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680A - 화재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18680A KR20130118680A KR1020120041775A KR20120041775A KR20130118680A KR 20130118680 A KR20130118680 A KR 20130118680A KR 1020120041775 A KR1020120041775 A KR 1020120041775A KR 20120041775 A KR20120041775 A KR 20120041775A KR 20130118680 A KR20130118680 A KR 201301186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unit
- flame
- image
- occurren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78 Seebeck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역 별로 다수 개가 설치된 영상촬영장치에서 영상을 수집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 구역의 화재 감지 장치를 구동하여, 화재 상황을 신속하고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은 화재 감시 지역을 영상 촬영 후 움직임 감지 분석으로 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감시부, 상기 영상감지부의 불꽃 발생 판단 정보에 따라 화재 감지 장치를 제어하고, 화재 상황 발생을 감시하는 화재감시제어부 및 상기 화재감지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 요소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 상황을 판단하는 화재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역 별로 다수 개가 설치된 영상촬영장치에서 영상을 수집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 구역의 화재 감지 장치를 구동하여, 화재 상황을 신속하고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화재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장치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이를 감지하여야 함에 따라 정확한 화재 발생 감지에 따른 신뢰성이 요구되며, 다양한 형태의 화재 발생에 따른 식별 능력이 요구된다.
종래의 화재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한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기,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 및 화염의 적외선 및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감지하는 불꽃감지기 등이 있다.
열감지기에는 바이메탈식, 열반도체식, 열대전식 등이 있으며, 바이메탈식은 저 팽창 금속과 고 팽창금속을 접합시킨 구성으로 한쪽 끝을 고정한 바이메탈이 열을 받으면 저팽창율 금속쪽으로 휘는 방식으로 구동되며, 열반도체식 및 열대전식은 2종의 금속 또는 반도체를 폐로가 되도록 접속시키고 접속된 2점 사이에 온도차를 주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제백효과(seebeck effect)로 구동된다.
연기감지기는 크게 이온화식과 광전식으로 구성되며, 이온화식은 검지부에 연기(연소생성물)가 유입되면 전류가 변하는 현상으로 구동되며, 광전식은 검지부에 연기가 유입 시, 광전소자에 흐르는 전류값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종래 화재 감시 시스템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10-0589663호(2006. 06. 07)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재감지기에서 감지한 신호를 시청각적 경보를 발생시키고, 감지신호를 수신한 중계장치에서 근무자에 화재 발생에 관한 지시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하지만 종래 화재 감시 시스템은 화재감지기의 감지 신호에만 의존하므로 화재 발생 현장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화재감지기의 위치에 따라 최초 불꽃 발생의 신속한 감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의 목적은 화재 감시 지역을 영상으로 촬영 후, 움직임 감시 분석으로 불꽃 발생을 판단하고 화재 발생 요소를 감지하는 장치와 연동하여, 화재 발생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영상감시부를 포함하여, 화재 감시 지역을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영상 분석을 통해 불꽃 발생을 판단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영상요소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불꽃 발생의 판단 기준이 되는 영상 요소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영상 요소값을 변경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여, 화재 감시 지역을 촬영한 영상과 불꽃 발생 위치를 외부에 표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영상감시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불꽃 발생 정보를 외부에 신속하게 전달하고, 외부로부터 영상 감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촬영모드전환부를 더 포함하여, 불꽃 발생 가능성에 따른 영상촬영부의 촬영모드를 전환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화재감지부를 포함하여, 화재 발생을 판단할 수 있는 화재 요소를 감지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화재경보부를 더 포함하여, 화재 발생 시, 경보음 또는 경광을 외부에 발생시키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감시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화재 발생 상황 정보 및 화재 감시 상황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은 화재 감시 지역을 영상 촬영 후 움직임 감지 분석으로 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감시부, 상기 영상감지부의 불꽃 발생 판단 정보에 따라 화재 감지 장치를 제어하고, 화재 상황 발생을 감시하는 화재감시제어부 및 상기 화재감지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 요소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 상황을 판단하는 화재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감시부는 일정 영역을 영상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전달 받아 불꽃 발생 분석 작업을 제어하는 영상장비제어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여, 움직임 감지 방식으로 영상 내 불꽃 발생 가능성을 감지하는 불꽃영상감지부 및 상기 불꽃영상감지부에서 감지한 불꽃 발생 가능성이 있는 영상을 분석하여, 불꽃 발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불꽃발생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감지부는 화재 감시 지역의 연기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 화재 발생 지역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열감지부, 상기 연기감지부 및 상기 열감지부와 연결되어, 화재 감시 지역의 불꽃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불꽃감지부, 상기 연기감지부, 상기 열감지부 및 상기 불꽃감지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장치제어부 및 상기 연기감지부, 상기 열감지부 및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한 화재 요소 정보로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화재발생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은 화재감시제어부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 시, 경보음 및 경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발생시키는 화재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은 화재감시제어부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 및 화재 감시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감시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은 화재 감시 지역을 영상으로 촬영 후, 움직임 감시 분석으로 불꽃 발생을 판단하고 화재 발생 요소를 감지하는 장치와 연동함으로써, 화재 발생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화재 발생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감시부를 포함함으로써, 화재 감시 지역을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영상 분석을 통해 불꽃 발생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요소설정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불꽃 발생의 판단 기준이 되는 영상 요소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영상 요소값을 변경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모니터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화재 감시 지역을 촬영한 영상과 불꽃 발생 위치를 외부에 표시하여, 관리자 및 관제 센터에서 화재 발생 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감시통신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불꽃 발생 정보를 외부에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영상 감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촬영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모드전환부를 더 포함하여, 불꽃 발생 가능성에 따른 영상촬영부의 촬영모드를 전환하여, 화재 발생 지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감지부를 포함함으로써, 화재 발생을 판단할 수 있는 화재 요소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경보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경보음 또는 경광을 외부에 발생시켜 주변에 화재 발생 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시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화재 발생 상황 정보 및 화재 감시 상황 정보를 저장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감시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모니터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감지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감시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모니터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감지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10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로, 영상감시부(100), 화재감시제어부(200), 화재감시부(300), 화재경보부(400) 및 감시정보저장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감시부(100)는 화재 감시 지역을 영상 촬영한 후, 움직임 감지 분석으로 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영상감시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촬영부(110), 영상장비제어부(120), 영상요소설정부(130), 불꽃영상감지부(140), 불꽃발생판단부(150), 모니터부(160), 영상감시통신부(170) 및 촬영모드전환부(180)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촬영부(110)는 화재 감시 지역을 영상 촬영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영상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은 상기 영상장비제어부(120)에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부(110)는 하나의 상기 영상촬영부(110)를 통해 화재 감시 지역을 전체적으로 촬영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영상촬영부(110)의 촬영 범위에 따라 화재 감시 지역을 다수로 분리하여, 각 분리 영역별로 상기 영상 촬영부(1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장비제어부(120)는 상기 영상촬영부(110)에서 촬영한 영상을 전달 받아 불꽃 발생 분석 작업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촬영부(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영상요소설정부(130)는 상기 영상장비제어부(120)와 연결되어, 불꽃 발생의 판단 기준이 되는 영상 요소값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영상 요소값은 프레임 간의 움직임 화소값 증가율 및 색상 레벨값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요소값은 상기 영상촬영부(110)의 촬영 환경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꽃영상감지부(140)는 상기 영상장비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촬영부(110)에서 움직임 감지 방식으로 불꽃 발생 가능성이 있는 영상 프레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불꽃영상감지부(140)는 상기 영상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연속된 영상 프레임 간에 상기 영상요소설정부(130)에서 설정된 움직임 화소값 증가률 만큼 움직임 화소값이 발생한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여, 상기 영상장비제어부(120)에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불꽃발생판단부(150)는 상기 영상장비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불꽃영상감지부(140)에서 감지한 불꽃 발생 가능성이 있는 영상 프레임을 분석하여, 불꽃 발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불꽃발생판단부(150)는 상기 불꽃영상감지부(140)에서 감지한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화소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화소의 색상 레벨값을 분석하여, 실제 불꽃 발생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불꽃발생판단부(150)에서 분석된 불꽃 발생 정보는 상기 영상장비제어부(120)에 전달된다.
상기 모니터부(160)는 상기 영상장비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 및 불꽃 발생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니터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영상표시부(161), 불꽃발생정보표시부(163) 및 불꽃발생위치표시부(165)를 포함한다.
상기 감시영상표시부(161)는 상기 영상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불꽃발생정보표시부(163)는 상기 불꽃발생판단부(150)에서 분석된 영상 프레임의 불꽃 발생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불꽃발생위치표시부(165)는 불꽃이 발생한 지점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꽃발생위치표시부(165)는 화재 감시 지역의 특정 구역을 식별할 수 있는 구역 정보 및 지도 정보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감시통신부(170)는 상기 영상장비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불꽃발생판단부(150)에서 분석된 불꽃 발생 정보를 외부의 관제센터 또는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영상 감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촬영모드전환부(180)는 상기 영상장비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영상촬영부(110)의 촬영모드를 전환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촬영모드는 상기 영상촬영부(100)의 줌 상태, 촬영각도 및 촬영간격 촬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촬영모드전환부(180)를 포함함으로써, 불꽃 발생 지점의 상황 및 화재 진화 과정 등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불꽃 발생 지점의 주변 영상촬영부(100)의 촬영모드를 전환하여, 화재 발생 영역의 확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화재감시제어부(200)는 상기 영상감시부(100)를 불꽃 발생 판단 정보에 따라 상기 화재감지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고, 화재 상황 발생을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재감지부(300)는 상기 화재감지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 요소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 상황을 판단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재감지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기감지부(310), 감지장치제어부(320), 열감지부(330), 불꽃감지부(340), 화재발생판단부(350) 및 화재감지통신부(3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부(300)는 화재 감시 지역의 화재 발생 요소를 지속적을 감지하도록 구동이 가능하지만 상기 영상감시부(100)에서 불꽃 발생 정보 발생 시, 상기 화재감지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불꽃 발생 지점에 위치한 화재감지부(300)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상기 연기감지부(310)는 화재 감시 지역의 연기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연기감지부(310)를 통해 감지된 연기 발생 신호는 상기 감지장치제어부(320)에 전달된다.
상기 감지장치제어부(320)는 연기감지부(310), 열감지부(330), 불꽃감지부(340)의 구동을 제어하며, 화재 발생 판단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감지부(330)는 상기 감지장치제어부(320)와 연결되어, 화재 감시 지역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불꽃감지부(340)는 상기 연기감지부(310), 상기 열감지부(330) 및 상기 감지장치제어부(320)와 연결되어, 화재 감시 지역의 불꽃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재발생판단부(350)은 상기 감지장치제어부(320)와 연결되어, 상기 연기감지부(310), 상기 열감지부(330) 및 상기 불꽃감지부(340)에서 감지한 화재 요소 정보로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재감지통신부(360)는 상기 화재발생판단부(350)에서 분석된 화재 발생 정보를 외부 관제센터 또는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불꽃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재경보부(400)는 상기 화재감시제어부(200)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 시, 경보음 및 경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부(400)를 포함함으로써, 화재 발생 지점의 주변에 화재 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감시정보저장부(500)는 상기 화재감시제어부(200)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 및 화재 감시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감시정보저장부(500)를 포함함으로써, 기간별 화재 감시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에 따른 관리 담당자를 조회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에 따른 진행 상황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은 화재 감시 지역을 영상으로 촬영 후, 움직임 감시 분석으로 불꽃 발생을 판단하고 화재 발생 요소를 감지하는 장치와 연동함으로써, 화재 발생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화재 발생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화재 발생 및 진화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화재 감시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다.
100 : 영상감지부
110 : 영상촬영부
120 : 영상장비제어부
130 : 영상요소설정부
140 : 불꽃영상감지부
150 : 불꽃발생판단부
160 : 모니터링부
161 : 감시영상표시부
163 : 불꽃발생정보표시부
165 : 불꽃발생위치표시부
170 : 영상감시통신부
180 : 촬영모드전환부
200 : 화재감시제어부
300 : 화재감지부
310 : 연기감지부
320 : 감지장치제어부
330 : 열감지부
340 : 불꽃감지부
350 : 화재발생판단부
360 : 화재감지통신부
400 : 화재경보부
500 : 감시정보저장부
1000 : 화재 감시 시스템
110 : 영상촬영부
120 : 영상장비제어부
130 : 영상요소설정부
140 : 불꽃영상감지부
150 : 불꽃발생판단부
160 : 모니터링부
161 : 감시영상표시부
163 : 불꽃발생정보표시부
165 : 불꽃발생위치표시부
170 : 영상감시통신부
180 : 촬영모드전환부
200 : 화재감시제어부
300 : 화재감지부
310 : 연기감지부
320 : 감지장치제어부
330 : 열감지부
340 : 불꽃감지부
350 : 화재발생판단부
360 : 화재감지통신부
400 : 화재경보부
500 : 감시정보저장부
1000 : 화재 감시 시스템
Claims (11)
- 화재 감시 지역을 영상 촬영 후 움직임 감지 분석으로 불꽃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감시부;
상기 영상감지부의 불꽃 발생 판단 정보에 따라 화재 감지 장치를 제어하고, 화재 상황 발생을 감시하는 화재감시제어부 및
상기 화재감지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 요소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 상황을 판단하는 화재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감시부는,
화재 감지 영역을 영상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전달 받아 불꽃 발생 확인 작업을 제어하는 영상장비제어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여, 움직임 감지 방식으로 영상 내 불꽃 발생 가능성을 감지하는 불꽃영상감지부 및
상기 불꽃영상감지부에서 감지한 불꽃 발생 가능성이 있는 영상을 분석하여, 불꽃 발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불꽃발생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비제어부와 연결되어, 불꽃 발생의 판단 기준이 되는 영상 요소값을 설정하는 영상요소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비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및 불꽃 발생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부는,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감시영상표시부;
상기 불꽃발생판단부에서 분석된 불꽃 발생 정보를 표시하는 불꽃발생정보표시부 및
불꽃이 발생한 지점을 표시하는 불꽃발생위치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비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불꽃발생판단부에서 분석된 불꽃 발생 정보를 외부 관제센터 또는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영상 감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감시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비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촬영부의 줌 상태, 촬영 각도, 촬영 간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환하는 촬영모드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부는,
화재 감시 지역의 연기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
화재 감시 지역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열감지부;
상기 연기감지부 및 상기 열감지부와 연결되어, 화재 감시 지역의 불꽃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불꽃감지부;
상기 연기감지부, 상기 열감지부 및 상기 불꽃감지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장치제어부 및
상기 연기감지부, 상기 열감지부 및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한 화재 요소 정보로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화재발생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발생판단부에서 분석된 화재 발생 정보를 외부 관제센터 또는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불꽃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화재감지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제어부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 시, 경보음 및 경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발생시키는 화재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제어부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 및 화재 감시 상황 정보를 저장하는 감시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1775A KR20130118680A (ko) | 2012-04-20 | 2012-04-20 | 화재 감시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1775A KR20130118680A (ko) | 2012-04-20 | 2012-04-20 | 화재 감시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8680A true KR20130118680A (ko) | 2013-10-30 |
Family
ID=4963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1775A KR20130118680A (ko) | 2012-04-20 | 2012-04-20 | 화재 감시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18680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9198B1 (ko) * | 2015-05-19 | 2015-12-21 | 주식회사 한국씨씨에스 | Cctv를 이용한 산불 관리 시스템 |
KR20180001276U (ko) | 2016-10-26 | 2018-05-0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
KR102074149B1 (ko) * | 2019-08-06 | 2020-02-06 | (주)피티더블유스틸솔루션 | 화재 방지 기능을 갖는 그라인더용 집진장치 |
KR102167761B1 (ko) * | 2020-01-31 | 2020-10-19 | 강유림 | 환자 케어 시스템 |
KR20220017361A (ko) | 2020-08-04 | 2022-02-11 |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포지티브형 감광성 드라이 필름, 포지티브형 감광성 드라이 필름의 제조 방법, 패턴 형성 방법, 경화 피막 형성 방법, 층간 절연막, 표면 보호막, 및 전자 부품 |
KR20220017362A (ko) | 2020-08-04 | 2022-02-11 |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네거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패턴 형성 방법, 경화 피막 형성 방법, 층간 절연막, 표면 보호막 및 전자 부품 |
KR20220089446A (ko) | 2020-12-21 | 2022-06-2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화재 감지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 |
KR102489128B1 (ko) * | 2021-11-22 | 2023-01-17 | 주식회사 지안에스 | Cctv를 이용한 물류 감시 장치 |
-
2012
- 2012-04-20 KR KR1020120041775A patent/KR2013011868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9198B1 (ko) * | 2015-05-19 | 2015-12-21 | 주식회사 한국씨씨에스 | Cctv를 이용한 산불 관리 시스템 |
KR20180001276U (ko) | 2016-10-26 | 2018-05-0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
KR102074149B1 (ko) * | 2019-08-06 | 2020-02-06 | (주)피티더블유스틸솔루션 | 화재 방지 기능을 갖는 그라인더용 집진장치 |
KR102167761B1 (ko) * | 2020-01-31 | 2020-10-19 | 강유림 | 환자 케어 시스템 |
KR20220017361A (ko) | 2020-08-04 | 2022-02-11 |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포지티브형 감광성 드라이 필름, 포지티브형 감광성 드라이 필름의 제조 방법, 패턴 형성 방법, 경화 피막 형성 방법, 층간 절연막, 표면 보호막, 및 전자 부품 |
KR20220017362A (ko) | 2020-08-04 | 2022-02-11 |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네거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패턴 형성 방법, 경화 피막 형성 방법, 층간 절연막, 표면 보호막 및 전자 부품 |
KR20220089446A (ko) | 2020-12-21 | 2022-06-2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화재 감지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 |
KR102489128B1 (ko) * | 2021-11-22 | 2023-01-17 | 주식회사 지안에스 | Cctv를 이용한 물류 감시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18680A (ko) | 화재 감시 시스템 | |
KR101544019B1 (ko) | 합성 영상을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방법 | |
EP3163544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ied threat detection | |
KR101066900B1 (ko) | 씨씨티브이 카메라 영상에서의 특정 움직임 감지 장치 | |
KR101411624B1 (ko) | 화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 |
KR101637989B1 (ko) | 센서와 열화상 카메라의 연동을 통한 실시간 고해상도 열화상 화재 감시 방법 및 장치 | |
KR101863530B1 (ko) | 가시광 및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한 화재 예측 보전시스템 | |
KR101200268B1 (ko) | 능동적 대피 및 구조를 위한 영상 기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 |
KR102216961B1 (ko) | 화재 감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
KR102113527B1 (ko) | 열화상 ip cctv 시스템 및 이를 통한 화재 감지 방법 | |
CN109731258B (zh) | 基于红外技术的变压器着火点监测及灭火方法和系统 | |
KR102585768B1 (ko) |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 예방 시스템 및 방법 | |
KR101352001B1 (ko) |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014842B1 (ko) | Rfid 리더를 사용하는 보안용 영상 감시 시스템 및방법 | |
CN114511984B (zh) | 一种火情监测摄像机、火情监测方法和火情自动报警系统 | |
KR101138212B1 (ko) | 영상인식 및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656642B1 (ko) | 영상을 이용한 집단 행동 분석 방법 | |
KR100962612B1 (ko) | 실시간 거리 측정을 이용한 추적 감시 시스템 | |
KR101695127B1 (ko) | 영상을 이용한 집단 행동 분석 방법 | |
JP4535919B2 (ja) | 監視システム、監視カメラ、及びコントローラ | |
KR101524922B1 (ko) | 비상 알림을 위한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 |
KR101250956B1 (ko) | 자동 관제 시스템 | |
TWI478117B (zh) | 影像監控系統及方法 | |
KR101029936B1 (ko) | 화재 감시용 연기 검출장치 | |
KR20060067929A (ko) | 오에스디 기능을 가진 카메라장치 및 그를 이용한감시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