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341A -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341A
KR20140073341A KR1020120141483A KR20120141483A KR20140073341A KR 20140073341 A KR20140073341 A KR 20140073341A KR 1020120141483 A KR1020120141483 A KR 1020120141483A KR 20120141483 A KR20120141483 A KR 20120141483A KR 20140073341 A KR20140073341 A KR 20140073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odor
malodor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호면
권수철
조정일
김택수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1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341A/ko
Publication of KR2014007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4Installations for neutralising explosions in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의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주원인인 황화수소가 물에 녹는 성질과 철 성분과 반응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지하수 분사를 통해 악취를 방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악취에 의한 불쾌감을 없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특히 맨홀에 축적되는 가스에 의한 폭발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수관이나 하수관에 연결되는 맨홀에서의 악취 제어 장치로서, 지하수 펌핑 수단; 상기 지하수 펌핑 수단에 의해 펌핑된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한 지하수 공급 라인; 및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과 연결되며 악취 발생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물 분사관을 포함하는 악취 제어 장치를 제공하며, 하수관 또는 하수관에 연결되는 맨홀에서의 악취 발생 공간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어하기 위한 악취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악취 발생 공간으로 지하수를 공급하여 분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악취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FOUL SMELL-CONTROL APPARATUS AND METHOD BY GROUNDWATER-JETTING}
본 발명은 하수도 시설의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도 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주원인인 황화수소가 물에 녹는 성질과 철 성분과 반응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지하수 분사를 통해 악취를 방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악취에 의한 불쾌감을 없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특히 맨홀에 축적되는 가스에 의한 폭발 사고 등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경부의 하수관거 악취 저감 기술 개발 및 정책 수립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환경기술개발사업)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11-0261-1-1(2차년도), 과제명: 하수관거 악취 저감 기술 개발 및 정책 수립 연구].
일반적으로 맨홀은 가정이나 상가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하수나 일반도로의 빗물 등을 집수하여 하천 등으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즉, 건축단지 또는 일반도로에는 엘형 측구 사이에 다수개의 배수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 박스에 연결되는 하수 맨홀 등을 설치하여 하천 등으로 배수처리하게 된다.
도 1은 통상적인 도로의 지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빗물받이를 촬영한 사진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팔트(1)가 포장된 차도와 보도블록(2)이 깔려진 보도 사이에 도로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 등이 집수되는 빗물받이 본체(3)가 매설되고, 지하에 우수나 오수를 이송시키는 하수관(6)이 매설되며, 상기 빗물받이 본체(3)와 하수관(6) 사이에 빗물받이 본체(3)로 흘러내린 빗물을 하수관(6)으로 이송하는 연결관(5)이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4는 빗물받이 본체(3) 상측에 설치되어 낙엽이나 쓰레기 등을 걸러주는 격자형상의 뚜껑을 나타낸다(도 2 참조).
한편, 일반적인 맨홀의 구조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맨홀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갖는 몸체(10)가 마련되어 있고, 그 몸체(10)에는 각 가정이나 상가, 도로의 집수구 등과 연결된 하수관(3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에는 집수된 하수가 하수처리장을 거쳐 하천으로 배수되도록 배수관(40)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몸체(10)의 상면에는 도로상의 이물질은 차단하고 빗물은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통공(21)이 형성된 뚜껑(20)이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서 빗물받이 본체(3)와 연결관(5)의 연결부, 그리고 도 3에서 몸체(10)와 하수관(30)의 연결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빗물받이와 맨홀에서의 하수관에서 황화수소가스가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하수도 맨홀이나 빗물받이에서는 악취(예를 들면. 황화수소가스)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빗물받이나 맨홀에서는 퇴적물, 관벽, 하수로부터의 발산에 의해 악취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맨홀이나 빗물받이 주변의 사람들에게 악취로 인해 두통, 구토 등 불쾌감과 혐오감 유발로 정신적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주민들의 쾌적한 생활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이러한 맨홀이나 빗물받이의 악취로 인한 악취 민원은 2006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75% 증가하였고, 악취 민원 중 하수로 인한 민원이 4,800여건으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약품처리방식에 의하여 악취 제어를 행하였으나, 이는 유지관리, 비용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전적으로 약품처리방식에 의한 악취 제어를 행하지 않더라도, 악취의 주원인은 황화수소가 물에 녹는 성질과 철 성분과 반응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지하수를 통해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감소시켜 악취에 의한 불쾌감을 없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특히 맨홀에 축적되는 가스에 의한 폭발 사고 등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수의 수온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하수의 황화수소의 발산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취 발생 정도를 검출하여 소정 수준 이상이 될 때 철 성분을 자동 투입함으로써 악취 발생의 높은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한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하수관 또는 하수관에 연결되는 맨홀에서의 악취 제어 장치로서, 지하수 펌핑 수단; 상기 지하수 펌핑 수단에 의해 펌핑된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한 지하수 공급 라인; 및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과 연결되며 악취 발생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물 분사관을 포함하는 악취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관은 악취 발생 공간의 상부 측으로부터 하부 측으로 연장하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분사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으로 철 성분을 공급하기 위한 철성분 공급 수단; 및 상기 철성분 공급 수단의 공급 및 차단 그리고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철성분 공급 수단은 철 성분 수용 탱크 및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으로부터의 지하수를 상기 철 성분 수용 탱크로 우회시켜서 다시 지하수 공급 라인으로 들어오도록 하는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발생 공간에 설치되며, 검출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악취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하수 흐름 방향에 대한 상기 바이패스 라인의 상류 측에서의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에는 상수관의 물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상수관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 바이패스 라인 및 상수관 연결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밸브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방도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하수관 또는 하수관에 연결되는 맨홀에서의 악취 발생 공간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어하기 위한 악취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악취 발생 공간으로 지하수를 공급하여 분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악취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급되는 지하수에 철 성분을 부가 투입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발생 공간에서 악취를 검출하고, 검출된 악취의 수준이 소정 수준 이상일 때 상기 지하수에 철 성분을 부가 투입시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악취의 주원인은 황화수소가 물에 녹는 성질과 철 성분과 반응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지하수를 통해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전적으로 약품처리방식에 의한 악취 제어를 행하지 않아도 되고, 악취에 의한 불쾌감을 없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맨홀에 축적되는 가스에 의한 폭발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은 수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하수를 이용함으로써 녹는 농도가 증진되어 하수의 황화수소의 발산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본 발명은 악취 발생 정도를 검출하여 소정수준 이상이 될 때 철 성분을 자동 투입함으로써 악취 발생의 높은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도로의 지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빗물받이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맨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빗물받이 본체와 연결관의 연결부 및 도 2에서 빗물받이 몸체와 하수관의 연결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일반적으로 빗물받이의 하수관에서 황화수소가스가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일반적으로 맨홀에서의 하수관에서 황화수소가스가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의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분사에 의한 하수도의 악취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는 하수관에서 악취의 원인 중 하나인 황화수소가 물에 녹는 성질과 철(Fe) 성분과 반응하는 성질을 이용하며, 나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녹는 농도가 증대되는 것으로부터 악취(황화수소)를 제어하기 위해 지하수를 분사하여 악취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의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의 일 실시 예는, 하수관(100) 또는 하수관(100)에 연결되는 맨홀이나 우수관거에서의 악취 제어 장치로서, 하수관(100) 일측에 위치되는 지하수 펌핑 수단(110); 상기 펌핑 수단(110)에 의해 펌핑된 지하수를 하수관(10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지하수 공급 라인(200); 및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200)과 연결되며 상기 하수관(100) 내측 또는 악취 발생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물 분사관(300)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물 분사관(300)은 지하수 공급 라인(200)을 통해 하수관(하수관거)(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맨홀 본체와 하수관의 연결부 또는 빗물받이 본체와 하수관의 연결부 측에 구비되어, 지하수 공급 라인(200)의 단부의 물 분사관(300)이 그 연결부에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 분사관(300)은 도 7에서와 같이 하수관의 상부 측에 노즐(311)이 위치되어 그로부터 지하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도 8에서와 같이 물 분사관(300)은 하수관의 상부 측으로부터 하부 측으로 연장하는 연장관(3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310)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노즐(311)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악취의 주원인인 황화수소가 철(Fe) 성분과 반응하는 성질을 더욱 잘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200)으로 철 성분(예를 들면, 철염)을 공급하기 위한 철성분 공급 수단(400); 및 상기 철성분 공급 수단(400)의 공급 및 차단 그리고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철성분 공급 수단(400)은 철 성분 수용 탱크(410) 및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200)으로부터의 지하수를 상기 철 성분 수용 탱크(410)로 우회시켜서 다시 지하수 공급 라인(200)으로 들어오도록 하는 바이패스 라인(42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수관(100) 내에 설치되며, 검출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달하여 철성분 공급 수단(4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악취를 검출하는 악취 감지기(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악취 감지기(600)는 공지의 구성 및 방법을 이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바이패스 라인(420)의 상류 측(지하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에서의 지하수 공급 라인(200)에는 상수도를 공급하기 위한 상수관 연결 라인(7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현장 여건상 지하수의 물을 이용하기 어렵거나 지하수의 물이 부족한 경우, 상수관의 물을 이용하여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200), 바이패스 라인(420) 및/또는 상수관 연결 라인(700)에는 밸브 부재(800)가 구비되며, 또한 각 라인의 물 흐름의 하류 측(예를 들면, 밸브 부재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물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계량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부재(800)는 수동식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자동식 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동식 밸브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개방도가 상기한 제어부(5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200)에는 바람직하게 상류 측에는 제공되는 물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구체적으로 상기한 세부 구성요소들(즉, 각 라인, 밸브 부재, 계량기, 필터 부재, 철 성분 수용 탱크 등)은 맨홀이나 빗물받이 또는 하수관의 일측에 터파기 구간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우수 시 물이 차오를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관을 설치하여 하수도 맨홀로 배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 제어 장치의 악취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지하수에는 철(Fe)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철 성분은 황화수소의 S 성분과 반응하여 FeS로 결합하게 된다.
H2S + Fe => FeS + 2H
본 발명은 펌핑 수단(110)을 통해 지하수 관정의 물을 이용하여 물 분사관(300)의 노즐로 지하수 물을 분사함으로써 상기한 황화수소의 성질 등을 이용함으로써 악취의 발생을 방지 또는 최소화한다.
또한, 악취의 발생이 소정 수준 이상으로 심할 경우, 악취 감지 센서(600)는 이를 검출하게 되고, 검출된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지하수의 흐름을 바이패스 라인(420)으로 우회시켜 철 성분 수용 탱크(410)를 거쳐 철 성분을 함유한 지하수에 철 성분을 더욱 부가시켜 하수관(100)으로 공급함으로써 심한 악취의 발생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현장 여건상 지하수의 물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지하수 공급 라인(200)에 연결된 상수관 연결 라인(700)을 통해 상수관의 물을 이용하여 분사하게 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 성분 수용 탱크(410)를 거쳐 상수관의 물에 철 성분이 함유되도록 하여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분사에 의한 하수도의 악취 제어 장치 및 악취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은 악취의 주원인은 황화수소가 물에 녹는 성질과 철 성분과 반응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지하수를 통해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전적으로 약품처리방식에 의한 악취 제어를 행하지 않아도 되고, 악취에 의한 불쾌감을 없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에 축적되는 가스에 의한 폭발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수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하수를 이용함으로써 녹는 농도가 증진되어 하수의 황화수소의 발산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취 발생 정도를 검출하여 소정수준 이상이 될 때 철 성분을 자동 투입함으로써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하수관 또는 하수관에 연결되는 맨홀에서의 악취 제어 장치로서,
    지하수 펌핑 수단;
    상기 지하수 펌핑 수단에 의해 펌핑된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한 지하수 공급 라인; 및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과 연결되며 악취 발생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물 분사관을 포함하는
    악취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관은
    악취 발생 공간의 상부 측으로부터 하부 측으로 연장하는 연장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분사 노즐이 구비되는
    악취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으로 철 성분을 공급하기 위한 철성분 공급 수단; 및
    상기 철성분 공급 수단의 공급 및 차단 그리고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악취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철성분 공급 수단은
    철 성분 수용 탱크 및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으로부터의 지하수를 상기 철 성분 수용 탱크로 우회시켜서 다시 지하수 공급 라인으로 들어오도록 하는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하는
    악취 제어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발생 공간에 설치되며, 검출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악취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악취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지하수 흐름 방향에 대한 상기 바이패스 라인의 상류 측에서의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에는 상수관의 물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상수관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는
    악취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공급 라인, 바이패스 라인 및 상수관 연결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밸브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방도가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악취 제어 장치.
  8. 하수관 또는 하수관에 연결되는 맨홀에서의 악취 발생 공간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어하기 위한 악취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악취 발생 공간으로 지하수를 공급하여 분사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악취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되는 지하수에 철 성분을 부가 투입하여 공급하는
    악취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발생 공간에서 악취를 검출하고,
    검출된 악취의 수준이 소정 수준 이상일 때 상기 지하수에 철 성분을 부가 투입시켜 공급하는
    악취 제어 방법.
KR1020120141483A 2012-12-06 2012-12-06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KR20140073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483A KR20140073341A (ko) 2012-12-06 2012-12-06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483A KR20140073341A (ko) 2012-12-06 2012-12-06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341A true KR20140073341A (ko) 2014-06-16

Family

ID=5112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483A KR20140073341A (ko) 2012-12-06 2012-12-06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3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649A (ko) * 2020-12-31 2022-07-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맨홀 뚜껑에 장착 가능한 악취 제거 장치
KR102575647B1 (ko) 2022-12-29 2023-09-06 비앤이테크(주) 액상촉매를 이용한 맨홀의 악취저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649A (ko) * 2020-12-31 2022-07-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맨홀 뚜껑에 장착 가능한 악취 제거 장치
KR102575647B1 (ko) 2022-12-29 2023-09-06 비앤이테크(주) 액상촉매를 이용한 맨홀의 악취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407B1 (ko)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KR100977173B1 (ko) 산에 설치되는 다목적 빗물관리시스템
KR101039196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20140109602A (ko) 초기우수 처리 가능한 빗물저장시스템
KR102029651B1 (ko)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KR100511208B1 (ko) 재활용 및 홍수방지용 빗물저수조 시스템
KR100656173B1 (ko) 비점오염원 초기 우수의 선택적 차집 시스템
CN104763038B (zh) 一种初期雨水弃流系统及其弃流方法
CN205296362U (zh) 带有滤水桶的雨水口结构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KR200398164Y1 (ko) 초기 빗물처리장치
KR20140073341A (ko) 지하수 분사에 의한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KR100976348B1 (ko) 토사 침투 방지용 회전 갑문을 갖는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0781302B1 (ko) 초기우수 저류 및 오수관로 자동배출장치
KR100776707B1 (ko) 우수 저류시스템의 저류장치
EP2781666A1 (en) A system for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KR20130070524A (ko) 수도관의 압력을 이용한 물 분사에 의한 하수도의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KR20140095783A (ko) 분리형 초생수로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그 저감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KR101574480B1 (ko)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주는 친환경 수질정화용 가동보 수문 시스템
JP2005350867A (ja) 雨水の利用システム
KR101257709B1 (ko) 초기우수 배수제어시스템
KR200427833Y1 (ko) 초기우수 저류 및 오수관로 자동배출장치
KR101656666B1 (ko)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우수 처리 방법
JP5643908B1 (ja) 排水システム
KR101154026B1 (ko)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