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848A -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848A
KR20230100848A KR1020210190477A KR20210190477A KR20230100848A KR 20230100848 A KR20230100848 A KR 20230100848A KR 1020210190477 A KR1020210190477 A KR 1020210190477A KR 20210190477 A KR20210190477 A KR 20210190477A KR 20230100848 A KR20230100848 A KR 20230100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valve
supply tank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590B1 (ko
Inventor
이기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렌드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렌드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렌드팜
Priority to KR1020210190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590B1/ko
Publication of KR20230100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03B5/04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rranged in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은 급수탱크의 도어 개방을 감지하여 도어 개방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출력한 도어 개방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급수탱크에 연결된 급수밸브 및 비상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출력한 상기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비상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Intelligent system for managing water supply}
본 발명은 급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탱크에 대한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물 흐름을 제어하는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규모 급수시설은 지하수 발생지 주변으로 판넬 및 콘크리트 벽 등을 이용하여 지하수 관정을 설치하고, 지하수 관정으로부터 양수한 지하수를 저장소에 저장하고, 저장소에서 각 수용가로 물이 공급되도록 운영된다.
이와 같은 소규모 급수시설은 상수도가 공급되지 않는 지역 및 소규모의 지역에 설치되어 주민이 공동으로 관리하게 된다.
그러나, 주민이 급수시설을 관리하는 경우, 급수시설에 대한 이벤트 발생 여부를 즉시 파악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발생 이벤트에 대한 대처도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22445호(2013.10.21.)
종래의 기술은 소규모 급수시설에 대하여 감지한 위험정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위급상황 발생시 소규모 급수시설로부터 인근 주민에게 물을 공급하는 송수관 밸브 잠금 장치를 작동시켜 송수관로를 폐쇄함으로써 인근 주민이 물을 마시지 않도록 대처하는 기술이다. 송수관 밸브 잠금 장치의 이상 발생시 소규모 급수시설로부터 인근 주민에게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규모 급수시설에 비상밸브를 연결하여 위급상황 발생시 소규모 급수시설에 저장된 물을 방출함으로써 송수관 밸브 잠금 장치 이상으로 인해 인근 주민에게 물이 공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은 급수탱크의 도어 개방을 감지하여 도어 개방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출력한 도어 개방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급수탱크에 연결된 급수밸브 및 비상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출력한 상기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비상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은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급수관으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고, 상시 개방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은 상기 비상밸브는 급수탱크로부터 퇴수관으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고, 상시 폐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감지부가 출력한 상기 급수탱크의 도어 개방 신호를 관제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감지부는 상기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오염을 더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한 물의 오염 정도의 기 설정된 기준치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물의 오염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초과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비상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급수탱크에 대한 이벤트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벤트 발생시 급수탱크에서 수용가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에 따른 펌프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여부에 따른 급수밸브 및 비상밸브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점검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에 따른 급수밸브 및 비상밸브 제어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밸브의 점검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은 지하수 급수관정(100), 지하수 공급관(110), 펌프(120), 급수탱크(200), 급수관(210), 급수밸브(211), 퇴수관(220), 비상밸브(221), 감지부(300), 제어부(400), 관제 단말(500) 및 통신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하수 급수관정(100)은 지하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지하수 급수관정(100)의 지하수는 지하수 공급관(110)을 통하여 급수탱크(200)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지하수 급수관정(100)의 지하수는 펌프(120)에 의해 급수탱크(200)로 양수될 수 있다. 지하수 급수관정(100)은 지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탱크(200)는 지하수 급수관정(100)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저장할 수 있다.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은 급수관(210)을 통하여 수용가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급수탱크(200)는 수용가보다 높은 지대에 설치되어 자유 낙하 방식에 의하여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수용가로 이동될 수 있다. 수용가는 급수탱크(20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물 수급처일 수 있다.
그리고, 급수탱크(200)는 급수관(210)과 연결되어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급수관(210)을 통하여 수용가로 공급할 수 있다. 급수탱크(200)와 급수관(210)의 연결부에 급수밸브(211)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밸브(211)는 개폐 동작을 통하여 급수탱크(200)로부터 급수관(210)으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급수밸브(211)가 개방되면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급수관(210)으로 유입되어 수용가로 이동될 수 있으며, 급수밸브(211)가 폐쇄되면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급수관(210)으로 유입되지 않으며, 따라서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수용가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급수밸브(211)는 상시 개방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급수탱크(200)는 퇴수관(220)과 연결되어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퇴수관(220)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급수탱크(200)와 퇴수관(220)의 연결부에 비상밸브(221)가 설치될 수 있다. 비상밸브(221)는 개폐 동작을 통하여 급수탱크(200)로부터 퇴수관(220)으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비상밸브(221)가 개방되면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퇴수관(220)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며, 비상밸브(221)가 폐쇄되면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퇴수관(220)으로 유입되지 않으며, 따라서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을 수 있다. 비상밸브(221)는 상시 폐쇄 상태일 수 있다.
감지부(300)는 급수탱크(200)에 대한 이벤트 발생 여부 감지 및 물의 흐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라 수위센서(310), 개폐감지센서(320), 유량계(330) 및 수질감지센서(340)가 포함될 수 있다.
수위센서(310)는 급수탱크(200) 내부에 설치되며, 검출할 수위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위센서(310)는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수위센서(310)가 설치된 지점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여 수위 도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수위센서(310)는 제1 수위센서(311) 및 제2 수위센서(3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수위센서(311)는 급수탱크(2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저수위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수위센서(311)가 설치된 지점은 급수탱크(200)에서 허용 가능한 최저수위 지점일 수 있으며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최저수위 미만으로 감소할 경우 수용가로의 물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제2 수위센서(312)는 급수탱크(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고수위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제2 수위센서(312)가 설치된 지점은 급수탱크(200)에서 허용 가능한 최고수위 지점일 수 있으며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최고수위를 초과할 경우 급수탱크(200)로부터 물 넘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수위센서(312)는 제1 수위센서(311)보다 급수탱크(200)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감지센서(320)는 급수탱크(200)의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여 도어 개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급수탱크(200)의 도어는 급수탱크(200) 내부에 접근할 수 있는 개구부에 설치된 문일 수 있다. 개폐감지센서(320)는 급수탱크(200)의 도어와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 적외선 센서, 마그네틱 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유량계(330)는 급수관(210) 및 퇴수관(220)을 통하여 흐르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여 유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유량계(330)는 제1 유량계(331) 및 제2 유량계(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량계(331)는 급수관(2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급수탱크(200)로부터 급수관(210)에 유입되어 흐르는 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제1 유량계(331)는 수용가의 물 사용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유량계(332)는 퇴수관(2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급수탱크(200)로부터 퇴수관(220)에 유입되어 흐르는 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제2 유량계(332)는 외부로 방출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수질감지센서(340)는 급수탱크(200) 내부에 설치되며,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오염을 측정하여 오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수질감지센서(34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탁도센서일 수 있으며, 탁도센서는 물의 탁한 수준을 측정하여 수질의 투명도를 감지할 수 있다. 탁도센서는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탁도를 측정하고 탁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감지부(300)가 출력한 신호를 수신하여 펌프(120), 급수밸브(211) 및 비상밸브(22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제어부(400)는 수위센서(310)가 출력한 수위 도달 신호, 개폐감지센서(320)가 출력한 급수탱크(200)의 도어 개방 신호, 유량계(330)가 출력한 유량 정보 및 수질감지센서(340)가 출력한 오염 정보에 대응하여 지하수 급수관정(100)에 연결된 펌프(120), 급수탱크(200)에 연결된 급수밸브(211)와 비상밸브(22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00)는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신호를 관제 단말(500)에 전송하고, 관제 단말(500)은 감지부(300)에서 감지한 신호에 대응하는 경보가 송출될 수 있다. 관제 단말(500)은 마을 사무소와 같은 관제 센터 내에 설치되는 기기일 수 있고, 또는 휴대가 가능한 기기로 관리자가 소지할 수 있다. 이 때 관리자는 마을 이장, 군 담당자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통신부(500)는 수위센서(310)가 출력한 수위 도달 신호, 개폐감지센서(320)가 출력한 급수탱크(200)의 도어 개방 신호, 유량계(330)가 출력한 유량 정보 및 수질감지센서(340)가 출력한 오염 정보를 입력받아 관제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300)와 제어부(400) 간의 거리가 멀어 원활한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는 경우, 통신부(600)는 감지부(300)가 출력한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할 수 있다.
관제 단말(500)은 통신부(500)로부터 전송받은 감지부(300)의 신호에 대응하는 주의, 경보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관제 단말(500)은 감지부(300)에서 측정한 정보, 즉 유량계(330)가 출력한 유량 정보 및 수질감지센서(340)가 출력한 오염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수위센서(310)는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수위센서(310)가 설치된 지점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여 수위 도달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400)는 수위센서(310)가 출력한 수위 도달 신호에 대응하여 급수탱크(200)에 연결된 급수밸브(211) 및 비상밸브(22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1 수위센서(311)는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저수위에 도달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S301). 자세하게는, 제1 수위센서(311)는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현재 수위가 제1 수위센서(311)가 설치된 지점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수위센서(311)는 저수위 위치에 설치되므로,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현재 수위가 저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제1 수위센서(311)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S301에서 제1 수위센서(311)가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저수위에 도달한 것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400)는 펌프(120)가 기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2). 펌프(120)는 지하수 급수관정(100)으로부터 급수탱크(200)로 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급수탱크(20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반면에, S301에서 제1 수위센서(311)가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저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한 경우, S301로 회귀할 수 있다.
S302에서 급수탱크(200)는 지하수 급수관정(10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제2 수위센서(312)는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고수위에 도달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S303). 자세하게는, 제2 수위센서(312)는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현재 수위가 제2 수위센서(312)가 설치된 지점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수위센서(312)는 고수위 위치에 설치되므로,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현재 수위가 고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제2 수위센서(312)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S303에서 제2 수위센서(312)가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고수위에 도달한 것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400)는 펌프(120)가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4).
그리고 S301로 회귀하여 제1 수위센서(311)가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저수위에 도달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반면에, S303에서 제2 수위센서(312)가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고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한 경우, S303로 회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대응하여 급수밸브(211) 및 비상밸브(221)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양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관제 단말(500)은 S302 및 S304에서 수위센서(310)가 출력한 수위 도달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개폐감지센서(320)는 급수탱크(200)의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급수탱크(200)의 도어 개방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400)는 개폐감지센서(320)가 출력한 급수탱크(200)의 도어 개방 신호에 대응하여 급수탱크(200)에 연결된 급수밸브(211) 및 비상밸브(22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개폐감지센서(320)는 급수탱크(200)의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401).
S401에서 개폐감지센서(320)에서 급수탱크(200)의 도어의 개방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400)는 급수밸브(211)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2). 자세하게는, 개폐감지센서(320)는 급수탱크(200)의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급수탱크(200)의 도어 개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개폐감지센서(320)가 출력한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하여 급수밸브(211)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급수밸브(211)는 상시 개방 상태일 수 있으며, 개폐감지센서(320)에서 급수탱크(200)의 도어의 개방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400)에 의해 급수밸브(211)가 폐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급수밸브(211)는 급수탱크(200)로부터 급수관(210)으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급수밸브(211)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급수관(210)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비상밸브(221)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3). 비상밸브(221)는 상시 폐쇄 상태일 수 있으며, 개폐감지센서(320)에서 급수탱크(200)의 도어의 개방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400)에 의해 비상밸브(221)가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비상밸브(221)는 급수탱크(200)로부터 퇴수관(220)으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비상밸브(221)가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퇴수관(2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은 퇴수관(220)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즉, 급수탱크(200)의 도어가 관리자에 의해 개방된 것이 아닌 무단으로 개방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오염된 것으로 간주하고,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급수관(210)을 통하여 수용가에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퇴수관(220)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급수밸브(211)의 이상 등의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하여 물이 급수관(210)을 통하여 수용가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500)는 개폐감지센서(320)가 출력한 급수탱크(200)의 도어 개방 신호를 입력받아 관제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단말(500)은 통신부(500)로부터 전송받은 급수탱크(200)의 도어 개방 신호에 대응하는 주의, 경보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S401에서 개폐감지센서(320)에서 급수탱크(200)의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S401로 회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점검 모드에서 급수밸브(211)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400)는 상시모드일 수 있다(S501). 상시모드에서 급수밸브(211)는 개방 상태, 비상밸브(221)는 폐쇄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점검 주기가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2). 점검 주기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S502에서 제어부(400)가 점검 주기가 도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501로 회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S502에서 제어부(400)가 점검 주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점검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503).
그리고 제어부(400)는 급수밸브(211)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04).
다음으로 제1 유량계(331)는 급수관(210)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S505). 이 때, 폐쇄 상태인 급수밸브(211)에 의해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은 급수관(210)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제1 유량계(331)에서 측정한 급수관(210)의 유량은 0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제1 유량계(331)에서 측정한 유량을 기반으로 급수관(210)에 유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6). 자세하게는 제1 유량계(331)는 급수관(210)에서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유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유량계(331)가 출력한 유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급수관(210)에의 유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유량계(331)에서 유량이 측정된 경우, 제어부(400)는 급수밸브(21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507). 즉, 제1 유량계(331)에서 측정한 유량이 0이 아닌 경우, 제어부(400)는 급수밸브(21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관제 단말(500)에 급수밸브(211)의 상태 이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508). 자세하게는, 제어부(400)는 급수밸브(211)의 상태 이상 정보를 출력하고, 통신부(600)는 제어부(400)에서 출력한 급수밸브(211)의 상태 이상 정보를 관제 단말(500)에 전송할 수 있다. 관제 단말(500)은 통신부(600)로부터 전송받은 급수밸브(211)의 상태 이상 정보에 대응한 주의, 경보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S505에서 제1 유량계(331)에서 유량이 측정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400)는 급수밸브(211)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509). 즉, 제1 유량계(331)에서 측정한 유량이 0인 경우, 제어부(400)는 급수밸브(211)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가 급수밸브(211)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S501로 회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질감지센서(340)는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여 오염 정보를 출력하고, 제어부(400)는 수질감지센서(340)가 출력한 오염 정보에 대응하여 급수탱크(200)에 연결된 급수밸브(211) 및 비상밸브(22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수질감지센서(340)는 탁도센서일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수질감지센서(340)에서 측정한 탁도에 따라 급수밸브(211) 및 비상밸브(22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수질감지센서(340)는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S601).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수질감지센서(340)가 측정한 물의 오염 정도의 기 설정된 기준치 초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2). 자세하게는, 수질감지센서(340)는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여 오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수질감지센서(340)가 출력한 오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염 정보를 기반으로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의 오염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기 설정된 기준치는 식음이 가능한 물의 오염 정도에 대한 수치일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0)는 S602에서 측정된 물의 오염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급수밸브(211)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03).
그리고, 제어부(400)는 비상밸브(221)가 개방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04).
즉, 제어부(400)는 수질감지센서(340)가 측정한 물의 오염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식음이 불가능한 물로 판단하고, 급수밸브(211)가 폐쇄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급수관(210)을 통하여 수용가에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비상밸브(221)가 개방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퇴수관(220)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하여 급수밸브(211)의 이상 등의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하여 물이 급수관(210)을 통하여 수용가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500)는 수질감지센서(340)가 출력한 오염 정보를 입력받아 관제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단말(500)은 수질감지센서(340)가 출력한 오염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400)는 S602에서 측정된 물의 오염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S601로 회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유량계(332)는 퇴수관(220)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유량 정보를 출력하고, 제어부(400)는 유량계(330)에서 출력한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비상밸브(221)의 고장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먼저, 제2 유량계(332)는 퇴수관(220)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S701). 이 때, 폐쇄 상태인 비상밸브(221)에 의해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은 퇴수관(220)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제2 유량계(332)에서 측정한 퇴수관(220)의 유량은 0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제2 유량계(332)에서 측정한 유량을 기반으로 퇴수관(220)에의 유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2). 자세하게는 제2 유량계(332)는 퇴수관(220)에서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유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2 유량계(332)가 출력한 유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퇴수관(220)에의 유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유량계(332)에서 유량이 측정된 경우, 제어부(400)는 비상밸브(22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703). 즉, 제2 유량계(332)에서 측정한 유량이 0이 아닌 경우, 제어부(400)는 비상밸브(221)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관제 단말(500)에 비상밸브(221)의 상태 이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704). 자세하게는, 제어부(400)는 비상밸브(221)의 상태 이상 정보를 출력하고, 통신부(600)는 제어부(400)에서 출력한 비상밸브(221)의 상태 이상 정보를 관제 단말(500)에 전송할 수 있다. 관제 단말(500)은 통신부(500)로부터 전송받은 비상밸브(221)의 상태 이상 정보에 대응하는 주의, 경보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S702에서 제2 유량계(332)에서 유량이 측정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400)는 비상밸브(221)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705). 즉, 제2 유량계(332)에서 측정한 유량이 0인 경우, 제어부(400)는 비상밸브(221)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비상밸브(221)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S701로 회귀할 수 있다.
100 : 지하수 급수관정
110 : 지하수 공급관 120 : 펌프
200 : 급수탱크
210 : 급수관
211 : 급수밸브
220 : 퇴수관
221 : 비상밸브
300 : 감지부
310 : 수위센서 320 : 개폐감지센서
330 : 유량계 340 : 수질감지센서
400 : 제어부
500 : 관제 단말
600 : 통신부

Claims (6)

  1. 급수탱크의 도어 개방을 감지하여 도어 개방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출력한 도어 개방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급수탱크에 연결된 급수밸브 및 비상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가 출력한 상기 도어 개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비상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급수관으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고, 상시 개방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밸브는 급수탱크로부터 퇴수관으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고, 상시 폐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출력한 상기 급수탱크의 도어 개방 신호를 관제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오염을 더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한 물의 오염 정도의 기 설정된 기준치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물의 오염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초과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비상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KR1020210190477A 2021-12-29 2021-12-29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KR102599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477A KR102599590B1 (ko) 2021-12-29 2021-12-29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477A KR102599590B1 (ko) 2021-12-29 2021-12-29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848A true KR20230100848A (ko) 2023-07-06
KR102599590B1 KR102599590B1 (ko) 2023-11-07

Family

ID=8718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477A KR102599590B1 (ko) 2021-12-29 2021-12-29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5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0376A (ja) * 2012-02-20 2013-09-02 Toshiba Corp 捨水装置
KR101322445B1 (ko) 2013-03-26 2013-10-28 (주) 동우엔지니어링 급수시설 관리장치
KR102146915B1 (ko) * 2020-04-03 2020-08-21 청정테크주식회사 탁수 배제 기능이 구비된 수질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10109818A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인포월드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KR102313700B1 (ko) * 2021-04-19 2021-10-18 주식회사 온테크 Ict 모니터링 기반의 상수관망 자동드레인 밸브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0376A (ja) * 2012-02-20 2013-09-02 Toshiba Corp 捨水装置
KR101322445B1 (ko) 2013-03-26 2013-10-28 (주) 동우엔지니어링 급수시설 관리장치
KR20210109818A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인포월드 수돗물 자동측정 온라인 제어시스템
KR102146915B1 (ko) * 2020-04-03 2020-08-21 청정테크주식회사 탁수 배제 기능이 구비된 수질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13700B1 (ko) * 2021-04-19 2021-10-18 주식회사 온테크 Ict 모니터링 기반의 상수관망 자동드레인 밸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590B1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994B2 (en) Fire suppression circulation system
US11293170B2 (en) Device and methodology for early detection of fluid loss and notification and system shutdown for a closed loop fluid heat transfer system
US10012696B2 (en) Battery-assisted safety circuit monitoring system
US20110320140A1 (en) Inline Overflow Protection and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080295895A1 (en) Water leakage and fault sensing system
KR102089684B1 (ko)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US20130340836A1 (en) Overflow protection system for a fluid transfer system
JP5293152B2 (ja) ガス遮断装置
JP2015034513A (ja) 異常検出装置、汚水搬送ポンプ装置及び監視装置
US20160097665A1 (en) Dynamic, distributed-sensor, fluid-monitoring system
US10774510B2 (en) Overflow system for a fluid container
JP2009052295A (ja) 水槽システム
JP2008139269A (ja) ガスメータとその制御方法
KR101441660B1 (ko) 수처리 시스템용 계측기 원격감시제어시스템
CN202547892U (zh) 检测管路漏水的装置
KR20220011545A (ko)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US201802235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revention of freezing of a liquid in a plumbing network
KR20230100848A (ko)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EP3992155A1 (en) Water treatment system with shut-off valve connected to remote operation
US11608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pressure-driven system from a source
KR102314311B1 (ko) 중계 펌프장의 모터, 수위센서, 및 배관의 이상 여부를 자동 판단하는 스마트 원격감시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중계 펌프장 운영시스템
EP2662501A2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leak protection of a supply water installation
US2017005849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Flooding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Properties
EP3983642B1 (en) Hips proof testing in offshore or onshore applications
KR100984365B1 (ko) 저수장의 유입밸브 예측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