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276U -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276U
KR20180001276U KR2020160006209U KR20160006209U KR20180001276U KR 20180001276 U KR20180001276 U KR 20180001276U KR 2020160006209 U KR2020160006209 U KR 2020160006209U KR 20160006209 U KR20160006209 U KR 20160006209U KR 20180001276 U KR20180001276 U KR 201800012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flame
temperature
sensor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범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276U/ko
Publication of KR20180001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1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 B01D46/0093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against fire or expl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8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처리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불꽃을 감지하기 위하여 집진장치 입구에 설치되는 불꽃 감지 센서(110)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집진장치 입구에 설치되는 온도 감지 센서(120)와; 상기 불꽃 감지 센서(110)에서 불꽃을 감지하거나 상기 온도 감지 센서(120)에서 설정치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 작동하는 릴레이(130)와; 상기 릴레이(130)의 작동시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보기(140)와; 상기 릴레이(130)의 작동시 작동을 중지하는 팬(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집진장치 입구에서 불꽃을 감지하거나 설정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어 화재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작업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집진장치의 팬 가동을 중지시킴으로써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하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현이 필요없이 센서, 릴레이, 경보기 등을 이용하여 하드웨어로 간단히 구현 가능하다.

Description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Rubber dust collector with fire suppression system}
본 고안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처리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처리 작업시 많은 양의 분진이 발생되어 이러한 분진을 포집하기 위하여 이동형 집진장치가 사용되는데, 사용 중 집진장치 내부로 불꽃이 유입되어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형 집진장치 내부에 불꽃이 유입되어 화재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확산을 막기 위해 내부로 바람을 불어 넣는 팬의 가동을 중지시켜야 한다.
한편, 종래 화재 감시 시스템(특허문헌 3 참조)은 구역 별로 다수 개가 설치된 영상촬영장치에서 영상을 수집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 구역의 화재 감지 장치를 구동하여, 화재 상황을 신속하고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화재 감시 시스템은 화재 발생시 집진장치 팬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기능이 없고 이러한 기능을 포함한 여러 기능들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종래 관련 분야 특허 기술로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카트리지 필터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과, 상기 팬을 가동시키기 위한 팬모터 및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흄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측에 설치되어 온도센서에 의해 흡입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흡기온도 측정부와; 상기 배출구측에 설치되어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필터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기온도 측정부와; 상기 흡기온도 측정부로부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 배기온도 측정부로부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각각 전송받고, 각각 감지된 온도차를 화재발생 감지에 대한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화재발생 감지에 대한 설정온도보다 이상일 경우, 상기 흄 집진기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흄 집진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연삭 또는 절단장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집진장치에 연결되어 연삭 또는 절단장치에서 발생된 분진을 집진장치로 이송시키는 집진관; 상기 집진관 및 집진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집진관의 내부 온도를 모니터링하도록 복수개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집진관의 외부에 설치되는 메인제어부;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방수를 집진관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상기 집진관 및 집진장치의 내부에 복수개 설치되는 소방수 분사노즐; 상기 복수개의 소방수 분사노즐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복수의 소방수 분사노즐로 동시에 소방수가 공급되도록 소화전에 연결된 급수관으로부터 소방수를 공급받는 소방수 분배관;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어 소방수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집진관에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분진의 퇴적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분진퇴적감지센서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분진퇴적감지센서에 전달된 신호를 파악하여 분진퇴적량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급수관의 개폐밸브를 제어하여 소방수 공급을 통해 퇴적된 분진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진퇴적모니터링부와, 상기 복수개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집진관의 내부 온도가 표시되고 설정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된 경우 급수용 개폐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온도모니터링부와, 상기 온도모니터링부와 분진퇴적모니터링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소방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소방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화재 감시 지역을 영상 촬영 후 움직임 감지 분석으로 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감시부, 상기 영상감지부의 불꽃 발생 판단 정보에 따라 화재 감지 장치를 제어하고, 화재 상황 발생을 감시하는 화재감시제어부 및 상기 화재감지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 요소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 상황을 판단하는 화재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국내공개특허 10-2013-0125256 국내공개특허 10-2015-0113322 국내공개특허 10-2013-0118680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불꽃을 감지하거나 설정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어 화재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작업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집진장치의 팬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는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전처리는, 불꽃을 감지하기 위하여 집진장치 입구에 설치되는 불꽃 감지 센서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집진장치 입구에 설치되는 온도 감지 센서와; 상기 불꽃 감지 센서에서 불꽃을 감지하거나 상기 온도 감지 센서에서 설정치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 작동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작동시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보기와; 상기 릴레이의 작동시 작동을 중지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불꽃 감지 센서는 조도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불꽃 감지 센서와 릴레이의 사이에는 무접점 릴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AC-DC 컨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의 작동에 따른 경보기(140)의 작동이나 팬의 작동 중지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집진장치 입구에서 불꽃을 감지하거나 설정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어 화재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작업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집진장치의 팬 가동을 중지시킴으로써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하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현이 필요없이 센서, 릴레이, 경보기 등을 이용하여 하드웨어로 간단히 구현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방지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불꽃 감지 센서의 실예.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의 실예.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접점 릴레이의 실예.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경보기의 실예.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AC-DC 컨버터의 실예.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 제어패널의 실예.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의 실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방지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불꽃 감지 센서의 실예,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의 실예,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접점 릴레이의 실예,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경보기의 실예,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AC-DC 컨버터의 실예,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재감지장치 제어패널의 실예,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장치의 실예이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는, 집진장치 입구에서 불꽃을 감지하거나 설정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어 화재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작업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집진장치의 팬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100)는 전처리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장치로서, 불꽃 감지 센서(110), 온도 감지 센서(120), 릴레이(130), 경보기(140), 팬(150), AC-DC 컨버터(162) 및 스위치(17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불꽃 감지 센서(110)는 불꽃을 감지하기 위하여 집진장치 입구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불꽃 감지 센서(110)로는 조도 센서(CdS)를 적용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빛의 세기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소자인데, 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 센서의 저항은 226kΩ 정도이고 사무실과 같은 밝기에서는 센서의 저항이 1kΩ 정도이다.
상기 온도 감지 센서(120)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집진장치 입구에 설치된다. 즉, 불꽃이나 화재 등으로 온도가 설정치 이상이 되는 경우에 감지한다.
상기 릴레이(130)는 상기 불꽃 감지 센서(110)에서 불꽃을 감지하거나 상기 온도 감지 센서(120)에서 설정치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 작동한다. 이때, 상기 불꽃 감지 센서(110)와 릴레이(130)의 사이에는 무접점 릴레이(132 :SSR(Solid State Relay))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불꽃 감지 센서(110)의 신호가 무접점 릴레이(132)에 입력되고, 무접점 릴레이(132)의 출력 신호가 릴레이(130)에 입력된다.
부연하자면, 불꽃 감지 센서(110)는 DC 24V에 연결되고 빛의 세기에 따라 0.1mA ~ 24mA가 흐르는데 이 전류가 너무 약해서 직접 릴레이(130)를 구동할 수 없기 때문에 무접점 릴레이(132)를 사용하는 것이다. 무접점 릴레이(132)는 입력 측과 출력 측을 광반도체로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있다. 발광 측에는 적외광의 발광 다이오드를, 수광 측은 실리콘계 포토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위치를 닫았을 때는 입력 측에 소요 전류를 흘려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킨다. 출력 측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을 받아 트랜지스터가 작용하여 미소한 발광 입력이 있어도 그것을 증폭해서 출력 측 회로가 닫혀 스위치는 OFF가 된다.
한편, 상기 경보기(140)는 상기 릴레이(130)의 작동시 소정의 경고음을 발생한다.
상기 팬(150)은 상기 릴레이(130)의 작동시 작동을 중지한다. 즉, 집진장치 입구에서 불꽃을 감지하거나 설정치 이상의 온도가 되어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릴레이(130)의 작동에 따라 팬(150)을 중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AC-DC 컨버터(162)는 전원 공급원(160)으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치(170)는 릴레이(130)의 작동에 따른 경보기(140)의 작동이나 팬(150)의 작동 중지 상태를 해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불꽃 감지 센서(110)와 온도 감지 센서(120)의 신호는 래치 기능이 있어, 불꽃이 감지되거나 설정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고 사라지더라도 경보기(140)가 소정의 경고음을 발생하고 팬(150)이 작동을 중지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스위치(170)를 누르게 되면 경보기(140)의 작동이나 팬(150)의 작동 중지 상태를 원래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를 전처리 작업에 따른 분진을 포집하기 위하여 사용하게 되면, 집진장치 입구에서 불꽃을 감지하거나 설정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어 화재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작업자에게 즉시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집진장치의 팬 가동을 중지시킴으로써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현이 필요없이 센서, 릴레이 및 경보기 등을 이용하여 하드웨어로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를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집진장치 110 : 불꽃 감지 센서
120 : 온도 감지 센서 130 : 릴레이
132 : 무접점 릴레이 140 : 경보기
150 : 팬 160 : 전원 공급원
162 : AC-DC 컨버터 170 : 스위치

Claims (5)

  1. 전처리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장치(100)로서,
    불꽃을 감지하기 위하여 집진장치 입구에 설치되는 불꽃 감지 센서(110)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집진장치 입구에 설치되는 온도 감지 센서(120)와;
    상기 불꽃 감지 센서(110)에서 불꽃을 감지하거나 상기 온도 감지 센서(120)에서 설정치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 작동하는 릴레이(130)와;
    상기 릴레이(130)의 작동시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보기(140)와;
    상기 릴레이(130)의 작동시 작동을 중지하는 팬(150)을 포함하는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꽃 감지 센서(110)는 조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꽃 감지 센서(110)와 릴레이(130)의 사이에는 무접점 릴레이(13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 공급원(160)으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AC-DC 컨버터(16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130)의 작동에 따른 경보기(140)의 작동이나 팬(150)의 작동 중지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스위치(17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KR2020160006209U 2016-10-26 2016-10-26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KR201800012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09U KR20180001276U (ko) 2016-10-26 2016-10-26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09U KR20180001276U (ko) 2016-10-26 2016-10-26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76U true KR20180001276U (ko) 2018-05-04

Family

ID=6216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209U KR20180001276U (ko) 2016-10-26 2016-10-26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27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149B1 (ko) * 2019-08-06 2020-02-06 (주)피티더블유스틸솔루션 화재 방지 기능을 갖는 그라인더용 집진장치
KR20210106137A (ko)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오무전기 집진기용 화재방지 및 소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680A (ko) 2012-04-20 2013-10-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재 감시 시스템
KR20130125256A (ko)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청호씨에이 화재감지 흄 집진기
KR20150113322A (ko) 2014-03-27 2015-10-08 (주)대호산업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680A (ko) 2012-04-20 2013-10-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재 감시 시스템
KR20130125256A (ko)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청호씨에이 화재감지 흄 집진기
KR20150113322A (ko) 2014-03-27 2015-10-08 (주)대호산업 집진장치용 화재예방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149B1 (ko) * 2019-08-06 2020-02-06 (주)피티더블유스틸솔루션 화재 방지 기능을 갖는 그라인더용 집진장치
KR20210106137A (ko)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오무전기 집진기용 화재방지 및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0766B2 (en) Ambient condition detector with multi-function test
CA2169702C (en) Exhaust hood apparatus
US6170480B1 (en) Commercial kitchen exhaust system
KR100988386B1 (ko) 화재 감지기의 분진 제거장치
KR101864612B1 (ko) 자동 환기 시스템과 연동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KR100892662B1 (ko) 단독형 화재연기 감지기
CN104110869A (zh) 一种具有ch4、co、着火监测装置及报警功能的燃气热水器
US20210192913A1 (en) Point detector for fire alarm system
US8346500B2 (en) Self check-type flame detector
KR20180001276U (ko)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US1188997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uction device and suction device
CN105013121A (zh) 一种机架式自动检测灭火系统
JP2008108140A (ja) 煙感知装置
US20150253793A1 (en) Appliance Shut-Off Device
JP2019070992A (ja) 火災警報装置
KR101021058B1 (ko) 자가진단형 불꽃감지기
JP2008082710A (ja) 煙感知装置
JP2004202005A (ja) レーザ加工機用集塵装置及びその防火・消火方法
KR100981849B1 (ko)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KR20160084012A (ko) 화재방재장치
KR101122097B1 (ko) 가스 누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69889B2 (ja) 煙感知装置
KR20200008228A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JP2008097518A (ja) 粒子カウンタ式煙感知装置
KR100920067B1 (ko) 자가진단형 불꽃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