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164B1 -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164B1
KR102289164B1 KR1020210025233A KR20210025233A KR102289164B1 KR 102289164 B1 KR102289164 B1 KR 102289164B1 KR 1020210025233 A KR1020210025233 A KR 1020210025233A KR 20210025233 A KR20210025233 A KR 20210025233A KR 102289164 B1 KR102289164 B1 KR 102289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tap water
tap
wate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164B9 (ko
Inventor
이민수
김광석
박혜진
이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텍
Priority to KR1020210025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164B1/ko
Publication of KR10228916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16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1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clearness or turbidity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빌라, 다세대 등 공동주택에서 사용하는 수돗물을 공동주택 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지역 배수지(정수장)에서 송수관(배수관)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공급할 때, 원수의 수질을 측정하여 기준치 미달인 경우에만 정수처리를 진행하여 정수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공동 주택용 스마트 수돗물 처리 시스템은, 공동주택 저수조의 전단, 후단 및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 유입 전단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상기 제3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수돗물을 1차로 정수하여 출력하는 필터타입 정수장치;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를 통해 1차로 정수된 수돗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2차로 정수하여 출력하는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 및 상기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바이패스(bypass)되도록 단속하는 제4 밸브 및 제6 밸브;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로부터 수돗물의 수질 상태에 따라, 인공지능(AI)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제1 밸브 내지 상기 제7 밸브의 각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밸브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Smart tap water filtering system for water tank in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아파트, 빌라, 다세대 등 공동주택에서 사용하는 수돗물을 공동주택 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지역 배수지(정수장)에서 송수관(배수관)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공급할 때, 원수 수질 측정후 기준치 미달인 경우에만 정수처리를 진행하여 정수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좋은 물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으나, 상수원 수질의 악화와 공급 관로의 노후화에 따른 2차 오염의 발생으로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고 있는 가정은 찾아보기 힘든 현실이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는 별도로 정수기를 설치하거나 먹는 샘물(생수)을 구입하여 마시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 이로 인해 각 가정에서의 경제적 부담 뿐만 아니라, 관리 미숙으로 오히려 오염된 물을 먹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런 이유로, 최근에는 입주자들에게 안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중앙 공급식 정수 처리장치를 설치하는 공동주택(아파트)이 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공동주택 내 중앙정수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먼저, 일반적으로 취수장에서 상수도 공급시 이미 정수 처리된 수돗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아파트내 별도의 중앙정수 처리장치가 불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아파트내 별도의 중앙정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처리 전/후의 수돗물 수질 기준이 모두 적합 판정을 받게 되어 그 효과가 미진하다는 것이다.
또한 중앙정수 처리장치는 공급 수돗물이 깨끗해도 주기적으로 필터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관리비가 고비용이라는 것이다. 오히려 필터관리 문제시 공급되는 수돗물이 오염된 필터를 통해 2차 오염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즉, 종래의 공동주택(아파트) 중앙정수 처리장치는 대부분이 공급되는 수돗물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공급되는 수돗물의 수질이 기준에 부합되어도 항상 정수장치를 거쳐서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유지관리 비용이 비싸며, 유지관리가 불량할 시 오염된 필터에 의하여 2차 오염이 발생하여 공급되는 원수를 오염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공급되는 원수의 수질을 감지하여 기준치 미달인 경우에만 정수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면 효율적인 정수시설 장치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유지 관리비의 절감과 필터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 필터의 오염에 의한 수돗물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10-2001-0010494 A (2001. 02. 15.)
전술한 필요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 빌라, 다세대 등 공동주택에서 사용하는 수돗물을 공동주택 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지역 배수지(정수장)에서 송수관(배수관)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공급할 때, 원수의 수질 측정후 기준치 미달인 경우에만 정수처리를 진행하여 정수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은, 지역 배수지로부터 원수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공동주택에 공급하기 위해 저장하는 공동주택 저수조;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전단, 후단 및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 유입 전단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 상기 원수 공급관에 남아 있는 수돗물을 필터교체 또는 점검시 배수하는 배수 펌프; 상기 원수 공급관과 상기 배수 펌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원수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상기 배수 펌프로 공급하는 것을 단속하는 제1 밸브; 상기 원수 공급관과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 사이에 배치되고, 수돗물이 상기 원수 공급관에서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2 밸브;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배수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수돗물이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3 밸브;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상기 제3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수돗물을 1차로 정수하여 출력하는 필터타입 정수장치;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를 통해 1차로 정수된 수돗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2차로 정수하여 출력하는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3 밸브를 통과하는 수돗물이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 및 상기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바이패스(bypass)되도록 단속하는 제4 밸브 및 제6 밸브;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3 밸브를 통과하는 수돗물이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5 밸브; 상기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수돗물을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7 밸브; 상기 제6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통과하는 수돗물을 펌핑하여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하는 급수 펌프;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로부터 수돗물의 수질 상태에 따라, 인공지능(AI)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제1 밸브 내지 상기 제7 밸브의 각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밸브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 및 유해물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지역 배수지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수질등급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이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 및 상기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바이패스(bypass)되어 상기 급수 펌프를 통하여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 및 유해물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지역 배수지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수질등급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이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 및 상기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를 경유하여 1차 정수 및 2차 정수되어 상기 급수 펌프를 통하여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 및 상기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의 필터교체 또는 점검시, 상기 원수 공급관에 남아 있는 수돗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제2 밸브 내지 상기 제6 밸브를 클로즈(Close) 시키고,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만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는,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전단에 설치된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후단에 설치된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 및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 유입 전단에 설치된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 유입되는 수돗물과,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유입되는 수돗물에 대한 수질 상태를 검출하여 센싱 데이터로 출력하고, 상기 수돗물에서 유해 물질을 검출하여 유해물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정상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충분하고 수질 등급이 정상이며, 상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모두 적합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2 밸브 내지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충분하고 수질 등급이 정상이며, 상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하고, 상기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 및 상기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적합인 경우,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부족하고 수질 등급이 부족하며, 상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 및 상기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하고, 상기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적합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부족하고 수질 등급이 부족하며, 상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 내지 상기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모두 부적합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정상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불량하고 수질 등급이 불량이며, 상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적합하고, 상기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지역 배수지로부터 송수관, 급수관, 배수관 및 취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의 시수압을 감압시키는 감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 장치는 상부에 바이패스(by-pass) 배관이 설치되어, 상기 감압 장치의 교체 또는 수리하는 경우에 사용하고 상기 감압 장치를 빠져나가는 라인에 상기 바이패스 배관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는, 상기 수돗물이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 및 현탁물질, 찌꺼기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마이크로 필터를 통하여 1차 여과하여 제거하고, 1차 여과된 수돗물을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는, 상기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 및 현탁물질, 찌꺼기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1차 여과 제거하는 마이크로 필터, 1차 여과된 수돗물을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마이크로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는, 상기 수돗물이 유입구로 유입되어 반응 공간부 내의 활성탄 여과기의 카본필터를 통과하면서 수돗물 중에 함유된 총유기탄소(TOC), 용존유기물질(DOC), THMFP, THM, 페놀, 유기인계 및 유기염소계 농약,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 맛ㆍ냄새 및 색도 유발물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해물질을 2차 여과ㆍ흡착 처리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는, 상기 수돗물에 대한 수질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수돗물에서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유독 검출부;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유독 검출부에서 검출된 유해물 데이터를 아날로그 출력방식 또는 디지털 출력방식에 따라 통신망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유해물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돗물의 잔류 염소를 검출하는 잔류염소 센서; 상기 수돗물의 탁도를 검출하는 탁도 센서; 상기 수돗물의 수소이온농도(PH)를 검출하는 수소이온농도 센서; 상기 수돗물에 대한 전기전도도(EC)를 검출하는 전기전도도 센서; 상기 수돗물에 대한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 상기 수돗물에 대한 압력을 검출하는 수압 센서; 상기 수돗물에 대한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센서; 상기 수돗물에 대한 산화 환원의 전위를 검출하는 산화환원전위(ORP) 센서; 상기 수돗물에 대한 철이온의 농도를 검출하는 철이온 농도 센서; 상기 수돗물에 대한 구리 이온의 농도를 검출하는 구리이온농도 센서; 상기 수돗물에 대한 부유물의 입자 크기를 검출하는 부유물 입자 센서; 및 상기 수돗물에 대한 전기 전도도를 검출하는 전기 전도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방법은, 지역 배수지로부터 원수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공동주택에 공급하기 위해 저장하는 공동주택 저수조의 전단, 후단 및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 유입 전단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방법으로서, (a) 상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가 상기 수돗물에 대한 수질 상태 및 유해 물질을 각각 검출하여 센싱 데이터 및 유해물 데이터로 출력하는 단계; (b) 밸브 제어 장치가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유해물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수돗물에 대한 원수가 수질 등급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밸브 제어 장치가 상기 원수의 수질등급 만족 시에, 상기 수돗물이 필터타입 정수장치 및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바이패스(bypass)되어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되도록 제2 밸브, 제3 밸브, 제4 밸브 및 제6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밸브 제어 장치가 상기 원수의 수질등급 이상 시에, 상기 수돗물이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 및 상기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를 경유하여 1차 정수 및 2차 정수되어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3 밸브, 제5 밸브 및 제7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 및 상기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의 필터교체 또는 점검 시에, 상기 원수 공급관에 남아 있는 수돗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제2 밸브 내지 상기 제6 밸브를 클로즈(Close) 시키고,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만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정상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충분하고 수질 등급이 정상이며, 상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모두 적합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2 밸브 내지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충분하고 수질 등급이 정상이며, 상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하고, 상기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 및 상기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적합인 경우,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부족하고 수질 등급이 부족하며, 상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 및 상기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하고, 상기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적합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부족하고 수질 등급이 부족하며, 상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 내지 상기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모두 부적합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정상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불량하고 수질 등급이 불량이며, 상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적합하고, 상기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는 상기 수돗물이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 및 현탁물질, 찌꺼기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마이크로 필터를 통하여 1차 여과하여 제거하고, 1차 여과된 수돗물을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는 상기 수돗물이 유입구로 유입되어 반응 공간부 내의 활성탄 여과기의 카본필터를 통과하면서 수돗물 중에 함유된 총유기탄소(TOC), 용존유기물질(DOC), THMFP, THM, 페놀, 유기인계 및 유기염소계 농약,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 맛ㆍ냄새 및 색도 유발물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해물질을 2차 여과ㆍ흡착 처리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주택에서 사용하는 수돗물을 공동주택 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지역 배수지(정수장)에서 송수관(배수관)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공급할 때, 원수의 수질을 측정하여 기준치 미달인 경우에만 정수처리를 진행하여 정수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동력 및 고속으로 원수 내 플럭을 침전 및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럭 혹은 슬러지가 침전조 상부로 부상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혼화 및 응집 공정이 하나의 챔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구조가 단순화되어 부지가 협소한 면적에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급속으로 혼화 및 응집 공정이 이루어져 수처리 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수처리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탱크 내부로 수돗물이 유입될 때 활성탄을 이용한 필터가 물 속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시켜 줌으로써, 항상 깨끗하고 맑은 수돗물을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의 오리피스 관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고속 침전시킬 수 있어, 수처리 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수처리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동력으로 슬러지를 침전시킬 수 있어 수처리 장치를 유지 및 관리하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타입 정수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타입 정수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타입 정수장치에서 2차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2차 필터의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방법에서 수돗물의 양과 수질에 따른 각 밸브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100)은, 공동주택 저수조(10),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A, B, C), 필터타입 정수장치(20),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30), 배수 펌프(40), 밸브 제어 장치(50), 급수 펌프(60) 및 제1 밸브(1) 내지 제7 밸브(7)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을 간단히 '스마트 필터링 시스템' 또는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이라 칭할 수 있다.
공동주택 저수조(10)는 지역 배수지로부터 원수 공급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공동주택에 공급하기 위해 저장하는 탱크이다.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A, B, C)는 공동주택 저수조(10)의 전단, 후단 및 공동주택의 각 세대 유입 전단에 각각 설치된다.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A)는 공동주택 저수조(10)의 전단에 설치되고,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B)는 공동주택 저수조(10)의 후단에 설치되며,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C)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 유입 전단에 설치된다.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A, B, C)는 공동주택 저수조(10)로 유입되는 수돗물과, 공동주택 저수조(10)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유입되는 수돗물에 대한 수질 상태를 검출하여 센싱 데이터로 출력하고, 수돗물에서 유해 물질을 검출하여 유해물 데이터로 출력한다.
필터타입 정수장치(20)는 공동주택 저수조(10)로부터 제3 밸브(3)를 통해 배출되는 수돗물을 1차로 정수하여 출력한다.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30)는 필터타입 정수장치(20)를 통해 1차로 정수된 수돗물에 자외선을 조사 및 살균하여 2차로 정수하여 출력한다.
배수 펌프(40)는 필터교체 또는 점검시 원수 공급관(11)에 남아 있는 수돗물을 펌핑하여 배수한다.
밸브 제어 장치(50)는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A, B, C)로부터 수돗물의 수질 상태에 따라, 인공지능(AI)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제1 밸브(1) 내지 제7 밸브(7)의 각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급수 펌프(60)는 공동주택 저수조(10)로부터 배출된 수돗물 또는 필터타입 정수장치(20) 및 자외선 살균 정수장치(30)를 통해 정수된 수돗물을 공동주택 각 세대로 공급하기 위해, 제6 밸브(6) 및 제7 밸브(7)를 통과하는 수돗물을 펌핑하여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한다.
제1 밸브(1)는 원수 공급관(11)과 배수 펌프(40) 사이에 배치되고, 원수 공급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배수 펌프(40)로 공급하는 것을 단속한다.
제2 밸브(2)는 원수 공급관(11)과 공동주택 저수조(10) 사이에 배치되고, 수돗물이 원수 공급관(11)에서 공동주택 저수조(10)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한다.
제3 밸브(3)는 공동주택 저수조(10)의 배수구 측에 배치되고, 공동주택 저수조(10)부터 수돗물이 배출되는 것을 단속한다.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는 공동주택 저수조(10)로부터 배출되어 제3 밸브(3)를 통과하는 수돗물이 필터타입 정수장치(20) 및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30)를 경유하지 않고 바이패스(bypass)되도록 단속한다.
제5 밸브(5)는 공동주택 저수조(10)로부터 배출되어 제3 밸브(3)를 통과하는 수돗물이 필터타입 정수장치(20)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한다.
제7 밸브(7)는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수돗물을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한다.
밸브 제어 장치(50)는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A, B, C)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 및 유해물 데이터에 근거하여 지역 배수지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수질등급을 만족하는 경우에,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이 필터타입 정수장치(20) 및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30)를 경유하지 않고 바이패스(bypass)되어 급수 펌프(60)를 통하여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되도록 제2 밸브(2), 제3 밸브(3),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밸브 제어 장치(50)는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A, B, C)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 및 유해물 데이터에 근거하여 지역 배수지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수질등급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공동주택 저수조(10)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이 필터타입 정수장치(20) 및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30)를 경유하여 1차 정수 및 2차 정수되어 급수 펌프(60)를 통하여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되도록 제2 밸브(2), 제3 밸브(3), 제5 밸브(5) 및 제7 밸브(7)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밸브 제어 장치(50)는 필터타입 정수장치(2) 및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30)의 필터교체 또는 점검시, 원수 공급관(11)에 남아 있는 수돗물이 배수되도록 제2 밸브(2) 내지 제6 밸브(6)를 클로즈(Close) 시키고, 제1 밸브(1) 및 제7 밸브(7)만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밸브 제어 장치(50)는 원수의 수질 등급이 정상이고, 공동주택 저수조(10)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충분하고 수질 등급이 정상이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A, B, C)의 검출 결과가 모두 적합인 경우, 제1 밸브(1), 제5 밸브(5) 및 제7 밸브(7)를 클로즈(Close)시키고, 제2 밸브(2) 내지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밸브 제어 장치(50)는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공동주택 저수조(10)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충분하고 수질 등급이 정상이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A)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하고,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B) 및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C)의 검출 결과가 적합인 경우, 제2 밸브(2), 제5 밸브(5) 및 제7 밸브(7)를 클로즈(Close)시키고, 제1 밸브(1), 제3 밸브(3),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밸브 제어 장치(50)는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공동주택 저수조(10)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부족하고 수질 등급이 부족하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A) 및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B)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하고,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C)의 검출 결과가 적합인 경우, 제1 밸브(1),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를 클로즈(Close)시키고, 제2 밸브(2), 제3 밸브(3), 제5 밸브(5) 및 제7 밸브(7)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밸브 제어 장치(50)는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공동주택 저수조(10)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부족하고 수질 등급이 부족하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A)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C)의 검출 결과가 모두 부적합인 경우, 제1 밸브(1),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를 클로즈(Close)시키고, 제2 밸브(2), 제3 밸브(3), 제5 밸브(5) 및 제7 밸브(7)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밸브 제어 장치(50)는 원수의 수질 등급이 정상이고, 공동주택 저수조(10)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불량하고 수질 등급이 불량이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A)의 검출 결과가 적합하고,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B)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인 경우, 제1 밸브(1),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를 클로즈(Close)시키고, 제2 밸브(2), 제3 밸브(3), 제5 밸브(5) 및 제7 밸브(7)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지역 배수지로부터 송수관, 급수관, 배수관 및 취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의 시수압을 감압시키는 감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감압 장치는 상부에 바이패스(by-pass) 배관이 설치되어, 감압 장치의 교체 또는 수리하는 경우에 사용하고, 감압 장치를 빠져나가는 라인에 바이패스 배관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A)는, 예를 들면 수돗물이 유입구로 유입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 및 현탁물질, 찌꺼기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마이크로 필터를 통하여 1차 여과하여 제거하고, 1차 여과된 수돗물을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한다.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B)는, 예를 들면 수돗물이 유입구로 유입되어 반응 공간부 내의 활성탄 여과기의 카본필터를 통과하면서 수돗물 중에 함유된 총유기탄소(TOC), 용존유기물질(DOC), THMFP, THM, 페놀, 유기인계 및 유기염소계 농약,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 맛ㆍ냄새 및 색도 유발물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해물질을 2차 여과ㆍ흡착 처리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타입 정수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타입 정수장치(20)는, 유입구(110a)와 배출구(110b)를 포함한 반응조(110), 마이크로 필터(112), 지지판(113)을 구비한다.
유입구(110a)는 수돗물이 유입되는 것으로서, 감압 장치와 연결되어 있고, 이 유입구(110a)를 통해서 수돗물이 유입된다.
마이크로 필터(112)는 1차 필터로서,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 및 현탁물질, 찌꺼기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1차로 여과하여 제거한다.
배출구(110b)는 1차 여과된 수돗물을 배출한다.
지지판(113)은 마이크로 필터(112)를 지지한다.
감압 장치와 연결된 필터타입 정수장치(20)는 상부에 바이패스 배관이 설치되어 마이크로 필터(112)를 교체 또는 수리하는 경우에 사용하고, 배출구(110b) 라인에 바이패스 배관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로 필터(112)는 Cotton, Polypropylene, Acrylic, Grass 또는 PP 등의 재질로 만든 메디아(media)를 사용한 마이크로 여과 필터로서, 필터의 크기에 따라 수돗물 중에 함유된 부유 및 현탁물질, 각종 찌꺼기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미크론 단위까지 제거하고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타입 정수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타입 정수장치(20)는, 유입구(117a)와 배출구(117b)를 포함한 반응조(117)와, 2차 필터(120), 지지판(118), 제어판넬(115)을 구비한다.
반응조(117)의 유입구(117a)는 공동주택 저수조(10)와 연결되어 있고, 그 유입구(117a)를 통해 수돗물 또는 1차 처리된 수돗물이 공급되며, 공급된 수돗물 또는 1차 처리된 수돗물은 활성탄 여과기(113)와 살균기(116)를 통과하면서 2차 처리 후 정화되어 반응조(117)의 배출구(117b)를 통해 배출된다.
공동주택 저수조(10)와 연결된 필터타입 정수장치(20)는 상부에 바이패스 배관이 설치되어, 카본필터(131) 및 자외선 램프(129)를 교체 또는 수리하는 경우에 사용하고, 배출구(17b) 라인에 바이패스 배관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2차 필터(120)에는 활성탄 여과기(113)와 살균기(116)가 구비된다. 활성탄 여과기(113)는 카본필터(131)로 활성탄과 원통형 다공 망목 구조의 여과망(122)으로 구성되고, 살균기(116)는 자외선 램프(129), 석영관(114), 안정기(미도시)로 구성된다.
2차 필터(120)는 활성탄 여과기(113)의 카본필터(131)의 내부 정수관통(123) 중앙에 살균기(116)의 자외선 램프(129)가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2차 필터(120)의 반응 공간부(130)에 형성되어 마련된다. 2차 필터(120)는 반응 공간부의 수평 하부 지지판(118)에 수직으로 고정되게 구성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설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2차 여과ㆍ흡착ㆍ살균 처리된 수돗물은 급수관에 설치된 급수 펌프(20)에 의해 상향 공급방식으로 각 세대에 공급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타입 정수장치에서 2차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2차 필터의 ?-?선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타입 정수장치(20)의 2차 필터(120)는, 원통형 다공 망목구조의 카본필터(131)를 포함한다.
카본필터(131)는 내부 정수관통(123) 중앙에 상ㆍ하 방향으로 자외선 램프(129)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탄(124)은 5 내지 150 크기의 많은 미세 기공이 형성된 단위 질량당 비표면적(500 내지 1,500m2/g)이 큰 입자상의 활성탄으로 유해물질을 여과ㆍ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필터(131)는 내부 타공 정수관통(123), 외형을 이루는 외부 메쉬망(122), 원형의 상ㆍ하부 덮개부(125)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외부 메쉬망(122)에는 여과망에 적층된 입자상의 활성탄이 유출되지 않는 크기(10??100mesh)의 여과망이 마련되어 있고, 내부 타공 정수관통(123)의 표면은 입자상의 활성탄이 유출되지 않도록 무독성 다공 부직포(127)를 감아 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본필터의 상부 덮개부(125a) 내부에는 활성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원형 다공 부직포(121)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공 정수관통(123)에는 처리된 원수의 원활한 통수를 위해 5mm 내지 20mm 크기로 타공되어 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 필터링 장치(B)는 원통형 다공 망목구조의 여과망 형태로 구성된 카본필터(131)로서, 타공 정수관통(123)과 외부 메쉬망(122)의 사이에 미세 기공과 비표면적이 큰 입자상의 활성탄이 충진되어 있어 수돗물 중에 함유된 다양한 유해물질, 예를 들면, TOC(total organic carbon), DOC(dissolved organic carbon), THMFP(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 THM(trihalomethane), 페놀, 유기인계 및 유기염소계 농약, 비스페놀 A 등과 같은 내분비계 장애물질, 맛ㆍ냄새 및 색도 유발물질 등을 여과ㆍ흡착 처리하게 된다.
살균기(116)는 자외선 살균선(253.7nm)과 오존 발생선(184.9nm)을 동시에 출력하는 자외선 램프(129)와 안정기로 구성되어, 2차 필터링 장치(B)에서 배출된 여과ㆍ흡착 처리된 수돗물은 살균기(116)를 통과하면서 자외선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과 발생되는 오존에 의해 수중에 남아있는 염소 소독으로 잘 살균되지 않는 각종 병원성 미생물(Cryptosporidium, Giardia Lamblia),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을 순간적으로 사멸 및 살균하게 된다.
제어판넬(115)에는 안정기가 내장되어 구성되고, 2차 필터(120)의 외부 표면에 설치되어 자외선ㆍ오존 램프(129)의 점등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30)는, 필터 하우징(510), 제1 압력센서(512), 필터(520), 필터 가이드 유닛(522), UV 유닛 하우징(530), UV 살균 유닛(532), 제2 압력센서(540)를 포함한다.
필터 하우징(510)은 필터(520)를 수용하고, 필터(520)는 수돗물을 필터링한다. 필터 가이드 유닛(522)은 필터(520)를 필터 하우징(510)의 내부에 설치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한다.
제1 압력센서(512)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의 압력을 감지한다.
UV 유닛 하우징(530)은 UV 살균 유닛(532)을 수용하고, UV 살균 유닛(532)은 유입된 수돗물에 UV광을 조사하여 살균 및 정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압력센서(540)는 살균 및 정수된 수돗물의 압력을 감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돗물 수질 측정기(A)는, 수돗물의 수질 상태 및 유독물을 검출하는 측정기로서, 센서부(601), 유독 검출부(602), 마이크로 프로세서(603), 표시부(604), 통신부(605) 및 메모리(606)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601)는 수돗물에 대한 수질 상태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601)는 수돗물의 잔류 염소를 검출하는 잔류염소 센서; 수돗물의 탁도를 검출하는 탁도 센서; 수돗물의 수소이온농도(PH)를 검출하는 수소이온농도 센서; 수돗물에 대한 전기전도도(EC)를 검출하는 전기전도도 센서; 수돗물에 대한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 수돗물에 대한 압력을 검출하는 수압 센서; 수돗물에 대한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센서; 수돗물에 대한 산화 환원의 전위를 검출하는 산화환원전위(ORP) 센서; 수돗물에 대한 철이온의 농도를 검출하는 철이온 농도 센서; 수돗물에 대한 구리 이온의 농도를 검출하는 구리이온농도 센서; 수돗물에 대한 부유물의 입자 크기를 검출하는 부유물 입자 센서; 및 수돗물에 대한 전기 전도도를 검출하는 전기 전도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돗물 수질 측정기(A)는 잔류염소, PH, 탁도, 전기 전도도, 온도, 금속이온(철, 구리, 마그네슘 등), 수압, 유속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유독 검출부(602)는 수돗물에서 유해 물질을 검출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603)는 센서부(601)에서 검출된 센싱 데이터 및 유독 검출부(602)에서 검출된 유해물 데이터를 아날로그 출력방식 또는 디지털 출력방식에 따라 통신망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604)는 센싱 데이터 및 유해물 데이터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통신부(605)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03)의 제어에 따라 센싱 데이터 및 유해물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메모리(606)는 센싱 데이터 및 유해물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C)는, 유입수가 공급되는 챔버 내에 날개의 직경이 상이한 2개의 임펠러 교반기와 다공판이 배치되고, 2개의 임펠러 교반기는 날개 직경이 작아지는 순으로 챔버 내에 배치되며, 다공판은 2개의 임펠러 교반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C)는, 수돗물이 챔버 내에 유입되고, 챔버 내의 수돗물수에 응집제를 공급하며, 응집제를 포함하는 수돗물을 교반하여 수돗물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플럭으로 형성시키며, 이 플럭을 포함하는 수돗물을 다공판을 통과시켜 플럭을 성장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C)에서는 수돗물을 교반하는 공정을 통해 수돗물 내 이물질이 미세 플럭으로 형성되고, 미세 플럭을 포함하는 수돗물을 다공판에 통과시킴으로써 미세 플럭을 조대화시켜 하나의 챔버 내에서 혼화 공정과 응집 공정이 급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교반하는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임펠러 타입의 교반기를 30 ~ 110sec-1의 회전수로 교반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110sec-1의 회전수로 교반할 수 있다.
여기서, 교반하는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임펠러 타입의 교반기를 30 ~ 110sec-1의 회전수로 교반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50sec-1의 회전수로 교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챔버 내 수돗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수돗물에 포함된 플럭수를 산출하여 교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수돗물의 온도는 챔버의 상, 하부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돗물에 공급되는 응집제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피처리수 중에 포함되는 현탁물질(탁질), 콜로이드 성분, 용해성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 성분 등을 응결이나 응집하여 플록(응집물)을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산화알루미늄, 황산제1철, 황산제2철, 염화제2철, 폴리염화알루미늄(PAC) 등의 알루미늄염이나 철염 등의 무기 응집제, 고분자 응집제, MT 아쿠아 폴리머제, 양이온 폴리머겔, 인, 아코젤 C 등 수중에서 팽윤하고 실질적으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양이온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입자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응집제와 함께 응집 보조제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응집 보조제로는 점토, 수산화칼슘, 양이온 응집제, 음이온 응집제 및 비이온 응집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C)는, 침전조로서, 사각통형의 호퍼의 양 내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가 이격되어 설치된 배플 사이로 플럭을 포함하는 수돗물 원수가 공급되고, 원수에 포함된 플럭은 호퍼의 내측면을 따라 중력에 의해 호퍼의 하부로 이동하는데, 배플과 호퍼의 양 내측면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판에 의해 흐름이 분산되고, 배플의 말단에 존재하는 경사판에 의해 재부상이 방지되며 원형의 오리피스 관으로 그 흐름이 유도된다.
원형의 오리피스 관은 직경이 큰 것이 직경이 작은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호퍼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호퍼의 하부에 도달한 플럭은 두 원형의 오리피스 관에 형성된 오리피스 홀을 순차적으로 빠르게 통과하며 슬러지로 침전되어 호퍼의 가장 하부에 존재하는 슬러지 배출구를 통해 호퍼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원형의 오리피스 관 상부에는 단면이 'L'자 형상인 절곡판이 구비되어 오리피스 홀을 통과하는 플럭이나 슬러지가 재부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플럭이 제거된 깨끗한 원수만이 호퍼의 상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침전조를 이용하여 원수 내 플럭을 고속으로 침전시키는 수돗물 수질 측정기(A, B, C)는, 플럭을 포함하는 원수를 호퍼 내에 공급하고, 플럭을 포함하는 원수를 호퍼 내부에 배치된 원형 관에 형성된 오리피스 홀을 통과시켜 플럭을 슬러지로 침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오리피스 홀을 통과하거나, 혹은 통과하지 않고도 호퍼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호퍼의 상부를 통하여 플럭이 제거된 원수를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혼화 응집조인 수돗물 수질 측정기(A, B, C)에 따르면, 챔버 내로 공급된 유입수와 응집제가 교반기를 통해 혼화되어 미세 플럭(floc)이 형성되고, 미세 플럭이 포함된 유입수가 다공판에 포함된 복수 개의 구멍을 통과하면서 충돌을 통해 조대 플럭이 생성되어 하나의 챔버 내에서 혼화 공정과 응집 공정이 급속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구현 예에 따르면, 교반기는 날개를 갖는 임펠러(impeller) 타입일 수 있다. 여기서 교반기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교반기의 날개 직경은 같거나 상이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날개 직경이 상이한 복수 개의 교반기를 챔버 상부에서 챔버 하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유입수가 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더욱 빠른 혼화 속도로 인해 플럭 생성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100)에서,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A, B, C)가 수돗물에 대한 수질 상태 및 유해 물질을 각각 검출하여 센싱 데이터 및 유해물 데이터로 출력한다(S710).
이어, 밸브 제어 장치(50)는 각 수돗물 수질 측정기(A, B, C)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 및 유해물 데이터에 근거하여 수돗물에 대한 원수가 수질 등급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720).
이어, 밸브 제어 장치(50)는 원수의 수질등급 만족 시에, 수돗물이 필터타입 정수장치(20) 및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30)를 경유하지 않고 바이패스(bypass)되어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되도록 제2 밸브(2), 제3 밸브(3),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를 오픈(Open) 제어한다(S730).
따라서, 지역 배수지로부터 원수 공급관(11)을 통하여 유입된 수돗물은 제2 밸브(2)를 통해 공동주택 저수조(10)에 저장되었다가, 공동주택 저수조(10)로부터 제3 밸브(3)를 통하여 배출되어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를 통해 급수 펌프(60)로 이송되고, 급수 펌프(60)는 이송받은 수돗물을 펌핑 동작으로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밸브 제어 장치(50)는 원수의 수질등급 이상시, 수돗물이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20) 및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30)를 경유하여 1차 정수 및 2차 정수되어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되도록 제2 밸브(2), 제3 밸브(3), 제5 밸브(5) 및 제7 밸브(7)를 오픈(Open) 제어한다(S740).
따라서, 지역 배수지로부터 원수 공급관(11)을 통하여 유입된 수돗물은 제2 밸브(2)를 통해 공동주택 저수조(10)에 저장되었다가, 공동주택 저수조(10)로부터 제3 밸브(3)를 통하여 배출되어 제5 밸브(5)를 통해 필터타입 정수장치(20)로 이송되고, 필터타입 정수장치(20)는 이송받은 수돗물을 1차로 정수하여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30)로 출력하고,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30)는 1차 정수된 수돗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 및 2차 정수하여 제7 밸브(7)를 통해 급수 펌프(60)로 출력하며, 급수 펌프(60)는 이송받은 수돗물을 펌핑 동작하여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밸브 제어 장치(50)는 필터타입 정수장치(20) 및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30)의 필터교체 또는 점검시, 원수 공급관(11)에 남아 있는 수돗물이 배수되도록 제2 밸브(2) 내지 제6 밸브(6)를 클로즈(Close) 시키고, 제1 밸브(1) 및 제7 밸브(7)만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제어 장치(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의 수질 등급이 정상이고, 공동주택 저수조(10)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충분하고 수질 등급이 정상이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A, B, C)의 검출 결과가 모두 적합인 경우, 제1 밸브(1), 제5 밸브(5) 및 제7 밸브(7)를 클로즈(Close)시키고, 제2 밸브(2) 내지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방법에서 수돗물의 양과 수질에 따른 각 밸브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밸브 제어 장치(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공동주택 저수조(10)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충분하고 수질 등급이 정상이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A)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하고,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B) 및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C)의 검출 결과가 적합인 경우, 제2 밸브(2), 제5 밸브(5) 및 제7 밸브(7)를 클로즈(Close)시키고, 제1 밸브(1), 제3 밸브(3),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즉, 원수의 수질이 정상이 될 때까지 공급을 차단하며, 정상 수질의 저수조 물을 이용하여 정상 공급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밸브 제어 장치(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공동주택 저수조(10)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부족하고 수질 등급이 부족하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A) 및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B)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하고,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C)의 검출 결과가 적합인 경우, 제1 밸브(1),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를 클로즈(Close)시키고, 제2 밸브(2), 제3 밸브(3), 제5 밸브(5) 및 제7 밸브(7)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즉, 저수조의 수돗물 량이 부족하면 불량인 원수를 공급받고 스마트 필터링 시스템으로 정수하여 각 세대로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밸브 제어 장치(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공동주택 저수조(10)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부족하고 수질 등급이 부족하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A)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C)의 검출 결과가 모두 부적합인 경우, 제1 밸브(1),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를 클로즈(Close)시키고, 제2 밸브(2), 제3 밸브(3), 제5 밸브(5) 및 제7 밸브(7)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필터링 시스템의 한계 도달 및 경보 후 모든 밸브 차단 후 필터 교체 조치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필터 교체 및 점검을 실행하는 것이다.
또한, 밸브 제어 장치(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의 수질 등급이 정상이고, 공동주택 저수조(10)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불량하고 수질 등급이 불량이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A)의 검출 결과가 적합하고,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B)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인 경우, 제1 밸브(1), 제4 밸브(4) 및 제6 밸브(6)를 클로즈(Close)시키고, 제2 밸브(2), 제3 밸브(3), 제5 밸브(5) 및 제7 밸브(7)를 오픈(Open) 제어할 수 있다. 즉, 저수도에서 오염이 발생되었음을 알림 및 스마트 필터링 시스템으로 정수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필터타입 정수장치(20)는 수돗물이 유입구로 유입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 및 현탁물질, 찌꺼기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마이크로 필터를 통하여 1차 여과하여 제거하고, 1차 여과된 수돗물을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필터타입 정수장치(20)는 수돗물이 유입구로 유입되어 반응 공간부 내의 활성탄 여과기의 카본필터를 통과하면서 수돗물 중에 함유된 총유기탄소(TOC), 용존유기물질(DOC), THMFP, THM, 페놀, 유기인계 및 유기염소계 농약,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 맛ㆍ냄새 및 색도 유발물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해물질을 2차 여과ㆍ흡착 처리하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아파트, 빌라, 다세대 등 공동주택에서 사용하는 수돗물을 공동주택 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지역 배수지(정수장)에서 송수관(배수관)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공급할 때, 원수의 수질을 측정하여 기준치 미달인 경우에만 정수처리를 진행하여 정수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10 : 공동주택 저수조 20 : 필터타입 정수장치
30 : UV 살균 정수장치 40 : 배수 펌프
50 : 밸브 제어 장치 60 : 급수 펌프
1~7 : 밸브 A, B, C : 수돗물 수질 측정기
110a, 117a : 유입구 110b, 117b : 배출구
110, 117 : 반응조 112 : 마이크로 필터
113, 118 : 지지판 115 : 제어판넬
116 : 살균기 120 : 2차 필터
122 : 외부 메쉬망 123 : 내부타공 정수관통
125 : 상하부 덮개부 131 : 카본필터
300 : 수돗물 원수 301 : 플럭
302 : 슬러지 303 : 플럭이 제거된 원수
310 : 호퍼 311, 312 : 호퍼의 내측면
320, 321 : 배플 330, 331 : 가이드판
340, 341 : 경사판 350, 351 : 원형의 오리피스 관
360 : 오리피스 370 : 절곡판
380 : 슬러지 배출구 510 : 필터 하우징
512 : 제1 압력센서 520 : 필터
522 : 필터 가이드 유닛 530 : UV 유닛 하우징
532 : UV 살균 유닛 540 : 제2 압력센서
601 : 센서부 602 : 유독 검출부
603 : 마이크로 프로세서 604 : 표시부
605 : 통신부 606 : 메모리

Claims (7)

  1. 지역 배수지로부터 원수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공동주택에 공급하기 위해 저장하는 공동주택 저수조;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전단, 후단 및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 유입 전단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
    상기 원수 공급관에 남아 있는 수돗물을 필터교체 또는 점검시 배수하는 배수 펌프;
    상기 원수 공급관과 상기 배수 펌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원수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을 상기 배수 펌프로 공급하는 것을 단속하는 제1 밸브;
    상기 원수 공급관과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 사이에 배치되고, 수돗물이 상기 원수 공급관에서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2 밸브;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배수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수돗물이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3 밸브;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상기 제3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수돗물을 1차로 정수하여 출력하는 필터타입 정수장치;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를 통해 1차로 정수된 수돗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2차로 정수하여 출력하는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3 밸브를 통과하는 수돗물이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 및 상기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바이패스(bypass)되도록 단속하는 제4 밸브 및 제6 밸브;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제3 밸브를 통과하는 수돗물이 상기 필터타입 정수장치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5 밸브;
    상기 자외선(UV) 살균 정수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수돗물을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7 밸브;
    상기 제6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통과하는 수돗물을 펌핑하여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공급하는 급수 펌프;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로부터 수돗물의 수질 상태에 따라, 인공지능(AI) 분석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제1 밸브 내지 상기 제7 밸브의 각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밸브 제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는,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전단에 설치된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후단에 설치된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 및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 유입 전단에 설치된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
    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 유입되는 수돗물과,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수돗물, 상기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 유입되는 수돗물에 대한 수질 상태를 검출하여 센싱 데이터로 출력하고, 상기 수돗물에서 유해 물질을 검출하여 유해물 데이터로 출력하며,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충분하고 수질 등급이 정상이며, 상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하고, 상기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 및 상기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적합인 경우,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정상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상으로 충분하고 수질 등급이 정상이며, 상기 제1 내지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모두 적합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2 밸브 내지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부족하고 수질 등급이 부족하며, 상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 및 상기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하고, 상기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적합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불량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부족하고 수질 등급이 부족하며, 상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 내지 상기 제3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모두 부적합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제어 장치는, 상기 원수의 수질 등급이 정상이고, 상기 공동주택 저수조의 수돗물의 양이 일정 기준 이하로 불량하고 수질 등급이 불량이며, 상기 제1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적합하고, 상기 제2 수돗물 수질 측정기의 검출 결과가 부적합인 경우,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4 밸브 및 상기 제6 밸브를 클로즈(Close)시키고, 상기 제2 밸브, 상기 제3 밸브, 상기 제5 밸브 및 상기 제7 밸브를 오픈(Open)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KR1020210025233A 2021-02-25 2021-02-25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KR102289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233A KR102289164B1 (ko) 2021-02-25 2021-02-25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233A KR102289164B1 (ko) 2021-02-25 2021-02-25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164B1 true KR102289164B1 (ko) 2021-08-12
KR102289164B9 KR102289164B9 (ko) 2022-04-11

Family

ID=7731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233A KR102289164B1 (ko) 2021-02-25 2021-02-25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1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682B1 (ko) 2023-07-06 2024-01-11 주식회사 엠에스텍 오염된 수돗물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공동건물)용스마트 필터링 시스템
KR102634435B1 (ko) * 2023-03-27 2024-02-06 (주) 지오그리드 스마트 건축물 정수 시스템
KR102641798B1 (ko) * 2023-06-20 2024-02-28 (주) 디케이금속 밸브실용 탁도계시스템, 이를 구비한 스마트밸브실 및 스마트밸브실의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494A (ko) 1999-07-20 2001-02-15 조성준 중앙공급식 수도 및 중수도 정수(여과) 시스템 (물종합병원 시스템)
KR20060098704A (ko) * 2005-03-05 2006-09-19 정선구 급수관로의 수질 감시 및 제어용 밸브
KR100808388B1 (ko) * 2007-07-23 2008-02-29 주식회사두합크린텍 하이브리드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중앙 정수시스템
KR20150040719A (ko) * 2013-10-07 2015-04-15 주식회사 화성테크 정수처리 시스템
KR102086125B1 (ko) * 2019-03-29 2020-03-06 김진천 상하수도 약품 투입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494A (ko) 1999-07-20 2001-02-15 조성준 중앙공급식 수도 및 중수도 정수(여과) 시스템 (물종합병원 시스템)
KR20060098704A (ko) * 2005-03-05 2006-09-19 정선구 급수관로의 수질 감시 및 제어용 밸브
KR100808388B1 (ko) * 2007-07-23 2008-02-29 주식회사두합크린텍 하이브리드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중앙 정수시스템
KR20150040719A (ko) * 2013-10-07 2015-04-15 주식회사 화성테크 정수처리 시스템
KR102086125B1 (ko) * 2019-03-29 2020-03-06 김진천 상하수도 약품 투입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435B1 (ko) * 2023-03-27 2024-02-06 (주) 지오그리드 스마트 건축물 정수 시스템
KR102641798B1 (ko) * 2023-06-20 2024-02-28 (주) 디케이금속 밸브실용 탁도계시스템, 이를 구비한 스마트밸브실 및 스마트밸브실의 제어방법
KR102623682B1 (ko) 2023-07-06 2024-01-11 주식회사 엠에스텍 오염된 수돗물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공동건물)용스마트 필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164B9 (ko)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164B1 (ko) 공동주택 저수조용 스마트 수돗물 필터링 시스템
AU2016232986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US5997750A (en) Community drink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US99088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US20160318785A1 (en) Compact scalable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water
US20090308745A1 (en) Process for enhanced total organic carbon removal while maintaining optimum membrane filter performance
BRPI0916079B1 (pt) Método de tratamento de água marinha residual
WO2021072483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AU2013337588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CN100443034C (zh) 淋浴水循环利用系统
Abdel-Jawad et al. Pretreatment of the municipal wastewater feed for reverse osmosis plants
US20240067550A1 (en) Process for treating water
JP2004188273A (ja) 紫外線照射システム
CN208038200U (zh) 一种医疗废水处理装置
KR101685929B1 (ko) 개개의 간이정수장치의 수질판단 및 계측확인이 가능한 근거리통신 기능을 갖는 간이정수장치
US20090230035A1 (en) Advanced in-home water treatment system
KR101935878B1 (ko) 상향류식 모래여과기의 제어 장치
CN215440089U (zh) 一种处理环境监测站实验室废水的工艺系统
JP3741366B2 (ja) 活性炭塔及び同塔における微細活性炭の漏出防止
CN215828540U (zh) 一种数控循环处理净水机
JP2005334777A (ja) 浄水設備
CN213060560U (zh) 一体化实验室废水处理装置
CN219670313U (zh) 一种全自动水处理装置
WO2021030864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for drinking
Selman et al.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Water Treatment Plant (Case Study: Al-Rumaitha Treatment Plant, Al-Muthanna, Iraq)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