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490B1 -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490B1
KR100475490B1 KR10-2002-0066726A KR20020066726A KR100475490B1 KR 100475490 B1 KR100475490 B1 KR 100475490B1 KR 20020066726 A KR20020066726 A KR 20020066726A KR 100475490 B1 KR100475490 B1 KR 10047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pipe
flow
tim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081A (ko
Inventor
민경소
서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490B1/ko
Publication of KR2004003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사용량이 많은 공장이나 특정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누수방지방법은 배관내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1감지신호를 감지는 단계와, 상기 배관과 인근한 누수가능 영역의 바닥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누수를 감지하여 2감지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1감지신호와 2감지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상에서 감지시간대가 근무시간대와 비근무시간대 중 어느 시간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상기 시간대에서 1감지신호와 2감지신호 중 어느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상기 신호의 감지시간을 카운트하여 누수확정시간과 비교하고, 이에 초과하면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누수상태로 판단되면 긴급통신루트를 통하여 원격위치의 관리자에게 알리는 단계와, 상기 알림과 동시에 상기 배관의 솔레노이드밸브를 동작시켜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특정한 사업장의 근무시간과 그외의 시간으로 분리하고, 그 분리된 시간에 배관의 흐름과 누수를 감지하여 누수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때문에 사업자의 시설들을 보호하고, 경제적인 손실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prevention device for water leakage and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 사용량이 많은 공장이나 특정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필요로 하는 사업자에서는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누수가 물적 인적 피해를 유발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종래의 누수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며, 통상적인 누수감지기의 경우 고가로 판매되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그 기능적으로 알람발생 또는 중앙통제실로 아날로그 시그널을 주는 정도이어서 관리자가 부제할 경우 유지관리가 곤란하거나, 신속하게 보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설치장소가 극히 제한되어 있으므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결정저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특정한 사업장의 근무시간과 그외의 시간으로 분리하고,그 분리된 시간에 배관의 흐름과 누수를 감지하여 누수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배관의 출구와 입구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 내에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다수의 흐름감지부와, 누수가능한 상기 배관 부근영역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배관의 누수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누수감지부와, 상기 누수와 흐름 중 어느 하나이상의 신호가 일정구간의 복수 시간대에서 서로 다른 특정한 누수시간을 초과하면 긴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누수위치를 파악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관리자에게 원격통신으로 알려주는 긴급통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내관을 차단하는 물흐름을 정지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어부의 결과를 관리자에게 문자로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의 결과를 관리자에게 알람으로 알려주는 부져를 포함하는 누수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배관내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1감지신호를 감지는 단계와, 상기 배관과 인근한 누수가능 영역의 바닥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누수를 감지하여 2감지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1감지신호와 2감지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상에서 감지시간대가 근무시간대와 비근무시간대 중 어느 시간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상기 시간대에서 1감지신호와 2감지신호 중 어느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상기 신호의 감지시간을 카운트하여 누수확정시간과 비교하고, 이에 초과하면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누수상태로 판단되면 긴급통신루트를 통하여 원격위치의 관리자에게 알리는 단계와, 상기 알림과 동시에 상기 배관의 솔레노이드밸브를 동작시켜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수방지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누수방지장치는 배관과 밸브에서 누수되는 현상을 감지하여 이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배관 내에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다수의 흐름감지부(1)가 그 배관 내의 출구와 입구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누수가능한 상기 배관 부근영역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관으로부터 바닥면으로 누수되어 그 누수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누수감지부(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흐름감지부(1)와 누수감지부(3)는 감지상태를 일정한 전기적인 신호로 나타내며, 각각 1감지신호와 2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누수와 흐름 중 어느 하나이상의 감지신호가 일정구간의 복수 시간대에서 서로 다른 특정한 누수확정시간을 초과함에 따른 긴급상황인지를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누수위치를 파악하는 제어부(5)가 상기 누수감지부(3) 및 흐름감지부(1)와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5)는 타이머(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어 근무시간대와 비근무시간대를 구분할 수 있으며, 감지신호가 인지되면 타이머의 카운터가 시작된다.
상기 제어부(5)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관리자가 소유하고 있는 통신수단이나, 관리자가 위치한 곳의 통신수단에게 원격통신을 수행하고, 통신연결상태에서 누수발생상황을 ARS로 알려주는 긴급통신부(19)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수단은 유선 및 무선과 핸드폰 중 어느 하나이다.
누수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5)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배관 내의 물흐름이 정지되도록 차단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17)를 제어한다. 동시에 누수상태를 관리자에게 문자로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18)가 중앙통제부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게 알람(또는 경고음)으로 알려주는 부저(16)도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5)는 내장된 타이머를 통하여 특정한 시간대 즉 근무시간대와 비근무시간대를 인지하고, 근무시간대일 경우(S1) 흐름감지부(1)로부터 1감지신호가 발생되는지 감시하여 배관의 물 흐름이 있으면(S2) 상기 타이머로 흐름시간을 카운트한다(S3). 카운터된 흐름시간이 연속해서 누수확정시간(T1)를 초과할 경우(S4) 즉, 흐름시간이 20분에서 30분의 누수확정시간을 초과할 경우 배관을 통하여 어느 밸브로 누수가 발생되고 있음을 제어부(5)는 파악한다(S20).
이와 같이 누수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5)는 긴급통신부(19)를 제어하여 관리자가 받을 수 있는 통신수단(또는 유선 및 무선과 핸드폰)으로 긴급상황에 따른 메세지를 ARS로 알려주고(S21), 거의 동시에 중앙통제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근무중인 관리자에게 표시한다(S23). 그리고, 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18)를 통해 배관을 차단하여 누수를 막는다(S24).
그런데, 누수감지는 근무시간대에 거의 항상 일어나는 것이므로 제어부(5)는 누수감지부(3)의 2감지신호를 인저하지 않고 무시한다.
한편, 비근무시간대일 경우(S5), 즉 사업자의 작업자들이 퇴근하고 없는 시간대일 경우 제어부(5)는 인지되는 신호가 누수감지부(3)의 2감지신호인지 또는 흐름감지부(1)의 1감지신호인지를 파악한다.
누수감지부(3)의 2감지신호일 경우(S6) 제어부(5)는 타이머로 연속해서 누수되는 누수시간을 카운트한다(S7). 이 때, 상기 타이머는 누수확정시간(T2)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카운트하고, 상기 누수시간이 누수확정시간(T2)을 초과하게 되면(S8) 밸브나 배관을 통하여 어느 밸브로 누수가 발생되고 있음을 제어부(5)는 파악한다(S20). 이 때, 상기 누수확정시간은 10초에서 30초동안이다.
흐름감지부(1)의 1감지신호일 경우(S9), 제어부(5)는 배관을 통하여 연속해서 흐르는 흐름시간을 타이머로 카운트한다(S10). 이 때, 상기 타이머는 누수확정시간(T2)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카운트하고, 상기 흐름시간이 누수확정시간(T2)을 초과하게 되면(S11) 밸브나 배관을 통하여 어느 밸브로 누수가 발생되고 있음을 제어부(5)는 파악한다(S20). 이 때, 상기 누수확정시간은 10초에서 30초동안이다.
이와 같이 누수로 판단되면, 제어부(5)는 긴급통신부(19)를 제어하여 관리자가 받을 수 있는 통신수단(또는 유선 및 무선과 핸드폰)으로 긴급상황에 따른 메세지를 ARS로 알려주고(S21), 거의 동시에 중앙통제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근무중인 관리자에게 표시한다(S23). 그리고, 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18)를 통해 배관을 차단하여 누수를 막는다(S24).
본 발명은 특정한 사업장의 근무시간과 그외의 시간으로 분리하고, 그 분리된 시간에 배관의 흐름과 누수를 감지하여 누수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때문에 사업자의 시설들을 보호하고, 경제적인 손실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흐름감지부 13 ; 누수감지부
15 ; 제어부 16 ; 부저
17 ; 솔레노이드벨브 18 ; 디스플레이부
19 ; 긴급통신부

Claims (5)

  1. 배관의 출구와 입구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 내에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다수의 흐름감지부와;
    누수가능한 상기 배관 부근영역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배관의 누수상태를 감지하는 다수의 누수감지부와;
    상기 누수와 흐름 중 어느 하나이상의 신호가 일정구간의 복수 시간대에서 서로 다른 특정한 누수시간을 초과하면 긴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누수위치를 파악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관리자에게 원격통신으로 알려주는 긴급통신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내관을 차단하는 물흐름을 정지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어부의 결과를 관리자에게 문자로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의 결과를 관리자에게 알람으로 알려주는 부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장치.
  2. 배관내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1감지신호를 감지는 단계와;
    상기 배관과 인근한 누수가능 영역의 바닥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누수를 감지하여 2감지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1감지신호와 2감지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상에서 감지시간대가 근무시간대와 비근무시간대 중 어느 시간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상기 시간대에서 1감지신호와 2감지신호 중 어느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상기 신호의 감지시간을 카운트하여 누수확정시간과 비교하고, 이에 초과하면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누수상태로 판단되면 긴급통신루트를 통하여 원격위치의 관리자에게 알리는 단계와;
    상기 알림과 동시에 상기 배관의 솔레노이드밸브를 동작시켜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제어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2-0066726A 2002-10-31 2002-10-31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7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726A KR100475490B1 (ko) 2002-10-31 2002-10-31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726A KR100475490B1 (ko) 2002-10-31 2002-10-31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081A KR20040039081A (ko) 2004-05-10
KR100475490B1 true KR100475490B1 (ko) 2005-03-11

Family

ID=3733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726A KR100475490B1 (ko) 2002-10-31 2002-10-31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882B1 (ko) 2021-12-08 2022-12-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능형 스마트 미터링 기반 누수탐지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54B1 (ko) * 2007-03-21 2008-09-26 주식회사 피아이피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8105764A1 (ko) * 2016-12-06 2018-06-14 안경수 지중에 매설된 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
KR101988042B1 (ko) * 2018-02-21 2019-09-30 김동섭 스마트 누수 경보 시스템
CN114113528B (zh) * 2021-11-30 2024-05-28 郑州经开水务发展有限公司 一种水质监测预警装置
CN114743355B (zh) * 2022-04-12 2023-07-21 四川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引水工程溃漏报警方法及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7880A (ja) * 1993-01-12 1994-07-26 Hitachi Ltd 蒸気発生器の音響式伝熱管水漏洩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260098A (ja) * 1994-03-17 1995-10-13 Fujita Corp 漏水自動検知システム
JPH09292099A (ja) * 1996-04-26 1997-11-11 Kitz Corp 自動給水機の漏水遮断装置
JPH1164151A (ja) * 1997-06-09 1999-03-0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配管の漏洩検知システム
JPH11117356A (ja) * 1997-10-13 1999-04-27 Sakuji Kurata 配水管の漏水検知方法及び漏水検知システム
JP2000215366A (ja) * 1999-01-22 2000-08-04 Hitachi Ltd 水道管漏水監視装置
JP2001311676A (ja) * 2000-04-28 2001-11-09 Data Tech Corp 漏水検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7880A (ja) * 1993-01-12 1994-07-26 Hitachi Ltd 蒸気発生器の音響式伝熱管水漏洩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260098A (ja) * 1994-03-17 1995-10-13 Fujita Corp 漏水自動検知システム
JPH09292099A (ja) * 1996-04-26 1997-11-11 Kitz Corp 自動給水機の漏水遮断装置
JPH1164151A (ja) * 1997-06-09 1999-03-0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配管の漏洩検知システム
JPH11117356A (ja) * 1997-10-13 1999-04-27 Sakuji Kurata 配水管の漏水検知方法及び漏水検知システム
JP2000215366A (ja) * 1999-01-22 2000-08-04 Hitachi Ltd 水道管漏水監視装置
JP2001311676A (ja) * 2000-04-28 2001-11-09 Data Tech Corp 漏水検出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882B1 (ko) 2021-12-08 2022-12-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능형 스마트 미터링 기반 누수탐지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081A (ko) 200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5823B2 (ja) 電力遮断システム
KR102111331B1 (ko)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KR102089684B1 (ko) 원격제어 및 자동속보기능을 포함하는 내진 IoT스마트복합 전자식 수압개폐 시스템
US20160083953A1 (en) Fluid Back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0475490B1 (ko)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82226B1 (ko)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JP3849205B2 (ja) ガス器具監視装置
EP3879239B1 (en) Gas meter
KR101089917B1 (ko) 콘크리트 공급 설비의 안전 운전 장치 및 안전 운전 방법
KR20110009469A (ko) 콘크리트 공급 배관의 막힘 위치를 찾아내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148753B1 (ko) 오배수 펌프 제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오배수 펌프 제어 시스템
JPH03106376A (ja) ガス遮断装置
KR100615601B1 (ko) 반도체 제조설비용 가열배기라인, 그 가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123057A (ko) 영상 기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WO199906379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urging fluid
US2017005849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Flooding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Properties
KR20070045792A (ko) 반도체 제조 설비의 진공 누출 감지 시스템 및 그의 설비인터락 제어 방법
KR20180001276U (ko)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JP2000074717A (ja) 圧力異常監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ガスメータ
KR102000574B1 (ko) 업소용 가스 누설 감지 및 관리 시스템
JP3133310U (ja) アスベストを含む塵埃が発生する作業区域における負圧手段監視装置
JP7370447B2 (ja) ガスメータ
US20080266124A1 (en) Domestic water leak automatic detectioin and control
KR200235725Y1 (ko) 가정용 방범장치
KR102428336B1 (ko)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