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990A - 수하물 운송장치 - Google Patents

수하물 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990A
KR20120018990A KR1020100082041A KR20100082041A KR20120018990A KR 20120018990 A KR20120018990 A KR 20120018990A KR 1020100082041 A KR1020100082041 A KR 1020100082041A KR 20100082041 A KR20100082041 A KR 20100082041A KR 20120018990 A KR20120018990 A KR 20120018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ensor
winch
bagg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345B1 (ko
Inventor
이연재
김효중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20100082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3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30Unloading land vehicles using transportable tipp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25Orienta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수하물을 차량 내로 반입하거나 상기 차량으로부터 반출하기 위해 수하물을 운송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이 차량 내부에 위치되는 하강위치 및 상기 컨베이어가 차량 외부에 위치되는 상승위치 간에 상기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윈치를 포함하는 수하물 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수하물을 자동으로 운송할 수 있고, 수하물을 운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차량에 대한 운행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수하물 운송장치{Cargo-wo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한 수하물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증기, 디젤, 전기, 자기 등 다양한 동력수단을 이용하여 수하물을 목적지까지 운반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차량은 수하물을 최종목적지까지 운반하기 위한 경우는 물론, 경유지까지 운반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시설물 내 운송설비(ULD: Unit Loading Device)로부터 차량내 운송설비(ULD)에 수하물을 반입하거나 차량내 운송설비로부터 시설물내 운송설비로 수하물을 반출하기 위해 중간에서 수하물을 운송하는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수하물은 사람에 의해 운송되었다. 이에 따라, 수하물을 운송하는데 긴 시간이 걸리고, 이로 인해 차량이 해당 정거장에서 대기하는 시간이 늘어남으로써 운행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하물을 자동으로 운송할 수 있는 수하물 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내 운송설비와 시설물내 운송설비 간에 수하물 운송시 차량의 정차 위치나 높이의 편차를 보정하면서 수하물을 자동으로 운송할 수 있는 수하물 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정차 위치를 제공받는 방법을 선택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막대한 비용이 추가로 필요로 하며 별도의 인터페이스 설비 및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차량의 위치 정보가 부정확할 경우 차량과 수하물 운송장치 간에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하물 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내 운송설비와 시설물내 운송설비간에 수하물 운송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저렴하면서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자동 운전할 수 있는 수하물 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는 수하물을 차량 내로 반입하거나 상기 차량으로부터 반출하기 위해 수하물을 운송하는 컨베이어(conveyor); 및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이 차량 내부에 위치되는 하강위치 및 상기 컨베이어가 차량 외부에 위치되는 상승위치 간에 상기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윈치(winch)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는 슬랫(Slat) 방식을 적용하여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를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윈치; 및 상기 컨베이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하물을 자동으로 운송할 수 있고, 수하물을 운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차량에 대한 운행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내 운송설비와 시설물내 운송설비 간에 수하물 운송시 차량의 정차 위치나 높이의 편차를 보정하면서 수하물을 자동으로 운송할 수 있는 수하물 운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내 운송설비와 시설물내 운송설비 간에 수하물 운송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인터페이스 없이 저렴하면서도, 충돌 등을 회피하도록 신속하고 안전하게 자동 운전 할 수 있는 수하물 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유닛의 연결관계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가 철도차량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도 5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8은 정차정보송신수단, 획득유닛, 및 제어유닛의 연결관계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에서 센서유닛과 반사유닛의 결합위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유닛과 반사유닛의 결합위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가 철도차량이 정차된 위치에 따라 이동되는 작동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기구의 작동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의 순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유닛의 연결관계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차량(미도시)내 운송설비(이하, '제1운송설비'라 함)로부터 시설물내 운송설비(이하, '제2운송설비'라 함)로 수하물(미도시)을 반출하거나 상기 제2운송설비로부터 상기 제1운송설비로 수하물을 반입하기 위해 수하물을 운송하는 컨베이어(2, Conveyor), 및 상기 컨베이어(2)를 이동시키는 윈치(3, Winch)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의 한 예는 철도 차량이다. 상기 차량이 운행을 정지하면, 상기 윈치(3)는 상기 컨베이어(2)를 하강위치(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됨)로 이동시킨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제1운송설비로 상기 수하물을 반입하거나 상기 제1운송설비로부터 상기 수하물을 반출하기 위해 상기 수하물을 운송한다. 상기 수하물에 대한 운송이 완료되면, 상기 윈치(3)는 상기 컨베이어(2)를 상승위치(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됨)로 이동시킨다. 상기 상승위치는 상기 차량이 운행될 때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차량과 충돌하지 않는 위치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베이어(2) 및 상기 윈치(3)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컨베이어(2)는 수하물을 운송한다.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제1운송설비로 수하물을 반입하거나 상기 제1운송설비로부터 수하물을 반출하기 위해 상기 수하물을 운송한다. 상기 컨베이어(2)는 복수개의 슬랫(21, Slat) 및 컨베이어모터(22, Conveyor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랫(21)들은 수하물을 지지한다.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수하물과 면(面) 접촉되는 슬랫(21)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하물을 운송할 수 있다. 상기 슬랫(21)들은 상기 수하물과 면 접촉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슬랫(21)들은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수하물과 선(線) 접촉되는 것에 비해 상기 수하물과 접촉되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수하물을 원활하게 운송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차량은 상기 수하물의 무게 등이 변동됨에 따라 차량의 수하물 반출입을 위한 출입구의 높이가 변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운송설비로 수하물을 반입하면 상기 차량 내부에 탑재되는 수하물의 무게가 증가됨으로써, 상기 차량의 출입구의 연결지점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운송설비로부터 수하물을 반출하면 상기 차량 내부에 탑재되는 수하물의 무게가 감소됨으로써, 상기 연결지점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차량의 높이가 변동되면, 상기 수하물은 상기 컨베이어(2)에서 상기 제1운송설비로 운송되거나 상기 제1운송설비로부터 상기 컨베이어(2)로 운송되는 과정에서 경사진 경로를 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2)와 상기 제1운송설비 간에 수하물이 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수하물과 선(線) 접촉되면, 상기 수하물은 상기 컨베이어(2)와 접촉되는 면적이 적기 때문에 상기 경사진 경로를 지나면서 슬립(Slip) 등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경사진 경로를 지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수하물과 면(面) 접촉되는 슬랫(21)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하물을 운송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는 슬랫컨베이어(Slat Conveyer)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와 상기 수하물이 접촉되는 면적을 늘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차량의 높이가 변동되더라도 상기 수하물을 원활하게 운송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컨베이어모터(22)는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해 상기 슬랫(21)들을 이동시킨다. 상기 컨베이어모터(22)가 상기 슬랫(21)들을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슬랫(21)들에 지지된 수하물이 운송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윈치(3)는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하강위치(도 2에서 실선으로 도시됨)와 상기 상승위치(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됨) 간에 이동시킨다. 상기 윈치(3)는 상기 컨베이어(2)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윈치(3)는 와이어(31, Wire), 윈치풀리(32, Winch Pulley), 및 윈치모터(33, Winch 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1)는 일단이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윈치풀리(32)에 결합된다.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은 상기 차량을 향하는 부분으로, 상기 컨베이어(2)의 앞부분이다. 상기 윈치(3)는 상기 와이어(31)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윈치(3)는 상기 와이어(31)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를 상측위치 또는 하측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윈치풀리(32)는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상승위치와 상기 하강위치 간에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이어(31)는 상기 윈치풀리(32)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윈치풀리(32)에 감기거나 상기 윈치풀리(32)에서 풀릴 수 있다. 상기 와이어(31)가 상기 윈치풀리(32)에 감기면,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상승위치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1)가 상기 윈치풀리(32)에서 풀리면,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하강위치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윈치모터(33)는 상기 와이어(31)가 상기 윈치풀리(32)에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윈치풀리(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윈치모터(33)는 상기 와이어(31)가 상기 윈치풀리(32)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상기 윈치풀리(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윈치모터(33)는 상기 윈치풀리(32)의 회전축에 직접 결합되어서 상기 윈치풀리(32)를 회전시킬 수도 있고, 벨트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윈치풀리(32)에 연결되어서 상기 윈치풀리(32)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윈치(3)는 상기 와이어(31)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들어 올려지거나,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내려지도록 상기 와이어(31)를 지지하는 윈치유닛(34, Winch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치유닛(34)은 상기 와이어(31)를 지탱하기 위한 도르레(341) 및 상기 도르레(34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1)는 상기 윈치풀리(32)에서 상기 도르레(341)를 경유하여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1)가 상기 윈치풀리(32)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도르레(341)는 상기 와이어(3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42)는 지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르레(341)는 상기 지지대(342)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윈치(3)는 상기 와이어(31), 상기 윈치풀리(32), 상기 도르레(341), 및 상기 지지대(342)를 각각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치(3)는 2개의 와이어(31), 2개의 윈치풀리(32), 2개의 도르레(341), 및 2개의 지지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1)들, 상기 윈치풀리(32)들, 상기 도르레(341)들, 및 상기 지지대(342)들은 상기 컨베이어(2)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윈치(3)는 상기 윈치풀리(32)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5, 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윈치모터(33)는 상기 윈치풀리(32)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윈치(3)는 하나의 윈치모터(33)로 상기 윈치풀리(32)들을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윈치풀리(32)들을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컨베이어(2)의 양측이 기울어짐 없이 회전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윈치(3)는 상기 윈치풀리(32)들에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윈치모터(33)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제어유닛(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 또는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센서(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 또는 상기 하강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10)는 하강위치센서(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하강위치센서(11)는 상기 차량을 감지하여 제1감지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하강위치센서(11)는 획득한 상기 제1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유닛(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강위치센서(11)는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수하물을 원활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하강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하강위치센서(11)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상기 하강위치센서(11)는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차량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이동된 것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1감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컨베이어(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10)는 상승위치센서(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상승위치센서(12)는 상기 컨베이어(2)를 감지하여 제2감지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상승위치센서(12)는 획득한 상기 제2감지정보를 상기 제어유닛(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승위치센서(12)는 상기 지지대(342, 도 2에 도시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차량이 운행시에는 상기 컨베이어(2)가 차량의 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상승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상승위치센서(12)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상기 상승위치센서(12)는 상기 컨베이어(2)가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이동된 것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2감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측 또는 상기 하측으로 이동되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 및 상기 하강위치 간에 회전 이동되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 또는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상승위치 또는 상기 하강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윈치(3)가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상승위치 또는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2)를 회전 이동시키는 속도가 너무 빠르면, 상기 윈치(3)가 상기 컨베이어(2)를 정지시키더라도 정지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 또는 상기 하강위치를 벗어나서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정지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 또는 상기 하강위치를 벗어나서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윈치(3)가 상기 컨베이어(2)를 회전 이동시키는 속도를 줄이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 또는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설정된 시간 동안 제1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되다가 감속되어 제2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속도는 상기 윈치(3)가 상기 컨베이어(2)를 정지시켰을 때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어야 하는 위치를 벗어날 정도의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는 속도이다. 상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와 상기 하강위치 간에 회전 이동되는 거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회전속도에서 상기 제2회전속도로 감속되는데 걸리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 또는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 또는 상기 하강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될 수 있는 시간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 또는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 또는 상기 하강위치에 가까워지면 상기 컨베이어(2)가 회전 이동되는 속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상승위치 또는 상기 하강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윈치(3)가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상승위치에서 상기 하강위치로 회전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된 컨베이어(2)가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회전속도보다 빠른 제1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되다가 감속되어 상기 제2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된 후 상기 하강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된 컨베이어(2)는 소정 거리를 상기 제1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되고,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 가까워지면 감속되어 상기 제1회전속도로 소정 거리를 회전 이동된 후, 상기 하강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윈치(3)가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하강위치에서 상기 상승위치로 회전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된 컨베이어(2)가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회전속도보다 빠른 제1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되다가 감속되어 상기 제2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된 후 상기 상승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된 컨베이어(2)는 소정 거리를 상기 제1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되고,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에 가까워지면 감속되어 상기 제2회전속도로 소정 거리를 회전 이동된 후, 상기 상승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이동유닛(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5)은 상기 컨베이어(2)를 제1방향(A 화살표 방향) 또는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과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다. 예컨대, 상기 이동유닛(5)은 상기 컨베이어(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운행 속도, 상기 차량 내부에 탑재된 수하물의 양이 변동됨에 따른 가속도와 진동 등의 변화, 차량을 운행하는 운행자의 경험 등에 따라 정거장에 정차하는 과정에서 항상 동일한 위치에 정차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2)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상승위치와 상기 하강위치 간에 회전 이동되면,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컨베이어(2)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차량에 충돌할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이동유닛(5)은 상기 컨베이어(2)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컨베이어(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5)은 이동부재(51) 및 이동기구(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부재(51)에는 상기 컨베이어(2)와 상기 윈치(3)가 결합된다.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이동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52)는 상기 이동부재(51)를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기구(52)는 볼스크류(521, Ball Screw), 모터(522, Motor), LM 레일(523, LM Rail), 및 LM 가이드(524, LM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스크류(521)에는 상기 이동부재(51)가 체결된다. 상기 볼스크류(521)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51)는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모터(522)는 상기 볼스크류(521)를 회전시킨다. 상기 모터(522)는 상기 볼스크류(52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LM 레일(523)과 상기 LM 가이드(524)는 상기 이동부재(51)가 직선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LM 레일(523)에는 상기 LM 가이드(524)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LM 가이드(524)는 상기 이동부재(51)에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재(51)에는 상기 LM 가이드(524)가 복수개 결합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기구(52)는 모터와 랙기어(Rack Gear)와 피니언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Pulley)와 벨트(Belt)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부재(51)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제어유닛(4)이 상기 컨베이어(2), 상기 윈치(3), 및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하는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차량이 정지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상기 컨베이어(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컨베이어(2)가 정렬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에서 상기 하강위치로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되다가 감속되어 상기 제2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수하물이 운송되도록 상기 컨베이어(2)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하강위치센서(11)가 감지한 제1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수하물에 대한 운송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서 상기 상승위치로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된 컨베이어(2)가 상기 제1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되다가 감속되어 상기 제2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상승위치센서(12)가 감지한 제2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가 차량 중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실시예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가 철도차량 외에 다른 교통수단에 적용되는 실시예는 자명하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가 철도차량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도 5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8은 정차정보송신수단, 획득유닛, 및 제어유닛의 연결관계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에서 센서유닛과 반사유닛의 결합위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유닛과 반사유닛의 결합위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가 철도차량이 정차된 위치에 따라 이동되는 작동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기구의 작동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수하물을 상기 철도차량(100) 내에 설치된 제1운송설비(20)로 반입하거나 상기 수하물을 상기 제1운송설비(20)로부터 반출하기 위해 수하물을 운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윈치(3)는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에 위치되는 하강위치(도 6에서 실선으로 도시됨)로 상기 컨베이어(2)를 회전 이동시킨다. 상기 윈치(3)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철도차량(100) 외부에 위치되는 상승위치(도 6에서 점선으로 도시됨)로 상기 컨베이어(2)를 회전 이동시킨다. 상기 컨베이어(2)는 수하물 반출입을 위한 상기 철도차량(100)의 출입문이 개방됨에 따라 형성된 개방공간(200)을 통해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윈치(3)는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철도차량(100)에 지지되게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하강위치로 회전 이동시킨다. 상기 윈치(3)는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철도차량(100)의 바닥면(101) 또는 상기 제1운송설비(20)에 지지되게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하강위치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윈치(3)가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을 상기 철도차량(100)에 지지되게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은 상기 철도차량(100)의 바닥면(101) 또는 상기 제1운송설비(20)의 수하물 반출입을 위한 바닥면 높이가 변동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바퀴의 마모, 승객의 무게, 상기 수하물의 무게 등이 변동됨에 따라 상기 철도차량(100)의 바닥면(101) 또는 상기 제1운송설비(20)의 수하물 반출입을 위한 바닥면 높이가 변동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변동된 높이에 따라 이동됨으로써 수하물을 원활하게 운송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에는 상기 철도차량(100)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기구(2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기구(23)에는 상기 하강위치센서(11)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윈치모터(33)는 상기 와이어(31)가 상기 윈치풀리(32)에 감기도록 상기 윈치풀리(3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상승위치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윈치모터(33)는 상기 와이어(31)가 상기 윈치풀리(32)에서 풀리도록 상기 윈치풀리(3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하강위치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윈치모터(33)는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철도차량(100)에 지지된 후에 상기 와이어(31)가 상기 윈치풀리(32)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상기 윈치풀리(32)를 더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철도차량(100)에 지지된 후에 상기 와이어(31)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상기 철도차량(100)의 바닥면(101) 또는 상기 제1운송설비(20)의 수하물 반출입을 위한 바닥면 높이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유닛(5)은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컨베이어(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진입위치는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개방공간(200)을 지나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철도차량(100)에 충돌하지 않고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는 위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철도차량(10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거장에 PSD(300, Platform Screen Door)가 설치된 경우, 상기 진입위치는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철도차량(100) 및 상기 PSD(300)에 충돌하지 않고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개방공간(200)은 상기 철도차량(100) 및 상기 PSD(300)에 설치된 출입문이 개방됨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5)은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과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은 상기 철도차량(100)이 운행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52)가 상기 이동부재(51)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철도차량(100)이 정차된 위치에 관한 정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차정보는 정차정보송신수단(400)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차정보송신수단(400)은 상기 철도차량(100), 상기 정거장 등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철도차량(100)이 정차된 위치가 기준정차위치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정차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정차정보송신수단(400)은 상기 정거장에 상기 철도차량(100)이 운행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광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들은 각각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차정보송신수단(400)은 상기 철도차량(100)이 상기 발광센서와 상기 수광센서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수광센서에 상기 발광센서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되지 않은 광센서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정차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정차정보송신수단(400)은 상기 정거장에 설치된 거리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정차정보송신수단(400)은 상기 거리센서가 상기 철도차량(100)과의 거리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정차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정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하고,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에서 상기 하강위치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하고, 상기 수하물이 운송되도록 상기 컨베이어(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하물에 대한 운송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서 상기 상승위치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획득유닛(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획득유닛(6)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었는지에 관한 진입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진입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획득유닛(6)은 센서유닛(61) 및 반사유닛(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61)은 상기 진입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광을 방출한다. 상기 센서유닛(61)은 상기 반사유닛(62)에 반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61)은 레이저 포토 센서(Laser Photo Sensor)일 수 있고, 상기 진입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레이저 빔(Laser Beam)을 방출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반사유닛(62)은 상기 센서유닛(61)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유닛(62)은 상기 철도차량(100) 또는 상기 이동유닛(5)에 설치된다. 상기 반사유닛(62)이 상기 철도차량(100)에 설치되면, 상기 센서유닛(61)은 상기 이동유닛(5)에 설치된다. 상기 반사유닛(62)이 상기 이동유닛(5)에 설치되면, 상기 센서유닛(61)은 상기 철도차량(10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철도차량(100)이 정차된 위치에 따라 상기 반사유닛(62) 또는 상기 센서유닛(61)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유닛(61)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상기 철도차량(100)이 정차된 위치에 따라 상기 반사유닛(62)에 반사되면 상기 센서유닛(61)에 수광되고, 상기 반사유닛(62)에 반사되지 못하면 상기 센서유닛(61)에 수광되지 못한다. 상기 획득유닛(6)은 상기 센서유닛(61)에 광이 수광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진입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반사유닛(62)이 상기 철도차량(100)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유닛(61)이 상기 이동유닛(5)에 설치되는 것이, 상기 반사유닛(62)이 상기 이동유닛(5)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유닛(61)이 상기 철도차량(100)에 설치되는 것에 비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센서유닛(61)이 상기 반사유닛(62)에 비해 단가(單價)가 높아서, 상기 철도차량(100)마다 상기 센서유닛(61)을 설치하면 상기 철도차량(100)마다 상기 반사유닛(62)을 설치하는 것에 비해 재료비가 상승되기 때문이다. 상기 반사유닛(62)이 상기 철도차량(100)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반사유닛(62)은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반사유닛(62)은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해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의 제1운송설비(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61)은 상기 컨베이어(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5)의 이동부재(51)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센서유닛(61)은 상기 이동유닛(5)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에 구비된 다른 구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센서유닛(61)은 상기 컨베이어(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반사유닛(62)은 상기 철도차량(100)의 바닥면(101) 높이가 변동되더라도 상기 센서유닛(61)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62H)를 갖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반사유닛(62)의 높이(62H)는,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수학식 1] e = y + v
상기 수학식 1에서, e는 상기 반사유닛(62)의 높이(62H), y는 상기 철도차량(100)의 바닥면(101) 높이에 대한 최대 변동 거리, v는 여유값이다. 상기 여유값은, 상기 철도차량(100)의 바닥면(101)이 최대 높이 또는 최소 높이로 변동된 경우 상기 센서유닛(61)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반사유닛(62)의 가장자리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상기 센서유닛(61)에 충분한 양의 광이 수광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최대 변동 거리(y)가 65 mm 인 경우, 상기 여유값(v)은 35 mm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반사유닛(62)의 높이(62H)는 100 mm로 정해질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센서유닛(61)은 상기 이동유닛(5)에 설치된 제1센서(6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유닛(62)은 상기 철도차량(100)에 설치된 제1반사기구(6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611) 및 상기 제1반사기구(621)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센서(611)로부터 방출된 광은 상기 제1반사기구(621)에 반사되어 상기 제1센서(611)에 수광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센서(611)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제1반사기구(621)에 반사되어 상기 제1센서(611)에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센서(611)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제1센서(611)에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진입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철도차량(100) 및 상기 PSD(300)에 충돌하지 않으면서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기 위해 이동되어야 하는 이동방향정보는 상기 정차정보송신수단(400, 도 8에 도시됨)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반사기구(621)의 길이(621L)는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수학식 2] a ≤ (w - z) X 2
상기 수학식 2에서, a는 상기 제1반사기구(621)의 길이(621L), w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서 정지될 때 진동, 밀림 등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는 것에 대한 허용 오차값, z는 상기 제1센서(611)가 방출하는 광의 직경이다. 상기 제1센서(611)가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경우, z는 레이저 빔의 스팟(spot) 직경일 수 있다. 상기 제1반사기구(621)의 길이(621L)는 상기 허용 오차값(w)과 상기 광의 직경(z)을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연산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허용 오차값(w)이 ㅁ5 mm이고, 광의 직경(z)이 1mm 인 경우, 상기 제1반사기구(621)의 길이(612L)는 8mm 보다 작거나 같은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1반사기구(612)의 길이(612L)를 줄일수록,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서 정지될 때 발생하는 오차 범위를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반사기구(612)의 길이(612L)를 줄임으로써,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서 정지되는 것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반사기구(621)의 길이(612L)가 5mm인 경우, 결과적으로 상기 허용 오차값(w)은 ㅁ2.5 mm로 되므로,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서 정지되는 것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획득유닛(6, 도 8에 도시됨)은 상기 이동방향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이동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기 위한 이동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방향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센서유닛(61)은 제2센서(612) 및 제3센서(61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반사유닛(62)은 제2반사기구(622) 및 제3반사기구(6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612)는 상기 제1센서(611)로부터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이동유닛(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센서(613)는 상기 제1센서(611)로부터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이동유닛(5)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센서(611)는 상기 제2센서(612) 및 상기 제3센서(61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기구(622)는 상기 제1반사기구(621)로부터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철도차량(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반사기구(623)는 상기 제1반사기구(621)로부터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철도차량(1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반사기구(621)는 상기 제2반사기구(622) 및 상기 제3반사기구(62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기구(622) 및 상기 제2센서(61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도차량(100)이 상기 진입위치보다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정차된 경우, 상기 제2센서(612)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제2반사기구(622)에 반사되어 상기 제2센서(612)에 수광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기구(622) 및 상기 제2센서(6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2센서(612)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제2반사기구(622)에 반사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반사기구(623) 및 상기 제3센서(61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도차량(100)이 상기 진입위치보다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정차된 경우, 상기 제3센서(613)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제3반사기구(623)에 반사되어 상기 제3센서(613)에 수광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반사기구(623) 및 상기 제3센서(61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3센서(613)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제3반사기구(622)에 반사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센서(612) 또는 상기 제3센서(613) 중 어느 하나에 광이 수광되면, 이로부터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기 위한 이동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센서(612)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3센서(613)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센서(612) 및 상기 제3센서(613)에는 광이 수광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센서유닛(61)과 상기 반사유닛(62)을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기 위한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진입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2반사기구(622)의 길이(622L)와 상기 제3반사기구(623)의 길이(623L)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PSD(300)에 충돌하지 않으면서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진입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최대 이동 거리를 감안하여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2반사기구(622)의 길이(622L)와 상기 제3반사기구(623)의 길이(623L)는 아래 수학식 3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수학식 3] d > f
상기 수학식 3에서, d는 상기 제2반사기구(622)의 길이(622L) 및 상기 제3반사기구(623)의 길이(623L), f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최대 이동 거리이다. 예컨대, 상기 최대 이동 거리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PSD(300)에 의해 형성된 개방공간(200)의 중간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390 mm,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390 mm일 수 있다. 즉,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PSD(300)에 의해 형성된 개방공간(200)의 중간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390 mm를 초과하여 이동되면,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진입하기 위해 회전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PSD(300)에 충돌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기구(622)의 길이(622L) 및 상기 제3반사기구(623)의 길이(623L)는 상기 최대 이동 거리보다 큰 길이로 정해질 수 있고, 예컨대 400 mm로 정해질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기 위해 이동되는 이동속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진입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이동유닛(5)이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2)를 이동시키는 속도가 너무 빠르면, 상기 이동유닛(5)이 상기 컨베이어(2)를 정지시키더라도 정지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를 벗어나서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정지시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를 벗어나서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유닛(5)이 상기 컨베이어(2)를 이동시키는 속도를 줄이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제1이동속도로 이동되다가 감속되어 제2이동속도로 이동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속도는 상기 이동유닛(5)이 상기 컨베이어(2)를 정지시켰을 때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어야 하는 위치를 벗어날 정도의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는 속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가까워지면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되는 속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철도차량(100)이 정차된 위치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기 위해 이동되는 이동속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센서(612) 또는 상기 제3센서(613)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철도차량(100)이 상기 기준정차위치로부터 상당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정차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2이동속도보다 빠른 제1이동속도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되지 않고, 상기 제2센서(612) 또는 상기 제3센서(613) 중 어느 하나에만 광이 수광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이동속도에서 감속되어 상기 제2이동속도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612) 및 상기 제3센서(613) 에 광이 수광되지 않고, 상기 제1센서(611)에만 광이 수광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이동속도로 이동되고 있는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되지 않고, 상기 제2센서(612) 또는 상기 제3센서(613) 중 어느 하나에만 광이 수광되면, 상기 철도차량(100)이 상기 기준정차위치로부터 근접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정차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2이동속도로만 이동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센서(611)에만 광이 수광되면, 상기 제2이동속도로 이동되고 있는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이 상기 컨베이어(2)의 이동속도, 상기 컨베이어(2)의 이동방향 등을 결정하는 작동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센서(612) 및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센서(612)에 광이 수광된 것으로부터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방향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된 것으로부터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이동속도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속도를 결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센서(612)는 상기 제2반사기구(622)에 반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고, 상기 제1센서(611)는 상기 제3반사기구(623)에 반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된 후, 상기 제2센서(612)에 광이 수광되고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이동속도에서 감속되어 상기 제2이동속도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기구(621)와 상기 제3반사기구(623)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이동속도에서 상기 제2이동속도로 감속되는 과정에서 이동되는 거리보다 큰 거리(621a)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3센서(613) 및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3센서(613)에 광이 수광된 것으로부터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방향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된 것으로부터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이동속도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속도를 결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3센서(613)는 상기 제3반사기구(623)에 반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고, 상기 제1센서(611)는 상기 제2반사기구(622)에 반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된 후, 상기 제3센서(613)에 광이 수광되고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이동속도에서 상기 제2이동속도로 감속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기구(621)와 상기 제2반사기구(622)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이동속도에서 상기 제2이동속도로 감속되는 과정에서 이동되는 거리보다 큰 거리(621b)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센서유닛(61)은 제1보조센서(614) 및 제2보조센서(6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센서(614)는 상기 제1센서(611)와 상기 제2센서(612)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이동유닛(5)에 설치된다. 상기 제2보조센서(615)는 상기 제1센서(611)와 상기 제3센서(613)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이동유닛(5)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보조센서(614)와 상기 제2보조센서(615)에 광이 수광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제2센서(612)와 상기 제3센서(613)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기 위한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컨베이어(2)가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1센서(611), 상기 제1보조센서(614), 및 상기 제2보조센서(615)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센서(612) 또는 상기 제3센서(613) 중 어느 하나에 광이 수광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612)에 광이 수광된 경우,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3센서(613)에 광이 수광된 경우,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컨베이어(2)가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센서(611), 상기 제1보조센서(614), 및 상기 제2보조센서(615)에 광이 수광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되고 상기 제1보조센서(614) 및 상기 제2보조센서(615) 모두에 광이 수광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되고 상기 제1보조센서(614) 및 상기 제2보조센서(615) 모두에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의 이동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작업과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진입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작업을 별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상기 철도차량(100)이 정차된 위치가 다양한 변수로 작용하더라도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진입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보조센서(614)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제1보조센서(614)가 상기 제2반사기구(622)로부터 이격된 거리(614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센서(614)가 상기 제2반사기구(622)로부터 이격된 거리(614a)는, 아래 수학식 4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수학식 4] b = (a/2 + z)
상기 수학식 4에서, b는 상기 제1보조센서(614)가 상기 제2반사기구(622)로부터 이격된 거리(614a), a는 상기 제1반사기구(621)의 길이(621L), z는 상기 제1보조센서(614)가 방출하는 광의 직경이다. 상기 제1보조센서(614)가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경우, z는 레이저 빔의 스팟 직경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학식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반사기구(621)의 길이(621L)가 5 mm이고, 상기 제1보조센서(614)가 방출하는 광의 직경이 1mm인 경우, 상기 제1보조센서(614)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제2반사기구(622)로부터 3.5 mm만큼 떨어진 위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반사기구(622)와 상기 제1반사기구(621)가 이격된 거리(621b)는, 아래 수학식 5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반사기구(622)와 상기 제1반사기구(612)가 이격된 거리(621b)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이동속도에 비해 저속인 상기 제2이동속도로 이동되는 구간이다.
[수학식 5] c = k - a/2 + b
상기 수학식 5에서, c는 상기 제2반사기구(622)와 상기 제1반사기구(621)가 이격된 거리(621b), k는 상기 제1센서(611)와 상기 제1보조센서(614)가 이격된 거리(614b), a는 상기 제1반사기구(621)의 길이(621L), b는 상기 제1보조센서(614)가 상기 제2반사기구(622)로부터 이격된 거리(614a)이다. 예컨대, 상기 제1센서(611)와 상기 제1보조센서(614)가 이격된 거리(614b)는 56.5 mm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학식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반사기구(621)의 길이(621L)가 5 mm 이고, 상기 수학식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보조센서(614)가 상기 제2반사기구(622)로부터 이격된 거리(614a)가 3.5mm인 경우, 상기 제2반사기구(622)와 상기 제1반사기구(621)가 이격된 거리(621b)는 57.5 mm 일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2보조센서(615)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제2보조센서(615)가 상기 제3반사기구(623)로부터 이격된 거리(615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센서(615)가 상기 제3반사기구(623)로부터 이격된 거리(615a)는, 상기 수학식 4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수학식 4에서, b는 상기 제2보조센서(615)가 상기 제3반사기구(623)로부터 이격된 거리(614a), z는 상기 제2보조센서(615)가 방출하는 광의 직경이다. 상기 제2보조센서(615)가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경우, z는 레이저 빔의 스팟 직경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학식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반사기구(621)의 길이(621L)가 5 mm이고, 상기 제2보조센서(615)가 방출하는 광의 직경이 1mm인 경우, 상기 제2보조센서(615)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제3반사기구(623)로부터 3.5 mm만큼 떨어진 위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반사기구(623)와 상기 제1반사기구(621)가 이격된 거리(621a)는, 상기 수학식 5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반사기구(622)와 상기 제1반사기구(612)가 이격된 거리(621a)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이동속도에 비해 저속인 상기 제2이동속도로 이동되는 구간이다. 상기 수학식 5에서, c는 상기 제3반사기구(623)와 상기 제1반사기구(621)가 이격된 거리(621a), k는 상기 제1센서(611)와 상기 제2보조센서(615)가 이격된 거리(615b), b는 상기 제2보조센서(615)가 상기 제3반사기구(623)로부터 이격된 거리(615a)이다. 예컨대, 상기 제1센서(611)와 상기 제2보조센서(615)가 이격된 거리(615b)는 56.5 mm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학식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반사기구(621)의 길이(621L)가 5 mm 이고, 상기 수학식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2보조센서(615)가 상기 제2반사기구(622)로부터 이격된 거리(615a)가 3.5mm인 경우, 상기 제3반사기구(623)와 상기 제1반사기구(621)가 이격된 거리(621a)는 57.5 mm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2), 상기 윈치(3) 등이 상당한 중량을 갖기 때문에,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되다가 정지되는 과정에서 진동, 슬립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4)이 상기 센서유닛(61)을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이동유닛(5)을 정지시키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진동, 슬립 등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진입위치를 벗어나서 정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일 상기 PSD(300)가 설치되어 있다면 상기 철도차량(100)이 정차된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PSD(300)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정확하게 정지되지 않으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PSD(300)에 충돌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보조센서(614)와 상기 제2보조센서(615)에 광이 수광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된 상태가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되면,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확정할 수 있는 정도의 시간 범위로, 예컨대 200ms 이상 500 ms 이하의 시간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진입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PSD(300)에 충돌하지 않고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61)은 상기 이동유닛(5)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2센서(612) 및 제3센서(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유닛(62)은 상기 철도차량(100)에 설치된 제1반사기구(6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612) 및 상기 제3센서(613)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2센서(612) 및 상기 제3센서(613)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제1반사기구(621)에 반사되지 않는 거리(612a)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기구(621)는, 상기 제2센서(612) 및 상기 제3센서(613)가 이격된 거리(612a)보다 작은 길이(621L)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센서(612) 또는 상기 제3센서(613) 중 어느 하나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612)에 광이 수광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3센서(613)에 광이 수광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612) 및 상기 제3센서(613) 모두에 광이 수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술한 실시예에 비해 상기 센서들및 상기 반사기구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기 위한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제1근접센서(13) 및 브라켓(14, Brack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서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철도차량(100) 외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근접센서(13)는 상기 컨베이어(2)가 기준위치에 위치되기 위한 기준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14)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기준위치는 상기 PSD(300)가 개방됨에 따라 형성된 개방공간(200)의 중간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1근접센서(13)는 상기 브라켓(14)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정거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근접센서(13)는 상기 브라켓(14)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정거장에 구비된 기구물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브라켓(14)은 상기 이동유닛(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제1근접센서(13)가 상기 브라켓(14)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14)은 상기 이동유닛(5)에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브라켓(14)은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동유닛(5)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이동유닛(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근접센서(13)는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브라켓(14)이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이동된 것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기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수하물에 대한 운송을 완료하고 상기 철도차량의 외부에 위치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기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기준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근접센서(13)가 상기 브라켓(14)을 감지할 때까지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근접센서(13)가 상기 브라켓(14)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된 상태로 대기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철도차량(100)이 정차된 위치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기 위한 거리를 줄일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만일 상기 PSD(300)이 설치되어 있다면, 상기 철도차량(100)이 정차된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PSD(300)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철도차량(100)에는 충돌하지 않더라도 상기 PSD(300)에 충돌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제2근접센서(15) 및 제3근접센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근접센서(15)는 상기 브라켓(14)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근접센서(15)는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브라켓(14)이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이동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근접센서(15)는 상기 제1근접센서(13)로부터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정거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근접센서(15)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기 위해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PSD(300)에 충돌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브라켓(14)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근접센서(16)는 상기 브라켓(14)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3근접센서(16)는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브라켓(14)이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이동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3근접센서(16)는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근접센서(15)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근접센서(16)는 상기 제1근접센서(13)로부터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정거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근접센서(16)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기 위해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PSD(300)에 충돌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브라켓(14)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근접센서(16)와 상기 제2근접센서(15)는 상기 브라켓(14)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정거장에 구비된 기구물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근접센서(15) 또는 상기 제3근접센서(16)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브라켓(14)을 감지하면,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는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PSD(300)에 충돌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제1리미트스위치(17) 및 제2리미트스위치(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17)는 상기 정거장에서 상기 브라켓(14)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17)는 상기 제2근접센서(15)로부터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17)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계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17)는 상기 정거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4)이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17)에 접촉된 이후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17)는 상기 브라켓(14)에 밀려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17)가 회전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18)는 상기 브라켓(14)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정거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18)는 상기 제3근접센서(16)로부터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16)은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계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18)는 상기 정거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4)이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18)에 접촉된 이후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18)는 상기 브라켓(14)에 밀려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18)가 회전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제2근접센서(15), 상기 제3근접센서(16),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17), 및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18)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PSD(300)에 충돌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18)와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17)는 상기 브라켓(14)에 접촉될 수 있도록상기 정거장에 구비된 기구물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제1운송설비(20) 및 제2운송설비(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서 상기 컨베이어(2)는 일측이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운송설비(20)는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운송설비(20)는 복수개의 제1롤러(20a) 및 제1작동기구(2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작동기구(20b)는 상기 제1롤러(20a)들을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하물을 운송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은 상기 제1운송설비(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작동기구(20b)가 상기 제1롤러(20a)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수하물은 상기 제1운송설비(20)에서 상기 컨베이어(2)로 운송될 수 있고, 상기 컨베이어(2)에서 상기 제1운송설비(20)로 운송될 수 있다.
상기 제2운송설비(30)는 상기 철도차량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운송설비(30)는 복수개의 제2롤러(30a) 및 제2작동기구(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기구(30b)는 상기 제2롤러(30a)들을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하물을 운송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컨베이어(2)의 타측은 상기 제2운송설비(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철도차량(100)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작동기구(30b)가 상기 제2롤러(30a)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수하물은 상기 제2운송설비(30)에서 상기 컨베이어(2)로 운송될 수 있고, 상기 컨베이어(2)에서 상기 제2운송설비(30)로 운송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30a)는, 상기 컨베이어(2) 보다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철도차량(100)이 정차된 위치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2운송설비(30)는 이동 없이 상기 컨베이어(2)와 연계하여 상기 수하물을 운송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안내기구(40) 및 연결기구(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기구(40)는 상기 제2운송설비(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안내기구(40)는 상기 수하물이 운송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안내기구(40)는 상기 수하물이 운송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수하물이 운송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24)는 상기 수하물이 운송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하물은 상기 안내부재(24)와 상기 안내기구(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운송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50)는 상기 이동유닛(5)과 상기 안내기구(4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유닛(5)이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2)를 이동시키면, 상기 안내기구(40)는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되는 것에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운송장치(1)는 상기 철도차량(100)이 정차된 위치에 따라 상기 안내기구(4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하물을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50)는 상기 안내기구(40)가 체결되는 볼스크류(50a) 및 상기 볼스크류(50a)와 상기 이동유닛(5)의 볼스크류(521)를 연결하는 체인(5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5)의 볼스크류(521)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체인(50b)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체인(50b)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결기구(50)의 볼스크류(50a)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안내기구(40)가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기구(50)는 상기 안내기구(4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상기 볼스크류(50a) 외에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기구(50)는 상기 안내기구(40)와 상기 이동유닛(5)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상기 체인(50b) 외에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벨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은 상술한 수하물 운송장치(1)를 이용하여 수하물을 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차량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컨베이어(2)를 이동시킨다(S1). 이러한 공정(S1)은 상기 차량이 정차된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유닛(5)이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철도차량(100)일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었는지에 관한 진입위치정보는 상기 정차정보송신수단(400) 또는 상기 획득유닛(6)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정차정보송신수단(400) 또는 상기 획득유닛(6)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진입위치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진입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은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차량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차량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차량 내부에 위치되는 하강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컨베이어(2)를 회전 이동시킨다(S2). 이러한 공정(S2)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윈치(3)가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상승위치에서 상기 하강위치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은 상기 제1운송설비(2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컨베이어(2)의 타측은 상기 제2운송설비(3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된 컨베이어(2)가 상기 수하물을 운송한다(S3). 이러한 공정(S3)은 상기 컨베이어모터(22)가 상기 슬랫(21)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정(S3)에 의해, 상기 수하물은 상기 차량에 반입되거나 상기 차량으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수하물에 대한 운송이 완료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차량 외부에 위치되는 상승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컨베이어(2)를 회전 이동시킨다(S4). 이러한 공정(S4)은, 상기 수하물에 대한 운송이 완료되면 상기 윈치(3)가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하강위치에서 상기 상승위치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차량은 상기 컨베이어(2)에 방해됨이 없이 운행될 수 있다.
상기 공정(S4)에서,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되었는지에 관한 상기 제2감지정보는 상기 상승위치센서(12)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컨베이어(2)의 회전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정(S4)에서,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하강위치에서 상기 제1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되다가 감속되어 상기 제2회전속도로 회전 이동된 후 상기 상승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서 상기 상승위치로 회전 이동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에 가까워지면 상기 컨베이어(2)가 회전 이동되는 속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컨베이어(2)를 이동시키는 공정(S1)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차량이 정차된 위치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기 위한 이동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컨베이어(2)를 이동시킨다(S11). 이러한 공정(S11)은 상기 이동유닛(5)이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정(S11)에서,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기 위해 이동되어야 하는 이동방향정보는 상기 정차정보송신수단(400) 또는 상기 획득유닛(6)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정차정보송신수단(400) 또는 상기 획득유닛(6)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이동방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센서(612) 또는 상기 제3센서(613) 중 어느 하나에 광이 수광되면, 이로부터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기 위한 이동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센서(612)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3센서(613)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2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정(S11)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기 위한 거리가 설정된 거리보다 크면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제1이동속도로 이동시키다가 감속시켜 상기 제2이동속도로 이동시킨 후 정지시키는 공정, 및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기 위한 거리가 설정된 거리보다 작으면 상기 컨베이어(2)를 상기 제2이동속도만으로 이동시킨 후 정지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들은, 상기 이동유닛(5)이 상기 컨베이어(2)를 이동시키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정들에서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기 위한 거리가 설정된 거리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는, 상기 정차정보송신수단(400) 또는 상기 획득유닛(6)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기 위한 거리가 설정된 거리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이동속도로 이동되다가 감속되어 상기 제2이동속도로 이동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기 위한 거리가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2이동속도만으로 이동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센서(612) 또는 상기 제3센서(613)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1이동속도로 이동되다가 감속되어 상기 제2이동속도로 이동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2센서(612) 또는 상기 제3센서(613) 중 어느 하나에만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제2이동속도로만 이동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로 이동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가까워지면 상기 컨베이어(2)가 이동되는 속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컨베이어(2)를 정지시킨다(S12). 이러한 공정(S12)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이동유닛(5)이 상기 컨베이어(2)를 정지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정(S12)에서, 상기 진입위치정보는 상기 정차정보송신수단(400) 또는 상기 획득유닛(6)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진입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진입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결정된 이동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보조센서(614) 및 상기 제2보조센서(615)에 광이 수광되지 않고 상기 제1센서(611)에 광이 수광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컨베이어(2)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5)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컨베이어(2)를 이동시키는 공정(S2)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와이어(31)가 상기 윈치풀리(32)에서 풀리도록 상기 윈치풀리(32)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S21). 이러한 공정(S21)은 상기 윈치모터(33)가 상기 윈치풀리(32)를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정(S21)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상승위치에서 상기 하강위치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공정(S21)은 상기 윈치풀리(32)를 설정된 시간 동안 제1속도로 회전시키는 공정, 및 상기 윈치풀리(32)를 상기 제1속도보다 느린 제2속도로 회전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들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2)는 상기 상승위치에서 상기 제1회전속도로 회전되다가 감속되어 상기 제2회전속도로 회전된 후 상기 하강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상승위치에서 상기 하강위치로 이동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수하물을 운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은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 가까워지면 상기 컨베이어(2)가 회전되는 속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차량에 지지되면(S22), 상기 윈치풀리(32)를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더 회전시킨 후 정지시킨다(S23). 이러한 공정들(S22, S23)은,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차량에 지지된 후에 상기 윈치모터(33)가 상기 윈치풀리(32)를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더 회전시킨 후 정지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정들(S22, S23)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은 상기 차량의 바닥 높이가 변동됨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운송방법은 바퀴의 마모, 승객의 무게, 상기 수하물의 무게 등이 변동됨에 따라 상기 차량의 바닥높이가 변동되더라도,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차량의 바닥 높이에 따라 이동됨으로써 수하물을 원활하게 운송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공정들(S22, S23)에서, 상기 컨베이어(2)의 일측이 상기 차량에 지지되었는지에 관한 제1감지정보는 상기 하강위치센서(11)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은 상기 제1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2)가 상기 하강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윈치풀리(32)가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더 회전된 후에 정지되도록 상기 윈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수하물 운송장치 2 : 컨베이어 3 : 윈치 4 : 제어유닛
5 : 이동유닛 6 : 획득유닛 10 : 위치센서 11 : 하강위치센서
12 : 상승위치센서 13 : 제1근접센서 14 : 브라켓 15 : 제2근접센서
16 : 제3근접센서 17 : 제1리미트센서 18 : 제2리미트센서
20 : 제1운송설비 30 : 제2운송설비 100 : 철도차량

Claims (24)

  1. 수하물을 차량 내로 반입하거나 상기 차량으로부터 반출하기 위해 수하물을 운송하는 컨베이어(Conveyor); 및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이 차량 내부에 위치되는 하강위치 및 상기 컨베이어가 차량 외부에 위치되는 상승위치 간에 상기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윈치(Winch)를 포함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차량의 바닥 높이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이 이동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이 차량에 지지되게 상기 컨베이어를 상기 하강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결합된 와이어(Wire),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윈치풀리(Winch Pulley), 및 상기 윈치풀리에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윈치풀리를 회전시키는 윈치모터(Winch Motor)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윈치풀리에서 풀리면 상기 하강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윈치풀리에 감기면 상기 상승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모터는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이 차량에 지지된 후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윈치풀리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상기 윈치풀리를 더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이 차량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차량이 정차된 위치에 관한 정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었는지에 관한 진입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획득유닛, 및 상기 진입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진입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유닛은 상기 진입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광을 방출하는 센서유닛(Sensor Unit), 및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에 설치된 제1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1반사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센서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제1반사기구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제1센서에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제1센서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이동유닛에 설치된 제2센서, 상기 제1센서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이동유닛에 설치된 제3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제1반사기구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되게 차량에 설치된 제2반사기구, 및 상기 제1반사기구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차량에 설치된 제3반사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센서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3센서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센서 또는 상기 제3센서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센서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가 제1이동속도로 이동되다가 감속되어 제2이동속도로 이동된 후 정지되고, 상기 제2센서 또는 상기 제3센서 중 어느 하나에만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2이동속도로 이동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이동유닛에 설치된 제1보조센서 및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3센서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이동유닛에 설치된 제2보조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보조센서와 상기 제2보조센서에 광이 수광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센서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1보조센서와 상기 제2보조센서에 광이 수광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센서에 광이 수광된 상태가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유지되면,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이 차량 내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2센서 및 제3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1반사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2센서 또는 상기 제3센서에 광이 수광되면 상기 컨베이어가 이동되고, 상기 제2센서 및 상기 제3센서에 광이 수광되지 아니하면 상기 컨베이어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제1운송설비, 및 상기 차량 외부에 설치된 제2운송설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치는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이 상기 제1운송설비에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타측이 상기 제2운송설비에 연결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와 연결되어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한 제2운송설비;
    수하물의 운송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2운송설비에 설치된 안내기구; 및
    상기 컨베이어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안내기구가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유닛과 상기 안내기구를 연결하는 연결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에 결합되는 브라켓(Bracket);
    상기 브라켓을 감지하기 위한 제1근접센서; 및
    수하물에 대한 운송이 완료되면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윈치를 제어하고, 상기 컨베어어가 상기 상승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근접센서가 상기 브라켓을 감지하는 기준위치에 상기 컨베이어가 위치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감지하기 위한 제2근접센서;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근접센서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을 감지하기 위한 제3근접센서; 및
    상기 제2근접센서 또는 상기 제3근접센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브라켓을 감지하면, 상기 컨베이어가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상승위치와 상기 하강위치 간에 회전되는 속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컨베이어가 설정된 시간 동안 제1회전속도로 회전되다가 감속되어 제2회전속도로 회전된 후 정지되도록 상기 윈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19. 슬랫(Slat) 방식을 적용하여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를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윈치; 및
    상기 컨베이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를 제어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와 결합되는 이동부재;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볼스크류(Ball Screw);
    상기 볼스크류와 연결되어, 제어에 따라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Motor);
    상기 컨베이어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LM 가이드(LM Gui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상기 컨베이어의 앞부분을 들어 올리도록 지지하고, 상기 와이어를 지탱하기 위한 도르래를 포함하는 윈치유닛(Winch Unit);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윈치풀리; 및
    상기 윈치풀리와 연결되고, 제어에 따라 상기 윈치풀리를 구동시키는 윈치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슬랫들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모터(Conveyor Mot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하물 운송장치.
KR20100082041A 2010-08-24 2010-08-24 수하물 운송장치 KR101309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2041A KR101309345B1 (ko) 2010-08-24 2010-08-24 수하물 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2041A KR101309345B1 (ko) 2010-08-24 2010-08-24 수하물 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990A true KR20120018990A (ko) 2012-03-06
KR101309345B1 KR101309345B1 (ko) 2013-10-04

Family

ID=4612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82041A KR101309345B1 (ko) 2010-08-24 2010-08-24 수하물 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006B1 (ko) * 2016-04-08 2017-03-02 비피시 주식회사 저탄장 정리장비용 이송대차
CN108946216A (zh) * 2018-07-05 2018-12-07 四川省烟草公司德阳市公司 一种新型月台卷烟装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094Y1 (ko) * 1992-12-10 1995-04-21 최점현 상.하차용 콘베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006B1 (ko) * 2016-04-08 2017-03-02 비피시 주식회사 저탄장 정리장비용 이송대차
CN108946216A (zh) * 2018-07-05 2018-12-07 四川省烟草公司德阳市公司 一种新型月台卷烟装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345B1 (ko) 201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628B1 (ko) 물품 지지 장치
KR102463268B1 (ko) 물품 반송 설비, 및 물품 반송차
JP4756371B2 (ja) 物品収納設備
KR20180044196A (ko) 물품 반송 설비
US7240622B2 (en) Travel control method for travel vehicle
KR101423146B1 (ko) 반송차 시스템
KR102501698B1 (ko) 천장 주행차, 천장 주행차 시스템, 및 장애물의 검출 방법
JP4461199B1 (ja) 距離測定装置
JP6298314B2 (ja) 搬送台車
JP4471118B2 (ja) 物品搬送設備
KR101309345B1 (ko) 수하물 운송장치
KR100500728B1 (ko)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JP2017166282A (ja) 車幅検知装置、こ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場設備
JP3671798B2 (ja) 荷搬送設備
JP6263416B2 (ja) 駐車システムにおける搬送台車の停止方法
JP2000229706A (ja) 移動体の走行装置
JP3496823B2 (ja) トラックへの荷積みシステム
JP4023266B2 (ja) 走行体の走行装置
JP3791078B2 (ja) 移載装置の移動制御装置
JP2001115676A (ja) 機械式駐車装置
JP3496824B2 (ja) 荷積みシステム
JP3555079B2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2001301986A (ja) 荷積みシステム
KR200337149Y1 (ko) 화물 적층용 크레인
JP5894425B2 (ja) 物品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