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818A -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818A
KR20210109818A KR1020200024883A KR20200024883A KR20210109818A KR 20210109818 A KR20210109818 A KR 20210109818A KR 1020200024883 A KR1020200024883 A KR 1020200024883A KR 20200024883 A KR20200024883 A KR 20200024883A KR 20210109818 A KR20210109818 A KR 20210109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water
water
valve
pip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정
이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월드
Priority to KR102020002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818A/ko
Publication of KR20210109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돗물 탁도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관의 수돗물을 적정 수압으로 끌어 올려주는 감압밸브; 상기 감압밸브가 끌어 올려주는 수돗물이 충전되는 충전탱크; 수돗물의 5개 항목으로 잔류염소를 비롯한 전도도와 PH-유기물 함량과 수온 그리고 탁도를 실시간 측정하는 복수의 측정센서;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 결과를 실시간 비교분석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정보를 분석하는 판독부; 상기 판독부의 정보를 발신하는 발신부; 관제센터 및 관리센터의 지시에 따라 단속밸브와 배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로 급수관 및 배수관을 폐쇄 또는 개방하는 단속밸브와 배수밸브 구성으로 수돗물을 실시간 자동측정하고 온라인통신망을 통하여서 관리제어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Tap water automatic measurement onlin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배수지 수돗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과정에 있어서 배수지에서 사용자에게 공급되기 전 과정에서 수돗물의 잔류염소를 비롯한 전도도와 PH농도 및 수온, 탁도 5개 항목을 실시간 자동으로 측정하여 온라인상으로 제어 관리할 수 있게 되는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하는 일은 좋은 일지만 발전 과정에서 호수나 강물은 많은 유해성분과 불순물로 인하여 오염되면서 인체에 해가 되는 미생물이 창궐하면서 악취와 함께 죽어가고 있다.
그러면서 현재의 세상은 죽어가는 물을 식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위해서 약품처리와 함께 여과과정 및 정수과정을 통하여서 깨끗한 물로 가공한다.
대부분 정수장의 주요 처리 공정은 응집과정 혼화과정, 침전과정 여과과정, 소독과정의 순으로 정수수단을 구비하여 더러운 물을 깨끗한 물로 정수제공 한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의 일반적인 정수단계를 살펴보면, 취수장에서는 금속망을 이용해 저수지나 강물에 있는 깡통, 물고기 등이 정수처리장에 들어오지 못하게 걸러내고, 약품 투입실에서는 정수장으로 들어온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석회와 명반 또는 황산알루미늄의 정수약품을 투입하게 되는데, 이때의 생석회는 용약을 염기성으로 만들면 명반의 성분을 이용하여 침전을 생성하게 하며, 혼화지에서는 물 입자와 이러한 약품이 잘 섞이도록 빠르게 희석시켜주고,
응집지에서는 약품의 부유물 및 찌꺼기 등이 엉기게 하고, 이때 물속에 응집제가 분산되면 용액을 부드럽게 휘저어서 콜로이드 입자가 충돌하면서 더 큰 응집 입자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침전지에서는 접착제의 역할을 하는 침전의 수산화알루미늄(생석회와 명반의 작용으로 만들어진 물질)이 바닥에 가라앉을 때 부유한 입자와 흙이 함께 침전시켜서 물을 맑게 만들어서 여과지로 보낸다.
여과지는 모래, 자갈, 분말 활성탄을 여러 층으로 구성해서 바닥에 가라앉지 않은 유기물질이나 철, 마그네슘과 미생물을 포함한 부유물질이 통과하면서 제거되도록 하는데, 이때 여과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전형적인 박테리아의 크기는 여과에 사용하는 입자들 사이의 공간보다 10∼20배 정도 작다.
아울러서 상기의 작은 물질들이 응집과정과 침전과정에서 잘 응집되지 않으면 여과 입자들 사이를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여과는 양호한 흡착력이 있어야 하고, 따라서 유기물질이나 미생물을 포함한 부유물질이 여과입자에 양호하게 흡착되어야만 물에서 나는 악취와 나쁜 맛, 색깔이 제거된다.
그리고 소독실에서는 염소를 첨가하여 박테리아 또는 미생물을 제거하여, 정수지에서 여과지와 염소투입실을 통과한 깨끗한 물을 임시 저장하고 배수지에 생산된 수돗물을 저장하여 각 가정에 안정하게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수절차를 게을리 하거나 비정상적이거나 설령 모든 절차가 정상적으로 진행이 되었다고 할지라도 정수지에서 사용자(이하 '가정'이라 함)에게 공급되기 직전과정에서 관리자의 관리문제가 발생을 하게 되면 2019년 ㅇㅇ시의 붉은 수돗물 사태와 같은 예기치 못했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2019년 ㅇㅇ시 붉은물 사태의 원인은, 이미 언론에서 보도된 바와 같이, 노후화된 수도관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관리자가 수돗물의 방향을 잘못 역류시킴으로 해서 노후관에 붙어 있던 녹 등의 슬러지가 떨어져나와서 악취와 함께 붉은 수돗물로 오염을 시켰던 것으로서, 적절하게 제어 관리하지 못하여 수주일간 가정으로 공급되었던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응집과정을 비롯하여 혼화과정, 침전과정 여과과정, 소독과정의 순으로 정수수단에 의해 깨끗하게 정수된 수돗물이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 단계에서 수돗물의 염소함량을 비롯한 전도도, PH농도, 수온과 탁도 5개 항목을 실시간으로 자동 측정하고 온라인상으로 관리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측정 중인 수돗물의 염소함량을 비롯한 전도도와 PH, 수온, 탁도 5개 항목중에서 어느 하나에라도 기준 값 이상의 오염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그 문제의 내용(항목)을 실시간 관리센터에서 인지하여 빠르게 해결방안을 마련하고 그러나 수돗물을 마실 수 없는 심각단계가 측정되었을 때에는 제어부에 의한 단속밸브의 폐쇄신호와 배수밸브의 개방신호가 각각의 솔레노이드밸브로 전달되어 단속밸브는 폐쇄하고 배수밸브는 개방하여 가정으로 공급을 차단하는 동시에 배출관을 통하여서 오염된 수돗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되는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배수지 수돗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되기 전에 수돗물의 염소함량을 비롯한 전도도와 PH, 수온, 탁도 5개 항목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온라인상으로 실시간 관리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서, 공급관으로부터 수돗물이 적정 압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감압밸브(60);
상기 감압밸브로부터 정량의 수돗물이 저장 공급되는 충전탱크(70);
상기 충전탱크로부터 적정한 수압의 수돗물을 복수의 측정센서로 공급하는 분배관(80));
상기 분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의 염소함량을 비롯한 전도도와 PH농도 및 수온함량과 탁도 5개 항목을 측정할 수 있도록 염소측정센서(91)와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도도측정센서(92)와 PH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PH측정센서(93)와 수온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온측정센서(94)와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측정센서(95);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들을 통과한 수돗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퇴수관(100);
측정결과 기준치 이상의 오수로 판독되면 그 신호를 수신해서 작동하여 급수관의 수돗물 공급을 차단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부의 신호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스텝핑모터(M1)(M2) 및 이 솔레노이드 스텝핑모터(M1)(M2)로 작동하는 단속밸브(50)와 상기 단속밸브(50)와 반대 작동하여 배출관(31)을 개방시켜서 오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되는 배수밸브(40)를 구비하며, 자동측정한 정보를 수신하고 발신하는 발수신부(96) 및 수시한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97)와 온라인상으로 모니터링하는 관제센터 및 관리센터 모니터(300) 및 관리센터의 시그널;Signal로 상기 단속밸브(50)와 배수밸브(40)를 제어 관리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수돗물이 가정으로 공급되기 전 단계에서 5개 항목(염소, 전도도, PH, 수온, 탁도)을 자동으로 측정 분석하여 어느 항목 하나 또는 전체 항목에서 기준치보다 높은 이상 농도가 측정되었을 때 온라인상에서 관리센터와 관제센터에서 인지하여 즉시 정상회복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정도가 심하여 음용할 수 없는 상태의 수질이 측정되었을 경우에는 수돗물 공급을 완전히 차단함으로서 수돗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리가 아무리 먼 곳 이라도 유무선상의 온라인통신을 통하여서 관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고 장비구입 비용 및 전문적인 인력보강 및 인건비의 문제를 혁신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의 구성 및 요부단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은 본 발명 실시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의 구성 일부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돗물에 심각한 오염이 측정되어 급수관 폐쇄로 수돗물 공급이 차단되고 배출관이 개방되어 오염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단면 예시도
도 3a 는 본 발명 실시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중에서 정량의 수돗물이 감압충전되는 충전탱크의 단면 예시도
도 3b 는 상기 도 3 충전탱크 및 하우징의 평면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 실시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의 설치위치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의 구성 및 요부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은 본 발명 실시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의 구성 일부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돗물에 심각한 오염이 측정되어 급수관 폐쇄로 수돗물 공급이 차단되고 배출관이 개방되어 오염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단면 예시도이며, 도 3a 는 본 발명 실시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중에서 정량의 수돗물이 감압충전되는 충전탱크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3b 는 상기 도 3 충전탱크 및 하우징의 평면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실시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의 설치위치의 예시도로서, 이하 상기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의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은, 수돗물의 5개 항목 즉, ①잔류염소를 비롯한 ②전도도와 ③PH농도 및 ④수온과 ⑤탁도를 실시간 자동으로 측정하여 온라인상으로 관리제어할 수 있게 된다.
수돗물은 도 4 에서 보는바와 같이, 댐(a)으로부터 취수(b)장으로 물을 끌어들여서 침사(c)단계를 비롯한 약품(d)처리단계와 혼화(e)단계 및 응집(f)단계와 침전(g)단계 또한 여과(h)단계와 염소(i)투입단계 및 정수(j)단계를 거쳐서 가정집(i)(수돗물을 사용하는 모든 시설을 포함한다)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의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은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정수(j)단계와 가정집(i)(수돗물을 사용하는 모든 시설을 포함한다) 사이에 설치되어 수돗물의 성분을 실시간으로 온라인상에서 측정관리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수돗물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수돗물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차단 또는 단속하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2019년 인천광역시의 붉은 수돗물 사태와 같이 계속해서 가정집으로 공급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수돗물의 염소를 비롯한 전도도와 PH 및 수온과 탁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해서 어느 한 항목이라도 기준치 이상의 농도로 측정이 되면 그 측정 값이 온라인통신망(200)을 관제센 및 관리센터 모니터(300)로 전송되어 관제센터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수돗물 오염상태가 심각해서 관제센터에서 임의로 조치할 수 없을 정도가 되었을 경우에는 도 2 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폐쇄신호를 받은 스텝핑모터(M2)가 단속밸브(50)를 잠김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서 수돗물 공급을 차단하는 동시에 또 다른 스텝핑모터(M1)는 배수밸브(40)를 개방시켜서 오염된 수돗물을 배출하여, 오염수로 인한 질병예방과 함께 공급관(10)이 파열되는 것을 예방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수돗물이 공급되는 공급관(10)에 작은 구멍을 뚫어서 높은 수압을 감압하는 감압밸브(60)와 배수밸브(40) 및 단속밸브(50)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의 감압밸브(60)는 공급관(10)의 수돗물을 감압시켜서 충전탱크(70)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또 상기의 공급관(10)에는 삼방향 T관(30)이 설치되어 스텝핑모터(M1)로 작동하는 배수밸브(40)가 관설되고 또 급수관(20) 방향에도 스텝핑모터(M2)로 작동하는 단속밸브(50)가 구비된다. 상기의 배수밸브(40)와 단속밸브(50)는 상기 각각의 스텝핑모터(M2)(M1)에 의해 90도 회전작동하는 하우징(41)(51) 내부의 밸브축(42)(52)에 의해 개폐작동한다.
그리고 또 상기한 감압밸브(60)와 연결되는 충전탱크(70)는 도 3a 및 도 3b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케이싱(71)과 이 케이싱(71)에 나사선으로 결합되는 하우징(75) 및 상기 하우징(75) 중앙에 결합되는 내관(76) 및 수돗물이 배출되는 유도관(77)을 가진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원통형상의 케이싱(71)은 한 쪽 단부는 폐쇄되 있고 다른 한 쪽 단부는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단부의 내주연면에는 상기 하우징(75)을 결합할 수 있게 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또 상기 폐쇄 방향 일측 벽면에는 암나사구멍을 가진다.
상기 폐쇄된 쪽 벽면에 형성된 암나사구멍에는 오버플로어 니플관(78)이 결합되고 이 오버플로어 니플관(78)을 통하여서 정량 이상으로 충전탱크(70)에 충전되는 수돗물이 배출된다.
또한, 상기의 하우징(75)은 도 3a 및 도 3b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멍(75a)을 비롯한 배출구멍(75b)과 퇴수구멍(75c)을 가지게 되며, 상기 각 구멍에는 암나사선을 가진다.
그리고 또 상기 암나사선에는 수돗물이 들어가는 입수측 니플관(79a)을 비롯하여 충전탱크(70)의 수돗물이 복수의 센서로 공급되는 공급측 니플관(79b)과 청소때 퇴적물을 배출시키는 퇴수측 니플관(79c)이 숫나사선으로 결합된다.
아울러서 상기의 감압밸브(60)를 통한 수돗물은 입수측 니플관(79a)을 통하여서 내관(76)의 안내를 받아서 충전실(70')을 충전하게 되고 이 충전실(70')을 가득채운 수돗물은 기포가 제거된 상태에서 유도관(77)의 안내를 받아서 공급측 니플관(79b)을 통하여서 복수의 측정센서로 공급이 되며, 이때 내관(76)의 개방구멍(76') 높이 이상의 수돗물은 수압팽창을 예방하여 오버플로어 니플관(78)을 통하여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들은 수돗물의 잔류를 측정하는 잔류염소측정센서(91)를 비롯하여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도도측정센서(92) 및 PH농도를 측정하는 PH측정센서(93)와 수온을 측정하는 수온측정센서(94) 및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측정센서(95)를 구비한다.
아울러서 상기의 공급측 니플관(79b)을 통하여서 공급되는 수돗물은 상기한 잔류염소측정센서(91)를 비롯한 전도도측정센서(92)와 PH측정센서(93) 및 수온측정센서(94) 또한 탁도측정센서(95)로 공급되어 수돗물의 5항목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실시의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91)~(95)의 측정정보를 수신하고 발신하는 수신부(96) 및 수신한정보를 원시 측정값과 비교분석하는 판독부(97) 그리고 또 상기 판독부(97)의 정보를 발신하는 발신부(99)를 구비하고 또 발신부(99)의 신호를 교신하는 온라인통신망(200)을 통하여서 모니터링 하고 관리 제어하는 관제센터 및 관리센터 모니터(3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실시의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은, 상기 공급관(10)으로 이동하는 수돗물을 감압밸브(60)가 감압시켜서 충전탱크(70)로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수돗물은 입수측 니플관(79a)을 통하여서 내관(76)의 안내를 받아 충전실(70')을 충전하고 이 충전실(70')을 가득채운 수돗물은 기포가 제거된 상태에서 유도관(77)과 니플관(79b)의 안내를 받아서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의 충전탱크(70)의 충전실(70')을 가득채운 수돗물이 내관(76)의 개방구멍(76') 높이 이상 채워지는 수돗물은 오버플로어 니플관(78)을 통하여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압에 의한 팽창문제를 예방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들은 수돗물의 잔류를 측정하는 잔류염소측정센서(91)를 비롯하여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도도측정센서(92) 및 PH농도를 측정하는 PH측정센서(93)와 수온을 측정하는수온측정센서(94) 및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측정센서(95)를 구비한다.
아울러서 상기의 공급측 니플관(79b)을 통하여서 공급되는 수돗물은 상기한 잔류염소측정센서(91)를 비롯한 전도도측정센서(92)와 PH측정센서(93) 및 수온측정센서(94) 또한 탁도측정센서(95)로 공급되어 실시간 수돗물의 5항목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잔류염소측정센서(91)를 비롯한 전도도측정센서(92)와 PH농도측정센서(93) 또 수온측정센서(94)와 탁도측정센서(95)에 의해서 실시간 측정된 정보는 수신부(96)를 통하여서 판독부(97)로 전달되면 원시 정보와 비교하여 이상유무 정보를 만들어 내고 이 렇게 만들어진 정보는 발신부(99)에 의해 온라인통신망(200)을 통하여서 관리센터와 관제센터 모니터(300)로 모니터링 된다.
이때 측정된 수돗물의 염소, 전도도, PH, 수온, 탁도의 모니터링 상황은 수치로서 판독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정상시그널'에서는 녹색등이 점등되고, '주의시그널'에서는 황색등이 점등되며 '비상시그널'에서는 적색등이 점등되게 하거나, '비상시그널'에서는 주의력을 더 높일 수 있도록 적색 점등과 함께 buzzer 와 음성신호가 적용될 수있다.
아울러서 수돗물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때에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속밸브(50)는 개방되어 있는 반면에 배수밸브(40)는 폐쇄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수돗물 측정결과 판독부(97)로부터 단속신호로 바뀐 경우에는 제어부(98)가 밸브작동 신호를 스텝핑모터(M1)(M2)로 발신하게 되며, 이 신호를 수신한스텝핑모터(M1)(M2)는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90° 회전해서 하우징(51)(41) 내부의 구동축(52)(42)을 90°각도로 회전시켜서, 현재 개방되어 있던 배수밸브(50)는 폐쇄해서 급수관(20)으로 가는 수돗물을 차단하고, 폐쇄되어 있던 배수밸브(40)를 개방해서 공급관(10)의 수돗물을 배수관(31)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측정결과 수돗물의 공급을 단속밸브(50)에서 차단하는 동시에 배수밸브(40)를 통해서 오염된 수돗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유는, 그 오염된 수돗물로 발생되는 질병과 폐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동시에 수돗물 흐름이 차단되었을 때 팽창하는 높은 수압으로 공급관(10)이 파열되는 문제를 예방하는 조치이며, 이때의 배출되는 오염된 수돗물은 저장시설 또는 정수시설에 의해 재활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 여러 곳의 정수장 수질을 한 곳의 관제센터 또는 관리센터에서 온라인통신망(200)을 통하여 실시간 효과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게 된다.
M1, M2 : 스텝핑모터 10 : 공급관
20 : 급수관 30 : T관
31 : 배수관 40 : 배수밸브
41, 51, 75 : 하우징 42, 52, : 밸브축
50 : 단속밸브 60 : 감압밸브
70 : 감압탱크 70' : 충전실
71 : 케이싱 75a : 입수구멍
75b : 배출구멍 75c : 퇴수구멍
76 : 내관 76' : 개방구멍
77 : 유도관 78 : 오버플로어 니플관
79a : 입수측 니플관 79b : 공급측 니플관
79c : 퇴수측 니플관 91 : 잔류염소측정센서
92 : 전도도측정센서 93 : PH농도측정센서
94 : 수은측정센서 95 : 탁도측정센서
96 : 수신부 97 : 판독부
98 : 제어부 99 : 발신부
200 : 온라인통신망 300 : 관리,관제실 모니터

Claims (3)

  1. 공급관의 수돗물을 적정 수압으로 끌어 올려주는 감압밸브;
    상기 감압밸브가 끌어 올려주는 수돗물이 충전되는 충전탱크;
    수돗물의 5개 항목으로 잔류염소를 비롯한 전도도와 PH-유기물 함량과 수온 그리고 탁도를 실시간 측정하는 복수의 측정센서;
    상기 복수의 측정센서 결과를 실시간 비교분석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의 정보를 분석하는 판독부;
    상기 판독부의 정보를 발신하는 발신부;
    관제센터 및 관리센터의 지시에 따라 단속밸브와 배수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로 급수관 및 배수관을 폐쇄 또는 개방하는 단속밸브와 배수밸브 구성으로 수돗물을 실시간 자동측정하고 온라인통신망을 통하여서 관리제어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항 기재의 충전탱크는, 일방향이 막혀 있고 막혀진 방향 일측에 오버플로어 니플관(78)을 가지며, 개방된 방향 내주연에 암나사선이 형성되어 입수구멍(75a)을 비롯한 배출구멍(75b)과 퇴수구멍(75c)을 가지며 내관(76) 및 유도관(77)을 가진 하우징(75)을 구비하여 공급관의 수돗물을 정압 충전하고 복수의 측정센서로 수돗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더 포함하는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1항 기재의 스텝핑모터는 단속밸브가 90°각도에서만 작동되게 함을 더 포함하는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KR1020200024883A 2020-02-28 2020-02-28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KR20210109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883A KR20210109818A (ko) 2020-02-28 2020-02-28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883A KR20210109818A (ko) 2020-02-28 2020-02-28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818A true KR20210109818A (ko) 2021-09-07

Family

ID=7779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883A KR20210109818A (ko) 2020-02-28 2020-02-28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98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848A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트렌드팜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KR20230158272A (ko) * 2022-05-11 2023-11-2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848A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트렌드팜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KR20230158272A (ko) * 2022-05-11 2023-11-2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0441B2 (en) Urban runoff water treatment methods and systems
US20110210049A1 (en) Water treatment systems with communication network links and methods
US20110036760A1 (en) Grey water regeneration system
KR20210109818A (ko)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US20050133459A1 (en) In-home water treatment system
KR102289164B1 (ko)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US7241380B2 (en) Ultraviolet treatment unit and septic tank system
US6723232B2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N213707901U (zh) 一种净水机
NL2031114B1 (en) HMF Wastewater Treatment and Recycling Process
CN213388113U (zh) 一种智能水处理装置
CN111470690A (zh) 自来水二次净化装置
KR100234882B1 (ko) 불소 투입방법 및 시스템
CN207031146U (zh) 全自动压力式净水站
KR102582355B1 (ko) 정화조 폭기장치의 관리 시스템
CN212334895U (zh) 自来水二次净化装置
KR102385817B1 (ko) 자연유하식 차아염소산나트륨 투입 장치
CN115403182B (zh) 一种脱硫废水处理系统及工艺
TWI773126B (zh) 智能淨水系統
CN107585908A (zh) 用于钛材加工酸洗污水的自动化处理控制系统
CN208814681U (zh) 用于集中式供水的小水量混凝/沉淀/过滤一体化装置
KR102576339B1 (ko) 정수효율 교대순환 측정장치
GB2386117A (en) Flui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CN218811095U (zh) 一体化净水处理设备
CN103435218B (zh) 一种臭氧-baf联用污水应急处理的方法及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