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776B1 -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776B1
KR102453776B1 KR1020220056860A KR20220056860A KR102453776B1 KR 102453776 B1 KR102453776 B1 KR 102453776B1 KR 1020220056860 A KR1020220056860 A KR 1020220056860A KR 20220056860 A KR20220056860 A KR 20220056860A KR 102453776 B1 KR102453776 B1 KR 10245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unit
polluting
pollutant
odor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피텍
Priority to KR102022005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8Ventilation of se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는 맨홀 내에 배치되어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오염가스감지센서, 맨홀의 복수의 오염가스를 저감시켜 배출하는 오염가스배출부, 맨홀의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맨홀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는 오염물믹싱부 및 맨홀 내 복수의 오염가스 각각에 대한 기준농도값을 저장하며, 복수의 오염가스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맨홀 내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 중 어느 하나가 해당 기준농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맨홀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도록 오염물믹싱부를 제어하면서 맨홀의 복수의 오염가스를 저감시켜 배출하도록 오염가스배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내의 환경정보 모니터링에 의한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어 기존 및 향후, 상하수 관로의 신설 설치에 데이터 수집화된 자료를 기반으로 보다 효율적인 설치방법이 가능하며 기존 관로의 관리 방법에 비해 경제성이 우수하며 각 관리자들의 관리 안전과 나아가서 시민들의 안전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습니다.

Description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Environmental Information Monitoring and Odor Reduction Processing System in Manhole}
본 발명은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내 오염물로 인한 악취를 모니터링하며 악취를 저감시키는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manhole)은 땅속에 묻은 수도관이나 하수관, 배선 따위를 검사하거나 수리 또는 청소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입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맨홀은 크게 하수도 맨홀, 상수도 맨홀, 그리고 전기, 통신 맨홀로 분류된다.
하수도 맨홀은 지하에 시공되어 있는 하수관로와 연통되어 있다. 이 하수 및 오수관로는 각 가정이나 건물에서 발생하는 하수 및 오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하수관로가 큰 경우는 사람의 출입이 가능하며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작은 관로는 마치 위내시경 검사기처럼 로봇에 얹혀진 내시경을 보내어 관로의 상태를 점검한다.
이러한 맨홀들 중 특히 하수도 맨홀은 그 내부의 수리적 특성(유량, 유속 등), 수질 항목(pH, COD, DO 등), 악취 농도 등은 측정이 필요한 경우 일시적으로 측정해야 한다.
기존에는 작업자가 맨홀 내부로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악취 측정의 경우, 측정을 위해 맨홀 뚜껑을 개폐하는 순간 악취가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인체에 해로운 독성 가스가 맨홀 내부에 존재할 경우, 인명 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투입되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나 이러한 맨홀 내부 전용 측정 및 악취 저감 용액을 토출하는 시스템은 전무한 실정이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6162(2007.04.0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내 오염가스를 모니터링하여 복수의 오염가스를 저감시켜 배출하도록 하는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내의 환경정보 모니터링에 의한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어 기존 및 향후, 상하수 관로의 신설 설치에 데이터 수집화된 자료를 기반으로 보다 효율적인 설치방법이 가능하며 기존 관로의 관리 방법에 비해 경제성이 우수하며 각 관리자들의 관리 안전과 나아가서 시민들의 안전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습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는, 상기 맨홀 내에 배치되어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오염가스감지센서; 상기 맨홀의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를 저감시켜 배출하는 오염가스배출부; 상기 맨홀의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맨홀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는 오염물믹싱부; 및 상기 맨홀 내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 각각에 대한 기준농도값을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맨홀 내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 중 어느 하나가 해당 기준농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맨홀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도록 상기 오염물믹싱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맨홀의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를 저감시켜 배출하도록 상기 오염가스배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맨홀 내를 모니터링 하는 중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가 해당 기준농도값을 초과하면 맨홀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도록 하면서 복수의 오염가스를 저감시켜 배출하도록 하여 맨홀 내 대기환경을 개선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맨홀에 대한 관리성 및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맨홀 내 오염물을 향하여 악취저감용액을 분사시키는 용액토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맨홀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악취저감용액이 분사되도록 상기 용액토출부를 제어하면 맨홀에서 악취가 외부로 나와 주변의 쾌적한 생활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맨홀 내의 오염물을 수거하기 위한 오염물수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맨홀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오염물중 일부를 수거하도록 상기 오염물수거부를 제어하면 맨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의 원인인 오염물을 제거하여 주변의 쾌적한 생활을 오랜 동안 유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염가스배출부는, 내부의 수용공간을 갖고 상기 오염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하우징; 상기 배출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오염가스를 버블화하여 통과되도록 하는 물접촉필터를 포함하는 악취저감필터링부; 상기 물접촉필터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배출하우징의 상기 유입구로 상기 오염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맨홀 내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에 따라 상기 배출하우징의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오염가스의 유입량과 상기 물접촉필터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물공급부와 상기 유입펌프를 제어하면 맨홀 내의 악취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맨홀 내의 악취환경이 개선되어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맨홀 주변의 대기환경이 개선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로 오염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맨홀 내의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에 대한 정보, 상기 오염가스감지센서, 상기 오염가스배출부 및 상기 오염물믹싱부의 고장정보 및 상기 맨홀 내의 오염물과적정보를 포함하는 맨홀상황정보를 중앙제어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면 맨홀 내의 환경정보에 딸 작업자들을 투입할 지 장비들 관리를 위한 인원을 투입할 지 등의 판단을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 내를 모니터링 하는 중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가 해당 기준농도값을 초과하면 맨홀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도록 하면서 복수의 오염가스를 저감시켜 배출하도록 하여 맨홀 내 대기환경을 개선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맨홀에 대한 관리성 및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맨홀에서 악취가 외부로 나와 주변의 쾌적한 생활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맨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의 원인인 오염물을 제거하여 주변의 쾌적한 생활을 오랜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맨홀 내의 악취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맨홀 내의 악취환경이 개선되어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맨홀 주변의 대기환경이 개선될 수 있고, 맨홀 내의 환경정보에 딸 작업자들을 투입할 지 장비들 관리를 위한 인원을 투입할 지 등의 판단을 할 수 있으므로 관리의 효율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내의 환경정보 모니터링에 의한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어 기존 및 향후, 상하수 관로의 신설 설치에 데이터 수집화된 자료를 기반으로 보다 효율적인 설치방법이 가능하며 기존 관로의 관리 방법에 비해 경제성이 우수하며 각 관리자들의 관리 안전과 나아가서 시민들의 안전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오염가스배출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맨홀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1)의 예시도이며, 도 2는 오염가스배출부(20)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맨홀(3)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블록도이며, 도 4는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1)는 오염가스감지센서(10), 오염가스배출부(20), 오염물믹싱부(30), 용액토출부(40), 오염물수거부(50), 통신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오염가스감지센서(10)는 맨홀(3) 내에 배치되어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를 감지한다. 오염가스감지센서(10)는 수위센서(11), 가스센서(12) 및 온습도센서(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센서(11)는 맨홀(3)의 수위를 감지한다. 수위센서(11)는 맨홀 저면을 향해 발산한 초음파의 반사신호를 감지하여 맨홀(3) 내부의 수위를 계측하는 비접촉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수위센서(11)는 감지한 맨홀(3)의 수위값을 후술할 제어부(70)로 전달한다.
가스센서(12)는 맨홀(3) 내의 복수의 가스 농도를 감지한다. 가스센서(12)는 맨홀(3) 내부의 황화수소에 대한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온습도센서(13)는 맨홀(3) 내부의 온/습도를 감지한다.
오염가스배출부(20)는 맨홀(3)의 복수의 오염가스를 저감시켜 배출시킨다. 오염가스배출부(20)는 배출하우징(21), 악취저감필터링부(22), 물공급부(23) 및 유입펌프(2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하우징(21)은 내부의 수용공간을 갖고 복수의 오염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211) 및 유입구(211)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212)가 형성된다. 또한, 배출하우징(21)은 유입구(211)로 넓은 영역에서의 복수의 오염가스들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가이드(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가이드(213)는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악취저감필터링부(22)는 오염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악취저감필터링부(22)는 물접촉필터(221)과 활성탄필터(222)를 포함할 수 있다.
물접촉필터(221)는 물탱크(221-1), 미세기포생성판(221-2) 및 격막(221-3)을 포함할 수 있다. 물접촉필터(221)는 배출하우징(21) 내에 배치되어 복수의 오염가스를 버블화하여 통과되도록 한다.
물탱크(221-1)는 외부의 중수를 공급받아 오염가스가 접촉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미세기포생성판(221-2)은 물탱크(221-1)의 하단영역에 설치되어 물탱크(221-1)로 유입되는 오염가스를 미세기포로 분리할 수 있다. 미세기포생성판(221-2)은 노즐로 형성될 수 있고, 미세기공이 형성된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격막(221-3)은 물탱크(221-1)의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미세기포생성판(221-2)에서 생성되 오염가스의 상방이동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오염가스가 물에 용해되어 제거될 수 있다.
활성탄필터(222)는 물접촉필터(221)을 통과한 오염가스의 오염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물공급부(23)는 물탱크(221-1)로 물을 공급하고 오염가스가 용해된 물을 하수관(2)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물공급부(23)는 물공급탱크(231), 물공급배관(232), 물공급펌프(233) 및 물공급밸브(234)를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탱크(231)는 외부의 중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탱크로 물공급탱크(231)는 수위가 낮아지면 채워질 수 있도록 수위센서와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물공급배관(232)은 물공급탱크(231)에서 물접촉필터(221)로 중수를 이동시키는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물공급펌프(233)는 물공급배관(232) 상에 설치되어 물공급탱크(231)에서 물접촉필터(221)로 중수를 이동시킨다.
물공급밸브(234)는 물공급배관(232) 상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중수를 단속한다.
유입펌프(24)는 배출하우징(21)의 유입구(211)로 오염가스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오염물믹싱부(30)는 맨홀(3)의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맨홀(3)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는다. 오염물믹싱부(30)는 캐퍼필러(31), 날개부(32), 캐퍼필러구동부(33) 및 날개부구동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캐퍼필러(31)는 탱크의 바퀴부와 같은 무한궤도로 이루어진다.
날개부(32)는 캐퍼필러(31)의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날개부(32)는 캐퍼필러(31)에 결합되는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다가 각도를 갖고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캐퍼필러구동부(33)는 캐퍼필러(31) 내측과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롤러와 회전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구동부(34)는 날개부(32)가 캐퍼필러(31)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의 믹싱해제위치와 날개부(32)가 캐퍼필러(31)에 대하여 수직 상태의 믹싱위치 간을 회동하도록 구동한다.
용액토출부(40)는 노즐(미도시), 노즐회전구동부(41) 및 용액이송펌프(4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미도시)는 악취저감 약품용액을 토출한다. 노즐은 지지되는 구성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노즐회전구동부(41)는 노즐을 회전구동한다.
용액이송펌프(42)는 노즐로 악취저감 약품용액을 이송시킨다.
악취저감 약품약품은 NaOCl과 같은 산화제(예: 과산화수소, 수산화나트륨, 이산화염소 등) 이외의 다양한 악취세정액이나 기타 악취저감방안(예: 악취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미생물제제, 흡착 탈취법, 습식 흡수법, 오존산화법, 약액세정법)을 대체 채용하거나 병용·보완 방안으로 채용할 수 있다.
오염물수거부(50)는 맨홀(3) 내의 오염물을 수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오염물수거부(50)는 수거본체(51), 크레인(52), 크레인구동부(53), 클램핑집게(54) 및 클램핑구동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본체(51)는 맨홀(3)의 외부에 지지되며, 이동 가능하다.
크레인(52)은 수거본체(51)에 지지되며 롤링된 끈 또는 연결부에 연결된다.
크레인구동부(53)는 크레인(52)을 맨홀(3)의 하단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한다. 크레인구동부(53)는 클램핑집게(54)가 오염물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크레인(52)이 수거본체(51)으로 이동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클램핑집게(54)는 크레인(52)에 설치되어 클램핑위치와 해제위치 간을 이동하며 오염물을 클램핑할 수 있다.
클램핑구동부(55)는 클램핑집게(54) 클램핑위치와 해제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클램핑집게(54)를 구동할 수 있다.
통신부(60)는 외부로 오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맨홀(3) 내 복수의 오염가스 각각에 대한 기준농도값을 저장하며, 복수의 오염가스감지센서(10)로부터 감지되는 맨홀(3) 내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 중 어느 하나가 해당 기준농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맨홀(3)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도록 오염물믹싱부(30)를 제어하면서 맨홀(3)의 복수의 오염가스를 저감시켜 배출하도록 오염가스배출부(20)를 제어한다.
제어부(70)는 맨홀(3)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고 있는 상태에서 악취저감용액이 분사되도록 용액토출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맨홀(3)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고 있는 상태에서 오염물 중 일부를 수거하도록 오염물수거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복수의 오염가스감지센서(10)로부터 감지되는 맨홀(3) 내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에 따라 배출하우징(21)의 유입구(211)로 유입되는 오염가스의 유입량과 물접촉필터(221)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물공급부(23)와 유입펌프(2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맨홀(3) 내의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에 대한 정보, 오염가스감지센서(10), 오염가스배출부(20) 및 오염물믹싱부(30)의 고장정보 및 맨홀(3) 내의 오염물과적정보를 포함하는 맨홀상황정보를 중앙제어실(4)로 전송하도록 통신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맨홀(3)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블록도이다.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1)에서 맨홀(3) 내의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에 대한 정보, 오염가스감지센서(10), 오염가스배출부(20) 및 오염물믹싱부(30)의 고장정보 및 맨홀(3) 내의 오염물과적정보를 포함하는 맨홀상황정보를 중앙제어실(4)로 전송하고, 중앙제어실(4)에서는 맨홀상황정보를 제1관리자단말기(5), 제2관리자단말기(6) 및 제3관리자단말기(7)로 전송하여 관리자들이 맨홀(3)의 환경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1)에서 맨홀(3) 내의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에 대한 정보, 오염가스감지센서(10), 오염가스배출부(20) 및 오염물믹싱부(30)의 고장정보 및 맨홀(3) 내의 오염물과적정보를 포함하는 맨홀상황정보를 중앙제어실(4)로 전송할 수 있으나 급하게 조치를 취해야 하거나 관리되어야 하는 기간이 되는 경우에는 제1운영자단말기(8-1), 제2운영자단말기(8-2) 및 제3운영자단말기(8-3)로 맨홀상황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맨홀상황정보는 중앙제어실(4)에서 제1운영자단말기(8-1), 제2운영자단말기(8-2) 및 제3운영자단말기(8-3)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제1운영자단말기(8-1), 제2운영자단말기(8-2) 및 제3운영자단말기(8-3)의 운영자들은 직접 맨홀(3)을 방문하여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1)의 관리 및 맨홀(3) 관리 등을 수행한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어부(70)는 오염물믹싱부(30)의 날개부(32)가 캐퍼필러(31)에 대하여 수직 상태의 믹싱위치가 되도록 한 후 캐퍼필러구동부(33)를 구동하여 캐퍼필러(31)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한다. 이 경우 날개부(32)가 오염물에 걸려 이동하는데 저항이 크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캐퍼필러(31)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한 후 캐퍼필러구동부(33)로 투입되는 전류량 또는 저항값을 파악하여 기설정전류량 및 기설정저항값을 초과하는 경우 캐퍼필러구동부(33)의 구동을 중지하고 반대방향으로 구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방향으로 캐퍼필러구동부(33)의 구동을 하는 경우에도 기설정전류량 및 기설정저항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염물수거부(50)를 이용하여 오염물을 수거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운영자단말기(8-1, 8-2, 8-3)으로 맨홀상황정보를 전송하여 운영자들이 오염물수거부(50)를 조작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운영자들이 직접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캐퍼필러구동부(33)가 구동을 하는 경우 기설정전류량 및 기설정저항값을 초과하는 경우 날개부(32)가 믹싱해제위치가 되도록 날개부구동부(34)를 구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염물로 인하여 날개부구동부(34)와 캐퍼필러구동부(33)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미세기포생성판(221-2)은 물탱크(221-1)의 수평영역 전체로 미세기포가 분포될 수 있도록 물탱크(221-1)의 한단 영역의 수평영역 전체에 복수의 노즐 또는 미세기공이 형성된 스크린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물공급탱크(231)에는 중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냉각부를 마련하여, 기설정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냉각부를 가동하여 물공급탱크(231) 내의 중수를 기설정온도 이하가 되도록 제어부(70)는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염가스가 중수에 더 많이 녹을 수 있다.
상기의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1)로 인하여, 맨홀(3) 내를 모니터링 하는 중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가 해당 기준농도값을 초과하면 맨홀(3)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도록 하면서 복수의 오염가스를 저감시켜 배출하도록 하여 맨홀(3) 내 대기환경을 개선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맨홀(3)에 대한 관리성 및 작업자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맨홀에서 악취가 외부로 나와 주변의 쾌적한 생활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맨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의 원인인 오염물을 제거하여 주변의 쾌적한 생활을 오랜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맨홀 내의 악취를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맨홀 내의 악취환경이 개선되어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맨홀 주변의 대기환경이 개선될 수 있고, 맨홀 내의 환경정보에 딸 작업자들을 투입할 지 장비들 관리를 위한 인원을 투입할 지 등의 판단을 할 수 있으므로 관리의 효율성이 증가한다.
1: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2: 하수관 3: 맨홀
4: 중앙제어실 5: 제1관리자단말기
6: 제2관리자단말기 7: 제3관리자단말기
8-1: 제1운영자단말기 8-2: 제2운영자단말기
8-3: 제3운영자단말기
10: 오염가스감지센서 11: 수위센서
12: 가스센서 13: 온/습도센서
20: 오염가스배출부 21: 배출하우징
211: 유입구 212: 배출구
213: 유입가이드 22: 악취저감배출부
221: 물접촉필터 222: 활성탄필터
23: 물공급부 231: 물공급탱크
232: 물공급배관 233: 물공급펌프
234: 물공급밸브 24: 유입펌프
30: 오염물믹싱부 31: 캐퍼필러
32: 날개부 33: 캐퍼필러구동부
34: 날개부구동부 40: 용액토출부
41: 노즐회전구동부 42: 용액이송펌프
50: 오염물수거부 51: 수거본체
52: 크레인 53: 크레인구동부
54: 클램핑집게 55: 클램핑구동부
60: 통신부 70: 제어부

Claims (5)

  1.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 내에 배치되어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오염가스감지센서;
    상기 맨홀의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를 저감시켜 배출하는 오염가스배출부;
    상기 맨홀의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맨홀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는 오염물믹싱부; 및
    상기 맨홀 내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 각각에 대한 기준농도값을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맨홀 내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 중 어느 하나가 해당 기준농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맨홀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도록 상기 오염물믹싱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맨홀의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를 저감시켜 배출하도록 상기 오염가스배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오염가스배출부는,
    내부의 수용공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하우징;
    상기 배출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를 버블화하여 통과되도록 하는 물접촉필터를 포함하는 악취저감필터링부;
    상기 물접촉필터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배출하우징의 상기 유입구로 상기 오염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맨홀 내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에 따라 상기 배출하우징의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오염가스의 유입량과 상기 물접촉필터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물공급부와 상기 유입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내 오염물을 향하여 악취저감용액을 분사시키는 용액토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맨홀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악취저감용액이 분사되도록 상기 용액토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내의 오염물을 수거하기 위한 오염물수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맨홀에 쌓인 오염물을 뒤집어 섞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오염물 중 일부를 수거하도록 상기 오염물수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외부로 오염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맨홀 내의 상기 복수의 오염가스의 농도에 대한 정보, 상기 오염가스감지센서, 상기 오염가스배출부 및 상기 오염물믹싱부의 고장정보 및 상기 맨홀 내의 오염물과적정보를 포함하는 맨홀상황정보를 중앙제어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KR1020220056860A 2022-05-09 2022-05-09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KR102453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860A KR102453776B1 (ko) 2022-05-09 2022-05-09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860A KR102453776B1 (ko) 2022-05-09 2022-05-09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776B1 true KR102453776B1 (ko) 2022-10-14

Family

ID=8359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860A KR102453776B1 (ko) 2022-05-09 2022-05-09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7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581B1 (ko) * 2023-04-10 2023-10-10 정창호 하수관로 스마트 악취, 침수위 측정 및 악취저감 시스템
KR102600748B1 (ko) 2023-04-06 2023-11-10 주식회사 크린어스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내 악취 저감시스템
KR102635778B1 (ko) * 2023-09-25 2024-02-13 (주)해인시스템 내외기 온도차를 이용한 하수관로 악취 차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5521A (ko) * 2005-11-01 2007-10-01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수용 맨홀 퇴적물 수거장치
KR102294487B1 (ko) * 2021-05-24 2021-08-27 주식회사 동인 맨홀의 악취저감장치 및 그 시스템
KR20210119066A (ko) * 2020-03-24 2021-10-05 최민영 밭 일굼 및 넝쿨 파쇄가 가능한 복합 로터리 장치
KR102379348B1 (ko) * 2021-11-10 2022-03-28 (주)에코프랑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5521A (ko) * 2005-11-01 2007-10-01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수용 맨홀 퇴적물 수거장치
KR20210119066A (ko) * 2020-03-24 2021-10-05 최민영 밭 일굼 및 넝쿨 파쇄가 가능한 복합 로터리 장치
KR102294487B1 (ko) * 2021-05-24 2021-08-27 주식회사 동인 맨홀의 악취저감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379348B1 (ko) * 2021-11-10 2022-03-28 (주)에코프랑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748B1 (ko) 2023-04-06 2023-11-10 주식회사 크린어스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내 악취 저감시스템
KR102586581B1 (ko) * 2023-04-10 2023-10-10 정창호 하수관로 스마트 악취, 침수위 측정 및 악취저감 시스템
KR102635778B1 (ko) * 2023-09-25 2024-02-13 (주)해인시스템 내외기 온도차를 이용한 하수관로 악취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776B1 (ko)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및 악취저감 처리장치
US20060108270A1 (en) Sewag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A2565394C (en) Portable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treatment system
KR20100021389A (ko)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KR102286639B1 (ko) 절삭유 정제시스템 차량
KR102452846B1 (ko) 맨홀 내 작업자 안전을 위한 점검차량
JP2007130512A (ja) 水質管理システム、水質管理方法
KR20070024775A (ko) 원수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522658B1 (ko) 일체형 지중시설물 청소 및 점검장치
KR100868453B1 (ko) 슬러지 수집조의 슬러지 확인장치
KR20220016725A (ko) 이동형 시표채취 및 분석장치.
KR20120019946A (ko) 악취제거를 위한 살수 여과 장치의 자동 제어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00890B1 (ko) 단계별 하수처리 진단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US20230176027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a water facility
KR20210109818A (ko)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JPWO2006054373A1 (ja) 下水処理装置及び方法
KR101103339B1 (ko) 스포트를 이용한 수처리장의 감시제어 시스템
KR102151493B1 (ko) 고도산화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도산화처리방법
KR101495678B1 (ko) Plc 기술을 활용한 공정진단 기반의 지능형 수처리 원격제어시스템
JP7266297B2 (ja) 液体計量装置および水質測定装置
JP5051722B2 (ja) 水処理装置
JP4537962B2 (ja) 可搬型捨水検査装置
KR20210101938A (ko) 관로용 방역로봇
JP2005127907A (ja) ガス検知システム及び複合ガス検知システム
KR102388471B1 (ko) 하수처리장의 가스 탈취 및 내부 환경 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