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651B1 -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 Google Patents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651B1
KR102029651B1 KR1020190056014A KR20190056014A KR102029651B1 KR 102029651 B1 KR102029651 B1 KR 102029651B1 KR 1020190056014 A KR1020190056014 A KR 1020190056014A KR 20190056014 A KR20190056014 A KR 20190056014A KR 102029651 B1 KR102029651 B1 KR 10202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reservoir
stored
discharge
out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율
안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
Priority to KR102019005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5mm ~ 10mm 정도의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우수를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의해 1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제1저류부(300)에 의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제2저류부(500)에 의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상기 제2저류부의 유출측에 설치 구성된 제3배출관(600)과 연결된 우수관(20)으로 깨끗한 우수만을 배출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며, 토양의 수분율이 임계치 미만일 경우에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의 제어에 의해 용수공급부(800)를 동작시켜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가 조경 용수 혹은 청소 용수로 제공하며,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내부 공간에 각각 배수펌프(1000)와 수위계(1100)를 구성하여 우천 예상시,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가 수위계(1100)로부터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예상 강우량과 현재 수위 정보를 비교하여 예상 강우량 대비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 배수펌프(1000)를 동작시켜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에 저장된 우수를 배출시켜 저장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rainwater recycle autonomous operation system}
본 발명은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5mm ~ 10mm 정도의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우수를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의해 1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제1저류부(300)에 의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제2저류부(500)에 의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상기 제2저류부의 유출측에 설치 구성된 제3배출관(600)과 연결된 우수관(20)으로 깨끗한 우수만을 배출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며, 토양의 수분율이 임계치 미만일 경우에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의 제어에 의해 용수공급부(800)를 동작시켜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가 조경 용수 혹은 청소 용수로 제공하며,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내부 공간에 각각 배수펌프(1000)와 수위계(1100)를 구성하여 우천 예상시,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가 수위계(1100)로부터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예상 강우량과 현재 수위 정보를 비교하여 예상 강우량 대비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 배수펌프(1000)를 동작시켜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에 저장된 우수를 배출시켜 저장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점오염원이란 일반적으로 비특정오염원, 면오염원, 이동오염원이라고도 한다.
점오염원이 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진 것과는 달리 비점오염원이란,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장소 또는 지역을 가리킨다.
비점오염물질은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식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자연동·식물의 잔여물, 대기오염물질 등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원에서 유출되는 초기우수는 다양한 오염물질, 세균, 박테리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미래에는 점점 더 다양하고 고농도인 오염물질이 배출될 것이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은 크게 자연형 시설과 장치형 시설로 구분된다.
장치형 시설은 와류형, 스크린형, 여과형 등으로 나뉘어 지는데, 이러한 장치형 시설은 우수관로 중간에 설치하고, 강우시 우수유출수가 유입되어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유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장치형 시설은 우수관로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대부분 지하에 설치되어야 하며, 시설의 바닥에 포집된 오염물질은 주기적으로 진공청소차로 흡입하여 준설하여야 한다.
주기적인 준설에는 작업차량과 많은 인력이 소요되고, 청소주기를 놓칠 경우 포집된 오염물질이 부패하거나 연이은 강우에 의해 씻겨나가게 되어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역할이 무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부하의 규모는 하천과 호소의 부영양화를 야기하는 오염물질인 질소(N)와 인(P)이 전체 오염부하 중에서 각각 75%와 50%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은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정부의 상수원 관리와 하천정화사업추진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 비점오염물질은 합류식 하수관거를 통해 유출되는 합류식 하수관거 유출수(CSOs)와 도로, 보도, 주차장 등에서 발생하여 우수관을 통해 유출되는 지표 유출수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인구 과밀화에 따른 교통량 증가와 불투수층 증가로 강우시 고농도 고유량이 단시간에 하천으로 유입된다.
이로 인하여 어류 폐사 및 악취 등이 발생하고 그 결과 생태용수, 친수용수로 활용되어야 할 하천수가 그 기능을 상실하여 하천 생태환경이 파괴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하천 수질 및 하천 생태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오염하천정화와 강우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동시에 처리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장치가 복잡하여 설치비 및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며, 장치의 내구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처리장치의 구조를 간편히 하면서도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처리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통상 빗물 이용 시 건물옥상이나 지상의 소정 바닥 등에 우수를 모으는 저류조와 배수관을 설치하여 여과과정 등을 거친 뒤 청소, 조경, 화장실용수 등으로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외에 홍수조절기능을 갖게 한 것으로는 대표적인 기술로써는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06-60759호(2006.06.30)에서 분산형 빗물 저류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하천에 유입되는 빗물내의 불순물은 거르는 전처리부 및 상기 전 처리부를 거친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하천의 상류에서부터 우안과 좌안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저류조 및 상기 복수개의 수위를 동시에 모니터링 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일시적인 급격한 유량의 변화에 의한 홍수 등의 재해를 다수의 소규모 저류조에 의해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개시된다.
그러나, 이 기술은 저류조 유입된 유량만을 측정하고 저류상태를 유지할 것인지 유출할 것인지만을 결정하는 단순히 시스템이어서 제한적인 홍수 방지기능을 가질 뿐이었다.
또 다른 기술로써,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57187호에서 빗물배수펌프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빗물배수펌프시스템은 간선유량계로부터 출력된 수위 계측신호와 유량 계측신호에 근거하여 각 변환기로부터 실측 유량과 이론유량과를 연산하여 실측유량과 이론유량과의 편차에 따라 프로세스 제어기는 간선유량계 설치지점의 흐름상태가 저류상태를 판정하여 유입게이트의 개폐제어, 각 배수램프의 운전제어를 행하도록 한다.
이 빗물 배수펌프시스템은 빗물 유량 레이더와 같은 고가의 기재, 복잡한 유입량 예측연산을 하지 않고도, 시스템 전체의 구축비용을 억제하는 동시에 저류상태를 판정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빗물 배수펌프를 제어하고 유입게이트 운용을 행한다.
상기 일본특허공개는 저류조에 저장되는 실측유량과 이론유량간의 편차에 근거하여 저류조의 저류상태에 따라 물을 배출하도록 한 것으로, 빗물의 저류시점 이거나 저류해제시점을 판단하는데 있어, 간선유량계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간선 유량계만으로는 저류조의 저장상태의 유량을 정확히 모니터링 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유입 게이트와 배수펌프들의 제어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선행문헌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06-60759호 (선행문헌2)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5718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5mm ~ 10mm 정도의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우수를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의해 1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제1저류부(300)에 의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제2저류부(500)에 의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상기 제2저류부의 유출측에 설치 구성된 제3배출관(600)과 연결된 우수관(20)으로 깨끗한 우수만을 배출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토양의 수분율이 임계치 미만일 경우에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의 제어에 의해 용수공급부(800)를 동작시켜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가 조경 용수 혹은 청소 용수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내부 공간에 각각 배수펌프(1000)와 수위계(1100)를 구성하여 우천 예상시,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가 수위계(1100)로부터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예상 강우량과 현재 수위 정보를 비교하여 예상 강우량 대비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 배수펌프(1000)를 동작시켜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에 저장된 우수를 배출시켜 저장 용량을 확보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제1유량계(1210), 제2유량계(1220), 제3유량계(1230), 제4유량계(1240)로부터 측정된 우수량 정보를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에서 획득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로 저장된 우수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통합모니터링서버(3000)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를 구성하여 IoT 및 CPS(Cyber Physical Systems, 사이버물리시스템) 기술을 적용하게 되어 센싱, 비교, 분석, 판단, 자율제어하고, 이벤트 발생시 유선인터넷 또는 IoT 통신망(LTE-M 또는 NB-IoT)을 통해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통합모니터링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를 탑재한 임베디드 방식의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 및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저류조를 사물로 볼 때, 사물인터넷 개념이 성립됨) 기반의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은,
유입되는 우수를 저장 보관하고, 유입된 우수중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해 1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침전 여과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저류부(300)로 배출되도록 하는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우수 유입측이 초기우수처리조(1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저장된 침전 여과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1저류부(300)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배출관(200)과;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저장 보관하고, 저장 보관되는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2배출관(400)을 통해 제2저류부(500)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저류부(300)와;
우수 유입측이 제1저류부(3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2저류부(500)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배출관(400)과;
상기 제1저류부(30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저장 보관하고, 저장 보관되는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가 제3배출관(600)을 통해 우수관(2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저류부(500)와;
우수 유입측이 제2저류부(5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제2저류부(500)에 저장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우수관(20)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3배출관(600)과;
토양의 수분율을 감지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로 감지된 수분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토양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분센서(700)와;
상기 제1저류부(300) 내부 공간에 설치 구성되고,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를 조경 용수 혹은 청소 용수로 제공하기 위한 용수공급부(800)와;
수분센서(700)로부터 제공된 토양의 수분율과 사전 저장된 임계치 수분율을 비교하여 수분센서(700)로부터 제공된 토양의 수분율이 임계치 미만의 수분율일 경우에 용수공급부(8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가 조경 용수 혹은 청소 용수로 제공되도록 하는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에 의하면,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5mm ~ 10mm 정도의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우수를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의해 1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제1저류부(300)에 의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제2저류부(500)에 의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상기 제2저류부의 유출측에 설치 구성된 제3배출관(600)과 연결된 우수관(20)으로 깨끗한 우수만을 배출시킴으로써,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모든 우수를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지 않기 때문에 하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한 별도의 증설이 필요없어 예산 절감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토양의 수분율이 임계치 미만일 경우에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의 제어에 의해 용수공급부(800)를 동작시켜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가 조경 용수 혹은 청소 용수로 제공함으로써, 저장된 우수를 활용함에 있어 인력을 투입하여 제어 및 관리하는 시간 낭비 및 비용 낭비를 제거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내부 공간에 각각 배수펌프(1000)와 수위계(1100)를 구성하여 우천 예상시,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가 수위계(1100)로부터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예상 강우량과 현재 수위 정보를 비교하여 예상 강우량 대비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 배수펌프(1000)를 동작시켜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에 저장된 우수를 배출시켜 저장 용량을 확보함으로써, 우천시, 저장 용량의 오우버 플로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유량계(1210), 제2유량계(1220), 제3유량계(1230), 제4유량계(1240)로부터 측정된 우수량 정보를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에서 획득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로 저장된 우수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통합모니터링서버(3000)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와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를 구성하여 IoT 및 CPS(Cyber Physical Systems, 사이버물리시스템) 기술을 적용하게 되어 센싱, 비교, 분석, 판단, 자율제어하고, 이벤트 발생시 유선인터넷 또는 IoT 통신망(LTE-M 또는 NB-IoT)을 통해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통합모니터링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통합모니터링센터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로 하여금 자율 운영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기존 관리자의 경험에 의한 운영에서 벗어나 관리자 없이 시스템 스스로 센싱하고 분석하여, 지능적 자동설정과 자율제어, 최적 운영을 보장하는 기술 고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의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의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의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와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2000) 간의 통신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의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와 통합모니터링서버(3000) 간의 통신 예시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은,
유입되는 우수를 저장 보관하고, 유입된 우수중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해 1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침전 여과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저류부(300)로 배출되도록 하는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우수 유입측이 초기우수처리조(1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저장된 침전 여과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1저류부(300)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배출관(200)과;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저장 보관하고, 저장 보관되는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2배출관(400)을 통해 제2저류부(500)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저류부(300)와;
우수 유입측이 제1저류부(3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2저류부(500)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배출관(400)과;
상기 제1저류부(30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저장 보관하고, 저장 보관되는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가 제3배출관(600)을 통해 우수관(2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저류부(500)와;
우수 유입측이 제2저류부(5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제2저류부(500)에 저장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우수관(20)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3배출관(600)과;
토양의 수분율을 감지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로 감지된 수분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토양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분센서(700)와;
상기 제1저류부(300) 내부 공간에 설치 구성되고,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를 조경 용수 혹은 청소 용수로 제공하기 위한 용수공급부(800)와;
수분센서(700)로부터 제공된 토양의 수분율과 사전 저장된 임계치 수분율을 비교하여 수분센서(700)로부터 제공된 토양의 수분율이 임계치 미만의 수분율일 경우에 용수공급부(8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가 조경 용수 혹은 청소 용수로 제공되도록 하는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저류부(300)는,
상기 제1배출관(200)의 배출측에 형성되고, 초기우수처리조(10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한 후, 제1연결관(340)을 통해 1차저류조(320)로 여과 처리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유입집수정(310)과,
상기 제1유입집수정(310)의 배출측에 형성되어 제1유입집수정(310)에서 배출되는 여과 처리된 우수를 저장하고, 제2연결관(350)을 통해 제1유출집수정(33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1차저류조(320)와,
상기 1차저류조(320)의 배출측에 형성되어 1차저류조(32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하고, 제2배출관(40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는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1유입집수정(310)과 1차저류조(320)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340)과,
1차저류조(320)와 제1유출집수정(330)을 연결하는 제2연결관(35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저류부(500)는,
상기 제2배출관(400)의 배출측에 형성되고, 제1유출집수정(33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한 후, 제3연결관(540)을 통해 2차저류조(520)로 여과 처리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유입집수정(510)과,
상기 제2유입집수정(510)의 배출측에 형성되어 제2유입집수정(510)에서 배출되는 여과 처리된 우수를 저장하고, 제4연결관(550)을 통해 제2유출집수정(53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2차저류조(520)와,
상기 2차저류조(520)의 배출측에 형성되어 2차저류조(52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하고, 제3배출관(60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는 제2유출집수정(530)과,
제2유입집수정(510)과 2차저류조(520)를 연결하는 제3연결관(540)과,
2차저류조(520)와 제2유출집수정(530)를 연결하는 제4연결관(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은,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내부 공간에 각각 설치 구성되는 배수펌프(1000)와 수위계(11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이 경우,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외부로부터 일기 예보 정보를 획득하여 우천 예상시, 수위계(1100)로부터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예상 강우량과 현재 수위 정보를 비교하여 예상 강우량 대비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 상기 배수펌프(1000)를 동작시켜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에 저장된 우수를 배출시켜 저장 용량을 확보하며,
이때,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배수펌프(1000)는 동작시, 초기우수처리조(100)의 우수를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유입집수정(310)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1유출집수정(3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배수펌프(1000)는 동작시, 제1유출집수정(330)의 우수를 제2배출관(400)을 통해 제2유입집수정(510)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유출집수정(5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배수펌프(1000)는 동작시, 제2유출집수정(530)의 우수를 제3배출관(600)을 통해 우수관(2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는,
유입되는 우수 중 초기우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 여과시키는 필터부(110)와,
필터부(110) 하측에 설치되어 슬러지가 여과된 유입 우수가 저장되는 우수보관통(120)과,
상기 우수보관통(120)의 하측에 형성되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의 제어에 의해 열림 작동하여 일측에 연결된 오수관로(10)로 우수보관통(120)에 보관된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배출시키며, 설정 시간 경과후,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의 제어에 의해 닫힘 작동하는 초기우수배출밸브(130)와,
상기 우수보관통(120)의 측면에 형성되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의 제어에 의해 상기 초기우수배출밸브(130)가 닫힘 작동시, 열림 작동하여 우수보관통(120)에 보관된 비점오염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우수를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저류부(300)로 배출되도록 하는 저류조밸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수공급부(800)는,
상기 제1저류부(300) 내부 공간에 설치 구성되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가 분사노즐(820)로 공급되도록 동작하는 공급펌프(810)와,
공급펌프(810)의 동작에 의해 공급된 우수가 조경 용수나 청소 용수로서 토양에 뿌려지도록 식물들의 주위에 설치 구성되는 분사노즐(8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저류부(300)와 제2저류부(500)에 각각 유입,유출되는 우수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부(1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량계부(1200)는,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의 유입측에 설치 구성되어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하기 위한 제1유량계(1210)와,
상기 제1저류부(300)의 유입측에 설치 구성되어 제1저류부(300)의 제1유입집수정(310)에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하기 위한 제2유량계(1220)와,
상기 제2저류부(500)의 유입측에 설치 구성되어 제2저류부(500)의 제2유입집수정(510)에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하기 위한 제3유량계(1230)와,
상기 제2저류부(500)의 유출측에 설치 구성되어 제2저류부(500)의 제2유출집수정(530)에서 배출되는 우수량을 측정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하기 위한 제4유량계(1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상기 제1유량계(1210), 제2유량계(1220), 제3유량계(1230), 제4유량계(1240)로부터 측정된 우수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우수량정보수집부(930)와,
상기 우수량정보수집부(930)를 통해 수집된 우수량 정보, 초기우수배출밸브(130)의 닫힘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빅데이터저장부(940)와,
제1유량계(1210)로부터 우수량 정보를 획득한 시간에 비례하여 초기우수처리조(100)에 형성된 오수관로(10)와 연결된 초기우수배출밸브(130)를 열림 작동시켜 오수관로로 초기 우수의 비점오염원을 배출시키기 위한 비점오염원배출제어부(950)와,
빅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초기우수배출밸브의 닫힘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초기우수배출밸브(130)를 닫힘 작동시키며, 저류조밸브(140)를 열림 작동시켜 우수보관통(120)에 보관된 비점오염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우수를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저류부(300)로 배출되도록 하는 우수공급제어부(9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분센서(700)와 수위계(1100)와 유량계부(1200)와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에는,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2000)를 구성하여 무선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2000)는 LTE-M 통신 방식의 LTE-M무선네트워크통신부와 NB-IoT 통신 방식의 NB-IoT무선네트워크통신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용수공급부(800)와 배수펌프(1000)와 초기우수배출밸브(130)와 저류조밸브(140)의 동작 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이벤트 발생시, 유선인터넷 또는 IoT 통신망(LTE-M 또는 NB-IoT)을 통해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은, 초기우수처리조(100), 제1배출관(200), 제1저류부(300), 제2배출관(400), 제2저류부(500), 제3배출관(600), 다수의 수분센서(700), 용수공급부(800),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는 유입되는 우수를 저장 보관하고, 유입된 우수중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해 1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침전 여과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저류부(300)로 배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조를 의미한다.
즉, 비점 오염원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초기 우수(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5mm ~ 10mm 정도의 우수)를 보관하면서 1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양태에 따른 초기우수처리조(100)는,
유입되는 우수 중 초기우수에 포함된 슬러지(예: 덩어리 이물질, 쓰레기 등)를 걸러 여과시키는 필터부(110)와,
필터부(110) 하측에 설치되어 슬러지가 여과된 유입 우수가 저장되는 우수보관통(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는 상기 구성을 A TYPE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필터부(110)를 우수보관통의 상측에 형성시켜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슬러지, 예를 들어, 덩어리 이물질, 쓰레기 등을 걸러서 여과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후, 우수보관통으로 초기 우수의 비점오염원을 저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우수보관통(120)은 바람직하게는 측면과 바닥면이 메쉬망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필터부를 통해 슬러지가 여과된 유입 우수에 포함된 또 다른 이물질들을 메쉬망을 통해 2차적으로 거르고 우수보관통(120) 외부로 유출시킨 후 초기우수처리조(100) 바닥을 통해 땅속으로 침투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우수의 땅속 침투와 자연 여과를 위하여 초기우수처리조의 하측에는 자갈층과 자갈보다 입자가 작은 모래층을 적층시켜 상기 유입 우수가 자연 여과 되면서 땅속으로 침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른 초기우수처리조(100)는,
유입되는 우수 중 초기우수에 포함된 슬러지(예: 덩어리 이물질, 쓰레기 등)를 걸러 여과시키는 필터부(110)와,
필터부(110) 하측에 설치되어 슬러지가 여과된 유입 우수가 저장되는 우수보관통(120)과,
상기 우수보관통(120)의 하측에 형성되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의 제어에 의해 열림 작동하여 일측에 연결된 오수관로(10)로 우수보관통(120)에 보관된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배출시키며, 설정 시간 경과후,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의 제어에 의해 닫힘 작동하는 초기우수배출밸브(130)와,
상기 우수보관통(120)의 측면에 형성되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의 제어에 의해 상기 초기우수배출밸브(130)가 닫힘 작동시, 열림 작동하여 우수보관통(120)에 보관된 비점오염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우수를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저류부(300)로 배출되도록 하는 저류조밸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도 1에서는 상기 구성을 B TYPE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수보관통(120)의 상측에 유입되는 우수 중 초기우수에 포함된 슬러지, 예를 들어, 덩어리 이물질, 쓰레기 등을 걸러 여과시키는 필터부(11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여과 처리된 초기 우수의 비점오염원이 우수보관통에 보관되게 되는데, 초기우수배출밸브(130)를 우수보관통의 하측에 형성시키게 된다.
B TYPE에서 우수보관통(120)은 A TYPE과는 달리 메쉬망이 아닌 폐쇄된 통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초기우수배출밸브(130)는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의 제어에 의해 열림 작동하여 일측에 연결된 오수관로(10)로 우수보관통(120)에 보관된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설정 시간 경과후, 예를 들어, 10분 정도가 경과된 후,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의 제어에 의해 닫힘 작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우수량별 초기우수배출밸브 열림 시간 정보가 사전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1유량계(1210)(초기우수처리조(100)의 유입측에 설치 구성되어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에 의해 측정된 유입 우수량 정보가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되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는 해당 우수량에 대응된 초기우수배출밸브 열림 시간 정보(예: 상기와 같은 10분)를 추출하고, 초기우수배출밸브(130)가 열린후 설정시간(예:10분)이 경과하면 초기우수배출밸브를 닫음과 동시에 저류조밸브(140)로 여는 신호를 제공하여 저류조밸브(140)를 열게 된다.
상기 저류조밸브(140)는 상기 우수보관통(120)의 측면에 형성되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의 제어에 의해 상기 초기우수배출밸브(130)가 닫힘 작동시, 열림 작동하여 우수보관통(120)에 보관된 비점오염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우수를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저류부(300)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배출관(200)은 우수 유입측이 초기우수처리조(1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저장된 침전 여과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을 제1저류부(300)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초기우수처리조(100)의 높이가 6미터라면, 높이 5미터 정도에 제1배출관의 우수 유입측을 설치 구성하여 5미터를 초과하는 우수만을 제1저류부(300)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저류부(300)는 상기 제1배출관(200)의 유출측에 형성되어 초기우수처리조(10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저장 보관하고, 저장 보관되는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2배출관(400)을 통해 제2저류부(500)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저류부(300)의 높이가 6미터라면 5미터 정도에 제2배출관(400)의 우수 유입측을 설치 구성하여 5미터를 초과하는 우수만을 제2저류부(500)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저류부(300)를 구성하는 이유는 초기우수처리조(100)를 통해 초기 우수의 비점오염원을 여과하더라도 완벽하게 여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제1저류부(300)를 통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제1저류부(300)의 2차 침전 및 여과 처리를 위하여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유사하게 제1저류부(300)의 상측에 필터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 제1저류부(300)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저류부(300)는,
상기 제1배출관(200)의 배출측에 형성되고, 초기우수처리조(10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한 후, 제1연결관(340)을 통해 1차저류조(320)로 여과 처리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유입집수정(310)과,
상기 제1유입집수정(310)의 배출측에 형성되어 제1유입집수정(310)에서 배출되는 여과 처리된 우수를 저장하고, 제2연결관(350)을 통해 제1유출집수정(33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1차저류조(320)와,
상기 1차저류조(320)의 배출측에 형성되어 1차저류조(32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하고, 제2배출관(40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는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1유입집수정(310)과 1차저류조(320)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340)과,
1차저류조(320)와 제1유출집수정(330)을 연결하는 제2연결관(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저류부(300)를 제1유입집수정(310), 1차저류조(320), 제1유출집수정(330)이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우수의 이동에 따른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를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배출관(200)의 배출측에 제1유입집수정(310)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우수처리조(10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한 후, 제1연결관(340)을 통해 1차저류조(320)로 여과 처리된 우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1유입집수정(310)에는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를 위하여 상측에 필터부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입집수정(310)의 배출측에 1차저류조(320)를 형성하여 제1유입집수정(310)에서 배출되는 여과 처리된 우수를 저장하고, 제2연결관(350)을 통해 제1유출집수정(33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저류조(320)의 배출측에 제1유출집수정(330)을 형성하여 1차저류조(32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하고, 제2배출관(40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1유입집수정(310)과 1차저류조(320) 사이에는 제1연결관(340)을 형성시켜 제1유입집수정(310)과 1차저류조(320)를 연결하며, 1차저류조(320)와 제1유출집수정(330) 사이에는 제2연결관(350)을 형성시켜 1차저류조(320)와 제1유출집수정(330)을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연결관(340)과 제2연결관(350)을 통해 제1유입집수정(310)과 1차저류조(320) 및 제1유출집수정(330)을 연결하게 되어 우수가 이동되게 함과 동시에 제1유입집수정(310)과 1차저류조(320) 및 제1유출집수정(330)에 항상 동일한 수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배출관(400)은 우수 유입측이 제1저류부(300)(구체적으로는 제1유출집수정(33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제1저류부(300)(구체적으로는 제1유출집수정(330))에 저장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2저류부(500)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저류부(500)는 상기 제2배출관(400)을 통해 제1저류부(300)에서 배출된 우수를 공급받아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저장 보관하고, 저장 보관되는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가 제3배출관(600)을 통해 우수관(2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초기우수처리조를 통해 초기 우수의 비점오염원을 여과하더라도 완벽하게 여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제2저류부를 통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 제2저류부(500)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2저류부(500)는,
상기 제2배출관(400)의 배출측에 형성되고, 제1유출집수정(33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한 후, 제3연결관(540)을 통해 2차저류조(520)로 여과 처리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유입집수정(510)과,
상기 제2유입집수정(510)의 배출측에 형성되어 제2유입집수정(510)에서 배출되는 여과 처리된 우수를 저장하고, 제4연결관(550)을 통해 제2유출집수정(53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2차저류조(520)와,
상기 2차저류조(520)의 배출측에 형성되어 2차저류조(52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하고, 제3배출관(60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는 제2유출집수정(530)과,
제2유입집수정(510)과 2차저류조(520)를 연결하는 제3연결관(540)과,
2차저류조(520)와 제2유출집수정(530)를 연결하는 제4연결관(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배출관(400)의 배출측에 제2유입집수정(51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제1유출집수정(33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한 후, 제3연결관(540)을 통해 2차저류조(520)로 여과 처리된 우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2유입집수정(510)에는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를 위하여 상측에 필터부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유입집수정(510)의 배출측에 2차저류조(520)를 형성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제2유입집수정(510)에서 배출되는 여과 처리된 우수를 저장하고, 제4연결관(550)을 통해 제2유출집수정(53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2차저류조(520)의 배출측에 제2유출집수정(530)을 형성하게 되며, 이를 통해 2차저류조(52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하고, 제3배출관(60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유입집수정(510)과 2차저류조(520) 사이에는 제3연결관(540)을 형성시켜 이를 통해 제2유입집수정(510)과 2차저류조(520)를 연결하게 되며, 상기 2차저류조(520)와 제2유출집수정(530) 사이에는 제4연결관(550)을 형성시켜 이를 통해 2차저류조(520)와 제2유출집수정(530)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3연결관(540)과 제4연결관(550)을 통해 제2유입집수정(510)과 2차저류조(520) 및 제2유출집수정(530)을 연결하게 되어 우수가 이동되게 함과 동시에 제2유입집수정(510)과 2차저류조(520) 및 제2유출집수정(530)에 항상 동일한 수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우수의 땅속 침투와 자연 여과를 위하여 상기 2차저류조(520)와 제2유출집수정(530) 하측에는 상술한 초기우수처리조와 마찬가지로 자갈층과 자갈보다 입자가 작은 모래층을 적층시켜 상기 유입 우수가 자연 여과 되면서 땅속으로 침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3배출관(600)은 우수 유입측이 제2저류부(500)(구체적으로는 제2유출집수정(53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제2저류부(500)(구체적으로는 제2유출집수정(530))에 저장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우수관(20)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저류부(500)(구체적으로는 제2유출집수정(530))의 높이가 6미터라면, 높이 5미터 정도에 제3배출관(600)의 우수 유입측을 설치 구성하여 5미터를 초과하는 우수만을 제3배출관(600)을 통해 우수관(20)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우수(초기 5mm ~ 10mm 정도의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우수)를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의해 1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제1저류부(300)에 의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제2저류부(500)에 의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상기 제2저류부의 유출측에 설치 구성된 제3배출관(600)과 연결된 우수관(20)으로 깨끗한 우수만을 배출시킴으로써,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모든 우수를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지 않기 때문에 하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한 별도의 증설이 필요없어 예산 절감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은 다수의 수분센서(700), 용수공급부(800),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를 이용하여 조경 용수를 주변 식물들에게 제공하거나 혹은 청소 용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다수의 수분센서(700)는 토양의 수분율을 감지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로 감지된 수분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토양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빗물 재활용 자율운영시스템이 설치 구성된 주변에 다수의 식물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해당 식물들이 심어진 토양에 수분센서를 구성하여 토양의 수분율을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수분율 정보를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분율을 감지하는 이유는 수분율이 설정된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지게 되면 토양에 저류조에 저장된 우수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용수공급부(800)는 제1저류부(300) 내부 공간(구체적으로는 제1유출집수정(330))에 설치 구성되고,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를 조경 용수 혹은 청소 용수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용수공급부(800)는, 공급펌프(810), 분사노즐(82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펌프(810)는 상기 제1저류부(300) 내부 공간(구체적으로는 제1유출집수정(330))에 설치 구성되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제1저류부(300)(구체적으로는 제1유출집수정(330))에 저장된 우수가 분사노즐(820)로 공급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토양의 수분율이 임계치 미만이 되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에서 공급펌프로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공급펌프는 동작 제어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820)은 공급펌프(810)의 동작에 의해 공급된 우수가 조경 용수나 청소 용수로서 토양에 뿌려지도록 식물들의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820)은 일반적인 스프링 쿨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토양의 수분율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 자동으로 제1저류부(300) 내부 공간에 저장된 우수를 조경용수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인력이 투입되어 제어 및 관리함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수분센서(700)로부터 제공된 토양의 수분율과 사전 저장된 임계치 수분율을 비교하여 수분센서(700)로부터 제공된 토양의 수분율이 임계치 미만의 수분율일 경우에 용수공급부(8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가 조경 용수 혹은 청소 용수로 제공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수분센서(700)로부터 제공된 토양의 수분율이 임계치 미만의 수분율일 경우에 용수공급부(8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용수공급부동작제어부(91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용수공급부동작제어부(910)는 다수의 수분센서(700)로부터 제공된 토양의 수분율과 임계치 수분율을 비교하여 임계치 미만의 수분율일 경우에 용수공급부(800)로 동작 제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ID:1-Storage tank#Moisture sensor-1#15%#2019-03-15-09:00'라는 토양의 수분율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데, 상기 예인 수분율 정보 수분센서-1에서 2019년3월15일 오전 9시에 계측한 수분율이 15%라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전에 저장된 임계치 수분율인 40%와 비교하게 되는데, 상기 임계치 수분율 미만이므로 용수공급부(800)에 동작 제어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수공급부(800)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제1저류부(300)(구체적으로는 제1유출집수정(330))에 저장된 우수가 조경 용수나 청소 용수로서 토양에 뿌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외부로부터 일기 예보 정보를 획득하여 우천 예상시, 수위계(1100)로부터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예상 강우량과 현재 수위 정보를 비교하여 예상 강우량 대비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 상기 배수펌프(1000)를 동작시켜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에 저장된 우수를 배출시켜 저장 용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외부로부터 일기 예보 정보를 획득하여 우천 예상시, 수위계(1100)로부터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예상 강우량과 현재 수위 정보를 비교하여 예상 강우량 대비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 상기 배수펌프(1000)를 동작시켜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에 저장된 우수를 배출시켜 저장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저장용량확보부(9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은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내부 공간에 각각 설치 구성되는 배수펌프(1000)와 수위계(11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예상 강우량이 100mm로 예상되고,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저장 용량이 5톤(ton)이고, 수위계(1100)로부터 획득된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수위에 따른 현재 우수 저장량이 4톤(ton)이라고 가정하면, 예상되는 강우량 100mm에 의해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저량용량이 초과되는 경우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에 오버 플로우가 발생해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정상적인 침전 및 여과 처리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저장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저장용량확보부(920)는 일기 예보 정보를 획득하여 우천 예상시, 수위계(1100)로부터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예상 강우량과 현재 수위 정보를 비교하여 예상 강우량 대비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 상기 배수펌프(1000)를 동작시켜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에 저장된 우수를 배출시켜 저장 용량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펌프의 동작 시간 정보는 수위별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mm 배출시 1분, 20mm 배출시 2분, 30mm 배출시 3분 등과 같은 수위별 배수펌프 동작 시간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에 설치된 배수펌프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배수펌프(1000)는 동작시, 초기우수처리조(100)의 우수를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유입집수정(310)으로 배출시키게 되고, 상기 제1유출집수정(3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배수펌프(1000)는 동작시, 제1유출집수정(330)의 우수를 제2배출관(400)을 통해 제2유입집수정(510)으로 배출시키게 되며, 상기 제2유출집수정(5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배수펌프(1000)는 동작시, 제2유출집수정(530)의 우수를 제3배출관(600)을 통해 우수관(20)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태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은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저류부(300)와 제2저류부(500)에 각각 유입, 유출되는 우수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부(1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량계부(1200)는 제1유량계(1210), 제2유량계(1220), 제3유량계(1230), 제4유량계(124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즉, 상기 제1유량계(1210)는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의 유입측에 설치 구성되어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하게 되며, 상기 제2유량계(1220)는 상기 제1저류부(300)의 유입측에 설치 구성되어 제1저류부(300)의 제1유입집수정(310)에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제1유량계(1210)를 통해 초기우수처리조(100)로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할 수 있고, 제2유량계(1220)를 통해 제1저류부(300)로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2개소의 우수량의 산술적 차이에 의해 초기우수배출밸브(130)의 동작에 의해 오수관로(10)로 배출되는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량을 계산할 수 있게 되어 초기우수처리조(100)를 통해 배출되는 비점 오염원이 포함된 우수량 분석해낼 수 있게 된다.
비점 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량을 분석하게 되면, 추후 증설 계획에 있는 오수처리장의 규모 등을 통계적으로 산출해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제3유량계(1230)는 제2저류부(500)의 유입측에 설치 구성하여 제2저류부(500)의 제2유입집수정(510)에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하게 되며, 제4유량계(1240)는 제2저류부(500)의 유출측에 설치 구성하여 제2저류부(500)의 제2유출집수정(530)에서 배출되는 우수량을 측정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제3유량계(1230)를 통해 제2유입집수정(510)에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할 수 있고 제4유량계(1240)를 통해 제2유출집수정(530)에서 배출되는 우수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2개소의 우수량(제2유량계(1220)와 제4유량계(1240)가 측정한 우수량)의 산술적 차이에 의해 제1저류부(300)와 제2저류부(500)에 저장되는 우수의 양을 분석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격지에서 저류조를 관리하는 관리자 입장에서는 현재 저류조에 저장된 우수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 용수로 어느 정도를 제공할 수 있을 지, 우천시, 어느 정도를 배출하여 저장 용량을 확보할 수 있을 지를 계산해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의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우수량정보수집부(930), 빅데이터저장부(940), 비점오염원배출제어부(950), 우수공급제어부(96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수량정보수집부(930)는 제1유량계(1210), 제2유량계(1220), 제3유량계(1230), 제4유량계(1240)로부터 측정된 우수량 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빅데이터저장부(940)에 수집된 우수량 정보는 저장 처리된다.
상기 빅데이터저장부(940)에는 상기 우수량정보수집부(930)를 통해 수집된 우수량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상기 빅데이터저장부(940)에 저장된 우수량 정보는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로 실시간으로 제공되어 통합모니터링서버(3000)가 제1저류부(300)와 제2저류부(500)에 저장되는 우수의 양을 분석해낼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원격지에서 저류조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현재 저류조에 저장된 우수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용수 공급 정책과 용수 배출 정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하여 강우로 인한 재난 방지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빅데이터저장부(940)에는 초기우수처리조(100) 부분에서 설명한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유입되는 우수량별 초기우수배출밸브(130)의 열림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상기 비점오염원배출제어부(950)는 제1유량계(1210)(초기우수처리조(100)의 유입측에 설치 구성되어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에 의해 측정된 유입 우수량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우수량에 대응된 초기우수배출밸브 열림 시간 정보(예: 10분)를 빅데이터저장부(94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열림 시간동안 초기우수배출밸브(130)가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비점오염원을 포함하고 있는 초기우수를 오수관로(10)를 통해 배출시킨다.
또한, 비점오염원배출제어부(950)는 초기우수배출밸브의 열림 시간 경과 후, 초기우수배출밸브(130)를 닫힘 작동시킴과 동시에 저류조밸브(140)를 열림 작동시켜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유입된 우수중 비점오염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우수를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저류부(300)로 배출시킨다.
예를 들어, 초기우수배출밸브의 열림 시간이 10분인 경우, 초기우수배출밸브가 열린지 10분이 경과되면 초기우수배출밸브에 닫힘 작동 신호를 송출하여 초기우수배출밸브를 닫힘 작동시키면서 동시에 저류조밸브에 열림 작동 신호를 송출하여 저류조밸브를 열림 작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저류부(300)로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는 오수관로(10)를 통해 배출되고 비점오염원이 없는 우수는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저류부(300)로 배출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의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와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2000) 간의 통신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와 수분센서(700)와 수위계(1100)와 유량계부(1200)는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2000)를 매개로 하여 무선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계측수단들과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2000)를 연결하여 계측수단들로부터 감지 정보를 획득하게 되고, 획득된 감지 정보들을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2000)를 이용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는 LTE-M 통신 방식의 LTE-M무선네트워크통신부 혹은 NB-IoT 통신 방식의 NB-IoT무선네트워크통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재난안전통신망으로서, 초고속통신망(LTE-M)을 구축하고 있으며, 정부 정책에 맞게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도 LTE-M 통신 방식의 LTE-M무선네트워크통신부로 구성하거나, NB-IoT 통신 방식의 NB-IoT무선네트워크통신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통신 방식은 고속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방식이 상용화된다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서비스 도입이 신속하게 이루질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LTE-CAT.M1 통신 방식의 LTE-CAT.M1무선네트워크통신부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치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통신망이 갈수록 고도화되고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각종 제어시스템에서는 현재 고도화되고 저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어 사용자들은 비싸고, 구축이 어려운 전용회선 통신망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제약이 따르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2000)는 LTE-M 통신 방식의 LTE-M무선네트워크통신부 혹은 NB-IoT 통신 방식의 NB-IoT무선네트워크통신부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임베디드 방식의 플랫폼을 탑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물인터넷(IoT) 무선 통신부(LTE-M, NB-IoT)를 통해 계측, 상태정보 및 이벤트 발생정보 등을 통신 프로토콜 형태로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의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와 통합모니터링서버(3000) 간의 통신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용수공급부(800)와 배수펌프(1000)와 초기우수배출밸브(130)와 저류조밸브(140)의 동작 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이벤트 발생시, 유선인터넷 또는 IoT 통신망(LTE-M 또는 NB-IoT)을 통해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를 통해 용수공급부(800)에 동작 제어 정보를 송출하게 되면, 해당 동작 제어에 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로 전송하게 됨으로써, 통합모니터링센터의 관리자가 현재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로부터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통신 두절 시간과 통신 재개 시간 사이에 존재하는 감지 정보를 빅데이터저장부(940)로부터 추출한 후, 추출된 감지 정보를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두절범위내감시정보생성부(9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두절범위내감시정보생성부(960)는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로부터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통신 두절 시간과 통신 재개 시간 사이에 존재하는 감지 정보를 빅데이터저장부(940)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통신 두절 시간이 2019년 3월 21일 오전 9시이며, 통신 재개 시간이 2019년 3월 21일 오전 10시일 경우에 해당 통신 두절 시간과 통신 재개 시간 사이에 존재하는 감지 정보를 빅데이터저장부(940)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는,
빗물재활용지도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빗물재활용지도맵DB;
상기 빗물재활용지도맵DB로부터 빗물재활용지도맵 정보를 획득하여 자율운영관리DB에 저장된 감지 정보로부터 해당 빗물 재활용을 위한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빗물재활용지도맵 상에 맵핑시켜 화면에 표출시키기 위한 빗물재활용지도맵위치표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빗물재활용지도맵DB에는 빗물재활용지도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되고, 상기 빗물재활용지도맵위치표출부는 상기 빗물재활용지도맵DB로부터 빗물재활용지도맵 정보를 획득하여 자율운영관리DB에 저장된 감지 정보로부터 해당 빗물 재활용을 위한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빗물재활용지도맵 상에 맵핑시켜 화면에 표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해당 빗물 재활용을 위힌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빗물재활용지도맵의 해당 위치에 맵핑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알람 발생 내역을 화면에 팝업시키고, 경고음이나 SMS(문자서비스)를 통해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는,
어느 한 빗물 재활용을 위한 시설물에 대한 선택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해당 빗물 재활용을 위한 시설물에 대한 감지 정보를 자율운영관리DB로부터 추출하여 화면에 표출시키기 위한 선택시설물감지정보표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ID:1-Storage tank'인 시설물인 저류조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저류조의 고유아이디를 추출하고, 고유아이디를 식별자로 하는 감지 정보를 자율운영관리DB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감지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감시수단으로서, 영상카메라부를 구성하게 되면, 저류조의 현재 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는,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로부터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획득하게 못할 경우에, 통신 두절로 판단하여 최종 응답신호를 받은 이후 체크 신호를 송출한 시간을 추출하며, 주기적으로 체크 신호를 제공하되,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시간을 추출한 후, 상기 최종 응답신호를 받은 이후 체크 신호를 송출한 시간과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시간까지의 구간에 존재하는 감지수단별 감지 정보를 요청하는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된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정보를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로 제공하기 위한 누락감지정보자동복구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락감지정보자동복구처리부는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와 주기적으로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획득하게 된다.
예를 들어, 5분 단위로 체크 신호를 송출하게 되며,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획득하게 되므로 이는 통신 정상 동작 상태가 된다.
그러나, 통신이 두절되게 되면, 최종 응답신호를 받은 이후 체크 신호를 송출한 시간을 추출하며, 주기적으로 체크 신호를 제공하되,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시간을 추출한 후, 상기 최종 응답신호를 받은 이후 체크 신호를 송출한 시간과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시간까지의 구간에 존재하는 감시수단별 감시 정보를 요청하는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2019년 2월 20일 오전 9시에 체크 신호를 송출하였는데,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획득하게 못할 경우에, 통신 두절로 판단하게 되어, 통신 두절 시작 시간은 2019년 2월 20일 오전 9시로 판단하게 된다.
이후, 5분 단위로 주기적으로 체크 신호를 제공하되,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시간을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2019년 2월 20일 오전 10시에 체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받게 되면, 이를 통신 재개 시간으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2019년 2월 20일 오전 9시부터 2019년 2월 20일 오전 10시까지의 시간 구간에 존재하는 감지수단별 감지 정보를 요청하는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해당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2000)로 제공하고, 해당 생성된 통신 자동 복구 이벤트 정보를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해당 통신 두절 시간과 통신 재개 시간 사이에 존재하는 감지수단별 감지 정보를 빅데이터저장부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즉, 수위계 1 - 5CM, 수위계 2 - 3CM 등과 같은 감지수단별 감지 정보를 추출하여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2000)로 제공하게 되고,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2000)를 통해 해당 감지수단별 감지 정보를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로 전송하여 자율운영관리DB에 저장된 해당 빗물 재활용을 위한 시설물의 고유아이디를 가지는 데이터 필드를 갱신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를 구성하여 IoT 및 CPS(Cyber Physical Systems, 사이버물리시스템) 기술을 적용하게 되어 센싱, 비교, 분석, 판단, 자율제어하고, 이벤트 발생시, 유선인터넷 또는 IoT 통신망(LTE-M 또는 NB-IoT)을 통해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통합모니터링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통합모니터링센터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로 하여금 빗물 재활용을 위한 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기존 관리자의 경험에 의한 운영에서 벗어나 관리자 없이 시스템 스스로 센싱하고 분석하여, 지능적 자동설정과 자율제어, 최적 운영을 보장하는 기술 고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5mm ~ 10mm 정도의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우수를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의해 1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제1저류부(300)에 의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제2저류부(500)에 의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상기 제2저류부의 유출측에 설치 구성된 제3배출관(600)과 연결된 우수관(20)으로 깨끗한 우수만을 배출시킴으로써,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모든 우수를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지 않기 때문에 하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한 별도의 증설이 필요없어 예산 절감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초기우수처리조
200 : 제1배출관
300 : 제1저류부
400 : 제2배출관
500 : 제2저류부
600 : 제3배출관
700 : 수분센서
800 : 용수공급부
900 :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
1000 : 배수펌프
1100 : 수위계

Claims (9)

  1.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유입되는 우수를 저장 보관하고, 유입된 우수중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해 1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고, 침전 여과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저류부(300)로 배출되도록 하는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우수 유입측이 초기우수처리조(1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저장된 침전 여과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1저류부(300)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배출관(200)과;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저장 보관하고, 저장 보관되는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2배출관(400)을 통해 제2저류부(500)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저류부(300)와;
    우수 유입측이 제1저류부(3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제2저류부(500)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배출관(400)과;
    상기 제1저류부(30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하여 저장 보관하고, 저장 보관되는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가 제3배출관(600)을 통해 우수관(2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저류부(500)와;
    우수 유입측이 제2저류부(500)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제2저류부(500)에 저장된 우수중 일정 수위 이상의 우수만이 우수관(20)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3배출관(600)과;
    토양의 수분율을 감지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로 감지된 수분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토양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분센서(700)와;
    상기 제1저류부(300) 내부 공간에 설치 구성되고,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를 조경 용수 혹은 청소 용수로 제공하기 위한 용수공급부(800)와;
    수분센서(700)로부터 제공된 토양의 수분율과 사전 저장된 임계치 수분율을 비교하여 수분센서(700)로부터 제공된 토양의 수분율이 임계치 미만의 수분율일 경우에 용수공급부(8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가 조경 용수 혹은 청소 용수로 제공되도록 하는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와;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저류부(300)와 제2저류부(500)에 각각 유입,유출되는 우수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부(1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분센서(700)와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와 유량계부(1200)에는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2000)를 구성하여 무선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물인터넷무선통신장치(2000)는 LTE-M 통신 방식의 LTE-M무선네트워크통신부와 NB-IoT 통신 방식의 NB-IoT무선네트워크통신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류부(300)는,
    상기 제1배출관(200)의 배출측에 형성되고, 초기우수처리조(10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2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한 후, 제1연결관(340)을 통해 1차저류조(320)로 여과 처리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유입집수정(310)과,
    상기 제1유입집수정(310)의 배출측에 형성되어 제1유입집수정(310)에서 배출되는 여과 처리된 우수를 저장하고, 제2연결관(350)을 통해 제1유출집수정(33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1차저류조(320)와,
    상기 1차저류조(320)의 배출측에 형성되어 1차저류조(32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하고, 제2배출관(40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는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1유입집수정(310)과 1차저류조(320)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340)과,
    1차저류조(320)와 제1유출집수정(330)을 연결하는 제2연결관(35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저류부(500)는,
    상기 제2배출관(400)의 배출측에 형성되고, 제1유출집수정(330)에서 배출된 우수에 대해 3차 이물질 침전 및 여과 처리한 후, 제3연결관(540)을 통해 2차저류조(520)로 여과 처리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유입집수정(510)과,
    상기 제2유입집수정(510)의 배출측에 형성되어 제2유입집수정(510)에서 배출되는 여과 처리된 우수를 저장하고, 제4연결관(550)을 통해 제2유출집수정(53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2차저류조(520)와,
    상기 2차저류조(520)의 배출측에 형성되어 2차저류조(52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저장하고, 제3배출관(600)으로 저장된 우수를 배출하는 제2유출집수정(530)과,
    제2유입집수정(510)과 2차저류조(520)를 연결하는 제3연결관(540)과,
    2차저류조(520)와 제2유출집수정(530)를 연결하는 제4연결관(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은,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내부 공간에 각각 설치 구성되는 배수펌프(1000)와 수위계(11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이 경우,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저장용량확보부(9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장용량확보부(920)는,
    외부로부터 일기 예보 정보를 획득하여 우천 예상시, 수위계(1100)로부터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예상 강우량과 현재 수위 정보를 비교하여 예상 강우량 대비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 상기 배수펌프(1000)를 동작시켜 초기우수처리조(100)와 제1유출집수정(330)과 제2유출집수정(530)에 저장된 우수를 배출시켜 저장 용량을 확보하며,
    이때,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배수펌프(1000)는 동작시, 초기우수처리조(100)의 우수를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유입집수정(310)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1유출집수정(3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배수펌프(1000)는 동작시, 제1유출집수정(330)의 우수를 제2배출관(400)을 통해 제2유입집수정(510)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유출집수정(5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배수펌프(1000)는 동작시, 제2유출집수정(530)의 우수를 제3배출관(600)을 통해 우수관(2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는,
    유입되는 우수 중 초기우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 여과시키는 필터부(110)와,
    필터부(110) 하측에 설치되어 슬러지가 여과된 유입 우수가 저장되는 우수보관통(120)과,
    상기 우수보관통(120)의 하측에 형성되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의 제어에 의해 열림 작동하여 일측에 연결된 오수관로(10)로 우수보관통(120)에 보관된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배출시키며, 설정 시간 경과후,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의 제어에 의해 닫힘 작동하는 초기우수배출밸브(130)와,
    상기 우수보관통(120)의 측면에 형성되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의 제어에 의해 상기 초기우수배출밸브(130)가 닫힘 작동시, 열림 작동하여 우수보관통(120)에 보관된 비점오염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우수를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저류부(300)로 배출되도록 하는 저류조밸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부(800)는,
    상기 제1저류부(300) 내부 공간에 설치 구성되어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제1저류부(300)에 저장된 우수가 분사노즐(820)로 공급되도록 동작하는 공급펌프(810)와,
    공급펌프(810)의 동작에 의해 공급된 우수가 조경 용수나 청소 용수로서 토양에 뿌려지도록 식물들의 주위에 설치 구성되는 분사노즐(8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부(1200)는,
    상기 초기우수처리조(100)의 유입측에 설치 구성되어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하기 위한 제1유량계(1210)와,
    상기 제1저류부(300)의 유입측에 설치 구성되어 제1저류부(300)의 제1유입집수정(310)에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하기 위한 제2유량계(1220)와,
    상기 제2저류부(500)의 유입측에 설치 구성되어 제2저류부(500)의 제2유입집수정(510)에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하기 위한 제3유량계(1230)와,
    상기 제2저류부(500)의 유출측에 설치 구성되어 제2저류부(500)의 제2유출집수정(530)에서 배출되는 우수량을 측정하여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로 제공하기 위한 제4유량계(1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상기 제1유량계(1210), 제2유량계(1220), 제3유량계(1230), 제4유량계(1240)로부터 측정된 우수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우수량정보수집부(930)와,
    상기 우수량정보수집부(930)를 통해 수집된 우수량 정보, 초기우수처리조(100)에 유입되는 우수량별 초기우수배출밸브(130)의 열림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빅데이터저장부(940)와,
    제1유량계(1210)로부터 우수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우수량 정보에 대응된 초기우수배출밸브(130)의 열림 시간을 빅데이터저장부(94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시간동안 초기우수배출밸브(130)를 열림 작동시켜 오수관로로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 우수를 배출시키고, 상기 열림 시간 경과 후, 초기우수배출밸브(130)를 닫힘 작동시킴과 동시에 저류조밸브(140)를 열림 작동시켜 비점오염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우수를 제1배출관(200)을 통해 제1저류부(300)로 배출되도록 하는 비점오염원배출제어부(9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8. 삭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재활용자율운영원격단말장치(RTU)(900)는,
    용수공급부(800)와 배수펌프(1000)와 초기우수배출밸브(130)와 저류조밸브(140)의 동작 제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이벤트 발생시, 유선인터넷 또는 IoT 통신망(LTE-M 또는 NB-IoT)을 통해 이벤트 발생 정보를 통합모니터링서버(30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KR1020190056014A 2019-05-14 2019-05-14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KR10202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014A KR102029651B1 (ko) 2019-05-14 2019-05-14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014A KR102029651B1 (ko) 2019-05-14 2019-05-14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651B1 true KR102029651B1 (ko) 2019-10-08

Family

ID=6820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014A KR102029651B1 (ko) 2019-05-14 2019-05-14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6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1468A (zh) * 2019-12-16 2020-04-17 中国民航大学 一种航站楼雨水回用装置
KR102256179B1 (ko) * 2021-01-12 2021-05-26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도시 빗물 순환 시스템
BE1028212B1 (nl) * 2020-04-15 2021-11-17 Van Laere Inrichting voor een buffersysteem voor het opvangen, opslaan en hergebruiken van regenwater
KR102586581B1 (ko) * 2023-04-10 2023-10-10 정창호 하수관로 스마트 악취, 침수위 측정 및 악취저감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759A (ko) 2004-11-30 2006-06-05 임재관 측면에 소거 수단을 구비한 보드마카
JP2008057187A (ja) 2006-08-30 2008-03-13 Toshiba Corp 雨水排水ポンプシステム
KR101227920B1 (ko) * 2012-06-01 2013-01-3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기 우수 배제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30013359A (ko) * 2011-07-28 2013-02-0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강우 예측을 이용한 물 재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4338B1 (ko) * 2012-05-09 2013-08-07 주식회사 씨에텍 초기우수처리 장치 및 초기우수처리 관리시스템
KR20170055355A (ko) * 2015-11-11 2017-05-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우수 저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759A (ko) 2004-11-30 2006-06-05 임재관 측면에 소거 수단을 구비한 보드마카
JP2008057187A (ja) 2006-08-30 2008-03-13 Toshiba Corp 雨水排水ポンプシステム
KR20130013359A (ko) * 2011-07-28 2013-02-06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강우 예측을 이용한 물 재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4338B1 (ko) * 2012-05-09 2013-08-07 주식회사 씨에텍 초기우수처리 장치 및 초기우수처리 관리시스템
KR101227920B1 (ko) * 2012-06-01 2013-01-3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기 우수 배제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70055355A (ko) * 2015-11-11 2017-05-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우수 저장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1468A (zh) * 2019-12-16 2020-04-17 中国民航大学 一种航站楼雨水回用装置
BE1028212B1 (nl) * 2020-04-15 2021-11-17 Van Laere Inrichting voor een buffersysteem voor het opvangen, opslaan en hergebruiken van regenwater
KR102256179B1 (ko) * 2021-01-12 2021-05-26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도시 빗물 순환 시스템
KR102586581B1 (ko) * 2023-04-10 2023-10-10 정창호 하수관로 스마트 악취, 침수위 측정 및 악취저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651B1 (ko)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KR101859669B1 (ko) 산업단지형 초기우수와 사고 유출수 분류시스템
KR101859666B1 (ko) 도시형 초기우수 분류시스템
KR101786494B1 (ko) 대규모 빗물 저류조의 유지 관리 시스템
KR101253532B1 (ko) 하수관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1859661B1 (ko)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CN107386418B (zh) 一种城市道路雨水回收再利用方法和系统
CN108803392A (zh) 一种海绵城市雨水收集与利用智慧系统
KR101050707B1 (ko)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KR102074874B1 (ko) IoT 센서를 이용한 우수관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관 모니터링 방법
KR20080029503A (ko) 도시통합운영센터와 유무선 통신망 기반 하수도 시설물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078773B1 (ko)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CN102080647A (zh) 一种雨水泵站监控系统
KR101744938B1 (ko) 비점 오염 초기 우수 처리시스템
CN106835971A (zh) 一种立交桥雨水回收系统及其安装方法
KR101096768B1 (ko) 빗물이용장치
KR20190103033A (ko) 도시 물순환 터미널을 이용한 비산 미세먼지 감축시스템
CN107152053A (zh) 一种雨水收集处理控制方法
CN106020034A (zh) 一种市政污水管道淤堵自动检测方法
CN111208778A (zh) 一种智慧雨水调蓄池监控系统及监控方法
CN207392409U (zh) 一种多功能型截流井系统
KR20120138973A (ko) 하수관거 유량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8331129A (zh) 海绵城市雨水净化收集系统及雨水处理方法
CN105735423A (zh) 一种消防给水排水系统
KR101226981B1 (ko) 하수 월류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