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157B1 -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157B1
KR101814157B1 KR1020160075236A KR20160075236A KR101814157B1 KR 101814157 B1 KR101814157 B1 KR 101814157B1 KR 1020160075236 A KR1020160075236 A KR 1020160075236A KR 20160075236 A KR20160075236 A KR 20160075236A KR 101814157 B1 KR101814157 B1 KR 101814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ows
trailer
unit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165A (ko
Inventor
김세중
Original Assignee
시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1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165A/ko
Priority to SG11201811224WA priority patent/SG11201811224WA/en
Priority to PCT/KR2017/006351 priority patent/WO201721782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복수 개의 컨테이너를 행, 열 및 층을 이루는 격납구획에 적층시켜 보관하되, 상기 격납구획은 행(行, Line), 열(列, Row) 단(段, Stack, Tier) 동(棟, Bay) 및 층(層, Storey)에 따라 복수의 컨테이너 격납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컨테이너 격납부분 각각은 고유번호가 부여되며, 보관되는 컨테이너를 적재크레인을 이용하여 지정된 고유번호의 컨테이너 격납부분에 이동시켜 보관할 수 있는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격납구획을 복수의 격납부분으로 구분한 후 각각의 격납부분에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컨테이너를 보관하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적층보관되더라도 필요에 따라 해당 격납부분에 보관 중에 컨테이너를 정확하게 찾아 반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격납구획이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컨테이너가 적재된 트레일러의 복수 격납구획 층의 이동 없이도 격납구획의 외주에 구비된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지정된 격납부분에 컨테이너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Storage for Container Stacking}
본 발명은 복수의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복수 개의 컨테이너를 행, 열 및 층을 이루는 격납구획에 적층시켜 보관하되, 상기 격납구획은 행(行, Line), 열(列, Row) 단(段, Stack, Tier) 동(棟, Bay) 및 층(層, Storey)에 따라 복수의 컨테이너 격납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컨테이너 격납부분 각각은 고유번호가 부여되며, 보관되는 컨테이너를 승강장치, 적재크레인 및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지정된 고유번호의 컨테이너 격납부분에 이동시켜 보관할 수 있는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를 통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것은 상품을 전세계적으로 운송하는데 있어서 비용 효율이 높은 방법이다.
통상적으로, 많은 수의 컨테이너가 선박으로 운반되고 항구에 내려진다. 그 다음 컨테이너는 트레일러에 의해서 보관 장소로 운반되어 보관된다. 컨테이너는 대체로 겹겹이 적층되어 보관된다. 각각의 쌓인 더미(stack)의 높이는 통상적으로 6~7개의 컨테이너를 적층하지만 컨테이너의 무게와 컨테이너의 강도, 기후조건에 의해 제한된다.
아울러 각각의 컨테이너의 회수는 쌓인 더미 속에서 원하는 컨테이너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 그리고 필요하다면, 트럭에 싣기 위한 원하는 컨테이너를 회수하기 위해 상부에 놓인 컨테이너를 이적(移積)시키는 것을 수반한다.
또한 화물이 미수용된 컨테이너는 재사용을 위하여 보관되는데, 일반적으로 단순히 크기가 유사한 것으로 구분된 복수의 컨테이너를 지상에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넓은 야적장이 필요하여 단위 면적당 적재 능력이 낮은 것이 문제로 대두되었다.
다음은 컨테이너를 보관하기 위한 격납 방식에 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29819호는 입체격납고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공간에 인접하여, 격납실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한 격납실열이 설치되고, 격납실열의 지상일층에 입출고실이 설치되며, 이것에 의해 다닐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입체격납고는 소정의 통로로부터 입출고실에 차량을 입고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로를 통과하여 별도의 통로를 통하여 입출고실에 차량을 입고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대량의 컨테이너를 일괄적으로 보관시키기에는 다소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고,
유럽 등록특허공보 제2,213,596 B1는 컨테이너 창고를 제시하였으나, 단순히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가 복수의 층을 오르내리는 방식으로 컨테이너를 이동시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29819호(2002.03.11.) 유럽 등록특허공보 제2,213,596 B1(2012.04.04.)
본 발명은 컨테이너 보관에 관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일반적인 컨테이너 보관 방법은 단순히 크기가 유사한 것으로 구분된 복수의 컨테이너를 지상에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넓은 야적장이 필요하여 단위 면적당 적재 능력이 낮은 문제가 발생하였고;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물 또는 구조물에 컨테이너를 보관하는 경우,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가 복수의 층을 오르내리는 램프웨이(경사로, ramp way)가 필요하고, 복수층에도 넓은 트레일러 이동 도로가 필요하는 등 컨테이너 적재 공간이 현저하게 감소되며, 램프웨이의 건설비가 추가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복수 개의 컨테이너가 복수의 행(行, Line), 열(列, Row) 단(段, Stack, Tier) 동(棟, Bay) 및 층(層, Storey)을 이루며 격납되는 격납구획; 상기 격납구획의 외주에 형성되어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컨테이너 상하차장이 형성되는 트레일러 이동로; 상기 격납구획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컨테이너를 각각 이동시켜 격납구획의 행, 열 및 높이 방향으로 적재시키는 적재크레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격납구획의 복수의 행(行, Line), 열(列, Row) 단(段, Stack, Tier) 동(棟, Bay) 및 층(層, Storey)에 의하여 구분된 컨테이너 격납부분은 각각의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되도록 구성되는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는 컨테이너와 트레일러의 반입에서 반출까지 컨테이너 검사, 컨테이너 번호 인식, 차량 번호 인식, 구역 내 교통 자동 통제, 크레인 자동화, 승강장치 자동화, 대차 자동화를 함으로서 관리 및 운영 인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완벽한 정보처리로서 컨테이너 관리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토지 면적당 컨테이너 적재 가능 개수를 최대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컨테이너 1개당 건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불필요한 토지와 면적을 점유를 하고 있는 램프, 복수층의 트레일러 도로 등이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트레일러의 운전자는 위험한 복수 층까지의 곡예운전과 장거리 오르내림에 의한 사고 위험성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운전자와 트레일러가 상부층에 필요 없이 정체되어 교통난이 발생하는 것이 없어지게 되며, 차량 가스배출에 의한 공기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를 나타내는 평면도(제1 격납구획층).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를 나타내는 평면도(제2 격납구획층).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를 나타내는 평면도(제3 격납구획층).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를 나타내는 B-B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를 나타내는 A-A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를 나타내는 평면도(제1 격납구획층에 창고가 형성된 경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를 나타내는 A-A 측단면도(제1 격납구획층에 창고가 형성된 경우).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의 셀 가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1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를 나타내는 A-A 측단면도.
본 발명은 복수의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컨테이너가 복수의 행(行, Line), 열(列, Row) 단(段, Stack, Tier) 동(棟, Bay) 및 층(層, Storey)을 이루며 격납되는 격납구획(10); 상기 격납구획(10)의 외주에 형성되어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이 형성되는 트레일러 이동로(20); 상기 격납구획(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컨테이너를 각각 이동시켜 격납구획(10)의 행, 열 및 높이 방향으로 적재시키는 적재크레인(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격납구획(10)의 복수의 행(行, Line), 열(列, Row) 단(段, Stack, Tier) 동(棟, Bay) 및 층(層, Storey)에 의하여 구분된 컨테이너 격납부분은 각각의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되도록 구성되는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에 보관되는 컨테이너는 규격화된 크기로 제작되어 트레일러, 기차 또는 선박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적재되어 운송되고, 내부에 수용된 화물을 보호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에 보관되는 컨테이너는 내부에 화물이 수용된 것이 이동수단에 적재되기 이전에 임시적으로 보관되는 것일 수도 있고, 내부에 화물이 미수용된 것이 화물 수용 이전에 보관되는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납구획(10)은 복수 개의 컨테이너가 복수의 행(行, Line), 열(列, Row) 단(段, Stack, Tier) 동(棟, Bay) 및 층(層, Storey)을 이루며 격납되는 구성으로서, 컨테이너를 입체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격납구획(10)은 도 1과 같이, 격납구획(10)의 평면이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행(行, Line)은 가로줄에 해당되고, 열(列, Row)은 세로줄에 해당되며, 단(段, Stack, Tier)은 행과 열의 높이에 해당되며, 동(棟, Bay)은 상기 행, 열 및 단에 의하여 형성된 단위 구역에 해당되며, 층(層, Storey)은 상기 단 또는 동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층을 형성하며 구분된 단위 구역에 해당된다.
또한 격납구획(10)의 행, 열 및 단의 구분은 컨테이너가 놓여지는 면적과 높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일반적인 컨테이너의 규격과 대응하는 면적과 높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의 크기가 서로 다른 크기로 규격화될 수 있으므로 격납구획(10)의 복수의 행(行, Line), 열(列, Row) 단(段, Stack, Tier) 동(棟, Bay) 및 층(層, Storey)에 의하여 구분된 컨테이너 격납부분은 동일한 크기씩 복수 개의 그룹을 형성하며 구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컨테이너 격납부분은 어느 하나의 행과 어느 하나의 열에 의하여 형성되는 면적을 가지는 공간으로서, 보관되는 컨테이너의 가로와 세로 길이보다 약간 긴 길이의 가로와 세로 길이를 가져, 컨테이너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격납부분의 높이는 컨테이너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고, 복수 개의 격납부분의 높이는 격납구획(10)의 단의 높이를 형성한다. 또한 어느 하나의 격납부분에 보관되는 복수의 컨테이너는 하부 컨테이너의 상부에 상부 컨테이너가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격납구획(10)이 복수의 행, 열 및 단으로 구분되고, 상기 행, 열 및 단이 (행, 열, 단)과 같은 순서로 기재되면, 1행, 1열, 1단의 격납부분은 (1, 1, 1)의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될 수 있고, 1행, 2열, 1단의 격납부분은 (1, 2, 1)의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1행, 1열, 2단의 격납부분은 (1, 1, 2)의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격납부분 복수 개가 집합되어 격납구획(10)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격납구획(10)은 최상부에 지붕이 미구성될 수도 있고, 지붕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지붕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기둥에 의하여 구분되는 공간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기 적재크레인(30)을 일정의 높이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프레임에 의한 구조물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격납구획(10) 구분을 위한 복수의 프레임이 각각의 격납구획(10)의 외주에 설치되어 독립된 격납구획(10)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격납구획(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셀 가이드(120)가 구비되어, 격납구획(10)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을 형성하며 적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셀 가이드(120)는 도 11과 같이 단(段, Stack, Tier)의 형성방향인 높이 방향으로 일정의 길이를 가지고, 외측에는 높이 방향으로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모서리 부분이 하방으로 내입되거나 상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높이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 가이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 가이드는 격납구획(10)의 안쪽에 배치되는 셀 가이드(12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네 모서리를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붕에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더 구비되어,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 방식의 격납고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 이동로(20)는 상기 격납구획(10)의 외주에 형성되어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격납구획(10)에 보관되는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 및 격납구획(10)에 보관되었던 컨테이너를 반출하기 위한 트레일러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다.
이때, 상기 트레일러 이동로(20)는 도 1과 같이 격납구획(10)의 외주에 형성되어 트레일러가 격납구획(10) 외부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의 트레일러가 동시에 격납구획(10) 외주로 접근하여 서로 다른 컨테이너 격납부분에 컨테이너를 동시에 하차시킬 수 있도록 복수 차선의 트레일러 이동로(20)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은 트레일러에서 컨테이너를 하차시키거나 승차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트레일러 이동로(20)의 일정 구간 자체가 컨테이너 상하차장(21)으로 구획될 수도 있고, 트레일러 이동로(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이 트레일러 이동로(20)와 별도로 마련되면,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 정차된 트레일러에 의하여 트레일러 이동로(20)로 이동되는 다른 트레일러의 진로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더불어 상기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는 트레일러 정차위치 감지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 정차하는 트레일러의 정확한 정차 위치를 인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일러 정차위치 감지장치는 트레일러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는 센싱부와 인식된 트레일러의 번호판을 확인시켜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일러 정차위치 감지장치는 컨테이너 상하차장(21)으로 진입한 트레일러의 번호판을 센싱부를 통하여 인식하고, 상기 센싱부에서 인식된 트레일러 번호판 정보는 중앙통제실로 전달되며, 상기 중앙통제실에서는 부여된 컨테이너 고유번호(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의 컨테이너를 실은 트레일러가 올바르게 해당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 정차했는지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의 판단 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하여 트레일러 운전자가 올바를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 정차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 정치위치 감지장치에는 컨테이너 상하차장(21) 내에 정차한 트레일러의 정차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하여,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의 내에 정차한 트레일러의 정확한 정차 위치를 트레일러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감지센서에 의하여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 정차한 트레일러의 위치가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트레일러가 하기의 상하차 크레인(70)의 작업 반경 내에 정확하게 정차할 수 있도록 트레일러 운전자를 조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위치 감지센서는 컨테이너 상하차장(21)으로 진입하는 트레일러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센시하고, 센싱된 트레일러의 위치 정보를 중앙통제실에 전달하고, 중앙통제실에서는 하기의 상하차 크레인(70)의 작업 반경 내에 트레일러가 올바르게 진입한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트레일러 정차 정보를 전달하여, 트레일러 운전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현된 트레일러 정차 정보를 확인한 후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 대한 트레일러의 진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 이동로(20)에 구비된 자동 검사장치(40)는 컨테이너의 외부에 있을지도 모르는 손상부위를 ISO 규정에 따라 검사하며 보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동검사장치(40)는 트레일러 이동로(20)의 진입부분에서 일정거리가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는 구성으로서, 최초의 컨테이너 상하차장(21) 이전의 트레일러 이동로(20)의 일정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검사장치(40)가 트레일러에 실린 상태의 컨테이너를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카메라가 트레일러 이동로(20)의 전부, 후부, 양측부 및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가 상기 카메라가 위치된 트레일러 이동로(20)의 일정부분에 진입하면, 트레일러가 서행하는 상태(무정차 상태)에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어 영상처리장치를 통하여 영상 저장과 분석, 보수 필요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 이동로(20)는 격납구획(10)의 외주를 아우르며 형성될 수 있고, 트레일러 이동로(20)의 한 지점 이상에는 외부에서 트레일러 이동로(20)로 진입하거나, 단시간 대기 장소로 활용하거나, 컨테이너 내부를 검사할 수도 있고, 트레일러 이동로(20)에서 외부로 진출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트레일러 이동로(20)에는 어느 한 부분 이상의 부분에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세척ㆍ소독할 수 있는 세척ㆍ소독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적재크레인(30)은 상기 격납구획(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컨테이너를 각각 이동시켜 격납구획(10)의 행, 열 및 높이 방향으로 적재시키는 구성으로서, 트레일러 이동로(20)를 통하여 이동한 트레일러에서 컨테이너를 하차시켜 격납부분으로 이동시키거나, 격납부분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에 승차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적재크레인(30)은 일반적으로 '오버헤드 크레인'이라 알려진 크레인이 될 수 있고, 격납구획(10)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기둥 또는 적재크레인(30)을 일정의 높이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복수의 프레임으로 제작된 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적재크레인(30)은 격납구획(10)의 일부분 및 트레일러 이동로(20)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격납구획(10) 내에서만 적재크레인(30)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트레일러 이동로(20)에 형성된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서 상하차된 컨테이너를 격납구획(10)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중간 상하차 크레인이 더 구비되어야 한다. 이하 상기 중간 상하차 크레인의 한 종류인 상하차 크레인(7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상기와 연관하여, 적재크레인(30)은 단일 개로 구성되어 격납구획(10) 전체의 복수 행(Travelling), 열(Traversing) 및 단의 높이(Hoist) 방향으로 이동하며 격납구획(10) 내에 컨테이너를 입고 받거나 반출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크레인(30)은 격납구획(10)의 행방향(횡방향) 또는 열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적재크레인(30)이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적재크레인(30)은 격납구획(10)의 일부의 행 또는 일부의 열씩을 구분하여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적재크레인(30)에 구비된 권양장치를 통하여 컨테이너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적재크레인(30)이 격납구획(10)의 일부의 행 또는 일부의 열씩을 구분하여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은 복수 개의 적재크레인(30)과 각각 인접되는 트레일러 이동로(20)에 형성되어,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보관되는 격납부분에 위치된 적재크레인(30)으로서 직접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격납구획(10)은 복수의 행(行, Line), 열(列, Row) 단(段, Stack, Tier) 동(棟, Bay) 및 층(層, Storey)에 의하여 컨테이너 격납부분으로 구분되어 고유번호가 부여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상기 격납부분에만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해당 격납부분의 고유번호 관리를 통하여 해당 격납부분에 보관 중인 컨테이너를 입고받거나 반출할 수 있으나, 해당 격납부분에 보관되는 컨테이너에도 컨테이너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컨테이너의 규격 정보, 소유자 정보, 관리정보 또는 비용정보와 같은 정보를 함께 관리할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에 컨테이너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하면, 해당 컨테이너의 규격에 따라 보관이 적절한 격납부분을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컨테이너의 소유자를 오인할 수 있는 우려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납구획(10)의 복수의 열은 1~5열씩 구분되는 단위열(11)을 형성하여, 복수의 단위열(11)로써 격납구역의 복수의 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재크레인(30)은 격납구획(10)의 복수의 행(行)과 단위열(11) 내에서 컨테이너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격납구획(10)은 도 2와 같이 적재크레인(30)이 격납구획(10)에 형성된 복수의 열로 구분되는 단위열(11)과 상기 단위열(11)과 함께 구분되는 복수의 행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위열(11)은 1~5열을 형성하는 격납부분이 하나의 단위로써 구분되고, 적재크레인(30)을 지지하는 구조물은 상기 1~5열의 단위열(11) 내에서 적재크레인(30)이 열방향(횡행 방향, traversing)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횡행레일(13)이 설치되며, 적재크레인(30)이 상기 단위열(11)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행방향(주행 방향, travelling)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주행레일(14)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단위열(11)과 복수의 행 내에서 이동가능한 적재크레인(30)은 도 1과 같이 트레일러 이동로(20)로 이동하여, 트레일러 이동로(20)에 형성된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 정차된 트레일러에서 컨테이너를 파지하고, 파지된 컨테이너를 단위열(11)과 복수의 행에 속한 지정된 격납부분으로 이동시켜 컨테이너를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열(11)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의 규모 또는 격납구획(10) 행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열의 개수로 조절할 수 있으나, 신속한 물류성을 위하여 상기와 같이 1~5열의 개수를 하나의 단위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격납구획(10)의 복수의 열이 상기와 같이 단위열(11)로 구분되도록 구성되고, 적재크레인(30)이 격납구획(10)의 해당 단위열(11)과 복수의 행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격납구획(10)의 복수의 행은 15~30행씩 구분되는 단위행(12)을 형성하여, 복수의 단위행(12)으로써 격납구역의 복수의 행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격납구획(10)을 형성하는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이 일정의 개수 단위로 구분되는 단위행(12)과 단위열(11)로 구분되어 구성되는 경우, 상기 격납구획(10)은 복수의 단위행(12)과 단위열(11)에 복수의 컨테이너가 적재되어 단위단(段)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단위단은 다시 복수의 단위단이 집합되어 단위동(棟)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위동은 대규모의 격납구획(1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적재크레인(30)은 상기 단위열(11, 단위동에 해당할 수 있음.) 내에 복수 개의 적재크레인(30)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소규모 격납구획(10)과 다른 하나의 소규모 격납구획(10)이 동일한 단위열(11, 1열, 2열, 즉 도 14의 단위동(130, 140))을 가지되 서로 다른 단위행(12)(1~20행, 21~40행)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의 해당 적재크레인(30)은 동일한 단위열(11, 1열, 2열, 즉 도 14의 단위동(130, 140)) 내에서 이동가능하되 서로 다른 단위행(12)(1~20행, 21~40행)을 아우르며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해당 적재크레인(30)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격납구획(10)의 외측에 위치된 적재크레인(30)은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 정차된 트레일러로부터 컨테이너를 입고받아 이동시키고, 격납구획(10)의 내측에 위치된 적재크레인(30b)은 격납구획(10)의 외측에 위치된 적재크레인(30)가 임시의 격납부분에 적재시킨 컨테이너를 지정된 격납부분으로 재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단위열(11)이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단위열(11)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열(11, 이하 '단위동(130)' 이라 칭함.)과 인접된 단위열(11, 이하 '단위동(140)'이라 칭함.) 사이에, 행방향으로 복수의 행을 통과하며 수평이동 가능한 리프트 대차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동(130)과 인접된 단위동(140) 사이에 구비되는 리프트 대차는 컨테이너를 격납고에 입고하는 경우,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 배치되어 상하차 크레인(70)에 의하여 트레일러에서 하차된 컨테이너를 받아 어느 하나의 단위동(130)에서 인접된 다른 단위동(140)으로 컨테이너를 이송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트 대차는 어느 하나의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서 하차된 컨테이너를 해당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이 위치된 단위동(130)에 컨테이너를 입고시키기 위한 임시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서 하차된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이 미위치된 다른 단위동(140) 또는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이 위치되어 있지만 이송 물량이 많은 상태의 다른 단위동(140)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프트 대차는 지상층에 위치되는 지상층 리프트 대차(90)와 이층 이상의 층에 위치되는 상층 리프트 대차(91)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상층 리프트 대차(9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상의 최하층에 위치한 상하차 크레인(70)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차 받거나(컨테이너를 격납고에 입고하는 경우), 적재크레인(30)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차 받을 수 있다(컨테이너를 반출하는 경우).
또한 상기 상층 리프트 대차(91)는 도 15와 같이 이층 이상의 층에 각각 배치되어 해당층에 구비된 적재크레인(30) 또는 승강장치(60)에 의하여 컨테이너를 하차 받거나 하차받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격납고에 리프트 대차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격납구획(10)의 최하층에는 상기 지상층 리프트 대차(90)가 이동할 수 있는 지상층 버퍼 존(100)이 형성될 수 있고, 격납구획(10)의 이층 이상의 각각의 층에는 상기 상층 리프트 대차(91)가 이동할 수 있는 상층 버퍼 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단위행(12)이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단위행(12) 중 어느 하나의 단위행(12)과 인접된 단위행(12) 사이에, 열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통과하며 수평이동가능한 이동대차(50)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어느 하나의 단위행(12)과 인접된 단위행(12) 사이는 상기 이동대차(50)가 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대차(50)는 빈공간에서 복수의 열을 통과하며 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빈공간은 격납구획(10)의 복수 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위열(11)을 관통하며 형성되고, 빈공간에는 열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대차(50)가 레일 상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이동대차(50)는 컨테이너를 적재하는데 적합한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구동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이 장착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이동대차(50)의 이동성은 중앙통제실의 작업자 또는 중앙통제실에 구비된 중앙서버의 지시에 의하여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대차(50)는 복수 개의 단위열(11)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열(11a) 내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적재크레인(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적재크레인(30a)이 고장 또는 보수에 의하여 작동 불가능한 경우, 고장 또는 보수 중인 적재크레인(30a)이 위치된 해당 단위열(11a)과 인접된 다른 단위열(11b) 내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적재크레인(30b)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서 컨테이너를 입고받고, 다른 단위열(11b) 내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적재크레인(30b)이 해당 컨테이너를 이동대차(50)에 적재시키면, 이동대차(50)는 고장 또는 보수 중인 적재크레인(30a)이 위치된 해당 단위열(11a) 앞으로 해당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며, 해당 단위열(11a) 앞으로 이동된 컨테이너는 해당 단위열(11a)에 구비된 다른 적재크레인(30a')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지정된 격납부분에 입고시킬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단위열(11)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열(11a) 내에 구비된 복수 개의 적재크레인(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적재크레인(30a)이 고장 또는 보수에 의하여 작동불가능한 경우, 인접된 다른 단위열(11b)의 적재크레인(30b)과 이동대차(50)를 이용하여, 작동불가능의 적재크레인(30a)이 위치된 해당 단위열(11a)에 지정된 격납부분에 컨테이너를 입고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격납구획(10)은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 층의 격납구획(10) 외주에는 복수의 층을 승강이동하는 승강장치(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격납구획(10)이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복수 개의 컨테이너가 복수의 행, 열 및 단을 이루며 격납될 수 있는 격납구획(10)은 복수의 층을 이루며 형성되지만, 지붕은 최상층의 격납구획(10)에만 형성되고, 복수의 격납구획(10) 층에 의하여 형성된 측부는 닫히거나 열린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납구획(10)이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도 3과 같이 제1 격납구획층, 제2 격납구획층, 제3 격납구획층...제n 격납구획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층의 격납구획(10) 외주에는 복수의 층을 승강이동하는 승강장치(60)를 더 포함되는 구성을 하여, 컨테이너를 복수 층간에서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장치(60)는 컨테이너를 적재가능하고, 적재된 컨테이너를 승강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복수 층의 격납구획(10) 중 어느 한 층의 격납구획(10) 층에 트레일러 이동로(20)가 형성되고, 컨테이너는 상기 트레일러 이동로(20)에서 승강장치(60)를 통하여 다른 층의 격납구획(10)으로 이동된 후 격납부분에 입고되거나 상기와 반대로 이동되어 반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60)는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이 위치되는 부분의 격납구획(10)의 외주 일정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재크레인(30)이 행방향으로 장축으로 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는 격납구획(10)의 어느 한쪽의 행방향 말단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트레일러 이동로(20)는 상기 복수의 격납구획(10) 층 중 최하층의 격납구획(10)의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최하층 격납구획(10)의 상부에는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승강장치(60)로 이동시키는 상하차 크레인(70)이 더 포함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트레일러 이동로(20)는 복수의 격납구획(10) 층 중 최하층의 격납구획(10)의 외주에 형성되어 트레일러 이동로(20)로 주행되는 트레일러에 의한 하중이 격납구획(10)의 상부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하층의 격납구획(10) 층은 지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차 크레인(70)은 트레일러 이동로(20)의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 정차된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승강장치(60)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5와 같이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서 승강장치(60) 방향으로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성의 상하차 크레인(70)은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승강장치(60)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장치(60)에서 트레일러로 컨테이너를 이동시킬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격납구획(10)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층의 격납구획(10)의 외부에는 승강장치(60)가 더 구비되며, 최하층의 격납구획(10)의 컨테이너 상하차장(21)과 승강장치(60) 사이에 상하차 크레인(70)이 더 구비된 경우, 상기 트레일러 이동로(20)는 복수 라인의 트레일러 이동로(20)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트레일러 이동로(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트레일러 이동로(20)에는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 이상의 트레일러 이동로(20)에는 컨테이너 승강용 상하차장(22)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장치(60)가 인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을 하는 복수 라인의 트레일러 이동로(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트레일러 이동로(20)에 컨테이너 승강용 상하차장(22)이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부층의 격납구획(10)으로 이동되어 지정된 격납부분에 보관되는 컨테이너를 상하차 크레인(70)을 이용하여 옮기는 과정시에 더 요구되는 작업시간 때문에, 해당 트레일러의 후방 트레일러가 주행되지 못하여 신속한 물류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차 크레인(70)은 컨테이너 승강용 상하차장(22)과 승강장치(60)를 왕복하며 컨테이너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에 보관되는 어느 하나의 컨테이너가 격납부분에서 반출되어야 하는데, 반출 컨테이너의 상부에 다른 컨테이너가 적층된 상태이면, 복수 개의 적재크레인(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적재크레인(30)은 반출 컨테이너의 상부에 적층된 컨테이너를 임시로 들고 있거나 인접된 빈 격납부분으로 임시로 이동시킨 후, 다른 하나의 적재크레인(30)은 반출 컨테이너를 파지하여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 대기 중인 트레일러로 이동 적재시킬 수 있으며, 임시로 들려지거나 빈 격납부분에 임시로 이동된 컨테이너는 반출 컨테이너가 보관되어 있던 빈 상태의 격납부분으로 재입고되거나 빈 격납부분으로 보관 위치가 변경되어 보관될 수 있다.
아울러 도 6, 7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격납구획(10)의 일부분에는 컨테이너가 격납되는 격납부분이 미형성되고 창고(80)가 형성되어, 컨테이너에 화물을 싣거나 싣어진 화물을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공간으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창고(80)에는 트레일러가 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한 경우 트레일러의 주차장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더불어, 격납구획(10)이 복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최하층의 격납구획(10)의 일부분에 상기 창고(8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검사장치(40), 세척ㆍ소독장치, 적재크레인(30), 이동대차(50), 승강장치(60) 및 상하차 크레인(70)은 중앙통제실에 근무하는 작업자에 의하여 원격으로 조정될 수도 있고, 중앙통제실에 구비된 중앙서버의 제어에 의하여 무인자동으로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컨테이너 고유번호의 지정, 컨테이너 고유번호의 인식 또는 격납부분의 지정 역시 중앙통제실에 근무하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지정할 수도 있고, 중앙통제실에 구비된 중앙서버의 논리판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지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별도의 장소에 준비된 중앙통제실에서는 트레일러의 진입에서 출구까지의 교통통제, 차량 번호인식, 세척ㆍ소독장치, 트레일러 정치위치 감지장치, 자동검사장치, 적재크레인(30), 리프트 대차, 이동대차(50), 승강장치(60) 및 상하차 크레인(70)의 자동 운전을 통제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에 화물이 미수용된 컨테이너를 입고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우선, 격납구획(10)의 외주에 형성된 트레일러 이동로(20)의 입구로,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가 진입하고 트레일러가 트레일러 이동로(20)를 따라 일정 거리 주행하면, 트레일러가 서행하는 상태에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어 영상처리 장치를 통하여 영상 저장과 분석, 보수 필요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중앙통제실에서는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 고유번호를 확인한 후, 보관되어야할 격납부분의 고유번호와 하차위치를 부여하고, 해당 하차위치는 트레일러 운전자에게 통보된다. 아울러 입고되는 컨테이너의 규격 정보 또는 소유자 정보와 같은 컨테이너 정보가 중앙통제실에 미확보된 경우, 운전자 또는 소유자는 해당 컨테이너 정보를 중앙통제실에 통보하여 중앙통제실에서 보관되어야할 격납부분의 고유번호를 부여받는다.
이후, 트레일러가 트레일러 이동로(20)를 따라 일정 거리 더 주행하면, 트레일러 이동로(20)의 양측부 및 상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바에 고정된 분사노즐에서 세척수 및 소독약품이 순차적으로 분사되어 컨테이너를 세척 및 소독하고, 분사노즐의 후방에 구비된 건조기에서 건조풍을 발산하여 컨테이너에 묻은 물기를 제거한다.
이후, 트레일러는 트레일러 이동로(20)를 따라 주행하다가 부여받은 격납부분의 고유번호가 표시되는 컨테이너 상하차장(21) 또는 컨테이너 승강용 상하차장(22)에 정차하고, 정차된 트레일러에 적재크레인(30) 또는 상하차 크레인(70)이 접근하여 컨테이너를 지정된 고유번호의 격납부분으로 이동시켜 보관한다.
이때, 컨테이너가 복수의 격납구획(10) 중 이층 이상의 층의 격납부분에 지정된 경우 또는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이 위치한 인접된 다른 단위동(140)의 격납부분에 지정된 경우에는, 상하차 크레인(70)이 트레일러에서 컨테이너를 지상층 리프트 대차(90)로 이동시키고, 상기 지상층 리프트 대차(90)는 승강장치(60) 쪽으로 이동하거나 다른 단위동(140) 쪽으로 이동하여, 승강장치(60) 또는 다른 단위동(140)에 위치한 적재크레인(30)이 해당 컨테이너를 해당 격납부분으로 이동시킨다.
즉, 컨테이너가 복수의 격납구획(10) 중 이층 이상의 층의 격납부분에 지정된 경우에는, 승강장치(60)가 상기 지상층 리프트 대차(90)에 적재된 해당 컨테이너를 해당 층의 격납구획(10)으로 승강시키면, 해당 층의 격납구획(10)에 구비된 적재크레인(30)이 승강장치(60)에 놓인 컨테이너를 해당 단위동(130)에 지정된 고유번호의 격납부분으로 이동시켜 보관할 수도 있고, 해당 층의 격납구획(10)에 구비된 적재크레인(30)이 승강장치(60)에 놓인 컨테이너를 상층 리프트 대차(91)로 이동시켜 인접된 다른 단위동(140)으로 해당 컨테이너를 이동시킨 후, 단위동(140)에 구비된 다른 적재크레인(30)이 지정된 고유번호의 격납부분으로 이동시켜 보관할 수도 있다.
더불어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이 위치한 인접된 다른 단위동(140)의 격납부분에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지상층 리프트 대차(90)는 다른 단위동(140) 쪽으로 이동하여, 해당 단위동(140)에 구비된 적재크레인(30)에 의하여 지상층 리프트 대차(90)에 놓인 컨테이너를 해당 단위동(140)에 지정된 고유번호의 격납부분으로 이동시켜 보관할 수도 있다.
아울러 격납구획(10)이 복수의 단위행(12)과 단위열(11)로 구분되어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행(12) 중 어느 하나의 단위행(12)과 인접된 단위행(12) 사이에 이동대차(50)가 구비되는 경우인데, 지정된 격납부분의 상부에 구비된 복수의 적재크레인(30) 중 트레일러 이동로(20) 쪽에 위치된 적재크레인(30a)이 고장난 경우에는, 트레일러는 지정된 격납부분 이전(또는 이후)의 단위열(11a)이 위치되는 컨테이너 상하차장(21)으로 주행하고, 해당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 위치된 적재크레인(30a)은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파지하여 이동대차(50)로 이동시킨다.
이후, 이동대차(50)는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지정된 고유번호의 격납부분이 위치된 단위열(11b) 앞쪽으로 이동하고, 해당 단위열(11b)에 구비된 작동가능한 다른 적재크레인(30)(고장난 적재크레인(30)의 안쪽에 위치된 적재크레인(30))은 이동대차(50)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파지하여 지정된 고유번호의 격납부분으로 컨테이너를 이동시켜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보관되는 컨테이너를 격납고에서 반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처리되어 컨테이너를 격납부분에서 트레일러로 반출할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격납구획 11, 11a, 11b : 단위열
12 : 단위행 13 : 횡행레일
14 : 주행레일 20 : 트레일러 이동로
21 : 컨테이너 상하차장 22 : 컨테이너 승강용 상하차장
30, 30a, 30b : 적재크레인 40 : 자동검사장치
50 : 이동대차 60 : 승강장치
70 : 상하차 크레인 80 : 창고
90 : 지상층 리프트 대차 91 : 상층 리프트 대차
100 : 지상층 버퍼 존 110 : 상층 버퍼 존
120 : 셀 가이드

Claims (13)

  1. 복수 개의 컨테이너가 복수의 행(行, Line), 열(列, Row), 단(段, Stack, Tier), 동(棟, Bay) 및 층(層, Storey)을 이루며 격납되되, 복수의 열은 1~5열씩 구분되는 단위열(11)을 형성하여 복수의 단위열(11)로써 격납구역의 복수의 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행은 15~30행씩 구분되는 단위행(12)을 형성하여 복수의 단위행(12)으로써 격납구역의 복수의 행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행(行, Line), 열(列, Row) 단(段, Stack, Tier) 동(棟, Bay) 및 층(層, Storey)에 의하여 구분된 컨테이너 격납부분은 각각의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되도록 구성되는 격납구획(10);
    상기 격납구획(10)의 외주에 복수 차선으로 형성되어 컨테이너를 적재한 트레일러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복수 차선 중 내측 차선에는 복수의 컨테이너 상하차장(21)이 별도의 공간에 형성되고, 외측 차선에는 컨테이너 승강용 상하차장(22)이 형성되는 트레일러 이동로(20);
    상기 격납구획(10)의 상부에 설치되고, 격납구획(10)의 단위열(11) 내에서 설치된 횡행레일(13)을 따라 열방향으로 이동하고, 설치된 주행레일(14)을 따라 상기 단위열(11)에 포함되는 복수의 행(行)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컨테이너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위열(11) 내에 복수 개가 구비됨으로써, 복수 개의 컨테이너를 각각 이동시켜 격납구획(10)의 행, 열 및 높이 방향으로 적재시키는 '오버헤드 크레인' 타입의 적재크레인(30);
    상기 복수의 단위행(12) 중 어느 하나의 단위행(12)과 인접된 단위행(12) 사이에, 열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통과하며 레일상에서 수평이동가능한 이동대차(50);
    복수 층을 이루는 격납구획(10) 외주에는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복수의 층을 승강 이동하는 승강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이동로(20)에는,
    어느 한 부분 이상의 부분에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검사할 수 있는 자동검사장치(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이동로(20)는,
    상기 복수의 격납구획(10) 층 중 최하층의 격납구획(10)의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최하층 격납구획(10)의 상부에는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승강장치(60)로 이동시키는 상하차 크레인(70)이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구획(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셀 가이드(120)가 구비되어, 격납구획(10)에 적재되는 컨테이너가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을 형성하며 적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구획(10)의 복수의 열은,
    1~5열씩 구분되는 단위열(11)을 형성하여, 복수의 단위열(11)로써 격납구역의 복수의 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열(11) 중 어느 하나의 단위열(11)과 인접된 단위열(11) 사이에, 행방향으로 복수의 행을 통과하며 수평이동 가능한 리프트 대차(90, 91)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구획(10)의 상부에는 지붕이 더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지붕에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더 구비되어, 격납고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는,
    트레일러 정차위치 감지장치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여, 컨테이너 상하차장(21)에 정차하는 트레일러의 정확한 정차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KR1020160075236A 2015-10-29 2016-06-16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KR101814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36A KR101814157B1 (ko) 2015-10-29 2016-06-16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SG11201811224WA SG11201811224WA (en) 2016-06-16 2017-06-16 Storehouse in which containers are to be loaded
PCT/KR2017/006351 WO2017217820A1 (ko) 2016-06-16 2017-06-16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372 2015-10-29
KR20150151372 2015-10-29
KR1020160075236A KR101814157B1 (ko) 2015-10-29 2016-06-16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165A KR20170051165A (ko) 2017-05-11
KR101814157B1 true KR101814157B1 (ko) 2018-01-02

Family

ID=5874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236A KR101814157B1 (ko) 2015-10-29 2016-06-16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15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033A (ja) * 2001-03-19 2002-09-27 Information Services International Dentsu Ltd 港湾ゲートシステム、港湾ゲート制御方法
JP2003048625A (ja) * 2001-08-06 2003-02-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04189462A (ja) * 2002-12-13 2004-07-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ヤードクレーン作業用端末およびヤードクレーンを使った荷役システム
KR100641030B1 (ko) * 2005-08-05 2006-11-02 정경자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시스템의 하역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732913B1 (ko) * 2005-05-13 2007-06-29 서호전기주식회사 정지위치 유도 방법 및 장치 및 그를 갖는 크레인 시스템
JP2008174374A (ja) * 2007-01-22 2008-07-31 Nippon Yuusen Kk 立体格納庫およびそれによるコンテナの荷役方法
JP4426499B2 (ja) * 2005-03-31 2010-03-03 三井造船株式会社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における外来シャシとのコンテナ受け渡し方法及び受け渡し装置
JP2012206806A (ja) * 2011-03-29 2012-10-2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033A (ja) * 2001-03-19 2002-09-27 Information Services International Dentsu Ltd 港湾ゲートシステム、港湾ゲート制御方法
JP2003048625A (ja) * 2001-08-06 2003-02-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04189462A (ja) * 2002-12-13 2004-07-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ヤードクレーン作業用端末およびヤードクレーンを使った荷役システム
JP4426499B2 (ja) * 2005-03-31 2010-03-03 三井造船株式会社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における外来シャシとのコンテナ受け渡し方法及び受け渡し装置
KR100732913B1 (ko) * 2005-05-13 2007-06-29 서호전기주식회사 정지위치 유도 방법 및 장치 및 그를 갖는 크레인 시스템
KR100641030B1 (ko) * 2005-08-05 2006-11-02 정경자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시스템의 하역 처리방법 및 장치
JP2008174374A (ja) * 2007-01-22 2008-07-31 Nippon Yuusen Kk 立体格納庫およびそれによるコンテナの荷役方法
JP2012206806A (ja) * 2011-03-29 2012-10-2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165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1688B2 (en) Robotic parking device and handling method
US11542718B2 (en) Robotic parking device and handling method
KR20130006432A (ko)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방법 및 컨테이너용 보관 시스템
WO2019218785A1 (zh) 自动化集装箱装卸码头
CN108100549A (zh) 一种智能化集装箱堆场系统
CN108466844B (zh) 一种自动化集装箱码头
KR20190052807A (ko)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WO2017217820A1 (ko)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JP7319309B2 (ja) レールシステム上にある不具合のある車両を取り扱うための方法、および当該方法を利用する倉庫システム
KR101814157B1 (ko) 컨테이너 적재용 격납고
CN207631914U (zh) 一种集装箱堆场系统
KR102569769B1 (ko) 스태커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창고 시스템
CN112124839B (zh) 搬运系统及搬运方法
KR20150048143A (ko) 선적 및 하역 플랜트 내에서 컨테이너, 특히 iso 컨테이너의 비접촉 검사를 위한 시스템
KR102326242B1 (ko) 주차타워설비 및 차량 입출고 방법
CN109132256B (zh) 多层集装箱设施
KR900006056B1 (ko) 입체 주차장
JP4329099B2 (ja) 駐車装置
JPH0617637B2 (ja) 立体駐車場
KR20220087243A (ko) 주차타워설비용 차량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주차타워설비
JPH0823236B2 (ja) 立体格納庫の縦行型搬送移載設備
BG109255A (bg) Подемно-транспортна система за многоетажно паркиране на леки автомобили в тунелни клеткови стелажи
JP2002227446A (ja) 複数の入出庫口を有する3縦列型昇降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