2024-03-20 (주)중앙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981Y1 (ko) * 2003-07-11 2003-10-17 (주)엑센 유입부하 조절 수단에 따른 생물학적 유기 및 무기악취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3265B2 (ja) * 1995-04-18 2004-03-02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クリーンルームの空調システム
KR101185027B1 (ko) * 2010-04-13 2012-09-26 (주)에어스텍 원격제어 시스템을 갖춘 탈취장치
KR101500438B1 (ko) * 2013-07-31 2015-03-09 (주) 에이스엔 실시간 악취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22428A (ko) 2016-08-24 2018-03-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레어 스택 발전 장치
KR20180077429A (ko) * 2016-12-28 2018-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도장공장용 VOCs저감장비의 통합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981Y1 (ko) * 2003-07-11 2003-10-17 (주)엑센 유입부하 조절 수단에 따른 생물학적 유기 및 무기악취물질을 제거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373B1 (ko) * 2024-01-03 2024-03-20 (주)중앙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799A (ko)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789B1 (ko) 악취 유입 부하 제어 시스템
Wang Neural network‐based adaptive dynamic surface control of uncertain nonlinear pure‐feedback systems
KR102386482B1 (ko) 사용자에 최적화된 실험실 환경 제공 방법
KR101406023B1 (ko) 연소실로부터 분리되고 모듈화된 축열실을 가지는 축열식 열산화장치
Wu et al. Fuzzy sliding‐mode strategy for air–fuel ratio control of lean‐burn spark ignition engines
Léonard et al. Dynamic modelling and control of a pilot plant for post-combustion CO2 capture
JP5616481B1 (ja) 圧力緩衝装置、その圧力緩衝装置を備えた蓄熱燃焼式排ガス処理装置
KR100678335B1 (ko) 전환밸브가 없는 축열연소장치
CN108686505A (zh) 一种焦炉烟道气低温scr脱硝和余热回收一体化装置及工艺
JP5909397B2 (ja) 加圧流動炉設備の調節弁制御装置、加圧流動炉設備の調節弁制御方法
CN113175678A (zh) 垃圾焚烧的监控方法及装置
JP2007198682A (ja) 蓄熱脱臭システム
CN109307435B (zh) 一种焦炉烟道气回配系统及方法
CN105180205A (zh) 富氧燃烧烟气循环系统控制方法
JP2005265234A (ja) アンモニア含有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1324204B1 (ko) 보조 촉매를 구비한 고효율 촉매식 연소설비
JP6478785B2 (ja) 蓄熱式ガス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4383417B2 (ja) 廃棄物溶融炉の廃棄物装入装置の中間ホッパーのパージ方法
US800306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mbient air abatement of electronic manufacturing effluent
KR20230094591A (ko) 대기환경방지시설의 성능시험을 위한 악취가스 제조시스템
Raimondi et al. Adaptive predictive control of the sulfur recovery process at Pemex Cadereyta refinery
Jaszczak et al. A model of the refinishing spray booth as a plant of automatic control
EP2506955A2 (en) Treatment equipment of voc gases
CN113446609A (zh) 用于处理半导体制程中产生的清洁气体的系统及方法、装置
Li et al. A data‐based optimal setting method for the coking flue gas denitra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