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917B1 - Oht 레일 체크 장치 - Google Patents

Oht 레일 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917B1
KR102332917B1 KR1020200049230A KR20200049230A KR102332917B1 KR 102332917 B1 KR102332917 B1 KR 102332917B1 KR 1020200049230 A KR1020200049230 A KR 1020200049230A KR 20200049230 A KR20200049230 A KR 20200049230A KR 102332917 B1 KR102332917 B1 KR 102332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easuring
unit
oht
ru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0996A (ko
Inventor
최광열
송재연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시너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너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너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91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y means of a cart or a vehic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HT 레일 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닛 몸체와, 상기 유닛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주행레일 또는 상기 분기레일 상을 이동하는 메인 휠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체크하는 측정 유닛; 및 상기 측정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케이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OHT 레일의 설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여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고, 점검을 위한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OHT 레일 체크 장치{Apparatus for checking OHT rail}
본 발명은 OHT 레일 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에서의 OHT 레일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 설치상태가 설계된 사양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OHT 레일 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HT(Overhead Hoist Transport, 천장 대차시스템)은 이송할 소형 반송 대상물이 많은 대형병원, 반도체 및 평판 디스플레이 생산공장 등에 설치된다.
OHT는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대상물을 운반하는 반송대차와, 반송대차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을 갖는 궤도 등을 포함한다.
일예로, 이러한 OHT가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평판패널 생산 라인에 설치된 경우, 크린룸 내의 천장공간을 이용해서 주행레일이 설치되는데, 주행레일 상에서 구동되는 반송대차는 반도체 웨이퍼, 기판, 마스크, 글라스, 카세트 등이 적재된 반송 대상물을 반송 포트들 사이에서 운반한다.
주행레일은 지주 등에 의해 크린룸의 천장 등으로부터 지지되며, 주행레일 본체와 급전레일로 이루어진다. 반송대차는 주행 구동부를 구비하여 주행레일 본체 내를 주행할 수 있고, 수전부에 의해 급전 레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운행한다.
OHT는 상호 이격된 주행레일 사이에서 대차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격되어 있는 주행레일들을 연결하는 분기 및 합류레일을 갖는데, 이러한 주행레일들을 연결할 수 있는 분기 및 합류레일에는 대차가 분기되는 분기구간과 대차가 합류되는 합류구간이 존재한다.
즉, OHT의 레일은 대차의 하중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주행레일과 대차의 주행 방향을 결정하는 분기레일로 구성된다.
한편, 종래에는 위와 같은 OHT 레일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작업자가 직접 계측기 등을 이용하여 레일의 설치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레일이 설계 사양에 적합하게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때, OHT 레일의 설치 상태에 대한 점검사항으로는 레일의 단차, 폭, 틈새 및 가이드 레일의 설치 위치 등이 있다.
그런데, 종래와 같은 점검 방식의 경우 작업자에 따라 동일한 위치에서도 측정값에 차이가 발생하여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점검 시간도 상당히 길어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11015호(2019.02.0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측정기가 구비된 레일 체크 장치를 통해 OHT 레일의 설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여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고, 점검을 위한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OHT 레일 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행레일, 대차의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주행레일들을 연결하여 대차를 분기시키는 분기레일로 이루어진 레일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체크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로써, 유닛 몸체와, 상기 유닛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주행레일 또는 상기 분기레일 상을 이동하는 메인 휠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체크하는 측정 유닛; 및 상기 측정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케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케이지 상에는 2개의 상기 측정 유닛이 설치되며, 2개의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케이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측정 유닛과, 상기 케이지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측정 유닛과 반대반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2 측정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주행레일의 폭을 측정하는 레일 폭 측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일 폭 측정부는 상기 주행레일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주행레일 폭의 변화에 따라 상기 주행레일의 횡방향으로 거동하는 제1 측정휠과, 상기 제1 측정휠의 횡방향 거동을 감지하는 제1 변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레일 폭 측정부는 상기 유닛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블럭, 상기 주행레일의 횡방향으로 상기 고정블럭에 결합되는 LM가이드, 상기 제1 측정휠이 체결되고, 상기 제1 측정휠의 횡방향 거동에 의해 상기 LM가이드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되는 가동블럭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변위센서는 상기 가동블럭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측정휠의 횡방향 거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OHT 레일 체크 장치는 상기 주행레일과 다른 주행레일 또는 상기 주행레일과 상기 분기레일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틈새를 확인하기 위한 틈새 측정센서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틈새 측정센서는 상기 측정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주행레일 또는 상기 분기레일의 상부에서 센싱신호를 조사하는 제1 틈새 측정센서와, 상기 제1 틈새 측정센서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위의 틈새를 통과한 상기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제2 틈새 측정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주행레일과 다른 주행레일 또는 상기 주행레일과 상기 분기레일의 연결부위에 대한 단차를 측정하는 단차 측정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진입부에 대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가이드 레일 측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측정부는 상기 측정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레이저 센서, 상기 레이저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한 때로부터 상기 메인 휠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엔코더, 상기 엔코더로부터 상기 메인 휠의 이동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에 도달하면 상방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결부위에 대한 단차를 측정하는 제2 가이드 레일 측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레일 측정부는 상기 메인 휠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유닛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LM가이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접하는 제2 측정휠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측정휠의 위치에 따라 상기 LM가이드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 블럭, 상기 슬라이딩 블럭의 변위를 감지하는 제2 변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는 봉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견인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OHT 레일의 설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여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고, 점검을 위한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레일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HT 레일 체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측정 유닛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측정 유닛에 설치된 레일 폭 측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레일 폭 측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레일 폭 측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측정 유닛이 레일들 사이의 틈새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측정 유닛에 설치된 틈새 측정센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틈새 측정센서를 통해 레일 연결부위 사이의 틈새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측정 유닛에 설치된 단차 측정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단차 측정센서를 통해 레일 연결부위의 단차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측정 유닛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제1 가이드 레일 측정부를 통해 가이드 레일의 진입부 설치 위치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가이드 레일의 진입부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2 가이드 레일 측정부를 통해 가이드 레일의 곡선부 설치상태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측정 유닛에 설치된 제2 가이드 레일 측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견인수단이 구비된 OHT 레일 체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레일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레일 조립체(1)는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느 한 쌍의 주행레일(3,3'), 대차의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가이드 레일(7) 및 주행레일(3,3')들을 연결하여 대차를 분기시키는 분기레일(5)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HT 레일 체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HT 레일 체크 장치(10)는 레일 조립체(1)가 조립된 후 그 설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것으로써, 주행레일(3,3')들 사이의 폭, 주행레일(3,3')과 다른 주행레일(3,3') 또는 주행레일(3,3')과 분기레일(5)이 연결되는 연결부분의 틈새 존재 및 단차 형성 여부, 가이드 레일(7)의 진입부가 정위치에 설치되었는지 여부 및 가이드 레일(7) 연결부분의 단차 형성 여부를 체크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OHT 레일 체크 장치(10)는 측정 유닛(100,100')과 측정 유닛(100,100')의 하부에 연결되는 케이지(3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300) 상에는 2개의 측정 유닛(100,100')이 설치되며, 2개의 측정 유닛(100,100')은 케이지(3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측정 유닛(100)과, 케이지(300)의 타측에 연결되며 제1 측정 유닛(100)과 반대반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2 측정 유닛(100')으로 이루어진다.
2개의 측정 유닛(100,100')은 대부분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제1 측정 유닛(100)에는 레일들(3,3',5)이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틈새 존재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제1 틈새 측정센서(142)가 구비되고, 제2 측정 유닛(100')에는 레일들(3,3',5)이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단차를 측정하는 단차 측정센서(150,150')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물론, 제1 측정 유닛(100)에 단차 측정센서(150,150')가 구비되고, 제2 측정 유닛(100')에 제1 틈새 측정센서(142)가 구비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측정 유닛(100,100')은 레일 조립체(1)의 측정을 위한 측정 수단들이 설치되는 유닛 몸체(110)와, 유닛 몸체(110)를 관통하는 회전축(112)에 연결되어 주행레일(3,3') 또는 분기레일(5) 위를 이동하는 메인 휠(114)을 구비한다.
또한, 케이지(300)는 연결로드(312)에 의해 유닛 몸체(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판(310)과, 상단이 상판(310)의 하단에 체결되는 수직 프레임(320), 및 수직 프레임(320)의 하단에 체결되는 하판(330)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박스형태의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케이지(300)의 상판(310)과 내부 공간 및 하판(330)에는 측정 유닛(100,100')에 설치된 측정 수단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 측정 수단들 또는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레일 조립체(1)의 설치 후 CPS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거나 오프(OFF)된 경우 OHT 레일 체크 장치(10) 자체에 구비된 전원장치로 운영되고, CPS 전원이 온(ON) 상태인 경우 OHT 레일 체크 장치(10) 자체에 구비된 전원장치는 오프(OFF)된 상태에서 별도의 픽업 유닛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측정 유닛의 횡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측정 유닛에 설치된 레일 폭 측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레일 폭 측정부의 사시도, 도 6은 레일 폭 측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HT 레일 체크 장치(10)는 측정 유닛(100,100')에 설치되어 주행레일(3,3')의 폭을 측정하는 레일 폭 측정부(120)를 구비한다.
레일 폭 측정부(120)는 주행레일(3,3')의 내측면에 접하여 주행레일(3,3') 폭의 변화에 따라 주행레일(3,3')의 횡방향으로 거동하는 제1 측정휠(132)과, 제1 측정휠(132)의 횡방향 거동을 감지하는 제1 변위센서(134)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레일 폭 측정부(120)는 유닛 몸체(110)에 고정되는 고정블럭(122)과, 주행레일(3,3')의 길이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고정블럭(122)에 결합되는 LM가이드(124)와, 제1 측정휠(132)이 체결되고 제1 측정휠(132)의 횡방향 거동에 의해 LM가이드(124)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되는 가동블럭(126)을 구비한다.
이때, 고정블럭(122)과 가동블럭(126) 사이에는 로드(128)와 스프링(130)이 개재되며, 스프링(130)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어 내부에 로드(128)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고정블럭(122)과 가동블럭(126) 사이에 로드(128) 및 스프링(130)이 구비됨으로써 제1 측정휠(132)은 측정 중에 주행레일(3,3')의 내측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가동블럭(126)과 함께 탄력적으로 거동하게 된다.
측정 유닛(100,100')이 주행레일(3,3) 위를 이동하면서 측정을 수행하는 도중 어떤 구간의 폭이 설계된 치수와 차이가 날 경우, 즉 주행레일(3,3')의 폭이 변화될 경우 제1 측정휠(132)은 주행레일(3,3')의 폭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제1 측정휠(132)에 체결된 가동블럭(126)도 LM가이드(124)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때, 제1 변위센서(134)는 직접적으로 가동블럭(126)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제1 측정휠(132)의 횡방향 거동을 인식하게 된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주행레일(3,3') 폭에 대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측정 유닛이 레일들 사이의 틈새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측정 유닛에 설치된 틈새 측정센서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틈새 측정센서를 통해 레일 연결부위 사이의 틈새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HT 레일 체크 장치(10)는 측정 유닛(100,100')에 설치되어 주행레일(3,3')과 다른 주행레일(3,3') 또는 주행레일(3,3')과 분기레일(5)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틈새를 확인하기 위한 틈새 측정센서(140)를 구비한다.
도 7 내지 도 10에는 제1 측정 유닛(100)에 제1 틈새 측정센서(142)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틈새 측정센서(142)는 제2 측정 유닛(100')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틈새 측정센서(140)는 측정 유닛(100,100')에 결합되어 주행레일(3,3') 또는 분기레일(5)의 상부에서 센싱신호를 조사하는 제1 틈새 측정센서(142)와, 제1 틈새 측정센서(142)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케이지(300)의 상판(310)에 결합되고, 연결부위의 틈새를 통과한 제1 틈새 측정센서(142)로부터의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제2 틈새 측정센서(144)로 이루어진다.
도 10에는 OHT 레일 체크 장치(10)에 설치된 틈새 측정센서(14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행레일(3,3')의 연결부위에 대한 틈새를 측정하는 과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틈새 측정센서(142)는 주행레일(3,3')의 상부를 향해 센싱신호를 조사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레일 연결부위에 틈새가 형성된 경우 조사된 센싱신호는 틈새를 통과하여 상판(310)에 설치된 제2 틈새 측정센서(144)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틈새 부위에서 센싱신호를 수신한 제2 틈새 측정센서(144)는 측정자가 확인 가능한 제어 수단 등으로 틈새가 존재함에 대한 신호(ON)를 송출함으로써 측정자는 레일(3,3',5)의 연결부위에 대한 틈새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레일(3,3',5)의 연결부위에 틈새가 존재하지 않거나, 레일(3,3',5)에 가로막혀 제1 틈새 측정센서(142)에 의해 조사된 센싱신호가 제2 틈새 측정센서(144)에 도달되지 않는 경우, 제2 틈새 측정센서(144)는 활성화되지 않고 OFF 상태를 유지한다.
도 11은 측정 유닛에 설치된 단차 측정센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단차 측정센서를 통해 레일 연결부위의 단차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HT 레일 체크 장치(10)는 주행레일(3,3')과 다른 주행레일(3,3') 또는 주행레일(3,3')과 분기레일(5)의 연결부위에 대한 단차를 측정하는 단차 측정센서(150,150')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단차 측정센서(150,150')는 제2 측정 유닛(100')에 설치되어 있으나, 단차 측정센서(150,150')는 제1 측정 유닛(100)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단차 측정센서(150,150')는 레이저 거리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레일(3,3',5)의 상부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레일(3,3',5)까지의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도 12 및 도 13은 단차 측정센서(150,150')가 서로 연결된 A레일과 B레일의 연결부위에 대한 단차를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단차 측정센서(150,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3',5) 위로 레이저를 조사하면서 측정 유닛(100,100')의 이동방향을 따라 A레일에서 B레일로 이동함으로써 A레일과의 수직 거리 및 B레일과의 수직 거리를 각각 측정한다.
만약, A레일과 B레일의 수직 거리 값에 대한 편차가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 보다 크면 측정자는 이를 통해 A레일과 B레일의 연결부위에 단차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측정 유닛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제1 가이드 레일 측정부를 통해 가이드 레일의 진입부 설치 위치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7은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가이드 레일의 진입부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HT 레일 체크 장치(10)는 가이드 레일(7)의 진입부가 미리 설계된 정위치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 가이드 레일 측정부(170)를 구비한다.
제1 가이드 레일 측정부(170)는 레이저 센서(172), 엔코더(174) 및 촬상부(176)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센서(170)는 측정 유닛(100,100')의 전방에 구비되는 보조 프레임(160)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고, 상부에 가이드 레일(7)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감지신호를 송출한다.
엔코더(174)는 회전축(112)에 설치되어 메인 휠(114)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엔코더(174)는 레이저 센서(172)가 송출한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한 때로부터 메인 휠(114)의 이동거리를 측정한다.
레이저 센서(172)와 함께 보조 프레임(160)에 설치되는 촬상부(176)는 레이저 센서(172)의 후단에 위치하여 가이드 레일(7)의 진입부에 대한 영상을 촬상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촬상부(176)는 엔코더(174)로부터 메인 휠(114)의 이동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에 도달하면 상방에 위치한 가이드 레일(7)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다.
다시 말해, 레이저 센서(172)가 가이드 레일(7)을 감지하게 되면, 레이저 센서(172)의 후방에 위치한 촬상부(176)는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전진하여 가이드 레일(7)의 하부에 배치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엔코더(174)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통해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였음이 확인되면, 즉 가이드 레일(7)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해당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7)을 촬상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레일(7)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측정자는 획득된 가이드 레일(7)의 이미지와 기준으로 설정해 놓았던 이미지를 비교하여 가이드 레일(7)이 정위치에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8은 제2 가이드 레일 측정부를 통해 가이드 레일의 곡선부 설치상태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측정 유닛에 설치된 제2 가이드 레일 측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OHT 레일 체크 장치(10)는 가이드 레일(7)의 곡선부에 대한 설치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제2 가이드 레일 측정부(19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 레일 측정부(190)는 메인 휠(114)의 회전축(112) 방향을 따라 유닛 몸체(100,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LM가이드(192)와, 가이드 레일(7)의 측면에 접하는 제2 측정휠(196)이 결합되고 제2 측정휠(196)의 위치에 따라 LM가이드(192)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 블럭(194) 및, 슬라이딩 블럭(194)의 변위를 감지하는 제2 변위센서(200)를 구비한다.
이때, 슬라이딩 블럭(194)은 스프링 텐션 수단(198)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이드 레일(7)의 측면에 접하게 되고, 제2 변위센서(200)는 스프링 텐션 수단(198)에 체결되어 스프링 텐션 수단(198)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가이드 레일(7)의 연결부분에 단차가 발생한 경우, 가이드 레일(7)의 연결부분을 지나는 제2 측정휠(196)은 스프링 텐션 수단(198)을 압축시키거나, 스프링 텐션 수단(198)에 의해 밀려나게 된다.
이때, 제2 변위센서(200)는 스프링 텐션 수단(198)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단차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 가이드 레일 측정부(190)는 보조 프레임(160)의 내부에 배치되는 블럭 조정부(2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블럭 조정부(210)는 슬라이딩 블럭(194)이 LM가이드(192) 상의 특정 위치에 놓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블럭 조정부(210)는 스프링 텐션 수단(198)에 의해 슬라이딩 블럭(194)이 밀려나는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0은 견인수단이 구비된 OHT 레일 체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HT 레일 체크 장치(10)는 하판(330)에 연결되는 봉(410) 또는 와이어(420) 등으로 이루어진 견인수단(4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견인수단(400)은 측정자가 OHT 레일 체크 장치(10)를 직접 끌고다니면서 원하는 지점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OHT 레일 체크 장치(10)는 회전축(112)에 설치되는 별도의 구동부(미도시)와 구동부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OHT 레일 체크 장치(10)의 주행을 원격으로 조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OHT 레일 체크 장치(10)는 레일 조립체(7)의 설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여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고, 점검을 위한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레일 조립체 3, 3': 주행레일
5: 분기레일 7: 가이드 레일
10: OHT 레일 체크 장치 100: 제1 측정 유닛
100': 제2 측정 유닛 110: 유닛 몸체
112: 회전축 114: 메인 휠
120: 레일 폭 측정부 122: 고정블럭
124: LM가이드 126: 가동블럭
128: 로드 130: 스프링
132: 제1 측정휠 134: 제1 변위센서
140: 틈새 측정센서 142: 제1 틈새 측정센서
144: 제2 틈새 측정센서 150, 150': 단차 측정센서
160: 보조 프레임 170: 제1 가이드레일 측정부
172: 레이저 센서 174: 엔코더
176: 촬상부 190: 제2 가이드레일 측정부
192: LM가이드 194: 슬라이딩 블럭
196: 제2 측정휠 198: 스프링 텐션 수단
200: 제2 변위센서 210: 블럭 조정부
300: 케이지 310: 상판
312: 연결로드 320: 수직 프레임
330: 하판 400: 견인수단
410: 봉 420: 와이어

Claims (12)

  1. 주행레일, 대차의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주행레일들을 연결하여 대차를 분기시키는 분기레일로 이루어진 레일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체크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에 있어서,
    유닛 몸체와, 상기 유닛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주행레일 또는 상기 분기레일 상을 이동하는 메인 휠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체크하는 측정 유닛; 및
    상기 측정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케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레일과 다른 주행레일 또는 상기 주행레일과 상기 분기레일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틈새를 확인하기 위한 틈새 측정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틈새 측정센서는
    상기 측정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주행레일 또는 상기 분기레일의 상부에서 센싱신호를 조사하는 제1 틈새 측정센서와,
    상기 제1 틈새 측정센서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위의 틈새를 통과한 상기 센싱신호를 수신하는 제2 틈새 측정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 하부에 연결되는 케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상에는 2개의 상기 측정 유닛이 설치되며,
    2개의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케이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측정 유닛과, 상기 케이지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측정 유닛과 반대반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2 측정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주행레일의 폭을 측정하는 레일 폭 측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일 폭 측정부는
    상기 주행레일의 내측면에 접하여 상기 주행레일 폭의 변화에 따라 상기 주행레일의 횡방향으로 거동하는 제1 측정휠과,
    상기 제1 측정휠의 횡방향 거동을 감지하는 제1 변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폭 측정부는
    상기 유닛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블럭,
    상기 주행레일의 횡방향으로 상기 고정블럭에 결합되는 LM가이드,
    상기 제1 측정휠이 체결되고, 상기 제1 측정휠의 횡방향 거동에 의해 상기 LM가이드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되는 가동블럭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변위센서는 상기 가동블럭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측정휠의 횡방향 거동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주행레일과 다른 주행레일 또는 상기 주행레일과 상기 분기레일의 연결부위에 대한 단차를 측정하는 단차 측정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진입부에 대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1 가이드 레일 측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 측정부는
    상기 측정 유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방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레이저 센서,
    상기 레이저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한 때로부터 상기 메인 휠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엔코더,
    상기 엔코더로부터 상기 메인 휠의 이동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에 도달하면 상방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연결부위에 대한 단차를 측정하는 제2 가이드 레일 측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 측정부는
    상기 메인 휠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유닛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LM가이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접하는 제2 측정휠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측정휠의 위치에 따라 상기 LM가이드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 블럭,
    상기 슬라이딩 블럭의 변위를 감지하는 제2 변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는 봉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견인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OHT 레일 체크 장치.
KR1020200049230A 2020-04-23 2020-04-23 Oht 레일 체크 장치 KR102332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30A KR102332917B1 (ko) 2020-04-23 2020-04-23 Oht 레일 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30A KR102332917B1 (ko) 2020-04-23 2020-04-23 Oht 레일 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996A KR20210130996A (ko) 2021-11-02
KR102332917B1 true KR102332917B1 (ko) 2021-11-29

Family

ID=7847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230A KR102332917B1 (ko) 2020-04-23 2020-04-23 Oht 레일 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1190B (zh) * 2023-03-28 2023-06-23 浙江果纳半导体技术有限公司 一种搬运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7168A (ja) * 2009-07-08 2011-01-27 East Japan Railway Co レール下隙間測定装置およびレール下隙間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8051B2 (ja) * 1995-03-09 2003-03-17 株式会社トキメック 分岐器検査システムおよび分岐器検査方法
JP6471651B2 (ja) * 2015-08-27 2019-02-2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642370B2 (ja) * 2016-10-12 2020-02-05 株式会社ダイフク レール検査装置及びレール検査システム
KR102264853B1 (ko) 2017-07-24 2021-06-14 세메스 주식회사 Oht 레일 처짐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7168A (ja) * 2009-07-08 2011-01-27 East Japan Railway Co レール下隙間測定装置およびレール下隙間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996A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7258B (zh) 物品运送设备
CN107291076B (zh) 物品输送设备
US9957136B2 (en) Guide rail straightness measuring system for elevator installations
JP4409552B2 (ja) ロール自動供給装置
KR100886798B1 (ko) 롤 자동공급장치
US10604899B2 (en) Rail inspection device and rail inspection system
KR102332917B1 (ko) Oht 레일 체크 장치
KR20180093803A (ko) 검사 시스템
TWI638766B (zh) Inspection method for the truck system and the truck system, and inspection trolley
KR101924276B1 (ko) 철도 차량 차륜 및 베어링의 검지 시스템
JP2012025306A (ja) 搬送車両システム
US20220324494A1 (en) Rail-guided vehicle
CN113557487B (zh) 输送车系统
JP7243678B2 (ja) 物品搬送設備
KR20120018990A (ko) 수하물 운송장치
JP4429801B2 (ja) 乗客コンベアの検査装置
TW202301057A (zh) 有軌道台車系統
KR101246225B1 (ko) 무인대차용 위치 측정장치
US20230339523A1 (en) Rail inspection device
JP2015003777A (ja) X線検査用車両の搬送装置
KR101708861B1 (ko) 궤도틀림 검측장치
JP5975572B2 (ja) X線検査装置及び方法
CN117836584A (zh) 行驶车系统
JP2020013344A (ja) 搬送台車の位置認識機構
JP2006145260A (ja) 導電線敷設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