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268B1 - 능동적 대피 및 구조를 위한 영상 기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능동적 대피 및 구조를 위한 영상 기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268B1
KR101200268B1 KR1020120005868A KR20120005868A KR101200268B1 KR 101200268 B1 KR101200268 B1 KR 101200268B1 KR 1020120005868 A KR1020120005868 A KR 1020120005868A KR 20120005868 A KR20120005868 A KR 20120005868A KR 101200268 B1 KR101200268 B1 KR 10120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vacuation
composite
fire monitor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완
김기백
박왕배
박현문
이명수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진
Priority to KR102012000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은 게이트웨이, 적어도 하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방 전송하고 대피 유도 명령을 수신하여 하방 전송할 수 있다.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 제어부, 취득한 영상을 부호화하는 영상 압축부, 영상에 기초하여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화재 징후 감지부, 영상을 기초로 인식된 군집 내에서 사람들의 수를 식별하는 군집 분석부, 부호화된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를 종합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황 데이터 생성부와, 상황 데이터를 게이트웨이로 상방 전송하거나 게이트웨이로부터 하방 전송되는 대피 유도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서버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방 전송된 상황 데이터들로부터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를 추출하고, 관리자의 지시,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에 기초한 정량적 위험 분석(QRA) 내지 대피 시나리오 DB의 참조 결과에 의해 결정되는 대피 시나리오에 따라 대피 유도 명령을 생성하며, 게이트웨이를 통해 대피 유도 명령을 하방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능동적 대피 및 구조를 위한 영상 기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COMPOSITE FIRE SENSOR DEVICE BASED ON IMAGE FOR ACTIVE EVACUATION AND RESCUE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재 감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기반 화재 감지에 관한 것이다.
화재 감지 센서 기반의 화재 경보 시스템은 장기간 안정적으로 운용되어야 하고 또한 운용되는 기간 동안 높은 신뢰성을 높지 않은 비용으로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저렴하지만 단순한 감지 센서들이나 화재 목격자의 발신기 조작에 의존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화재 경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저렴하고 단순한 감지 센서는 본질적으로 감지 신호의 불확실성이 높아 확실한 감지를 위해 화재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사람에 의한 신고도 통상적으로 화재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로 인해 화재 경보 시스템은 화재의 조기 경보를 통한 조기 진압이나, 재산 피해와 인명 피해의 최소화보다는, 화재 피해의 확산을 막는 데에 주력하는 실정이다.
나아가, 화재 현장에서 인명 구조 활동은 화재의 탐지나 진압만큼이나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화재 경보 시스템은 구조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고 화재 현장의 인원 분포 정보를 파악하여 대피 및 구조 활동에 제공할 수 있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은,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방 전송하고 대피 유도 명령을 수신하여 하방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 제어부, 취득한 영상을 부호화하는 영상 압축부,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화재 징후 감지부, 상기 영상을 기초로 인식된 군집 내에서 사람들의 수를 식별하는 군집 분석부, 상기 부호화된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황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상황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상방 전송하거나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하방 전송되는 상기 대피 유도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방 전송된 상황 데이터들로부터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를 추출하고, 관리자의 지시,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에 기초한 정량적 위험 분석(QRA) 내지 대피 시나리오 DB의 참조 결과에 의해 결정되는 대피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대피 유도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대피 유도 명령을 하방 전송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 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대피 유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고정적으로 또는 애드 혹(ad hoc)으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상기 복합 센서 또는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복합 센서의 해상도(resolution)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하는 복합 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상기 복합 센서 또는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상기 복합 센서들에 대한 폴링 레이트(polling rate)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하는 복합 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복합 센서 또는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상기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화재 징후 감지부는,
상기 영상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될 경우에는, 감지된 화재 징후를 상기 복합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검증하고, 상기 복합 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 신호가 먼저 수신될 경우에는, 수신된 감지 신호를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또는 다른 복합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검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화재 징후 감지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배경을 제거하고 전경 및 객체의 패턴에 기초하여 화염 및 연기를 추출함으로써 화재 징후를 감지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추출된 화염 및 연기에 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상기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화재 징후 감지부는,
상기 추출된 화염 및 연기의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화재 확산 여부 및 방향을 식별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식별된 화재 확산 여부 및 방향에 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상기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 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대피 유도 장치와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상기 대피 유도 장치를 구동하는 로컬 대피 유도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로컬 대피 유도 처리부는,
미리 설정된 로컬 대피 시나리오들 중에서 상기 화재 징후 정보, 군집 정보, 또는 상기 관제 서버와 접속이 단절되기 전까지 수신한 대피 유도 명령에 기초하여 결정된 로컬 대피 시나리오에 따라 간이 대피 유도 명령을 생성하고,
만약 화재 징후에 관한 상황 데이터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대피 유도 명령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관제 서버와 접속이 단절되면, 상기 간이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상기 대피 유도 장치를 구동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신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화재 징후의 감지 여부, 상황 데이터의 크기, 네트워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한 조건에 따라 상기 유선 통신 수단 및 무선 통신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통신 수단을 선택하고 또한 선택된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할 페이로드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의 경우에는 부호화된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및 군집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의 경우에는 화재 징후 정보 군집 또는 군집 정보를 포함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는 가시광선 영상 또는 열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PTZ 카메라 또는 어안 렌즈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상기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상기 대피 유도 장치에서 대피 유도 정보가 표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시점의 전후로 지정된 시간만큼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는,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을 위한 대역폭을 상대적으로 확대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을 위한 대역폭은 상대적으로 축소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와 화재 감시 대상의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정량적 위험 분석을 수행하는 정량적 위험 분석부;
사전에 구성된 대피 시나리오들을 저장하는 대피 시나리오 DB; 및
상기 정량적 위험 분석 또는 대피 시나리오 DB의 참조 결과에 의해 결정된 하나의 대피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대피 유도 명령을 생성하는 대피 유도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제 서버는
접속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로부터 수집한 상기 군집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감시 대상의 공간 내에 조난 인원들의 분포를 분석하고, 분석된 인원 분포 정보를 관리자 또는 당국에 보고하는 인원 분포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제 서버는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에 대해서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지시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에 대해서는 영상 정보를 제외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지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제 서버는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짧은 갱신 주기로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지시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긴 갱신 주기로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지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 제어부;
취득한 영상을 부호화하는 영상 압축부;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화재 징후 감지부;
상기 영상을 기초로 인식된 군집 내에서 사람들의 수를 식별하는 군집 분석부;
상기 부호화된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황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상황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 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대피 유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고정적으로 또는 애드 혹(ad hoc)으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상기 복합 센서 또는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복합 센서의 해상도(resolution)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하는 복합 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상기 복합 센서 또는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상기 복합 센서들에 대한 폴링 레이트(polling rate)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하는 복합 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복합 센서 또는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상기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는,
상기 영상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될 경우에는, 감지된 화재 징후를 상기 복합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검증하고, 상기 복합 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 신호가 먼저 수신될 경우에는, 수신된 감지 신호를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또는 다른 복합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검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배경을 제거하고 전경 및 객체의 패턴에 기초하여 화염 및 연기를 추출함으로써 화재 징후를 감지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추출된 화염 및 연기에 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상기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는,
상기 추출된 화염 및 연기의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화재 확산 여부 및 방향을 식별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식별된 화재 확산 여부 및 방향에 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상기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 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대피 유도 장치와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전달된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상기 대피 유도 장치를 구동하는 로컬 대피 유도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로컬 대피 유도 처리부는,
미리 설정된 로컬 대피 시나리오들 중에서 상기 화재 징후 정보, 군집 정보, 또는 접속이 단절되기 전까지 외부의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대피 유도 명령에 기초하여 결정된 로컬 대피 시나리오에 따라 간이 대피 유도 명령을 생성하고,
만약 화재 징후에 관한 상황 데이터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대피 유도 명령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관제 서버와 접속이 단절되면, 상기 간이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상기 대피 유도 장치를 구동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신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화재 징후의 감지 여부, 상황 데이터의 크기, 네트워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한 조건에 따라 상기 유선 통신 수단 및 무선 통신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통신 수단을 선택하고 또한 선택된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할 페이로드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의 경우에는 부호화된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및 군집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의 경우에는 화재 징후 정보 군집 또는 군집 정보를 포함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는 가시광선 영상 또는 열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PTZ 카메라 또는 어안 렌즈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 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대피 유도 장치와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수신되는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대피 유도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대피 유도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시점의 전후로 지정된 시간만큼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다른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로부터 전달되는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방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수동 화재 센서들로 구성된 종래의 화재 경보 시스템보다 조기에 화재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위치를 좀더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화재 경보 시스템에서는 제공하지 못하는 화재 현장의 인원 분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원 분포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안내 또는 인명 구조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종래의 화재 경보 시스템에 비해 다발적 상황에서 트래픽 부하가 적고, 관제 담당자에게 지워지는 상황 판단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대피 및 구조가 가능한 화재 감시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대피 및 구조가 가능한 화재 감시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화재 감시 대상 건물 또는 설비, 예를 들어 오피스 건물의 곳곳에 설치된 다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 복합 센서(12), 대피 유도 장치(13), 게이트웨이(14) 및 관제 서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다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로부터 각 감시 구역에 관하여 상황을 알 수 있는 상황 데이터를 게이트웨이(14)를 통해 수집한다. 이때 상황 데이터는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사람들의 분포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정보로 정의되며,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시간 종료 후에 사무실에 근무 인원이 없는 시간에는 상황 데이터는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만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고, 나아가 전송 시점이나 대역폭 상태에 따라 상황 데이터는 영상 정보만 포함하거나, 화재 징후 정보나 분포 정보만 포함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게이트웨이(14)를 통하지 않고, 직접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가 관제 서버(15)에 접속되어, 상황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웨이(14)의 기능과 구성이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 중의 하나에 통합될 수 있다.
만약 화재 등 비상 사태가 발생하면,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관리자의 지시나 수집된 상황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대피 시나리오를 결정하고, 결정된 대피 시나리오에 따라 대피 유도 명령을 생성하며, 게이트웨이(14)를 통해 대피 유도 명령을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로 전송함으로써 사람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대피 시나리오의 결정에 관하여 일 실시예에서는,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각 감시 구역 별로 화재 징후와 진행 상태 및 군집 분포를 화재 감시 대상 건물의 공간 정보와 매치시키고, 정량적 위험 분석(QRA: Quantitative Risk Analysis)을 통한 화재의 확산에 따른 영향 평가를 실시간적으로 수행하여, 가장 인명 피해가 적은 대피 시나리오를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미리 각 감시 구역 별로 다양한 화재 발생 상황을 가정하여 대피 시나리오들을 구축하고, 이렇게 미리 구축된 대피 시나리오들을 대피 시나리오 DB(152)를 이용하여, 상황 데이터에서 화재 징후가 추출되었을 때에 화재 징후 정보를 기초로 대피 시나리오 DB(152)를 검색함으로써, 현재 상황과 가장 적합한 대피 시나리오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상황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적하여 화재의 확산 여부와 사람들의 분포 변화를 판정하고, 변화한 상황에 맞게 대피 유도 명령을 가변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화재 감시 시스템(10)의 말단을 이루는 대피 유도 장치들(13)은 사람들을 대피 장소로 유도하는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과 관제 서버(15) 사이에 이더넷과 같은 IP 기반의 유선 통신 수단, RS-485를 통한 멀티드롭 연결과 같은 비IP 기반의 유선 통신 수단, WLAN 또는 WPAN와 같은 IP 기반의 무선 통신 수단, Zigbee와 같은 비IP 기반의 무선 통신 수단, CDMA 또는 WCDMA와 같은 이동통신수단을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 수단들 중 한 가지 이상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신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수단을 동시에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화재 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하지 않은 평시에는 우선적으로 유선 통신 수단을 통해 상황 데이터를 수집하고, 비상 사태가 발생하여 통신 수요가 급증할 때와 같이 상황에 따라서, 보조적으로 무선 통신 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비상 사태가 발생한 현장과 그 현장에 인접한 영역에 있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로부터 우선적으로 상황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고, 이 때에 해당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에 대한 통신 경로들의 대역폭을 늘린다거나, 상황 데이터의 갱신 주기 또는 전송 주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유선 통신 수단과 무선 통신 수단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황 데이터를 적절하게 분할하여 유선 통신 수단과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USN 통신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만약 어떤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a)와 게이트웨이(14) 사이에 구성된 통신망이 화재 등으로 인해 단절될 경우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b)의 무선 메시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관제 센터(15)와 접속을 복구할 수 있다.
한편,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우선적으로 관제 서버(15)에서 제공되는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사람들에게 대피 유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화재로 인해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와 관제 서버(15)의 접속이 단절될 경우에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가 국부적으로 판단한 간이 대피 유도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유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바람직하게는 영상 인식에 기반하여 화재 징후를 감시하며, 불꽃 감지, 연기 감지, 유독 가스 감지, 이산화탄소 감지, 일산화탄소 감지 등과 같은 통상의 감지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기능을 가지는 복합 센서들(12)과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를 묶어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복합적인 감시 요소들로써 화재 징후를 감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영상 분석을 통해 연기 또는 불꽃과 같은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복합 센서들(12)의 감지 신호로써 이를 검증할 수 있다. 역으로,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복합 센서들(12)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해당 복합 센서(12)가 있는 위치의 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함으로써 화재 징후를 검증할 수 있다.
나아가, 화재 감시 시스템(10)은 실제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불꽃이나 연기,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기타 유독 가스의 발생 양상에 근거하여 각 복합 센서들(12)의 감지 신호들의 순시값과 시간에 따른 추이를 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화재 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재 감시 시스템(10)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는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취득하고, 취득한 영상을 부호화하며, 영상에 기초하여 화재 징후를 감지하고, 영상을 기초로 인식된 군집 내에서 사람들의 수를 식별하며, 부호화된 상기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를 종합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황 데이터를 게이트웨이(14)로 상방 전송하거나 게이트웨이(14)로부터 하방 전송되는 대피 유도 명령을 수신한다.
복합 센서(12)는 적어도 한 가지 감지 기능을 수행하며, 복합 센서(12)의 각각은 공통 신호선 통신, RS-485 통신과 같은 비IP 기반이나 IP 기반의 유선 통신 방식, 전력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와 연결될 수 있다.
대피 유도 장치(13)도 적어도 한 가지의 시각적 또는 청각적 표시 기능을 수행하며, 각각 RS-485 통신과 같은 비IP 기반이나 IP 기반의 유선 통신 방식, 전력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와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14)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로부터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제 서버(15)로 상방 전송하고, 관제 서버(15)로부터 대피 유도 명령을 수신하여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로 하방 전송한다.
실시예에 따라, 게이트웨이(14)는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b)을 위한 대역폭을 상대적으로 확대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c)을 위한 대역폭은 상대적으로 축소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관제 서버(15)는 게이트웨이(14)를 통해 상방 전송된 상황 데이터들로부터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를 추출한다. 이어서, 관제 서버(15)는 관리자의 지시나,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에 기초한 정량적 위험 분석 내지 대피 시나리오 DB(152)의 참조 결과에 의해 대피 시나리오를 결정하고, 결정된 대피 시나리오에 따라 대피 유도 명령을 생성하고, 게이트웨이(14)를 통해 대피 유도 명령을 하방 전송한다.
관제 서버(15)는 비상 상황에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자산을 운용할 수 있도록,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b)에 대해서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지시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c)에 대해서는 영상 정보를 제외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지시할 수도 있다.
나아가, 관제 서버(15)는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b)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짧은 갱신 주기로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지시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c)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긴 갱신 주기로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지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화재 감시 시스템(10)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는 도 2의 블록도와 같이 예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는 각 감시 구역에 대해서 국부적으로 영상에 기반하거나 또는 물리적 화학적 감지 기능에 기반하여 화재 징후를 감지하고 사람들의 수를 식별하며, 추가적으로, 대피 유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는 내장 카메라 모듈(111a) 또는 외부 카메라 장치(111b)로부터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 제어부(112), 취득한 영상을 부호화하는 영상 압축부(113), 취득한 영상에 기초하여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화재 징후 감지부(114), 취득한 영상을 기초로 인식된 군집 내에서 사람들의 수를 식별하는 군집 분석부(115), 부호화된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를 종합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황 데이터 생성부(116), 상황 데이터를 게이트웨이(14)로 상방 전송하거나 게이트웨이(14)로부터 하방 전송되는 대피 유도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신 수단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수단으로써 구현되는 통신 인터페이스(117a)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센서(12)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 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대피 유도 장치(13)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고정적으로 또는 애드 혹(ad hoc)으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11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합 센서(12)들을 제어하기 위한 복합 센서 제어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 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대피 유도 장치(13)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대피 유도 장치(13)를 구동할 수 있는 로컬 대피 유도 처리부(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의 구성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내장 카메라 모듈(111a) 또는 외부 카메라 장치(111b)는 가시광선 영상, 적외선 영상 또는 열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촬영 화각과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PTZ 카메라이거나, 또는 천장에 설치되었을 때에 전방위를 모두 촬영할 수 있는 어안 렌즈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12)는 필요에 따라 내장 카메라 모듈(111a) 또는 외부 카메라 장치(111b)의 프레임 레이트 또는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고, 화재 징후 감지부(114)의 지시에 따라 내장 카메라 모듈(111a) 또는 외부 카메라 장치(111b)를 그 화각이 복합 센서(12)에 의해 화재 징후가 포착된 위치를 향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제어부(112)는 복합 센서(12) 또는 화재 징후 감지부(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내장 카메라 모듈(111a) 또는 외부 카메라(111b)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증가시킬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12)는 촬영된 영상의 처리 전 데이터(raw data)를 영상 압축부(113)와 화재 징후 감지부(114), 군집 분석부(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처리 전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 제어부(112)에서 먼저 화재 징후 감지부(114) 또는 군집 분석부(115)로 제공되고, 화재 징후나 군집의 분석이 끝난 후에 영상 압축부(113)로 제공되어 비로소 부호화될 수 있다.
영상 압축부(113)는 처리 전 데이터로 수신한 영상을 적절한 형태로 부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를 통해 크기가 감소한 영상 데이터는 화재 징후 감지부(114), 저장부(1141), 군집 분석부(115) 또는 상황 데이터 생성부(116)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141)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이전까지의 영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다. 만약 화재 징후 감지부(114)가 화재 징후를 감지할 경우에는, 저장부(1141)는 감지 시점 전의 소정 시간 동안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감지 시점 이후에 지정된 시간만큼 영상 데이터를 추가하여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141)는 화재 징후 감지부(114)에 제공된 복합 센서(12)의 감지 신호도 영상 데이터에 동기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는 화재에 강한 함체로 만들어지며, 저장부(1141)는 일종의 블랙박스처럼 추후에 화재의 원인과 경과를 분석할 때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화재 징후 감지부(114)는 처리 전 영상 또는 부호화된 영상을 기반으로 화재 징후를 감지하기 위해, 처리 전 영상 데이터에서 배경, 전경 및 객체를 추출하고, 배경을 제거한 다음, 전경 및 객체의 패턴에 기초하여 화염 및 연기를 추출함으로써 화재 징후를 감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황 데이터 생성부(116)는 추출된 화염 및 연기에 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화재 징후 감지부(114)는 추출된 화염 및 연기의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화재 확산 여부 및 방향을 식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황 데이터 생성부(116)는 식별된 화재 확산 여부 및 방향에 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화재 징후 감지부(114)는 영상 뿐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복합 센서들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복합적으로 화재 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징후 감지부(114)는 실제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불꽃이나 연기,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기타 유독 가스의 발생 양상에 근거하여 각 복합 센서들(12)의 감지 신호들의 순시값과 시간에 따른 추이를 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화재 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 화재 징후 감지부(114)는 영상 또는 감지 신호에 의한 화재 징후 감지를 다른 요소에 의해 검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영상에서 먼저 화재 징후가 감지될 경우에는, 감지된 화재 징후를 복합 센서(12)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검증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복합 센서(12)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 신호가 먼저 수신될 경우에는, 화재 징후 감지부(114)는 수신된 감지 신호를 영상에 기초하여 또는 다른 복합 센서(12)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검증할 수 있다.
군집 분석부(115)는 처리 전 영상 또는 부호화된 영상에 기초하여 군집을 추출하고 다양한 개인 식별 알고리즘을 통해 개개인을 구별함으로써 감시 구역 내의 사람들의 수를 계수할 수 있다.
상황 데이터 생성부(116)는 이렇게 부호화된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를 종합하여 타임 스탬프와 함께 동적으로 가공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황 데이터 생성부(116)는 감시 구역의 조건에 따라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를 한 가지만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황 데이터 생성부(116)는 화재 징후의 감지 여부, 상황 데이터의 크기, 네트워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한 조건에 따라 상기 유선 통신 수단 및 무선 통신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통신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황 데이터 생성부(116)는 선택된 통신 수단에 적합하도록 상황 데이터로 가공할 정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황 데이터 생성부(116)는 감시 구역 별로 화재의 발생 또는 확대 가능성에 따라 다르게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b)의 경우에는 부호화된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및 군집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정보의 양이 많은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c)의 경우에는 화재 징후 정보 군집 또는 군집 정보만 포함하여 정보가 적은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7a)는 게이트웨이(14)와 통신을 담당하며,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신 수단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117a)는 다른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11)로부터 전달되는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방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117b)는 복합 센서들(12), 대피 유도 장치들(13) 또는 다른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117b)와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센서 제어부(118)는 복합 센서들(12)과 네트워크를 형성할 경우에, 복합 센서들(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센서 제어부(118)는 복합 센서(12) 또는 화재 징후 감지부(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복합 센서(12)의 해상도(resolution)를 증가시켜 좀더 정확한 감지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합 센서 제어부(118)는 복합 센서들(12)에 대한 폴링 레이트(polling rate)를 증가시켜, 좀더 짧은 시간 내에 더 많은 감지 신호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로컬 대피 유도 처리부(119)는 대피 유도 장치(13)와 네트워크를 구성한 상태에서,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대피 유도 장치(13)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구동한다.
실시예에 따라, 로컬 대피 유도 처리부(119)는 추가적으로 해당 감시 구역에 제한적으로 적합하게 설정된 몇 개의 로컬 대피 시나리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대피 유도 처리부(119)는 이러한 로컬 대피 시나리오들 중에서 화재 징후 정보, 군집 정보, 또는 관제 서버(15)와 접속이 단절되기 전까지 수신한 대피 유도 명령에 기초하여 로컬 대피 시나리오를 특정하고, 특정한 하나의 로컬 대피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간이 대피 유도 명령을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 구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몇몇 구역과 몇 개의 제한된 대피 출구를 기초로 몇 개의 로컬 대피 시나리오들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로컬 대피 시나리오들에 화재 징후가 감지된 위치 등을 대비하여 가장 적합한 로컬 대피 시나리오가 선택될 수 있다.
만약 화재 징후에 관한 상황 데이터가 관제 서버(15)로 전송한 후에 지정된 시간 내에 복합 화재 감시 장치(11)로 대피 유도 명령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관제 서버(15)와 접속이 단절되어 대피 유도 명령을 수신할 가능성이 없을 경우에는, 로컬 대피 유도 처리부(119)는 이러한 로컬 대피 시나리오에 기초한 간이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대피 유도 장치(13)를 구동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관제 서버(15)는 정량적 위험 분석부(151), 대피 시나리오 DB(152), 대피 유도 분석부(153) 및 인원 분포 분석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량적 위험 분석부(151)는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와 화재 감시 대상의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정량적 위험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화재의 확산에 따른 피해 영향 평가를 얻을 수 있으며, 피해가 가장 적은 대피 시나리오를 도출할 수 있다.
대피 시나리오 DB(152)는 사전에 다양한 화재 발생 가능성과 확산 가능성에 따라 미리 구성된 대피 시나리오들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로서, 화재 징후가 감지된 위치와 확산 상황을 입력하여 가장 조건이 유사한 대피 시나리오를 검색할 수 있다.
대피 유도 분석부(153)는 정량적 위험 분석 또는 대피 시나리오 DB의 참조 결과에 의해 결정된 하나의 대피 시나리오에 따라 대피 유도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인원 분포 분석부(154)는 군집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감시 대상의 공간 내에 조난 인원들의 분포를 분석하고, 분석된 인원 분포 정보를 관리자 또는 당국에 보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화재 감시 시스템 11 복합 화재 감시 장치
12 복합 센서 13 대피 유도 장치
14 게이트웨이 15 관제 서버

Claims (36)

  1.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방 전송하고 대피 유도 명령을 수신하여 하방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 제어부, 취득한 영상을 부호화하는 영상 압축부,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화재 징후 감지부, 상기 영상을 기초로 인식된 군집 내에서 사람들의 수를 식별하는 군집 분석부, 상기 부호화된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황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상황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상방 전송하거나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하방 전송되는 상기 대피 유도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방 전송된 상황 데이터들로부터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를 추출하고, 관리자의 지시,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에 기초한 정량적 위험 분석(QRA) 내지 대피 시나리오 DB의 참조 결과에 의해 결정되는 대피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대피 유도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대피 유도 명령을 하방 전송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 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대피 유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고정적으로 또는 애드 혹(ad hoc)으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상기 복합 센서 또는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복합 센서의 해상도(resolution)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하는 복합 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상기 복합 센서 또는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상기 복합 센서들에 대한 폴링 레이트(polling rate)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하는 복합 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복합 센서 또는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상기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화재 징후 감지부는,
    상기 영상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될 경우에는, 감지된 화재 징후를 상기 복합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검증하고, 상기 복합 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 신호가 먼저 수신될 경우에는, 수신된 감지 신호를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또는 다른 복합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검증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화재 징후 감지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배경을 제거하고 전경 및 객체의 패턴에 기초하여 화염 및 연기를 추출함으로써 화재 징후를 감지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추출된 화염 및 연기에 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상기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화재 징후 감지부는,
    상기 추출된 화염 및 연기의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화재 확산 여부 및 방향을 식별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식별된 화재 확산 여부 및 방향에 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상기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 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대피 유도 장치와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상기 대피 유도 장치를 구동하는 로컬 대피 유도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로컬 대피 유도 처리부는,
    미리 설정된 로컬 대피 시나리오들 중에서 상기 화재 징후 정보, 군집 정보, 또는 상기 관제 서버와 접속이 단절되기 전까지 수신한 대피 유도 명령에 기초하여 결정된 로컬 대피 시나리오에 따라 간이 대피 유도 명령을 생성하고,
    만약 화재 징후에 관한 상황 데이터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대피 유도 명령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관제 서버와 접속이 단절되면, 상기 간이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상기 대피 유도 장치를 구동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신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화재 징후의 감지 여부, 상황 데이터의 크기, 네트워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한 조건에 따라 상기 유선 통신 수단 및 무선 통신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통신 수단을 선택하고 또한 선택된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할 페이로드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의 경우에는 부호화된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및 군집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의 경우에는 화재 징후 정보 군집 또는 군집 정보를 포함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는 가시광선 영상 또는 열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PTZ 카메라 또는 어안 렌즈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상기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대피 유도 장치에서 대피 유도 정보가 표시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시점의 전후로 지정된 시간만큼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을 위한 대역폭을 상대적으로 확대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을 위한 대역폭은 상대적으로 축소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와 화재 감시 대상의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정량적 위험 분석을 수행하는 정량적 위험 분석부;
    사전에 구성된 대피 시나리오들을 저장하는 대피 시나리오 DB; 및
    상기 정량적 위험 분석 또는 대피 시나리오 DB의 참조 결과에 의해 결정된 하나의 대피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대피 유도 명령을 생성하는 대피 유도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접속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로부터 수집한 상기 군집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감시 대상의 공간 내에 조난 인원들의 분포를 분석하고, 분석된 인원 분포 정보를 관리자 또는 당국에 보고하는 인원 분포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에 대해서는 영상 정보를 포함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지시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에 대해서는 영상 정보를 제외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지시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짧은 갱신 주기로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지시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긴 갱신 주기로 상황 데이터를 생성할 것을 지시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21.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 제어부;
    취득한 영상을 부호화하는 영상 압축부;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화재 징후 감지부;
    상기 영상을 기초로 인식된 군집 내에서 사람들의 수를 식별하는 군집 분석부;
    상기 부호화된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또는 군집 정보를 종합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황 데이터 생성부;
    상기 상황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 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대피 유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고정적으로 또는 애드 혹(ad hoc)으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는,
    상기 영상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될 경우에는, 감지된 화재 징후를 상기 복합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검증하고, 상기 복합 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 신호가 먼저 수신될 경우에는, 수신된 감지 신호를 상기 영상에 기초하여 또는 다른 복합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검증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22. 삭제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센서 또는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복합 센서의 해상도(resolution)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하는 복합 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센서 또는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상기 복합 센서들에 대한 폴링 레이트(polling rate)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하는 복합 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25.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복합 센서 또는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화재 징후가 감지되면, 상기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증가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26. 삭제
  27.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배경을 제거하고 전경 및 객체의 패턴에 기초하여 화염 및 연기를 추출함으로써 화재 징후를 감지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추출된 화염 및 연기에 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상기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화재 징후 감지부는,
    상기 추출된 화염 및 연기의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화재 확산 여부 및 방향을 식별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식별된 화재 확산 여부 및 방향에 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상기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29. 청구항 2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피 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대피 유도 장치와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전달된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상기 대피 유도 장치를 구동하는 로컬 대피 유도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로컬 대피 유도 처리부는,
    미리 설정된 로컬 대피 시나리오들 중에서 상기 화재 징후 정보, 군집 정보, 또는 접속이 단절되기 전까지 외부의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한 대피 유도 명령에 기초하여 결정된 로컬 대피 시나리오에 따라 간이 대피 유도 명령을 생성하고,
    만약 화재 징후에 관한 상황 데이터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대피 유도 명령이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관제 서버와 접속이 단절되면, 상기 간이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상기 대피 유도 장치를 구동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31.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신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의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화재 징후의 감지 여부, 상황 데이터의 크기, 네트워크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한 조건에 따라 상기 유선 통신 수단 및 무선 통신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통신 수단을 선택하고 또한 선택된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할 페이로드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3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상황 데이터 생성부는,
    화재 징후를 감지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에 인접한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의 경우에는 부호화된 영상 정보, 화재 징후 정보 및 군집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고, 나머지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의 경우에는 화재 징후 정보 군집 또는 군집 정보를 포함하여 상황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3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카메라는 가시광선 영상 또는 열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PTZ 카메라 또는 어안 렌즈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34. 청구항 2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피 유도 기능을 수행하는 대피 유도 장치와 네트워크가 구성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수신되는 대피 유도 명령에 따라 대피 유도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대피 유도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35. 청구항 21에 있어서,
    화재 징후를 감지하는 시점의 전후로 지정된 시간만큼 영상 정보를 유지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36.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복합 화재 감시 장치는,
    다른 복합 화재 감시 장치들로부터 전달되는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방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재 감시 장치.
KR1020120005868A 2012-01-18 2012-01-18 능동적 대피 및 구조를 위한 영상 기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200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868A KR101200268B1 (ko) 2012-01-18 2012-01-18 능동적 대피 및 구조를 위한 영상 기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868A KR101200268B1 (ko) 2012-01-18 2012-01-18 능동적 대피 및 구조를 위한 영상 기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268B1 true KR101200268B1 (ko) 2012-11-12

Family

ID=4756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868A KR101200268B1 (ko) 2012-01-18 2012-01-18 능동적 대피 및 구조를 위한 영상 기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26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528B1 (ko) 2013-08-13 2014-10-10 주식회사 하이맥스 Cctv를 이용한 화재 경보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09959A (ko) 2014-03-21 2015-10-0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741107B1 (ko) * 2015-12-14 2017-06-15 주식회사 앤다스 Cctv를 이용한 화재 감시 방법 및 장치
KR101793636B1 (ko) * 2017-05-31 2017-11-03 주식회사 투윈스컴 통합 지능형 cctv 영상 처리 시스템
KR20180065281A (ko) * 2016-12-07 2018-06-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스마트 대피 안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006274B1 (ko) * 2018-11-09 2019-08-01 주식회사 티포엘 질소화합물 측정용 그래핀 복합체 기반 반도체식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IoT 가스센서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102013952B1 (ko) * 2018-12-10 2019-10-21 (주)비전정보통신 Cctv를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 감시 시스템
KR20230037211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우선순위 기반 화재감시 시스템
KR102580324B1 (ko) * 2022-12-16 2023-09-20 주식회사 더정진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8377A (ja) 2005-11-07 2007-05-24 Mitsubishi Heavy Ind Ltd 避難者行動予測装置および避難者行動予測方法
KR100839090B1 (ko) 2008-03-17 2008-06-20 (주)나인정보시스템 영상기반 화재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8377A (ja) 2005-11-07 2007-05-24 Mitsubishi Heavy Ind Ltd 避難者行動予測装置および避難者行動予測方法
KR100839090B1 (ko) 2008-03-17 2008-06-20 (주)나인정보시스템 영상기반 화재감시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528B1 (ko) 2013-08-13 2014-10-10 주식회사 하이맥스 Cctv를 이용한 화재 경보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09959A (ko) 2014-03-21 2015-10-0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741107B1 (ko) * 2015-12-14 2017-06-15 주식회사 앤다스 Cctv를 이용한 화재 감시 방법 및 장치
KR20180065281A (ko) * 2016-12-07 2018-06-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스마트 대피 안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961951B1 (ko) * 2016-12-07 2019-04-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스마트 대피 안내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793636B1 (ko) * 2017-05-31 2017-11-03 주식회사 투윈스컴 통합 지능형 cctv 영상 처리 시스템
KR102006274B1 (ko) * 2018-11-09 2019-08-01 주식회사 티포엘 질소화합물 측정용 그래핀 복합체 기반 반도체식 가스센서를 포함하는 IoT 가스센서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102013952B1 (ko) * 2018-12-10 2019-10-21 (주)비전정보통신 Cctv를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 감시 시스템
KR20230037211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우선순위 기반 화재감시 시스템
KR102561528B1 (ko) * 2021-09-09 2023-07-31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우선순위 기반 화재감시 시스템
KR102580324B1 (ko) * 2022-12-16 2023-09-20 주식회사 더정진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268B1 (ko) 능동적 대피 및 구조를 위한 영상 기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EP3118826B1 (en) Home, office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using micro mobile drones and ip cameras
KR101544019B1 (ko) 합성 영상을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방법
DK2815389T3 (en) SYSTEMS AND PROCEDURES FOR PROVIDING EMERGENCY RESOURCES
CN104992536B (zh) 智能火灾自动报警逃生指示系统及其方法
KR102152123B1 (ko) 상가 화재를 감지 제어하는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지능형 휴대 단말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1566839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CN103493112A (zh) 红外传感器系统及方法
KR102407327B1 (ko) 화재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시스템
CN10270768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工厂安保系统及其实现方法
KR102096175B1 (ko) 천장 레일형 IoT 기반 감시 로봇 장치
KR102335994B1 (ko) 드론 감시를 위한 촬영 감시 장치들의 통합 제어 장치
KR101111493B1 (ko) 지능형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화재 인식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4208A (ko) 비콘신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8460963B (zh) 远程消防监控平台
KR101020670B1 (ko) 원격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방범 시스템
KR10160820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현장 감시 방법 및 장치
KR101250956B1 (ko) 자동 관제 시스템
KR101772391B1 (ko)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성 분석 모듈을 이용하는 확장형 감시 장비
KR102113527B1 (ko) 열화상 ip cctv 시스템 및 이를 통한 화재 감지 방법
KR101172314B1 (ko)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1240239A (zh) 一种智能侦检机器人系统
CN109327681B (zh) 一种特定人员识别告警系统及其方法
KR101509223B1 (ko) 모니터링 자동 포착기능이 구비된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