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445B1 - 급수시설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급수시설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445B1
KR101322445B1 KR1020130031810A KR20130031810A KR101322445B1 KR 101322445 B1 KR101322445 B1 KR 101322445B1 KR 1020130031810 A KR1020130031810 A KR 1020130031810A KR 20130031810 A KR20130031810 A KR 20130031810A KR 101322445 B1 KR101322445 B1 KR 101322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supply
supply facility
detection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규
허준영
신무식
한종길
Original Assignee
(주) 동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6393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2244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동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3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6Mechanical actuation by tampering with faste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급수시설 관리장치 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급수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각종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위험을 알리는 급수시설 관리장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급수시설 관리장치 {APPARATUS FOR MANAGING WATER SUPPLY FACILITIES}
본 발명은 급수시설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급수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각종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위험을 알리는 급수시설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간이수도는 일반 주택이나 빌딩, 또는 일정한 지역 등의 소규모 급수시설(給水施設)로, 상수도 시설이 없는 곳에서 주로 이용하는데, 식수용과 잡수용으로 구분된다. 상수도 시설이 없는 곳에서 주로 이용하며, 상수도 시설은 되어 있지만 수압이 낮거나 급수량에 제한을 받는 지역에서도 많이 사용한다. 보통 지하수를 위생처리하여 사용하며, 식수용과 잡수용으로 구분한다. 식수용은 수질기준에 의한 경도(硬度)가 300ppm 이하가 되어야 하며, 인체에 해로운 유독성물질이나 병원균이 없어야 하고, 냄새, 맛, 빛깔이 없는 깨끗한 물이어야 하므로 지하수를 사용할 때는 연중 2회 이상 위생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러한 간이수도는 운영면에서 일반 상수도에 비해 간단하게 유지되면서도 위생상 지장이 없는 용수처리를 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수도 시설이 있는 일반 가정에서도 겨울에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우물물을 쓰기 위해 간이수도를 설치하여 잡용수, 냉방용수로 이용하기도 한다. 규모가 큰 아파트나 빌딩 등에서는 높은 곳에 물탱크를 설치하여 물을 끌어올려 저장해두었다가 적절한 시기에 급수하는 방법으로 운영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소규모 급수시설은 상수도가 공급되지 않는 산간지방 또는 농어촌 등의 소규모 집단거주 지역 등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거주민을 위한 급수시설로서 일선관리자로 마을 이장 등이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일선 관리자는 대부분 인근에 주거하는 농어촌 업무 종사자 이며, 급수시설 운영의 전문가가 아니므로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거나 대처할 능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소규모급수 시설에 누군가 무단 침입하여 독극물을 투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이에 대해 경고할 수 있는 방안이 없다. 따라서 일부 경비업체에 위탁관리 할 경우 경비원이 출동하여 확인하기 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경비원이 확인한 위급사항에 대한 내용을 주민에게 전파 하기위하여 일선관리자는 방송시스템이 설치된 장소(마을회관 등)에 도착하여 방송시스템에 전원을 넣고 안내방송을 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상황 대처에는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따라서 급수시설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비상상태(무단침입, 독극물투입, 화재, 단수 등)가 발생 할 경우 신속하게 관리자가 감지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주민안전에 심각한 상태를 초래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899672]에서는 간이 상수도 실시간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89967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시설 관리장치에 있어서, 급수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각종 위험상황을 감지하고, 감지된 위험상황을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알려주어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며, 거주민에게 위험상황을 자동으로 방송하여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급수시설 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에 있어서, 급수시설의 위험정보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감지부(100); 상기 감지부(10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00); 및 상기 감지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으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다수의 관리자에게 연락하고, 각각의 위험정보에 따라 미리 저장된 안내정보를 통보하는 비상호출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100)는 상기 급수시설의 도어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개폐센서(110), 상기 급수시설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20), 상기 급수시설 및 주변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30) 및 무단침입자룰 감지하는 침입감지센서(140)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급수시설 관리장치(1000)는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 또는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중계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시설 관리장치(1000)는 상기 감지부(100) 및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위험정보가 감지될 경우 해당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로 전송하는 영상촬영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급수시설 관리장치(1000)는 상기 감지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위험정보에 따라 녹음 저장된 방송내용을 반복하여 재생하는 자동비상방송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시설 관리장치(1000)는 상기 중계부(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위험정보에 따라 녹음 저장된 방송내용을 반복하여 재생하는 자동비상방송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급수시설 관리장치(1000)는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위험정보에 따라 녹음 저장된 방송내용을 반복하여 재생하는 자동비상방송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비상방송부(500)는 위험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자동비상방송부(500)의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급수시설 관리장치(1000)는 상기 감지부(100)와 열결되어 위험정보가 감지될 경우, 송수관 밸브를 자동으로 잠그는 자동잠금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에 의하면, 급수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각종 위험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감지된 위험상황을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험상황 발생 시 해당 영상을 촬영하여 위험요인 파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위험상황을 해당 거주민들에게 방송하여 해당 거주민들에게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위험상황에 대한 대처가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험상황 발생 시 자동비상방송부의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실시간으로 위험상황을 해당 거주민들에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위험상황 발생 시 송수관 밸브를 자동으로 잠금으로써 해당 거주민들에게 발생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차단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위험상황을 감지하고 조치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부를 둠으로써 상시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의 기본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의 감지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의 중계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의 영상촬영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의 자동비상방송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의 자동잠금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의 기본적인 개념도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의 감지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의 중계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의 영상촬영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의 자동비상방송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의 자동잠금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소규모 급수시설은 관리자의 비상주로 인하여 이상 또는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실시간으로 이를 감지 및 관리자에게 연락할 방법이 없다. 여기서, 위험상황은 단수의 위험이 있거나, 침입자가 급수시설을 파괴(방화)하거나, 먹는물 음용자를 대상으로 테러(독극물 투입)를 하는 등을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는 감지부(100), 전원 공급부(200) 및 비상호출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부(100)는 급수시설의 복수개의 위험정보를 감지하는 복수개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감지하고자 하는 위험정보의 개수만큼 감지부(100)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100)는 상기 급수시설의 도어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개폐센서(110), 상기 급수시설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20), 상기 급수시설 및 주변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30) 및 무단침입자를 감지하는 침입감지센서(140)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도 2 참조) 예를 들어, 점검구의 도어열림감지, 저수위감지, 화재감지, 침입자감지를 동시에 하고자 한다면 각각을 감지할 수 있는 4가지 센서를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센서(110)는 상기 급수시설의 물탱크 내부를 확인하거나 물탱크를 세척하기 위해 사람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인 점검구(도어)의 열림을 감지한다.
상기 도어개폐센서(110)는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일반적으로 도어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진동 스위치, 초음파식 검지기, 도어 스위치, 마그넷 센서(magnet sensor), 초전성 세라믹 센서(pyroelectric ceramics sensor), 도전성 접촉 센서, 도어 센서 및 마그네틱 도어 센서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개폐센서(110)는 상기 급수시설의 점검구 등 저장된 물에 접근 할 수 있는 도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무단으로 상기 도어를 개방할 경우, 독극물 살포의 위험으로 간주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위센서(120)는 상기 급수시설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일반적으로 급수시설에서 허용 가능한 최하수위 지점에 설치하여 저장된 물의 수위가 급수시설에서 허용 가능한 최하수위 미만으로 내려갈 경우 물 부족 신호를 보내준다. 다시 말해, 물탱크의 수위가 최저수위로 내려감으로써 물 공급이 중단될 위험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센서(130)는 상기 급수시설 및 주변의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일반적으로 열, 연기, 불꽃 등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한다.
상기 침입감지센서(140)는 상기 급수시설의 무단침입자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경계망 등을 무단으로 침입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외곽 출입문의 개폐를 감시하거나 동작인식 센서 등을 이용하여 무단침입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00)는 상기 감지부(10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소규모 급수시설은 산간지방 또는 농어촌 등의 소규모 집단거주 지역 등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인적이 드물고 외진 곳이 대부분으로, 전기나 유선전화 등을 사용할 수 없는 지역이 많으므로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저장하고, 이를 공급할 수 있는 태양광 전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호출제어부(300)는 상기 감지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으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다수의 관리자에게 연락하고, 각각의 위험정보에 따라 미리 저장된 안내정보를 통보한다. 다시 말해,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아 다수의 관리자에게 연락하고, 해당 위험정보에 따라 미리 입력된 안내멘트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수신자와 연결을 완료 후 위험상황 내용을 수신자가 청취하고 있을 경우 반복적으로 음성녹음내용을 송출하고 첫 번째 수신자와 연결이 끊어지면 두 번째 수신자를 선택하여 첫 번째 수신자와 같은 음성녹음내용을 송출하고, 두 번째 수신자에게 통보가 완료되면 세 번째 수신자를 선택하여 일련 프로세스를 진행하거나, 동시에 모든 수신자에게 연결하여 위험상황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안내멘트의 전달은 관리자의 전화, 핸드폰, 기타 연락 가능한 단말기 등에 문자 또는 음성정보를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상황 발생 시 관련된 담당자에게 자동으로 전화 연결을 하고, 미리 녹음된 음성안내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보내어 관련된 담당자에게 위험정보를 알릴 수 있어 위험상황 발생을 감지하고 후속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멘트는 감지되는 센서의 종류에 따라서 침입자 발생, 물탱크 점검구 도어 개방, 물 단수 예정, 화재발생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위험상황에 따른 안내멘트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관리자는 일선 관리자, 담당공무원, 시설관리회사의 담당 관리자 등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위급상황의 통보에 필요한 연락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가 관리자에게 유선전화로 연락하도록 구성할 경우,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는 유선통신망을 이용하기 용이한 장소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급수시설과의 거리가 멀어 유선으로 상기 감지부(100)와 연결하기 어려울 경우, 상기 감지부(10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와 상기 감지부(100)가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 상기 감지부(100)는 각각의 감지센서별로 무선으로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송신 기능이 있는 감지센서를 이용 할 수 있으며,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는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을 수 있는 무선수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는 각각의 감지센서를 구분하여 상기 급수시설에 어떤 위험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는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 또는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중계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통신하게 되는 외부장치는 자동비상방송부(500) 또는 통합 관리를 하기 위한 서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중계부(400)를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감지부(100)와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 간의 거리가 멀어 원활하게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위험이 있을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감지부(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위험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외부로 상기 위험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무선송출부 하나로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물론, 외부로 신호를 송출하는 방법이 무선 뿐 아니라 유선으로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는 상기 감지부(100) 및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위험정보가 감지될 경우 해당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로 전송하는 영상촬영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없을 경우는 녹화를 하지 않고 대기 상태로 있다가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있을 경우 녹화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촬영부(170)는 상기 감시가 가능해야 하므로 주야간 촬영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촬영부(170)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로 전송하여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에 저장하는 이유는 침입자의 시설물 파괴로 인해 촬영된 영상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는 상기 영상촬영부(17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받아 저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영상촬영부(170)는 영상촬영에 필요한 전력을 상기 전원공급부(200)로부터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는 상기 감지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위험정보에 따라 녹음 저장된 방송내용을 반복하여 재생하는 자동비상방송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자동비상방송부(500)는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직접 입력받아 해당 위험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100)와 상기 비상방송부(400)는 저전력으로 유선 또는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는 상기 중계부(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위험정보에 따라 녹음 저장된 방송내용을 반복하여 재생하는 자동비상방송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자동비상방송부(500)는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상기 중계부(400)를 통해 입력받아 해당 위험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감지부(100)와 상기 비상방송부(400)가 저전력으로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먼 거리에 위치할 경우 통신 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는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위험정보에 따라 녹음 저장된 방송내용을 반복하여 재생하는 자동비상방송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자동비상방송부(500)는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를 통해 입력받아 해당 위험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위험상황 발생 시 이에 대한 후속 조치를 취하는 시간이 필요하고, 후속 조치를 취하기 전에 인근 주민들이 물을 마실 경우 위험이 따를 수 있으므로, 급수시설에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마을 비상방송시스템을 가동하여, 위험상황을 방송으로 전파함으로써 인근 주민들도 비상사태가 발생된 사실을 감지하고 물을 먹지 않도록 사전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특히 무단으로 점검구를 개방할 때는 독극물 투입으로 간주하고 이에 따른 안내방송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위험상황으로 부터 위험상황 감지, 위험상황 연락(관리자), 위험상황 비상방송(인근 주민) 등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위험상황 발생 시 관리자에게 위험상황 전파(관리자)와 동시에 위험상황 방송(인근 주민)이 가능하여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각각의 상황에 맞게 미리 저장된 음성녹음 내용을 주민에게 전파하는 방송은 관리자가 중단시킬 때까지 반복하여 계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비상방송부(500)는 미리 저장된 음성녹음 내용을 주민에게 전파하는 방송을 관리자가 중단시킬 때 까지 계속 반복하여 방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의 자동비상방송부(500)는 위험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자동비상방송부(500)의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위급상황 발생 시 인근 주민에게 위급상황 발생 및 물을 먹지 않도록 자동비상방송을 하기 위한 상기 자동비상방송부(500)는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위험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방송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입력으로 상기 자동비상방송부(500)에 자동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릴레이 등을 동작시켜 상기 자동비상방송부(5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100), 상기 중계부(400) 또는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는 위급상황에 대한 방송을 하기 위하여, 상기 자동비상방송부(500)를 자동으로 가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시설 관리장치는 상기 감지부(100)와 열결되어 위험정보가 감지될 경우, 송수관 밸브를 자동으로 잠그는 자동잠금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위험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급수시설의 송수관 밸브를 폐쇄할 수 있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송수관 밸브를 잠금으로써 송수관로를 폐쇄할 수 있다.
특히, 무단으로 상기 급수시설의 물탱크 점검구를 개방할 때는 독극물 투입으로 간주하고 송수관 밸브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송수관에 의한 송수를 중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동잠금부(180)는 상기 송수관 밸브를 폐쇄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상기 전원공급부(200)로부터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감지부
110: 도어개폐센서
120: 수위센서
130: 화재감지센서
140: 침입감지센서
170: 영상촬영부
180: 자동잠금부
200: 전원 공급부
300: 비상호출제어부
400: 중계부
500: 자동비상방송부
1000: 급수시설 관리장치

Claims (9)

  1. 소규모 급수시설의 위험정보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감지부(100);
    상기 감지부(100)와 연결되어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저장하고, 이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00);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와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아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중계부(400);
    상기 중계부(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으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다수의 관리자에게 연락하고, 각각의 위험정보에 따라 미리 저장된 안내정보를 통보하는 비상호출제어부(300); 및
    상기 중계부(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위험정보에 따라 녹음 저장된 방송내용을 반복하여 재생하는 자동비상방송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동비상방송부(500)는
    위험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자동비상방송부(500)의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설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00)는
    상기 급수시설의 도어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개폐센서(110), 상기 급수시설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20), 상기 급수시설 및 주변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30) 및 무단침입자룰 감지하는 침입감지센서(140)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설 관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시설 관리장치(1000)는
    상기 감지부(100) 및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위험정보가 감지될 경우 해당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로 전송하는 영상촬영부(1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설 관리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시설 관리장치(1000)는
    상기 비상호출제어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된 위험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위험정보에 따라 녹음 저장된 방송내용을 반복하여 재생하는 자동비상방송부(5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설 관리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시설 관리장치(1000)는
    상기 감지부(100)와 열결되어 위험정보가 감지될 경우, 송수관 밸브를 자동으로 잠그는 자동잠금부(1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설 관리장치.
KR1020130031810A 2013-03-26 2013-03-26 급수시설 관리장치 KR101322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810A KR101322445B1 (ko) 2013-03-26 2013-03-26 급수시설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810A KR101322445B1 (ko) 2013-03-26 2013-03-26 급수시설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445B1 true KR101322445B1 (ko) 2013-10-28

Family

ID=4963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810A KR101322445B1 (ko) 2013-03-26 2013-03-26 급수시설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848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트렌드팜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886A (ko) * 2003-08-22 2005-03-04 유영훈 전동차의 비상자동시스템
KR20060013339A (ko) * 2005-08-16 2006-02-09 강동열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KR100736877B1 (ko) * 2006-10-20 2007-07-06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설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771222B1 (ko) 2007-05-25 2007-10-29 가아전기(주) 상하수도 시설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886A (ko) * 2003-08-22 2005-03-04 유영훈 전동차의 비상자동시스템
KR20060013339A (ko) * 2005-08-16 2006-02-09 강동열 간이 상수도 원격 관리 시스템
KR100736877B1 (ko) * 2006-10-20 2007-07-06 주식회사 대영 상하수도처리시설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771222B1 (ko) 2007-05-25 2007-10-29 가아전기(주) 상하수도 시설 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848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트렌드팜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KR102599590B1 (ko) * 2021-12-29 2023-11-07 주식회사 트렌드팜 지능형 급수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65675B2 (en) Infrastructure monito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1580637B1 (ko)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US20100295672A1 (en) Infrastructure monito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6355693A (zh) 一种家居安防系统及其实现方法
CN105023403A (zh) 一种基于工业安全应急指挥集成系统的联动控制方法
CN205163995U (zh) 一种智能消火栓
CN206249508U (zh) 一种家庭安防监控系统
CN104967825A (zh) 一种看门电子狗系统
CN105632127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小区安防系统
KR101872464B1 (ko) 이기종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갖는 론웍스 기반의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제어시스템
CN105159255A (zh) 一种基于工业安全应急指挥集成系统的应急预案控制方法
CN103593936A (zh) 消防报警远程监控方法和嵌入式主板
JP2009218707A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AU2015202550A1 (en) Infrastructure monito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2578080B1 (ko) 전기차 충전소 화재 감지 및 화재 처리 시스템
CN102282863A (zh) 远程监控系统
KR101322445B1 (ko) 급수시설 관리장치
CN103716314A (zh) 一种住宅小区社区平安传感现场总线系统一体使用方法
KR20130097258A (ko) 무인 경비 시스템
KR101487061B1 (ko) 댁내 보안시스템
CN104853169A (zh) 个人携带式移动监控及家庭服务平台补充和完善
KR20170018635A (ko)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장치 및 지능형 댁내 문 개폐 경보 시스템
KR102082178B1 (ko) Plc 기반 ami 통신망을 구성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그의 보안 관리 방법 및 보안 시스템
KR102237852B1 (ko) 세대 비디오폰을 활용한 방범 방법
KR102290883B1 (ko)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원격 영상기계 경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104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404

Effective date: 2019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