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336B1 -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336B1
KR102428336B1 KR1020210131374A KR20210131374A KR102428336B1 KR 102428336 B1 KR102428336 B1 KR 102428336B1 KR 1020210131374 A KR1020210131374 A KR 1020210131374A KR 20210131374 A KR20210131374 A KR 20210131374A KR 102428336 B1 KR102428336 B1 KR 10242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moisture
oil
sensor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형
Original Assignee
박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형 filed Critical 박재형
Priority to KR1020210131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3Fluid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1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는 압축공기가 장비로 유입되는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압축공기가 통과하되 상기 압축공기에 혼입 가능한 순수 압축공기 이외의 유수분 유해 이물질을 센싱하는 이물질 센싱유닛; 및 상기 이물질 센싱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유수분 유해 이물질의 센싱정보를 기초로 경보기를 동작을 컨트롤하는 장치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Water oil detector}
본 발명은,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와 달리 공압에 혼입 가능한 모든 종류의 유수분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비에 필요한 순수 압축공기 이외에 장비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유해한 화학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됨에 따라 장비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하고, 그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가 커지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콤프레서(압축기)는 공기 등을 압축해서 고압의 압축공기(압축가스)를 만든 후, 배관을 통해 압축공기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분사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금형을 제작하는 경우, 절삭공구나 연마기를 이용하여 금형을 제작하고 난 후, 콤프레서로부터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금형에 잔류하는 미세분진 등을 털어내게 된다.
콤프레서에 압축 저장된 압축공기는 소정 길이의 배관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도중에 수분 등의 습기가 포함될 수 있는데, 금형의 경우에는 수분 때문에 산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금형에 분사되기 직전에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자동차 등을 도장할 때에도, 페인트를 콤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실어 분사하여 도장하게 되는데, 역시 압축공기에 수분이 포함되면 얼룩이 생기기 때문에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해야 한다.
또한, CNC 가공기, 고속 가공기 등의 공작기계 또는 공압 실린더 등에도 압축공기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에도 압축공기에 수분이 포함되면, 녹이 슬거나 동작에 차질이 생기게 되므로, 압축공기 사용 시 습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대부분 콤프레서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처리에 수분을 제거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다양한 이유로 종래에는 도 1과 같은 드라이어나 도 2와 같은 수분 제거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특히, 도 2의 수분 제거장치는 수분필터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수분필터가 압축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흡착해서 드레인한다.
한편, 압축공기에 수분이 존재하면 전술한 장치들을 사용해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압축공기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단, 압축공기에 수분이 있는지를 감지해야 하며, 그런 다음에 수분이 존재하면 도 1 및 도 2와 같은 장치들로 수분을 제거하면 된다.
그렇지만, 현존 설비에는 압축공기에 수분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가 없거나 비효율적이라서 불필요하게 비용 발생이 커지거나 구조를 복잡하게 해서 설치 또는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특히, 종전에는 수분 제거에만 그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장비에 필요한 순수 압축공기 이외에 장비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유해한 화학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됨에 따라 장비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하고, 그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가 커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11215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12358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20-009519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292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달리 공압에 혼입 가능한 모든 종류의 유수분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비에 필요한 순수 압축공기 이외에 장비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유해한 화학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됨에 따라 장비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하고, 그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가 커지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압축공기가 장비로 유입되는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압축공기가 통과하되 상기 압축공기에 혼입 가능한 순수 압축공기 이외의 유수분 유해 이물질을 센싱하는 이물질 센싱유닛; 및 상기 이물질 센싱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유수분 유해 이물질의 센싱정보를 기초로 경보기를 동작을 컨트롤하는 장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이물질 센싱유닛은, 상기 압축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장비로 향할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유닛 바디 내로 유입되게 하는 압축공기 유입부; 상기 유닛 바디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유닛 바디 내부를 경유한 압축공기가 상기 장비로 배출되는 압축공기 배출부; 및 상기 유닛 바디 내의 공간에 배치되며, 빛의 굴절을 감지해서 상기 유수분 유해 이물질을 센싱하는 이물질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센싱부는, 상기 유닛 바디 내에 결합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되게 결합하되 상기 압축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가이드하는 압축공기 가이드; 및 상기 압축공기 가이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압축공기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된 압축공기로 빛을 조사한 후, 빛의 굴절을 감지해서 상기 유수분 유해 이물질을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가이드는 상기 압축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넓은 공간으로 유입되게 가이드하되 상기 센서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마련되는 확경 경사부; 및 상기 확경 경사부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확경 경사부에서 가이드된 압축공기를 상기 센서로 안내하는 안내 직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압축공기가 통과하는 장공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는 센서 브래킷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공압에 혼입 가능한 모든 종류의 유수분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비에 필요한 순수 압축공기 이외에 장비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유해한 화학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됨에 따라 장비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하고, 그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가 커지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라이어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수분 제거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의 실질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이물질 센싱유닛의 이미지이다.
도 6는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이물질 센싱부의 이미지이다.
도 8은 도 7의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의 실질적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이물질 센싱유닛의 이미지, 도 6는 도 5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이물질 센싱부의 이미지, 도 8은 도 7의 부분 정단면도, 도 9는 도 3의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100)는 종래와 달리 공압에 혼입 가능한 모든 종류의 유수분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비에 필요한 순수 압축공기 이외에 장비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유해한 화학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됨에 따라 장비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하고, 그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가 커지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100)는 크게, 이물질 센싱유닛(110)과 장치 컨트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센싱유닛(110)은 압축공기가 장비로 유입되는 전단에 연결되고 압축공기가 통과하되 상기 압축공기에 혼입 가능한 순수 압축공기 이외의 유수분 유해 이물질을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이물질 센싱유닛(110)은 빛의 굴절을 감지하는 센서(123)를 기구물인 유닛 바디(111)에 탑재한 후, 압축공기가 장비로 유입되는 전단에 연결됨으로써 빛의 굴절을 만드는 유해한 화학물질이나 수분 등의 유수분 유해 이물질이 유입될 때, 이상 신호를 센싱해서 장치 컨트롤러(150)로 즉각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이물질 센싱유닛(110)은 유닛 바디(111), 압축공기 유입부(112), 압축공기 배출부(113) 및 이물질 센싱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 바디(111)는 이물질 센싱유닛(110)의 외관 구조물을 이룬다. 이러한 유닛 바디(111) 내에 압축공기가 유동하는 공간(111a)이 형성된다. 유닛 바디(111) 내로 압축공기가 유동해야 하므로 유닛 바디(111)는 리크(leak) 없는 밀폐형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압축공기 유입부(112)는 유닛 바디(111)의 일측에 마련되고, 장비로 향할 상기 압축공기가 유닛 바디(111) 내의 압축공기가 유동하는 공간(111a)으로 유입되게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압축공기 배출부(113)는 유닛 바디(111)의 타측에 마련되며, 유닛 바디(111) 내부를 경유한 압축공기가 장비로 배출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압축공기 유입부(112)와 압축공기 배출부(113)에는 도 3 및 도 4처럼 컴프레서와 연결되는 호스(혹은 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이물질 센싱부(120)는 유닛 바디(111) 내의 공간(111a)에 배치되며, 빛의 굴절을 감지해서 유수분 유해 이물질을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물질 센싱부(120)는 플레이트(121)와, 플레이트(121)에 돌출되게 결합하되 압축공기 유입부(112)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가이드하는 압축공기 가이드(122)와, 압축공기 가이드(122)의 일측에 마련되며, 압축공기 가이드(122)에 의해 가이드된 압축공기로 빛을 조사한 후, 빛의 굴절을 감지해서 유수분 유해 이물질을 센싱하는 센서(123)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21)는 압축공기 가이드(122)와 센서(123)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플레이트(121)는 유닛 바디(111) 내의 공간(111a)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닛 바디(111) 내에 결합한다.
플레이트(121)에 압축공기가 통과하는 통공(121a)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121a)은 장공의 형태로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압축공기 가이드(122)는 전술한 것처럼 압축공기를 센서(123) 쪽으로 가이드한다. 이러한 압축공기 가이드(122)는 압축공기 유입부(112)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넓은 공간으로 유입되게 가이드하되 센서(123)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마련되는 확경 경사부(122a)와, 확경 경사부(122a)에 연결되고 센서(123)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확경 경사부(122a)에서 가이드된 압축공기를 센서(123)로 안내하는 안내 직진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23)는 전술한 것처럼 압축공기 가이드(122)에 의해 가이드된 압축공기로 빛을 조사한 후, 빛의 굴절을 감지해서 유수분 유해 이물질을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센서(123)는 센서 브래킷(124)에 의해 플레이트(121)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브래킷(124)을 조이거나 푸는 공정을 통해 센서(123)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가 쉬워진다.
한편, 장치 컨트롤러(150)는 이물질 센싱유닛(110)과 연결되며, 유수분 유해 이물질의 센싱정보를 기초로 경보기(140)를 동작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물질 센싱유닛(110)이 물, 알칼리, 산성, 무기질 용액을 불문하고 순수 압축공기 이외의 어떠한 물질도 빛의 굴절을 센싱해서 수초 이내에 센싱신호를 장치 컨트롤러(150)로 전송하면, 장치 컨트롤러(150)는 경보기(140)를 알람한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즉시 유수분 유해 이물질이 유입됨을 인지할 수 있게끔 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사고로 이어지기 전에 사전 조치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경보기(140)는 부저나 벨 등의 청각적 알람일 수도 있고, 모니터나 램프 등의 시각적 알람일 수도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 컨트롤러(150)는 중앙처리장치(151, CPU), 메모리(15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5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51)는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 센싱유닛(110)과 연결되며, 유수분 유해 이물질의 센싱정보를 기초로 경보기(140)를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5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51)와 연결된다. 메모리(15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5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5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5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 컨트롤러(150)는 이물질 센싱유닛(110)과 연결되며, 유수분 유해 이물질의 센싱정보를 기초로 경보기(140)를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5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5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공압에 혼입 가능한 모든 종류의 유수분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비에 필요한 순수 압축공기 이외에 장비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유해한 화학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됨에 따라 장비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하고, 그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가 커지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100)는 간단한 구조임에도 효율이 좋아서 콤프레서(압축기)를 적용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모든 장비와 고객에 적용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200) 역시, 이물질 센싱유닛(110)과 장치 컨트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200)에 적용되는 이물질 센싱유닛(110)에는 압축공기 유입부(112)와 압축공기 배출부(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배관(혹은 호스)에 전자 밸브(260)가 마련된다. 전자 밸브(260)는 컨트롤러(250)에 의해 그 온/오프(on/off) 동작이 컨트롤된다.
이에, 이물질 센싱유닛(110)이 물, 알칼리, 산성, 무기질 용액을 불문하고 순수 압축공기 이외의 어떠한 물질도 빛의 굴절을 센싱해서 수초 이내에 센싱신호를 장치 컨트롤러(250)로 전송하면, 장치 컨트롤러(250)는 경보기(140)를 알람하는 동시에, 전자 밸브(260)의 동작을 오프(off)시킨다. 따라서, 장비로 이물질이 향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추후에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처리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장치 컨트롤러(150)에 무선 컨트롤러(270)가 더 연결된다. 무선 컨트롤러(270)는 인증된 관리자의 이동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정보란 이물질이 감지될 때, 장치 컨트롤러(250)가 경보기(140)를 알람하는 동시에, 전자 밸브(260)의 동작을 오프(off)시키는 등의 일련의 정보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래와 달리 공압에 혼입 가능한 모든 종류의 유수분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비에 필요한 순수 압축공기 이외에 장비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유해한 화학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됨에 따라 장비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하고, 그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가 커지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 110 : 이물질 센싱유닛
111 : 유닛 바디 111a : 공간
112 : 압축공기 유입부 113 : 압축공기 배출부
120 : 이물질 센싱부 121 : 플레이트
122 : 압축공기 가이드 122a : 확경 경사부
122b : 안내 직진부 123 : 센서
140 : 경보기 150 : 장치 컨트롤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압축공기가 장비로 유입되는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압축공기가 통과하되 상기 압축공기에 혼입 가능한 순수 압축공기 이외의 유수분 유해 이물질을 센싱하는 이물질 센싱유닛; 및
    상기 이물질 센싱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유수분 유해 이물질의 센싱정보를 기초로 경보기를 동작을 컨트롤하는 장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 센싱유닛은,
    상기 압축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장비로 향할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유닛 바디 내로 유입되게 하는 압축공기 유입부;
    상기 유닛 바디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유닛 바디 내부를 경유한 압축공기가 상기 장비로 배출되는 압축공기 배출부; 및
    상기 유닛 바디 내의 공간에 배치되며, 빛의 굴절을 감지해서 상기 유수분 유해 이물질을 센싱하는 이물질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센싱부는,
    상기 유닛 바디 내에 결합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되게 결합하되 상기 압축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가이드하는 압축공기 가이드; 및
    상기 압축공기 가이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압축공기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된 압축공기로 빛을 조사한 후, 빛의 굴절을 감지해서 상기 유수분 유해 이물질을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가이드는 상기 압축공기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넓은 공간으로 유입되게 가이드하되 상기 센서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마련되는 확경 경사부; 및 상기 확경 경사부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확경 경사부에서 가이드된 압축공기를 상기 센서로 안내하는 안내 직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압축공기가 통과하는 장공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는 센서 브래킷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하며,
    상기 압축공기 유입부와 상기 압축공기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의 출입을 제어하는 전자 밸브가 마련되고, 상기 장치 컨트롤러는 상기 센싱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 밸브를 온/오프(on/off)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10131374A 2021-10-05 2021-10-05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 KR102428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374A KR102428336B1 (ko) 2021-10-05 2021-10-05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374A KR102428336B1 (ko) 2021-10-05 2021-10-05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336B1 true KR102428336B1 (ko) 2022-08-02

Family

ID=8284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374A KR102428336B1 (ko) 2021-10-05 2021-10-05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3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427B1 (ko) * 2000-05-12 2002-11-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정화기의 오염도 감지기구
KR20160061034A (ko) * 2014-11-21 2016-05-31 신한에어로주식회사 통합 공압 제어 장치
KR20200095195A (ko) 2019-01-31 2020-08-10 (주)유인케어 Rgb-d 카메라를 이용한 재활훈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427B1 (ko) * 2000-05-12 2002-11-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정화기의 오염도 감지기구
KR20160061034A (ko) * 2014-11-21 2016-05-31 신한에어로주식회사 통합 공압 제어 장치
KR20200095195A (ko) 2019-01-31 2020-08-10 (주)유인케어 Rgb-d 카메라를 이용한 재활훈련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15079A (ja) ガスタービンコンプレッサの水洗浄装置と洗浄方法
KR102428336B1 (ko)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
AU2007332121B2 (en) Method for identifying blockages in sprinkler device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KR20110009469A (ko) 콘크리트 공급 배관의 막힘 위치를 찾아내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1364046A (zh) 液体与液位的侦测预警系统及方法
KR100475490B1 (ko) 누수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73518A (ko) 반도체 제조 설비 및 그의 가스 누출 검사 방법
KR20160087510A (ko) 레이저 가공헤드의 가공가스 공급장치
CN112065389A (zh) 边帮煤开采成套设备用喷雾系统及采煤机
KR20010080797A (ko) 해수 담수화장치의 자가진단 시스템
CN207567923U (zh) 一种具有故障检测系统的滤网及污水处理井
KR20070033114A (ko) 반도체 제조설비 및 그 제어방법
CN216138748U (zh) 一种喷嘴故障监控系统
CN220942262U (zh) 一种应用于rto系统的不停机全自动阻火器清洗装置
KR19990053811A (ko) 반도체 제조용 케미컬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211634A (zh) 边帮煤开采成套设备用喷雾系统及采煤机
JPS5987014A (ja) フイルタ−の目づまり検出装置
CN112454178A (zh) 一种喷嘴故障监控系统及监控方法
KR100402408B1 (ko) 쿨런트 필터의 검지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20049726A (ko) 유류 결정화 감지장치
JPH0156999B2 (ko)
KR101696619B1 (ko) Uv 트론 센서의 배경방전 방지 장치
KR100306242B1 (ko) 질소 퍼지 시스템을 구비한 펌프
KR20020039413A (ko) 수질 감시부를 갖는 초순수 생산 장치
KR100211265B1 (ko) 방전가공기의 초기화재 진화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