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849B1 -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849B1
KR100981849B1 KR1020080062657A KR20080062657A KR100981849B1 KR 100981849 B1 KR100981849 B1 KR 100981849B1 KR 1020080062657 A KR1020080062657 A KR 1020080062657A KR 20080062657 A KR20080062657 A KR 20080062657A KR 100981849 B1 KR100981849 B1 KR 100981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re detector
air compressor
sensor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680A (ko
Inventor
김철희
이영환
안종국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8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상측 케이스의 전면으로 별도의 에어 컴프레서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 유도구를 장착하고, 상기 에어 컴프레서에서의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 유도구까지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그 공기 유도구의 배면에 형성된 입구부에 에어호스를 연결하여 상기 공기 유도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압축공기가 유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창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여 감지센서의 감도 저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 감지기, 분진 제거장치, 감지센서, 공기 유도구

Description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Dust eliminator of fire detector}
본 발명은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진이 많은 실외에 설치되어 화염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의 센서 감도를 저하시키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압축공기를 통해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건축되는 건물에는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해주는 화재 감지기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화재 감지기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때 이를 감지하여 신속히 경보해주므로서, 화재 발생시 많은 사람들이 신속히 대피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또 화재를 조기에 발견 진압하여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화재 감지기는 상,하측 케이스가 결합되고, 그 내부에 화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내장되어 있는 바, 화재로 인하여 발생한 화염이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될 경우, 그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화재의 발생을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전기적인 회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화재 감지기는 분진이 많은 실외에 설치되어 있어 화재 초기의 화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그 분진으로 인하여 오염됨에 따라 감지센서의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상측 케이스의 전면으로 별도의 에어 컴프레서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 유도구를 장착하고, 상기 에어 컴프레서에서의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 유도구까지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그 공기 유도구의 배면에 형성된 입구부에 에어호스를 연결하여 구성된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원반 형상의 상,하측 케이스(10,20)와; 상기 상측 케이스(10)의 중앙에 형성된 센서창(11)내부에 화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0)와; 화재 감지기의 근접한 위치에 별도로 장착되어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 컴프레서(40)과; 상기 에어 컴프레서(40)에서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지속적으로 화재 감지기로 유도할 수 있도록 에어 컴프레서(40)의 전면에 연결되는 에어호스(50)와; 상기 화재 감지기의 둘레면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호스(50)가 배면의 입구부(61)에 연결되고, 압축공기가 감지센서(30) 방향으로 유도 가능토록 출구부(62)가 형성된 공기 유도구(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공기 유도구(60)와 에어 컴프레서(40)는 그 사이 의 에어호스(50) 상에 상기 에어 컴프레서(40)에서 발생된 고압공기가 화재 감지기로 선택적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그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밸브장치(7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장치(70)는 그 개폐 주기를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타이머(8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에 의하면, 화재 감지기에 장착되어 화재 발생시 화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감도 저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 감지기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및 이와 연결된 에어 컴프레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지기는 초기 화재시 발생하는 화염에 의하여 화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감지기로서, 보통 분진이 많은 실외 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응답성이 우수하여 주로 이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재 감지기는 원반 형상의 상,하측 케이스(10,20)가 서로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측 케이스(10)의 중앙에 형성된 센서창 (11) 내부에 화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0)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감지센서(30)는 열과 연기로 이루어진 화염을 감지하는 센싱부(미도시)로 이루어지며, 그 센싱부에서 화염을 감지하게 될 경우, 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는 그 전송된 감지 신호를 바탕으로 경보장치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설정값 이상의 열과 연기가 센싱부에서 감지될 경우, 경보장치(미도시)를 작동시켜 사람들에게 화재 발생을 알리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을 갖는 화재 감지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분진이 많은 실외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흐를수록 상기 감지센서(30)에 분진 등의 이물질이 달라붙게 됨에 따라 감지센서(30)가 오작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게 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화재 감지기의 감지센서(30)에 달라붙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한 분진 제거장치는 상기 화재 감지기의 근접한 위치에 별도로 장착되어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 컴프레서(40)과, 상기 에어 컴프레서(40)에서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지속적으로 화재 감지기로 유도할 수 있도록 에어 컴프레서(40)의 전면에 연결되는 에어호스(50)와, 상기 화재 감지기의 둘레면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호스(50)가 배면의 입구부(61)에 연결되고, 압축공기가 감지센서(30) 방향으로 유도 가능토록 출구부(62)가 형성된 공기 유도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 컴프레서(40)은 모터 또는 전기를 통해 구동되며, 이를 통해 발생하는 압축공기가 전방으로 송풍되도록 이루어진 바, 그 에어 컴프레서(40)에는 상기 에어호스(50)와 연결되는 공기 토출구(미도시)가 구비되어 발생된 압축공기가 누출되지 않고 전부 에어호스(50)를 통해 공기 유도구(60)로 유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재 감지기의 공기 유도구(60)와 에어 컴프레서(40) 사이의 에어호스(50) 상에는 그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밸브장치(70)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 컴프레서(40)에서 발생된 고압공기가 화재 감지기로 선택적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밸브장치(70)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동일한 작동을 수행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밸브장치(70)는 일정 주기로 개폐될 수 있도록 타이머(80)가 구비되는 바, 상기 밸브장치(70)의 개폐 주기의 조정은 화재 감지기의 분진 제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면서 에어 컴프레서(40)의 구동 전기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유도구(60)의 입구부(61)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출구부(62)를 통해 배출되는 바, 화재 감지기의 센서창(11)에 달라붙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그 센서창(11)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감지센서(30)의 센싱부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 감지기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및 이와 연결된 에어 컴프레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측 케이스 11 : 센서창
20 : 하측 케이스 30 : 감지센서
40 : 에어 컴프레서 50 : 에어호스
60 : 공기 유도구 61 : 입구부
62 : 출구부 70 : 밸브장치
80 : 타이머

Claims (4)

  1.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원반 형상의 상,하측 케이스(10,20)와;
    상기 상측 케이스(10)의 중앙에 형성된 센서창 (11)내부에 화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0)와;
    화재 감지기의 근접한 위치에 별도로 장착되어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 컴프레서(40)과;
    상기 에어 컴프레서(40)에서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지속적으로 화재 감지기로 유도할 수 있도록 에어 컴프레서(40)의 전면에 연결되는 에어호스(50)와;
    상기 화재 감지기의 둘레면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호스(50)가 배면의 입구부(61)에 연결되고, 압축공기가 감지센서(30) 방향으로 유도 가능토록 출구부(62)가 형성된 공기 유도구(60)와,
    상기 공기 유도구(60)와 에어 컴프레서(40)의 사이의 에어호스(50) 상에 상기 에어 컴프레서(40)에서 발생된 고압공기가 화재 감지기로 선택적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그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밸브장치(70)와,
    상기 밸브장치(70)의 개폐 주기를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타이머(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장치(7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062657A 2008-06-30 2008-06-30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KR100981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657A KR100981849B1 (ko) 2008-06-30 2008-06-30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657A KR100981849B1 (ko) 2008-06-30 2008-06-30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680A KR20100002680A (ko) 2010-01-07
KR100981849B1 true KR100981849B1 (ko) 2010-09-13

Family

ID=4181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657A KR100981849B1 (ko) 2008-06-30 2008-06-30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877B1 (ko) * 2019-09-25 2019-10-22 주식회사 건국방재엔지니어링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460A (ko) * 1995-11-14 1997-06-24 남일 광화이버 센서용 분진제거장치
JP2000315285A (ja) 1999-04-30 2000-11-14 Nohmi Bosai Ltd 火災検知器および防災システム
KR200324124Y1 (ko) * 2003-04-24 2003-08-21 최종흠 확장형 불꽃감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460A (ko) * 1995-11-14 1997-06-24 남일 광화이버 센서용 분진제거장치
JP2000315285A (ja) 1999-04-30 2000-11-14 Nohmi Bosai Ltd 火災検知器および防災システム
KR200324124Y1 (ko) * 2003-04-24 2003-08-21 최종흠 확장형 불꽃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680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386B1 (ko) 화재 감지기의 분진 제거장치
KR102379628B1 (ko) 공기조화기 및 이를 이용한 먼지농도 표시방법
US6170480B1 (en) Commercial kitchen exhaust system
CA2534759C (en) Ambient condition detector with multi-function test
CN104574776A (zh) 一种点型主动感烟探测器
TWI775950B (zh) 集塵裝置及集塵裝置之濾網之破損檢測方法
CA2921709A1 (en) Hazardous gas response system
US20070124955A1 (en) Air-Flow Sensor System for Clothes Dryer Applications
US20030183085A1 (en) Air conditioner filter monitoring apparatus
KR101361449B1 (ko)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된 배기팬
KR100981849B1 (ko) 화재 감지기용 분진 제거장치
KR20190001975A (ko)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CN204423580U (zh) 一种点型主动感烟探测器
JP6942597B2 (ja) 火災警報装置
US2020016351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uction device and suction device
JP6053614B2 (ja) 室内換気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50253793A1 (en) Appliance Shut-Off Device
CN105790107B (zh) 一种自动调控式散热防尘配电柜
KR20180001276U (ko) 화재방지장치를 구비한 집진장치
KR20160084012A (ko) 화재방재장치
KR20180111072A (ko)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JP5069889B2 (ja) 煙感知装置
KR102034877B1 (ko) 연기감지기의 클리너장치
JP6007401B2 (ja) 空気清浄機
JPH04169727A (ja) 排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