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324B1 -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324B1
KR102580324B1 KR1020220176640A KR20220176640A KR102580324B1 KR 102580324 B1 KR102580324 B1 KR 102580324B1 KR 1020220176640 A KR1020220176640 A KR 1020220176640A KR 20220176640 A KR20220176640 A KR 20220176640A KR 102580324 B1 KR102580324 B1 KR 10258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alarm
alarm device
fire extinguish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정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정진
Priority to KR102022017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2Mechanical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the breaking of a w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건물 복도에서 비상구로의 피난방향을 안내하며 하측의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로서, 후면이 복도 측벽에 부착 가능한 몸체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 플레이트의 전면에 누름 가능하게 장착된 누름 플레이트; 및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의 상부가 노출된 상부 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 플레이트의 상부 노출부는, 복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피난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좌방향 표시 LED와 우방향 표시 LED를 구비한 피난유도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플레이트는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축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화재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누름 플레이트가 눌려지면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피난유도표시부의 좌방향 표시 LED와 우방향 표시 LED 중 사전에 정해진 비상구 방향의 LED를 작동시키는 LED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FIRE ALARM APPARATUS WITH EVACUATION GUIDANCE AND FIRE EXTINGUISHER LOCATION DISPLAY FUNCTION FIRE ALARM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적 재난으로 일컫는 화재는 소방시설 노후화, 소방시설 관리소홀, 인간의 부주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화재 발생시 초기 진압은 작은 불에서 큰 불로 번져 대형참사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초기 진압에 유용한 것이 소화기이다.
그러나 화재 발생시 평소 소화기를 인지하지 않던 사람들 소화기를 찾아 초기 진압을 위해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며, 소화기의 위치를 평소 인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갑작스런 화재의 발생으로 인한 인지 능력의 저하, 화재경험의 부재 등으로 소화기를 찾아 초기 화재를 진압하기 어렵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재 경보 장치의 원리는 열, 연기,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에 의하여 감지된 감지기의 화재신호가 입력되고 이를 표시하거나 경보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화기 위치 표시에는 주로 축광도료를 이용한 스티커 부착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소화기를 발견한다 하더라도 화재의 발화지점을 모르거나 화재의 확산 방향을 알지 못해 초기 진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학교와 같이 일시적 인구의 밀집도가 높고, 긴 복도를 가지고 있는 건축물에서는, 피난시 피구조자가 병목되는 추가적 위험요소를 해결해야 한다.
등록특허 제10-1146474호(2012.05.2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학교와 같이 일시적 인구의 밀집도가 높은 건축물에서, 비상구로의 피난방향을 안내하며 소화기의 위치를 함께 표시하는,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화재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건물 복도에서 비상구로의 피난방향을 안내하며 하측의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로서, 후면이 복도 측벽에 부착 가능한 몸체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 플레이트의 전면에 누름 가능하게 장착된 누름 플레이트; 및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의 상부가 노출된 상부 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 플레이트의 상부 노출부는, 복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피난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좌방향 표시 LED와 우방향 표시 LED를 구비한 피난유도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플레이트는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축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화재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누름 플레이트가 눌려지면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피난유도표시부의 좌방향 표시 LED와 우방향 표시 LED 중 사전에 정해진 비상구 방향의 LED를 작동시키는 LED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 플레이트에는, 하측 소화기를 향해 배향되어 상기 소화기의 이탈을 감지하는 IR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소화기의 이탈이 감지되면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누름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대피 안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성 스피커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 플레이트에는,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화재경보장치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수동식 복귀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경보장치는 복도 측벽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화재경보장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화재경보장치에서 생성된 화재발생신호를 다른 화재경보장치들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LED 작동부에 제공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한 후 설정 시간이 도과되면 상기 LED 작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경보장치는, 전방에서 이동하는 사람의 수 및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열화상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열화상카메라로 감지되는 사람의 수가 미리 정해진 수 이상이거나 또는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설정 시간이 도과하지 않더라도 상기 LED 작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경보장치는 복도 측벽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열화상카메라는, 전방에서 이동하는 사람들의 이동 방향을 감지 가능하며, 상기 화재경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재경보장치에서 생성된 화재발생신호를 다른 화재경보장치들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LED 작동부에 제공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발생신호가 생성된 화재경보장치의 좌측 및 우측 중, 일측으로 이동하는 사람의 수가 미리 정해진 수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화재경보장치의 구동부는, 상기 화재발생신호가 생성된 화재경보장치를 기준으로 타측의 화재경보장치들의 LED의 안내 방향이 일측의 화재경보장치와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화재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화재경보장치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으로서, 소화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소화기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기 받침대는, 상기 소화기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충격에 의해 소화기가 좌우로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연장을 감지하여 소화기 충격 신호를 생성하는 회전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경보장치의 구동부는, 상기 소화기 받침대의 회전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소화기 충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LED 작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재경보장치 상측의 상기 화재경보장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복도 바닥에 대피 경로를 표시하는 레이저 표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표시장치는, 상기 화재발생신호가 생성된 화재경보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사전에 정해진 비상구 방향으로 대피 경로 문양을 표시하고, 다른 비상구 방향으로는 상기 사전에 정해진 비상구 방향을 향한 대피 회귀 문양, 또는 다른 비상구 방향으로 대피 금지 문양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교와 같이 일시적 인구의 밀집도가 높은 건축물에서, 소화기 위치표시를 쉽게 파악하여 초기화재에 대응이 가능하고, 비상구로의 피난방향을 안내하며 신속하게 화재대피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화재경보장치를 눌러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화재의 초기 진압이 가능하도록 하며, 화재경보장치의 방향 표시 LED를 통해 피난유도방향을 표시함과 동시에 축광부를 통해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재경보장치 하부 소화기의 이탈을 IR 감지센서로 감지하여 소화기 이탈시 화재의 발화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재경보장치를 사용한 화재경보시스템의 구동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재경보장치가 IR 감지센서를 통해 하측의 소화기 이탈을 감지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도 1의 화재경보장치를 기준으로 비상구 방향으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레이저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재경보장치를 사용한 화재경보시스템의 구동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는, 건물 복도에서 비상구로의 피난방향을 안내하며 하측의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건물은 예를 들어, 학교와 같이 일시적 인구의 밀집도가 높고, 긴 복도를 가지고 있는 건축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는 복도 측벽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 배치되어 화재경보시스템을 구성한다. 화재경보장치 아래에는 소화기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장치는, 몸체 플레이트(100), 누름 플레이트(200), 구동부(300), 통신부(400), 및 열화상카메라(500)를 포함한다.
몸체 플레이트(100)는 후면이 복도 측벽에 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몸체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또는 별도의 고정구를 통해, 몸체 플레이트(100)가 복도 측벽에 부착될 수 있다. 몸체 플레이트(10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 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누름 플레이트(200)가 장착되며, 누름 플레이트(200)의 상측에는 몸체 플레이트(100)의 상부가 노출된 상부 노출부(110)가 형성된다.
몸체 플레이트(100)의 상부 노출부(110)는 피난유도표시부(111)를 포함한다. 피난유도표시부(111)는, 복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피난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좌방향 표시 LED(111a)와 우방향 표시 LED(111b)를 구비한다. 피난유도표시부(111)는 구동부(300)에 의해 작동되며, 화재시 좌방향 표시 LED(111a)와 우방향 표시 LED(111b)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된다. 구동부(300)는 몸체 플레이트(100) 내에 설치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좌방향 표시 LED(111a)와 우방향 표시 LED(111b) 각각은 복수개의 화살표 형상으로 구성되며, 화살표가 순차 점등되는 점멸식 점등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피난유도표시부(111)의 LED 점등 방향은 특정 비상구를 향한 방향으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몸체 플레이트(100)에는, 하측 소화기를 향해 배향되어 소화기의 이탈을 감지하는 IR 감지센서(120)가 구비된다. IR 감지센서(120)는 몸체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설치된다. 구동부(300)는 소화기의 이탈이 감지되면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한다.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소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꺼내면, IR 감지센서(120)는 소화기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다.
몸체 플레이트(100)에는,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구동부(300)의 작동을 중단하고 화재경보장치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수동식 복귀 버튼(130)이 구비된다. 수동식 복귀 버튼(130)은 몸체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IR 감지센서(120)와 이격되어 설치된다. 화재가 진압된 후, 사용자가 수동식 복귀 버튼(130)을 누르면 화재경보장치가 초기화된다.
누름 플레이트(200)는 몸체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누름 가능하게 장착된다. 누름 플레이트(200)는 공지된 누름 스위치 방식으로 몸체 플레이트(100)에 장착된다. 누름 플레이트(200)는 대략 폭이 몸체 플레이트(100)와 같고, 높이가 몸체 플레이트(100)보다 작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누름 플레이트(200)는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축광부(2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축광부(210)에는 단축광 도료보다 밝기가 오래 유지되는 장축광 도료가 사용될 수 있다. 축광부(210)는 소화기를 향해 아래쪽을 가리키는 화살표 형상을 포함한다.
누름 플레이트(200)의 전면에는, 구동부(300)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대피 안내 음성을 발생시키는 음성 스피커(220)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누름 플레이트(200)를 누르면, 화재발생신호가 생성되어 음성 스피커(220)에서 대피 경보음이 송출된다. 특히, 후술하는 화재경보장치의 통신부(400)를 통해 일 화재경보장치의 화재발생신호가 다른 화재경보장치들로 송신되면, 다른 화재경보장치들로부터 동시에 경보음이 송출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화재 신호 생성부(310) 및 LED 작동부(320)를 포함한다. 화재 신호 생성부(310)는 화재시 사용자에 의해 누름 플레이트(200)가 눌려지면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한다. 또는, IR 감지센서(120)에 의해 소화기 이탈이 감지되면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한다. LED 작동부(320)는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피난유도표시부의 좌방향 표시 LED(111a)와 우방향 표시 LED(111b) 중 사전에 정해진 비상구 방향의 LED를 작동시킨다. 한편, 구동부(300)는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한 후 설정 시간이 도과되면 LED 작동부(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설정 시간은 예를 들어 5초 내지 10초, 또는 30초 이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실수로 누름 플레이트(200)를 누르는 경우에도, 중앙 관제부 또는 수동식 복귀 버튼(130)을 통해 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구동부(300)의 구동 패턴은 빅데이터화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통신부(400)는 송신부(410) 및 수신부(420)를 포함한다. 송신부(410)는 적어도 하나의 화재경보장치에서 생성된 화재발생신호를 다른 화재경보장치들로 송신한다. 통신부(400)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수신부(420)는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LED 작동부(32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측의 특정 화재경보장치에서 발생한 화재발생신호가 다른 화재경보장치들로 송신되어 다른 화재경보장치가 동시에 작동된다.
열화상카메라(500)는 전방에서 이동하는 사람의 수 및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감지할 수 있다. 열화상카메라(500)는 몸체 플레이트(100)의 상부 노출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한 후 열화상카메라(500)로 감지된 수가 미리 정해진 수 이상이거나 또는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설정 시간이 도과하지 않더라도 LED 작동부(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화재 진압은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데, 상기 구성을 통해 상기 설정 시간 동안 화재경보장치가 작동하지 않음으로써 골든타임을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화상카메라(500)는 전방에서 이동하는 사람들의 이동 방향을 감지 가능하다. 상기 이동 방향 정보는, 열화상카메라(500)로 취득한 영상을 프로세서로 분석하여 얻을 수 있다. 화재발생신호가 생성된 화재경보장치의 좌측 및 우측 중, 일측으로 이동하는 사람의 수가 미리 정해진 수 이상인 경우, 복수개의 화재경보장치의 구동부(3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구동부(300)는 화재발생신호가 생성된 화재경보장치를 기준으로 타측의 화재경보장치들의 LED의 안내 방향이 일측의 화재경보장치와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화재가 한 교실 내에서 발생한 경우, 교실로부터 학생들이 한 방향으로 나오면, 다른 교실들의 학생들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해당 층의 비상구에 병목 현상이 생겨 2차 사고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열화상카메라(500)가 학생들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학생들의 이동이 복도 양측 비상구 중 어느 한쪽으로 몰리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병목 현상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화재경보장치가 IR 감지센서를 통해 하측의 소화기 이탈을 감지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시스템은, 소화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소화기 받침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화기 받침대(600)는 탄성 부재(610) 및 회전 감지 센서(620)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610)는, 소화기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충격에 의해 소화기가 좌우로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회전 감지 센서(620)는 상기 탄성 부재(610)의 연장을 감지하여 소화기 충격 신호를 생성한다. 화재경보장치의 구동부(300)는, 소화기 받침대(600)의 회전 감지 센서(620)로부터 소화기 충격 신호를 수신하여 LED 작동부(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시 사용자가 경황이 없어 소화기를 꺼내지 못하는 경우에도, 소화기를 간단히 발로 차는 방식으로 화재경보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4은 도 1의 화재경보장치를 기준으로 비상구 방향으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레이저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경보시스템은, 레이저 표시장치(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표시장치(700)는, 화재경보장치 상측의 화재경보장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복도 바닥에 대피 경로를 표시한다. 레이저 표시장치(700)는, 화재발생신호가 생성된 화재경보장치를 기준으로 사전에 정해진 비상구 방향으로 대피 경로 문양을 표시한다. 다른 비상구 방향으로는 상기 사전에 정해진 비상구 방향을 향한 대피 회귀 문양, 또는 다른 비상구 방향으로 대피 금지 문양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시 연기 등으로 인해 화재경보장치의 LED가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레이저에 의해 표시되는 바닥 문양을 보고 적절한 비상구를 찾을 수 있다.
이 분야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몸체 플레이트 110: 상부 노출부
111: 피난유도표시부
111a, 111b: 좌방향 및 우방향 표시 LED
120: IR 감지센서 130: 수동식 복귀 버튼
200: 누름 플레이트 210: 축광부
220: 음성 스피커 300: 구동부
310: 화재 신호 생성부 320: LED 작동부
400: 통신부 410: 송신부
420: 수신부 500: 열화상카메라
600: 소화기 받침대 610: 탄성 부재
620: 회전 감지 센서 700: 레이저 표시장치

Claims (11)

  1. 건물 복도에서 비상구로의 피난방향을 안내하며 하측의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로서,
    후면이 복도 측벽에 부착 가능한 몸체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 플레이트의 전면에 누름 가능하게 장착된 누름 플레이트; 및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의 상부가 노출된 상부 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 플레이트의 상부 노출부는, 복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피난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좌방향 표시 LED와 우방향 표시 LED를 구비한 피난유도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플레이트는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축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화재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누름 플레이트가 눌려지면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피난유도표시부의 좌방향 표시 LED와 우방향 표시 LED 중 사전에 정해진 비상구 방향의 LED를 작동시키는 LED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플레이트에는,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화재경보장치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수동식 복귀 버튼; 및 하측 소화기를 향해 배향되어 상기 소화기의 이탈을 감지하는 IR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누름 플레이트가 눌려지거나 상기 소화기의 이탈이 감지되면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한 후 설정 시간이 도과되면 상기 LED 작동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화재경보장치는, 전방에서 이동하는 사람의 수 및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열화상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열화상카메라로 감지되는 사람의 수가 미리 정해진 수 이상이거나 또는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설정 시간이 도과하지 않더라도 상기 LED 작동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화재경보장치는 복도 측벽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열화상카메라는, 전방에서 이동하는 사람들의 이동 방향을 감지 가능하며, 상기 화재경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재경보장치에서 생성된 화재발생신호를 다른 화재경보장치들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LED 작동부에 제공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발생신호가 생성된 화재경보장치의 좌측 및 우측 중, 일측으로 이동하는 사람의 수가 미리 정해진 수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화재경보장치의 구동부는, 상기 화재발생신호가 생성된 화재경보장치를 기준으로 타측의 화재경보장치들의 LED의 안내 방향이 일측의 화재경보장치와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대피 안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성 스피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경보장치는 복도 측벽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화재경보장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화재경보장치에서 생성된 화재발생신호를 다른 화재경보장치들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LED 작동부에 제공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방식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의 화재경보장치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으로서,
    소화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소화기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기 받침대는,
    상기 소화기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충격에 의해 소화기가 좌우로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연장을 감지하여 소화기 충격 신호를 생성하는 회전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경보장치의 구동부는, 상기 소화기 받침대의 회전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소화기 충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LED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시스템.
  11. 제1항의 화재경보장치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재경보장치 상측의 상기 화재경보장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복도 바닥에 대피 경로를 표시하는 레이저 표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표시장치는, 상기 화재발생신호가 생성된 화재경보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사전에 정해진 비상구 방향으로 대피 경로 문양을 표시하고, 다른 비상구 방향으로는 상기 사전에 정해진 비상구 방향을 향한 대피 회귀 문양, 또는 다른 비상구 방향으로 대피 금지 문양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시스템.
KR1020220176640A 2022-12-16 2022-12-16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 KR102580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6640A KR102580324B1 (ko) 2022-12-16 2022-12-16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6640A KR102580324B1 (ko) 2022-12-16 2022-12-16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324B1 true KR102580324B1 (ko) 2023-09-20

Family

ID=8819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6640A KR102580324B1 (ko) 2022-12-16 2022-12-16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3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167A (ko) * 2010-11-03 2012-05-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KR101200268B1 (ko) * 2012-01-18 2012-11-12 주식회사 프리진 능동적 대피 및 구조를 위한 영상 기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KR20170071706A (ko) * 2015-12-16 2017-06-26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
KR102373894B1 (ko) * 2020-09-10 2022-03-15 한국광기술원 유도등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466999B1 (ko) * 2021-11-26 2022-11-14 주식회사 디아이지엔지니어링 화재 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167A (ko) * 2010-11-03 2012-05-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KR101146474B1 (ko) 2010-11-03 2012-05-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KR101200268B1 (ko) * 2012-01-18 2012-11-12 주식회사 프리진 능동적 대피 및 구조를 위한 영상 기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KR20170071706A (ko) * 2015-12-16 2017-06-26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
KR102373894B1 (ko) * 2020-09-10 2022-03-15 한국광기술원 유도등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466999B1 (ko) * 2021-11-26 2022-11-14 주식회사 디아이지엔지니어링 화재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488B1 (ko) 피난 유도 알리미 장치 및 시스템
US7026947B2 (en) Building emergency path finding systems and method
US20020057204A1 (en) Color-coded evacuation signalling system
KR100985507B1 (ko)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6012161B2 (ja) 避難誘導システム及び避難誘導方法
KR101849330B1 (ko) 화재시 종합 대피 시스템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KR20170079124A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580324B1 (ko) 피난유도 및 소화기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경보시스템
JP4009606B2 (ja) 救助システム
KR102224167B1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CN210488728U (zh) 一种消防报警装置安装盒
US7393121B2 (en) Laser guidance emergency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KR20190128327A (ko) 레이저를 이용한 대피 유도 기능을 갖는 재난 경보시스템
JP6486509B2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200333763Y1 (ko) 휴대용 다목적 비상경보장치
KR20190092200A (ko) 화재감지시 스마트앱을 통한 안전탈출시스템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JP2017027610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20210060750A (ko) IoT 기반의 인공지능 화재 대피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KR101799907B1 (ko) Led 벽면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CN211598365U (zh) 一种能够预警火灾的防火门
JP6074909B2 (ja) 火災受信機および防災システム
KR20200114565A (ko)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