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272A -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272A
KR20230158272A KR1020220057780A KR20220057780A KR20230158272A KR 20230158272 A KR20230158272 A KR 20230158272A KR 1020220057780 A KR1020220057780 A KR 1020220057780A KR 20220057780 A KR20220057780 A KR 20220057780A KR 20230158272 A KR20230158272 A KR 20230158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temperature
water sourc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644B1 (ko
Inventor
전태용
여동환
조형동
김준
이정호
구연우
강민우
김한진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7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644B1/ko
Publication of KR20230158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5Arrangement of devices for control of pressure or flow rat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관의 주위 온도와 내부 온도를 측정 및 비교하여 동결을 방지할 수 있는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상수원이 저장되는 저수조와 저수조와 연결되며, 세대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상수관과 상수관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와 온도측정장치와 통신하며, 상수관의 내부 온도에 따라 상수원을 이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System of Freezing Prevention for using Fluid Flow}
본 발명은 상수관의 주위 온도와 내부 온도를 측정 및 비교하여 동결을 방지할 수 있는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양측에 체결구가 형성된 몸체; 일측 단부인 흡입구는 상수관과 연통된 몸체 내부의 공간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인 배출구는 체결구에 체결되는 상수관에 삽입되는 리턴파이프; 상기 리턴파이프의 흡입구로부터 상수를 흡입하여 배출구로 상수를 유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일단부가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공급지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물이 공급되는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수도 공급관; 상기 수도 공급관의 타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도 공급관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제 1 밸브; 상기 수도 공급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물을 상기 수도 공급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수단; 상기 수도 공급관의 일측 중 상기 유입수단과 상기 제 1 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도 공급관을 통해 상기 공급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계량하는 계량기; 일단이 상기 수도 공급관의 일측 중 상기 계량기와 상기 제 1 밸브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재유입관; 상기 재유입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재유입관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제 2 밸브; 상기 제 1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수도 공급관의 유로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 2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재유입관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유입수단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계량기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 1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수도 공급관의 유로가 차단되는 경우,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재유입관의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유입수단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계량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유체가 흐르는 유동배관의 배관포트에 연결되어 일정온도 이하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파방지밸브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를 갖추고 내부에 제1수용실과 제2수용실이 구비되어 상기 배관포트에 연결되는 밸브본체; 상변화물질의 체적변화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벨로우즈관이 구비되어 상기 제2수용실에 배치되는 온도감지유닛; 및 상기 제1수용실로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벨로우즈관의 신축에 따라 이동되는 플런저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파이프의 외측 둘레를 감싸면서 체결되도록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내측과 외측이 연통되도록 관통된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내측으로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천공부에 상기 체결부가 위치되도록 체결되는 클램프; 내측으로는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열선관통공이 형성되면서 상측의 외측둘레로는 상부체결부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클램프의 체결부에 체결되기 위한 하부체결부가 형성된 체결구; 상기 체결구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체결구와 동일한 위치에 복수의 열선관통공이 형성된 패킹; 상기 체결구의 상부체결부에 체결되어 체결구의 상측을 밀폐하여 마감하며, 체결구의 상단과 내측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캡;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부터 천공부, 체결부, 체결구, 패킹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캡의 공간부에서 서로 결선되는 복수의 열선;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2-0086869 A (2012년08월06일) KR 10-1528163 B1 (2015년06월05일) KR 10-2013-0131687 A (2013년12월04일) KR 10-2017-0041453 A (2017년04월17일)
본 발명은 상수관의 주위 온도와 내부 온도를 측정 및 비교하여 동결을 방지할 수 있는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상수원이 저장되는 저수조(100); 상기 저수조(100)와 연결되며, 세대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상수관(200); 상기 상수관(200)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300); 상기 온도측정장치(300)와 통신하며, 상기 상수관(200)의 내부 온도에 따라 상수원을 이동시키는 제어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저수조(100); 상수관(200); 온도측정장치(300); 제어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저수조(100)에 형성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상수원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110); 상기 저수조(100)에 형성되며, 압력에 의하여 상기 상수관(200)으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공급펌프(1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저수조(100); 상수관(200); 온도측정장치(300); 제어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상수관(200)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100)에서 세대로 상수원이 유동되는 유동배관(210); 상기 유동배관(210)에서 일방향으로 세대로 연장되며, 상수원을 공급하는 공급관(220); 상기 유동배관(210)에서 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수원을 배출하는 배출관(23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저수조(100); 상수관(200); 온도측정장치(300); 제어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배출관(230)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배출을 조절하는 차단밸브(231); 상기 차단밸브(231)와 연동하며, 배출되는 상수원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232); 상기 유량센서(232)와 연동하며,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233);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저수조(100); 상수관(200); 온도측정장치(300); 제어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배출관(23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100)로 상수원을 순환시키는 순환장치(2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저수조(100); 상수관(200); 온도측정장치(300); 제어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온도측정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관(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10); 상기 온도센서(31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관(200)의 온도를 상기 제어장치(400)로 송신하는 송신장치(3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저수조(100); 상수관(200); 온도측정장치(300); 제어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어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온도측정장치(300)에서 상기 상수관(200)의 온도를 수신받는 통신서버(410); 상기 통신서버(41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관(200)의 동결을 판단하는 판단서버(420); 상기 판단서버(420)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을 상기 상수관(200)으로 공급하는 상수원제어서버(4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저수조(100); 상수관(200); 온도측정장치(300); 제어장치(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상수원제어서버(430)는 상기 상수관(200)에 정체되어 배출되는 상수원의 유량에 따라 상기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의 유량을 결정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상수원이 정체되는 상수관의 온도를 측정하여 동결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수관의 외측에 온도측정장치가 복수로 설치되어 상수관 전체의 온도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수조에 저장된 상수원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수관에서 흐름에 따라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수관에 정체되어 배출되는 상수원의 유량을 측정하여 저수조에서 공급되는 상수원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온도측정장치를 비교하여 온도센서의 오류 및 파손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수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상수관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순환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온도측정장치가 설치된 상수관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수원이 저장되는 저수조(100); 상기 저수조(100)와 연결되며, 세대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상수관(200); 상기 상수관(200)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300); 상기 온도측정장치(300)와 통신하며, 상기 상수관(200)의 내부 온도에 따라 상수원을 이동시키는 제어장치(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00)는 건물의 지하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200)은 소방수, 상수원 중 선택된 하나가 이동하는 배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장치(300)는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배관에 정체되는 상수원이 낮은 온도에서 동결 됨에 따라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상수원이 저장되는 저수조(100)의 물을 순환시켜 상수관(200) 내부에 정체되어 있는 상수원의 동결에 따른 배관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때, 저수조(100)의 물은 외기가 유입되지 않으며, 단열층이 형성됨에 따라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수원의 동결이 발생하기 전 저수조(100)의 상수원을 상수관(200)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수관(200)은 저수조(100) 내부의 상수원을 공급하거나 온도가 상승된 기체를 이동시켜 동파를 방지하는 것으로 상수관(200)의 유체흐름에 의하여 상수관(20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관(200)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수관(200)의 외측에 열선을 감싸거나 단열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수관(200)에 정체된 상수원의 동결을 방지한다. 하지만 상수관(200)에 열선을 감싸거나 단열재를 감싸는 것은 상수관(200)의 전체에 설치할 수 없으며, 별도의 전류가 공급되어야 하므로 유지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을 참조하면, 열선을 활용하지 않고 상수관(200)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오피스 건물 등 다양한 건물의 지하에 형성되는 상수원이 저장되는 저수조(100)에서 상수원이 세대 내로 공급된다. 이때, 상수원은 저수조(100)와 복수의 세대를 각각 연결하는 상수관(200)이 형성되며, 상수관(200)에는 온도측정장치(300)가 형성되어 상수관(200)의 외부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형성되어 동파가 발생하기 전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온도측정장치(300)는 상수관(200) 중 온도가 가장 낮게 형성되는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수관(200)은 상수원이 세대로 공급되는 것이나 소방수 등이 공급되는 다양한 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저수조(100)에 일정한 온도로 저장되는 상수원이 상수관(200)의 온도가 낮을 때 상수관(200) 내부로 흐름에 따라 상수관(200)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00)에 형성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상수원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110); 상기 저수조(100)에 형성되며, 압력에 의하여 상기 상수관(200)으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공급펌프(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00)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공금펌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저수조(100)의 상수원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저수조(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저수조(100)는 건물의 지하에 형성되는 것으로 외기의 유입이 차단되는 곳에 형성되어 일정한 온도로 형성되는 상수원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저수조(100)는 도 2를 참조하면, 건물의 지하주차장 등 지하에 위치함에 따라 상수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수처리장에서 상수원이 유입된다. 이때, 저수조(100)는 건물의 지하에 형성됨에 따라 상수원의 온도가 외기와 접하는 배관의 상수원보다 높게 형성되며,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은 동결이 예상되는 배관으로 유입되어 정체되어 온도가 낮아진 상수원을 순환시킨다. 그리고 저수조(100)는 온도조절장치(130)가 형성되며, 온도조절장치(130)는 전류에 의하여 열을 공급하는 것과 동시에 지열을 활용하여 상수원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저수조(100)는 단열패널로 감싸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수원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은 공급펌프(120)에 의하여 복수의 세대로 공급되는 것으로 공급펌프(120)는 복수의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을 공급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200)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100)에서 세대로 상수원이 유동되는 유동배관(210); 상기 유동배관(210)에서 일방향으로 세대로 연장되며, 상수원을 공급하는 공급관(220); 상기 유동배관(210)에서 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수원을 배출하는 배출관(230);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유동배관(210)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공급 방향을 조절하는 분배밸브(211);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220)은 복수의 세대로 각각 연장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230)은 외부로 연결되어 온도가 낮은 상수원을 배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수관(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상수관(200)은 저수조(100)에서 상수원이 세대로 공급되며, 유체흐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수관(200)은 저수조(100)에서 연장되며, 외기에 의하여 동파 위험이 있는 유동배관(210)이 형성된다. 유동배관(210)은 저수조(100)와 동일하게 지하에 형성되며, 온도가 낮을 경우 동파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그리고 유동배관(210)은 외기에 의하여 상수원이 동결될 경우 저수조(100)에서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상수원이 유동함에 따라 유동배관(210)에 정체된 상수원이 동결되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배관(210)의 일단부에는 도 3을 참조하면,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세대로 연장되는 공급관(220)이 형성되며, 공급관(220)은 복수의 세대로 각각 연장된다. 이때, 유동배관(210)에는 분배밸브(211)가 형성되어 상수원을 공급관(220)과 배출관(230)으로 각각 공급한다. 그리고 배출관(230)은 유동배관(210)에서 공급관(220)과 타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부로 연결됨에 따라 온도가 낮은 상수원이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에 의하여 흐름에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수관(200)은 유동배관(210) 내부의 상수원 온도가 낮아 동결되지 않도록 저수조(100)의 상수원을 공급하여 유체를 흐르게 하여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230)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배출을 조절하는 차단밸브(231); 상기 차단밸브(231)와 연동하며, 배출되는 상수원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232); 상기 유량센서(232)와 연동하며,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233);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유량센서(232)에 형성되며, 배출되는 상수원의 유량을 상기 제어장치(400)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장치(233)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외기 온도에 따라 개도를 조정하는 온도조절밸브(2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배출관(2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배출관(230)은 유량배관에서 연장되어 외부로 온도가 낮은 상수원을 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출관(230)은 도 4를 참조하면, 유량배관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유량배관에 정체되어 형성되는 상수원의 온도가 낮아 동결되기 전에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배출관(230)은 온도가 낮지 않은 상수원이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밸브(231)가 형성되며, 차단밸브(231)는 제어장치(400)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리고 배출관(230)에는 유량센서(232)가 형성됨에 따라 배출되는 상수원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수관(200)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의 유량과 일치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량센서(232)와 연동하며, 배출되는 상수원의 유량을 0.5 ~ 2 LPM으로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233)가 형성된다. 유량조절장치(233)는 오리피스(orifice)로 형성되며, 배출관(230)의 내부에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량조절장치(233)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위치에 온도조절밸브(234)가 형성되며, 온도조절밸브(234)는 2way 밸브로 형성됨에 따라 외기의 온도가 3 ~ 5℃ 이하로 형성될 경우 온도조절밸브(234)의 개도를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23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100)로 상수원을 순환시키는 순환장치(24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순환장치(240)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230)의 단부에서 상기 저수조(100)로 연장되는 연장부(241); 상기 연장배관에 형성되며, 배출되는 상수원을 여과하는 여과부(242);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41)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선; 상기 열선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상승된 온도를 유지시키는 단열재;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41)는 상수원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기와 접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순환장치(24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순환장치(240)는 배출관(230)에서 배출되는 상수원을 저수조(100)로 순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순환장치(240)는 도 5를 참조하면, 배출관(230)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저수조(100)로 연장되는 연장부(241)가 형성된다. 연장부(241)는 배관으로 형성되며, 외기와 접하지 않는 지하 등의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상수원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241)는 배출관(230)을 통해 배출되는 온도가 낮은 상수원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외측에 단열재가 형성되며, 단열재의 내부에는 열선이 형성되어 상수원에 의하여 순환장치(240)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배출관(230)과 연장부(241)가 접하는 위치에는 여과부(242)가 형성되며, 여과부(242)를 관통하는 상수원은 저수조(10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여과부(242)는 상수관(200)을 통해 혼합될 수 있는 다양한 이물질을 복수의 여과필터 등으로 여과함에 따라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관(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10); 상기 온도센서(31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관(200)의 온도를 상기 제어장치(400)로 송신하는 송신장치(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장치(300)는 상수관(200)의 외측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관(200)을 감싸는 함체(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320)에 형성되며, 상기 온도센서(310)의 고장 및 파손을 판단하는 판단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온도측정장치(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온도측정장치(300)는 상수관(200)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수관(200)의 외측 온도를 측정함에 따라 상수원의 동결을 예측하는 것이다. 이러한 온도측정장치(300)는 도 6을 참조하면, 상수관(200)을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각각의 온도측정장치(300)에서 측정한 외기 온도에 따라 상수관(200) 내부의 상수원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온도측정장치(300)는 상수관(200)을 감싸는 함체(330)가 형성되며, 함체(330)는 양측이 분리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수관(200)을 감싸는 것으로 함체(330)에 고정철물이 형성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함체(330)에는 온도센서(310)가 형성되며, 온도센서(310)는 상수관(200) 외측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온도센서(310)가 형성되는 온도측정장치(300)는 상수관(200) 중 외기와 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수관(200)에서 동파 위험이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송신장치(320)는 함체(330)에 형성되며, 온도센서(310)에서 측정한 온도를 제어장치(400)로 송신한다.
또한, 송신장치(320)는 온도센서(310)의 고장 및 파손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장치가 형성되며, 판단장치는 근접하는 송신장치(320)와 통신함에 따라 온도 차이를 판단하는 것이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온도측정장치(300)에서 상기 상수관(200)의 온도를 수신받는 통신서버(410); 상기 통신서버(41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관(200)의 동결을 판단하는 판단서버(420); 상기 판단서버(420)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을 상기 상수관(200)으로 공급하는 상수원제어서버(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상수원제어서버(430)는 상기 상수관(200)에 정체되어 배출되는 상수원의 유량에 따라 상기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의 유량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버(41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주파수, 무선랜 중 선택된 하나로 통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0)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온도측정장치(300)의 온도를 비교하는 비교서버(440);를 포함한다.
(실시예 7-5) 본 발명의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관(200)의 온도를 표출하는 표출서버(4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어장치(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제어장치(400)는 온도측정장치(300)에서 측정한 온도에 따라 동결을 예측하여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을 순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장치(400)는 도 6을 참조하면, 외부에 형성되며, 통신으로 상수관(200)의 동결을 예측하여 저수조(100)의 상수원을 공급한다. 이때, 제어장치(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측정장치(300)와 통신하여 상수관(200)의 온도에 따라 저수조(100)의 상수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온도측정장치(300)와 통신하는 통신서버(410)가 형성되며, 통신서버(41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주파수, 무선랜 등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으로 온도측정장치(300)와 정보를 교환한다. 그리고 통신서버(410)에서 수신받은 상수관(200)의 온도에 따라 상수관(200)의 동결을 판단하는 판단서버(420)가 형성되며, 판단서버(420)는 상수관(200)에 설치된 온도측정장치(300)에서 수신받은 온도가 3 ~ 5℃ 이하일 경우 상수관(200)이 동결될 수 있다 판단하여 상수원제어서버(430)에서 상수관(200)으로 정수조에 저장된 상수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수원제어서버(430)는 배출관(230)에 형성되는 유량센서(232) 및 유량조절장치(233)와 통신하여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의 유량과 배출관(230)에서 배출되는 유량을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장치(400)는 상수관(200)에 설치된 복수의 온도측정장치(300)에서 측정되는 온도를 비교하는 비교서버(440)가 형성되며, 비교서버(440)는 서로 근접하는 온도측정장치(300)의 온도를 비교하여 설정된 오차범위보다 차이가 발생할 경우 온도측정장치(300)의 파손 및 고장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비교서버(440)는 상수관(200)과 근접한 위치에 온도장치가 형성되어 상수관(200)에 설치된 온도측정장치(300)의 온도와 온도장치의 온도 차이를 비교하여 온도측정장치(30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400)는 온도측정장치(300)의 온도를 표출하여 상수관(200)의 온도를 예측하는 표출서버(450)가 형성되며, 표출서버(450)는 온도측정장치(300), 상수관(200), 저수조(100) 등이 표출되어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유량, 온도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100: 저수조 110: 수위측정센서
120: 공급펌프 130: 온도조절장치
200: 상수관 210: 유동배관
211: 분배밸브 220: 공급관
230: 배출관 231: 차단밸브
232: 유량센서 233: 유량조절장치
234: 온도조절밸브 240: 순환장치
241: 연장부 242: 여과부
300: 온도측정장치 310: 온도센서
320: 송신장치 330: 함체
400: 제어장치 410: 통신서버
420: 판단서버 430: 상수원제어서버
440: 비교서버 450: 표출서버

Claims (8)

  1. 상수원이 저장되는 저수조(100);
    상기 저수조(100)와 연결되며, 세대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상수관(200);
    상기 상수관(200)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장치(300);
    상기 온도측정장치(300)와 통신하며, 상기 상수관(200)의 내부 온도에 따라 상수원을 이동시키는 제어장치(400);를 포함하는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00)에 형성되며, 내부에 저장되는 상수원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110);
    상기 저수조(100)에 형성되며, 압력에 의하여 상기 상수관(200)으로 상수원을 공급하는 공급펌프(120);를 포함하는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수관(200)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100)에서 세대로 상수원이 유동되는 유동배관(210);
    상기 유동배관(210)에서 일방향으로 세대로 연장되며, 상수원을 공급하는 공급관(220);
    상기 유동배관(210)에서 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수원을 배출하는 배출관(230);을 포함하는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230)에 형성되며, 상수원의 배출을 조절하는 차단밸브(231);
    상기 차단밸브(231)와 연동하며, 배출되는 상수원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232);
    상기 유량센서(232)와 연동하며,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233);를 포함하는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23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100)로 상수원을 순환시키는 순환장치(240);를 포함하는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관(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10);
    상기 온도센서(31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관(200)의 온도를 상기 제어장치(400)로 송신하는 송신장치(320);를 포함하는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온도측정장치(300)에서 상기 상수관(200)의 온도를 수신받는 통신서버(410);
    상기 통신서버(410)에 형성되며, 상기 상수관(200)의 동결을 판단하는 판단서버(420);
    상기 판단서버(420)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을 상기 상수관(200)으로 공급하는 상수원제어서버(430);를 포함하는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수원제어서버(430)는 상기 상수관(200)에 정체되어 배출되는 상수원의 유량에 따라 상기 저수조(100)에 저장된 상수원의 유량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KR1020220057780A 2022-05-11 2022-05-11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KR102615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780A KR102615644B1 (ko) 2022-05-11 2022-05-11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780A KR102615644B1 (ko) 2022-05-11 2022-05-11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272A true KR20230158272A (ko) 2023-11-20
KR102615644B1 KR102615644B1 (ko) 2023-12-19

Family

ID=8897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780A KR102615644B1 (ko) 2022-05-11 2022-05-11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64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0137A (ko) * 2006-12-26 2008-07-01 유재욱 수도관 시스템의 스케일 제거장치
KR101134687B1 (ko) * 2011-04-11 2012-04-09 김동용 다세대 주택의 난방 제어 시스템
KR20120086869A (ko) 2011-01-27 2012-08-06 이광호 상수관 삽입형 순환 동파방지 장치
KR20130131687A (ko) 2012-05-24 2013-12-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KR101528163B1 (ko) 2013-12-16 2015-06-11 ㈜아이렉스넷 수도 계량기의 동파 방지장치
KR20170041453A (ko) 2015-10-07 2017-04-17 양성훈 관로 동파방지 장치
KR101893088B1 (ko) * 2017-07-17 2018-08-30 (주)한국환경엔지니어링 상하수도 펌프장의 동절기 이송배관 결빙방지장치
KR20210109818A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인포월드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0137A (ko) * 2006-12-26 2008-07-01 유재욱 수도관 시스템의 스케일 제거장치
KR20120086869A (ko) 2011-01-27 2012-08-06 이광호 상수관 삽입형 순환 동파방지 장치
KR101134687B1 (ko) * 2011-04-11 2012-04-09 김동용 다세대 주택의 난방 제어 시스템
KR20130131687A (ko) 2012-05-24 2013-12-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KR101528163B1 (ko) 2013-12-16 2015-06-11 ㈜아이렉스넷 수도 계량기의 동파 방지장치
KR20170041453A (ko) 2015-10-07 2017-04-17 양성훈 관로 동파방지 장치
KR101893088B1 (ko) * 2017-07-17 2018-08-30 (주)한국환경엔지니어링 상하수도 펌프장의 동절기 이송배관 결빙방지장치
KR20210109818A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인포월드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644B1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410B1 (ko) 개방형 지중 열교환기의 실시간 자동제어시스템
US20060191323A1 (en) Automated system for detection and control of water leaks, gas leaks, and other building problems
US20100212752A1 (en) Shut Off Protection For Hot Water Heater
CN104685279A (zh) 具有集成冻结保护的先进阀门致动系统
US20060191324A1 (en) Automated system for detection and control of water leaks, gas leaks, and other building problems
US9448018B2 (en) Expansion relief header for protecting heat transfer coils in HVAC systems
CN107587558B (zh) 一种寒区公路隧道消防防冻供水智能控制系统及方法
KR101552495B1 (ko) 동파 방지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의 알람 및 유지보수 장치와 방법
KR101033847B1 (ko) 비례제어식 팽창수자동밸브를 이용한 팽창탱크시스템
KR102615644B1 (ko)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KR101756375B1 (ko) 동파방지장치
EP3495753B1 (en) Geothermal heat pump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geothermal heat pump system
US20090145852A1 (en) Heat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underground tank freeze-ups
CN110023683A (zh) 电锅炉的循环异常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691934B1 (ko) 3d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한 빌딩 자동제어시스템
US20160069574A1 (en) Heat pump water heat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heat pump water heater appliance
US8720470B2 (en) Intelligent emergency shut down system and a method for emergency closing and regulation of fluid stream in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s during earthquake
US10260823B2 (en) Freeze protection system with drainage control for heat transfer coils in HVAC systems
US108767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freeze protection of an air handling system
GB2534850A (en) Service supply systems
KR20220101865A (ko) 지열용 상부 보호 열교환 유닛 및 상기 지열용 상부 보호 열교환 유닛을 포함하는 지열 교환수 유동 구조
KR100925509B1 (ko) 난방공급장치용 열교환기의 동파방지시스템
KR101321205B1 (ko) 벨로우즈 타입용 동파 방지구와 이를 적용한 수도계량기 및 열교환기
WO2019213574A1 (en) Device and methodology for early detection of fluid loss and notification and system shutdown for a closed loop fluid heat transfer system
JP2020030000A (ja) 貯湯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