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226B1 -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226B1
KR101682226B1 KR1020140168197A KR20140168197A KR101682226B1 KR 101682226 B1 KR101682226 B1 KR 101682226B1 KR 1020140168197 A KR1020140168197 A KR 1020140168197A KR 20140168197 A KR20140168197 A KR 20140168197A KR 101682226 B1 KR101682226 B1 KR 101682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weight
abnormality
tank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513A (ko
Inventor
김주한
Original Assignee
(주)아륙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륙전기 filed Critical (주)아륙전기
Priority to KR1020140168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2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05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7/00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D7/02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 F04D7/04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탱크의 외부 바닥면에 장착되어 오수탱크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센서와,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오수에 포함되는 인분,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오수탱크에 유입되는 오수의 수위에 따른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컨트롤러는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오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와,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이상감지부와, 이상감지부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부를 포함하여, 오수펌프 작동의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이상에 따른 오수 역류 등의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A Package System of Dirty Water and Drainage Pump}
본 발명은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탱크의 외부 바닥면에 장착되어 오수탱크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센서와,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오수에 포함되는 인분,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오수탱크에 유입되는 오수의 수위에 따른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컨트롤러는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오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와,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이상감지부와, 이상감지부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부를 포함하여, 오수펌프 작동의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이상에 따른 오수 역류 등의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부 공간에 사람이 생활하는 건물에는 건물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수를 집수하여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오수 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오수 배출장치에 의해 오수를 집수하여 오수를 정화하는 오수 처리장으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주거 또는 업무 등을 위한 건물에는 공간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하 공간을 주거 또는 업무 등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하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하수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지하 공간의 오수 배출장치가 별도로 설치된다.
지하 공간의 오수 배출장치에는 건물의 지하 공간보다 더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지하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집수하게 되며, 집수된 오수는 건물의 지상 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수와 합쳐져 오수를 정화하는 정화시설로 이송된다.
따라서, 지하 공간의 오수 배출장치에는 오수를 이송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어야 하는바, 화장실, 식당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임시저장되는 오수탱크(T)와, 상기 오수탱크(T)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탱크(T) 내부에 유입되는 오수를 정화조, 하수도 등으로 배출시키는 오수펌프(P)를 포함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탱크(T)에 유입되는 오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100)를 포함하여, 상기 수위측정센서(100)에 의하여 측정되는 오수의 수위에 따라 오수펌프(P)가 작동하도록 하였으며, 복수의 오수펌프(P)를 사용하도록 하여 오수 이송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상기 수위측정센서(100)는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수면에 뜰 수 있도록 형성되어 수위에 따라 작동하는 복수의 플로트(Float) 형 센서가 사용되었으나, 오수에 포함되는 인분,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에 의한 간섭, 흡착 등에 의해 잦은 오작동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오수의 역류에 의한 악취, 잦은 수리로 인한 추가관리비용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지하에 설치되는 오수 배출장치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따라서, 상기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특히 수위측정센서(100)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1986호(2011. 11. 03. 등록) "오배수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오수탱크의 외부 바닥면에 장착되어 오수탱크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센서와,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오수에 포함되는 인분,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오수탱크에 유입되는 오수의 수위에 따른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량센서가 복수개 형성되도록 하여 중량센서에 주어지는 부하를 분산시킴으로써 중량센서의 고장을 줄이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중량센서가 오수탱크를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는 배치로 형성되도록 하여 오수의 유입에 따른 오수의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오수탱크를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오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와,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이상감지부와, 이상감지부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부를 포함하여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오수탱크의 무게에 따라 오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여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감지하고 경고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이상에 따른 오수 역류 등의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가 하한값 이하일 경우 오수펌프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작동부와,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가 상한값 이상일 경우 오수탱크의 위험수위를 감지하여 경고발생부를 작동시키는 위험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이상감지부를 포함하여, 오수탱크 내의 오수의 수위가 적정범위를 유지하도록 하고, 오수의 역류 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의 감소속도가 일정값 이상일 경우 오수탱크의 누수로 판단하여 경고발생부를 작동시키는 누수감지모듈을 갖는 이상감지부를 포함하여, 오수탱크의 누수에 따른 악취, 오염 등의 피해를 미리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측정값과 일정값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오수탱크의 기울어짐으로 판단하여 경고발생부가 작동하도록 하는 기울어짐감지모듈을 갖는 이상감지부를 포함하여, 오수탱크의 기울어짐에 따른 오수가 유출되거나 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은 건물의 지하 등에 설치되어 건물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임시저장하는 오수탱크와, 상기 오수탱크로부터 정화조, 하수도 등으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펌프를 포함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수탱크의 외부 바닥면에 장착되어 상기 오수탱크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센서와, 상기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상기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량센서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중량센서에 주어지는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량센서는 오수탱크를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는 배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상기 오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와, 상기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이상감지부와, 상기 이상감지부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가 하한값 이하일 경우 오수펌프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고, 상기 이상감지부는, 상기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가 상한값 이상일 경우 오수탱크의 위험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경고발생부를 작동시키는 위험감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상감지부는 상기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의 감소속도가 일정값 이상일 경우 오수탱크의 누수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발생부를 작동시키는 누수감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상기 오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와, 상기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이상감지부와, 상기 이상감지부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측정값과 일정값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오수탱크의 기울어짐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발생부가 작동하도록 하는 기울어짐감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오수탱크의 외부 바닥면에 장착되어 오수탱크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센서와,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오수에 포함되는 인분, 음식물찌꺼기 등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오수탱크에 유입되는 오수의 수위에 따른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량센서가 복수개 형성되도록 하여 중량센서에 주어지는 부하를 분산시킴으로써 중량센서의 고장을 줄이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중량센서가 오수탱크를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는 배치로 형성되도록 하여 오수의 유입에 따른 오수의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오수탱크를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오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와,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이상감지부와, 이상감지부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부를 포함하여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오수탱크의 무게에 따라 오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여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감지하고 경고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이상에 따른 오수 역류 등의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가 하한값 이하일 경우 오수펌프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작동부와,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가 상한값 이상일 경우 오수탱크의 위험수위를 감지하여 경고발생부를 작동시키는 위험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이상감지부를 포함하여, 오수탱크 내의 오수의 수위가 적정범위를 유지하도록 하고, 오수의 역류 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의 감소속도가 일정값 이상일 경우 오수탱크의 누수로 판단하여 경고발생부를 작동시키는 누수감지모듈을 갖는 이상감지부를 포함하여, 오수탱크의 누수에 따른 악취, 오염 등의 피해를 미리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측정값과 일정값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오수탱크의 기울어짐으로 판단하여 경고발생부가 작동하도록 하는 기울어짐감지모듈을 갖는 이상감지부를 포함하여, 오수탱크의 기울어짐에 따른 오수가 유출되거나 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수위측정센서를 사용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중량센서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4는 도 2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4의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4의 이상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4의 경고발생부의 구성을 나태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2의 컨트롤박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은 건물의 지하 등에 설치되어 건물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임시저장하는 오수탱크(T)와, 상기 오수탱크(T)로부터 정화조, 하수도 등으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펌프(P)를 포함한다. 앞서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탱크(T) 내에 오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100)를 설치하여 오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오수펌프(P)가 작동하도록 하였으나, 오수에 포함된 인분, 음식찌꺼기 등의 이물질에 의해 상기 수위측정센서(100)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수탱크(T)의 외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탱크(T)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센서(1)를 포함하여, 오수에 의한 오염의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오수의 유입에 따른 수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은 상기 중량센서(1)와 연결되는 컨트롤러(3)를 포함하여,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컨트롤러(3)가 포함되는 컨트롤박스(B)를 상기 오수탱크(T)의 외부에 설치하여 작동상태, 이상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화장실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탱크(T)의 인입구(T1)를 통하여 상기 오수탱크(T)에 인입되며, 상기 오수탱크(T)에 인입되는 오수에 의하여 변하는 오수탱크(T)의 무게는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된다. 상기 오수탱크(T)의 내부에는 복수의 오수펌프(P)가 설치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개의 오수펌프(P)가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오수펌프(P)의 작동은 상기 컨트롤러(3)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상기 오수펌프(P)를 작동시키고, 상기 오수펌프(P)의 작동에 의해 상기 오수탱크(T) 내부의 오수는 정화조, 하수관 등으로 배출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중량센서(1)는 상기 오수탱크(T)의 외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오수탱크(T)의 무게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로드셀 등의 다양한 하중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중량센서(1)에 주어지는 부하가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센서(1)는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탱크(T)를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는 배치로 형성되어 상기 오수탱크(T)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오수탱크(T)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며, 후술할 기울어짐감지모듈(335)에 의해 상기 오수탱크(T)의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오수탱크(T)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중량센서(1)가 오수탱크(T)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를 가지며,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3의(a)의 경우에는 2개, 도 3의(b)의 경우에는 3개, 도 4의(c)의 경우에는 4개의 중량센서가 형성됨). 다만 상기 중량센서(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오수탱크(T)의 바닥면 형상에 따라 상기 오수탱크(T)를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개수와 배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상기 오수탱크(T)의 무게는 상기 오수탱크(T)에 오수가 전혀 유입되지 않았을 때의 초기무게를 기준으로 영점조정되어 상기 오수탱크(T) 내의 오수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상기 오수탱크(T) 내의 오수의 수위가 계산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펌프(P)가 2개 설치된다고 가정했을 때, 하나의 오수펌프(P)가 작동되기 시작하는 하한값(1A), 두개의 오수펌프(P)가 작동되기 시작하는 중간값(1B), 위험수위를 나타내는 상한값(1C)의 수위에 해당하는 상기 오수탱크(T)의 무게가 계산되어 설정된다.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상기 오수탱크(T)의 무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박스(B)의 중량표시영역(B1)에 표시되며, 측정되는 중량에 따라 하한값(1A), 중간값(1B), 상한값(1C)에 해당하는 하한값표시영역(B11), 중간값표시영역(B12), 상한값표시영역(B13)에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수위를 상기 컨트롤박스(B)의 중량표시영역(B1)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은 상기 컨트롤러(3)에 전달되어 후술할 작동부(31), 이상감지부(33) 등의 작동 기준값이 된다.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오수탱크(T)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컨트롤박스(B)에 포함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량센서(1)와 연결되어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상기 오수탱크(T)의 무게에 따라 작동한다. 상기 컨트롤러(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상기 오수펌프(P)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31)와, 상기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이상감지부(33)와, 상기 이상감지부(33)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부(35)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펌프(P)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비상정지부(37), 상기 오수탱크(T)의 인입구(T1)를 폐쇄하는 비상폐쇄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31)는 상기 오수펌프(P)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상기 오수펌프(P)가 작동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오수탱크(T)에 유입되어 저장되는 오수의 양에 따라 상기 오수펌프(P)가 작동하도록 하며, 상기 오수펌프(P)가 2개 설치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오수펌프(P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작동모듈(311)과, 제2오수펌프(P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작동모듈(313)과, 상기 제1,2작동모듈(311, 313)의 작동상태를 상기 컨트롤박스(B)에 표시하는 작동표시모듈(3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작동모듈(311)은 제1오수펌프(P1)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가 하한값(1A)의 수위에 해당하는 값이 되었을 때 상기 제1오수펌프(P1)가 작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1오수펌프(P1)가 작동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박스(B)의 작동표시영역(B2) 중 제1작동표시영역(B21)이 점등되도록 하여 작동중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작동표시영역(B21)에는 상기 제1오수펌프(P1)의 출력을 알 수 있는 계기판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모듈(313)은 제2오수펌프(P2)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가 중간값(1B)의 수위에 해당하는 값에 도달하면, 상기 제1오수펌프(P1)와 함께 상기 제2오수펌프(P2)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오수탱크(T)에 유입되는 오수의 양이 적을 때에는 상기 제1오수펌프(P1)만이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오수탱크(T)에 유입되는 오수의 양이 증가하여 상기 중간값(1B)에 해당하는 수위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상기 제1오수펌프(P1)와 제2오수펌프(P2)가 함께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작동모듈(313)에 의하여 상기 제2오수펌프(P2)가 작동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박스(B)의 작동표시영역(B2) 중 제2작동표시영역(B23)이 점등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제2작동표시영역(B23)에는 상기 제2오수펌프(P2)의 출력을 알 수 있는 계기판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표시모듈(315)은 상기 제1작동모듈(311), 제2작동모듈(313)에 의한 상기 제1,2오수펌프(P1,P2)의 작동상태를 컨트롤박스(B)의 작동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작동모듈(311)의 작동중에는 상기 제1작동표시영역(B21)이, 상기 제2작동모듈(313)의 작동중에는 상기 제2작동표시영역(B23)이 점등되도록 하며, 상기 제1,2오수펌프(P1.P2)의 출력을 계기판상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중량표시영역(B1)에 의해 현재의 수위를 알 수 있고, 상기 작동표시영역(B2)에 의해 오수펌프(P)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는바, 상기 오수펌프(P)의 정상작동여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상감지부(33)는 상기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을 기준으로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고발생부(35)에 의하여 경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비상정지부(37)에 의한 오수펌프(P) 작동의 정지, 비상폐쇄부(39)에 의한 인입구(T1)의 폐쇄 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상감지부(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탱크(T) 내 오수의 고수위를 감지하는 위험감지모듈(331), 상기 오수탱크(T)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모듈(333), 상기 오수탱크(T)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기울어짐감지모듈(335)을 포함한다.
상기 위험감지모듈(331)은 오수탱크(T)의 위험수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가 오수 수위의 상한값(1C)에 해당하는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경고발생부(35)를 통하여 경고신호가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부(31)에 의하여 상기 제1,2오수펌프(P1,P2)가 모두 작동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오수탱크(T) 내의 수위가 상기 상한값(1C)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수탱크(T)에 유입되는 오수의 양이 너무 많거나 상기 오수펌프(P)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이므로, 오수의 역류 등에 의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위험감지모듈(331)에 의해 위험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경고발생부(35)를 통해 관리자에게 경고신호를 보내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비상폐쇄부(39)를 통해 상기 인입구(T1)를 폐쇄하여 상기 오수탱크(T)에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 위험감지모듈(331)에 의하여 위험수위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B)의 이상표시영역(B3) 중 위험표시영역(B31)이 점등되도록 하여 오수탱크(T)의 수위가 위험수위에 도달하였음을 알리게 된다.
상기 누수감지모듈(333)은 상기 오수탱크(T)의 누수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이 설정된 값 이상의 속도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오수탱크(T)의 누수로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작동모듈(311) 또는 상기 제1,2작동모듈(311,313)에 의하여 제1오수펌프(P1)가 작동하거나 제1,2오수펌프(P1,P2)가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 상기 오수탱크(T) 내의 오수의 수위가 감소하게 되는데, 상기 오수펌프(P)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오수의 감소속도 이상으로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수탱크(T)의 누수로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이 하한값(1C)에 해당하는 값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이 감소하는 경우에도 누수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누수감지모듈(333)에 의하여 상기 오수탱크(T)의 누수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고발생부(35)에 의하여 경고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컨트롤박스(B)의 이상표시영역(B3) 중 누수표시영역(B33)이 점등되도록 하여 오수탱크(T)에 누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게 된다.
상기 기울어짐감지모듈(335)은 상기 오수탱크(T)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량센서(1)는 상기 오수탱크(T)의 바닥면에 복수개가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탱크(T)를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각각의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을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이 나머지 측정값과 일정값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오수탱크(T)의 기울어짐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오수탱크(T)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경우 오수의 유입과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오수의 역류 또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경고발생부(35)를 통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 오수탱크(T)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B)의 이상표시영역(B3) 중 기울어짐표시영역(B35)이 점등되도록 하고, 예를 들어 도 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탱크(T)의 바닥면에 4개의 중량센서(1)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기울어짐이 발생한 측의 표시영역, 즉 4개의 표시영역(351,352,353,354) 중 기울어짐이 발생한 측의 표시영역이 점등되도록 하여 어느 쪽으로 기울어짐이 발생하였는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고발생부(35)는 상기 이상감지부(33)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될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트롤박스(B) 상에 이상여부가 표시되도록 하는 점등모듈(351)과, 소리로 이상여부를 알리는 소리출력모듈(353)을 포함한다. 상기 경고발생부(35)는 상기 위험감지모듈(331)에 의하여 위험수위가 감지되는 경우 또는 상기 누수감지모듈(333)에 의하여 오수탱크(T)의 누수가 감지되는 경우 또는 상기 기울어짐감지모듈(335)에 의하여 상기 오수탱크(T)의 기울어짐이 감지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며, 그 밖에 비상정지부(37)에 의하여 비상정지가 발생하는 경우, 비상폐쇄부(39)에 의하여 인입구(T1)를 폐쇄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등모듈(351)은 상기 이상감지부(33)에 의하여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박스(B)의 이상표시영역(B3), 비상정지표시영역(B4), 비상폐쇄표시영역(B5) 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각각의 영역을 나누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이상의 종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 기울어짐표시영역(B35)을 통해 상기 오수탱크(T)가 기울어진 방향 또한 손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소리출력모듈(353)은 상기 이상감지부(330에 의하여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소리로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점등모듈(351)에 의하여 컨트롤박스(B)에 표시되도록 함과 더불어 소리로 이상여부를 알리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이상에 대한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소리출력모듈(353)은 위험수위, 누수, 기울어짐 등에 따른 소리 경고신호의 종류를 다르게 설정하여 소리만으로도 이상의 종료를 알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비상정지부(37)는 상기 오수펌프(P)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누수감지모듈(333)에 의해 상기 오수탱크(T)의 누수가 감지되거나, 상기 기울어짐감지모듈(335)에 의해 상기 오수탱크(T)의 기울어짐이 감지될 경우, 추가적인 피해를 막고 점검 및 수리를 실시하기 위해 상기 오수펌프(P)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센서(1)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이 상기 하한값(1A)의 수위에 해당하는 값 이하로 내려갔는데도 불구하고 상기 오수펌프(P)의 작동이 계속되는 경우에도 상기 비상정지부(37)가 실행되도록 하여 이상여부를 점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비상정지부(37)에 의하여 상기 오수펌프(P)의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에도 상기 경고발생부(35)에 의하여 경고신호가 발생되며, 소리와 함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B)의 비상정지표시영역(B4)이 점등되도록 하여 상기 오수펌프(P)의 작동이 비상정지하였음을 알리게 된다. 이때, 상기 비상정지표시영역(B4)의 점등과 함께 상기 컨트롤박스(B)를 통해 누수감지여부와 기울어짐감지여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바, 비상정지의 원인도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상폐쇄부(39)는 상기 오수탱크(T)의 인입구(T1)를 일시적으로 폐쇄하는 구성으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인입구(T1)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마련하여 인입구(T1)를 통해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인입구(T1)를 통해 오수가 역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상폐쇄부(39)는 상기 이상감지부(33)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험감지모듈(331)에 의하여 상기 오수탱크(T)의 위험수위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입구(T1)를 통한 오수의 역류와 오수펌프(P) 등의 점검을 위하여 인입구(T1)를 폐쇄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누수감지모듈(333) 또는 기울어짐감지모듈(335)에 의하여 상기 오수탱크(T)의 누수 또는 기울어짐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누수 또는 기울어짐에 의한 추가 피해를 막고 오수탱크(T)의 점검을 위하여 인입구(T1)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비상폐쇄부(39)에 의하여 인입구(T1)의 비상폐쇄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상기 경고발생부(35)에 의하여 경고신호가 발생되며, 소리와 함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B)의 비상폐쇄표시영역(B5)이 점등되도록 하여 상기 인입구(T1)가 폐쇄되었음을 알리게 되며, 관리자는 인입구(T1)의 비상폐쇄를 건물 사용자에 신속히 알려 화장실 등의 사용을 중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이상에 따른 추가 피해를 막을 수 있으며, 문제의 해결을 위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오수펌프
T: 오수탱크 T1: 인입구
B: 컨트롤박스
1: 중량센서
3: 컨트롤러
31: 작동부
311: 제1작동모듈 313: 제2작동모듈 315: 작동표시모듈
33: 이상감지부
331: 위험감지모듈 333: 누수감지모듈 335: 기울어짐감지모듈
35: 경고발생부
351: 점등모듈 353: 소리출력모듈
37: 비상정지부
39: 비상폐쇄부

Claims (7)

  1. 건물의 지하 등에 설치되어 건물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임시저장하는 오수탱크와, 상기 오수탱크로부터 정화조, 하수도 등으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펌프를 포함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수탱크의 외부 바닥면에 장착되어 상기 오수탱크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센서와, 상기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상기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센서는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와 사이각을 갖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에 따라 상기 오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부와, 상기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이상감지부와, 상기 이상감지부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발생부와, 상기 이상감지부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오수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비상정지부와, 상기 이상감지부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탱크의 인입구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비상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감지부는 상기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가 상한값 이상일 경우 오수탱크의 위험수위로 감지하는 위험감지모듈과, 상기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의 감소속도가 일정값 이상일 경우 오수탱크의 누수로 판단하는 누수감지모듈과, 상기 복수의 중량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게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측정값과 일정값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오수탱크의 기울어짐으로 판단하는 기울어짐감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경고발생부, 비상정지부 및 비상폐쇄부는 상기 위험감지모듈, 누수감지모듈, 기울어짐감지모듈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시스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68197A 2014-11-28 2014-11-28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KR101682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197A KR101682226B1 (ko) 2014-11-28 2014-11-28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197A KR101682226B1 (ko) 2014-11-28 2014-11-28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513A KR20160064513A (ko) 2016-06-08
KR101682226B1 true KR101682226B1 (ko) 2016-12-02

Family

ID=5619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197A KR101682226B1 (ko) 2014-11-28 2014-11-28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2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379B1 (ko) 2019-03-29 2019-08-16 주식회사 이피코 오배수펌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104344B1 (ko) 2019-07-19 2020-04-27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막힘 방지기능이 구비된 오배수 펌프장치
KR102246436B1 (ko) 2020-12-10 2021-04-29 김진이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
KR102286390B1 (ko) 2020-12-10 2021-08-05 ㈜에스피에스솔루션 냉각기능이 구비된 펌프를 포함하는 오수펌프 시스템
KR102345630B1 (ko) 2021-07-05 2021-12-29 고일영 이물질 커팅기능을 갖는 커버를 구비한 오배수 펌프
KR20220081836A (ko) * 2020-12-09 2022-06-16 정지현 비상기동 기능이 구비된 배수펌프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456B1 (ko) * 2021-08-13 2021-11-17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하향식 오수 배출장치
CN113916449A (zh) * 2021-10-18 2022-01-11 广东优碧胜科技有限公司 漏水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出水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65B1 (ko) * 2010-06-28 2011-01-14 제이엠아이 (주)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
KR101154528B1 (ko) * 2011-11-14 2012-07-02 영상기전(주) 오수 펌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한 오수 펌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418A (ko) * 2010-04-19 2011-10-26 공인익 슬러지 고형물량, 농도 계측 및 폴리머 투입량 자동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65B1 (ko) * 2010-06-28 2011-01-14 제이엠아이 (주)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
KR101154528B1 (ko) * 2011-11-14 2012-07-02 영상기전(주) 오수 펌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한 오수 펌프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379B1 (ko) 2019-03-29 2019-08-16 주식회사 이피코 오배수펌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104344B1 (ko) 2019-07-19 2020-04-27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막힘 방지기능이 구비된 오배수 펌프장치
KR20220081836A (ko) * 2020-12-09 2022-06-16 정지현 비상기동 기능이 구비된 배수펌프 제어시스템
KR102440215B1 (ko) 2020-12-09 2022-09-05 정지현 비상기동 기능이 구비된 배수펌프 제어시스템
KR102246436B1 (ko) 2020-12-10 2021-04-29 김진이 자가세정 기능이 구비된 오수펌프 시스템
KR102286390B1 (ko) 2020-12-10 2021-08-05 ㈜에스피에스솔루션 냉각기능이 구비된 펌프를 포함하는 오수펌프 시스템
KR102345630B1 (ko) 2021-07-05 2021-12-29 고일영 이물질 커팅기능을 갖는 커버를 구비한 오배수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513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226B1 (ko)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US20050281679A1 (en) Basement flood control system
US20080295895A1 (en) Water leakage and fault sensing system
KR101553770B1 (ko) 하수관거 통합 제어시스템
ES2908717T3 (es) Módulo de gestión de alarmas para una estación de bombeo de aguas residuales
JP4463784B2 (ja) 簡易雨量強度警報装置
JP2007315845A5 (ko)
KR101756520B1 (ko)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CA2880529C (en) Fully automated emergency generator fuel oi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CN110409534A (zh) 一种具有排水装置的油箱
US9410865B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leak tightness of a tank
CN214884202U (zh) 一种建筑给排水排污管道
JP4614758B2 (ja) 排水ポンプの逆止弁異常検出システム
JP3794159B2 (ja) スプリンクラ設備を利用した漏水・停滞水の報知システム
US11473786B2 (en) Connector for a water system
JP6222873B1 (ja) 貯水制御方法及び貯水システム
JP2003328979A (ja) 液槽の水位制御方法及び液槽の水位制御装置
JP6727537B2 (ja) 貯湯式電気温水器
JP2012180113A (ja) 屋外燃料貯蔵装置
KR102593825B1 (ko) 누수 감지 및 차단기능을 구비하는 통합배관유닛
KR101453362B1 (ko) 차집관거의 다기능 유량조절장치
CN215594298U (zh) 雨水管网截污防护系统
JP6828082B2 (ja) 真空式排液収集システムおよび排液収集方法
JP3899198B2 (ja) 液体燃料供給装置
JPS60183526A (ja) 液位検出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