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661B1 -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661B1
KR101859661B1 KR1020170123906A KR20170123906A KR101859661B1 KR 101859661 B1 KR101859661 B1 KR 101859661B1 KR 1020170123906 A KR1020170123906 A KR 1020170123906A KR 20170123906 A KR20170123906 A KR 20170123906A KR 101859661 B1 KR101859661 B1 KR 101859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gate
wastewater treatment
treatment pla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율
안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
(주) 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 (주) 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
Priority to KR1020170123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C구조형 차집맨홀에 하천으로 우수를 제공하는 하천연결관(670)에 맨홀에 저장된 우수를 제공하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구성하고,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5mm ~ 10mm 정도의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210)으로 제공하는 폐수관(200)으로 맨홀에 저장된 초기 우수를 제공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구성하고,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를 구성하고, PC구조형 차집맨홀 내부에 디지털물감지센서를 구성하며,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수위 정보에 따라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RTU를 구성함으로써,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5mm ~ 10mm 정도의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으로 보내고, 이후 맑은 우수는 하천으로 방류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모든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으로 보내지 않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한 별도의 증설이 필요없어 예산 절감 효과를 제공하며, 오폐수처리장으로 보낼 초기 우수를 관리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와 하천으로 보낼 맨홀에 저장된 우수를 관리하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를 RTU를 통해 제어할 수 있는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Initial precipitation treatment unit with Non-point Source Pollutants}
본 발명은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C구조형 차집맨홀에 하천으로 우수를 제공하기 위한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구성하고,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5mm ~ 10mm 정도의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210)으로 제공하기 위한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구성하고,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를 구성하고, PC구조형 차집맨홀 내부에 디지털물감지센서를 구성하며,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수위 정보에 따라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RTU를 구성함으로써,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우수(최초 강우시 5mm ~ 10mm 정도의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으로 보내고, 이후 맑은 우수는 하천으로 방류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모든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으로 보내지 않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한 별도의 증설이 필요 없어 예산 절감 효과를 제공하며, 오폐수처리장으로 보낼 초기 우수를 관리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으로 보낼 맨홀에 저장된 우수를 관리하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를 RTU를 통해 제어할 수 있는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점오염원이란 일반적으로 비특정 오염원, 면오염원, 이동오염원이라고도 한다.
점오염원이 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진 것과는 달리 비점오염원이란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장소 또는 지역을 가리킨다.
비점오염물질은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식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자연동식물의 잔여물, 대기오염물질 등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원에서 유출되는 초기우수는 다양한 오염물질, 세균, 박테리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미래에는 점점 더 다양하고 고농도인 오염물질이 배출될 것이다.
이러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은 크게 자연형 시설과 장치형 시설로 구분된다.
장치형 시설은 와류형, 스크린형, 여과형 등으로 나뉘어 지는데, 이러한 장치형 시설은 우수관로 중간에 설치하고, 강우시 우수유출수가 유입되어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유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장치형 시설은 우수관로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대부분 지하에 설치되어야 하며, 시설의 바닥에 포집된 오염물질은 주기적으로 진공청소차로 흡입하여 준설하여야 한다.
주기적인 준설에는 작업차량과 많은 인력이 소요되고, 청소주기를 놓칠 경우 포집된 오염물질이 부패하거나 연이은 강우에 의해 씻겨나가게 되어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역할이 무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부하의 규모는 하천과 호소의 부영양화를 야기하는 오염물질인 질소(N)와 인(P)이 전체 오염부하 중에서 각각 75%와 50%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은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정부의 상수원 관리와 하천정화사업추진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 비점오염물질은 합류식 하수관거를 통해 유출되는 합류식 하수관거 유출수(CSOs)와 도로, 보도, 주차장 등에서 발생하여 우수관을 통해 유출되는 지표 유출수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인구 과밀화에 따른 교통량 증가와 불투수층 증가로 강우시 고농도 고유량이 단시간에 하천으로 유입된다.
이로 인하여 어류 폐사 및 악취 등이 발생하고 그 결과 생태용수, 친수용수로 활용되어야 할 하천수가 그 기능을 상실하여 하천 생태환경이 파괴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하천 수질 및 하천 생태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오염하천정화와 강우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동시에 처리하여야 한다.
한편, 도시지역이나, 산업단지, 도로 등에서 발생하는 비점 오염 물질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비점오염관리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은 상당한 비용과 설비 자체가 복잡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맨홀을 이용한 비점 오염 분류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즉, 맨홀의 경우에는 일정 간격으로 도시지역이나, 산업단지, 도로 등에 다량으로 설치 구성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맨홀은 지하에 설치된 각종 관로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하여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을 가리키는 총칭이며, 이러한 맨홀은 각종 하수나 생활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로 또는 각종 전기통신을 위한 관로의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종래의 맨홀은 거푸집을 형성하고 시멘트를 직접 시공하는 방법과 KS에 의하여 규격화된 각 구성품을 조립하여 시공하는 두 가지의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지만, 공사 기간과 그에 따른 소요비용으로 인해 KS규격에 맞춘 기성제품을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하부구체 위로 연직구체 및 상부구체를 올려놓는 방식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를 PC구조형 차집맨홀이라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맨홀이 매설되는 깊이에 따라 하부구체의 상단에 올려지는 연직구체를 단계적으로 죄면서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조립식 맨홀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하부구체와 연직구체 및 상부구체 사이에 삽입되어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패킹의 위치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맨홀을 통해 수많은 오염 물질이 유입되게 되어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자연동식물의 잔여물, 대기오염물질 등이 축적되게 되어 맨홀 내부에서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맨홀에 유입되는 오염 물질을 포함한 우수들을 주기적으로 관리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맨홀을 활용한 비점 오염을 분류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개선하고자 본 발명을 고안하게 된 것이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34호(2011.01.13) (선행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14063호(2008.03.10) (선행문헌3)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103269호(2011.12.3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PC구조형 차집맨홀에 하천으로 우수를 제공하기 위한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구성하고,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5mm ~ 10mm 정도의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210)으로 제공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구성하고,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를 구성하고, PC구조형 차집맨홀 내부에 디지털물감지센서를 구성하며,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수위 정보에 따라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RTU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PC구조형 차집맨홀에 설치 구성된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수위 신호를 획득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거나, 이전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 발생시점까지의 기간에 비례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는 RTU(700)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구성된 모터의 권선 저항값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모터가 정상 상태인지, 비정상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비정상 상태일 경우에 이벤트 정보를 사전에 관리자에게 알려주어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구성된 모터 사고에 따른 2차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복수 개의 PC구조형 차집맨홀에 설치 구성된 디지털물감지센서(400)에 무선통신부를 구성하고, RTU(700)에 복수 개의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수위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중앙무선통신부를 구성함으로써, 중앙 집중식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중앙무선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의 제어를 위하여 태양광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평소 태양광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태양광축전부를 구성하여 이에 따른 그린에너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오폐수처리장(210)에 구성된 오폐수처리용량관리단말기와 통신하여 현재 오폐수 처리용량 정보를 획득하여 초기 우수 배출시, 처리용량 한계에 도달하는 지를 분석하여 처리용량 한계에 도달될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개방을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킴으로서, 처리용량 한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는,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 형성되어 우수를 PC구조형차집맨홀(300)로 유입시키기 위한 우수관(100)과,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 형성되어 폐수를 오폐수처리장(210)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폐수관(200)과,
상기 우수관과 연결되어 우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보관하며, 하부체(310)와 중간체(320) 및 상부체(330)를 조립하여 형성되는 PC구조형 차집맨홀(300)과,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에 설치 구성되어 수위를 측정하여 RTU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물감지센서(400)와,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배출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RTU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을 개방 혹은 폐쇄시키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의 타측에 형성되어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배출하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과,
RTU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을 개방 혹은 폐쇄시키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와,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400)로부터 감지된 수위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켜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제공하며, 설정된 시간 경과시에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폐쇄시킨 후,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시켜 PC구조형 차집맨홀에 보관되어 있는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제공하여 하천으로 유입시키는 RTU(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에 의하면,
PC구조형 차집맨홀에 하천으로 우수를 제공하기 위한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구성하고,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5mm ~ 10mm 정도의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210)으로 제공하기 위한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구성하고,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를 구성하고, PC구조형 차집맨홀 내부에 디지털물감지센서를 구성하며,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수위 정보에 따라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RTU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설치 구성된 맨홀이나, 새롭게 설치 구성될 PC구조형 차집맨홀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맨홀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맨홀에 IoT 기술의 융복합에 따른 맨홀의 확장 기능 제공과 모든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으로 보내지 않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한 별도의 증설이 필요없어 예산 절감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PC구조형 차집맨홀에 설치 구성된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수위 신호를 획득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거나, 이전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 발생시점까지의 기간에 비례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는 RTU(700)를 제공함으로써, 현장 여건에 따라 수문(또는 밸브)의 개방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구성된 모터의 권선 저항값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모터가 정상 상태인지, 비정상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비정상 상태일 경우에 이벤트 정보를 사전에 관리자에게 알려주어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구성된 모터 사고에 따른 2차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복수 개의 PC구조형 차집맨홀에 설치 구성된 디지털물감지센서(400)에 무선통신부를 구성하고, RTU(700)에 복수 개의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수위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중앙무선통신부를 구성함으로써, 중앙 집중식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중앙무선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의 제어를 위하여 태양광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평소 태양광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태양광축전부를 구성하여 이에 따른 그린에너지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오폐수처리장(210)에 구성된 오폐수처리용량관리단말기와 통신하여 현재 오폐수 처리용량 정보를 획득하여 초기 우수 배출시, 처리용량 한계에 도달하는 지를 분석하여 처리용량 한계에 도달될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개방을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킴으로서, 처리용량 한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에 적용되는 PC구조형 차집맨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에 적용되는 PC구조형 차집맨홀에 형성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에 적용되는 PC구조형 차집맨홀에 형성되는 디지털물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에 적용되는 PC구조형 차집맨홀에 형성되는 디지털물감지센서와 RTU 간에 통신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의 RTU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의 RTU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의 복수개의 PC구조형 차집맨홀과 중앙에 구성되는 RTU 및 오폐수처리용량관리단말기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는,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 형성되어 우수를 PC구조형 차집맨홀(300)로 유입시키기 위한 우수관(100)과,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 형성되어 폐수를 오폐수처리장(210)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폐수관(200)과,
상기 우수관(100)과 연결되어 우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보관하며, 하부체(310)와 중간체(320) 및 상부체(3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PC구조형 차집맨홀(300)과,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에 설치 구성되어 차집맨홀에 유입된 우수의 수위값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위값을 RTU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물감지센서(400)와,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배출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RTU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 혹은 폐쇄시키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의 타측에 형성되어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배출하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과,
RTU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 혹은 폐쇄시키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와,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400)로부터 제공된 수위값이 설정된 수위값인 경우에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켜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제공하고,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개방 후 설정된 시간 경과시에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폐쇄시킨 후,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시켜 PC구조형 차집맨홀에 보관되어 있는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제공하여 하천으로 유입시키는 RTU(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는,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 형성되어 우수를 PC구조형 차집맨홀(300)로 유입시키기 위한 우수관(100)과,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 형성되어 폐수를 오폐수처리장(210)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폐수관(200)과,
상기 우수관(100)과 연결되어 우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보관하며, 하부체(310)와 중간체(320) 및 상부체(3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PC구조형 차집맨홀(300)과,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에 설치 구성되어 차집맨홀로 유입된 우수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RTU로 제공하기 위한 오염측정장치(900)와,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배출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RTU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 혹은 폐쇄시키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의 타측에 형성되어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배출하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과,
RTU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 혹은 폐쇄시키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와,
상기 오염측정장치(900)로부터 측정되어 제공되는 오염도가 설정된 오염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켜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제공하고,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개방 후 오염측정장치(800)로부터 측정되어 제공되는 오염도가 설정된 오염도 이하가 되면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폐쇄시킨 후,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시켜 PC구조형 차집맨홀에 보관되어 있는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제공하여 하천으로 유입시키는 RTU(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은 저수조(580)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400)는,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공기구멍(410);
어느 한 공기구멍과 다른 공기구멍 사이에 공기구멍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물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물구멍(420);
외면 내부에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전극봉(430);
상기 전극봉의 일측에 연결되어 측정된 수위값을 RTU(700)로 제공하기 위한 수위측정처리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400)에서 수위를 측정하는 부분인 전극봉(430)은,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전극봉(431);
상기 제1전극봉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제1전극봉의 길이보다 길도록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전극봉(432);
상기 제2전극봉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제2전극봉의 길이보다 길도록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3전극봉(4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RTU(700)는,
디지털물감지센서(400)로부터 획득한 수위값이 설정된 수위값인 경우에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켜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1개방신호제공부(705);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개방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제1개방시간설정부(710);
상기 제1개방시간설정부(710)에 의해 계산된 개방 시간 경과시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폐쇄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1폐쇄신호제공부(715);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이 폐쇄된 후,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시켜 PC구조형 차집맨홀에 보관되어 있는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개방신호제공부(720);
상기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제2개방시간설정부(725);
상기 제2개방시간설정부(725)에 의해 계산된 개방 시간 경과시에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2폐쇄신호제공부(730);
제1개방시간설정부(710)와 제2개방시간설정부(725)가 개방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초기우수관리디비(7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RTU(700)의 제1개방시간설정부(710)는,
현재 수집맨홀에 유입된 초기우수량과 수문(또는 밸브)로을 통해 배출되는 초기우수량의 관계를 참조하여 개방시간을 계산하거나, 이전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 발생시점까지의 기간을 참조하여 개방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RTU(700)는 강우감지센서(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강우감지센서(800)에 의해 획득된 강우량값이 설정된 강우량값 이상인 경우에 즉시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RTU(700)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구성된 모터의 출력 전류값을 측정하기 위한 출력전류계측부(750);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구성된 모터의 출력전류 기준값 범위 정보,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또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의 모터 출력 전류값이 기준값 범위 미만임을 알리는 이벤트 정보,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또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의 모터 출력전류값이 기준값 범위 초과임을 알리는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류값정보저장부(755);
상기 전류값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출력전류 기준값 범위와 상기 측정된 출력전류값을 비교 판단하기 위한 전류값비교부(760);
상기 전류값비교부의 비교 판단 결과가 측정된 출력전류값이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이벤트 정보를 전류값정보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모터를 관할하는 담당자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정보송출부(76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400)가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RTU(700)는,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수위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중앙무선통신부;
중앙무선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의 제어를 위하여 태양광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평소 태양광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태양광축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RTU(700)는,
오폐수처리장(210)에 구성된 오폐수처리용량관리단말기와 통신하여 현재 오폐수 처리용량 정보를 획득하여 처리용량 한계에 도달하는 지를 분석하고 처리용량 한계에 도달될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개방을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키기 위한 개방시간지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RTU(700)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10-1017746호인 지능형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10-1237524호인 수리시설물 물관리자동화시스템의 다입력에 대한 화면 표출시스템, 1219192호인 오지 수리시설물의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10-0921749호인 통합 물관리자동화시스템 등에 접목되어 있는 지능형 원격제어장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서 물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일반적인 물관리 자동화시스템을 의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우수를 감지하여 수문(또는 밸브) 개폐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동작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인은 이를 RTU라 정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비점오염원이란 일반적으로 비 특정 오염원, 면 오염원, 이동 오염원이라고 명명되는 오염원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초기우수란 최초 강우시 초기 5 ~10mm 정도의 빗물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는, 크게, 우수관(100)과, 폐수관(200)과, PC구조형 차집맨홀(300)과, 디지털물감지센서(400)와,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과,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와, RTU(7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하수도는 오염된 생활하수와 우수를 각각 다른 관로를 사용하여 빗물은 하천으로 보내고, 오염된 생활하수는 하수처리장으로 보내고 있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기 위하여 비점 오염 저감 시설을 추가로 기존 관로에 증설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비용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감 시설을 증설할 필요없이 기존에 설치 구성되는 시설물들을 이용하여 비점 오염을 분류 시킬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이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일정 간격마다 일반적으로 설치 구성되어 있는 맨홀을 이용한 IoT 기반의 비점오염 분류 장치를 고안하게 된 것이다.
초기 5 ~10mm 정도의 빗물은 오염 물질 농도가 높아 곧바로 하천으로 보낼 경우에 하천의 심각한 오염을 초래하게 되므로 본 발명은 PC구조형 차집맨홀과 RTU를 이용하여 초기 우수(초기 5 ~10mm 정도의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을 용이하게 분류시키는 것을 기본적 기술사상으로 하며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우수관(100)은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 형성되어 우수를 PC구조형차집맨홀(300)로 유입시키는 관로를 의미한다.
그리고, 폐수관(200)은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 형성되어 폐수를 오폐수처리장(210)으로 유입시키는 관로를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의 PC구조형 차집맨홀(3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수관(100)과 연결되어 우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보관하며, 하부체(310)와 중간체(320) 및 상부체(3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는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서 유입되는 각종 오염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초기 우수에 오염의 정도가 심하다.
종래의 맨홀은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고우수관을 통해 유입된 오염원을 포함하는 우수를 단순히 일정량 저장만 하기 때문에 우수에 포함된 오염 물질에 의한 유독 가스 발생 등으로 맨홀 점검자의 각종 인명 사고를 야기시키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속적으로 초기 우수를 관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독 가스의 발생을 차단하면서 동시에 오염 물질을 주기적으로 맨홀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깨끗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는 IoT 기반의 비점오염 분류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400)는 PC구조형 차집맨홀에 설치 구성되어 수위값을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RTU(7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위값을 RTU(700)로 제공하기 위하여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신호를 주고받게 된다.
또한, 상기한 PC구조형 차집맨홀(300) 내부에 디지털물감지센서(4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내부에 위치시켜 PC구조형 차집맨홀로 유입되는 오염 물질로 인한 오동작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400) 대신 오염측정장치(9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RTU(700)에 의한 수문(또는 밸브) 개폐 제어시 RTU(700)로 수문(또는 밸브) 개폐에 필요한 정보를 디지털물감지센서(400) 또는 오염측정장치(900)가 제공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PC구조형 차집맨홀(300)의 어느 일측에 형성시켜 초기 우수를 RTU(700)의 제어에 따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은 기존 맨홀에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직접 설치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일측이 맨홀의 수문(또는 밸브)를 밀폐시키도록 구성하고, 타측에 오폐수처리장의 유입관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는 RTU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 혹은 폐쇄 시키게 되는데, 제어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RTU와 상호 신호를 주고받게 된다.
또한,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PC구조형 차집맨홀의 타측에 형성시켜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이때,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는 RTU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 혹은 폐쇄 시키게 되는데, 제어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RTU와 상호 신호를 주고받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PC구조형 차집맨홀(300)에 오폐수처리장으로 초기 우수를 배출하는 수문(또는 밸브)인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하천으로 초기 우수가 걸러진 깨끗한 우수를 제공하는 수문(또는 밸브)인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구성하고, 상기 수문(또는 밸브)들의 개방과 폐쇄를 수행하는 개폐기(550,650)를 구성하고, 상기 개폐기를 현장 혹은 원격지에 구성된 RTU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오염원을 포함하고 있는 초기우수의 효율적 관리와 맨홀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맨홀에 IoT 기술의 융복합에 따른 맨홀의 확장 기능 제공과 우수 중 오염원을 포함하고 있는 초기 우수만을 오폐수처리장으로 보내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한 별도의 증설이 필요 없어 예산 절감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맨홀 기반의 IoT 기술을 융복합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RTU(7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맨홀의 주변에 설치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맨홀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여 하나의 그룹당 설치 구성하여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현장 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TU(700)는 디지털물감지센서(400)로부터 획득한 수위값이 설정된 수위값에 이르면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켜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설정된 수위값이란 초기 우수를 판단하기 위한 수위값으로 예를 들어 설정된 수위값이 1M인 경우, 차집맨홀(300)로 유입되어 저장되어 있는 우수의 수위가 1M까지의 우수를 초기 우수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차집맨홀(300)의 수위가 1M가 되면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켜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유출 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설정된 수위값은 설치된 PC구조형 차집맨홀(300)의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A인 PC구조형 차집맨홀(300)의 밑 면적 크기가 A㎡, B인 PC구조형 차집맨홀(300)의 밑 면적 크기가 B㎡ 인 경우(A>B), 초기 우수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된 수위값은 A 차집맨홀과 B 차집맨홀에서 달라져야 한다.
왜냐하면, 상기 예에서 동일한 수위를 기준으로 A 차집맨홀에 유입되어 저장되어 있는 우수의 양이 B 차집맨홀에 유입되어 저장되어 있는 우수의 양보가 많기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설정된 수위값은 각 PC구조형 차집맨홀(300)의 용량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값으로 각 PC구조형 차집맨홀(300)별로 설정되는 값이다.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이 개방된 이후, 설정된 시간 경과시에 예를 들어, 30분 뒤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폐쇄시킨 후,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시켜 PC구조형 차집맨홀에 보관되어 있는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제공하여 하천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상기 설정된 시간은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시간 값이다.
예를 들어, A인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수문(또는 밸브) 면적 크기가 A㎡, B인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수문(또는 밸브) 면적 크기가 B㎡ 인 경우(A>B), 상기 수문(또는 밸브)들을 통해 배출되는 단위시간당 초기 우수량은 다르다.
즉, 차집맨홀에 저장된 초기 우수량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A인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를 통해 단위 시간당 배출되는 초기 우수량이 B인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통해 단위 시간당 배출되는 초기 우수량보다 많다.
따라서 상기 설정된 시간은 각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통해 단위 시간당 배출되는 초기 우수량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RTU(700)는,
디지털물감지센서(400)로부터 획득한 수위값이 설정된 수위값인 경우에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켜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1개방신호제공부(705);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개방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제1개방시간설정부(710);
상기 제1개방시간설정부(710)에 의해 계산된 개방 시간 경과시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폐쇄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1폐쇄신호제공부(715);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이 폐쇄된 후,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시켜 PC구조형 차집맨홀에 보관되어 있는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개방신호제공부(720);
상기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제2개방시간설정부(725);
상기 제2개방시간설정부(725)에 의해 계산된 개방 시간 경과시에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2폐쇄신호제공부(730);
제1개방시간설정부(710)와 제2개방시간설정부(725)가 개방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초기우수관리디비(7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초기우수관리디비(735)에 저장된 제1개방시간설정부(710)와 제2개방시간설정부(725)가 개방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란 차집맨홀의 수위별 우수 저장량 정보,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즉, 제1개방시간설정부(710)는 초기우수관리디비(735)에 저장된 차집맨홀의 수위별 우수 저장량 정보와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 정보를 이용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개방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개방 시간 동안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이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1개방신호제공부(705)와 제1폐쇄신호제공부(715)가 개방 신호 및 폐쇄 신호를 각각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계산된 개방 시간은 설정된 수위(예: 1M)에 해당하는 우수 저장량이 모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통해 배출되기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개방시간설정부(710)는 이전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 발생시점까지의 기간을 참조하여 개방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우수관리디비(735)에는 이전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 발생시점까지의 기간정보가 추가적으로 저장된다.
만약, 이전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 발생시점까지의 기간이 설정된 기간(예 : 6개월, 7개월 등)을 초과하는 경우 계산된 개방시간에 설정된 추가 시간을 더하여 최종 개방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오랜 기간 강우가 없다가 강우가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경우보다 더욱 높은 오염도를 갖는 초기 우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개방시간에 추가적인 시간을 고려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개방시간을 연장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물감지센서(400) 대신 오염측정장치(900)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RTU(700)는,
오염측정장치(900)로부터 획득한 오염도가 설정된 오염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켜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1A개방신호제공부(705A);
오염측정장치(900)로부터 획득한 오염도가 설정된 오염도 미만인 경우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폐쇄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1A폐쇄신호제공부(715A);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이 폐쇄된 후,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시켜 PC구조형 차집맨홀에 보관되어 있는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A개방신호제공부(720A);
상기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제2A개방시간설정부(725A);
상기 제2A개방시간설정부(725A)에 의해 계산된 개방 시간 경과시에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2A폐쇄신호제공부(730A);
제2A개방시간설정부(725A)가 개방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초기우수관리디비(735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초기우수관리디비(735A)에 저장된 제2A개방시간설정부(725A)가 개방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란 차집맨홀의 수위별 우수 저장량 정보,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즉, 제2A개방시간설정부(725A)는 초기우수관리디비(735A)에 저장된 차집맨홀의 수위별 우수 저장량 정보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 정보를 이용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개방시간 동안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이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제2A개방신호제공부(720A)와 제2A폐쇄신호제공부(730A)가 개방 신호 및 폐쇄 신호를 각각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에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계산된 개방 시간은 설정된 수위(예: 1M)에 해당하는 우수 저장량이 모두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통해 배출되기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에 있어서,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은 저수조(580)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맨홀이 형성된 지역이 산업단지 주변이라면 오염 물질에 인체에 해로운 유해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1차적으로 여과하는 역할을 하는 저수조를 통해, 초기 비점 오염을 1차적으로 여과시켜 오폐수처리장으로 제공함으로써, 오폐수처리장의 여과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 대신에 형성되는 저수조(580)는 하방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경사면 하단에 여과재를 구성하여 여과재를 통해 이물질이나 오염물질들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저수조(580)는 초기 우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기 위한 필터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재는 예를 들어, 자갈, 모래, 제올라이트, 활성탄, 쇄석 등과 같은 여과재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지털물감지센서(4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물감지센서(400)는,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공기구멍(410);
어느 한 공기구멍과 다른 공기구멍 사이에 공기구멍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물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물구멍(420);
외면 내부에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전극봉(430);
상기 전극봉의 일측이 연결되어 감지된 수위 신호를 RTU(700)로 제공하기 위한 수위측정처리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디지털물감지센서는 예를 들어, 원형 봉 형상의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공기구멍(410)을 다수 형성하게 된다.
이때, 물구멍(420)을 어느 한 공기구멍과 다른 공기구멍 사이에 공기구멍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시켜 물의 흐름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원형 봉 형상의 외면 내부에는 길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전극봉(430)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디지털물감지센서의 상측에는 전극봉의 일측이 연결되어 감지된 수위 신호를 RTU(700)로 제공하기 위한 수위측정처리부(440)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물구멍(420)은, 원활한 유속 흐름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평하게 외면 둘레에 각각 형성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초기 우수의 오염 물질에 의한 수위 감지 오동작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물구멍과 B 물구멍을 동일한 수평선 상에 형성시키게 되면, 원활한 유속 흐름을 제공하게 되어 수위 감지 오동작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RTU(700)는,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수위 신호를 획득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수위신호시간비례수문개방시간설정부(740);
이전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 발생시점까지의 기간에 비례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는 발생시점비례수문개방시간설정부(74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수위신호시간비례수문개방시간설정부(7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수위 신호를 획득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며, 수위 도달시간에 따른 수문의 개방 시간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발생시점비례수문개방시간설정부(745)는 이전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 발생시점까지의 기간에 비례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즉, 이전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 발생시점까지의 기간이 길수록 비례하여 수문(또는 밸브)의 개방 시간도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전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발생시점까지의 일자를 D라고 할 때, D값에 따라 수문(또는 밸브)의 개방시간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2017년 9월 5일 강우가 발생하여 수문(또는 밸브)를 개방한 시점을 D1이라 할 때, 다음 강우가 발생한 2017년 9월 16일을 D2, 2017년 9월 22일을 D3, 2017년 9월 24일을 D4라 한다면, 'D1 ~ D2의 기간은 11일 →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개방시간 2분 -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 개방시간 5분, D2 ~ D3의 기간은 6일 →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개방시간 1분 -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 개방시간 3분, D3 ~ D4의 기간은 2일 → 수문(또는 밸브)을 개방하지 않는다.'와 같이 기간에 비례하여 PC구조형 차집맨홀(300)에 구성된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발생시점까지를 △D라 한다면, △D < 5 이면 수문(또는 밸브) 개방시간 0초, 5 ≤ △D < 10 이면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개방시간 1분 -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 개방시간 3분, 10 ≤ △D < 20 이면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개방시간 2분 -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 개방시간 5분으로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D에 따른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시간 값은 현장여건에 따라 설정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우수가 초기 5 ~ 10mm 우수인지를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그리고, 2일 전에 5mm의 강우가 내리고 오늘 5mm의 강우가 내리는 연속성 강우에 있어서도 매번 초기 5mm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으로 보낼 것인가, 하천으로 연결된 우수관에서 초기 5mm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으로 어떻게 보낼 것인가를 해결하기 위하여 RTU를 구성한 것이며, 이때, RTU(700)는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수위 신호를 획득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거나, 이전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 발생시점까지의 기간에 비례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는 특징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RTU(700)는,
상측에 강우감지센서(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강우감지센서에 의해 획득되 강우량값이 설정된 강우값 이상인 경우에 즉시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구조형차집맨홀(300)에 구성된 디지털물감지센서는 호우 발생시, 어느 정도 우수가 보관되어 있어야만 동작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RTU(700)에서 이를 획득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도 있기 때문에 집중 호우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RTU(700)에 강우감지센서(800)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획득된 강우값이 설정된 강우값 이상인 경우(폭우나 집중호우시) 즉시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RTU(700)의 부가적인 양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RTU(700)는 제1,2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추가적으로 출력전류계측부(750), 전류값정보저장부(755), 전류값비교부(760), 이벤트정보송출부(76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에 구성된 모터의 권선 저항값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모터가 정상 상태인지, 비정상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비정상 상태일 경우에 이벤트 정보를 사전에 관리자에게 알려주어 모터 사고에 따른 2차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강우가 있기 전에 주기적으로 모터를 동작시켜 평상시에 이를 관리하거나, 모터를 동작시키는 상황이 오면 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출력전류계측부(750)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구성된 모터의 권선 저항값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전류값정보저장부(755)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구성된 모터의 권선 저항값에 대한 기준 출력 전류값 범위정보, 측정된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또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의 출력 전류값이 기준값 범위 미만임을 알리는 이벤트 정보, 측정된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또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의 출력 전류값이 기준값 범위 초과임을 알리는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하기의 표 1은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구성된 모터의 출력 전류값의 기준값 범위, 기준값 범위 미만일 경우에 모터의 이벤트 정보, 기준값 범위 초과일 경우에 모터의 이벤트 정보가 저장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기준값 범위 정상유무 비정상시 이벤트 정보 담당자정보
20~25mA 미만 비정상 단락 010-123-4567
20~25mA 정상 -
20~25mA 초과 비정상 단선 010-123-4567
상기 전류값비교부(760)는 전류값정보저장부(755)에 저장된 모터의 출력전류 기준값 범위(권선 저항에 대한 출력 전류값 범위)와 측정된 모터의 출력전류값을 비교하여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기준값 범위를 충족하게 되면, 정상 상태이므로 이벤트 정보를 발생하지 않게 되고 기분값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해당 이벤트정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기준치를 벗어나면 비정상적인 상황으로서 예를 들어 단락 또는 단선일 수 있다.
관리자가 이벤트 정보를 받으면 바로 현장에 방문하여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정보송출부(765)는 전류값비교부의 비교 결과가 기준값범위를 벗어나면, 해당 이벤트 정보를 전류값정보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모터를 관할하는 담당자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15Ω이라는 R 결선의 측정 저항값의 아날로그 신호값이 20mA일 경우에, 정상이므로 이벤트 정보를 생성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15Ω이라는 R 결선의 저항값에 대한 출력전류값이 15mA이면, 비정상을 의미하게 되고, 이때 단락이 발생하였다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이벤트 정보 즉, 단락이 발생하였다는 중요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정보를 담당자단말기로 송출하게 된다.
반대로, 15Ω이라는 R 결선의 저항값에 대한 출력전류값이 30mA이면, 비정상을 의미하게 되고, 이때 예를 들어 단선이 발생하였다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이벤트 정보 즉, 단선이 발생하였다는 중요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정보를 담당자단말기로 송출하게 된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400)에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는 IoT 기반의 정보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며, 이때, RTU(700)는,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수위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중앙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디지털물감지센서들과 하나의 RTU가 서로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되며, RTU에서는 자신이 관장하는 영역 내의 모든 맨홀들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RTU도 마찬가지로 복수 개로 구성하여 광역을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수집된 빅데이터를 토대로 가장 최적의 수문(또는 밸브) 개방 시간을 지역별로 설정하여 전자동으로 초기 비점 오염을 분류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RTU(700)는 중앙무선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의 제어를 위하여 태양광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평소 태양광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태양광축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소 맑은 날씨에 태양광을 통해 태양광축전부에 전기를 축적하였다가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의 제어시 태양광축전부에 저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태양에너지를 활용한 녹색에너지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전력과 인력의 소요를 줄여 더욱 획기적으로 관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부가적인 양태에 따라, 상기 RTU(700)는,
오폐수처리장(210)에 구성된 오폐수처리용량관리단말기와 통신하여 현재 오폐수 처리용량 정보를 획득하여 처리용량 한계에 도달하는 지를 분석하여 처리용량 한계에 도달될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개방을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키기 위한 개방시간지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오폐수처리장(210)에는 오폐수의 처리 용량을 관리하는 오폐수처리용량관리단말기가 일반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개방시간지연부에 의해 오폐수처리용량관리단말기와 통신하여 현재 오폐수 처리용량 정보를 획득하여 초기 우수 배출시, 처리용량 한계에 도달하는 지를 분석하여 처리용량 한계에 도달될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개방을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하여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17년 9월 5일 오전 11시에 처리가 가능한 용량이 10톤이라면, 어느 한 RTU에서 관리하는 맨홀이 10개이며, 한 개의 맨홀에서 2분 동안 배출되는 양이 1톤으로 가정하자면, 만약 10개의 맨홀에 개방 신호를 주게 되면 처리용량 한계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개방시간지연부에 의해 10분 후 개방하라는 지연 신호를 중앙제어부로 송출하게 되며, 중앙제어부에서는 10분을 카운터한 후 개방 신호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RTU는 각각의 맨홀별 개방 지연 시간을 달리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처리용량 한계치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초기 우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PC구조형 차집맨홀에 하천으로 우수를 제공하는 하천연결관(670)에 맨홀에 저장된 우수를 제공하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구성하고,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초기 5mm ~ 10mm 정도의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210)으로 제공하는 폐수관(200)으로 맨홀에 저장된 초기 우수를 제공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구성하고,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를 구성하고, PC구조형 차집맨홀 내부에 디지털물감지센서를 구성하며,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 정보를 획득하여 수위 정보에 따라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RTU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설치 구성된 맨홀이나, 새롭게 설치 구성될 PC구조형 차집맨홀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맨홀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맨홀에 IoT 기술의 융복합에 따른 맨홀의 확장 기능 제공과 모든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으로 보내지 않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한 별도의 증설이 필요없어 예산 절감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우수관
200 : 폐수관
300 : PC구조형 차집맨홀
400 : 디지털물감지센서
500 :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
550 :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
600 :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
650 :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
700 : RTU
800 : 강우감지센서
900 : 오염측정장치

Claims (10)

  1.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에 있어서,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 형성되어 우수를 PC구조형 차집맨홀(300)로 유입시키기 위한 우수관(100)과,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 형성되어 폐수를 오폐수처리장(210)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폐수관(200)과,
    상기 우수관(100)과 연결되어 우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보관하며, 하부체(310)와 중간체(320) 및 상부체(3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PC구조형 차집맨홀(300)과,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에 설치 구성되어 차집맨홀에 유입된 우수의 수위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위값을 RTU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물감지센서(400)와,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배출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RTU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 혹은 폐쇄시키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의 타측에 형성되어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배출하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과,
    RTU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 혹은 폐쇄시키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와,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400)로부터 제공된 수위값이 설정된 수위값인 경우에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켜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제공하고,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개방 후 설정된 시간 경과시에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폐쇄시킨 후,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시켜 PC구조형 차집맨홀에 보관되어 있는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제공하여 하천으로 유입시키는 RTU(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RTU(700)는,
    디지털물감지센서(400)로부터 획득한 수위값이 설정된 수위값인 경우에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켜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1개방신호제공부(705);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개방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제1개방시간설정부(710);
    상기 제1개방시간설정부(710)에 의해 계산된 개방 시간 경과시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폐쇄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1폐쇄신호제공부(715);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이 폐쇄된 후,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시켜 PC구조형 차집맨홀에 보관되어 있는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개방신호제공부(720);
    상기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제2개방시간설정부(725);
    상기 제2개방시간설정부(725)에 의해 계산된 개방 시간 경과시에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2폐쇄신호제공부(730);
    제1개방시간설정부(710)와 제2개방시간설정부(725)가 개방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초기우수관리디비(735);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우수관리디비(735)에 저장된 개방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차집맨홀의 수위별 우수 저장량 정보와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1개방시간설정부(710)는 초기우수관리디비(735)에 저장된 차집맨홀의 수위별 우수 저장량 정보와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단위 시간당 배출량 정보를 이용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개방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개방 시간은 상기 설정된 수위값에 해당하는 우수 저장량이 모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통해 배출되기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2.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에 있어서,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 형성되어 우수를 PC구조형 차집맨홀(300)로 유입시키기 위한 우수관(100)과,
    도로, 산업단지, 도시 주변에 형성되어 폐수를 오폐수처리장(210)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폐수관(200)과,
    상기 우수관(100)과 연결되어 우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보관하며, 하부체(310)와 중간체(320) 및 상부체(3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PC구조형 차집맨홀(300)과,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에 설치 구성되어 차집맨홀로 유입된 우수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RTU로 제공하기 위한 오염측정장치(900)와,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배출하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과,
    RTU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 혹은 폐쇄시키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와,
    상기 PC구조형 차집맨홀의 타측에 형성되어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배출하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과,
    RTU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 혹은 폐쇄시키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와,
    상기 오염측정장치(900)로부터 측정되어 제공되는 오염도가 설정된 오염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켜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제공하고,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 개방 후 오염측정장치(800)로부터 측정되어 제공되는 오염도가 설정된 오염도 이하가 되면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폐쇄시킨 후,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시켜 PC구조형 차집맨홀에 보관되어 있는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제공하여 하천으로 유입시키는 RTU(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RTU(700)는,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구성된 모터의 출력 전류값을 측정하기 위한 출력전류계측부(750);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및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구성된 모터의 출력전류 기준값 범위 정보,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또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의 모터 출력 전류값이 기준값 범위 미만임을 알리는 이벤트 정보,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 또는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의 모터 출력전류값이 기준값 범위 초과임을 알리는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류값정보저장부(755);
    상기 전류값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출력전류 기준값 범위와 상기 측정된 출력전류값을 비교 판단하기 위한 전류값비교부(760);
    상기 전류값비교부의 비교 판단 결과가 측정된 출력전류값이 기준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이벤트 정보를 전류값정보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모터를 관할하는 담당자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정보송출부(76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은 여과 기능을 갖는 저수조(580)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400)는,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공기구멍(410);
    어느 한 공기구멍과 다른 공기구멍 사이에 공기구멍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물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물구멍(420);
    외면 내부에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전극봉(430);
    상기 전극봉의 일측이 연결되어 감지된 수위 신호를 RTU(700)로 제공하기 위한 수위측정처리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TU(700)는,
    오염측정장치(900)로부터 획득한 오염도가 설정된 오염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개방시켜 초기 우수를 오폐수처리장연결관(570)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1A개방신호제공부(705A);
    오염측정장치(900)로부터 획득한 오염도가 설정된 오염도 미만인 경우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550)에 폐쇄신호를 제공하여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1A폐쇄신호제공부(715A);
    상기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이 폐쇄된 후,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개방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개방시켜 PC구조형 차집맨홀에 보관되어 있는 우수를 하천연결관(670)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2A개방신호제공부(720A);
    상기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의 개방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제2A개방시간설정부(725A);
    상기 제2A개방시간설정부(725A)에 의해 계산된 개방 시간 경과시에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개폐기(650)에 폐쇄 신호를 제공하여 하천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600)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2A폐쇄신호제공부(730A);
    제2A개방시간설정부(725A)가 개방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초기우수관리디비(735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관리디비(735)는 이전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 발생시점까지의 기간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개방시간설정부(710)는 이전 마지막 강우 발생시점부터 현재 강우 발생시점까지의 기간이 설정된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계산된 개방시간에 설정된 추가 시간을 더하여 최종 개방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물감지센서(400)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RTU(700)는,
    디지털물감지센서(400)의 무선통신부로부터 수위값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중앙무선통신부;
    RTU(7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태양광에너지를 저장하는 태양광축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TU(700)는,
    오폐수처리장(210)에 구성된 오폐수처리용량관리단말기와 통신하여 현재 오폐수 처리용량 정보를 획득하여 처리용량 한계에 도달하는 지를 분석하고, 처리용량 한계에 도달될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 오폐수처리장연결관용수문(또는 밸브)(500)의 개방을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시키기 위한 개방시간지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KR1020170123906A 2017-09-26 2017-09-26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KR101859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06A KR101859661B1 (ko) 2017-09-26 2017-09-26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906A KR101859661B1 (ko) 2017-09-26 2017-09-26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661B1 true KR101859661B1 (ko) 2018-05-18

Family

ID=6245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906A KR101859661B1 (ko) 2017-09-26 2017-09-26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6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1686A (zh) * 2019-04-29 2019-07-09 南宁市景怡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初期雨水收集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KR102298001B1 (ko) * 2021-02-18 2021-09-03 주식회사 이엘 배수통관 수위계를 설치할 수 없는 도심 내 수문 운영시스템
KR102641850B1 (ko) * 2023-05-25 2024-02-29 주식회사 이엘 우수, 생활 하수, 사고수를 처리하는 시설물의 자율 운영 및 점검 시스템
KR102668576B1 (ko) * 2023-05-25 2024-05-23 주식회사 이엘 우수, 생활 하수를 처리하는 시설물의 자율 운영 및 점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290B1 (ko) * 2003-05-30 2006-01-1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우수통제시설물
KR100744631B1 (ko) * 2007-02-27 2007-08-02 (주)이엠엔씨코리아 염소이온을 이용한 초기우수 처리 시스템
KR100988016B1 (ko) * 2006-02-28 2010-10-18 한국전력공사 저전력형 맨홀 감시용 무선시스템
KR101744938B1 (ko) * 2017-03-15 2017-06-20 주식회사 대영 비점 오염 초기 우수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290B1 (ko) * 2003-05-30 2006-01-1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우수통제시설물
KR100988016B1 (ko) * 2006-02-28 2010-10-18 한국전력공사 저전력형 맨홀 감시용 무선시스템
KR100744631B1 (ko) * 2007-02-27 2007-08-02 (주)이엠엔씨코리아 염소이온을 이용한 초기우수 처리 시스템
KR101744938B1 (ko) * 2017-03-15 2017-06-20 주식회사 대영 비점 오염 초기 우수 처리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1686A (zh) * 2019-04-29 2019-07-09 南宁市景怡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初期雨水收集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KR102298001B1 (ko) * 2021-02-18 2021-09-03 주식회사 이엘 배수통관 수위계를 설치할 수 없는 도심 내 수문 운영시스템
KR102641850B1 (ko) * 2023-05-25 2024-02-29 주식회사 이엘 우수, 생활 하수, 사고수를 처리하는 시설물의 자율 운영 및 점검 시스템
KR102668576B1 (ko) * 2023-05-25 2024-05-23 주식회사 이엘 우수, 생활 하수를 처리하는 시설물의 자율 운영 및 점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666B1 (ko) 도시형 초기우수 분류시스템
KR101859669B1 (ko) 산업단지형 초기우수와 사고 유출수 분류시스템
CN107605006B (zh) 一种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KR101859661B1 (ko) Rtu와 수문(또는 밸브)이 구성된 pc구조형 차집맨홀을 이용한 비점오염 분류장치
KR101253532B1 (ko) 하수관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2029651B1 (ko) 빗물 재활용 자율 운영시스템
KR101050707B1 (ko)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Schwartz et al.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retrofitted stormwater wet pond for treatment of urban runoff
KR101786494B1 (ko) 대규모 빗물 저류조의 유지 관리 시스템
Ruggaber et al. Using embedded sensor networks to monitor, control, and reduce CSO events: A pilot study
KR20080029503A (ko) 도시통합운영센터와 유무선 통신망 기반 하수도 시설물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44938B1 (ko) 비점 오염 초기 우수 처리시스템
KR20120138973A (ko) 하수관거 유량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4790516A (zh) 一种雨水调蓄系统
US20240011274A1 (en) Distributed utility system
CN107558593B (zh) 一种包括一进四出式分流井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KR101226981B1 (ko) 하수 월류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KR100779545B1 (ko)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KR200426248Y1 (ko)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CN107587579B (zh) 带有截污管和雨水处理设施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KR102399563B1 (ko) 초기우수 및 유해화학물질 사고유출수 흐름유도장치
US20210131078A1 (en) Integrated utility distribution system
CN107587581B (zh) 一种带有雨水处理系统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CN207760991U (zh) 一种带有雨水处理系统的排水系统
CN207436188U (zh) 一种带有雨水处理系统的排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