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407B1 -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407B1
KR101608407B1 KR1020150156150A KR20150156150A KR101608407B1 KR 101608407 B1 KR101608407 B1 KR 101608407B1 KR 1020150156150 A KR1020150156150 A KR 1020150156150A KR 20150156150 A KR20150156150 A KR 20150156150A KR 101608407 B1 KR101608407 B1 KR 10160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supply pipe
sew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연희
김택수
신동민
Original Assignee
(주)한국하수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하수도기술 filed Critical (주)한국하수도기술
Priority to KR1020150156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46Controlling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2Hydrogen sulf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은, 상수관에 인접하게 배치된 하수관로의 내벽에 마련되어 하수관로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유닛; 일단부가 상수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물 분사유닛에 연결되어 상수관의 수압에 의해 상수관에서 물 분사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 물 공급관에 마련되며, 물 분사유닛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밸브; 및 제1 유량 조절밸브에 연결되어 제1 유량 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FOUL SMELL REMOVAL SYSTEM IN DRAINAGE SYSTEM}
본 발명은,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도 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주원인인 황화수소가 물에 녹는 성질을 이용하여 맨홀과 하수박스 등을 포함하는 하수관로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악취는 일반적으로 발생원, 발산원, 배출원으로 구분된다.
악취의 발생원은 악취 원인 물질이 생성되는 것으로 정화조, 하수관로 내 퇴적물, 관벽슬라임층이 있다.
악취의 발산원은 수중에 용존된 악취 물질이 기상중으로 발산되는 것으로 관로내 낙차 및 단차 등 난류 요인에 의해 발산이 일어난다.
악취의 배출원은 발산된 관내대기중 악취물질이 하수관로로부터 연결된 빗물받이, 맨홀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의 지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도로는 아스팔트(1)가 포장된 차도와 보도블록(2)이 깔려진 보도 사이에 도로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 등이 집수되는 빗물받이 본체(3)가 매설되고, 지하에 우수나 오수를 이송시키는 하수관(6)이 매설되며, 빗물받이 본체(3)와 하수관(6) 사이에 빗물받이 본체(3)로 흘러내린 빗물을 하수관(6)으로 이송하는 연결관(5)이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4는 빗물받이 본체(3) 상측에 설치되어 낙엽이나 쓰레기 등을 걸러주는 격자형상의 뚜껑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하수관이나 빗물받이에서는 악취(예를 들면. 황화수소 가스)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하수관에서는 퇴적물와 관벽과 하수 등으로부터 악취가 발산되고, 빗물받이에서는 생활쓰레기와 관벽 등으로부터 악취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수관이나 빗물받이 주변의 사람들은 하수관이나 빗물받이에서 배출되는 악취로 인한 두통, 구토, 불쾌감 등으로 정신적 스트레스가 증가되며, 주민들의 쾌적한 생활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이러한 하수관이나 빗물받이의 악취로 인한 민원은 2006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75% 증가하였고, 민원 중 하수로 인한 민원이 4,800여 건으로 가장 높은 실정이다.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수관로용 악취 저감시스템이 제안되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0100호).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관로용 악취 저감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관로용 악취 저감시스템은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는 시설이며, 반드시 약품처리를 행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관로용 악취 저감시스템은 약품 탱크와 세정수 탱크, 펌프 등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는 시설을 필수구성으로 하며, 하수도 시설물(맨홀 또는 하수관로) 내부에 우수와 오수를 원활한 배출할 수 있는 동력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관로용 악취 저감시스템은, 흡입구와 함께 하수관로 외부인 지상에 설치 시 외부 환경 미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민들에게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관로용 악취 저감시스템은 도시 내 설치 시 제한적 요인이 많아 설치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하수관로 내 전기 설비를 설치 할 수 없으며, 외부 탈취 시설을 설치해야 하며 이에 따라 지상에 별도의 설치 부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적 요인을 고려하여 무동력으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01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17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86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577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0961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악취를 유발하는 황화수소가 물에 녹는 성질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상수관의 수압을 통해 하수관로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수관에 인접하게 배치된 하수관로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하수관로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유닛; 일단부가 상기 상수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물 분사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상수관의 수압에 의해 상기 상수관에서 상기 물 분사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 상기 물 공급관에 마련되며, 상기 물 분사유닛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밸브; 및 상기 제1 유량 조절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량 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수관로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하수관로 내부의 악취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악취농도에 따라 상기 제1 유량 조절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물 분사유닛에서 분사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물 분사유닛은 상기 하수관로의 상부 내벽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1 물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물 분사부는 상기 물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하수관로의 상부 내벽에 상기 하수관로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물 분사관; 및 복수의 상기 제1 물 분사관 각각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하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제1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분사유닛은 상기 하수관로의 양측부 내벽에 마련되어 측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2 물 분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물 분사부는 상기 제1 물 분사관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하수관로의 양측부 내벽에 상기 하수관로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물 분사관; 및 복수의 상기 제2 물 분사관 각각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측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제2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제1 물 분사관 및 복수의 상기 제2 물 분사관 사이에 물을 분사하도록 복수의 상기 제2 분사노즐은 교대로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 전방 및 후방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노즐과 상기 제2 분사노즐은 스프레이형으로 물을 분사하며, 상기 제1 분사노즐과 상기 제2 분사노즐은 이웃하는 상기 제1 분사노즐과 상기 제2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상호 중첩되도록하는 물 분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물 분사부는 복수의 상기 제1 물 분사관 각각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제1 분사노즐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물 분사부는 복수의 상기 제2 물 분사관 각각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제2 분사노즐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3 유량 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물 분사부와 상기 제2 물 분사부의 전방에 배치되되, 상기 하수관로 내벽에 상기 제1 물 분사부와 상기 제2 물 분사부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어 우수 시 하수에 의해 상기 제1 물 분사부와 상기 제2 물 분사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보호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가이드는 상기 제1 물 분사관 및 상기 제2 물 분사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하수의 흐름에 대향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량 조절밸브에 연결되어 설정된 시간에 맞춰 상기 제1 유량 조절밸브를 작동시키는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 및 상기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관에 마련되어 상기 물 공급관을 따라 흐르는 물의 사용량을 검출하는 계량기; 및 상기 물 공급관에 마련되어 상기 물 공급관을 흐르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하수관로 내부의 악취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공급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품 공급유닛은 상기 물 공급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약품이 충전된 약품탱크; 일단부가 상기 약품탱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물 공급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품 공급관;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약품 공급관에 마련되어 상기 물 공급관을 따라 흐르는 물의 수압에 연동하여 상기 약품탱크에서 상기 물 공급관에 공급되는 상기 약품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약품 조절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악취농도에 따라 상기 약품 조절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약품탱크에서 상기 물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약품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약품 공급관이 연결되는 상기 물 공급관의 내면에는 오리피스(orifice)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약품은 철염(FeCl3)일 수 있다.
상기 약품은 (A)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B) 말단 반응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보호수지가 혼합된 혼합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약품에는 철염(FeCl3)이 100 내지 800 ppm으로 포함되고, 상기 혼합 첨가물이 5 내지 10 ppm으로 포함되며, 상기 혼합 첨가물에는 상기 (A)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상기 (B) 말단 반응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보호수지가 중량비 100 : 1 내지 5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A)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67 내지 95 몰의 하기 화학식 1의 단위 및 33 내지 5 몰의 하기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고, 비점도가 0.12 내지 0.30이며, 하기 화학식 2에서 Y는 페닐렌기 또는 나프탈렌디일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악취를 유발하는 황화수소가 물에 녹는 성질을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고자 하수관로에 인접한 상수관으로부터 하수관로의 내벽에 마련된 물 분사유닛으로 물을 공급함에 있어서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상수관의 수압을 통해 물 분사유닛에 물을 공급하여 하수관로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택적으로 별도의 약품 공급유닛을 마련하고 물 분사와 동시에 소량의 약품만을 사용하여 하수관로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더불어 수중 악취농도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의 지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관로용 악취 저감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물 분사부와 제2 물 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물 분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물 분사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물 분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물 분사부와 제2 물 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물 분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물 분사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물 분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100)은 맨홀과 하수박스 등을 포함하는 하수관로(220)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거나 고농도의 악취 발생 시 선택적으로 물에 소량의 약품을 주입하여 하수관로(220)의 내부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물을 분사함에 있어서 하수관로(220)에 인접한 상수관(200)의 수압에 의해 무동력으로 물을 공급받는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100)은 상수관(200)에 인접하게 배치된 하수관로(220)의 내벽에 마련되어 하수관로(220)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유닛(300)과, 일단부가 상수관(200)에 부단수 천공으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물 분사유닛(300)에 연결되어 상수관(200)의 수압에 의해 상수관(200)에서 물 분사유닛(300)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230)과, 물 공급관(230)에 마련되며 물 분사유닛(300)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밸브(240)와, 제1 유량 조절밸브(240)에 연결되어 제1 유량 조절밸브(240)를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수관(200)과 하수관로(220)는 상호 인접하게 지중에 매설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100)은 상수관(200)을 흐르는 물을 하수관로(220) 내부의 악취제거를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물은 상수관(200)에서 물 공급관(230)을 경유하여 후술할 물 분사유닛(300)으로 공급된다. 상수관(200)과 물 분사유닛(300)을 연결하는 물 공급관(230)은 일단부가 상수관(200)에 부단수 천공으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물 분사유닛(300)에 연결되어 상수관(200)과 물 분사유닛(300)을 상호 연통시킨다.
이때, 물은 상수관(200) 내의 수압에 의해 물 공급관(230)을 따라 물 분사유닛(300)으로 공급되므로, 별도의 동력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100)은 물 공급관(230)에 마련되어 후술할 물 분사유닛(300)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밸브(240)를 더 포함한다.
제1 유량 조절밸브(240)는 제어부(250)에 연결되며, 제어부(250)는 제1 유량 조절밸브(240)를 제어하여 물 공급관(230)을 따라 물 분사유닛(300)으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100)은 경제적인 운영을 고려하여 주요 악취 발생시간대에만 작동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주요 악취 발생시간대에 제1 유량 조절밸브(240)를 작동시켜 하수관로(220) 내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100)은 제1 유량 조절밸브(240)에 연결되어 주요 악취발생시간대에 맞춰 제1 유량 조절밸브(240)를 작동시키는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에는 주요 악취발생시간대가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270)가 작동되고 제1 유량 조절밸브(240)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100)은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270)에 연결되어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270)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유닛(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유닛(280)에 의해 발생된 전원을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270)를 작동시키는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100)은 하수관로(220) 내부의 악취농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하수관로(220)의 내벽에 마련되어 하수관로(220) 내부의 악취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60)에서 검출된 악취농도는 제어부(250)로 전송되며, 제어부(250)는 악취농도에 따라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270)를 작동시키고 제1 유량 조절밸브(240)를 조절하여 하수관로(220) 내부에 분사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센서부(260)에서 검출된 악취농도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 더 많은 양의 물이 물 분사유닛(300)으로 공급되도록 제1 유량 조절밸브(240)를 조절하거나, 반대로 악취농도가 설정값 이하이거나 미약한 경우에 물 분사유닛(300)으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줄이거나 단수시키도록 제1 유량 조절밸브(240)를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악취농도의 설정값은 하수관로 내의 악취물질들 중에 하수도관로의 악취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고 검출이 용이한 황화수소의 농도 1ppm을 기준으로 한다. 즉, 센서부(260)에 의해 검출된 황화수소의 농도가 1ppm이상인 경우에 제어부(250)는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270)를 작동시켜 하수관로 내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100)은 물 공급관(230)에 마련되어 물 공급관(230)을 따라 흐르는 물의 사용량을 검출하는 계량기(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계량기(231)를 통해 물의 사용량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100)은 물 공급관(230)에 마련되어 물 공급관(230)을 흐르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유닛(300)은 악취에 포함된 황화수소가 물에 녹는 성질을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수관로(220)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물 분사유닛(300)은 하수관로(220)의 상부 내벽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1 물 분사부(331)와, 하수관로(220)의 양측부 내벽에 마련되어 측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2 물 분사부(335)를 포함한다.
제1 물 분사부(331)는 하수관로(220)의 상부 내벽에 마련되어 하수관로(220)의 상부에서 하부로 물을 분사하여 악취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물 분사부(331)는 물 공급관(230)에 연결되며 하수관로(220)의 상부 내벽에 하수관로(220)의 폭방향(Y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하수관로(220)의 길이방향(X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물 분사관(332)과, 복수의 제1 물 분사관(332) 각각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하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제1 분사노즐(3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물 분사부(335)는 하수관로(220)의 양측부 내벽에 마련되어 하수관로(220)의 측부에서 측방으로 물을 분사하여 악취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물 분사부(335)는 제1 물 분사관(33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하수관로(220)의 측부 내벽에 하수관로(220)의 높이방향(Z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하수관로(22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물 분사관(336)과, 복수의 제2 물 분사관(336) 각각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측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제2 분사노즐(337)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물 분사관(332)은 하수관로(220)의 상부 내벽에 하수관로(220)의 길이방향(X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물 공급관(230)에 연결되어 상수관(20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한편, 제1 물 분사관(332)은 하수관로(220)의 상부 내벽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수관로(220)의 상부 내벽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1 물 분사관(332)도 하수관로(220)의 상부 내벽 형상에 대응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물 분사관(332) 상호 간의 이격거리(D1)는 하수관로(220)의 길이방향(X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1 분사노즐(333)에서 분사되는 물이 상호 중첩되어 하수관로(220)의 길이방향(X)으로 하수관로(220) 내부공간에 물이 분사되지 않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감소시키는 거리에 해당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1 물 분사관(332) 각각에는 하수관로(220)의 폭방향(Y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제1 분사노즐(333)이 마련되어 하수관로(22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물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분사노즐(333)은 스프레이형으로 물을 분사하며, 물 분사각이 65도(°)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었으나 제1 분사노즐(333)에서 분사되는 물 분사각은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분사노즐(333) 상호 간의 이격거리(D2)는 하수관로(220)의 폭방향(Y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1 분사노즐(333)에서 분사되는 물이 상호 중첩되어 하수관로(220)의 폭방향(Y방향)으로 하수관로(220) 내부공간에 물이 분사되지 않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감소시키는 거리에 해당된다.
한편, 제2 물 분사부(335)는 선택적으로 제1 물 분사부(331)와 함께 하수관로(220)의 내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물 분사관(336)은 하수관로(220)의 양측부 내벽에 하수관로(220)의 길이방향(X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 물 분사관(332)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상수관(2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는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물 분사관(332)과 제2 물 분사관(336)은 상호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관(339)을 통해 물 공급관(23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물 분사관(336)은 하수관로(220)의 양측부 내벽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와 도 6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물 분사관(336) 각각에는 하수관로(220)의 높이방향(Z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제2 분사노즐(337)이 마련되어 하수관로(220)의 양측부에서 측방으로 물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분사노즐(337)은 스프레이형으로 물을 분사하며, 제1 분사노즐(333)과 마찬가지로 물 분사각이 65도(°)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었으나 제2 분사노즐(337)에서 분사되는 물 분사각은 다양한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분사노즐(337) 상호 간의 이격거리(D3)은 하수관로(220)의 높이방향(Z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제2 분사노즐(337)에서 분사되는 물이 상호 중첩되어 하수관로(220)의 높이방향(Z방향)으로 하수관로(220) 내부공간에 물이 분사되지 않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감소시키는 거리에 해당된다.
또한, 복수의 제2 분사노즐(337)은 복수의 제1 물 분사관(332)과 복수의 제2 물 분사관(336) 사이에 물을 분사하도록 하수관로(220)의 높이방향(Z방향)을 따라 교대로 하수관로(220)의 길이방향(X방향) 전방 및 후방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수관로(220)의 길이방향(X방향으로)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물 분사관(332)의 간격을 조절하여 하수관로(220)의 양측부에 데드 스페이스가 감소되도록 조정하는 경우에는 하수관로(220)의 길이방향(X방향)으로 물이 분사되는 구역이 좁아지게 되어 효율적으로 악취를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하수관로(220)의 길이방향(X방향)으로 물이 분사되는 구역을 넓게 가져가면서 하수관로(220)의 양측부에 발생될 수 있는 데드 스페이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하수관로(220)의 양측부에 하수관로(220)의 높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분사노즐(337)을 하수관로(220)의 길이방향(X방향) 전방 및 후방으로 교대로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물 분사부(331)는 복수의 제1 물 분사관(332) 각각에 마련되어 복수의 제1 분사노즐(333)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밸브(334)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물 분사부(335)는 복수의 제2 물 분사관(336) 각각에 마련되어 복수의 제2 분사노즐(337)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3 유량 조절밸브(338)를 더 포함한다.
이는 하수관로(220) 내부의 악취 농도에 따라 복수의 제1 분사노즐(333) 및/또는 제2 분사노즐(337)을 동시에 또는 별개로 작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2 유량 조절밸브(334) 및/또는 제3 유량 조절밸브(338)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분사노즐(333)만을 작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복수의 제3 유량 조절밸브(338)를 잠그고, 복수의 제1 분사노즐(333)과 제2 분사노즐(337)을 동시에 작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복수의 제2 유량 조절밸브(334)와 제3 유량 조절밸브(338)를 통해 물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수관로(220)의 길이방향(X방향)으로 이격된 제1 물 분사관(332) 및/또는 제2 물 분사관(336)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제2 유량 조절밸브(334)와 제3 유량 조절밸브(338)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수관로(220)가 하류식 하수관에 연결되는 경우에, 우수 시 빗물이 다량으로 하수관로(220)에 유입되는 경우에 다량으로 유입된 빗물에 의해 물 분사유닛(300)이 파손 또는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100)은 물 분사유닛(300)을 보호하는 보호 가이드(29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가이드(290)는 제1 물 분사부(331)와 제2 물 분사부(335)의 전방에 배치되고 하수관로(220) 내벽에 제1 물 분사부(331)와 제2 물 분사부(335)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된다.
이처럼, 보호 가이드(290)는 우수 시 하수에 의해 제1 물 분사부(331)와 제2 물 분사부(335)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수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보호 가이드(290)는 제1 물 분사부(331)(구체적으로 제1 물 분사관(332))의 길이방향(Y방향) 및 제2 물 분사부(335)(구체적으로 제2 물 분사관(336))의 길이방향(Z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하수의 흐름에 대향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91)을 갖는 블록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수관로(220)에 다량으로 유입된 하수는 제1 물 분사부(331) 및 제2 물 분사부(335)의 전방에 배치된 보호 가이드(290)의 경사면(291)을 따라 흐르게 되므로, 제1 물 분사부(331) 및 제2 물 분사부(335)에 하수가 가지는 동압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량의 우수가 하수관로(220)에 유입되는 경우에도 우수에 의해 제1 물 분사부(331)와 제2 물 분사부(335)가 파손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100)은 센서부(260)에 의해 하수관로(220) 내부에서 검출된 악취농도가 설정값(황화수소의 농도 1ppm) 이상의 고농도인 경우에, 물과 함께 소량의 약품을 동시에 분사할 수 있도록 물 공급관(230)에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 공급유닛(400)을 더 포함한다.
즉, 약품 공급유닛(400)은 하수관로(220) 내의 악취농도가 고농도인 경우에 선택적으로 물 공급관(230)에 황화수소를 제거할 수 있는 약품을 공급하여 악취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약품 공급유닛(400)은 물 공급관(230)에 연결되어 하수관로(220) 내부의 악취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약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하수의 악취농도가 고농도일 경우에 선택적으로 약품 공급유닛(400)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물 공급관(230)에 소량의 약품만을 주입하여도 하수관로(220)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더불어 수중 악취농도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약품 공급유닛(400)은 물 분사유닛(300)이 배치되는 하수관로(22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수관로(220)의 맨홀 또는 이웃하는 맨홀 내에 위치되거나 또는 별도로 지중에 매설될 수 있다. 따라서, 약품 공급유닛(40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환경 미관을 해치지 않으므로 주변 주민들의 민원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약품 공급유닛(400)은 물 공급관(23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약품이 충전된 약품탱크(410)와, 일단부가 약품탱크(4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물 공급관(23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품 공급관(430)과, 적어도 하나의 약품 공급관(430)에 마련되어 약품탱크(410)에서 물 공급관(230)에 공급되는 약품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약품 조절밸브(450)를 포함한다.
약품탱크(410)에는 분말 또는 고체상의 황화수소 제거물질인 철염(FeCl3) 등의 약품이 저장된다. 그리고, 약품탱크(410)에 저장된 약품은 약품탱크(410)와 물 공급관(230)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약품 공급관(430)을 통해 물 공급관(230)에 공급된다.
이때, 물 공급관(230)에 공급되는 약품량은 약품 공급관(430)에 마련된 약품 조절밸브(450)에 의해 조절된다.
약품 조절밸브(450)는 센서부(260)에 의해 검출된 악취농도(황화수소의 농도)에 따라 제어부(250)에 의해 제어되고, 약품은 물 공급관(230)을 흐르는 물에 연동하여 물 공급관(230)으로 공급되게 한다.
약품이 물 공급관(230)을 흐르는 물에 연동하여 물 공급관(230)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약품 공급관(430)이 연결되는 물 공급관(230)의 내면에는 오리피스(orifice,235)가 설치된다. 이는 오리피스(235)를 흐르는 물에 의해 물 공급관(230)에 연결되는 영역의 약품 공급관(430) 내의 압력을 강하시켜 약품이 물 공급관(230)을 흐르는 물에 연동되어 약품 공급관(430)에서 물 공급관(230)으로 공급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제어부(250)에 의해 약품 조절밸브(450)가 제1 유량 조절밸브(240)에 연동되어 제어되고 물 공급관(230)에 공급되는 약품의 배출량을 조절되므로, 하수관로 내에 분사되는 약품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약품 조절밸브(450)는 제어부(250)에 의해 제어되고 약품은 물 공급관(230)의 내면에 설치된 오리피스(235)에 의해 물 공급관(230)으로 공급되므로, 별도의 구동장치인 약품 주입펌프(미도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품에는 분말 또는 고체상의 황화수소 제거물질인 철염(FeCl3) 외에, (A)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B) 말단 반응성 폴리실록산 화합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091774호, 제10-0918615호, 제10-1195774호 참고)을 포함하는 보호수지가 혼합된 혼합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혼합 첨가물은 단순히 철염(FeCl3)만을 첨가한 약품에 의해서도 제거되지 않은 미량의 황화수소까지도 완전히 제거하여 대기 중으로 황화수소가 전혀 배출되지 않도록 기여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다만 이를 위해서는 각 성분들의 함량 또는 이들의 아래와 같은 비율이 매우 중요하며, 만일 어느 하나의 함량 범위 또는 함량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황화수소 배출을 완전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우선, 상기 약품에는 철염(FeCl3)이 100 내지 800 ppm으로 포함되고, 상기 혼합 첨가물이 5 내지 10 ppm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혼합 첨가물에는 (A)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B) 말단 반응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보호수지가 중량비 100 : 1 내지 5의 비율로 혼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09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A)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67 내지 95 몰%의 하기 화학식 1의 단위 및 33 내지 5 몰%의 하기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고, 비점도가 0.12 내지 0.30이어야 한다. 단, 하기 화학식 2에서 Y는 페닐렌기 또는 나프탈렌디일기이다.
Figure 112015108479931-pat00001
Figure 112015108479931-pat00002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100)은,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하수관로(220)에 인접하게 매설된 상수관(20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 분사유닛(300)을 통해 하수관로(220)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하수관로(220) 내의 악취농도가 고농도일 경우에 선택적으로 소량의 약품을 투입하여 악취제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210: 상수관
220: 하수관로 230: 물 공급관
231: 계량기 235: 오리피스
240: 제1 유량 조절밸브 250: 제어부
260: 센서부 270: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
280: 태양광 발전유닛 290: 보호 가이드
300: 물 분사유닛: 331: 제1 물 분사부
332: 제1 물 분사관 333: 제1 분사노즐
334: 제2 유량 조절밸브 335: 제2 물 분사부
336: 제2 물 분사관 337: 제2 분사노즐
338: 제3 유량 조절밸브 339: 연결관
400: 약품 공급유닛 410: 약품탱크
430: 약품 공급관 450: 약품 조절밸브

Claims (15)

  1. 상수관에 인접하게 배치된 하수관로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하수관로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유닛;
    일단부가 상기 상수관에 부단수 천공으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물 분사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상수관의 수압에 의해 상기 상수관에서 상기 물 분사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
    상기 물 공급관에 마련되며, 상기 물 분사유닛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 유량 조절밸브;
    상기 하수관로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하수관로 내부의 악취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물 공급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약품이 충전된 약품탱크와, 일단부가 상기 약품탱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물 공급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약품 공급관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약품 공급관에 마련되어 상기 물 공급관을 따라 흐르는 물의 수압에 연동하여 상기 약품탱크에서 상기 물 공급관에 공급되는 상기 약품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약품 조절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하수관로 내부의 악취에 포함된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약품 공급유닛;
    상기 제1 유량 조절밸브와 상기 약품 조절밸브에 연결되되,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악취농도에 따라 상기 제1 유량 조절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물 분사유닛에서 분사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약품 조절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약품탱크에서 상기 물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약품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약품 공급관이 연결되는 상기 물 공급관의 내면에 설치되되, 상기 약품이 상기 물 공급관을 흐르는 물에 연동되어 상기 약품 공급관에서 상기 물 공급관으로 공급되게 하는 오리피스(orifice)를 포함하며,
    상기 물 분사유닛은,
    상기 물 공급관에 연결되며 상기 하수관로의 상부 내벽에 상기 하수관로의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물 분사관과, 복수의 상기 제1 물 분사관 각각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어 하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제1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하수관로의 상부 내벽에서 하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1 물 분사부; 및
    상기 제1 물 분사관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하수관로의 양측부 내벽에 상기 하수관로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물 분사관과, 복수의 상기 제2 물 분사관 각각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며 교대로 상기 하수관로의 길이방향 전방 및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측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제2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하수관로의 양측부 내벽에서 측방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2 물 분사부를 포함하는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노즐과 상기 제2 분사노즐은 스프레이형으로 물을 분사하며,
    상기 제1 분사노즐과 상기 제2 분사노즐은,
    이웃하는 상기 제1 분사노즐과 상기 제2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상호 중첩되도록하는 물 분사각을 가지는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 분사부는,
    복수의 상기 제1 물 분사관 각각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제1 분사노즐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유량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물 분사부는,
    복수의 상기 제2 물 분사관 각각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제2 분사노즐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3 유량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 분사부와 상기 제2 물 분사부의 전방에 배치되되, 상기 하수관로 내벽에 상기 제1 물 분사부와 상기 제2 물 분사부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어 우수 시 하수에 의해 상기 제1 물 분사부와 상기 제2 물 분사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보호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가이드는,
    상기 제1 물 분사관 및 상기 제2 물 분사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하수의 흐름에 대향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량 조절밸브에 연결되어 설정된 시간에 맞춰 상기 제1 유량 조절밸브를 작동시키는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 및
    상기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량 조절밸브 작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관에 마련되어 상기 물 공급관을 따라 흐르는 물의 사용량을 검출하는 계량기; 및
    상기 물 공급관에 마련되어 상기 물 공급관을 흐르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은 철염(FeCl3)을 포함하는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은 (A)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B) 말단 반응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보호수지가 혼합된 혼합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약품에는 철염(FeCl3)이 100 내지 800 ppm으로 포함되고, 상기 혼합 첨가물이 5 내지 10 ppm으로 포함되며,
    상기 혼합 첨가물에는 상기 (A)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상기 (B) 말단 반응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보호수지가 중량비 100 : 1 내지 5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A)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67 내지 95 몰%의 하기 화학식 1의 단위 및 33 내지 5 몰%의 하기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고, 비점도가 0.12 내지 0.30이며,
    하기 화학식 2에서 Y는 페닐렌기 또는 나프탈렌디일기인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화학식 1]
    Figure 112015108479931-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15108479931-pat00004
    .
KR1020150156150A 2015-11-06 2015-11-06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KR101608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150A KR101608407B1 (ko) 2015-11-06 2015-11-06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150A KR101608407B1 (ko) 2015-11-06 2015-11-06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407B1 true KR101608407B1 (ko) 2016-04-11

Family

ID=5580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150A KR101608407B1 (ko) 2015-11-06 2015-11-06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407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5250A (zh) * 2016-12-21 2017-03-08 武汉毳雨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云服务器的多源控制喷淋方法和多源控制喷淋系统
CN106582159A (zh) * 2016-12-21 2017-04-26 武汉毳雨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多源控制车载喷淋方法和多源控制喷淋系统
CN106824606A (zh) * 2016-12-21 2017-06-13 武汉毳雨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多源控制喷淋方法和多源控制喷淋系统
CN108525510A (zh) * 2018-04-13 2018-09-14 衢州市衢江区土壤肥料技术推广站 一种有机肥生产工艺废气的环保型吸收处理方法
KR101937611B1 (ko) 2018-06-07 2019-01-10 유형식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KR101941405B1 (ko) * 2018-06-07 2019-04-12 박윤희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KR101986943B1 (ko) 2018-04-23 2019-06-07 김현숙 스프레이식 악취제거장치를 구비한 하수관거용 가림막
KR102104930B1 (ko) * 2019-09-23 2020-04-27 주식회사 서진정보기술 지하시설물의 정보제공과 관리를 위한 스마트 정보 마커
KR102152453B1 (ko) 2020-04-06 2020-09-04 주식회사 삼흥플라넷 플라즈마를 이용한 하수 악취제거 시스템
KR102379344B1 (ko) 2021-11-10 2022-03-28 (주)에코프랑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KR102379348B1 (ko) 2021-11-10 2022-03-28 (주)에코프랑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KR20220141408A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디오솔루션 하수도 시설의 악취 저감장치
KR20220151784A (ko)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한결가치 원형, 박스 하수관로 및 하수맨홀 악취제거시스템
KR102513722B1 (ko) * 2022-01-03 2023-03-23 정우남 오존을 이용한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KR20230077880A (ko) 2021-11-26 2023-06-02 전상훈 가림막 연계형 하수관거용 악취제거장치
KR102575647B1 (ko) * 2022-12-29 2023-09-06 비앤이테크(주) 액상촉매를 이용한 맨홀의 악취저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100B1 (ko) 2009-06-30 2010-03-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수관거용 악취 저감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100B1 (ko) 2009-06-30 2010-03-2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수관거용 악취 저감시스템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5250A (zh) * 2016-12-21 2017-03-08 武汉毳雨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云服务器的多源控制喷淋方法和多源控制喷淋系统
CN106582159A (zh) * 2016-12-21 2017-04-26 武汉毳雨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多源控制车载喷淋方法和多源控制喷淋系统
CN106824606A (zh) * 2016-12-21 2017-06-13 武汉毳雨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多源控制喷淋方法和多源控制喷淋系统
CN108525510A (zh) * 2018-04-13 2018-09-14 衢州市衢江区土壤肥料技术推广站 一种有机肥生产工艺废气的环保型吸收处理方法
KR101986943B1 (ko) 2018-04-23 2019-06-07 김현숙 스프레이식 악취제거장치를 구비한 하수관거용 가림막
KR101937611B1 (ko) 2018-06-07 2019-01-10 유형식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KR101941405B1 (ko) * 2018-06-07 2019-04-12 박윤희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104930B1 (ko) * 2019-09-23 2020-04-27 주식회사 서진정보기술 지하시설물의 정보제공과 관리를 위한 스마트 정보 마커
KR102152453B1 (ko) 2020-04-06 2020-09-04 주식회사 삼흥플라넷 플라즈마를 이용한 하수 악취제거 시스템
KR20220141408A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디오솔루션 하수도 시설의 악취 저감장치
KR102519404B1 (ko) * 2021-04-13 2023-04-11 주식회사 디오솔루션 하수도 시설의 악취 저감장치
KR20220151784A (ko)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한결가치 원형, 박스 하수관로 및 하수맨홀 악취제거시스템
KR102650912B1 (ko) * 2021-05-07 2024-03-22 주식회사 한결가치 원통형 또는 박스의 형태를 갖는 하수관로 또는 하수맨홀에 사용되는 악취제거시스템
KR102379344B1 (ko) 2021-11-10 2022-03-28 (주)에코프랑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KR102379348B1 (ko) 2021-11-10 2022-03-28 (주)에코프랑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KR20230077880A (ko) 2021-11-26 2023-06-02 전상훈 가림막 연계형 하수관거용 악취제거장치
KR102513722B1 (ko) * 2022-01-03 2023-03-23 정우남 오존을 이용한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575647B1 (ko) * 2022-12-29 2023-09-06 비앤이테크(주) 액상촉매를 이용한 맨홀의 악취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407B1 (ko)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US10906825B2 (en) Wastewater leaching system
CN103964566A (zh) 旱作物农田首级退水水质强化净化装置
US7744756B2 (en) Wastewater flow diverter
KR100822300B1 (ko)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CN104032709A (zh) 城市河道弯道防淤方法
US20230234866A1 (en) Wastewater leaching system
KR100348526B1 (ko) 사이펀식 지하철지하수이송장치
JP2009091871A (ja) 給水冷却システム
JP2005256433A (ja) 下水処理水及び雨水の送排水システム
JP2019049182A (ja) サイフォン送水装置及びサイフォン送水方法
JP4134278B2 (ja) 路面散水システム及び路面散水方法
KR20140073341A (ko)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KR101937611B1 (ko)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JP5695495B2 (ja) 伏越し構造
JP4443869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
CN206034371U (zh) 一种绿化水利护坡
RU26093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уска очищенных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стоков в русловые водотоки
RU15337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нутрипочвенного орошения
CN109555206A (zh) 一种敞开式地下立体通道的安全排水系统
KR100788277B1 (ko) 하수 관거 폭기 장치
CN207776075U (zh) 变压器集油坑的水封井
KR200217679Y1 (ko) 수질 및 퇴적물에 의한 고무댐의 자동 개폐장치
KR200196210Y1 (ko) 사이펀식 지하철지하수이송장치
CN105863022A (zh) 一种适用于渗排雨水生物滞留设施的多功能延时排放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