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684B1 -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684B1
KR102089684B1 KR1020180074223A KR20180074223A KR102089684B1 KR 102089684 B1 KR102089684 B1 KR 102089684B1 KR 1020180074223 A KR1020180074223 A KR 1020180074223A KR 20180074223 A KR20180074223 A KR 20180074223A KR 102089684 B1 KR102089684 B1 KR 102089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ve
pump
sto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358A (ko
Inventor
성정례
탁성인
Original Assignee
성정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정례 filed Critical 성정례
Priority to KR102018007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684B1/ko
Priority to PCT/KR2019/007779 priority patent/WO2020004962A1/ko
Publication of KR20200001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펌프실과 알람밸브 및 프리액션 밸브실 그리고 소방시설을 관리하는 방재실에 각각 디지털압력스위치 및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를 설치되고, 옥내 소화전, 스프링클러 등의 설비가동을 위한 펌프1, 펌프2, 펌프3 또는 엔진펌프와 각층에 설치된 알람밸브, 프리액션밸브, 감압밸브, 전동 릴리프 밸브 등에 각각의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기동 및 정지압력을 설정부를 통해 설정하고, 각각의 배관압력을 통한 이상 유무를 표시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야간이나 외출 등 관리자 부재시에도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관계인 및 관할 소방서에 자동으로 즉시 통보되므로 피해를 최소화하고 펌프기동 및 정지 등에 따른 기록을 저장함은 물론 순차기동 및 정지, 지연시간조정, 음성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관리자만 디지털압력스위치 및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관리자 비밀번호가 설정되며, 작동 및 고장을 알려주는 표시등이 설치되어 관리자가 신속히 화재상황에 대응하여 수계소화설비시스템을 정상기동하여 소화할 수 있도록 압력스위치의 상시 감시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Smart hybrid electronic hydraul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which includes remote control and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실 및 소방시설을 관리하는 방재실에 전자식 수압개폐장치를 설치하여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해 옥내 소화전, 스프링클러 등의 설비가동을 위한 주, 예비, 충압 또는 엔진펌프와 각층에 설치된 알람밸브 및 프리액션밸브, 감압밸브, 릴리프밸브 등에 각각의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기동 및 정지 압력 설정 및 관리함은 물론 소방서에 통보할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계 소화설비의 소방용 펌프는 일반적으로 펌프 회전시의 토출량이 부하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비용적형이며, 임펠러의 회전으로 유체의 회전운동을 주어 이때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한 속도 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변환하는 원심펌프로서, 저양정이나 중양정으로는 볼류트 펌프가 사용되고, 고양정으로는 터빈 펌프가 사용된다.
이러한 수계 소화설비에서는 소방 대상물에 필요한 소요 방사압과 토출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 펌프가 구비되고, 주 펌프의 고장 수리시를 대비하여 주 펌프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성능을 가진 예비 펌프가 구비되며, 아울러 배관 내의 누수에 따른 압력을 보충하는 저유량, 고양정의 특성이 있는 충압 펌프가 구성되며, 화재시 수계 소화설비의 배관 내 압력 변동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이들 펌프를 기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수압 개폐장치로는 압력 챔버, 기계식 압력스위치, 전자식 압력스위치 등이 있다.
압력 챔버는 동체와 강판으로 구성된 원통형 챔버로서, 수계 소화설비 배관에 연결되어 배관 내 압력 변동을 감지하여 펌프를 기동하거나 정지시키는 개폐장치로 수계소화시스템 구성의 기본 구성장치에 해당된다. 또한, 이러한 압력 챔버는 배관 내 유수의 급격한 흐름이나 맥동을 최소화하는 장치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압력 챔버는 동체와 경판으로 구성된 원통형 탱크로 구성되므로 제작비용이 비싸고 압력 용기의 규제를 받아야 하며, 배관 내에 작용하는 수격 작용 또는 순간 압력변동으로 인한 내구성 등이 요구된다. 또한, 압력 챔버를 이용하는 펌프 기동과 정지 장치는 챔버의 설치 용량에 따른 설치공간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기계식 압력스위치는 수계 소화설비 배관 내에 작용하는 수격 또는 순간 압력변동에 대해 내구성을 갖도록 부르동관을 이용하는 것과 벨로우즈를 이용하는 것이 있으며, 배관 내 압력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펌프를 기동하거나 정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벨로우즈를 이용하는 종래의 기계식 압력스위치는, 압력조절나사 또는 차동조절나사의 조임 또는 풀림으로 기동압력과 차동압력을 설정하므로 설정 압력이 부정확하여 정밀 조정이 어려우며, 스프링 장력을 사용하므로 스프링의 불안정 및 피로도 누적에 따른 오차가 심하여 미세한 압력을 조정할 수 없고, 또한 압력챔버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누기에 따른 유지보수를 주기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기계식 압력스위치는 항상 일정한 압력이 벨로우즈를 누르고 있으므로 벨로우즈 내의 잠력에 이상이 생기며, 피로도가 쌓여 정확한 기동, 정지를 할 수 없고, 온/오프 동작을 반복하면 변형으로 인한 오동작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시 점검 및 작동 상태를 현장에서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설정해야 하는 복잡한 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력 설정방법이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선행기술로 대해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9421호(2002.06.11. 등록, 명칭: 압력계 겸용 디지털 압력스위치)는 배관 내 압력과 펌프의 기동이나 정지압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압력계 겸용 디지털압력스위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도 1 및 2와 같이 구성되며, 도 1은 종래의 압력계 겸용 압력스위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압력계 겸용 압력 스위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에 따르면, 압력계 겸용 디지털압력스위치는 직류전원입력부(11),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스위치(12a)와 정지압력 설정을 위한 정지압력 조정스위치(12b)와 기동압력 설정을 위한 기동압력 조정 스위치(12c)와 기준점 설정을 위한 영점 조정 스위치로 이루어진 압력조절부(12), 압력배관과 연결되는 압력도입관(2)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압력을 겸출하는 압력검출부(13), 메모리부(16), 제어부(17), 신호출력부(19), 정지압력 설정값과 기동압력 설정값 및 검출 압력을 각각 표시하는 정지압력표시부(18a)와 기동압력표시부(18b) 및 압력표시부(18c)로 이루어진 표시부(18) 등을 포함하며, 외부압력, 기동압력 및 정지압력을 디지털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하므로 압력계가 필요치 않아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외부압력 및 기동압력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압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관리자가 입력하는 외부압력과 정지압력을 상기 외부압력과 비교/분석하여 온/오프 제어신호를 신호출력부(19)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외부기기의 기동 및 정지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은 직류전원출력부 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력계 겸용 디지털압력스위치는 하나의 스위치에는 단순히 하나의 펌프에 대해 기동압력과 정지압력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여러 개의 펌프나 밸브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 펌프 또는 밸브에 대응하는 압력계 겸용 디지털압력스위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선행기술은 단전시 펌프나 밸브에 대해 제어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79421호(2002.06.11.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펌프실, 알람밸브 및 프리액션 밸브실 그리고 소방시설을 관리하는 방재실에 각각의 고유번호가 부여된 전자식 수압개폐장치를 설치하여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옥내 소화전, 스프링클러 등의 설비 가동을 위한 주, 예비, 충압 또는 엔진펌프와 각층에 설치된 알람밸브 및 프리액션밸브, 감압밸브, 릴리프밸브 등의 기동 및 정지 압력을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간이나 외출시 관리자 부재시에도 자동통보기능을 통하여 원격으로 즉시 제어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펌프 기동 및 정지 등이 자동으로 기록되는 데이터 장치가 포함하는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순차기동및 정지, 지연시간조정, 음성안내, 관리자 비밀번호, 작동 및 고장을 알려주는 표시등과 CCTV와 연동되고 스토퍼등 내진장치가 부착되어 있으며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계 소화시스템을 위하여 펌프실과 각층에 설치된 알람밸브실, 프리액션 밸브실 각각에 ID 또는 어드레스를 가지며 케이스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디지털압력스위치와; 펌프실, 알람밸브실, 프리액션 밸브실 및 각층에 설치된 디지털압력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기동압력 및 정지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방재실에 설치되는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와; 펌프실에 설치된 디지털압력스위치로 순간적인 과도한 압력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와 게이트밸브 사이에서 분기하여 설치되는 압력도입관 상에 스트레이너 볼밸브, 사이트글라스,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 바이패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력감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디지털압력스위치는 수계 소화설비 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펌프를 소화배관의 압력값을 기준으로 기동점, 정지점을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기동, 정지시키며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기동압력과 정지압력에 따른 각각의 설정값을 미세조정하거나 점검할 수 있도록 펌프의 토출 측 압력밸브, 프리액션밸브, 감압밸브, 체크밸브와 게이트밸브와 압력배관에 압력도입관 상에 압력감지부재와 연결되어 압력을 검출하며, 검출값을 기동 압력 및 정지압력 설정값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펌프 또는 체절압력 미만에서 자동제어되는 기능과 각 펌프 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를 기동, 정지시키는 것은 물론 알람밸브, 프리액션밸브, 감압밸브, 전동 릴리프 밸브의 기동 및 정지 압력을 설정, 각각의 배관압력의 이상 유무를 표시창을 통해 확인, 관리자의 부재시 소방서에 자동통보되는 속보기능과 원격 제어, 펌프기동 및 정지에 대한 데이터의 메모리부에 저장, 순차기동 및 정지, 지연시간 조정, 음성안내, 작동 상태 및 고장을 표시하고, 상기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는 관리자가 아닌 타인이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밀번호를 부여하고 원격지에 설치된 관리자컴퓨터를 통해 CCTV에 실시간 촬영한 영상을 통해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내측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바디와; AC 1차측 입력전압을 표시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 전면에 설치되는 AC볼트메타와; DC 2차측 사용전압을 표시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 전면에 설치되는 DC볼트메타와;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에 설치되는 전류메타와; 단전에 의해 상용전원의 차단없이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 내측에 설치되는 UPS와; 펌프1, 펌프2, 펌프3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는 단자대와;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는 A/D변환기와; 정전시 예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압력스위치는, 각 부분을 동작시키기 위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수계 소화설비 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펌프 또는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압력 설정값과 정지압력 설정값의 미세조정, 상기 각각의 압력값 설정을 위한 모드 변경 및 시험 운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설정부와; 펌프의 토출 측 체크밸브와 게이트밸브 사이의 압력배관에 압력도입관이 직접 설치되어 펌프 토출 측의 배관 내 압력을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압력검출부와;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각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압력 및 정지압력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설정부의 키조작 신호에 따라 설정 모드를 변경하여 각 설정 모드에서의 증가키나 감소키의 입력에 따라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의 기동압력 또는 정지압력 설정값의 수치를 가변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동작을 제어하며, 압력검출부에 의한 배관 내 압력 검출값을 설정부에 의해 각각의 압력 설정값들과 비교하여 각 펌프 또는 각 펌프 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의 기동 또는 정지를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다수의 표시창을 구비하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표시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설정부에 의한 각각의 압력 설정값과 압력검출부에 의한 배관 내 검출값 들을 키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동작 모드를 각각 구분하여 출력하는 표시부;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외부 기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를 기동하거나 정지시키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는, 설정부의 키 조작신호에 따라 시험 운전 모드가 설정되면 타이머를 이용한 지정된 지연시간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 또는 정지를 순차적으로 구동하고, 펌프 및 디지털압력스위치의 이상 유무를 통신부를 통해 이동통신망, 인터넷 망, 유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컴퓨터 또는 소방서서버로 화재 신호를 자동으로 인가하며 지진시 스토퍼로 고정되어 내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계 소화시스템을 위하여 각층에 설치된 펌프실, 알람밸브실, 프리액션 밸브실 각각에 ID 또는 어드레스를 가지며 케이스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디지털압력스위치와; 펌프실, 알람밸브실, 프리액션 밸브실 및 각층에 설치된 디지털압력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기동압력 및 정지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방재실에 설치되는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와; 펌프실에 설치된 디지털압력스위치로 순간적인 과도한 압력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와 게이트밸브 사이에서 분기하여 설치되는 압력도입관 상에 스트레이너 볼밸브, 사이트글라스,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 바이패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력감지부재;로 구성되되, 압력감지부재는, 스트레이너 볼밸브, 사이트글라스,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 바이패스부재로 구성되어 체크밸브와 게이트밸브 사이에서 분기하거나 복합밸브 사용시에 게이트밸브 후단 토출측에서 분기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트레이너 볼밸브는 수리의 용이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압력도입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트글라스는 압력도입관으로 유입되는 소화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화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트레이너를 가지며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는 소정 압력만 한방향르로 유입되게 체크 오리피스 기능을 가지며 배관 내 압력이 감소될 때 압력스위치의 반대방향을 열어 신속히 압력을 검지할 수 있도록 스트레이너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부재는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를 통해 디지털압력스위치로 순간적인 과도한 압력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이트글라스와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에 연결되어 외부의 일시적인 과도한 압력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 외주연에 나선형이나 지그재그형으로 감겨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펌프실, 알람밸브 및 프리액션 밸브실 그리고 소방시설을 관리하는 방재실 각각에 ID 또는 어드레스가 부여된 디지털압력스위치를 설치하여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해 옥내 소화전 스프링클러 등의 설비가동을 위한 펌프1, 펌프2, 펌프3 또는 엔진펌프와 각층에 설치된 알람밸브, 프리액션밸브, 감압밸브, 전동 릴리프 밸브 등의 기동 및 정지 압력을 원격으로 설정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키조작에 의해 외부에서 검출되는 압력값은 물론 다수 개의 펌프 또는 체절압력 미만에서 자동제어되는 기능과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 압력과 정지 압력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압력값을 수치와 문자로 표시하고, 이를 저장하므로 전자식 수압 개폐 시스템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계와 압력탱크를 대신하여 디지털압력스위치를 이용하여 수계 소화설비의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를 기동 및 정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값을 정밀하게 조정이 이루어지므로 소화설비의 펌프 또는 체절압력 미만에서 자동제어되는 기능과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를 기동 및 정지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압력스위치의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외부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므로 펌프 이상에 따른 에러상태 발생시 그 상태 값들을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확인하여 에러상태에 따라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전자식 수압 개폐 시스템의 효율적이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압력스위치가 외부 기기와의 통신으로 외부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검출값, 설정값 및 동작 상태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관리자가 전자식 수압 개폐 시스템의 모든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에러의 발생시 대처가 매우 빠르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야간이나 외출 등 관리자 부재시에도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관계인 및 관할 소방서에 자동으로 즉시 통보되므로 피해를 최소화하고 펌프기동 및 정지 등에 따른 기록을 저장함은 물론 순차기동 및 정지, 지연시간조정, 음성으로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만 디지털압력스위치 및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관리자 비밀번호가 설정되며, 작동 및 고장을 알려주는 표시등이 설치되어 관리자가 신호히 화재상황에 대응하여 수계소화설비시스템을 정상기동하여 소화할 수 있도록 압력스위치의 상시 감시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력계 겸용 압력스위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압력계 겸용 압력 스위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디지털압력스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디지털압력스위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수압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8은 기존의 압력탱크를 제거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수압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압력도입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펌프1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모드와 기동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을 예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펌프2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모드와 기동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을 예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펌프3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모드와 기동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을 예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수압개폐장치를 이용해 점검을 위한 수동 운전 및 정지모드에서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이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디지털압력스위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디지털압력스위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수압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고, 도 8은 기존의 압력탱크를 제거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수압개폐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압력도입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펌프1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모드와 기동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펌프2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모드와 기동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펌프3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모드와 기동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의 수압개폐장치를 이용해 점검을 위한 수동 운전 및 정지모드에서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은 수계 소화시스템을 위하여 각층에 설치된 펌프실, 알람밸브실, 프리액션 밸브실 각각에 ID 또는 어드레스를 가지며 케이스(100)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디지털압력스위치(200)와, 펌프실, 알람밸브실, 프리액션 밸브실 및 각층에 설치된 디지털압력스위치(2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기동압력 및 정지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방재실에 설치되는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와, 펌프실에 설치된 디지털압력스위치(200)로 순간적인 과도한 압력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30)와 게이트밸브(40) 사이에서 분기하여 설치되는 압력도입관(231) 상에 스트레이너 볼밸브(410), 사이트글라스(420),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 바이패스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력감지부재(400)로 구성되되, 상기 디지털압력스위치(200)는 수계 소화설비 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펌프를 소화배관의 압력값을 기준으로 기동점, 정지점을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기동, 정지시키며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기동압력과 정지압력에 따른 각각의 설정값을 미세조정하거나 점검할 수 있도록 펌프의 토출 측 압력밸브, 프리액션밸브, 감압밸브, 체크밸브(30)와 게이트밸브(40)와 압력배관(50)에 압력도입관(231) 상에 압력감지부재(400)와 연결되어 압력을 검출하며, 배관의 검출값을 기동 압력 및 정지압력 설정값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펌프 또는 체절압력 미만에서 자동제어되는 기능과 각 펌프 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를 기동, 정지시키는 것은 물론 알람밸브, 프리액션밸브, 감압밸브, 전동 릴리프 밸브의 기동 및 정지 압력을 설정, 각각의 배관압력의 이상 유무를 표시창을 통해 확인, 관리자의 부재시 소방서에 자동통보되는 속보기능과 원격 제어, 펌프기동 및 정지에 대한 데이터의 메모리부(240)에 저장, 순차기동 및 정지, 지연시간 조정, 음성안내, 작동 상태 및 고장을 표시하고, 상기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는 관리자가 아닌 타인이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밀번호를 부여하고 원격지에 설치된 관리자컴퓨터(600)를 통해 CCTV(500)에 실시간 촬영한 영상을 통해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내측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바디(110)와, AC 1차측 입력전압을 표시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110) 전면에 설치되는 AC볼트메타(120)와, DC 2차측 사용전압을 표시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110) 전면에 설치되는 DC볼트메타(130)와,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에 설치되는 전류메타(140)와, 단전에 의해 상용전원의 차단없이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110) 내측에 설치되는 UPS(150)와, 펌프1, 펌프2, 펌프3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 내측에 설치되는 단자대(160)와;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110) 내측에 설치되는 A/D변환기(미부호)와, 정전시 예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110) 내측에 설치되어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미부호)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바디(110)는 지진 발생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170)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170)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케이스바디(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지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바디(110)의 상부에는 경광등(180)이 설치되고, 상기 경광등(180)은 방재실에 설치되는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녹색(또는 파랑), 황색(또는 노랑), 빨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디지털압력스위치(200)는 각 부분을 동작시키기 위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10)와,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수계 소화설비 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펌프를 순차적으로 기동, 정지시키며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압력 설정값과 정지압력 설정값의 미세조정, 상기 각각의 압력값 설정을 위한 모드 변경 및 시험 운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설정부(220)와, 펌프의 토출 측 체크밸브(30)와 게이트밸브(40) 사이의 압력배관(50)에 압력도입관(231)이 직접 설치되어 펌프 토출 측의 배관 내 압력을 검출하여 제어부(250)로 전달하는 압력검출부(230)와, 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되는 각 펌프 또는 체절압력 미만에서 자동제어되는 기능과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압력 및 정지압력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40)와, 설정부(220)의 키조작 신호에 따라 설정 모드를 변경하여 각 설정 모드에서의 증가키(221)나 감소키(222)의 입력에 따라 펌프 또는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의 기동압력 또는 정지압력 설정값의 수치를 가변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동작을 제어하며, 압력검출부(230)에 의한 배관 내 압력 검출값을 설정부(220)에 의해 각각의 압력 설정값들과 비교하여 각 펌프 또는 각 펌프 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의 기동 또는 정지를 위한 펌프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50)와, 다수의 표시창을 구비하며, 제어부(250)에서 발생되는 표시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설정부(220)에 의한 각각의 압력 설정값과 압력검출부(230)에 의한 배관 내 검출값 들을 키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동작 모드를 각각 구분하여 출력하는 표시부(260)와,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제어부(25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며, 제어부(250)에서 출력되는 외부 기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펌프 또는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를 기동하거나 정지시키는 신호출력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210)는 시스템의 각 부분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전자식 수압 개폐 시스템의 각 부분 구동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210)는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전시 전원의 차단없이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UPS(150)는 상용전원에서 발생 가능한 전원 장애를 극복하여 양질의 안정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정부(220)는 하나 이상의 펌프를 순차적으로 기동, 정지시키며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 등과 같은 외부 기기를 기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기동압력 및 정지압력 설정값들을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며, 이들 각 키 조작에 의한 입력에 해당하는 신호가 제어부(250)로 출력된다.
이때 다수의 키는 압력 설정을 하기 위해 수치의 증가 또는 감소를 위한 키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증가키(221)와 감소키(222), 모드 변경을 위한 키 신호를 발생하는 모드선택키(223) 및 모드선택키(223)에 따라 시험 운전을 위한 펌프 또는 체절압력 미만에서 자동제어되는 기능과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의 기동 및 정지에 대하여 최종 설정하는 엔터키(224)로 구성한다.
이들 다수의 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수계 소화설비 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펌프를 순차적으로 기동, 정지시키며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압력 설정값과 정지압력 설정값의 미세조정, 상기 각각의 압력값 설정을 위한 모드 변경 또는 시험 운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압력검출부(230)는 펌프의 토출 측 체크밸브(30)와 게이트밸브(40) 사이의 압력배관(50)에 압력도입관(231)이 직접 설치되고, 상기 압력도입관(231)으로부터 유입되는 펌프 토출 측의 압력배관(50)의 압력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그에 해당하는 압력 신호를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이러한 압력검출부(230)는 압력도입관(231)과 연결되는 그 내부에 외부 압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압력센서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검출부(230)의 일측에 설치되는 배수밸브(232)는 배수를 위한 시험용 밸브이다.
상기 메모리부(240)는 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되는 각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압력 및 정지압력 설정값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설정부(220)의 키 조작신호에 따라 시험 운전 모드가 설정되면 타이머를 이용한 지정된 지연시간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펌프를 순차적으로 기동, 정지시키며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 또는 정지를 순차적으로 구동하고, 펌프 및 디지털압력스위치(200)의 이상 유무를 통신부(280)를 통해 이동통신망, 인터넷 망, 유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컴퓨터 또는 소방서서버로 화재 신호를 자동으로 인가하며, 스토퍼(170)로 고정되어 지진시 내진성을 갖는다.
또한, 제어부(250)는 압력검출부(230)에 의한 배관 내 압력 검출값을 설정부(220)에 의해 각각의 압력 설정값들과 비교하여 각 펌프 또는 체절압력 미만에서 자동제어되는 기능과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기동, 정지를 위한 펌프 구동신호 또는 밸브 구동신호를 신호출력부(270)를 통해 출력하고, 통신부(280)를 통해 제어하여 외부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검출값, 설정값 및 동작 상태정보를 외부 기기로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에서는 설정부(220)의 키 조작 신호에 따라 시험 운전 모드가 설정되면 타이머를 이용한 지정된 지연시간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 또는 정지를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설정부(220)의 키 조작신호에 따라 시험 운전 모드가 설정되면 타이머를 이용한 지정된 지연시간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펌프 또는 체절압력 미만에서 자동제어되는 기능과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 또는 정지를 순차적으로 구동하고, 펌프 및 디지털압력스위치의 이상 유무를 통신부(280)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컴퓨터(600) 또는 소방서서버로 화재 신호를 자동으로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발광되는 표시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고, 설정부(220)에 의한 각각의 압력 설정값 및 압력검출부(230)에 의한 배관 내 검출 압력값 들을 상기 키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동작 모드에 따라 구분하여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260)는 압력/모드표시부(261)와, 펌프1 설정값표시부(262)와, 펌프2 설정값표시부(263)와, 펌프3 설정값표시부(264)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모드표시부(261)는 압력검출부(230)에 의한 배관 내 검출 압력값 또는 모드선택키(223)에 의해 선택되는 설정모드를 나타내는 수치 또는 문자를 표시한다.
상기 펌프1 설정값표시부(262), 펌프2 설정값표시부(263) 및 펌프3 설정값표시부(264)는 펌프1, 펌프2, 펌프3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값 또는 기동압력 설정 모드에서의 증가키(221)나 감소키(222)의 입력에 따라 해당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의 기동압력 또는 정지압력 설정값의 수치를 가변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의 펌프1, 2, 3 설정값 표시부(262, 263, 264)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개수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층에 설치되는 디지털압력스위치(200)와 연결하여 각각의 기동압력 또는 정지압력 설정값의 수치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도 메인표시부(250)의 메인압력/모드표시부(251), 메인설정값표시부(252), 메인기동압력표시부(253), 메인정지압력표시부(254), 메인동작상태표시부(255)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여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펌프1 설정값표시부(262) 또는 펌프2 설정값표시부(263)는 폄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값, 기동압력 설정 모드에서의 증가키(221)나 감소키(222)의 입력에 따라 해당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의 기동압력, 정지압력 설정값의 수치를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모드표시부(261)와 펌프1, 2, 3 설정값표시부(262, 262, 263)는 7-세그먼트 또는 LCD로 형성하여 어두운 곳에서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동작상태표시부(265)는 압력/모드표시부(261)와 펌프1 설정값표시부(262), 펌프2 설정값표시부(263) 펌프3 설정값표시부(264) 및 제어부(250)의 동작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압력스위치(200)는 펌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 구동부는 제어부(250)에서 출력되는 펌프 구동신호 또는 밸브 구동신호에 따라 해당 펌프, 펌프 내 감압밸브를 기동, 정지시킨다.
상기 방재실에 설치되는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는 디지털압력스위치(200)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펌프실, 알람밸브 및 프리액션 밸브실에 설치된 디지털압력스위치 및 각층에 설치된 디지털압력스위치(200)의 개수와 동일하게 표시부(260)를 구성하여 기동압력 또는 정지압력 설정값의 수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260)와 동일한 개수의 LED램프를 구성하여 정상 작동하는지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압력스위치(200)에서 소화설비 배관 내의 압력변동을 파악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30)와 게이트밸브(40) 사이에서 분기하거나 복합밸브 사용시에 게이트밸브(40) 후단 토출측에서 분기되는 압력도입관(231)에 압력감지부재(400)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는 메인전원공급부(310), 메인설정부(320), 메인메모리부(330), 메인제어부(340), 메인표시부(350), 메인신호출력부(360) 및 메인통신부(370)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구성은 디지털압력스위치(200)의 전원공급부(210), 설정부(220), 메모리부(240), 제어부(250), 신호출력부(270) 및 통신부(280)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의 메인표시부(350) 구성이 상기 디지털압력스위치(200)의 표시부(260)의 구성과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성만을 설명한다.
상기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의 메인표시부(350)는 각층에 설치된 디지털압력스위치(200)의 통신부(28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메인통신부(370)를 통해 인가받아 각각의 메인압력/모드표시부(351)와 메인기동압력표시부(352a) 및 메인정지압력표시(352b)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메인압력/모드표시부(351)는 디지털압력스위치(200)의 압력검출부(230)에 의한 배관 내 검출 압력값 또는 모드선택키(223)에 의해 선택되는 설정모드를 나타내는 수치 또는 문자를 표시한다.
상기 메인기동압력표시부(352a) 및 메인정지압력표시(352b)는 펌프1, 펌프2, 펌프3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값 또는 기동압력 설정 모드에서의 디지털압력스위치(200)의 증가키(221)나 감소키(222)의 입력에 따라 해당 펌프 또는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의 기동압력 또는 정지압력 설정값의 수치를 가변상태로 디지털압력스위치(2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표시하고, 이를 방재실에서 관리자가 각층의 디지털압력스위치(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의 메인설정부(320)를 통해 각층에 설치된 디지털압력스위치(200)의 기동압력 또는 정지압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메인증가키(321), 메인감소키(322), 메인모드선택키(323), 메인엔터키(324)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설정의 변경은 메인모드선택키(323)를 조작하여 각 층에 설치된 디지털압력스위치(200)를 선택한다.
또한, 메인증가키(321)와 메인감소키(322)는 기동압력값, 정지압력값의 설정을 변경할때 사용된다.
상기 메인엔터키(324)는 디지털 압력 스위치(200)를 선택, 기동압력값, 정지압력값 입력 시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디지털 압력 스위치(200)를 선택한 후 메인증가키(321) 또는 메인감소키(322)를 눌러 기동압력 또는 정지압력을 설정하면, 조작한 신호를 토대로 메인제어부(340)에서 메인통신부(370)를 통해 해당 층에 위치한 디지털압력스위치(200)로 인가되고, 이때 인가되는 신호는 각층에 설치된 디지털압력스위치(200) 마다 설정된 ID 또는 어드레스를 기준으로 신호가 송신되어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에서 설정한 값으로 변경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감지부재(400)는, 스트레이너 볼밸브(410), 사이트글라스(420),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 바이패스부재(440)로 구성되어 체크밸브(30)와 게이트밸브(40) 사이에서 분기하거나 복합밸브 사용시에 게이트밸브 후단 토출측에서 분기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트레이너 볼밸브(410)는 수리의 용이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압력도입관(231) 상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트글라스(420)는 압력도입관(231)으로 유입되는 소화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화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트레이너를 가지며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는 소정 압력만 한방향르로 유입되게 체크 오리피스 기능을 가지며 배관 내 압력이 감소될 때 압력스위치의 반대방향을 열어 신속히 압력을 검지할 수 있도록 스트레이너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부재(440)는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를 통해 디지털압력스위치(200)로 순간적인 과도한 압력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이트글라스(420)와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에 연결되어 외부의 일시적인 과도한 압력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 외주연에 나선형이나 지그재그형으로 감겨지게 설치된다.
또한 압력감지부재(400)는 체크밸브(30)와 게이트밸브(40) 사이에서 분기하거나 복합밸브 사용시에 게이트밸브(40) 후단 토출측에서 분기하여 연결된 압력도입관(231)으로 순간적인 과도한 압력을 갖는 소화수가 유입되면, 바이패스부재(440)로 소화수를 우회시켜 그 압력을 분산시켜 디지털압력스위치(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에 의한 수계 소화설비의 전자식 수압 개폐 시스템에서, 디지털압력스위치(200)의 키입력에 따른 모드 설정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펌프1과 펌프2 및 펌프3 등이 구비되는 경우, 관리자에 의한 설정부(220)의 키 입력에 따라 제어부(250)에서 이루어지는 각 펌프에 대해 정지 압력 설정모드와 기동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을 전체적으로 예시하며, 이에 대한 동작 설명은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하기에서는 디지털압력스위치(200)를 기준으로 작동 설명을 한다.
도 12는 펌프1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모드와 기동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펌프1의 정지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은 모드선택키(223)의 신호가 지정된 시간 동안(예를 들면 3초) 지속해서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1, S102)와, 모드선택키(223)의 신호가 지정된 시간에 지속해서 입력되면 펌프1 또는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정지압력 설정모드로 전환되고, 해당 모드 표시(예를 들면 펌프1의 정지압력 설정모드임을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를 압력/모드표시부(261)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103)와, 증가키(221), 감소키(222)가 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4) 및 증가키(221), 감소키(222)의 신호가 입력되면 펌프1 또는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정지 압력값의 수치를 가변하여 펌프1 설정값표시부(262)의 정지압력표시부(262a, 263a, 264a)로 표시하면서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단계(S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1의 기동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은 다시 모드선택키(223)의 신호가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6)와, 모드선택키(223)의 신호가 다시 입력되면 펌프1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기동압력 설정모드로 진입하고, 해당 모드 표시(예를 들면 펌프1의 기동압력 설정모드임을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를 압력/모드표시부(261)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107)와, 증가키(221), 감소키(222)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8) 및 증가키(221), 감소키(222)의 신호가 입력되면 펌프1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기동 압력값의 수치를 가변하여 펌프1 설정값표시부(262)의 기동압력표시부(262b, 263b, 264b)로 표시하면서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단계(S109)를 포함한다.
도 13은 펌프2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모드와 기동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펌프2의 정지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은, 다시 모드선택키(223)의 신호가 더 입력되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1)와, 모드선택키(223)의 신호가 입력되면 펌프2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정지압력 설정모드로 진입하고 해당 모드 표시(예를 들면 펌프2의 정지압력 설정모드임을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를 압력/모드표시부(261)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112)와, 증가키(221), 감소키(222)의 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3) 및 증가키(221), 감소키(222)의 키 신호가 입력되면 펌프2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정지 압력값의 수치가 가변되어 펌프2 설정값표시부(263)의 정지압력표시부(262a, 263a, 264a)에 표시하면서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단계(S114)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2의 기동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은 다시 모드선택키(223)의 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5)와, 모드선택키(223)의 키 신호가 다시 입력되면 펌프2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기동압력 설정모드로 진입하고 해당 모드 표시(예를 들면 펌프2의 기동압력 설정모드임을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를 압력/모드표시부(261)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116)와, 증가키(221), 감소키(222)에 의한 키 신호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7) 및 증가키(221), 감소키(222)의 신호가 입력되면 펌프2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기동 압력값의 수치를 가변하여 펌프2 설정값표시부(263)의 기동압력표시부(262b, 263b, 264b)로 표시하면서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단계(S118)와, 모드선택키(223)의 조작에 의해 신호가 인가되었는지 제어부(250)에서 판단하는 단계(S119)를 포함한다.
도 14는 펌프3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모드와 기동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펌프3의 정지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은 증가키(221)와 감소키(222)의 신호가 지정된 시간(예를 들면 3초)에 지속해서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1, S122)와, 증가키(221)와 감소키(222)의 신호가 지정된 시간에 지속해서 입력되면 펌프3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정지압력 설정모드로 진입하고, 해당 모드 표시(예를 들면 예비 펌프의 정지압력 설정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를 압력/모드표시부(261)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123)와, 증가키(221)와 감소키(222)의 신호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4) 및 증가키(221), 감소키(222)의 신호가 입력되면 펌프3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정지 압력값의 수치를 가변하여 펌프1 설정값표시부(262)의 정지압력표시부(262a, 263a, 264a)에 표시하면서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단계(S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3의 기동압력 설정모드에서의 압력값 설정동작은 다시 한번 모드선택키(223)의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6)와, 모드선택키(223)의 신호가 다시 입력되면 예비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기동압력 설정모드로 진입하고 해당 모드 표시(예를 들면 예비 펌프의 정지압력 설정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127)와, 증가키(221), 감소키(222) 신호의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8) 및 증가키(221), 감소키(222)의 신호가 입력되면 예비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기동 압력값의 수치가 가변되어 펌프1 설정값표시부(262)의 기동압력표시부(262b, 263b, 264b)로 표시되면서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단계(S129)를 포함한다.
도 15는 점검을 위한 수동 운전 및 정지모드에서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모드선택키(224)에서 설정한 모드에 따른 엔터키(224)의 신호가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1, S132)와, 모트선택키(223)에서 선택한 기동모드에 따른 엔터키(224)의 신호가 펌프2, 펌프1, 펌프3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키는 단계(S133)와, 모드선택키(224)에서 설정한 모드에 따른 엔터키(224)의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34, S135) 및 모트선택키(223)에서 선택한 정지모드에 따른 엔터키(224)의 신호가 입력되면 펌프2, 펌프1, 예비폄프를 즉시 정지시키는 단계(S136)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수압 개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체크밸브(30)와 게이트밸브(40) 사이에서 분기하거나 복합밸브 사용시에 게이트밸브(40) 후단 토출측에서 분기시키는 압력도입관(231)을 설치하고, 상기 압력도입관(231)에는 소화설비 배관 내의 압력변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공급되는 소화수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압력감지부재(400)를 설치한다.
상기 압력감지부재(400)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에 의해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디지털압력스위치(200)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디지털압력스위치(2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펌프실, 알람밸브 및 프리액션 밸브실 및 각층에 설치된 알람밸브, 프리액션밸브, 감압밸브, 전동 릴리프 밸브의 기동 및 정지압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에 결합된 상태로 펌프실, 알람밸브실 프리액션 밸브실 및 각층에 설치한다.
상기 펌프실, 알람밸브실 프리액션 밸브실 및 각층에 설치한 디지털압력스위치(200)와 방재실에 설치된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는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컴퓨터(600) 또는 소방서서버로 화재 신호를 자동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압력감지부재(400)로 인입되는 소화수가 공급되는지를 사이트글라스(420)를 통해 확인하고, 이때 소화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사이트글라스(420) 내에 설치된 스트레이너에 의해 걸러지며, 이물질이 걸러진 소화수는 다시 오리피스 기능을 가진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로 공급되고, 상기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의 오리피스 기능에 의해 소화수의 압력을 디지털압력스위치(200)에서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이트글라스(420)로 유입되는 소화수의 순간적인 과도한 압력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 외측에 감겨진 형태로 구성된 바이패스부재(440)를 통해 우회되어 순간 과도하게 유입되는 압력을 설정값 내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펌프실, 알람밸브실 프리액션 밸브실 및 각층 설치한 디지털압력스위치(200) 설정부(220)의 각 키들을 조작하여 펌프1, 펌프2, 펌프3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에 대해 각각의 정지압력 또는 기동압력을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설정부(220)에서 인가되는 선택신호를 분석하여 각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모드 또는 기동압력 설정모드임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기호를 압력/모드표시부(261)에 출력하면서, 각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에 대해 정지압력과 기동압력 설정값을 메모리부(240)에 저장하고, 상기 정지압력과 기동압력 설정값을 디지털로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표시부(260)의 각 정지압력표시부(262a, 263a, 264a)와 기동압력표시부(262b, 263b, 264b)에 각각 출력한다.
따라서 압력/모드표시부(261)에는 각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에 대해 정지압력 설정모드 또는 기동압력 설정모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가 표시되고, 정지압력표시부(262a, 263a, 264a)와 기동압력표시부(262b, 263b, 264b)에는 상기 제어부(25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설정부(220)에서 입력되는 각 정지압력과 기동압력 설정값이 표시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정지압력표시부(262a, 263a, 264a)와 기동압력표시부(262b, 263b, 264b)를 통해 표시되는 정지압력과 기동압력 설정값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증가키(221)와 감소키(222)를 사용하여 정밀하게 설정한다.
이후, 압력도입관(231)을 통해 압력배관(50) 내 압력이 압력검출부(230)로 유입되면, 상기 압력검출부(230)에서는 내장된 압력센서를 통해 압력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여 제어부(250)에 출력하며, 제어부(250)에서는 검출된 압력값이 수치로 표시되도록 압력/모드표시부(261)에 표시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입력 배관 내의 압력을 수시로 체크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외부 압력 검출값과, 각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압력 및 정지압력 설정값들을 비교, 분석하여 검출된 압력이 기동압력 또는 정지압력이면 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신호출력부(270)를 통해 외부의 해당 기기 즉, 펌프1, 펌프2, 또는 펌프3의 구동부(미도시)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검출된 압력이 메모리부(240)에 설정된 기동압력 설정값에 도달하면 외부의 해당 기기를 기동시키기 위한 '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된 압력이 메모리부(240)에 설정된 정지압력 설정값에 도달하면 외부의 해당 기기를 정지시키기 위한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해당 기기는 상기 신호출력부(270)를 통해 출력되는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기동 또는 정지를 반복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압력검출부(230)에서 검출되는 압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부(240)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외부 압력과 정지압력 및 기동압력 설정값을 비교, 분석하여 외부 기기의 온/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외부 기기의 기동 및 정지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50)에서는 관리자에 의한 통신 요청이 있는 경우 통신부(280)를 제어하여 필요에 따라 외부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검출값, 설정값 및 동작 상태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함으로써, 펌프 이상에 따른 에러 상태 발생시 그 상태의 값들을 원격지에 위치한 방재실의 관리자컴퓨터(600)로 인가하고 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는 관리자컴퓨터(600)로 인가되는 데이터를 통해 수계 소화설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험 운전이 필요한 경우, 배수밸브(232)를 개방하고 관리자가 조작하는 설정부(220)의 키 조작신호에 따라 시험 운전 모드를 설정하게 되면 제어부(250)에서는 타이머를 이용한 지정된 지연시간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을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고 시험 운전 정지시 운전 정지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시험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설정부(220)를 조작하여 외부에서 검출되는 압력값은 물론 다수 개의 펌프 또는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 압력과 정지 압력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수치와 문자를 이용하여 표시 및 저장할 수 있어 기동 또는 정지에 따른 효율적인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력계와 압력탱크를 대신하여 디지털압력스위치(200)를 이용하여 수계 소화설비의 펌프 또는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를 기동 및 정지가 용이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압력값을 정밀하게 조정이 이루어지므로 소화설비의 하나 이상의 펌프를 순차적으로 기동, 정지시키며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를 기동 및 정지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압력스위치(200)의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외부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므로 펌프 이상에 따른 에러상태 발생시 그 상태 값들을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확인하여 에러상태에 따라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전자식 수압 개폐 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가 외부 기기와의 통신으로 외부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검출값, 설정값 및 동작 상태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관리자가 전자식 수압 개폐 시스템의 모든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에러의 발생시 대처가 매우 빠르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 체크밸브 40: 게이트밸브
50: 압력배관 100: 케이스
110: 케이스바디 120: AC볼트메타
130: DC볼트메타 140: 전류메타
150: UPS 160: 단자대
170: 스토퍼 180: 경광등
200: 디지털 압력 스위치 210: 전원공급부
220: 설정부 221: 증가키
222: 감소키 223: 모드선택키
224: 엔터키 230: 압력검출부
231: 압력도입관 232: 배수밸브
240: 메모리부 250: 제어부
260: 표시부 261: 압력/모드표시부
262: 펌프1 설정값표시부 263: 펌프2 설정값표시부
262a, 263a, 264a: 정지압력표시부 262b, 263b, 264b: 기동 압력 표시부
264: 펌프3 설정값표시부 265: 동작상태표시부
270: 신호출력부 280: 통신부
300: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 310: 메인전원공급부
320: 메인설정부 321: 메인증가키
322: 메인감소키 323: 메인모드선택키
324: 메인엔터키 330: 메인메모리부
340: 메인제어부 350: 메인표시부
351: 메인압력/모드표시부 352: 메인설정값표시부
352a: 메인기동압력표시부 352b: 메인정지압력표시부
353: 메인동작상태표시부 360: 메인신호출력부
370; 메인통신부 400: 압력감지부재
410: 스트레이너 볼밸브 420: 사이트글라스
430: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 440: 바이패스부재
500: CCTV 600: 관리자 컴퓨터

Claims (5)

  1. 수계 소화시스템을 위하여 각층에 설치된 펌프실, 알람밸브실, 프리액션 밸브실 각각에 ID 또는 어드레스를 가지며 케이스(100)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디지털압력스위치(200)와;
    각각에 고유번호가 부여된 디지털압력스위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옥내 소화전 스프링클러의 설비가동을 위한 펌프1, 펌프2, 펌프3 또는 엔진펌프와 각층에 설치된 알람밸브, 프리액션밸브, 감압밸브, 전동 릴리프 밸브 등의 기동 및 정지 압력을 원격으로 설정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방재실에 설치되는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와;
    펌프실에 설치된 디지털압력스위치(200)로 순간적인 과도한 압력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30)와 게이트밸브(40) 사이에서 분기하여 설치되는 압력도입관(231) 상에 스트레이너 볼밸브(410), 사이트글라스(420),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 바이패스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력감지부재(400);로 구성되되,
    상기 디지털압력스위치(200)는 수계 소화설비 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펌프를 소화배관의 압력값을 기준으로 기동점, 정지점을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기동, 정지시키며 펌프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의 기동압력과 정지압력에 따른 각각의 설정값을 미세조정하거나 점검할 수 있도록 펌프의 토출 측 압력밸브, 프리액션밸브, 감압밸브, 체크밸브(30)와 게이트밸브(40)와 압력배관(50)에 압력도입관(231) 상에 압력감지부재(400)와 연결되어 압력을 검출하며, 배관의 검출값을 기동 압력 및 정지압력 설정값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펌프 또는 체절압력 미만에서 자동제어되는 기능과 각 펌프 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를 기동, 정지시키는 것은 물론 알람밸브, 프리액션밸브, 감압밸브, 전동 릴리프 밸브의 기동 및 정지 압력을 설정, 각각의 배관압력의 이상 유무를 표시창을 통해 확인, 관리자의 부재시 소방서에 자동통보되는 속보기능과 원격 제어, 펌프기동 및 정지에 대한 데이터의 메모리부(240)에 저장, 순차기동 및 정지, 지연시간 조정, 음성안내, 작동 상태 및 고장을 표시하고,
    상기 메인디지털압력스위치(300)는 관리자가 아닌 타인이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밀번호를 부여하고 원격지에 설치된 관리자컴퓨터(600)를 통해 CCTV(500)에 실시간 촬영한 영상을 통해 관리하며,
    상기 압력감지부재(400)는, 스트레이너 볼밸브(410), 사이트글라스(420),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 바이패스부재(440)로 구성되어 체크밸브(30)와 게이트밸브(40) 사이에서 분기하거나 복합밸브 사용시에 게이트밸브 후단 토출측에서 분기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트레이너 볼밸브(410)는 수리의 용이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압력도입관(231) 상에 설치되며, 상기 사이트글라스(420)는 압력도입관(231)으로 유입되는 소화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화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트레이너를 가지며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는 소정 압력만 한방향으로 유입되게 체크 오리피스 기능을 가지며 배관 내 압력이 감소될 때 압력스위치의 반대방향을 열어 신속히 압력을 검지할 수 있도록 사이트글라스(4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바이패스부재(440)는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를 통해 디지털압력스위치(200)로 순간적인 과도한 압력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이트글라스(420)와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에 연결되어 외부의 일시적인 과도한 압력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압력체크오리피스밸브(430) 외주연에 나선형이나 지그재그형으로 감겨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내측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바디(110)와;
    AC 1차측 입력전압을 표시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110) 전면에 설치되는 AC볼트메타(120)와;
    DC 2차측 사용전압을 표시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110) 전면에 설치되는 DC볼트메타(130)와;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에 설치되는 전류메타(140)와;
    단전에 의해 상용전원의 차단없이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스바디(110) 내측에 설치되는 UPS(150)와;
    펌프1, 펌프2, 펌프3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 내측에 설치되는 단자대(160)와;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 내측에 설치되는 A/D변환기와;
    정전시 예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 내측에 설치되어 직류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압력스위치(200)는,
    각 부분을 동작시키기 위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10)와;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수계 소화설비 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압력 설정값과 정지압력 설정값의 미세조정, 각각의 압력값 설정을 위한 모드 변경 및 시험 운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설정부(220)와;
    펌프의 토출 측 체크밸브(30)와 게이트밸브(40) 사이의 압력배관(50)에 압력도입관(231)이 직접 설치되어 펌프 토출 측의 배관 내 압력을 검출하여 제어부(250)로 전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외부 압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압력센서가 내장되고, 배수를 위한 시험용 배수밸브(232)를 가지며 압력도입관(231)과 연결되는 압력검출부(230)와;
    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되는 각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압력 및 정지압력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40)와;
    설정부(220)의 키조작 신호에 따라 설정 모드를 변경하여 각 설정 모드에서의 증가키(221)나 감소키(222)의 입력에 따라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의 기동압력 또는 정지압력 설정값의 수치를 가변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240)에 저장하는 동작을 제어하며, 압력검출부(230)에 의한 배관 내 압력 검출값을 설정부(220)에 의해 각각의 압력 설정값들과 비교하여 각 펌프 또는 각 펌프 보호를 위한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의 기동 또는 정지를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50)와;
    다수의 표시창을 구비하며, 제어부(250)에서 발생되는 표시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설정부(220)에 의한 각각의 압력 설정값과 압력검출부(230)에 의한 배관 내 검출값 들을 키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동작 모드를 각각 구분하여 출력하는 표시부(260);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제어부(25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며, 제어부(250)에서 출력되는 외부 기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및 각 감압밸브를 기동하거나 정지시키는 신호출력부(2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50)는,
    설정부(220)의 키 조작신호에 따라 시험 운전 모드가 설정되면 타이머를 이용한 지정된 지연시간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펌프 또는 전동 릴리프 밸브, 각 감압밸브에 대해 기동 또는 정지를 순차적으로 구동하고,
    펌프 및 디지털압력스위치(200)의 이상 유무를 통신부(280)를 통해 이동통신망, 인터넷 망, 유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컴퓨터 또는 소방서서버로 화재 신호를 자동으로 인가하며 지진시 스토퍼(170)로 고정되어 내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5. 삭제
KR1020180074223A 2018-06-27 2018-06-27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KR102089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23A KR102089684B1 (ko) 2018-06-27 2018-06-27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PCT/KR2019/007779 WO2020004962A1 (ko) 2018-06-27 2019-06-27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23A KR102089684B1 (ko) 2018-06-27 2018-06-27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58A KR20200001358A (ko) 2020-01-06
KR102089684B1 true KR102089684B1 (ko) 2020-03-16

Family

ID=6898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223A KR102089684B1 (ko) 2018-06-27 2018-06-27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9684B1 (ko)
WO (1) WO20200049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586B1 (ko) * 2021-03-23 2022-06-07 이대민 건축물 화재 시 연결송수관 설비를 이용한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624972B1 (ko) 2022-12-09 2024-01-15 주식회사 대영방재산업 소방용 전자식 압력 통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4504B (zh) * 2020-05-20 2021-07-16 安徽恒信正安物联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消防物联网的信息采集系统和采集方法
AU2022330604A1 (en) * 2021-08-16 2024-02-22 Tyco Fire Products Lp Fire suppression system with advanced diagnostics
CN115054858B (zh) * 2022-03-23 2023-08-08 华能核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雨淋阀组工作预警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17686167B (zh) * 2024-01-29 2024-04-19 深蓝(天津)智能制造有限责任公司 用于井下电控隔离阀的压力监测预警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421Y1 (ko) * 2002-03-11 2002-06-24 성정례 압력계 겸용 디지털 압력 스위치
KR101234989B1 (ko) * 2012-09-27 2013-02-20 박재숙 수격 및 서징 제어용 소화펌프 자동기동장치
KR101291717B1 (ko) * 2012-02-01 2013-07-31 박우순 소화설비 압력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2415B2 (ja) * 1992-05-15 1996-11-13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設備の自動点検方法
KR200488697Y1 (ko) * 2017-10-10 2019-04-05 (주)파슨텍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산불소화시설 원격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421Y1 (ko) * 2002-03-11 2002-06-24 성정례 압력계 겸용 디지털 압력 스위치
KR101291717B1 (ko) * 2012-02-01 2013-07-31 박우순 소화설비 압력제어 시스템
KR101234989B1 (ko) * 2012-09-27 2013-02-20 박재숙 수격 및 서징 제어용 소화펌프 자동기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586B1 (ko) * 2021-03-23 2022-06-07 이대민 건축물 화재 시 연결송수관 설비를 이용한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624972B1 (ko) 2022-12-09 2024-01-15 주식회사 대영방재산업 소방용 전자식 압력 통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4962A1 (ko) 2020-01-02
KR20200001358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684B1 (ko)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KR101697935B1 (ko)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KR100806255B1 (ko) 상수도시설용 통합관리시스템
US20050281679A1 (en) Basement flood control system
US6195002B1 (en) Alarm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sensors in a fire-suppression system
DK176905B1 (da) Indretning til sikkerhedssystemer til drift af væresteder i forbindelse med installationer
US20210018393A1 (en) Fluid leakage control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4658986A (en) Pressure-monitoring system
US20060243328A1 (en) Flow control apparatus
US11118330B2 (en) Flood mitigation and pipe freeze prevention systems for use in a structure
KR20150030120A (ko) 동파 방지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의 알람 및 유지보수 장치와 방법
KR100820936B1 (ko) 유/무인 변전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유/무인 변전소 통합제어방법
EP1702655A1 (en) Improved sprinkler test system
JP2015084825A (ja) 消火設備
KR102526401B1 (ko) 수질환경 보호 기능을 갖는 집합 계량기
JP6587528B2 (ja) 給水システム
CN11164384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消火栓智能监测装置
US202200741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pressure-driven system from a source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KR100475490B1 (ko)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M595752U (zh) 水位監控設備
JP2018053789A (ja) 給水装置
CN111696305A (zh) 变电站消防安全监控系统
KR100984365B1 (ko) 저수장의 유입밸브 예측제어장치 및 방법
JP3256300B2 (ja) 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