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348B1 -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348B1
KR102379348B1 KR1020210153536A KR20210153536A KR102379348B1 KR 102379348 B1 KR102379348 B1 KR 102379348B1 KR 1020210153536 A KR1020210153536 A KR 1020210153536A KR 20210153536 A KR20210153536 A KR 20210153536A KR 102379348 B1 KR102379348 B1 KR 10237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evaporation
injection
manhole
redu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환
한관철
Original Assignee
(주)에코프랑
남광건설(주)
(주)모아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프랑, 남광건설(주), (주)모아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에코프랑
Priority to KR1020210153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05B12/087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8Ventilation of sew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1/00Control of flow ratio
    • G05D11/02Controlling ratio of two or more flows of fluid or fluent material
    • G05D11/13Controlling ratio of two or more flows of fluid or fluen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11/135Controlling ratio of two or more flows of fluid or fluen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by sensing at least one property of the mixture
    • G05D11/138Controlling ratio of two or more flows of fluid or fluen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by sensing at least one property of the mixture by sen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mixture, e.g. measuring pH valu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은, 내부에 탈취제가 저장되어 있어 송풍기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고속 유동에 의해 탈취제가 증발되고 이렇게 증발된 탈취제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증발유도기를 포함하는 증발유도장치; 상기 증발유도장치에서 증발되어 배출된 탈취제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상기 탈취제를 분사라인에 공급하는 배관라인; 맨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관라인과 연결되는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에 상호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다수의 하방노즐을 포함하는 분사라인; 상기 맨홀 내부의 악취 농도값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제공하는 악취 농도값을 기초로 송풍기의 송풍량을 조절함으로써 공급되는 탈취제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Smart sewage odor reducing system using evaporation in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된 탈취제를 맨홀 내부에 구비된 분사라인에 공급함으로써 하수도 내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거는 생활하수나 공장 오폐수 및 빗물 등을 집수하여 정화시설이나 방류지로 운반하는 배수관로를 말한다. 다만, 운반 과정에서 발산되는 악취가 하수관거에 구비된 맨홀이나 빗물받이를 통해 누출되어 잦은 민원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하수 악취를 억제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소개되고 있는데, 일례로 하수관거에 인접한 상수관의 수돗물을 취수하여 이를 하수에 분사함으로써 악취 농도를 저감시키는 종래기술이 아래의 특허문헌 1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로(220) 내벽에 구비되는 분사유닛(300)과 센서부(260), 상기 분사유닛(300)과 상수관(210)을 연결하는 물공급관(230), 상기 물공급관(230)에 구비되는 유량조절밸브(240)와 탈취제가 저장된 약품탱크(410), 상기 약품탱크(410)에 인접한 지상에 설치되는 제어박스(250)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260)를 통해 악취가 감지되면 제어박스(250)의 명령신호에 의해 유량조절밸브(240)가 개방되어 분사유닛(300)에서 탈취제가 혼합된 수돗물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 종래기술은 복잡한 구조의 분사유닛(300)과 방수가 필요한 센서부(260)를 하수관로(220) 내벽에 설치해야 함으로써 설비 구축이 곤란하고, 하수에 혼입된 각종 협잡물이 분사유닛(300)에 쌓여 분사작업을 방해할 소지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분사유닛(300) 관리가 번거로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분사유닛(300)이 하수관로(220) 내벽에 구비되어 있는데, 하수는 하수관로(220)를 연속적으로 흐르는 점을 감안할 때 상기 분사유닛(300)을 통과한 하수에서 발산되는 악취 성분에 대해서는 악취를 제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08407호(2016. 04. 11.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된 탈취제를 맨홀 내부에 구비된 분사라인에 공급함으로써 하수도 내의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하고 악취 저감 효과도 뛰어난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은, 내부에 탈취제가 저장되어 있어 송풍기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고속 유동에 의해 탈취제가 증발되고 이렇게 증발된 탈취제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증발유도기를 포함하는 증발유도장치; 상기 증발유도장치에서 증발되어 배출된 탈취제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상기 탈취제를 분사라인에 공급하는 배관라인; 맨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관라인과 연결되는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에 상호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다수의 하방노즐을 포함하는 분사라인; 상기 맨홀 내부의 악취 농도값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제공하는 악취 농도값을 기초로 송풍기의 송풍량을 조절함으로써 공급되는 탈취제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은, 상기 증발유도장치가 상기 증발유도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탈취제의 일부 또는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탈취제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탈취제를 증발유도기 내부로 추가 공급하기 위한 순환펌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은, 상기 하방노즐의 일측에 분기분사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분기분사부의 탈취제 분사 방향은 이웃한 하방노즐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은, 상기 분기분사부의 상부에 단턱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은, 상기 분사관의 반경 방향 내측부에 복수의 측방노즐이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은, 상기 하방노즐로부터 분사된 탈취제에 의해 맨홀 하부에 탈취제막커튼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은, 상기 분사관 상부에 결합되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분사관커버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은, 상기 분사관커버가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를 잇는 유도부와, 저면에 분사관 상부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복수의 맨홀 각각에 설치되는 유량제어밸브를 함께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맨홀에서 유량제어밸브의 최대 개방에도 악취가 지속되면 제어부가 해당 맨홀의 상류측에 위치한 맨홀의 유량제어밸브의 개방도를 높이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에 통신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로컬서버와 정보 송수신이 이루어지며, 상기 로컬서버는 제어부가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발생 알림 및 이력정보 생성 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에 의하면, 맨홀의 내부에 분사라인을 구성함으로써 설비 구축이 용이해지고 악취 저감 효과도 우수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에 의하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사관과 하방노즐에 추가된 분기분사부를 통해 설비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에 의하면, 저부에 다수의 하방노즐이 구비되고 반경 방향 내측부에 복수의 측방노즐이 구비된 분사관을 통해 맨홀을 통해 부상하는 악취 성분의 탈취를 완벽히 이루어낼 수 있어 악취 저감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한 효과들로 인하여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의 상용화가 더욱 용이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의 분사라인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에서 분기분사부와 단턱이 구비된 분사라인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에서 분기분사부의 탈취제 분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사라인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분사 영역에 따른 악취 저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에서 맨홀(A) 하부에 탈취제막커튼(C)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에 구비된 분사관커버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A)와 분사관커버의 단면도(B)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증발유도장치(10), 배관라인(20), 분사라인(30), 센서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며, 노즐이 구비된 분사라인(30)이 맨홀(A)의 내부에 설치되어 악취 희석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는 하수관로(L)에서 발산되는 악취는 결국 맨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상기 증발유도장치(10)는 송풍기(11), 증발유도기(12), 순환펌프(13) 및 조작패널(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기(11)는 외기를 빨아들인 후 증발유도기(12)로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증발유도기(12)는 내부에 탈취제가 저장되어 있어 상기 송풍기(11)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고속 유동에 의해 저장된 탈취제가 증발되며 이렇게 증발된 탈취제가 증발유도기(12)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순환펌프(13)는 증발유도기(12)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탈취제의 일부 또는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탈취제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탈취제를 증발유도기(12) 내부로 추가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증발유도기(12)나 탈취제 탱크에는 탈취제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14)은 송풍기(11)의 송풍량 및 작동 시간을 조작하고, 순환펌프(13)의 작동 여부와 메인 전원이나 실내등 전원의 온/오프를 조작하기 위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패널(14)은 후술하는 제어부(50)와 연동되어 상기 조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배관라인(20)은 증발유도장치(10)에서 증발되어 배출된 탈취제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상기 탈취제를 분사라인(30)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배관라인(20)과 분사라인(30)은 하수관거의 배치 구조에 따라 하수관로(L)와 맨홀(A)에 반복적으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맨홀(A)의 전방부(탈취제가 유입되는 쪽) 측 배관라인(20)에는 유량제어밸브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라인(20)은 증발된 탈취제를 증발유도장치(10)에서 분사라인(30)으로 공급할 수 있으면 그 배치 구조는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분사라인(30)은 악취 희석작업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맨홀(A)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배관라인(20)과 연결되는 분사관(31)과, 상기 분사관(31)에 상호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다수의 하방노즐(32)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관(31)은 맨홀(A)의 수평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원형 또는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크기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개시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개시되는 경우에는 상호 동심원을 이루며 맨홀(A) 내부에 설치되게 된다.
한편, 맨홀(A)은 하수관거 정비작업 등의 이유로 수시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바, 정비작업시 오손방지를 위해 분사관(31)은 별도의 고정구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맨홀(A) 내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배관라인(20)과 분사관(31)은 가요성 배관을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하방노즐(32)은 맨홀(A) 하부를 흐르고 있는 하수로부터 발산되는 악취 성분에 탈취제를 공급하여 하수의 악취 농도를 희석시킨다. 즉, 상기 탈취제는 악취 성분의 맨홀(A) 밖 누출을 억제하게 되는데, 보다 효과적인 악취 저감을 위하여 상기 하방노즐(32)의 탈취제 분사는 분무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방노즐(32)은 분사관(3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우천시 맨홀뚜껑(M)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 빗물 유입 과정에서 함께 유입된 협잡물이 분사관(31)이나 하방노즐(32)에 걸려 잔류될 수 있고 이러한 걸림 현상이 반복될 경우 잔류물이 커지면 하방노즐(32)의 탈취제 분사를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노즐(32) 일측에 분기분사부(33)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잔류물 제거가 수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분기분사부(33)는 하방노즐(32)을 통한 탈취제 분사시 함께 탈취제가 분사되어 하방노즐(32) 측면에 점착되어 있는 잔류물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분사부(33)의 탈취제 분사 방향(F)이 이웃한 하방노즐(32)을 향하도록 하면 잔류물 제거가 수월해지며, 이웃 하방노즐(32)에 충돌한 탈취제는 비산하며 적하함으로써 악취 성분의 탈취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분기관(31)에 탈취제가 항상 묻어 있는 상태가 되어 일종의 방향제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분기분사부(33)의 상부에 단턱(34)을 형성하면 잔류물이 측방노즐(33) 입구를 직접 막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어 잔류물 제거가 수월해질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의 하방노즐(32)의 배치 구조상 하방노즐(32)의 분사각도를 조절하더라도 분사관(31) 내측으로 발산되는 악취 성분의 탈취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관(31)에는 저부에 다수의 하방노즐(32)이 구비되고 반경 방향 내측부에 복수의 측방노즐(33')이 구비되며, 상기 하방노즐(32)과 측방노즐(33')은 평면도상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노즐(33')은 분사관(3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도면부호 "a"는 하방노즐(32)에 의한 분사영역을 의미하고, "a'"는 맨홀벽(H) 외측의 하방노즐(32)에 의한 분사영역으로서 실제로는 맨홀벽(H)에 막혀 분사되지 않는 가상의 분사영역을 의미하며, "b"는 측방노즐(33')에 의한 분사영역을 의미한다.
도 6에 의하면, 맨홀 내부 영역에서 분사영역 a와 b가 중첩되어 있으므로 맨홀을 통해 부상하는 악취 성분의 탈취를 완벽히 이루어낼 수 있다.
그리고 하방노즐(33)에 의해 a' 영역으로 분사된 탈취제는 맨홀벽(H)에 막혀 흘러내리게 되는바, 이로 인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A) 하부에 탈취제막커튼(C)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탈취제막커튼(C)은 하수관로 내부에서 발산된 악취 성분이 맨홀로 유입되기 전에 1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하수도 악취 저감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또한, 맨홀뚜껑(M)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유입된 협잡물이 분사관(31)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31) 상부에 결합되는 분사관커버(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관커버(35)는 외경이 맨홀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되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를 잇는 유도부(35a)와, 저면에 분사관(31) 상부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35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도부(35a)는 맨홀뚜껑(M)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유입된 협잡물이 미끌어져 낙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안착홈(35b)은 분사관커버(35)의 분사관(31) 상부로의 안정적인 안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측방노즐(33')의 분사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사관커버(35)의 내주면에는 분사관(31)의 유지 보수 작업시 분사관(31)과 분사관커버(35)의 분리 작업을 위해 고리(35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리(35c)는 작업의 편의를 위해 대칭으로 한 쌍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작업자는 한 쌍의 고리(35c)에 공구를 걸어 들어올림으로써 분사관(31)으로부터 분사관커버(35)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관커버(35)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는 맨홀(A) 내부의 악취 농도값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50)에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맨홀(A)의 일측이나 분사관(3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0)는 황화수소 측정센서와 암모니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악취 측정센서로 이루어지는데, 설치 지역 특성(주거지역 또는 산업단지나 축사단지)에 따라 다양한 측정센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센서부(40)가 제공하는 악취 농도값을 기초로 송풍기(11)의 송풍량을 조절함으로써 공급되는 탈취제의 양을 조절하게 되고, 별도의 함체에 구비될 수 있으나 관리의 편의상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10) 내부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농도값 수신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악취 농도값의 크기에 따라 송풍기(11)의 송풍량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복수의 맨홀(A) 각각에 설치되는 유량제어밸브를 함께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악취 누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특정 맨홀뚜껑(M)에서 유량제어밸브의 최대 개방에도 악취가 지속되면 제어부(50)는 해당 맨홀(A)의 상류 측에 위치한 다른 맨홀(A)의 유량제어밸브의 개방도를 높이도록 명령하여 악취 희석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에는 현장관리의 효율 극대화를 위해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기반 로컬서버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컬서버는 장애발생 알림 및 이력정보를 현장관리자의 휴대기기에 제공하는 한편, 현장관리자가 휴대기기에 입력한 작업결과를 수신, 이를 토대로 이력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애발생 알림 및 이력정보의 송수신을 위해 제어부(50)에는 통신모듈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로컬서버에는 통신모듈과 함께 이력정보 제공을 위한 DB가 구축된다.
상기 DB에는 관리대상 맨홀(A)의 위치정보 및 해당 맨홀(A)에 구비된 장비의 기초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제어부(50)가 제공하는 각 맨홀(A)에서의 악취 농도값을 수신받아 저장하고 이를 이력정보 작성에 활용한다.
한편, 배관라인(20)에는 유량계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50)는 유량계에서 측정된 유량과 유량제어밸브의 개폐량 비교를 통해 장애발생을 파악할 수 있고, 장애발생이 확인되면 이를 해당 맨홀(A)의 위치정보와 함께 로컬서버에 알리며, 로컬서버는 이를 다시 현장관리자의 휴대기기에 전송, 정비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증발유도기(12)나 탈취제 탱크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탈취제의 양을 측정하고 탈취제의 보충이 필요할 경우 로컬서버에 신호를 전송하며, 로컬서버는 이를 현장관리자의 휴대기기에 전송함으로써 탈취제의 보충작업이 신속히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현장관리자의 휴대기기에는 로그인 기능과 인증 기능을 갖는 보안애플리케이션과 함께 로컬서버가 제공하는 이력정보의 표시 및 관리결과 입력작업을 수행하는 관리애플리케이션이 내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증발유도장치 11: 송풍기 12: 증발유도기
13: 순환펌프 14: 조작패널 20: 배관라인
30: 분사라인 31: 분사관 32: 하방노즐
33: 분기분사부 33': 측방노즐 34: 단턱
35: 분사관커버 40: 센서부 50: 제어부

Claims (10)

  1. 내부에 탈취제가 저장되어 있어 송풍기(11)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고속 유동에 의해 탈취제가 증발되고 이렇게 증발된 탈취제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증발유도기(12)를 포함하는 증발유도장치(10);
    상기 증발유도장치(10)에서 증발되어 배출된 탈취제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상기 탈취제를 분사라인(30)에 공급하는 배관라인(20);
    맨홀(A)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관라인(20)과 연결되는 분사관(31)과, 상기 분사관(31)에 상호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다수의 하방노즐(32)을 포함하는 분사라인(30);
    상기 맨홀(A) 내부의 악취 농도값을 측정하는 센서부(40); 및
    상기 센서부(40)가 제공하는 악취 농도값을 기초로 송풍기(11)의 송풍량을 조절함으로써 공급되는 탈취제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50);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관(31) 상부에 결합되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분사관커버(35)가 더 구비되며,
    상기 분사관커버(35)는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를 잇는 유도부(35a)와, 저면에 분사관(31) 상부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3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유도장치(10)는
    상기 증발유도기(12)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탈취제의 일부 또는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탈취제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탈취제를 증발유도기(12) 내부로 추가 공급하기 위한 순환펌프(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노즐(32)의 일측에 분기분사부(33)가 더 구비되며, 상기 분기분사부(33)의 탈취제 분사 방향(F)은 이웃한 하방노즐(32)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분사부(33)의 상부에는 단턱(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31)에는 반경 방향 내측부에 복수의 측방노즐(33')이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노즐(32)로부터 분사된 탈취제에 의해 맨홀(A) 하부에 탈취제막커튼(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복수의 맨홀(A) 각각에 설치되는 유량제어밸브를 함께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맨홀(A)에서 유량제어밸브의 최대 개방에도 악취가 지속되면 제어부(50)는 해당 맨홀(A)의 상류측에 위치한 맨홀(A)의 유량제어밸브의 개방도를 높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에는 통신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로컬서버와 정보 송수신이 이루어지며, 상기 로컬서버는 제어부(50)가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발생 알림 및 이력정보 생성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


KR1020210153536A 2021-11-10 2021-11-10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KR10237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536A KR102379348B1 (ko) 2021-11-10 2021-11-10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536A KR102379348B1 (ko) 2021-11-10 2021-11-10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348B1 true KR102379348B1 (ko) 2022-03-28

Family

ID=8099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536A KR102379348B1 (ko) 2021-11-10 2021-11-10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3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776B1 (ko) * 2022-05-09 2022-10-14 주식회사 케이피텍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KR102600748B1 (ko) * 2023-04-06 2023-11-10 주식회사 크린어스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내 악취 저감시스템
KR102649373B1 (ko) * 2024-01-03 2024-03-20 (주)중앙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565B1 (ko) * 2008-11-25 2009-09-21 허관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
KR101608407B1 (ko) 2015-11-06 2016-04-11 (주)한국하수도기술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KR101651257B1 (ko) * 2015-03-19 2016-08-25 (주)에코프랑 액상 탈취제 기화수단을 포함한 탈취시설
KR102077502B1 (ko) * 2017-10-27 2020-02-14 주식회사 성우디엠씨 지하 맨홀을 활용한 지하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565B1 (ko) * 2008-11-25 2009-09-21 허관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
KR101651257B1 (ko) * 2015-03-19 2016-08-25 (주)에코프랑 액상 탈취제 기화수단을 포함한 탈취시설
KR101608407B1 (ko) 2015-11-06 2016-04-11 (주)한국하수도기술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077502B1 (ko) * 2017-10-27 2020-02-14 주식회사 성우디엠씨 지하 맨홀을 활용한 지하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776B1 (ko) * 2022-05-09 2022-10-14 주식회사 케이피텍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KR102600748B1 (ko) * 2023-04-06 2023-11-10 주식회사 크린어스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내 악취 저감시스템
KR102649373B1 (ko) * 2024-01-03 2024-03-20 (주)중앙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9348B1 (ko)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CN106132509B (zh) 在排放源处驱散恶臭气体排放物的驱散装置
US20170362807A1 (en) Internally vented toilet with dedicated exhaust system
KR100950100B1 (ko) 하수관거용 악취 저감시스템
HUP0204502A2 (en) Apparatus for stormwater retention and releas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334347B1 (ko)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US20160369483A1 (en) Waste Water Re-Directing System
KR101226649B1 (ko) 빗물과 상수의 연계 활용을 위한 스마트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7217575A (ja) 廃棄物の前処理装置及び前処理方法
JP2018105045A (ja) ポンプシステム、悪臭防止型排水設備、ポンプ
KR102379344B1 (ko)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KR101462560B1 (ko) 이중구조의 수조를 갖는 분수대
CN105584076A (zh) 具有喷淋自洁系统的餐厨废弃物分离设备
KR102453299B1 (ko) 통기성 호스를 이용한 양식장용 급기장치
KR102387992B1 (ko) 공동주택단지 내 친환경 상하수도 맨홀
NZ533839A (en) Percolation test apparatus
KR101937611B1 (ko)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JP4468085B2 (ja) 散水装置
KR101955612B1 (ko)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
JP2007138411A (ja) バキューム式汚水排出装置および汚水排出方法
KR102649373B1 (ko)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KR102432874B1 (ko) 다기능 관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101591453B1 (ko) 아파트 발코니 누수방지를 위한 벽체 매립배관 구조
CN108037646A (zh) 显影单元及刻蚀设备
KR102619872B1 (ko) 공동주택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