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034A - 통합 공압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공압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034A
KR20160061034A KR1020140163415A KR20140163415A KR20160061034A KR 20160061034 A KR20160061034 A KR 20160061034A KR 1020140163415 A KR1020140163415 A KR 1020140163415A KR 20140163415 A KR20140163415 A KR 20140163415A KR 20160061034 A KR20160061034 A KR 20160061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neumatic
air
controlle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835B1 (ko
Inventor
최영현
Original Assignee
신한에어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에어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한에어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8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요측 공압 상태를 감지하여 공압 압축기를 구동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압축 제어기, 상기 공기 압축기를 통하여 생성된 공압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와 연통하여 다수의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공압 수용부로 공압을 안내하는 공압 배관, 상기 저장 탱크에서 배출되는 공압의 습도를 조절하는 드라이어 장치, 상기 드라이어 장치를 제어하는 드라이어 제어기, 상기 저장 탱크에서 배출되는 공압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위치하는 공압 배관에 설치되는 복수의 단위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및 상기 센서 시스템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 압축 제어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합 공압 제어 장치{Integrated pneumatic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통합 공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 절약형 통합 공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는 생산 기계의 작동과 각종 공구의 작동을 위하여 많은 공압이 사용되고 있어 별도의 공압 라인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공압은 다수의 공기 압축기와 공압 저장 탱크를 통하여 생성되며, 공압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여 공압을 생성하고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구동을 중지하는 기본적인 구성 이외에 다양한 방식의 제어와 용도에 따른 공압 라인의 구조 등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953197호는 공기 압축설비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 압축기와 공기 저장탱크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 저장탱크 안으로 안내하기 위한 압축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본체 블록;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 저장탱크 안에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블록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크밸브; 상기 공기 저장탱크에 기 설정 압력이상으로 압축공기가 과 충전될 경우, 압축공기 일부를 상기 공기 저장탱크 외부로 누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블록 일 측에 설치되는 안전밸브; 상기 공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외부기기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본체 블록 타 측면에 설치되는 개폐밸브; 및 상기 본체 블록과 연결되며, 외부에 상기 공기 저장탱크 내부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와, 상기 공기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차압 조절 부가 설치되는 제어패널;을 구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0446520호에는 공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냉각하는 과정이 다단계 냉각 과정으로 수행되도록 압축기 쿨러를 고온 쿨러와 저온 쿨러로 분리 형성하고 고온 쿨러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여 이를 회수하여 별도의 난방 또는 급탕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이 증가하고 더욱 안정적인 공기 냉각 기능을 갖는 공기 압축 설비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반도체 공정에서도 다양한 공압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반도체 공정에서 필요한 공압 장치의 구성은 공개특허 제1998-076616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소정의 압축공기를 설비로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 및 상기 설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제조용 설비의 압축공기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비로 공급되는 상기 압축공기를 필터링하는 제 1 필터부와; 상기 설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부와; 상기 제 2 필터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압축공기 및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압축공기를 혼합하는 압축공기 혼합부와; 상기 제 2 필터 및 상기 압축공기 혼합부를 연결하는 순환관을 포함하는 반도체 제조용 설비의 압축공기 배출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공압 장치들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공압 발생부는 다수의 압축기를 이용하여 공압을 압축한 후, 각 공정에 공급하고 있다.
상기 압축기는 전기로 구동하는 모터로 가동되며, 상기 공기 압축을 위한 에너지 비용 역시 많이 소모되고 있어 고효율 모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은 최소한 비용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통상의 공압 제어는 공압 발생측의 압력을 기준으로 수행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측에서 공압을 사용하면, 압력이 하강하여 일정 이하인 경우 압축 펌프를 가동하여 압력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압력 공급 탱크와 수요측은 다수의 배관으로 연결되며, 배관의 끝단에서 공압을 이용한 공구들이 장착되므로, 배관을 통한 압력 강하가 발생하여 실제 공압이 사용 공압보다 낮은 상태가 발생하기도 하므로, 통상을 사용 공압에 비하여 높은 압력으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한 사용량도 필요한 용량보다 더 많은 압축 공기를 생산하도록 구동하여 초과된 용량의 압축 공기가 공급 탱크에 저장되어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요측의 사용량과 필요 압력을 기초로하여 다수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제어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요측 공압 상태를 감지하여 공압 압축기를 구동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압축 제어기, 상기 공기 압축기를 통하여 생성된 공압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와 연통하여 다수의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공압 수용부로 공압을 안내하는 공압 배관, 상기 저장 탱크에서 배출되는 공압의 습도를 조절하는 드라이어 장치, 상기 드라이어 장치를 제어하는 드라이어 제어기, 상기 저장 탱크에서 배출되는 공압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위치하는 공압 배관에 설치되는 복수의 단위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및 상기 센서 시스템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 압축 제어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센서는 압력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압력계 중, 저장 탱크와 가장 먼 경로에 설치되는 단말장치에 설치된 압력계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압축 제어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압력계의 압력은 높은 순으로 PH, PL로 구분하고, 상기 압축기를 용량별로 우선 순위를 부여한 후, 현재의 압력 Pc가 PL 이하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우순 순위에 따라 동작시키는 신호를 상기 압축 제어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Pc가 PH 이상인 경우, 압축기의 가동을 중지하는 신호를 상기 압축 제어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압력 중, PL 이하를 다수개로 구분하고, 구분된 압력 범위에 가동되는 압축기 수를 설정한 후, 상기 압력계에서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해당 범위에 대응되는 가동 압축기 수의 가동 신호를 상기 압축 제어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센서는 상기 공기 압축기 배출단에 설치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사전에 정의된 시간 이상을 압축기를 가동하더라도 압력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 압축기 배출단의 압력계를 기초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센서는 상기 공압 배관에 설치되는 다수의 온도계, 노점계 및 입자분석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 시스템을 통하여 감지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화면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노점계 중 상기 저장 탱크와 가장 먼 경로에 설치되는 단말장치에 설치된 노점계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드라이어 제어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입자분석계 중 어느 하나의 입자분석계의 값이 일정 수준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필터 장치의 점검을 위한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와 알람을 공중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스마트폰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공압 제어 장치는 다수의 공기 압축기, 공기 필터 장치 및 드라이어 장치로 구성되는 공압 공급부와 상기 공압 공급부에서 생성된 공압을 사용하는 공압 수요부를 갖는 공압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공압 수용부에 다수의 센서들을 부착하여 상기 공기 압축기 및 드라이어 장치를 구동하고, 더불어 상기 수용부에 장착된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공압 공급부의 장치들의 상태를 감시하므로 효율적인 공압 생성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고품질의 공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공압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제어 장치가 작동하는 압력 범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공압 제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 공급부(1)와 공압 수요부(2)로 구분되며, 상기 공압 공급부(1)에는 다수의 공기 압축기(10), 상기 공기 압축기(10)를 제어하는 압축 제어기(20), 상기 공기 압축기(10)를 통하여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30), 상기 저장 탱크(30)를 통하여 공기를 공압 수용부(2)로 공급하는 공압 배관(40), 상기 공압 배관(40) 상에 배치되어 공압 수용부(2)로 이송되는 공압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 필터 장치(50), 상기 공기 필터 장치(50)와 조합되어 공압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 장치(60), 상기 드라이어 장치(60)의 작동을 제어하는 드라이어 제어기(65), 상기 공압 배관(40)에 연결되어 필요한 공정에 사용되는 다수의 단말장치(3), 상기 공압 배관(40) 및 공기 압축기(10) 출력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80), 상기 센서 시스템(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압축 제어기(20) 및 상기 드라이어 제어기(65)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공압 공급부(1)는 다수의 공기 압축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소음 발생 등을 고려하여 공장 내부 특정한 위치에 룸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한 경우 공장 외부에 별도의 룸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공압 수요부(2)는 공장 내부에 필요한 공압 라인을 의미하므로, 비교적 넓은 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공압 배관(40)을 통하여 공압 공급부(1)에서 생성된 공압을 전달하며, 단말장치(3)를 통하여 공압을 소모한다. 상기 단말장치(3)는 공압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각종 공구 또는 공압을 이용한 생산 장치를 의미하며, 그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공기 압축기(10)는 다수로 구성되며, 특히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는 인버터를 통하여 제어되는 스크류 타입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류 타입의 압축기는 용량 제어가 가능하여 긴급한 공압 생성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압축기(10)는 가동 우선 수위를 설정하되, 저용량의 고효율 압축기들을 우선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기 압축기(10)의 동작 제어는 압축 제어기(20)를 통하여 수행되며, 상기 압축 제어기(20)는 상기 가동 우선 수위에 따라 공기 압축기(10)를 순차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공기 압축기(10)의 작동 수는 목표 압력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현재의 압력이 목표 압력에 비하여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하나를 작동시키고 더 낮은 압력인 경우 2개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과 같이 압력 차이를 기준으로 상기 공기 압축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압축기(10)를 통하여 압축된 공압은 저장 탱크(30)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 탱크(30)는 공압 수용부(2)에 소모되는 공압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공압 수용부(2)의 소모량을 기준으로 용량을 결정한다.
상기 저장 탱크(30)에서 저장된 공압은 공압 배관(40)을 통하여 공압 수요부(2)로 이동한다.
상기 공압 배관(40)은 상기 저장 탱크(30)에 단일 배관으로 연결되나, 공압 수용부(2)에서는 다수개의 배관으로 분기되어 공압이 필요한 지역으로 연결되며, 분기된 배관에는 단말장치(3)가 연결되어 공압이 배출된다.
한편, 상기 드라이어 장치(60)는 상기 공압 탱크(30)에서 배출되는 공압의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냉동식 또는 흡착식으로 구성되며, 다수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어 장치(60)는 드라이어 제어기(65)를 통하여 제어된다.
또한 상기 필터 장치(50)는 공압 배관(40)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압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으로 역시 복수개로 구성되며, 필요한 경우 상기 복수의 드라이어 장치(6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구성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일 장치로만 설명한다.
한편, 상기 공압 배관(40)에는 센서 시스템(80)이 부착된다. 상기 센서 시스템(8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 센서(8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위 센서(89)은 압력계(81), 온도계(82), 노점계(83) 및 입자분석계(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력계(81)는 공압 배관(40) 내부의 공압의 압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반드시 공기 압축기(10) 출구측과 공압 공급부(1)의 끝단인 필터 장치(50)의 끝단 그리고 단말장치(3) 중 저장 탱크(30)와 배관 거리가 가장 먼 곳(이하 '단말장치N'이라 한다)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적으로 공압 수요부(2)에 위치하는 공압 배관(40) 중간 영역 또는 중요 설비 등에 공압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다수개 설치한다.
상기 온도계(82)는 공압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터 장치(50)의 출구측, 단말장치N에 설치하고 역시 공압 수용부(2)에 위치하는 공압 배관(40) 중간 영역에 설치한다.
또한 노점계(83)는 공압의 습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므로, 드라이어 장치(60) 전단부에 설치하고, 단말장치N, 그리고 공압 배관(40) 중간에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입자분석계(84)는 공압 수요부(2)에 설치하되, 단말장치N과 기타 중간 영역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단위 센서(81)들은 설치된 위치의 공압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9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시스템(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압축 제어기(20)와 상기 드라이어 제어기(65)의 동작을 지시하고, 또한 센서 시스템(80)을 통하여 수집되는 공압의 상태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장치(90)의 제어 기능은 먼저 압력계(81)를 기준으로 상기 압축 제어기(2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압력계(81)는 단말장치N에 부착된 압력계(81)를 기준으로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장치N에 부착된 압력계(81)에서 감지되는 압력을 Pc라 하고, 최고 압력을 Ph, 최소 압력을 Pl라 하는 경우, Pc가 Pl이하이고 P1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어장치(90)는 첫번째 공압 압축기(10)의 가동을 지시하여 Pc가 상승하여 Ph와 같거나 높은 경우에는 작동을 중지시키는 지시를 수행한다.
하지만 급격한 공압 사용에 따라 Pc가 P1과 P2 사이의 값인 경우에는 첫번째와 두번째 공압 압축기(10)를 동시에 가동하여 공압을 상승시키고, 역시 Pc가 Ph와 같거나 높은 경우에는 동작을 중지시키는 지시한다.
한편, Pc가 Pl과 P1 사이인 경우에는 두번째 공압 압축기(10)를 중지시키고 첫번째 공압 압축기(10)만을 가동하는 형태로 제어 가능하다.
그리고 Pc가 P2와 P3 사이인 경우에는 추가하여 공압 압축기(10)를 가동하고, Pc가 P3 이하인 경우에는 또 추가하여 공압 압축기(10)를 가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압 압축기(10)의 가동은 적은 용량의 고효율 압축기순으로 설정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제어 방식을 공압 수요부(2)를 기준으로 제어되므로, 안정적인 공압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순차적인 공압 압축기(10)의 동작에 따라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90)는 일정 시간 모든 공압 압축기(10)를 가동한 경우에도 압력의 증가가 없는 경우에는 알람을 발생한 후, Pc를 공압 압축기(20) 출력단에 위치한 압력계(81)의 값으로 대체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공압 배관(40)에 누설이나, 이물질에 따른 폐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발생시켜 경고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90)는 단말장치N에 부착된 노점계(83)의 값을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어 제어기(65)를 제어한다.
상기 드라이어 장치(60)는 수동형과 능동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수동형인 경우에는 별도의 동작이 필요치 않으며, 능동형은 냉동 사이클을 동작하여 습도를 조절하므로, 제어의 대상은 상기 능동형에 국한 한다.
또한 공압의 습도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상기 단말장치N에 부착된 습도계(83)의 값을 기준으로 상하한치에 따라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온-오프 제어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드라이어 장치(60)의 동작에도 불구하고 습도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드라이어 장치(60)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별도의 알람을 출력하여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90)는 각 존별로 감지되는 센서 시스템(80)의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공압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감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위치에 설치된 압력계(81)를 통하여 압력 강하 정도를 감시할 수 있으며, 더불어 온도계(82)의 정보를 통하여 공압의 온도 변화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노점계(83)를 통하여 공압의 습도 변화를 감시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센서(89)들의 정보가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별도의 알람을 출력하여 작업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입자분석계(84)의 정보는 공압 내에 포함된 이물질의 정도를 감시하는 것으로, 상기 입자분석계(84)의 값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공기 필터 장치(50)의 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90)는 무선 공중 통신망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센서 시스템(80)을 통하여 수집되는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공압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알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 알람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공압 공급부 2: 공압 수용부
3: 말단장치 10: 공기 압축기
20: 압축 제어기 30: 저장 탱크
40: 공압 배관 50: 필터 장치
60: 드라이어 장치 65: 드라이어 제어기
80: 센서 시스템 81: 압력계
82: 온도계 83: 노점계
84: 입자분석계 89: 단위 센서
90: 제어 장치 100: 통합 공압 제어 장치

Claims (10)

  1. 다수의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를 제어하는 압축 제어기, 상기 공기 압축기를 통하여 생성된 공압을 저장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와 연통하여 다수의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공압 수용부로 공압을 안내하는 공압 배관, 상기 저장 탱크에서 배출되는 공압의 습도를 조절하는 드라이어 장치, 상기 드라이어 장치를 제어하는 드라이어 제어기, 상기 저장 탱크에서 배출되는 공압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위치하는 공압 배관에 설치되는 복수의 단위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및
    상기 센서 시스템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 압축 제어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센서는 압력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압력계 중, 저장 탱크와 가장 먼 경로에 설치되는 단말장치에 설치된 압력계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압축 제어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압력계의 압력은 높은 순으로 PH, PL로 구분하고, 상기 압축기를 용량별로 우선 순위를 부여한 후, 현재의 압력 Pc가 PL 이하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우순 순위에 따라 동작시키는 신호를 상기 압축 제어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Pc가 PH 이상인 경우, 압축기의 가동을 중지하는 신호를 상기 압축 제어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된 압력 중, PL 이하를 다수개로 구분하고, 구분된 압력 범위에 가동되는 압축기 수를 설정한 후, 상기 압력계에서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해당 범위에 대응되는 가동 압축기 수의 가동 신호를 상기 압축 제어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센서는 상기 공기 압축기 배출단에 설치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사전에 정의된 시간 이상을 압축기를 가동하더라도 압력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 압축기 배출단의 압력계를 기초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센서는 상기 공압 배관에 설치되는 다수의 온도계, 노점계 및 입자분석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 시스템을 통하여 감지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화면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노점계 중 상기 저장 탱크와 가장 먼 경로에 설치되는 단말장치에 설치된 노점계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드라이어 제어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입자분석계 중 어느 하나의 입자분석계의 값이 일정 수준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필터 장치의 점검을 위한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와 알람을 공중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스마트폰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공압 제어 장치.
KR1020140163415A 2014-11-21 2014-11-21 통합 공압 제어 장치 KR101715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415A KR101715835B1 (ko) 2014-11-21 2014-11-21 통합 공압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415A KR101715835B1 (ko) 2014-11-21 2014-11-21 통합 공압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034A true KR20160061034A (ko) 2016-05-31
KR101715835B1 KR101715835B1 (ko) 2017-03-14

Family

ID=5609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415A KR101715835B1 (ko) 2014-11-21 2014-11-21 통합 공압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336B1 (ko) * 2021-10-05 2022-08-02 박재형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536A (ko) 2020-07-29 2022-02-07 (주) 아이티엠코리아 공기압축 설비 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4540A (ja) * 2002-08-27 2004-03-18 Hitachi Ltd 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4540A (ja) * 2002-08-27 2004-03-18 Hitachi Ltd 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336B1 (ko) * 2021-10-05 2022-08-02 박재형 공압 유수분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835B1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6529B2 (ja) 空気圧縮装置の制御装置
JP4897414B2 (ja) 空気圧縮装置の制御装置
CN106499617B (zh) 一种空压机节能调控方法、装置及系统
US20130323088A1 (en) Compressed Air Maintenance Unit and Consumer Control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US20040151593A1 (en) Modular system for the control of compression systems
CN103362791A (zh) 压缩气体供给单元、压缩气体供给装置及它们的控制方法
CN207004781U (zh) 一种多台并联空气压缩机切换装置
CN105318494A (zh) 空气调节器及其控制方法
KR101337234B1 (ko) 복수 공기압축기의 통합제어 운전방법
CN107893763B (zh) 一种压缩机状态控制方法与装置
CN103982951A (zh) 多联机空调室外机及其控制方法
KR101004323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기압축기 시스템의 운전방법 및 운전보조장비
KR101715835B1 (ko) 통합 공압 제어 장치
CN105299824A (zh) 空气调节器及其控制方法
CN105066258A (zh) 分体落地式空调器
CN203718383U (zh) 基于3g技术和物联网平台的压缩空气系统智慧管控系统
US20230244256A1 (en) Away mode for a compressed air system
KR20100084358A (ko) 냉동기 전용 컨트롤러를 이용한 냉난방 부하 변동에 따른 냉온수기대수제어시스템
KR20170142356A (ko) Wcdma를 이용한 원격 고장진단모듈을 구비한 공기압축시스템
KR20160125649A (ko) 복수 공기압축기의 에너지 최적화 제어 시스템
CN108369056B (zh) 用于多功能联网的设备和方法
CN214580471U (zh) 一种车间供气系统节能监控装置
CN103055396B (zh) 一种供气装置
CN106152429A (zh) 智能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180342B (zh) 空气调节器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