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242B1 - 주차타워설비 및 차량 입출고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타워설비 및 차량 입출고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6242B1 KR102326242B1 KR1020200177751A KR20200177751A KR102326242B1 KR 102326242 B1 KR102326242 B1 KR 102326242B1 KR 1020200177751 A KR1020200177751 A KR 1020200177751A KR 20200177751 A KR20200177751 A KR 20200177751A KR 102326242 B1 KR102326242 B1 KR 1023262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exit
- parking tower
- parking
- ent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주차 타워설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타워설비는 내부에 복수의 격납부가 구비된 주차타워와, 주차타워 외측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정차영역과, 복수의 정차영역 외측에서 주차타워의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외부도로와 구분되는 일방향 주행도로와, 복수의 정차영역과 대응하도록 주차타워 내측에 위치된 복수의 입출고영역과, 복수의 정차영역과 복수의 입출고영역을 사이에 두고 각각 위치되는 복수의 입출고 도어 및 정차영역에 위치된 차량을 입출고영역으로 운반하는 반출입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차타워설비 및 차량 입출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한 차량 입출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주차 공간의 절대 부족 현상이 나타나 교통 혼잡 및 환경 문제와 더불어 주차난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작은 공간에 많은 차량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방안이 다각도로 모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을 기계식 주차 시스템에 의해 층상으로 보관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계식 주차 시스템은 구동 방식에 따라 크게 순환식과 왕복식으로 구분되고, 순환식에는 수직 순환 방식, 수평 순환 방식, 다층 순환 방식등이 있고, 왕복식에는 이단 방식, 삼단 방식, 평면 왕복 방식, 엘리베이터 방식, 엘리베이터 슬라이드 방식, 스태커 크레인 방식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의 입출고 시간을 단축하고, 운전자의 주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주차타워설비 및 차량 입출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도로와 구분되는 주차도로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내부에 복수의 격납부가 구비된 주차타워; 상기 주차도로와 상기 주차타워 사이에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정차영역; 상기 복수의 정차영역과 대응하도록 상기 주차타워 내측에 마련된 복수의 입출고영역; 및 상기 정차영역에 위치된 차량을 상기 입출고영역으로 운반하는 반출입장치;를 포함하는 주차타워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격납부 중 하나에 차량 주차 전 임시 정차를 위해 상기 입출고영역의 측방에 마련된 임시 입출고영역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은 높이방향으로 복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은 상기 복수의 격납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에 정차된 차량을 상기 복수의 격납부 중 하나로 운반하는 스태커크레인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에는 차량이 적재되는 포크 형태의 적재바가 구비되고, 상기 반출입장치와 상기 스태커크레인에는 각각 상기 적재바와 중첩 가능한 포크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출고영역에는 이동된 상기 반출입장치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출고영역에는 차량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차영역과 상기 복수의 입출고영역을 사이에 두고 각각 위치되는 복수의 입출고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입출고 도어가 설치된 입출고 격벽부에는 상기 정차영역에 위치된 인체 및 차량의 도어 열림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입출고 도어는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개폐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반출입장치에는 차량 진입 시 전륜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부로 돌출 가능한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차도로는 일방향 주행도로를 포함한다.
상기 정차영역의 좌우 양측에는 차량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월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한 주차타워의 차량 입고방법으로서, 주차타워의 주변에 외부도로와 구분되게 마련된 일방향 주행도로를 따라 차량을 주행하고, 상기 주차타워의 외부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정차영역 중 하나에 차량을 정차하고, 정차된 차량에 대응하는 상기 주차타워의 입출고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정차영역에 위치된 반출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타워 내측의 입출고영역에 정차된 차량을 운반하고, 상기 입출고영역에 운반된 차량을 상기 입출고영역의 측방에 위치된 임시 입출고영역에 운반하고,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에 운반된 차량을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과 구분되도록 상기 주차타워 내부에 위치된 복수의 격납부 중 하나에 입고시키는 주차타워의 차량 입고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은 높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하 복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입출고영역에 마련된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단의 임시 입출고영역 중 하나로 차량을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한 주차타워의 차량 출고방법으로서, 주차타워 내부에 위치된 복수의 격납부 중 하나에 입고된 차량을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출하고, 상기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주차타워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격납부와 구분되도록 이격된 복수의 임시 입출고영역 중 하나로 차량을 운반하고, 상기 하나의 임시 입출고영역에 정차된 차량을 반출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타워 내측의 복수의 입출고영역 중 하나로 운반하고, 상기 하나의 입출고영역과 대응하는 입출고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반출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타워의 외부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정차영역 중 상기 하나의 입출고영역과 대응하는 정차영역에 차량을 운반하고, 상기 복수의 정차영역 외측에 외부도로와 구분되게 마련된 일방향 주행도로를 따라 차량을 이동시키는 주차타워의 차량 출고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은 높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하 복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입출고영역에 마련된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단의 임시 입출고영역 중 하나의 차량을 상기 하나의 입출고영역으로 운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차량 입출고 시 주변 도로와 구분된 일방향 주행도로를 따라 주행하면서 개방된 공간에서 차량의 입출고가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 정체 및 운전자가 느끼는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들은 한정된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하는 경우 차량 입출고 시간을 단축함에 의해 이용자의 과도한 기다림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주차타워설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주차타워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 내부의 격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의 정차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의 정차영역과 입출고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임시 입출고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설비를 이용한 차량 입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설비를 이용한 차량 출고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주차타워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 내부의 격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의 정차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의 정차영역과 입출고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임시 입출고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설비를 이용한 차량 입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설비를 이용한 차량 출고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주차타워설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주차타워설비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 내부의 격납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의 정차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의 정차영역과 입출고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임시 입출고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주차타워설비(10)는 내부에 복수의 격납부(21)가 구비된 주차타워(20)와, 주차타워(20)의 외측에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정차영역(30)과, 복수의 정차영역(30)의 외측에서 일반 차량이 주행하는 외부도로(12)와 구분되어 주차를 위한 차량만이 이동하는 주차도로(11)를 포함한다. 주차도로(11)는 주차타워(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일방향 주행도로를 포함한다. 일방향 주행도로로 구성된 주차도로(11)는 외부도로(12)와 구분될 수 있도록 주차타워설비(10)에 마련되고, 피크 타임 시 내부 동선을 확보하여 외부 도로의 점유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운전자는 외부도로(12)와 구분된 일방향 주차도로(11)의 입구(13)로 차량을 진입한 후 주차도로(11)의 출구(14)까지 주행하면서 복수의 정차영역(30) 중 하나에 정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주차도로(11)는 주차타워(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주차타워(20) 전부를 둘러싸도록 구성하였으나, 외부도로(12)와의 관계에 따라서 주차타워(20)의 일측면, 서로 인접하거나 마주하는 두 측면, 또는 세 측면을 감싸는 일방향 주행도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도 주차도로(11)와 주차타워(20) 사이에는 복수의 정차영역(30)이 병렬 배치될 수 있다.
주차타워(20)는 차량을 주차하는 공간인 복수의 격납부(21)를 형성하기 위한 랙(22)과, 랙(22)의 각 격납부(21)에 설치되는 적재바(23)와, 적재바(23)의 측면으로 접근 및 후퇴하면서 차량(C)을 적재바(23) 상에 적재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인출시키는 포크바(24)를 전후, 좌우,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스태커크레인(25)을 포함한다.
랙(22)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포스트(22a)와, 서로 이웃하는 두 포스트(22a)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보(22b)로 구성된다. 복수의 수평보(22b)는 포스트(2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높이마다 설치되어 랙(22)에 복수의 격납부(21)를 제공한다.
적재바(23)는 적정두께와 폭을 갖는 긴 판상이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포크 형태로 구성되고, 포크바(24)는 적재바(23)의 측면에서 중첩되어 진입 가능한 포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포크바(24)는 적재바(23)와 마찬가지로 적정두께와 폭을 갖는 긴 판상이 적재바(23)와 중첩될 수 있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스태커크레인(25)은 랙(22)과 랙(22)과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주차타워(20)의 바닥과 천장에 구비된 레일(26)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고, 캐리지(27)가 마스트(28)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구조를 가진다.
캐리지(27)에는 포크바(24)가 좌우이송수단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좌우이송수단은 주지의 기구, 예를 들면 차량(C)의 신속한 적재와 인출을 위해 동시에 작동되는 슬라이딩 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랙과 피니언 구동, 또는 체인 구동을 이용할 수 있다. 포크바(24)는 적재바(23)의 측방으로 진입하여 적재바(23) 사이공간에 중첩될 수 있고, 스태커크레인(25)에 의해 포크바(24)의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적재바(23) 위에 차량을 적재 또는 이재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정차영역(30) 중 하나에 정차된 차량은 주차타워(20) 내부에 마련된 입출고영역(40)으로 반입된 후 스태커크레인(25)에 의해 격납부(21)로 이송될 수 있다.
정차영역(30)에는 정차된 차량을 입출고영역(40)으로 이송하기 위한 반출입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반출입장치(50)는 주지의 팔레트, 이송대차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컨베이어, 랙과 피니언, 또는 체인 구동을 이용하여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반출입장치(50)에는 차량의 전륜과 후륜이 지지되는 포크바(51)가 설치될 수 있고, 포크바(51)는 주지의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포크바(51)는 복수개가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이웃하는 포크바(51) 사이의 공간으로 스태커크레인(25)의 포크바(24)가 진입 및 진출하여 스태커크레인(25)으로 차량을 이동시켜 적재할 수 있다.
반출입장치(50)의 전방에는 차량 진입 시 전륜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52)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52)는 반출입장치(5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차량이 진입할 때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차영역(30)의 좌우 양측에는 반출입장치(50)로 차량의 안전한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월(53)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월(53)에는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명이 설치될 수 있다.
정차영역(30)의 전방에는 주차타워(20)의 입출고 격벽부(60)가 마련된다.
입출고 격벽부(60)에는 개폐 가능한 입출고 도어(61)가 설치된다. 입출고 도어(61)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를 도시하나, 상하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입출고 격벽부(60)에는 정차영역(3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등(62)이 마련될 수 있다.
상태표시등(62)은 정차영역(30)의 번호가 표시될 수 있고, 녹색, 황색, 적색의 3색 안내등이 구비될 수 있다. 녹색등은 정차영역(30)에 주차가 가능한 경우 표시되고, 황색등은 입출고 진행 중인 경우 표시되며, 적색등은 출차 대기 중인 경우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태표시등(62) 하부의 입출고 격벽부(60)에는 디스플레이(63)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63)는 차량의 주차 배치 영상, 안내멘트 등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63)는 입고되는 차량에 대한 반입 불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반출입장치(50)에는 안착된 차량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무게가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63)를 통해 반입 불가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입출고 격벽부(60)에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64)와, 정차영역(30)에 위치된 인체 및 차량의 도어 열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5)가 설치될 수 있다.
감지센서(65)는 레이다(radar)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입출고 도어(61)는 감지센서(65)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개폐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입출고 도어(61)는 감지센서(65)와 카메라(64)의 정보를 이용하여 개폐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입출고 도어(61)는 정차영역(30)에서 인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반출입장치(50)에 차량을 정차시키면 디스플레이(63)를 통해 탑승자 전원이 정차영역(30)의 밖으로 퇴출하도록 안내하고, 감지센서(65)는 정차영역(30)에 위치된 사람의 수를 감지하여 정차영역(30)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만 입출고 도어(61)가 열린 후 반출입장치(50)가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입출고 도어(61)는 감지센서(65)를 통한 차량의 도어 열림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만 열리도록 동작될 수도 있다.
입출고영역(40)은 입출고 도어(61)를 사이에 두고 정차영역(30)과 마주하게 주차타워(2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입출고영역(40)에 운반된 차량은 주차타워(20) 내부에 구비된 스태커크레인(25)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입출고영역(40)의 측방에는 스태커크레인(25)을 이용하여 격납부(21)에 차량 주차 전 임시 정차를 위한 임시 입출고영역(70)이 구비될 수 있다.
임시 입출고영역(70)은 복수의 격납부(21)와 구분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임시 입출고영역(70)은 차량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 등 피크 타임에서 한정된 스태커크레인(25)을 이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차량의 대기시간과 차량의 입출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임시 입출고영역(70)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포스트(71)와, 서로 이웃하는 두 포스트(71)와 직교하도록 연결되며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보(72)에 의해 상하로 복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각 임시 입출고영역(70)에는 차량이 적재되기 위한 포크 형태의 적재바(73)가 구비되고, 적재바(73)는 스태커크레인(25)의 포크바(24) 및 반출입장치(50)의 포크바(51)가 중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출고영역(40)에는 임시 입출고영역(70) 중 하나로 차량을 이송시키기 위한 승강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승강장치(80)는 입출고영역(40)에 위치된 승강테이블(81)과, 승강테이블(8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82)를 포함한다.
구동장치(82)는 주차타워(20)의 상부에 배치된 윈치장치(미도시)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83)가 승강테이블(81)의 네 모서리 부분에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승강테이블(81)은 윈치장치의 구동에 의해 상부의 승강로(84)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복수단으로 구성된 임시 입출고영역(70) 중 하나에 인접하도록 상승할 수 있다.
승강테이블(81)은 윈치장치의 구동에 의해 승강로(84)를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된 예를 도시하나, 실린더, 레일, 랙과 피니언 등 주지의 수단을 이용하여 승강로(84)를 승하강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승강테이블(81)에는 차량을 선회시키기 위한 턴테이블(85)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타타워의 차량 입출고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설비를 이용한 차량 입고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C)을 주차타워(20)에 입고하는 경우 운전자는 외부도로(12)와 구분된 주차도로(11)의 입구(13)를 통해 진입하여 주차도로(11)를 따라서 주차타워(20)의 주위를 일방향으로 주행한다.
그리고, 운전자는 주차도로(11)를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정차영역(30) 중 비워진 하나에 차량을 정차시킨다.
정차영역(30)에 차량이 정차되면, 운전자는 디스플레이(63)에 표시된 안내문구에 따라서 차량(C)으로부터 하차 후 정차영역(30)으로부터 퇴출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좁고 밀폐된 공간으로 차량을 진입할 필요가 없어 운전자는 압박감을 느끼지 않는 편안한 주차가 가능하게 된다.
입출고 격벽부(60)에 구비된 감지센서(65)는 정차영역(30)에 존재하는 인체 및 차량의 도어 열림을 감지하고, 감지센서(65)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통해 입출고 도어(61)는 개폐 제어되게 된다.
정차영역(30)에 인체 정보 및/또는 차량의 도어 열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입출고 도어(61)는 개방되고, 정차영역(30)에 정차된 차량은 반출입장치(50)를 통해 주차타워(20) 내측의 입출고영역(40)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입출고영역(40)으로 이동된 차량(C)은 입출고영역(40)의 측방에 위치된 임시 입출고영역(70)으로 운반된다. 이때 입출고영역(40)으로 이동된 반출입장치(50)는 승강장치(80)에 의해 복수단의 임시 입출고영역(70) 중 비워진 하나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임시 입출고영역(70)으로의 차량(C) 운반은 반출입장치(50)에 구비된 포크바(51)가 측방으로 이동하여 이웃하는 임시 입출고영역(70)의 적재바(73)에 중첩됨으로써 적재바(73) 위에 안착될 수 있다.
반출입장치(50)로부터 임시 입출고영역(70)으로 차량(C)이 운반되면, 반출입장치(50)는 신속히 정차영역(30)으로 복귀됨에 따라 다음 차량의 주차를 위해 대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C)을 입고 시키기 위한 다음 이용자를 과대하게 기다리지 않도록 하여 차량 입고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임시 입출고영역(70)에 저장된 차량(C)은 스태커크레인(25)의 포크바(24)를 이용하여 임시 입출고영역(70)에 적재된 차량(C)을 이재시킨 후 순차적으로 복수의 격납부(21) 중 하나에 입고시킨다.
도 8은 본 실시 예의 주차타워설비를 이용한 차량 출고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출고 시에는 차량의 입고방법과 반대의 흐름을 따라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스태커크레인(25)은 출고될 차량(C)이 적재된 격납부(21)로부터 차량(C)을 빼낸 후 복수의 임시 입출고영역(70) 중 하나로 운반한다.
그리고, 복수의 임시 입출고영역(70) 중 하나에 운반된 차량(C)은 반출입장치(50)를 통해 복수의 입출고영역(40) 중 하나로 운반된 후 대응하는 입출고 도어(61)가 개방되어 이용자가 대기하는 정차영역(30)으로 반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는 정차영역(30)에 반출된 차량을 탑승하여 일방향 주차도로(11)를 따라 주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반출입장치(50)와 스태커크레인(25)은 개별적으로 동작됨에 따라 한정된 스태커크레인(25)을 이용하는 경우 차량(C)의 입출고에 필요한 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주차타워설비, 11: 주차도로,
12: 외부도로, 20: 주차타워,
21: 격납부, 25: 스태커크레인,
30: 정차영역, 40: 입출고영역,
50: 반출입장치, 52: 스토퍼,
60: 입출고 격벽부, 61: 입출고 도어,
62: 상태표시등, 63: 디스플레이,
70: 임시 입출고영역, 80: 승강장치,
81: 승강테이블, 85: 턴테이블.
12: 외부도로, 20: 주차타워,
21: 격납부, 25: 스태커크레인,
30: 정차영역, 40: 입출고영역,
50: 반출입장치, 52: 스토퍼,
60: 입출고 격벽부, 61: 입출고 도어,
62: 상태표시등, 63: 디스플레이,
70: 임시 입출고영역, 80: 승강장치,
81: 승강테이블, 85: 턴테이블.
Claims (19)
- 외부도로와 구분되는 주차도로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내부에 복수의 격납부가 구비된 주차타워;
상기 주차도로와 상기 주차타워 사이에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정차영역;
상기 복수의 정차영역과 대응하도록 상기 주차타워 내측에 위치된 복수의 입출고영역;
상기 정차영역에 위치된 차량을 상기 입출고영역으로 운반하는 반출입장치; 및
상기 복수의 격납부 중 하나에 차량 주차 전 임시 정차를 위해 상기 입출고영역의 측방에 구비된 임시 입출고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입출고영역은 높이방향으로 복수단을 구성하는 주차타워설비.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은 상기 복수의 격납부와 이격되는 주차타워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에 정차된 차량을 상기 복수의 격납부 중 하나로 운반하는 스태커크레인을 더 포함하는 주차타워설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에는 차량이 적재되는 포크 형태의 적재바가 구비되고, 상기 반출입장치와 상기 스태커크레인에는 각각 상기 적재바와 중첩 가능한 포크바가 구비되는 주차타워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출고영역에는 이동된 상기 반출입장치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장치가 구비되는 주차타워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출고영역에는 차량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주차타워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차영역과 상기 복수의 입출고영역을 사이에 두고 각각 위치되는 복수의 입출고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입출고 도어가 설치된 입출고 격벽부에는 상기 정차영역에 위치된 인체 및 차량의 도어 열림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는 주차타워설비.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출고 도어는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개폐 제어되는 주차타워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입장치에는 차량 진입 시 전륜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부로 돌출 가능한 스토퍼가 구비되는 주차타워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도로는 일방향 주행도로를 포함하는 주차타워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영역의 좌우 양측에는 차량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월이 돌출되는 주차타워설비. -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한 주차타워의 차량 입고방법으로서,
주차타워의 주변에 외부도로와 구분되게 구비된 일방향 주행도로를 따라 차량을 주행하고,
상기 주차타워의 외부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정차영역 중 하나에 차량을 정차하고,
정차된 차량에 대응하는 상기 주차타워의 입출고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정차영역에 위치된 반출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타워 내측의 입출고영역에 정차된 차량을 운반하고,
상기 입출고영역에 운반된 차량을 상기 입출고영역의 측방에 위치된 임시 입출고영역에 운반하고,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에 운반된 차량을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과 구분되도록 상기 주차타워 내부에 위치된 복수의 격납부 중 하나에 입고시키고,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은 높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하 복수단을 구성하는 주차타워의 차량 입고방법.
- 삭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영역에 마련된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단의 임시 입출고영역 중 하나로 차량을 운반하는 주차타워의 차량 입고방법. -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한 주차타워의 차량 출고방법으로서,
주차타워 내부에 위치된 복수의 격납부 중 하나에 입고된 차량을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출하고,
상기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주차타워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격납부와 구분되도록 이격된 복수의 임시 입출고영역 중 하나로 차량을 운반하고,
상기 하나의 임시 입출고영역에 정차된 차량을 반출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타워 내측의 복수의 입출고영역 중 하나로 운반하고,
상기 하나의 입출고영역과 대응하는 입출고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반출입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타워의 외부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정차영역 중 상기 하나의 입출고영역과 대응하는 정차영역에 차량을 운반하고,
상기 복수의 정차영역 외측에 외부도로와 구분되게 구비된 일방향 주행도로를 따라 차량을 이동시키고,
상기 임시 입출고영역은 높이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하 복수단을 구성하는 주차타워의 차량 출고방법.
- 삭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영역에 마련된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단의 임시 입출고영역 중 하나의 차량을 상기 하나의 입출고영역으로 운반하는 주차타워의 차량 출고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7751A KR102326242B1 (ko) | 2020-12-17 | 2020-12-17 | 주차타워설비 및 차량 입출고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7751A KR102326242B1 (ko) | 2020-12-17 | 2020-12-17 | 주차타워설비 및 차량 입출고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6242B1 true KR102326242B1 (ko) | 2021-11-16 |
Family
ID=7871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7751A KR102326242B1 (ko) | 2020-12-17 | 2020-12-17 | 주차타워설비 및 차량 입출고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624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2046A (ko) | 2004-10-11 | 2006-04-14 | 이완영 |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의 입출고용 적재대 |
JP2007255000A (ja) * | 2006-03-22 | 2007-10-04 | Mbs Inc | 集合住宅 |
JP2016037827A (ja) * | 2014-08-11 | 2016-03-22 |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 パズル式格納庫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
JP2019203252A (ja) * | 2018-05-21 | 2019-11-28 | 富士変速機株式会社 | 駐車装置 |
-
2020
- 2020-12-17 KR KR1020200177751A patent/KR1023262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2046A (ko) | 2004-10-11 | 2006-04-14 | 이완영 |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의 입출고용 적재대 |
JP2007255000A (ja) * | 2006-03-22 | 2007-10-04 | Mbs Inc | 集合住宅 |
JP2016037827A (ja) * | 2014-08-11 | 2016-03-22 |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 パズル式格納庫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
JP2019203252A (ja) * | 2018-05-21 | 2019-11-28 | 富士変速機株式会社 | 駐車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516357B (zh) | 自动化集装箱装卸码头 | |
KR0145422B1 (ko) | 물품승강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입체 주차장 | |
JP2006342501A (ja) | 箱形循環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 |
KR102326242B1 (ko) | 주차타워설비 및 차량 입출고 방법 | |
WO2017217820A1 (ko) |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 |
KR102604402B1 (ko) | 주차타워설비 | |
KR102516071B1 (ko) | 주차타워설비용 차량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주차타워설비 | |
KR100259500B1 (ko) | 엘리베이터방식 주차설비의 리프트 제어 방법 및 장치 | |
GB2175575A (en) | Multilevel storehouse | |
KR900006056B1 (ko) | 입체 주차장 | |
JP3140634B2 (ja) | 立体駐車場 | |
JP5469431B2 (ja) | 機械式駐車設備及びその車両入出庫方法 | |
JP4642214B2 (ja) | 機械式駐車装置の無人誘導・管理方法及び装置 | |
KR101814157B1 (ko) |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 |
KR910006192B1 (ko) | 입체주차장 | |
JP2003293606A (ja) | 機械式駐車設備 | |
JP2647024B2 (ja) | 立体駐車場の運転方法 | |
JP3011805B2 (ja) | 中間乗入型の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 |
JPH06221016A (ja) | 立体駐車場 | |
JPS62164972A (ja) | 多段多列多層式格納装置 | |
JP2643863B2 (ja) | 立体駐車場 | |
JPH0617554A (ja) | 立体駐車装置 | |
JPH06264638A (ja) | 立体駐車場 | |
JP2578010Y2 (ja) | 移送装置を具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 |
JP2003278396A (ja) | 立体駐車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