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554B1 -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554B1
KR100860554B1 KR1020070027639A KR20070027639A KR100860554B1 KR 100860554 B1 KR100860554 B1 KR 100860554B1 KR 1020070027639 A KR1020070027639 A KR 1020070027639A KR 20070027639 A KR20070027639 A KR 20070027639A KR 100860554 B1 KR100860554 B1 KR 100860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leakage
control device
che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046A (ko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이피
Priority to KR102007002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554B1/ko
Publication of KR20080086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누수차단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배관시스템인 등록특허 제666405호의 이용발명이며, 각 가정 내에 구비되어 있는 급수, 급탕 및 난방용 주배관의 누수 상태를 체크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주배관의 밸브를 폐쇄시키는 한편 등록된 송출정보를 이용하여 누수발생상황을 알리는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급수, 급탕 및 난방용 주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에 대해 누수 여부를 판단하여 밸브를 폐쇄시켜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누수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로부터 누수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송출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라인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형성라인을 통해 발송정보를 이용하여 생성시킨 누수알람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누수경보가 표출되도록 하는 컨트롤 장치; 상기 컨트롤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누수알림신호를 수신받아 누수체크 및 차단정보를 화면상에 표출시키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컨트롤 장치와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를 연결시키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누수, 감지, 누수센서,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단말기, 유선전화기, PC, 시리얼, 연결장치

Description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MANAGING WATER LEAKAGE AND ITS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관리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연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출정보 및 누수알림 메시지 갱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
200 : 컨트롤 장치
300 : 사용자 단말기
400 : 데이터 통신망
500 : 연결장치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누수차단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배관시스템인 등록특허 제666405호의 이용발명이며,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가정 내에 구비되어 있는 급수, 급탕 및 난방용 주배관의 누수 상태를 체크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주배관의 밸브를 폐쇄시키는 한편 등록된 송출정보를 이용하여 누수발생상황을 알리는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등의 건물 내에는 급수, 급탕 및 난방 공급을 위한 배관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 배관의 연결부위에서는 수압의 변화나 배관의 노후화 등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누수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누수탐지기를 사용하여 누수 발생여부를 검사하고, 또한 누수발생시 상기 누수탐지기를 이용 누수위치를 파악하고 있으나, 통상 배관의 연결 부위가 벽체나 바닥에 매립되어 있음에 따라 정확한 누수위치의 파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급수, 급탕 및 난방용 주배관의 바닥 및 벽체 매립방식은 작업 후의 개보수가 쉽지 않은 것으로, 예컨대 사용 중에 급수, 급탕 배관이 동파로 인한 파손되거나 누수현상이 발생하면, 급수, 급탕 및 난방용 주배관이 바닥이나 벽체 내부 에 직접 매립된 관계로 누수가 발생되고 있는 배관의 이음부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기 어렵고, 결국에는 건축 마감재에 많은 손상을 감수하고 방바닥이나 마루바닥을 해체하여 복개한 다음 하나하나 살펴보아야만 하고, 누수보수 후에는 다시 매립해야 하는 불편이 있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폐단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각 가정 내에 구비되어 있는 급수, 급탕 및 난방용 주배관의 누수 상태를 체크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주배관의 밸브를 폐쇄시키는 한편 등록된 송출정보를 이용하여 누수발생상황을 알리는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누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급수, 급탕 및 난방용 주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에 대해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누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밸브를 폐쇄시켜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누수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로부터 누수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송출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라인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형성라인을 통해 발송정보를 이용하여 생성시킨 누수알람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누수경보가 표출되도록 하는 컨트 롤 장치; 상기 컨트롤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누수알림신호를 수신받아 누수체크 및 차단정보를 화면상에 표출시키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컨트롤 장치와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를 연결시키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누수 관리 방법에 있어서, (1) 컨트롤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누수체크 개시신호가 입력되면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로부터 누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여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 누수알림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2) 컨트롤 장치는, 사용자가 누수알림 메시지 및 상기 누수알림 메시지가 송출될 번호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누수 관리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누수 관리 시스템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급탕 및 난방용 주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주배관에 대해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누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상기 주배관에 구비된 밸브를 폐쇄시켜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누수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와,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로부터 누수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송출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라인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형성라인을 통해 발송정보를 이용하여 생성시킨 누수알람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누수경보가 표 출되도록 하는 컨트롤 장치(200)와, 상기 컨트롤 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누수알림신호를 수신받아 누수체크 및 차단정보를 화면상에 표출시키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상기 컨트롤 장치(200)와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를 연결시키는 데이터 통신망(400)과, 상기 컨트롤 장치(200)에 시리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둘이상이 연결장치(50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장치(500) 각각에는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장치(500)는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에 의해 감지된 누수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 장치(200)에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이동통신단말기, PC, 유선전화기 등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망(400)은 인터넷, 왑, PSTN 망 등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할 것이다.
상기 컨트롤 장치(200)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송출정보 및 복수의 누수 알림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210)와, 누수체크 개시버튼, 리셋버튼이 구비된 메뉴선택부(220)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230)와, 상기 복수의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누수감지신호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누수체크부(240)와, 상기 사용자가 누수체크 개시버튼을 선택한 경우 상기 누수체크부(240)를 통해 누수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누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누수체크모드를 누수경보모드로 전환시켜 누수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된 송출정보 및 누수알람 메시 지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리셋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누수경보모드를 해제시키고 누수체크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누수체크부(240)의 출력신호를 감시하는 제어부(250)와, 상기 제어부(250)의 제어에 응하여 동작되고 있음을 외부로 알려주는 동작개시 알림부(260)와, 상기 제어부(250)의 누수알림 신호에 의해 점멸되어, 사용자가 누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누수알림부(270)와, 상기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누수 알림 메시지가 해당 송출정보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화라인 연결부(280)로 구성된다.
상기 메뉴선택부(220)는 알림 메시지 입력버튼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알림 메시지 입력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원하는 송출정보 및 누수 알림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입력되는 송출정보 및 누수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시켜 관리한다.
상기 연결장치(500)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장치(200)와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510)와, 상기 컨트롤 장치(200)에서 연결장치(500)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절환되는 연결장치 구분용 딥스위치(520)와, 연결장치(5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30)와,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의 누수센서(110)가 연결되는 누수센서 연결부(540)와,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에 구비된 밸브(120)의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밸브작동 확인부(550)와, 상기 누수센서 연결부(540)를 통해 누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연결장치 구분용 딥스위치(520)의 절환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컨트롤 장치(200)로 누수감지신호를 송출할 때 연결장치(500)의 식별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밸브작동 확인부(550)의 확인결과에 따라 밸브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온도센서(530)의 감지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동파알림신호가 상기 통신부(510)를 통해 상기 컨트롤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하고, 동파경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히터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60)와, 상기 제어부(5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 모터(570)와, 상기 제어부(560)의 제어에 따라 누수 또는 동파상태를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점등 또는 점멸되는 알림부(580)와, 상기 제어부(560)의 히터구동신호에 응하여 작동하는 히터(59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누수 관리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수, 급탕 및 난방용 주배관에 누수센서(110)를 설치하여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로 하여금 상기 주배관에 대해 누수현상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수감지신호는 연결장치(500)를 통해 컨트롤장치(200)로 전송된다.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는 복수의 주배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연결장치(500)는 소정 한 장소에 1개씩 구비된다. 예를 들면, 주방, 욕실, 베란다 등에 연결장치(50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나의 연결장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가 연결된다. 즉 주방에 주배관이 2개일 경우 1개의 연결장치(500)에 2개의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연결장치(500)는 시리얼 연결방식에 따라 컨트롤 장치(2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누수체크 개시신호가 입력되면 연결장치(50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로부터 누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여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300)로 누수알림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한다.
즉, 컨트롤 장치(200)는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수체크 개시버튼을 눌러 메뉴 선택부(220)로부터 누수체크 개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100)하고, 판단 결과 사용자에 의해 누수체크 개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컨트롤 장치(200)는 동작개시 알림부(260)를 점등시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며, 리셋버튼을 누르면 상기 동작개시 알림부(260)가 멸등되도록 한다(S110).
그리고 누수체크 개시버튼을 다시 누르면 컨트롤 장치(200)는 현재 모드를 누수체크모드로 전환(S120)하고,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에 연결된 알림부를 점등시켜 누수체크가 개시되고 있음을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컨트롤 장치(200)는 연결장치(500)를 통해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100)로부터 누수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S130)하고, 수신되는지를 판단(S140)한다.
그리고 컨트롤 장치(200)는 누수감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저장부(210)에 저장된 송출정보와 누수알림 메시지를 읽어 들여, 상기 송출정보에 해당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누수 알림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한다(S150).
한편, 컨트롤 장치(200)는 상기와 같이 주배관들의 누수 현상을 감지하여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사용자가 누수알림 메시지 및 상기 누수알림 메시지가 송출될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즉, 컨트롤 장치(200)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버튼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S200)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버튼이 선택된 경우 컨트롤 장치(200)는 사용자가 누수알림메시지가 송출될 송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S210)한다. 상기 송출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유선전화번호, 이메일 어드레스 등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누수알림메시지를 수신 받을 수 있는 단말기와의 통화라인 형성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컨트롤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송출정보가 입력되면 저장부(210)에 저장시키는 한편 누수알림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S220)하는 한편, 입력된 누수알림 메시지를 상기 송출정보에 매칭시켜 저장부(210)에 저장되도록 한다(S230). 예를 들면, 컨트롤 장치(200)의 전원 및 통신라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리셋버튼을 소정 시간가량 누르고 있으며 "삑"하는 비프음과 함께 동작 LED가 점멸되면서 현재모드를 입력모드로 전환시킨다. 상기와 같이 입력모드로 전환시킨 상태에서 컨트롤 장치(200)는 누수알림 메시지 및 송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단축버튼을 안내한다.
즉, "21: 전화번호 입력, 22: 입력된 전화번호 확인, 31: 사용자 녹음, 32: 사용자 녹음 내용 확인"등의 안내 멘트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멘트에 응하 여 사용자가 21을 입력하면 컨트롤 장치(200)는 다음에 입력될 정보가 전화번호인지를 인지하고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임시로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22"를 누르면 임시로 저장된 전화번호를 출력시켜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복수개의 송출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송출정보 입력을 완료시키는 버튼을 누르면 컨트롤 장치(200)는 사용자가 누수 알림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안내에 다라 사용자가"31"을 입력하면 컨트롤 장치(200)는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임시로 저장하고, "32"를 누르면 저장된 음성신호가 재 출력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포함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은 각 가정 내에 구비되어 있는 급수, 급탕 및 난방용 주배관의 누수 상태를 체크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주배관의 밸브를 폐쇄시키는 한편 등록된 송출정보를 이용하여 누수발생상황을 알리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급수, 급탕 및 난방용 주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주배관에 대해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누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밸브를 폐쇄시켜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누수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와,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로부터 누수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송출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라인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형성라인을 통해 발송정보를 이용하여 생성시킨 누수알람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누수경보가 표출되도록 하는 컨트롤 장치와, 상기 컨트롤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누수알림신호를 수신받아 누수체크 및 차단정보를 화면상에 표출시키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컨트롤 장치와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를 연결시키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누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장치는,
    복수의 송출정보 및 복수의 누수 알림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누수체크 개시버튼, 리셋버튼이 구비된 메뉴선택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복수의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누수감지신호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누수체크부;
    상기 사용자가 누수체크 개시버튼을 선택한 경우 상기 누수체크부를 통해 누수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누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누수체크모드를 누수경보모드로 전환시켜 누수알림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송출정보 및 누수알람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리셋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누수경보모드를 해제시키고 누수체크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누수체크부의 출력신호를 감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동작되고 있음을 외부로 알려주는 동작개시 알림부;
    상기 제어부의 누수알림 신호에 의해 점멸되어, 사용자가 누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누수알림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누수 알림 메시지가 해당 송출정보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화라인 연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선택부는, 알림 메시지 입력버튼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알림 메시지 입력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원하는 송출정보 및 누수 알림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입력되는 송출정보 및 누수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관리 시스템.
  6. 급수, 급탕 및 난방용 주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주배관에 대해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누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밸브를 폐쇄시켜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누수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와,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로부터 누수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송출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라인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형성라인을 통해 발송정보를 이용하여 생성시킨 누수알람신호를 송출하는 한편 누수경보가 표출되도록 하는 컨트롤 장치와, 상기 컨트롤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누수알림신호를 수신받아 누수체크 및 차단정보를 화면상에 표출시키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컨트롤 장치와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를 연결시키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하며, 적어도 둘이상이 연결장치가 상기 컨트롤 장치에 시리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장치 각각에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에 의해 감지된 누수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 장치에 출력되도록 하는 누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컨트롤 장치와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
    상기 컨트롤 장치에서 연결장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절환되는 연결장치 구분용 딥스위치;
    연결장치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의 누수센서가 연결되는 누수센서 연결부;
    상기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에 구비된 밸브의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밸브동작 확인부;
    상기 누수센서 연결부를 통해 누수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연결장치 구분용 딥스위치의 절환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컨트롤 장치로 누수감지신호를 송출할 때 연결장치의 식별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밸브동작 확인부의 확인결과에 따라 밸브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동파알림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트롤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동파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 모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누수 또는 동파상태를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점등 또는 점멸되는 알림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관리 시스템.
  7. 누수 관리 방법에 있어서,
    (1) 컨트롤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누수체크 개시신호가 입력되면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로부터 누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여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 누수알림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2) 컨트롤 장치는, 사용자가 누수알림 메시지 및 상기 누수알림 메시지가 송출될 번호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1-1) 컨트롤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누수체크 개시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1-2) 컨트롤 장치는, 연결장치를 통해 누수체크 및 차단장치로부터 누수감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고,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1-3) 컨트롤 장치는 누수감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송출정보와 누수알림 메시지를 읽어 들여, 상기 송출정보에 해당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누수 알림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관리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2-1) 컨트롤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버튼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2-2) 컨트롤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버튼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가 누수알림메시지가 송출될 송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
    (2-3) 컨트롤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송출정보가 입력되면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한편 누수알림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단계; 및
    (2-4) 컨트롤 장치는, 입력된 누수알림 메시지를 상기 송출정보에 매칭시켜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관리 방법.
KR1020070027639A 2007-03-21 2007-03-21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60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639A KR100860554B1 (ko) 2007-03-21 2007-03-21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639A KR100860554B1 (ko) 2007-03-21 2007-03-21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046A KR20080086046A (ko) 2008-09-25
KR100860554B1 true KR100860554B1 (ko) 2008-09-26

Family

ID=40025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639A KR100860554B1 (ko) 2007-03-21 2007-03-21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118B1 (ko) * 2013-03-22 2014-11-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리센서를 이용한 비접촉식 정수기 누수감지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2779A (ja) 2000-02-09 2001-08-17 New System Technology:Kk 水漏れ警報システム
KR20020021292A (ko) * 2000-09-14 2002-03-20 이긍재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시스템
JP2003322582A (ja) 2002-04-24 2003-11-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漏水検知システム
KR20040039081A (ko) * 2002-10-31 2004-05-10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52153A (ko) * 2002-12-13 2004-06-19 신희승 누수 감시 시스템
KR200426010Y1 (ko) 2006-06-30 2006-09-12 (주)홈텍코리아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상수도 누수 감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2779A (ja) 2000-02-09 2001-08-17 New System Technology:Kk 水漏れ警報システム
KR20020021292A (ko) * 2000-09-14 2002-03-20 이긍재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시스템
JP2003322582A (ja) 2002-04-24 2003-11-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漏水検知システム
KR20040039081A (ko) * 2002-10-31 2004-05-10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52153A (ko) * 2002-12-13 2004-06-19 신희승 누수 감시 시스템
KR200426010Y1 (ko) 2006-06-30 2006-09-12 (주)홈텍코리아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상수도 누수 감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046A (ko)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27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building
US20060191323A1 (en) Automated system for detection and control of water leaks, gas leaks, and other building problems
US20060191324A1 (en) Automated system for detection and control of water leaks, gas leaks, and other building problems
KR101552495B1 (ko) 동파 방지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의 알람 및 유지보수 장치와 방법
JP2007170924A (ja) ガスメータ
KR100860554B1 (ko) 누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03716B1 (ko)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
JP2007089119A (ja) 無線装置
KR100862956B1 (ko) 시운전 제어 방법
JP4981383B2 (ja) 無線装置
CN106123354B (zh) 基于智能混水器的流量监测系统及基于其的漏水监测方法
KR101216741B1 (ko) 양방향 문자 경보시스템
JP2019145005A (ja) 警報システムおよび集中監視システム
KR20050081522A (ko) 가스 밸브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315986B1 (ko) 자동식 소화기의 원격 제어 장치
JP2006125838A (ja) 設備機器リモコンシステム
KR200195055Y1 (ko) 가스 누출 차단기의 원격 제어 장치
KR102662540B1 (ko) 가스 누설 위치 검출 장치
KR100812179B1 (ko) 가스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 공급 단속 제어방법
JP3923196B2 (ja) 設備機器リモコンシステム
KR100722005B1 (ko) 유체 흐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23137602A (ja) 安否確認システム
KR100255971B1 (ko) 가스 연속 공급 및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JP2017036866A (ja) 燃焼装置プログラム
JP2023122297A (ja) 給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