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565B1 -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565B1
KR101007565B1 KR1020100061042A KR20100061042A KR101007565B1 KR 101007565 B1 KR101007565 B1 KR 101007565B1 KR 1020100061042 A KR1020100061042 A KR 1020100061042A KR 20100061042 A KR20100061042 A KR 20100061042A KR 101007565 B1 KR101007565 B1 KR 101007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ump
motor pump
unit
submersib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석
Original Assignee
제이엠아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아이 (주) filed Critical 제이엠아이 (주)
Priority to KR102010006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77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88Test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09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F04D15/0218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the condition being a liquid level or a lack of liquid supply
    • F04D15/0236Lack of liquid level being detected by analysing the parameters of the electric drive, e.g. current or power consum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45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모터펌프의 운전 상태 및 이상 상태를 측정하여 모니터링 및 분석, 기록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중모터펌프의 이상 감지 센서 온도, 진동, 누수, 전압, 전류 등의 기계적, 전기적 상태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이를 모니터링 및 분석, 그리고 기록할 수 있는 장치로서, 기계적, 전기적 운용상황 자동 기록 및 이상 현상을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실시간 운전기록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수중모터펌프의 운전기록에 대한 자동 저장관리를 통하여 여러가지 이상을 분석할 수 있고, 운전으로 발생하는 기계적, 전기적 이상현상의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기기고장으로 인한 비용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한편, 수중모터펌프의 운전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기존의 빈 공간을 활용한 수중모터펌프의 헤드부 등에 장치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또 수중모터펌프의 이상 발생원인을 파악한 후에 쉽고 빠르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Auto recording device for submerged motor pump}
본 발명은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모터펌프의 운전 상태 및 이상 상태를 측정하여 모니터링 및 분석, 기록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모터펌프는 대용량의 하수처리장, 농업관개용, 빗물 배수 펌프장, 취수장, 토목건축 공사현장 배수장, 공장잡용수 배수용, 냉각수 공급용, 지하철 공사장, 터널 공사장 등에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중모터펌프는 사용의 편리성, 유지관리비 절감, 초기투자비 절감, 침수피해시 피해비용 절감 등의 이유로 점차적으로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수중모터펌프는 수중에 설치되어 유체를 흡입한 후, 강제 유동시키는 장치로서, 상측으로부터 모터 케이싱, 오일 챔버, 임펠러 케이싱 등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 케이싱 내에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 챔버 내에는 모터로부터 임펠러 케이싱 내로 연결되는 모터의 축이 통과하며, 상기 임펠러 케이싱 내에는 모터의 축과 연결되는 임펠러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수중모터펌프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임펠러를 회전시켜서 케이싱의 흡입구를 통해 유체를 흡입한 후,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면서 유체 강제 유동방식으로 운영된다.
보통 수중모터펌프에는 운전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갖추어져 있는데, 기존에는 수중모터펌프의 기동장치에 설치되는 경보장치 정도가 대부분이고, 단지 경보출력 기능만 수행할 수 있는 관계로 수중모터펌프의 정상적인 운전 상태는 물론 이상발생 상태 등과 같은 전반적인 운영상황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수중모터펌프의 운전 상태 등에 대한 기존의 측정 및 기록방법은 직접적으로 모터 유니트를 구비하여, 온도나 누수의 상태를 육안으로 보고 기록하는 수준의 기록방법이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에 원인을 규명하는 불편한 점이 많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수중모터펌프의 이상 감지 센서 온도, 진동, 누수, 전압, 전류 등의 기계적, 전기적 상태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이를 모니터링 및 분석, 그리고 기록할 수 있는 장치로서, 기계적, 전기적 운용상황 자동 기록 및 이상 현상을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실시간 운전기록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수중모터펌프의 운전기록에 대한 자동 저장관리를 통하여 여러가지 이상을 분석할 수 있고, 운전으로 발생하는 기계적, 전기적 이상현상의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기기고장으로 인한 비용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중모터펌프의 운전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기존의 빈 공간을 활용한 수중모터펌프의 헤드부 등에 장치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또 수중모터펌프의 이상 발생원인을 파악한 후에 쉽고 빠르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는 펌프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센서류의 입력과 운용표시 및 경보출력장치측과의 통신 출력을 위한 입출력 단자가 갖추어져 있고,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터미널 보드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설치되는 운전기록 유니트와, 상기 챔버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운전기록 유니트측과 연결되며, 전원 공급과 센서류의 신호를 입력을 위한 전원 및 센서 케이블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운전기록 유니트의 내부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앙 처리장치인 마이크로 프로세서, 센서류의 신호를 입력받는 감지센서 입력부, 센서류의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운전기록 자료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전원 제어를 위한 전원 제어부, 운용표시 및 경보출력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출력부 등이 구비되어 있어서, 수중모터펌프의 운전상태 및 이상발생을 규명하기 위해 온도, 진동, 누수, 전압, 전류 등의 기계적 및 전기적 상태를 측정하여, 이를 모니터링 및 분석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운전기록 유니트측에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류는 펌프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 펌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 펌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펌프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 펌프의 진동 및 기울기를 측정하는 진동 및 기울기센서, 펌프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회전방향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수중모터펌프의 운전기록을 자동으로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운전 중 발생하는 기계적 및 전기적 이상현상, 예를 들면 진동발생으로 인한 파손, 전기적 이상운전, 누수 및 온도 등의 이상 요소들의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기기 고장으로 인한 비용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수중모터펌프의 운영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자동 운전기록장치를 수중모터펌프 내부에 설치하여 운용하고, 기동제어반 등의 외부기기와는 RS485 통신을 통하여 운용기록 관리 및 경보 출력을 실행함으로써, 기존의 제어방식인 외부 제어설비의 센서케이블(15가닥 이상)이 필요하지 않고, 단지 전원 및 통신을 위한 4가닥의 제어선만으로 모든 운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케이블 비용 등의 절감이 가능하다.
셋째, 자동 운전기록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손쉽게 수중모터펌프의 이상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빠르게 쉽게 조치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운전기록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운전기록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운전기록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운전기록장치에서 진동 및 기울기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운전기록장치에서 회전방향 감지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운전기록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운전기록장치는 실시간으로 자료를 저장할 수 있고, 이상 발생시 경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자체 운전기록, 통신 및 분석수단, 그리고 메모리수단 등이 갖추어져 있어서, 기기의 고장 및 이상의 원인을 파악하여 수리 및 원인 규명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펌프 본체(10)의 상부에는 밀폐형의 챔버(11)가 마련되고, 상기 챔버(11)의 내부에는 터미널 보드(14)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운전기록 유니트(15)가 설치된다.
상기 운전기록 유니트(15)는 수중모터펌프의 운전을 실시간으로 기록 및 분석하는 수단으로서, 일측에는 외부기기, 예를 들면 운용표시 및 경보출력장치(12)측과의 통신 출력을 위한 다수의 입출력 단자(13)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의 전원장치 제어, 센서의 신호변환, 중앙처리장치, 운전기록 저장, 통신장치 등이 외부의 진동, 누수, 과열, 충격 등에 견딜 수 있도록 몰딩 처리된 후에 금속 케이스로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운전기록 유니트(15)의 내부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7), 감지센서 입력부(18), 신호 변환부(19), 메모리부(20), 전원 제어부(21), 통신 출력부(22) 등이 구비되며, 이에 따라 수중모터펌프의 운전기록을 자동으로 저장관리 및 분석, 그리고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7)는 8Bit 프로세서로서, 아나로그 입력, 디지털 입출력과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20Mhz의 발진 주파수를 클럭으로 사용한다.
상기 감지센서 입력부(18)는 전압, 전류, 진동, 온도, 누수 등의 신호를 센서류로부터 받는다.
상기 신호 변환부(19)는 입력받은 센서의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7)가 처리하기에 앞서 아나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메모리부(20)는 운전 중인 수중모터펌프의 운전 내용을 비 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하여 날짜 별로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상기 전원 제어부(21)는 DC 24V를 입력받아 DC 12 & 5V로 변환을 담당한다.
상기 통신 출력부(22)는 PC 등과 같은 외부기기나 운용표시 및 경보출력장치(12)측과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통신수단이며, 속도는 19,200bps 정도가 적당하다.
여기서, 상기 운전기록 유니트(15)의 통신 출력부(22)는 운용표시 및 경보출력장치(12)와 RS485 통신으로 각종 신호를 주고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기기로서, 운용표시 및 경보출력장치(12)는 기동장치 또는 제어반에 설치되며, 실시간 및 저장운용 기록을 표시하고, 경보출력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의 운용표시 및 경보출력장치(12)는 정밀분석 등이 필요한 경우에 분석용 소프트웨어와 연계하여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제어부(21)의 ON 상태에서 외부의 센서류로부터 감지되는 신호가 감지센서 입력부(18)에 입력되면, 이때의 입력부(18)의 입력되는 신호는 신호 변환부(19)에 의해 아나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이렇게 변환된 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7)에서 분석 및 처리되고, 이와 같이 처리된 처리결과는 메모리부(20)에 저장되고, 또 통신 출력부(22)의 통신을 통해 운용표시 및 경보출력장치(12)에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7)에서의 분석 및 처리는 센서류로부터 제공되는 온도, 진동, 누수, 전압, 전류 등의 상태를 기초로 하여 내장되어 있는 제어로직을 통해 수중모터펌프의 운전상태나 이상발생 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운전기록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운전기록장치의 본체에 해당하는 운전기록 유니트(15)의 기밀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개폐가능한 밀폐형의 챔버(11)가 마련되고, 이때의 챔버(11)는 펌프 본체(10)의 상부에 일체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운전기록 유니트(15)는 챔버(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터미널 보드(14)상에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터미널 보드(14)는 운전기록 유니트(15)의 설치를 위하여 제작된 보드로서, 여기에 운전기록 유니트(15) 뿐만 아니라 기타 수중모터펌프의 전원단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11)의 상부 일측에는 전원선을 비롯하여 센서류로부터 연장되는 각종 케이블을 챔버 내부의 운전기록 유니트(15)측으로 끌어오기 위한 전원 및 센서 케이블(16)이 설치되며, 이때의 전원 및 센서 케이블(16)은 공지의 수밀용 커넥터 등과 같은 케이블 홀더(30)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의 전원 및 센서 케이블(16)은 수중용 절연전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전원 및 센서 케이블(16)이 도입되는 챔버측 관통부위, 즉 케이블 홀더(30)가 설치되는 부위는 기밀구조로 이루어져 주변의 물이 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 및 센서 케이블(16)측에서 연장되는 제어선들은 운전기록 유니트(15)의 입출력 단자(13)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9는 점검이나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챔버(11)를 포함하는 펌프 본체(10) 전체를 인양할 때 사용되는 인양고리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수중모터펌프의 기계적, 전기적 운용상황 자동기록 및 분석, 이상 현상의 파악 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류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전원, 전압, 전류, 온도, 누수, 진동 등의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전압센서(23), 전류센서(24), 온도센서(25), 누수감지센서(24), 진동 및 기울기센서(27) 등과 같은 여러 센서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압센서(23)는 수중모터펌프(전동기)의 입력전압 3상의 R/S/T의 전압을 측정하고, 결상, 과전압, 저전압 등의 요소를 운전기록 유니트(15)측에 제공하여 이를 저장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전압측정의 범위는 0∼380V이며, 그 외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계기용 변성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류센서(24)는 운전 중에 수중모터펌프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3상의 전류를 측정한다.
측정방법으로는 계기용 변류기, 일명 CT를 사용하여 흐르는 전류를 100:5, 200:5 등의 변류비를 가진 변류기를 수중모터펌프 내부의 인입 전선이 통과하는 구조로 설치한다.
이에 따라, 전류센서(24)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통해 수중모터펌프의 정격전류, 기동전류 등을 측정 기록하고, 이상전류 감시와 경보출력을 한다.
상기 온도센서(25)로는 두가지의 센서가 사용되는데, 먼저 수중모터펌프 권선온도센서로서, 수중모터펌프의 전동기 권선 R/S/T에 삽입하여 전동기 운전시 발생하는 권선온도를 측정 및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동기의 절연등급에 대응하는 온도에 따라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운전기록 유니트(15)측을 통해 경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동기의 베어링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센서를 베어링 하우징에 설치하여 운전시 베어링의 온도를 측정하고, 부하의 변동 및 베어링 이상발생 등을 감지하여 운전기록 유니트(15)측을 통해 경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의 모든 온도는 PT100Ω 온도감지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상기 누수감지센서(26)는 전동기 내부 또는 정션박스(헤드커버)에 유입되는 토출액의 유무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플로트 타입의 접점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및 기울기센서(27)는 수중모터펌프의 진동 및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진동과 기울기의 크기를 측정한 후, 이때의 측정신호를 운전기록 유니트(15)측에 제공하게 되면, 기준값에 따른 경보설정을 통해 경보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및 기울기센서(27)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이루어진 센서 브라켓(27a)과, 상기 센서 브라켓(27a)의 수직부재 한쪽면에 설치되는 센서(27b)로 구성되며, 전동기의 상부 정션박스에 설치된다.
진동의 기록 및 관리는 기계적 요소(베어링, 임펠러, 밸런싱 불량 등)의 이상 유무판단에 중요한 요소들이다.
센서의 종류로는 가속도센서를 사용하고, 센서는 기울기를 측정하는 경사센서와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로 구분되어진다(경사방향 X,Y축, 진동크기 5G)
기울기센서는 펌프의 설치에 관한 것으로 펌프의 설치 정도를 0∼90°까지 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감지하여 운전기록 유니트(15)측을 통해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향센서(28)는 수중모터펌프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링 모양으로 이루어져 펌프의 축 둘레에 설치되는 센서 브라켓(29)과, 이 센서 브라켓(29)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그 감지부분이 축 중심을 향해 있는 복수 개의 센서부(30)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회전방향센서(28)는 펌프 축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역회전시 발생하는 기계적 이상으로부터 펌프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센서의 종류는 고주파발진형 근접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4개의 센서를 90°간격으로 배치한 후에 이를 펌프의 상부 축 또는 하부 축에 근접설치할 수 있다.
이때, 검출거리는 4mm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류로부터 감지되는 신호, 즉 펌프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23), 펌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24), 펌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5), 펌프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26), 펌프의 진동 및 기울기를 측정하는 진동 및 기울기 센서(27), 펌프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회전방향센서(28) 등으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들은 운전기록 유니트(15)의 감지센서 입력부(18)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17)로 입력되어, 수중모터펌프의 실시간 운전상태나 이상발생 상태를 기록, 분석 처리하는데 기본 데이터로 쓰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에 따르면, 수중모터펌프의 운전과 관련된 이상현상의 원인 분석이 용이하고, 저렴하고 간편한 설치로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수중모터펌프와 본 발명의 장치의 결합으로 보다 혁신적인 관리기능을 창조할 수 있고, 이상을 정확하게 판단, 제거할 수 있어 유지관리 비용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수중모터펌프의 고장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재해로부터 수중모터펌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이상 발생시 조기 경보출력으로 장치의 내부 및 내부 보호가 가능하며, 수중모터펌프의 운전상태 경향관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10 : 펌프 본체 11 : 챔버
12 : 운용표시 및 경보출력장치 13 : 입출력 단자
14 : 터미널 보드 15 : 운전기록 유니트
16 : 전원 및 센서 케이블 17 : 마이크로 프로세서
18 : 감지센서 입력부 19 : 신호 변환부
20 : 메모리부 21 : 전원 제어부
22 : 통신 출력부 23 : 전압센서
24 : 전류센서 25 : 온도센서
26 : 누수감지센서 27 : 진동 및 기울기센서
28 : 회전방향센서 29 : 인양고리
30 : 케이블 홀더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펌프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챔버(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센서류의 입력과 운용표시 및 경보출력장치(12)측과의 통신 출력을 위한 입출력 단자(13)가 갖추어져 있고, 챔버(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터미널 보드(14)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설치되는 운전기록 유니트(15);
    상기 챔버(11)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운전기록 유니트(15)측과 연결되며, 전원 공급과 센서류의 신호를 입력을 위한 전원 및 센서 케이블(16);
    을 포함하며, 상기 운전기록 유니트(15)의 내부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앙 처리장치인 마이크로 프로세서(17), 센서류의 신호를 입력받는 감지센서 입력부(18), 센서류의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19), 운전기록 자료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0), 전원 제어를 위한 전원 제어부(21), 운용표시 및 경보출력장치(12)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출력부(22)가 구비되는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기록 유니트(15)측에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류는 펌프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23), 펌프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24), 펌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5), 펌프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26), 펌프의 진동 및 기울기를 측정하는 진동 및 기울기센서(27), 펌프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회전방향센서(28)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향센서(28)는 원형의 링 모양으로 이루어져 펌프의 축 둘레에 설치되는 센서 브라켓(28a)과, 상기 센서 브라켓(28a)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그 감지부분이 축 중심을 향해 있는 복수 개의 센서부(28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
KR1020100061042A 2010-06-28 2010-06-28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 KR101007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042A KR101007565B1 (ko) 2010-06-28 2010-06-28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042A KR101007565B1 (ko) 2010-06-28 2010-06-28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565B1 true KR101007565B1 (ko) 2011-01-14

Family

ID=4361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042A KR101007565B1 (ko) 2010-06-28 2010-06-28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5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478B1 (ko) * 2015-04-16 2015-12-17 사회복지법인 서진 자체 검출정보저장구조를 갖는 스마트 펌프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64513A (ko) * 2014-11-28 2016-06-08 (주)아륙전기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KR101671422B1 (ko) * 2015-04-24 2016-11-01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수중 내압용기 및 그 운용방법
KR102051128B1 (ko) * 2019-10-04 2019-12-02 주식회사 제이에스엔지니어링 수중 펌프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0248A (ja) * 1994-10-12 1996-04-30 Chubu Plant Service:Kk 発電所用機器の温度・振動自動測定装置
JP2006219988A (ja) * 2005-02-08 2006-08-24 Ebara Corp ポンプ装置及びポンプ装置用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0248A (ja) * 1994-10-12 1996-04-30 Chubu Plant Service:Kk 発電所用機器の温度・振動自動測定装置
JP2006219988A (ja) * 2005-02-08 2006-08-24 Ebara Corp ポンプ装置及びポンプ装置用携帯端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513A (ko) * 2014-11-28 2016-06-08 (주)아륙전기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KR101682226B1 (ko) * 2014-11-28 2016-12-02 (주)아륙전기 오배수펌프 패키지 시스템
KR101578478B1 (ko) * 2015-04-16 2015-12-17 사회복지법인 서진 자체 검출정보저장구조를 갖는 스마트 펌프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71422B1 (ko) * 2015-04-24 2016-11-01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수중 내압용기 및 그 운용방법
KR102051128B1 (ko) * 2019-10-04 2019-12-02 주식회사 제이에스엔지니어링 수중 펌프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1602A (ko) 수중펌프 제어시스템
KR101007565B1 (ko) 수중모터펌프의 자동 운전기록장치
KR102040176B1 (ko) 스마트 감시제어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펌프
KR102111331B1 (ko)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KR102109337B1 (ko) 수중 모터 펌프의 지상 모니터링 시스템
JPH07288993A (ja) 回転電機のオンライン診断システム
KR102208830B1 (ko) 모터펌프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578478B1 (ko) 자체 검출정보저장구조를 갖는 스마트 펌프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N110079811B (zh) 一种油水井管柱井下阴极保护和腐蚀在线监测装置及方法
KR102112558B1 (ko) 스마트 감시제어형 펌프수문
US9222477B2 (en) Method and system of submersible pump and motor performance testing
CN210949183U (zh) 一种深井泵检测装置
US20120257995A1 (en) Submersible pump and motor rotation indication circuit
JP4637614B2 (ja) 水中ポンプオイル監視装置
CN103850274B (zh) 风力发电机组的基础的质量检测方法及装置
JP2009264190A (ja) 水中ポンプ用制御盤及びその制御方法
CN114534382B (zh) 故障检查方法、装置、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991671A (zh) 一种水利泵站巡检系统及巡检方法
KR20040106078A (ko) 빗물펌프장용 온라인 감시시스템
CN217029336U (zh) 一种采集头可延伸的潜水泵
JP3213159U (ja) 水中ポンプ
KR102059898B1 (ko) 스마트 감시제어형 펌프수문
JP7316871B2 (ja) 管理データ取得方法、ポンプ装置の状態評価方法及びポンプ装置
CN106089756B (zh) 潜水泵控制装置
CN220912364U (zh) 一种可视化深井泵电机用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