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520B1 -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520B1
KR101756520B1 KR1020150013484A KR20150013484A KR101756520B1 KR 101756520 B1 KR101756520 B1 KR 101756520B1 KR 1020150013484 A KR1020150013484 A KR 1020150013484A KR 20150013484 A KR20150013484 A KR 20150013484A KR 101756520 B1 KR101756520 B1 KR 101756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nsor
closing plate
l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734A (ko
Inventor
진두남
김현숙
Original Assignee
진두남
김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두남, 김현숙 filed Critical 진두남
Priority to KR102015001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5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날씨에 따른 개폐판의 개방 정도와, 개폐판의 닫침상태 및 우수토실의 내부 수위를 자동 점검하고, 알림수단을 통해 외부로 알림으로써, 관리자가 개폐판의 오작동 여부와, 우수토실 배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FLOW CONTROL APPARATUS FOR SELF-CHECK}
본 발명은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로, 하수로, 암거, 관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날씨에 따른 개폐판의 개방 정도와, 개폐판의 닫침 상태 및 우수토실의 내부 수위를 자동 점검하고, 알림수단을 통해 외부로 알림으로써, 관리자가 개폐판의 오작동 여부와, 우수토실 배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로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빗물이 도로의 배수로를 통하여 모여진 하수를 배수하는 통로를 말하는 것이다.
특히 하수로는 배출측이 강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수가 강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알려진 하수로는 배출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하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우수토실을 포함하고, 우수토실에 연계된 하수 처리장으로 유도하는 차집관거를 포함한다.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특허등록 제1356852호: 이하 개폐장치로 칭한다.)는 하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를 우수토실로 유도하여 하수종말 처리장으로 유도하고, 빗물로 인해 하수량이 3배 이상 증대되면, 우수토실을 폐쇄하여 하천이나 강으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는 이물질에 개폐판 또는 우수토실 내부의 배수기능이 상실되면 하수 및 초기우수의 처리를 못해 인접한 하천이나 강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리자는 많은 구간의 우수토실을 점검하기 때문에 배수의 기능이 상실된 우수토실을 점검하기 까지는 많은 기간이 경과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날씨에 따른 개폐판의 개방 정도와, 개폐판의 닫침 상태 및 우수토실의 내부 수위를 자동 점검하고, 알림수단을 통해 외부로 알림으로써, 관리자가 개폐판의 오작동 여부와, 우수토실 배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알림수단에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에 의해 점등 및 점멸되는 다수의 LED를 마련하고, 각각의 LED 점등 조합에 따라 상기 각 센서의 오작동을 파악할 수 있는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개판수단의 상류측에 협잡물 및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다수의 걸림봉이 결합된 스크린을 구비하되, 상기 각 걸림봉은 개별적으로 체결 결합시켜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수토실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을 갖는 개폐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개폐판의 닫침 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개폐판의 개방 정도를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2센서의 의해 개폐판의 개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감지바;와, 상기 우수토실의 내부 수위를 측정하는 제3센서;와, 상기 각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우수토실 내부 수위와, 개폐판의 닫침상태 및 개폐판의 개방정도가 표시되는 알림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의 상류측에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설치되는 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알림수단은 LED전광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LED전광판은 제1센서에 의해 개폐판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제1LED와, 제2센서에 의해 개폐판의 개방정도를 나타내는 제2LED와, 제3센서에 의해 우수토실의 내부수위를 나타내는 제3LED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바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제2센서가 개폐판의 개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은 경사면을 갖는 지지판과, 상기 경사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된 너트와,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걸림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봉은 압축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압축스프링의 타단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나사봉과, 상기 압축스프링에 외장되는 외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우수토실은 하부에 형성되어 집수되는 하수와 초기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배수구와, 상기 제1배수구가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경우, 상기 우수토실의 상부에 형성되어 하수와 초기우수를 유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수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3센서는 상기 제1배수구의 형성 위치 보다 더 높은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제1배수구와 상기 제2배수구는 차집관거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이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관 및 제2연결관에는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가 결합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감지바는 개폐판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커브진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9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우수토실은 개폐수단을 안착시키기 위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는 체결볼트가 고정되어 개폐수단을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에 따르면, 날씨에 따른 개폐판의 개방 정도와, 개폐판의 닫침상태 및 우수토실의 내부 수위를 자동 점검하고, 알림수단을 통해 외부로 알림으로써, 관리자가 개폐판의 오작동 여부와, 우수토실 배수 상태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림수단에 제1센서, 제2센서 및 제3센서에 의해 점등 및 점멸되는 다수의 LED를 마련하고, 각각의 LED 점등 조합에 따라 상기 각 센서의 오작동을 파악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걸림봉은 개별적으로 체결 결합시켜 손상된 해당 걸림봉 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의 단면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개폐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스크린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개폐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스크린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로, 하수로, 암거, 관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날씨에 따른 개폐판의 개방 정도와, 개폐판의 닫침상태 및 우수토실의 내부 수위를 자동 점검하고, 알림수단을 통해 외부로 알림으로써, 관리자가 개폐판의 오작동 여부와, 우수토실 배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100)는 크게 6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개폐수단(10)과, 제1센서(111)와, 제2센서(112)와, 감지바(121)와, 제3센서(21) 및 알림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수단(10)은 배수로, 하수로, 암거, 관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형성된 우수토실(20)에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수단(10)은 우수토실(20)에 고정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12)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우수토실(20)은 개폐수단(10)을 안착시키기 위한 단턱(26)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26)에는 체결볼트(261)가 고정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개폐수단(10)의 프레임(11)에는 체결볼트(261)가 삽입되는 체결구(113)가 형성되어 너트(114)를 통해 우수토실(20)의 단턱(26)에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상기 제1센서(111)는 상기 프레임(11)에 고정되어 개폐판(12)과의 접촉에 의해 닫침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1센서(111)는 근접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 접점센서도 가능하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 한다.
또한 상기 제1센서(111)는 브라켓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브라켓에 장홈을 형성시켜 제1센서의 높이를 조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센서(112) 역시 프레임(11)에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고정되어 개폐판(12)의 개방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판(12)의 저면에는 상기 제2센서(112)의 의해 개폐판(12)의 개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바(121)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감지바(121)는 고정된 제2센서(112)에 궤도가 이탈됨이 없이 감지될 수 있도록 개폐판(12)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커브진 형태를 취한다.
또한 상기 감지바(121)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구(122)가 형성되어 제2센서(112)가 개폐판(12)의 개방 정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센서(112)는 감지바(121)의 관통구(122)에서는 감지가 안되는 바, 관통구(122)를 통과할 때 마다 카운트가 되어 알림수단에 표기되어 개폐판(12)의 개방 정도를 알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우수토실(20)은 제1배수구(22)와 제2배수구(23)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1배수구(22)는 상기 우수토실(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집수되는 하수와 초기우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배수구(23)는 우수토실(20)로 유입되는 초기우수량이 많을 경우, 상기 제1배수구(22)와 함께 초기우수를 신속히 배출시켜 많은 초기우수량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즉, 제1배수구(22)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면 우수토실(20)의 내부수위가 높아지는 바, 이를 제2배수구(23)를 통해 하수 및 초기우수를 유도배출하여 우수토실(20)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구(22)와 제2배수구(23)는 차집관거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24)과 제2연결관(25)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관(24) 및 제2연결관(25)에는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V)가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술된 체크밸브(V)는 차집관거가 만수위일 경우, 하수 및 초기우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더불어 냄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우수토실(20)의 내벽면에는 내부 수위를 감지하는 제3센서(21)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제3센서(21)는 제2배수구(23)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비가 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배수구(22)가 이물질에 의해 폐쇄된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비가 오지 않는 상태에서 우수토실(20)의 내부 수위가 높아지면 제1배수구(22)가 막힌 것을 감지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이를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각 센서(111,11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우수토실(20)의 내부 수위와, 개폐판(12)의 닫침 상태 및 개폐판(12)의 개방 정도가 표시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알림수단은 관리자가 식별가능하도록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알림수단은 LED전광판(30) 또는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이며, 바람직하게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LED전광판(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LED전광판(30)에는 자체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솔라셀(미도시) 및 상기 솔라셀로부터 전력이 충진되는 2차전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무선으로 각 센서(111,112,21)의 감지값을 통제실(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도록 송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LED전광판(30)은 제1센서(111)에 의해 개폐판(12)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제1LED(31)와, 제2센서(112)에 의해 개폐판(12)의 개방정도를 나타내는 제2LED(32)와, 제3센서(21)에 의해 우수토실(20)의 내부수위를 나타내는 제3LED(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LED(32)는 LED의 개별적인 점등 갯수에 따라 개폐판(12)의 개방 각도(15°,30°,45°)를 파악할 수 있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비가 오지 않고, 제2LED(32)의 개폐판(12) 개방각도가 15°이고, 제3LED(33)가 점등될 경우, 제1배수구(22)가 이물질에 의해 폐쇄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와 같이, 제2LED(32)가 15°로 점등되고, 제1LED(31)가 동시 점등될 경우, 제 1센서(111)의 오작동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우천 시, 개폐판(12)이 수압에 의해 30°및 45° 범위로 개방되어야 함에도, 제2LED(32)의 개폐판(12) 개방각도가 15°로 점등될 경우, 개폐판(12)이 오작동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제1센서(111)의 제1LED(31)가 점멸되고, 제3센서(21)의 제3LED(33)가 점등될 경우, 제1센서(111) 또는 제3센서(21)의 오작동에 따른 손상을 파악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내부 점검을 각 센서(111,112,21)를 통해 자동 점검하여 LED전광판(30)을 통해 알림으로써, 관리자는 외부에서 각 센서(111,112,21) 및 개폐판의 오작동 및 파손 여부와, 우수토실(20) 배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10)의 상류측에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40)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스크린(40)은 지지판(41)과, 너트(42)와, 걸림봉(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41)은 걸림봉(43)을 기울여진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경사면(411)을 갖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너트(42)는 지지판(41)에 일정간격을 두고 용접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걸림봉(43)은 협잡물이나 이물질이 우수토실(2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각 너트(42)에 개별적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손상된 걸림봉(43)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 때 상기 걸림봉(43)은 압축스프링(431)과, 일단은 상기 압축스프링(431)의 타단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너트(42)에 체결되는 나사봉(432)과, 상기 압축스프링(431)에 외장되는 외피(433)로 구성된다.
상기 외피(433)는 천연고무, 합성고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액에 압축스프링(431)을 침지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상술된 스크린(40)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걸림봉(43)을 압축스프링(431)으로 구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형상을 복원할 수 있다.
둘째: 각 걸림봉(43)이 개별적으로 지지판(41)의 너트(42)에 체결됨으로써, 교체가 용이하다.
셋째: 상기 걸림봉(43)은 외피(433)가 외장되어 이물질이 압축스프링(431)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개폐수단 11: 프레임 111: 제1센서
112: 제2센서 113: 체결구
114: 너트 12: 개폐판
121: 감지바 122: 관통구
20: 우수토실 21: 제3센서 22: 제1배수구
23: 제2배수구 24: 제1연결관
25: 제2연결관 26: 단턱
261: 체결볼트
30: LED전광판 31: 제1LED 32: 제2LED
33: 제3LED
40: 스크린 41: 지지판 411: 경사면
42: 너트 43: 걸림봉
431: 압축스프링 432: 나사봉
433: 외피
V: 체크밸브
100: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Claims (9)

  1. 배수로, 하수로, 암거, 관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형성된 우수토실에 설치되는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20)에 고정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12)을 갖는 개폐수단(10);
    상기 프레임(11)에 고정되어 개폐판(12)의 닫침 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111);
    상기 프레임(11)에 고정되어 개폐판(12)의 개방 정도를 감지하는 제2센서(112);
    상기 제2센서(112)의 의해 개폐판(12)의 개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판(12)의 저면에 결합되는 감지바(121);
    상기 우수토실(20)의 내부 수위를 측정하는 제3센서(21);
    상기 각 센서(111,11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우수토실(20) 내부 수위와, 개폐판(12)의 닫침 상태 및 개폐판(12)의 개방 정도가 표시되는 알림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10)의 상류측에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설치되는 스크린(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알림수단은 LED전광판(30)으로 구성되고,
    상기 LED전광판(30)은 제1센서(111)에 의해 개폐판(12)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제1LED(31)와, 제2센서(112)에 의해 개폐판(12)의 개방정도를 나타내는 제2LED(32)와, 제3센서(21)에 의해 우수토실(20)의 내부수위를 나타내는 제3LED(33)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바(121)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구(122)가 형성되어 제2센서(112)가 개폐판(12)의 개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40)은 경사면(411)을 갖는 지지판(41)과, 상기 경사면(411)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된 너트(42)와, 상기 너트(42)에 체결되는 다수의 걸림봉(43)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봉(43)은 압축스프링(431)과, 일단은 상기 압축스프링(431)의 타단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너트(42)에 체결되는 나사봉(432)과, 상기 압축스프링(431)에 외장되는 외피(4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20)은 하부에 형성되어 집수되는 하수와 초기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배수구(22)와, 상기 제1배수구(22)가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경우, 상기 우수토실(2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하수와 초기우수를 유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수구(23)를 포함하되,
    상기 제3센서(21)는 상기 제1배수구(22)의 형성 위치 보다 더 높은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구(22)와 상기 제2배수구(23)는 차집관거와 연결되는 제1연결관(24)과 제2연결관(25)이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관(24) 및 제2연결관(25)에는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V)가 결합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바(121)는 개폐판(12)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커브진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20)은 개폐수단(10)을 안착시키기 위한 단턱(26)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26)에는 체결볼트(261)가 고정되어 개폐수단(10)을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KR1020150013484A 2015-01-28 2015-01-28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KR101756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484A KR101756520B1 (ko) 2015-01-28 2015-01-28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484A KR101756520B1 (ko) 2015-01-28 2015-01-28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734A KR20160092734A (ko) 2016-08-05
KR101756520B1 true KR101756520B1 (ko) 2017-07-10

Family

ID=5671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484A KR101756520B1 (ko) 2015-01-28 2015-01-28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5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059B1 (ko) * 2018-04-23 2019-07-10 김현숙 우수토실용 벽체 플레이트 조립체
KR102060724B1 (ko) * 2018-04-17 2019-12-30 김범주 하수관거용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KR102223776B1 (ko) 2020-08-14 2021-03-05 김현숙 기울기 센서가 내장된 하수로 스크린용 탄성 걸림봉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알림기능을 갖는 하수로용 스크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6445A (zh) * 2017-12-26 2018-07-24 福建工程学院 一种道路排水装置及其排水方法
KR102101091B1 (ko) * 2018-10-08 2020-04-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경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532B1 (ko) * 2012-12-13 2013-04-11 (주)한국융합아이티 하수관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1333045B1 (ko) * 2013-07-15 2013-11-26 황동언 무동력 스크린장치
KR101390111B1 (ko) * 2013-11-22 2014-04-29 전상훈 수위 및 수질측정 겸용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532B1 (ko) * 2012-12-13 2013-04-11 (주)한국융합아이티 하수관거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1333045B1 (ko) * 2013-07-15 2013-11-26 황동언 무동력 스크린장치
KR101390111B1 (ko) * 2013-11-22 2014-04-29 전상훈 수위 및 수질측정 겸용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724B1 (ko) * 2018-04-17 2019-12-30 김범주 하수관거용 유량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KR101999059B1 (ko) * 2018-04-23 2019-07-10 김현숙 우수토실용 벽체 플레이트 조립체
KR102223776B1 (ko) 2020-08-14 2021-03-05 김현숙 기울기 센서가 내장된 하수로 스크린용 탄성 걸림봉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알림기능을 갖는 하수로용 스크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734A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520B1 (ko)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US10535246B2 (en) Sewer alarm apparatus having a probe
US8308937B2 (en) Grey water diversion system
KR101010391B1 (ko) 강우 감지를 이용한 우수 처리 및 사용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190379B1 (ko) 진공변기시스템의 자동배출장치
US6889395B1 (en) Flush reservoir
AU2002100710B4 (en) Greywater diversion vessell assembly
KR100959373B1 (ko) 상수도관의 이물질 배출장치
KR101359397B1 (ko) 센서형 강우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0605037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557401B1 (ko)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
KR20060095233A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US11549250B1 (en) Freshwater conservation drain system
CN207812635U (zh) 一种基于专用生活污水处理的防返气装置
AU2011101115A4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luid back-up
US20140251460A1 (en) Wastewater Overflow Prevention System
CN104594479A (zh) 真空便器系统的自动排出装置
KR100518684B1 (ko) 하수 맨홀에서의 하수 시료 자동 채취 장치
CN209397009U (zh) 一种温控式隔油装置
CN207331917U (zh) 一种市政道路排水装置
KR101784398B1 (ko) 배관용 역류방지장치
EP3204562A1 (en) Assembly of a sewer and a sewer blockage detection system
JP2007321546A (ja) 受水槽異常監視装置
CN103028286B (zh) 一种防堵过滤装置
JP2014119111A (ja) 排水用低位通気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