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196B1 -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196B1
KR102326196B1 KR1020180059359A KR20180059359A KR102326196B1 KR 102326196 B1 KR102326196 B1 KR 102326196B1 KR 1020180059359 A KR1020180059359 A KR 1020180059359A KR 20180059359 A KR20180059359 A KR 20180059359A KR 102326196 B1 KR102326196 B1 KR 102326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tting value
change
control unit
setting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206A (ko
Inventor
토시아키 우에구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Abstract

전자기기는 터치 및 가압 검출 유닛과,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검출 유닛은 터치면에의 터치를 검출한다. 상기 가압 검출 유닛은, 상기 터치면에의 가압을 검출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터치가 검출된 채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변경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터치가 검출된 채 제2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과 상이한 다른 방향으로 설정 값을 변경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더 변경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특히, 터치 조작에 의해 설정 값을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된 적합한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패널을 탑재한 전자기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에서는, 표시 화면을 확인하면서 터치 조작으로 간단하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조작에 의해 연속적으로 설정 값을 변경해서 재빠르게 설정 변경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3-288221에는, 터치 패널에의 가압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연속 설정 동작의 간격을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3-288221에 개시된 종래기술에서는, 설정 값을 크게 변경하거나 미세 조정하거나 하는 연속 설정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설정 값을 증가시킬지 감소시킬지의 지시(증감 방향의 지시)를 별도로 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설정 값을 소망하는 변경 방향으로 크게 변경할 경우에도 미세 조정할 경우에도, 보다 빠르게 유저가 의도한 대로의 설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전자기기는 터치면에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검출 유닛과, 상기 터치면에의 가압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가압 검출 유닛과,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제2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과 상이한 다른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 구성 예를 도시한 블럭도다.
도 3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감도의 설정값 후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촬영 모드 처리의 상세한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5a 내지 5d는 촬영 모드에서의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표시 처리의 상세한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7은 표시처 변경 처리의 상세한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8a 내지 도 8g는 메뉴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터치 다운 처리의 상세한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은 터치 무브 처리의 상세한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1은 터치 푸시 처리의 상세한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2a 내지 12d는 설정값 변경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3은 스마트폰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일례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이나 각종 조건에 의해 적당하게 수정 또는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를, 정지 화상 및 동화상의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또한, 터치 조작에 의해 변경 가능한 설정 항목의 일례로서 촬영 설정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외관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표시부(28)는 화상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8)다. 표시부(28)에는, 배면 표시 패널(28a)과, 파인더 내의 표시부로서의 전자 뷰 파인더(28b)가 포함된다. 셔터 버튼(61)은 촬영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부다. 모드 전환 스위치(60)는 각종 모드를 바꾸기 위한 조작부다. 커넥터(112)는, 퍼스널 컴퓨터나 프린터 등의 외부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케이블(111)과 디지털 카메라(100)를 접속한다.
조작부(70)는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을 접수하는 각종 스위치, 버튼, 터치 패널 등의 조작 부재로 이루어진다. 콘트롤러 휠(73)은 조작부(70)에 포함되는 회전 조작 가능한 조작 부재다. 전원 스위치(72)는, 전원 온, 오프를 바꾸기 위한 푸시 버튼(push button)이다. 기록 매체(200)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이다. 기록 매체 슬롯(201)은 기록 매체(200)를 격납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록 매체 슬롯(201)에 격납된 기록 매체(200)는, 디지털 카메라(100)와의 통신이 가능해져,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해진다. 덮개(202)는 기록 매체 슬롯(201)을 덮는다. 도 1에 있어서는, 덮개(202)를 열고 기록 매체 슬롯(201)으로부터 기록 매체(200)의 일부를 추출한(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2에 있어서, 촬영 렌즈(103)는 줌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군이다. 셔터(101)는 조리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촬상부(22)는 광학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소자 등으로 구성되는 촬상소자다. A/D(analog-to-digital) 변환기(23)는, 촬상부(22)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배리어(102)는, 촬영 렌즈(103)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상계를 덮는 것에 의해, 촬영 렌즈(103), 셔터(101), 및 촬상부(22)를 포함하는 촬상계가 더러워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화상 처리부(24)는, A/D 변환기(23)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부(1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리사이즈(resizing) 처리(소정의 화소 보간, 축소 등)과 색 변환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24)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취득한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노광 제어 및 측거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TTL(through-the-lens) 방식의 AF(autofocus) 처리, AE(automatic exposure) 처리, 및 EF(pre-flashing) 처리가 행해진다. 화상 처리부(24)는 또한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취득한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TTL 방식의 AWB(automatic white balance) 처리도 행하고 있다.
A/D 변환기(23)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화상 처리부(24) 및 메모리 제어부(15)를 통해, 또는, 메모리 제어부(15)를 통해 메모리(32)에 직접 기억된다. 메모리(32)는, 촬상부(22)에 의해 취득된 후에 A/D 변환기(23)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와, 표시부(28)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32)는, 소정매수의 정지 화상과 소정시간의 동화상 및 음성을 기억하는데도 충분한 기억 용량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32)는 화상표시용의 메모리(비디오 메모리)를 겸하고 있다. D/A(digital-to-analog) 변환기(13)는, 메모리(3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표시용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그 데이터를 표시부(28)에 공급한다. 이렇게 해서, 메모리(32)에 기억된 화상 표시 데이터는 D/A 변환기(13)를 통해 표시부(28)에 의해 표시된다. 표시부(28)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기 위에, D/A 변환기(1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따른 표시를 행한다. A/D 변환기(23)에 의해 일단 A/D 변환되어 메모리(32)에 기억된 디지털 신호를 D/A 변환기(13)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 아날로그 신호를 표시부(28)에 순차 전송함으로써 표시부(28)가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56)는, 전기적으로 소거·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의 역할을 하며, 예를 들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이다. 불휘발성 메모리(56)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여기에서 프로그램은, 본 실시예에 따른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라고 칭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디지털 카메라(100) 전체를 제어하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 또는 회로다. 전술한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각 처리를 실현한다. 시스템 메모리(52)로서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및 변수와 불휘발성 메모리(56)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로 로드(load)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모리(32), D/A 변환기(13), 및 표시부(28)를 제어함으로써 표시 제어도 행한다. 시스템 타이머(53)는 각종 제어에 사용하는 시간과, 내장된 시계의 시간을 계측하는 클록킹(clocking)부다.
모드 전환 스위치(60), 셔터 버튼(61), 및 조작부(70)는 시스템 제어부(50)에 각종의 동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모드 전환 스위치(60)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 모드를, 정지 화상 기록 모드, 동화상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 사이에서 전환한다. 정지 화상 기록 모드로서는, 오토 촬영 모드, 오토 씬 판별 모드, 메뉴얼 모드, 촬영 씬별의 촬영 설정으로서의 각종 씬 모드, 프로그램 AE 모드, 및 커스텀 모드가 있다. 유저는 모드 전환 스위치(60)로, 메뉴 버튼에 포함되는 이들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유저는 모드 전환 스위치(60)로 메뉴 버튼을 일단 선택한 후에, 메뉴 버튼에 포함되는 이들 모드 중 하나를, 다른 조작 부재를 사용해서 선택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동화상 촬영 모드에는 복수의 모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셔터 스위치(62)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설치된 셔터 버튼(61)의 조작 도중, 소위 반 누름(촬영 준비 지시)으로 ON 되어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을 발생한다. 제1 셔터 스위치 신호 SW1에 의해, 시스템 제어부(50)는 AF 처리, AE 처리, AWB 처리, 및 EF 처리의 동작을 시작한다.
제2 셔터 스위치(64)는, 셔터 버튼(61)의 조작 완료시, 소위 완전 누름(촬영 지시)으로 ON 되어,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을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제2 셔터 스위치 신호 SW2에 의해, 촬상부(22)로부터의 신호 판독으로부터 기록 매체(20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때까지의 일련의 촬영 처리의 동작을 시작한다.
유저가 표시부(28)에 표시되는 다양한 기능 아이콘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때, 조작부(70)는 장면마다 적절하게 기능이 할당되고 각종 기능 버튼으로서 작용한다. 기능 버튼으로서는, 예를 들면 종료 버튼, 리턴 버튼, 화상전송 버튼, 점프 버튼, 줄임(narrowing down) 버튼, 속성 변경 버튼 등이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메뉴 버튼을 누르면, 각종 설정 조작이 가능한 메뉴 화면이 표시부(28)에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부(28)에 표시된 메뉴 화면, 4방향 버튼, 및 SET 버튼을 이용해서 직감적으로 각종 설정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라이브 뷰 버튼을 누르면, 촬상부(22)를 통해서 취득된 영상이 표시부(28)에 표시되거나 비표시된다.
도 1에 나타낸 콘트롤러 휠(73)은, 조작부(70)에 포함되는 회전 조작 가능한 조작 부재이며, 방향 버튼과 함께 선택 항목을 지정할 때 등에 사용된다. 유저가 콘트롤러 휠(73)을 회전 조작하면, 조작량에 따라 전기적인 펄스 신호가 발생하고, 이 펄스 신호에 의거하여 시스템 제어부(50)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 부를 제어한다. 이 펄스 신호에 의해, 콘트롤러 휠(73)이 회전 조작된 각도나, 몇 회전했는지 등을 판정할 수 있다. 콘트롤러 휠(73)은 회전 조작을 검출할 수 있는 조작 부재이면 어떤 종류의 조작 부재이든 괜찮다. 예를 들면, 콘트롤러 휠(73)은 다이얼 조작 부재여도 된다. 이 경우에, 유저의 회전 조작에 따라 콘트롤러 휠(73) 자체가 회전해서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콘트롤러 휠(73)은 터치 센서로 이루어지는 조작 부재여도 된다. 이 경우에, 콘트롤러 휠(73) 자체는 회전하지 않고, 콘트롤러 휠(73) 위에서의 유저의 손가락의 회전 동작 등을 검출한다(소위 터치 휠).
전원 제어부(80)는, 전지 검출 회로, DC-DC(direct current-direct current) 컨버터, 통전하는 블록을 선택하는 스위치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전원 제어부(80)는, 전지의 장착의 유무, 전지의 종류, 전지 잔량의 검출을 행한다. 또한, 전원 제어부(80)는, 그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50)의 지시에 의거하여 DC-DC 컨버터를 제어하여,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 기록 매체(200)를 포함하는 각 부에 공급한다.
전원부(30)는, 일차 전지(알칼리 전지나 리튬 전지 등), 이차 전지(NiCd 전지, NiMH 전지, Li 전지 등), AC(alternating current) 어댑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록 매체 인터페이스(I/F)(18)는, 메모리 카드와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200)와의 인터페이스다. 기록 매체(200)는, 예를 들면,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이며, 반도체 메모리, 광디스크, 및 자기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부(54)는, 무선 또는 유선 케이블에 의해 접속하여,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등의 송수신을 행한다. 통신부(54)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과도 접속 가능하다. 통신부(54)는 촬상부(22)로 촬상한 화상(라이브 뷰 화상을 포함)과, 기록 매체(200)에 기억된 화상을 송신 가능하며, 또한 외부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 및 그 밖의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 검출부(55)는, 중력방향에 대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자세를 검출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자세 검출부(55)로 검출된 자세에 의거하여, 촬상부(22)로 촬영된 화상이, 디지털 카메라(100)를 횡방향으로 홀드하여 촬영된 화상인지, 디지털 카메라(100)를 종방향으로 홀드하여 촬영된 화상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자세 검출부(55)로 검출된 자세에 따른 방향 정보를 촬상부(22)로 촬상된 화상의 화상 파일에 부가하고, 기록 전에 화상을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 검출부(55)로서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안 검출부(57)는 파인더에의 눈(물체)의 접근을 검출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검출부(57)로 검출된 상태에 따라, 배면 표시 패널(28a)과 전자 뷰 파인더(28b)와의 사이에서 표시/비표시를 전환한다.
압력 센서(70b)는, 표시부(28)의 조작면에 대한 가압을 검출한다. 압력센서(70b)는, 표시부(28)에 대한 터치 조작에 의해 눌러졌을 경우의 압력의 강도를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압력 센서(70b)는, 표시부(28)의 조작면에 대한 압력에 의해 일그러지는 부분에 설치된 일그러짐 게이지 센서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 일그러짐 게이지 센서로부터의 출력값에 의거해 표시부(28)의 조작면에 대한 압력을 검출해도 된다. 또는, 압력 센서(70b)는 표시부(28)와 평행하게 설치된 정전용량 센서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조작면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조작면이 일그러지면, 표시부(28)의 조작면 위의 손가락과 정전용량 센서와의 거리를 정전용량 값에 의거해서 산출해도 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50)는 이 거리에 의거하여 압력을 산출하거나 거리와 압력을 동등하게 취급해도 된다. 또한, 압력 센서(70b)는, 표시부(28)의 조작면에 대한 압력을 검출 가능한 것이면, 다른 방식의 것이라도 괜찮다. 또, 압력 센서(70b)는, 표시부(28)와 일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하, 표시부(28)의 조작면에 대한 가압 조작을 터치 푸시라고 칭한다.
또한, 조작부(70)의 부재로서, 표시부(28)의 터치면에 대한 접촉을 검출 가능한 터치 패널(70a)을 구비한다. 터치 패널(70a)과 표시부(28)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70a)을 빛의 투과율이 표시부(28)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표시부(28)의 표시면의 상층에 부착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70a)의 입력 좌표와, 표시부(28)의 표시 좌표를 관련짓는다. 이에 따라 마치 유저가 표시부(28) 위에 표시된 화면을 직접적으로 조작 가능할 것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을 구성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에의 이하의 터치 조작 및 그것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 터치 패널(70a)에 터치하지 않고 있었던 손가락이나 펜이 새롭게 터치 패널(70a)에 터치한 조작. 즉, 터치의 시작 조작(이하, "터치 다운(Touch-Down)"이라고 칭한다).
- 터치 패널(70a)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터치하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온(Touch-On)"이라고 칭한다).
- 터치 패널(70a)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터치한 채 이동하는 조작(이하, "터치 무브(Touch-Move)"라고 칭한다).
- 터치 패널(70a)에 터치하고 있었던 손가락이나 펜을 떼어내는 조작. 즉, 터치의 종료 조작(이하, "터치 업(Touch-Up)"이라고 칭한다).
- 터치 패널(70a)에 손가락이나 펜을 터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하, "터치 오프(Touch-Off)"라고 칭한다).
터치 다운이 검출되면, 동시에 터치 온인 것도 검출된다. 터치 다운 후에, 터치 업이 검출되지 않는 한은, 통상은 터치 온이 계속해서 검출된다. 터치 무브가 검출되는 것도 터치 온이 검출되어 있는 상태다. 터치 온이 검출되어 있어도, 터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있으면 터치 무브는 검출되지 않는다. 터치 패널(70a)에 터치하고 있었던 모든 손가락이나 펜에 대해서 터치 업이 검출된 후에는, 터치 오프가 검출된다.
상술한 조작 및 상태뿐만 아니라 터치 패널(70a) 위에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하고 있는 위치의 위치 좌표는 내부 버스를 통해서 시스템 제어부(50)에 통지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통지된 정보에 의거하여 터치 패널(70a) 위에 어떤 조작이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 터치 무브에 관해서는, 터치 패널(70a) 위에서 이동하는 손가락이나 펜의 이동 방향을, 위치 좌표의 변화에 의거하여 터치 패널(70a) 위의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마다 판정할 수 있다. 또 터치 패널(70a) 위를 터치 다운으로부터 일정한 터치 무브를 거쳐 터치 업을 행했을 때, 스트로크(stroke)를 그린다. 재빠르게 스트로크를 그리는 조작을 플릭(flick)이라고 부른다. 플릭은, 터치 패널(70a) 위에 손가락을 터치한 채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재빠르게 이동하고, 손가락을 떼어내는 조작이다. 즉, 플릭은 터치 패널(70a) 위를 손가락으로 튕기는 것 같이 빠르게 덧그리는 조작이다. 소정 거리 이상을,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터치 무브한 것이 검출되고, 그대로 터치 업이 검출되면, 플릭이 행해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소정 거리 이상을, 소정의 속도 미만으로 터치 무브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드래그가 행해졌다고 판정한다. 또한, 복수의 위치(예를 들면, 2개의 위치)를 동시에 터치하고, 서로의 터치 위치를 가까이하는 터치 조작을 "핀치 인(pinch-in)"이라고 칭한다. 서로의 터치 위치를 멀리하는 터치 조작을 "핀치 아웃(pinch-out)"이라고 칭한다. 핀치 아웃과 핀치 인을 총칭해서 핀치 조작(혹은 간단히 "핀치")이라고 칭한다. 터치 패널(70a)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유도 방식, 화상 인식 방식, 광센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터치 패널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면 된다. 그것의 타입에 따라 터치 패널(70a)에 대한 손가락이나 펜의 접촉이 있었을 때, 또는 터치 패널(70a)에 대한 손가락이나 펜의 접근이 있었을 때 터치를 검출하지만, 어느 타입이든 적용 가능하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0)에 있어서, 유저가 파인더에 접안(接眼)해서 전자 뷰 파인더(28b)를 보면서, 터치 패널(70a)을 조작해서 설정 값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안 검출 상태에서도, 즉 유저가 터치 패널(70a)을 보지 않고 있는 블라인드 조작(접안 상태에서의 터치 조작)으로도 설정 값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 경우, 유저가 터치 패널(70a)에 터치해서 터치 무브 한 것에 따라 설정 값을 1개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70a)에 대한 상방으로의 소정거리(예를 들면, 1cm 정도)이상의 터치 무브에 따라 설정 값을 1개 증가시킨다. 반대로, 터치 패널(70a)에 대한 하방으로의 터치 무브에 따라 설정 값을 1개 감소시킨다. 일단 터치 무브에 따라 설정 값이 변경되면, 터치 온인 한은 그 이후의 터치 무브가 있어도 설정 값은 변경되지 않는다. 터치 업되어 다시 터치 다운되어서 터치 무브가 검출되면, 터치 무브의 방향에 따라 설정 값을 변경한다. 즉, 접안 상태에서 유저가 설정 값을 5개 상승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유저는 디지털 카메라(100)를 홀드하는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터치 패널(70a)에 터치 다운해서 상방으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하고, 터치 오프하는 동작을 5회 반복하면 된다. 이렇게, 터치 무브의 거리가 소정거리이상이면, 그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긴지 짧은지에 관계없이 설정 값이 1회의 터치 무브에서 1개 변경된다. 이 때문에, 유저는 터치 무브의 거리를 엄밀하게 의식하지 않더라도, 대략적인 조작으로 확실하게 유저가 의도한 대로 설정값을 미세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유저가 상기의 터치 무브 조작으로 대폭 설정 값을 변경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유저는 여러 번 상술한 조작을 반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무브해서 손가락이나 펜을 떼어내기 전에 터치 푸시(임계값 이상의 압력의 터치 푸시)를 검출하면, 마지막의 터치 무브의 방향으로 설정 값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상방으로의 소정거리이상의 터치 무브를 검출하면, 설정 값을 1개 증가시킨다. 그 후에,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1회 검출하면, 설정 값을 1개 더 증가시킨다. 3회 더 터치 푸시를 검출하면, 설정 값을 3개 더 증가시킨다. 이렇게 조작함으로써, 유저는 1회의 터치 조작 중에 (즉, 1회의 터치 다운으로부터 터치 업까지의 사이에) 설정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5회의 터치 무브에 의해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것에 비하여, 터치하는 손가락의 상하 움직임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반대로, 하방으로의 소정거리이상의 터치 무브를 검출하면, 설정 값을 1개 감소시킨다. 그 후에,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1회 검출하면, 설정 값을 1개 더 감소시킨다. 3회 더 터치 푸시를 검출하면, 설정 값을 3개 더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무브해서 손가락이나 펜을 떼어내기 전에 터치 푸시(임계값이상의 압력의 터치 푸시)를 검출하면, 마지막의 터치 무브로 변경된 방향으로 설정 값을 변경한다. 일반적으로는 소정시간(예를 들면, 1초) 이상의 조작이 있고 나서 키 리피트(key repeat) 상태에 진입하더라도, 터치 푸시가 있었던 시점에서 즉시 키 리피트 상태에 진입한다. 그리고, 터치 푸시가 계속하고 있으면(임계값 이상의 압력의 검출이 계속되고 있으면), 계속하고 있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주기적으로 (예를 들면, 0.3초마다), 마지막의 터치 무브에 의해 변경된 방향으로 설정 값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상방으로의 소정거리 이상의 터치 무브를 검출하면, 설정 값을 1개 증가시킨다. 그 후에,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1회 검출하면, 설정 값을 1개 더 증가시킨다. 유저가 터치 푸시의 상태를 0.9초 유지하면, 설정 값을 3개 더 증가시킨다. 이렇게 조작함으로써, 유저는 1회의 터치 조작 중에(즉, 1회의 터치 다운으로부터 터치 업까지의 기간에) 설정 값을 5개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5회의 터치 무브에 의해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것에 비하여, 터치하는 손가락의 상하 움직임의 회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터치 푸시를 1회만 행해야 하므로, 적은 조작 수로 간단하게 설정 값을 대폭 변경할 수 있다. 반대로, 하방으로의 소정거리 이상의 터치 무브를 검출하면, 설정 값을 1개 감소시킨다. 그 후에,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1회 검출하면, 설정 값을 1개 더 감소시킨다. 유저가 터치 푸시 상태를 0.9초 유지하면, 설정 값을 3개 더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대폭 설정 값을 변화시키면, 유저가 목표로 하고 있었던 설정 값이 도달되지 않을 수 있거나 초과될 수 있다. 그 경우, 터치 푸시를 수반하지 않는 터치 무브를 몇 회 반복하는 것에 의해, 유저가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설정 값으로 엄밀히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조작방법을 제공하는 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경하는 설정 값으로서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감도를 예로 들어 처리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디지털 카메라(100)에 설정 가능한 모든 ISO 감도의 설정 값 후보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0)에는, AUTO, 또는 ISO 감도 100∼51200의 26가지(No.0∼25)의 상이한 설정 값 후보 중의 1개를 설정할 수 있다. ISO 감도 100∼12800의 설정 값 후보는 1/3단(段)마다(1/3-stop increments) 설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O 표시가 있는 설정 값 후보는 1노출 단(段)씩(1-exposure stops increments) 상이한 ISO 감도의 설정 값 후보이며, (후술하는) ISO 감도 설정 바(534)에 수치적으로 표시되는 설정 값 후보다. ISO 감도 설정에 있어서, 현재의 설정 값 200(No.4)으로부터 "설정 값을 1개 증가시킨다"라는 의미는, 현재의 설정 값을, 현재의 설정 값보다 1-step 큰 설정 값 후보인 250(No.5)으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ISO 감도 설정에 있어서, 현재의 설정 값 200(No.4)으로부터 "설정 값을 5개 증가시킨다"라는 의미는, 현재의 설정 값을, 현재의 설정 값보다 5-step 큰 설정 값 후보인 640(No.9)으로 변경한다는 의미다.
도 4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있어서의 촬영 모드 처리의 상세한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에 나타낸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를 워크 메모리(work memory)로서 사용해서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4에 나타낸 흐름도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도 6, 7, 9, 10, 11)도,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를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해서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디지털 카메라(100)가 촬영 모드에서 기동되면, 도 4에 나타낸 처리가 개시된다.
스텝 S40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 초기화 처리는, 파라미터(플래그와 제어 변수를 포함), 설정 값, 및 설정 모드를 불휘발성 메모리(56)로부터 판독하는 처리다. 또 시스템 제어부(50)는 기록 매체(200)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등이 있으면, (후술의) 촬영 정보 표시 시에 경고를 표시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제어 변수가 되는) 터치 설정 상태, 터치 무브 상태, 및 터치 푸시 상태를 각각 OFF로 설정한다. 여기에서는, 제어 변수가 되는 터치 설정 상태에 대해서 도 5a 내지 5d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터치 설정 상태에는 "OFF", "촬영 설정(배면)", 및 "촬영 설정(파인더)"이라는 3개의 서로 다른 상태가 있다.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일 때에는, 디지털 카메라(100)는 AF 프레임의 이동 조작이나 촬영 설정의 변경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대기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접안 검출부(57)에 의해 접안 검출이 행해지지 않고, 배면 표시 패널(28a)에는, 도 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도 5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촬영 설정(512) 및 AF 프레임(514)이 표시되어 있고, 터치 아이콘 516, 518, 520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이 터치 가능한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터치 아이콘(520)의 영역은 촬영 설정(512)으로서 현재의 ISO 감도의 설정 값을 표시한다. 유저가 터치 아이콘(520)을 터치 다운하면, 디지털 카메라(100)가 (후술의) "촬영 설정(배면)" 상태에 진입해서 유저가 촬영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도 5a에 나타낸 화면에서는, 유저가 ISO 감도 설정의 터치 아이콘(520)을 터치 다운하게 되므로, ISO 감도 설정의 촬영 설정 UI가 표시되게 된다.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이고 접안 검출부(57)에 의해 접안 검출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전자 뷰 파인더(28b)에 도 5c에 나타낸 화면이 표시된다. 도 5c에 나타낸 예에서는, AF 프레임(552)이 표시된다.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배면)"일 때에는, 촬영 설정 상태가 도 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면 표시 패널(28a)의 표시에 한정된다. 이때, 접안 검출부(57)에 의해 접안 검출이 행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표시 모드가 된다. 도 5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촬영 설정(532)으로서 ISO 감도의 설정 값이 표시되어 있다. ISO 감도 설정 바(534)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은 터치 가능한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ISO 감도 설정의 촬영 설정 UI로서의 ISO 감도 설정 바(534)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설정 가능한 설정 값의 후보가 눈금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O 표시가 있는 1단(段)마다의 설정 값 후보는, 수치도 부착해서 표시된다. 이 ISO 감도 설정 바(534)에서 "200"에 대응하는 눈금의 위치에서 터치 다운이 검출되면, 촬영 설정으로서의 ISO 감도가 200으로 설정된다.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파인더)"일 때에는, 촬영 설정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접안 검출부(57)에 의해 접안 검출이 행해지는 상태에서 전자 뷰 파인더(28b)에 도 5c에 나타낸 것과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이 경우에, 유저는 전자 뷰 파인더(28b)를 보면서 터치 패널(70a)을 조작함으로써 촬영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5d에서는, 촬영 설정(542)으로서 현재의 ISO 감도 설정 값이 표시되고, 터치 패널(70a)을 조작함으로써 촬영 설정이 변경된다. 도 5a∼5d을 참조하면, 배경은 흰색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라이브 뷰 화상(LV 화상)이다.
다음에 제어 변수로서의 터치 무브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터치 무브 상태에는 "ON"과 "OFF"의 2개의 서로 다른 상태가 있다. 터치 무브 상태가 "ON"으로 설정되는 경우는,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파인더)"일 때에, 시스템 제어부(50)가 터치 패널(70a)에 있어서 설정 값의 변경이 발생하는 소정거리 이상의 터치 무브를 검출한 상태이다. 이 상태는, 터치 패널(70a)에서 터치 조작이 검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터치 업될 때까지) 계속한다. 터치 무브 상태가 "OFF"가 되는 경우는, 터치 무브 상태가 "ON"이 아닌 경우이다.
다음에 제어 변수로서의 터치 푸시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터치 푸시 상태에는 "강", "약", 및 "OFF"의 3개의 서로 다른 상태가 있다. 터치 푸시 상태가 "강"이 되는 경우는, 터치 패널(70a)에 있어서 터치 조작을 검출한 상태이며, 또 압력 센서(70b)에 의해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검출되는 터치 푸시 조작을 검출한 상태이다. 터치 푸시 상태가 "약"이 되는 경우는,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파인더)"일 때, 터치 패널(70a)에 있어서 터치 조작을 검출한 상태이며, 또 터치 푸시 조작을 검출하지 않는 상태이다. 즉, 이것은 압력센서(70b)가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검출하지 않는 상태이다. 유저가 터치 패널(70a)에 대하여 의도적인 가압을 행하지 않고, 단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터치 푸시 상태가 "약"으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도 임계값 미만의 약한 압력이 검출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터치 푸시 상태가 "OFF"가 되는 경우는, 터치 푸시 상태가 "강"도 "약"도 아닌 경우이다. 터치 푸시 상태가 "OFF"가 되는 경우는, 유저가 터치 패널(70a)에 터치하지 않고 있는 상태(터치 오프)이다. 이 경우, 압력 센서(70b)는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하, 터치 푸시 상태가 "강"이 되는 터치 푸시를 행하는 조작을, "터치 푸시 조작"이라고 칭한다.
상술한 터치 무브 상태와 터치 푸시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를 하지 않고 있을 때의 터치 푸시 조작 시의 동작과, 터치 푸시를 하지 않고 있을 때의 터치 무브 조작 시의 동작을 전환할 수 있다. 압력 센서(70b)가 터치 푸시 조작을 검출한 상태를 하나의 터치 푸시 상태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검출한 압력의 크기에 의거해 복수의 터치 푸시 상태를 구별해도 된다. 복수의 압력 임계값을 설정한 예에 있어서, 압력 센서(70b)가 임계값 Pth1 이상이며 임계값 Pth2(>Pth1) 미만인 압력을 검출했을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는 제1 터치 푸시 상태(약 터치 푸시 상태)라고 판정한다. 반면, 압력 센서(70b)가 임계값 Pth2 이상의 압력을 검출했을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는 제2 터치 푸시 상태(강 터치 푸시 상태)라고 판정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터치 푸시 상태를 보다 미세하게 나눌 수 있다. 제2 터치 푸시 상태에 해당하는 터치 푸시를 행하는 조작을, "터치 푸시 조작"이라고 간주하고 후술의 실시예를 적용해도 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스텝 S40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 처리를 행한다. 이하에서는 표시 처리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스텝 S403에 있어서의 표시 처리의 상세한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스텝 S60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상부(22)로 촬상된 영상을, 표시부(28)에 라이브 뷰 화상(LV 화상)으로서 표시한다(라이브 뷰 표시).
스텝 S60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를 판단한다.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파인더)"이면(스텝 S602에서 IMAGING SETTING(FINDER)), 처리가 스텝 S603로 진행된다.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배면)"이면(스텝 S602에서 IMAGING SETTING (BACK)), 처리가 스텝 S604로 진행된다.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이면(스텝 S602에서 OFF), 처리가 스텝 S605로 진행된다.
스텝 S60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전자 뷰 파인더(28b)에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도 5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스텝 S60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배면 표시 패널(28a)에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도 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스텝 S60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화면의 표시처가 전자 뷰 파인더(28b)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처가 전자 뷰 파인더(28b)인 경우에는(스텝 S605에서 YES), 처리가 스텝 S606로 진행된다. 반면, 표시처가 배면 표시 패널(28a)인 경우에는(스텝 S605에서 NO), 처리가 스텝 S608로 진행된다.
스텝 S60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전자 뷰 파인더(28b)에 있어서의 촬영 정보의 표시를 갱신한다.
스텝 S607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전자 뷰 파인더(28b)에 AF 프레임(522)의 표시를 행한다. 이에 따라 도 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스텝 S606에서 촬영 설정의 표시가 갱신된다. 스텝 S607에서, 도 5c에 나타낸 AF 프레임(552)의 표시가 갱신된다.
스텝 S60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배면 표시 패널(28a)에 있어서의 촬영 정보의 표시를 갱신한다.
스텝 S60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배면 표시 패널(28a)에 있어서의 AF 프레임(514)의 표시를 행한다.
스텝 S61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배면 표시 패널(28a)에 터치 아이콘의 표시를 행한다.
이에 따라 도 5a에 나타낸 것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스텝 S608에서 촬영 설정의 표시가 갱신된다. 스텝 S609에서, 도 5a에 나타낸 AF 프레임(514)의 표시가 갱신된다. 스텝 S610에서는 터치 아이콘 516, 518, 520이 표시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스텝 S40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검출부(57)의 검출 상태에 변화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검출 상태에 변화가 있었을 경우에는(스텝 S40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05로 진행된다. 반면, 검출 상태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스텝 S404에서 NO), 처리가 스텝 S406로 진행된다.
스텝 S40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처 전환 처리를 행한다. 이하에서는 표시처 전환 처리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스텝 S405에 있어서의 표시처 전환 처리의 상세한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스텝 S70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검출부(57)가 검출한 상태 변화가, 비접안 상태로부터 접안 상태로의 상태 변화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검출한 상태 변화가 비접안 상태로부터 접안 상태로의 변화인 경우에는(스텝 S7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702로 진행된다. 반면, 검출한 상태 변화가 비접안 상태로부터 접안 상태로의 변화가 아닌 경우에는(스텝 S701에서 NO), 처리가 스텝 S707로 진행된다.
스텝 S70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 출력처를 전자 뷰 파인더(28b)로 변경한다.
스텝 S70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의 터치 설정 상태를 판단한다.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인 경우에는(스텝 S703에서 OFF), 처리가 스텝 S704로 진행된다. 반면,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배면)"인 경우에는(스텝 S703에서 IMAGING SETTING(BACK)), 처리가 스텝 S705로 진행된다.
스텝 S70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의 변경을 행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인 경우에는, 표시 출력처가 배면 표시 패널(28a)로부터 전자 뷰 파인더(28b)로 변경되어도 터치 설정 상태는 변경되지 않는다.
스텝 S70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를 "OFF"로 설정한다. 이렇게,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배면)"인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 출력처가 배면 표시 패널(28a)로부터 전자 뷰 파인더(28b)로 변경할 때에 터치 설정 상태를 "OFF"(즉, 대기 상태)로 변경한다.
스텝 S70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뉴 설정에 의해 설정된 터치 영역에 따라, 터치 유효 영역을 "전체 화면", "라이트 하프(Right Half)" 혹은 "레프트 하프(Left Half)"로 설정한다. 이 메뉴 설정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707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 출력처를 배면 표시 패널(28a)로 변경한다.
스텝 S70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를 판단한다.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인 경우에는(스텝 S708에서 OFF), 처리가 스텝 S709로 진행된다. 반면,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파인더)"인 경우에는(스텝 S708에서 IMAGING SETTING(FINDER)), 처리가 스텝 S710로 진행된다.
스텝 S70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의 변경을 행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인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 출력처가 전자 뷰 파인더(28b)로부터 배면 표시 패널(28a)로 변경되어도 터치 설정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스텝 S71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를 "OFF"로 설정한다. 이렇게,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파인더)"이고, 촬영 설정(파인더)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 출력처가 전자 뷰 파인더(28b)로부터 배면 표시 패널(28a)로 변경한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를 "OFF"(즉, 대기 상태)로 변경된다.
스텝 S704, S705, S709, S710에서, 이렇게 표시처가 변경되면, 터치 설정 상태는 OFF로 설정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스텝 S40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조작부(70)에 포함되는 메뉴 버튼이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메뉴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는(스텝 S406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07로 진행된다. 반면, 메뉴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06에서 NO), 처리가 스텝 S408로 진행된다.
스텝 S407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뉴 화면(촬영 설정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조작부(70)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 촬영 설정을 변경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라인드 터치 조작 설정과 터치 조작 설정의 2개의 서로 다른 설정 항목에 대해서, 그 설정 화면 예를 설명한다.
도 8a는, 설정 항목군(801)을 일람 표시하는 촬영 설정 메뉴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유저는 조작부(70)에 포함되는 4방향 버튼을 누름으로써 커서(802)를 이동시켜, 어떤 원하는 설정 항목을 선택하고, SET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설정 항목의 설정 변경 화면을 표시한다.
도 8b는, 블라인드 터치 조작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8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설정 항목명(803)과, 서브 항목 804∼807이 표시되어 있다. 서브 항목 804∼807에 대해서는, 설정 값(808)이 일람 표시되어 있다.
서브 항목 804로서의 블라인드 터치 조작은, 접안 검출 상태에서 배면 액정 디스플레이에의 터치 조작시(접안 상태에서의 터치 조작시)에 행해지는 동작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유저가 서브 항목 804를 선택해서 SET 버튼을 누르면 표시되는 설정 화면 예를 도 8c에 나타낸다. 도 8c에 나타낸 화면에서, 유저가 선택사항 809로부터 설정 값을 선택한다. 유저가 초기값으로서 "행하지 않음", "촬영 설정", 또는 "AF 위치 지정"을 선택할 수 있다. 후술하는 각 처리는, 서브 항목 804로 블라인드 터치 조작을 "촬영 설정"으로 설정하고 있는 경우의 예이다. 서브 항목 804로서 블라인드 터치 조작을 "행하지 않음"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검출 상태에서 터치 조작을 검출해도 설정 값을 변경하지 않거나, 또는, 접안 검출 상태에서 터치 검출을 행하지 않는다. 서브 항목 804로서 블라인드 터치 조작을 "AF 위치 지정"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검출 상태에서의 터치 조작에 따라, AF 위치를 변경한다.
서브 항목 805로서의 위치 지정 방법은, 서브 항목 804로서 블라인드 터치 조작을 "AF 위치 지정"으로 설정하는 경우의 터치에 의한 AF 위치의 지정 방법을, 절대 좌표 방식 또는 상대 좌표 방식으로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유저가 서브 항목 805를 선택해서 SET 버튼을 누르면 표시되는 설정 화면 예를 도 8d에 나타낸다. 도 8d에 나타내는 화면에서, 유저는 선택사항 810으로부터 설정 값, 초기값인 "절대 위치", 또는 "상대 위치"를 선택한다.
서브 항목 806으로서의 터치 영역은, 블라인드 터치 조작(접안 검출된 상태에서의 터치 조작)에서의 터치 유효 영역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유저가 서브 항목 806을 선택해서 SET 버튼을 누르면 표시되는 설정 화면의 예는 도 8e에 나타낸다. 선택사항 811에 의해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저는 초기값으로서의 "전체 화면" 이외에, 화면의 오른쪽 절반을 반응 영역으로서 지정하는 "라이트 하프"를 선택할 수 있어, 유저가 우세안(dominant eye) 및 접안 상태에서의 자세의 특성에 따라 터치 유효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블라인드 터치 조작(접안 상태에서의 터치 조작)에서는, 유저의 코가 배면 표시 패널(28a)(터치 패널(70a))에 접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코의 접촉 검출에 따라 촬영 설정이 원하지 않는 값으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터치 패널(70a) 중, 코가 접촉할 가능성이 낮은 일부의 영역을 터치 유효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게 하고, 터치 유용 영역 이외의 영역(코가 접촉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은, 터치가 검출되어도, 그 터치에 응답하여 처리를 행하지 않는 무효 영역으로서 설정된다.
서브 항목 807로서의 촬영 설정은, 서브 항목 804로서의 블라인드 터치 조작을 "촬영 설정"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블라인드 터치 조작(접안 상태에서의 터치 조작)으로 설정 가능한 설정 항목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유저가 서브 항목 807을 선택해서 SET 버튼을 누르면 표시되는 설정 화면 예를 도 8f에 나타낸다. 도 8f에 나타낸 화면에서, 유저는 선택사항 812로부터 설정 값을 선택한다. 초기값으로서의 "ISO" 이외에, 유저는 "노출 설정"이나 "기록 화질"을 선택 가능하다. 도 8f에 나타낸 선택사항 812는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설정 항목을 설정 가능하게 해도 된다. 서브 항목 807을 "ISO"로 설정했을 경우에, 접안 상태에서의 터치 조작으로서의 터치 무브에 의해,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ISO 감도의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서브 항목 807이 "ISO" 이외의 설정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접안 상태에서의 터치 조작으로서의 터치 무브에 따라, ISO 감도 이외의 서브 항목 807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이 변경된다.
도 8g는, 도 8a에 나타낸 촬영 설정 메뉴 화면에 표시된 항목 중, 유저가 "터치 조작 설정"을 선택해서 SET 버튼을 눌렀을 경우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이 설정 화면에는, 항목명 813과, 서브 항목 814가 표시된다. 서브 항목 814인 터치 동작은, 접안 비검출 상태에서의 터치 패널(70a)에의 터치 조작이 유효한지 무효한지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8g에 나타낸 화면에서, 유저는 터치 동작이 "행함"(터치 조작 유효)인지 "행하지 않음"(터치 조작 무효)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후술하는 각 처리는, 서브 항목 814로서의 터치 동작을 "행함"으로 설정하는 경우의 예이다. 서브 항목 814로서의 터치 동작을 "행하지 않음"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비접안 상태에서의 터치 패널(70a)에의 터치 조작은 모두 무효로 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스텝 S40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에 대한 터치 다운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터치 다운을 검출한 경우에는(스텝 S408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09로 진행된다. 반면, 터치 다운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08에서 NO), 처리가 스텝 S410로 진행된다.
스텝 S40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다운 처리를 행한다. 이하에서는 터치 다운 처리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4에 나타낸 스텝 S409에 있어서의 터치 다운 처리의 상세한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스텝 S90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의 표시처가 배면 표시 패널(28a)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처가 배면 표시 패널(28a)인 경우에는(스텝 S9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902로 진행된다. 반면, 표시처가 배면 표시 패널(28a)이 아닌 경우에는, 즉, 표시처가 전자 뷰 파인더(28b)인 경우에는(스텝 S901에서 NO), 처리가 스텝 S909로 진행된다.
스텝 S90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를 판단한다.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인 경우에는(스텝 S902에서 OFF), 처리가 스텝 S903로 진행된다. 반면,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배면)"인 경우에는(스텝 S902에서 IMAGING SETTING(BACK)), 처리가 스텝 S906로 진행된다.
스텝 S90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 위의 터치 가능영역에서 터치 다운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5a에 나타낸 터치 아이콘 516, 518, 520 중의 어느 하나에서 터치 다운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터치 패널(70a) 위의 터치 가능 영역에서 터치 다운을 검출한 경우에는(스텝 S903에서 YES), 처리가 스텝 S904로 진행된다. 반면, 터치 가능 영역에서 터치 다운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903에서 NO),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다운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90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를 "촬영 설정(배면)"으로 설정한다. 이렇게, 터치 다운을 행한 터치 아이콘에 해당하는 촬영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스텝 S90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타이머(53)에 의해 설정 타이머의 카운트를 시작한다. 설정 타이머는, 무조작의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타이머다. 시스템 제어부(50)가 설정 타이머에 의해 무조작의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했다는 것을 측정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후술하는) 스텝 S417 및 S415의 처리에 의해, 자동으로 터치 설정 상태, 터치 무브 상태, 및 터치 푸시 상태를 OFF로 설정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가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배면) 또는 촬영 설정(파인더)이었을 때에 카운트하고 있었던 각종 타이머를 정지한다.
스텝 S90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 위의 터치 가능영역에서 터치 다운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5b에 나타낸 ISO 감도 설정 바(534)에서의 어느 하나의 수치로 터치 다운을 검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터치 패널(70a) 위의 터치 가능 영역에서 터치 다운을 검출했을 경우에는(스텝 S906에서 YES), 처리가 스텝 S907로 진행된다. 반면, 터치 가능 영역에서 터치 다운을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에는(스텝 S906에서 NOS),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다운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907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 위의 터치 다운의 위치에 대응한 설정 값으로 촬영 설정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도 5b에 나타낸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ISO 감도 설정 바(534)에 수치 400가 표시된 위치에서 터치 다운이 검출되면, ISO 감도가 400으로 설정된다.
스텝 S90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타이머(53)에 의한 설정 타이머의 카운트를 리셋하고 그 후에 설정 타이머의 카운트를 시작한다.
스텝 S90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검출한 터치 다운이, 터치 패널(70a) 위의 전술한 서브 항목 806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터치 유효영역 내에 있어서의 터치 다운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검출한 터치 다운이 터치 유효 영역 내에 있어서의 터치 다운인 경우에는(스텝 S909에서 YES), 처리가 스텝 S910로 진행된다. 반면, 검출한 터치 다운이 터치 유효 영역 내에 있어서의 터치 다운이 아닌 경우에는(검출한 터치 다운이 터치 무효 영역에 있어서의 터치 다운인 경우)(스텝 S909에서 NO),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다운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91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를 촬영 설정(파인더)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터치 다운 전의 도 5c에 나타낸 표시 상태로부터, 터치 다운 후의 도 5d에 나타낸 표시 상태로 표시 화면이 변경되어, 촬영 설정(542)으로서 현재의 ISO 감도의 설정 값이 표시된다. 이 시점에서는, 아직 ISO 감도의 설정 값이 변경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그 후에 터치 무브함으로써 어느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는지 판정할 수 있고, 또 현재의 ISO 감도의 설정 값이 원하는 설정 값인지의 여부(즉, 설정 값이 변경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브 항목(807)으로서 ISO 감도 이외의 설정 값을 설정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촬영 설정(542)으로서, ISO 감도 대신에, 서브 항목 807로서 설정되어 있는 설정 항목의 현재의 설정 값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서브 항목 807로서 노출 보정을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접안 상태에서 터치 다운함으로써, 촬영 설정(542)으로서, 전자 뷰 파인더(28b)에 현재의 노출 보정값이 표시된다.
스텝 S91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타이머(53)에 의한 설정 타이머의 카운트를 리셋하고 그 후에 설정 타이머의 카운트를 시작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스텝 S41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 위에서 터치 무브를 검출했는지 아닌가를 판단한다. 터치 무브를 검출한 경우에는(스텝 S410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11로 진행된다. 반면, 터치 무브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10에서 NO), 처리가 스텝 S412로 진행된다.
스텝 S41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터치 무브 처리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4에 나타낸 스텝 S411에 있어서의 터치 무브 처리의 상세한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스텝 S100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의 표시처가 배면 표시 패널(28a)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의 표시처가 배면 표시 패널(28a)인 경우에는(스텝 S10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01로 진행된다. 반면, 현재의 표시처가 배면 표시 패널(28a)이 아닌 경우에는(즉, 표시처가 전자 뷰 파인더(28b)인 경우)(스텝 S1001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05로 진행된다.
스텝 S100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를 판단한다.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인 경우에는(스텝 S1002에서 OFF),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처리를 종료한다. 반면,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배면)"인 경우에는(스텝 S1002에서 IMAGING SETTING (BACK)), 처리가 스텝 S1003로 진행된다.
스텝 S100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패널(70a) 위의 터치 무브의 이동량에 대응한 값에 의해 촬영 설정을 변경한다.
스텝 S100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타이머(53)에 의한 설정 타이머의 카운트를 리셋하고, 그 후에 설정 타이머의 카운트를 시작한다.
스텝 S100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전술한 도 8e에 나타낸 메뉴 화면에서 설정된 터치 유효 영역에서 터치 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터치 유효 영역에서 터치 온을 검출한 경우에는(스텝 S1005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06로 진행된다. 반면, 터치 유효 영역에서 터치 온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05에서 NO),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0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를 판단한다.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인 경우에는(스텝 S1006에서 OFF),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처리를 종료한다. 반면,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파인더)"인 경우에는(스텝 S1006에서 IMAGING SETTING (FINDER)), 처리가 스텝 S1007로 진행된다. 터치 무브를 검출하고 나서 터치 유효 영역에서 터치 온이 검출되더라도,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인 경우(스텝 S1006에서 OFF)는, 이하의 경우이며, 즉, 터치 다운에 의해 터치 설정 상태를 "촬영 설정(파인더)"으로 설정한 후, 설정 타이머가 만료할 때까지 터치 위치를 정지시킨 후에 터치 무브를 행하는 경우다. 설정 타이머가 만료할 때까지 터치 위치가 정지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코 등이 의도하지 않게 터치 위치에 접촉하고 있었던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에, 설정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 (후술하는) 스텝 S417 및 S415의 처리에 의해, 자동으로 터치 설정 상태가 OFF로 설정된다. 따라서, 그 후 터치 위치가 이동해서 터치 무브가 검출되어도,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1006에서 터치 설정 상태가 "OFF"라고 판정한다. 이 때문에, 터치 무브에 의한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즉, 코 등의 접촉에 의해 설정 타이머가 만료할 때까지 터치 온이 계속되고, 그 후에 의도하지 않게 코가 움직여도, 그 코의 접촉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 S1007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리피트 ON 상태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리피트 ON 상태는, 상술한 키 리피트 상태이며, 계속되는 조작이 유지되어 있을 경우에, 시간 경과에 따라 주기적으로 설정 값을 변경하는 상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리피트 상태가 현재 시스템 메모리(52)에 기억된 상태 플래그를 참조하여 설정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리피트 타이머가 카운트중일 경우에 리피트 ON 상태가 현재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리피트 ON 상태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007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처리를 종료한다. 즉, 한번 리피트 ON 상태에 진입하면, 터치 업할 때까지는 터치 무브가 있어도,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에 따른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반면, 리피트 ON 상태가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07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08로 진행된다.
스텝 S100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상 터치 무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소정거리는 예를 들면 1cm이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다운을 검출한 좌표와 현재의 터치 위치의 좌표와의 Y축 방향의 차분(종방향의 이동 성분)이 소정거리(1cm) 이상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X축 방향의 차분(횡방향의 이동 성분)은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Y축 방향의 차분이 소정거리가 되기 전에 X축 방향의 차분이 임계값을 넘는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횡방향으로의 터치 무브인 것으로 간주하고, Y축 방향의 차분이 소정거리 이상이 되어도 스텝 S1008에서 "NO"를 선택해도 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상의 터치 무브가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008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09로 진행된다. 반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상의 터치 무브가 없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008에서 NO),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0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소정거리를 초과한 터치 무브가 상방으로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상방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진 경우에는(스텝 S1009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12로 진행된다. 반면, 상방으로 터치 무브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하방으로의 터치 무브가 행해진 경우)(스텝 S1009에서 NO)에는, 스텝 S1010로 진행된다.
스텝 S101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서브 항목 807로서 설정되어 있는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1개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ISO 감도가 20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ISO 감도를 160으로 변경한다.
스텝 S101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 값의 증감 방향(변경 방향)이 감소하는 방향이라는 것을 시스템 메모리(52)에 기억한다. 여기에서 기억된 정보는, 터치 무브에 의해 변경된 설정 값의 증감 방향을 나타내어야 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1009에서 판정한 터치 무브의 방향(하방)을 기억해도 된다.
스텝 S1012로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서브 항목 807로서 설정되어 있는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1개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ISO 감도가 20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ISO 감도를 250으로 변경한다.
스텝 S101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 값의 증감 방향(변경 방향)이 증가하는 방향이라는 것을 시스템 메모리(52)에 기억한다. 여기에서 기억된 정보는, 터치 무브에 의해 변경된 설정 값의 증감 방향을 나타내어야 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1009에서 판정된 터치 무브의 방향(상방)을 기억해도 된다.
스텝 S101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리피트 시작 타이머의 카운트를 시작한다. 리피트 시작 타이머는, 리피트 ON 상태에 진입할 때까지의 소정시간(예를 들면, 1초)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다.
스텝 S101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메모리(52)에 기억된 제어 변수인 터치 무브 상태를 ON으로 설정한다.
스텝 S101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 강 터치 타이머의 카운트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정지 강 터치 타이머의 카운트를 정지한다. 정지 강 터치 타이머는, 터치 푸시 후에 터치 무브가 행해지지 않는 기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타이머다.
스텝 S1017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타이머(53)에 의한 설정 타이머의 카운트를 리셋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스텝 S41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푸시 상태가 변화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터치 푸시 상태가 변화된 경우에는(스텝 S41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13로 진행된다. 반면, 터치 푸시 상태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12에서 NO), 처리가 스텝 S414로 진행된다.
스텝 S41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푸시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 터치 푸시 처리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4에 나타낸 스텝 S413에 있어서의 터치 푸시 처리의 상세한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스텝 S110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의 표시처가 배면 표시 패널(28a)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의 표시처가 배면 표시 패널(28a)인 경우에는(스텝 S1101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푸시 처리를 종료한다. 반면, 현재의 표시처가 배면 표시 패널(28a)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S1101에서 NO), 처리가 스텝 S1102로 진행된다.
스텝 S110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상술한 도 8e에 나타낸 메뉴 화면에서 설정된 터치 유효 영역에 터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터치 유효 영역에 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10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103로 진행된다. 반면, 터치 유효 영역에 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102에서 NO),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푸시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10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를 판단한다.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인 경우에는(스텝 S1103에서 OFF),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푸시 처리를 종료한다. 반면,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파인더)"인 경우에는(스텝 S1103에서 IMAGING SETTING (FINDER)), 처리가 스텝 S1104로 진행된다.
스텝 S110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푸시 조작("강" 터치 푸시 상태가 되는 터치 푸시)이 검출되는지 여부, 즉 압력센서(70b)가 임계값 이상의 압력을 검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강" 터치 푸시 상태가 되는 터치 푸시를 검출한 경우에는(스텝 S110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108로 진행된다. 반면, 시스템 제어부(50)가 "강" 터치 푸시 상태가 되는 터치 푸시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104에서 NO), 처리가 스텝 S1105로 진행된다.
스텝 S110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상태를 변경하지 않도록 한다.
스텝 S110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푸시 상태를 "약"으로 설정한다.
스텝 S1107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 강 터치 타이머의 카운트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정지 강 터치 타이머의 카운트를 정지한다.
스텝 S110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상태가 "ON"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 무브 상태가 "ON"인 경우에는(스텝 S1108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110로 진행된다. 한편, 터치 무브 상태가 "ON"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S1108에서 NO), 처리가 스텝 S1118로 진행된다. 터치 무브 상태가 "ON"인 상태는, 터치 푸시가 이루어지기 전에 터치 무브에 의해 스텝 S1010 또는 S1012에서 설정 값이 변경되고, 그 후에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가 행해지는 경우이다.
스텝 S111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1011 또는 S1013에서 시스템 메모리(52)에 기억된 설정 값의 증감 방향을 참조하여, 기억된 증감 방향이 증가하는 방향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기억된 증감 방향이 증가하는 방향인 경우에는(스텝 S1110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12로 진행된다. 반면, 기억된 증감 방향이 증가하는 방향이 아닌 경우에는(증감 방향이 감소하는 방향인 경우)(스텝 S1110에서 NO), 처리가 스텝 S1111로 진행된다.
스텝 S111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서브 항목 807로서 설정되어 있는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1개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ISO 감도가 16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ISO 감도를 125로 변경한다.
스텝 S1112로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서브 항목 807로서 설정되어 있는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1개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ISO 감도가 250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ISO 감도를 320로 변경한다.
스텝 S1111 또는 스텝 S1112에서, 터치 무브에 의한 설정 값의 변경 후에,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가 행해졌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에 의한 설정 값 변경의 증감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1개 더 설치 값을 변경한다.
스텝 S111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메모리(52)에 기억된 상태 플래그를 변경하여 리피트 ON 상태를 설정한다.
스텝 S111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리피트 ON 상태(키 리피트 상태)에 있어서의 주기적인 설정 값의 변경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 다음 1주기(예를 들면, 0.3초)를 계측하기 위한 리피트 타이머의 카운트를 시작한다.
이렇게, 터치 무브에 의한 설정 값의 변경 후에,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가 행해졌을 경우에는, 리피트 시작 타이머의 만료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리피트 온 상태에 진입한다.
스텝 S111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타이머(53)에 의한 설정 타이머의 카운트를 리셋한 후에 설정 타이머를 시작한다.
스텝 S111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상태를 변경하지 않도록 한다.
스텝 S1117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푸시 상태를 "강"으로 설정한다.
스텝 S111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상태가 OFF일 때, 즉 터치 무브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터치 푸시가 행해졌기 때문에, 정지 강 터치 타이머의 카운트를 시작한다. 설정 타이머의 만료에 의해 터치 설정 상태가 OFF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스텝 S1103에서 OFF라고 판정되기 때문에, 정지 강 터치 타이머의 카운트는 개시되지 않는다(처리가 스텝 S1118로 진행되지 않는다). 즉, 코에 의한 터치 온이 설정 타이머가 만료할 때까지 계속되고, 그 후에 의도하지 않게 터치 푸시가 행해져도,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 강 터치 타이머를 카운트하지 않기 때문에, 스텝 S429에서의 설정 값의 초기화를 행하지 않는다.
스텝 S111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타이머(53)에 의한 설정 타이머의 카운트를 리셋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스텝 S41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업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복수의 위치에서 터치를 검출한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모든 터치 위치에서 터치 업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를 판정한다. 모든 터치 지점에서 터치 업이 행해진 경우에는(스텝 S41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15로 진행된다. 반면, 모두가 아닌 터치 지점에서 터치 업이 행해진 경우에는(스텝 S414에서 NO), 처리가 스텝 S416로 진행된다.
스텝 S41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 터치 무브 상태, 및 터치 푸시 상태를 각각 OFF로 설정한다(이들 상태를 초기화한다). 블라인드 터치 조작(접안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관해서 카운트하고 있었던 타이머가 1개 이상 있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이들 타이머 모두를 카운트하는 것을 정지한다(타이머를 카운트하는 것을 리스타트(restart)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정지 강 터치 타이머, 리피트 시작 타이머, 리피트 타이머, 및 설정 타이머가 카운트되고 있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이들 타이머의 카운트를 정지한 후에 그것의 카운트를 리셋한다.
스텝 S41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터치 설정 상태가 OFF인 경우에는(스텝 S416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30로 진행된다. 반면, 터치 설정 상태가 OFF가 아닌 경우에는, 즉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배면)" 또는 "촬영 설정(파인더)"인 경우에는(스텝 S416에서 NO), 처리가 스텝 S417로 진행된다. 스텝 S417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카운트하고 있었던 설정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설정 타이머가 만료했을 경우, 즉, 마지막 조작 이후로 무조작인 채로 소정시간(예를 들면, 5초 정도)이 경과했을 경우에는(스텝 S417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15로 진행된다. 반면,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17에서 NO), 처리가 스텝 S418로 진행된다.
스텝 S41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파인더)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파인더)"인 경우에는(스텝 S418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19로 진행된다. 반면,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파인더)"이 아닌 경우에는, 즉 터치 설정 상태가 "촬영 설정(배면)"인 경우에는(스텝 S418에서 NO), 처리가 스텝 S403로 돌아간다.
스텝 S41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리피트 ON 상태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리피트 ON 상태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419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22로 진행된다. 반면, 리피트 ON 상태가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19에서 NO), 처리가 스텝 S420로 진행된다.
스텝 S42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리피트 시작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리피트 시작 타이머가 만료했을 경우, 즉 블라인드 터치 조작에 의한 소정거리 이상의 터치 무브에 의해 설정 값을 변경하고 나서, 터치를 떼지 않고 소정시간(예를 들면, 1초)이 경과했을 경우에는(스텝 S420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21로 진행된다. 반면, 리피트 시작 타이머가 만료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20에서 NO), 처리가 스텝 S430로 진행된다.
스텝 S42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메모리(52)에 기억된 상태 플래그를 변경하여, 리피트 ON 상태를 설정한다.
스텝 S42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리피트 타이머가 만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리피트 타이머가 만료했을 경우, 즉, 리피트 ON 상태에서 설정 값을 변경하고 나서 1주기분의 시간(예를 들면, 0.3초)이 경과했을 경우에는(스텝 S42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23로 진행된다. 반면, 리피트 타이머가 만료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22에서 NO), 처리가 스텝 S428로 진행된다.
스텝 S423∼S425의 처리는, 각각 상술한 도 11에 나타낸 스텝 S1110∼S1112의 처리와 같으므로, 그것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426의 처리도 도 11에 나타낸 스텝 S1114의 처리와 같으므로, 그것의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427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시스템 타이머(53)에 의해 설정 타이머의 카운트를 시작한다.
스텝 S42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정지 강 터치 타이머로 계측하고 있는 현재 시간이 임계값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계측한 시간이 임계값에 도달했을 경우, 즉, 터치 다운 후 터치 무브 하기 전에 터치 푸시 조작이 행해지고, 그 후에 터치 무브 없이 "강" 터치 푸시 상태가 임계값 시간(예를 들면, 2초)동안 계속되었을 경우에(스텝 S428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29로 진행된다. 반면, 계측한 시간이 임계값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28에서 NO), 처리가 스텝 S403로 돌아간다.
스텝 S42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서브 항목 807로서 설정되어 있는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초기값으로 변경한다. ISO 감도 설정의 초기값은 "AUTO"이다. 즉, 터치 무브 없이 터치 푸시를 해서 그 상태를 잠시 동안 계속함으로써, ISO 감도 설정을, 변경 전의 설정 값에 관계없이 AUTO(초기 값)로 변경할 수 있다.
스텝 S43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셔터 버튼(61)에 대한 조작, 구체적으로는 반 누름(SW1 ON) 또는 완전 누름(SW2 ON)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셔터 버튼(61)에 대한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스텝 S430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31로 진행된다. 반면, 셔터 버튼(61)에 대한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스텝 S430에서 NO), 처리가 스텝 S432로 진행된다.
스텝 S43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셔터 버튼(61)에 대한 반 누름(SW1 ON)이 있었을 경우에는, 반 누름 조작에 따라 촬영 준비 처리를 행한다. 셔터 버튼(61)에 대한 완전 누름(SW2 ON)이 있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완전 누름 조작에 따라 촬영 처리를 행한다. 촬영 준비 처리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AF 및 AE를 행한다. AE에 있어서는, 서브 항목 807로서 설정되어 있는 설정 항목이 노출 관계의 설정 항목인 경우에는, 설정 값(ISO 감도 설정, 노출 보정 등)이 반영된다. 촬영 처리에서는, 현재의 각종 촬영 설정을 반영하여, 촬상부(22)에서의 노광·촬상을 행하고, 촬상된 화상을 화상 처리부(24)에서 화상 처리해서 기록 매체(200)에 화상 데이터를 화상 파일로서 기록할 때까지의 일련의 촬영 처리를 행한다.
스텝 S43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다른 조작이 행해졌는 아닌지를 판정한다. 다른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스텝 S43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33로 진행된다. 스텝 S433에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다른 조작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50)는 조작부(70)가 조작된 것에 따라, 셔터 스피드를 변경한다. 반면, 다른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스텝 S432에서 NO), 처리가 스텝 S434로 진행된다.
스텝 S43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 처리의 종료 조작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촬영 모드 처리의 종료 조작에는, 전원을 OFF로 하는 조작과, 촬영 모드를 재생 모드 등의 다른 촬영 모드로 변경하는 조작 등이 포함된다. 촬영 모드 처리의 종료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스텝 S434에서 NO), 처리가 스텝 S403로 돌아간다. 반면, 촬영 모드 처리의 종료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스텝 S434에서 YES),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처리에 의하면, 스텝 S1010 또는 스텝 S1012에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유저가 터치 패널(70a)에 터치해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한 것에 따라 설정 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스텝 S421에 있어서, 유저가 그 터치 상태를, 터치를 떼지 않고 리피트 시작 타이머 만료까지 유지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주기적으로 설정 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키 리피트 상태가 된다. 스텝 S1111 또는 S1112에 있어서, 리피트 시작 타이머의 만료 전이어도, 터치 푸시를 행함으로써 더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스텝 S1113에 있어서, 터치 푸시를 행함으로써, 리피트 시작 타이머의 만료를 기다리지 않고 키 리피트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설정 값을 크게 변경하는 경우도 설정 값을 미세 조정하는 경우도, 보다 빠르게 유저가 유저의 의도대로 설정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12d는, 설정 값 변경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를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의 타이밍 차트다.유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터치 무브에 의해 설정 값을 1회 설정한 후에는, 리피트 온 상태가 될 수 없고 또 유저가 터치 푸시에 의한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터치 업이 이루어질 때까지는 그 이상 설정 값은 변경되지 않는다.
도 12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터치 무브에 의해 설정 값을 1회 설정한 후, 유저가 터치 푸시를 하지 않고 터치를 계속했을 경우의 타이밍 차트다.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터치 무브에 의해 설정 값을 1회 설정한 후, 리피트 시작 타이머가 만료할 때까지의 소정시간 TH1(예를 들면, 1초)이 경과하면, 키 리피트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저가 터치를 계속하고 있는 한, 1주기의 기간 TH2(예를 들면, 0.3초)마다 설정 값이 변경된다. 도 12b에 나타낸 예에서는, 터치 업이 이루어지기까지 키 리피트 상태에서 2~6번째까지의 설정 변경이 행해진다. 2~6번째의 설정 변경은 1번째의 설정 변경과 같은 증감 방향으로 행해진다. 도 12b에서는, 도 12a에 나타낸 예에 비하여, 유저는 터치 무브로부터 터치 업까지의 1회의 터치 조작 중에 대폭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도 12c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터치 무브에 의해 설정 값을 1회 설정한 후, 유저는 리피트 시작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터치 푸시를 행하고, 그 후에도 터치를 계속했을 경우의 타이밍 차트다. 1번째의 설정 변경으로부터 소정시간 TH1이 경과하기 전에 터치 푸시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2번째의 설정 변경을 도 12b에 나타낸 타이밍보다도 더 빠른 타이밍에서 행할 수 있다. 그 후에는, 키 리피트 상태가 되므로, 유저가 터치를 계속하고 있는 한, 1주기의 기간 TH2(예를 들면, 0.3초)마다 설정 값이 변경된다. 도 12c에 나타낸 예에서는, 터치 업이 이루어지기까지 키 리피트 상태에서 2~7번째의 설정 변경이 행해진다. 도 12c에서는, 도 12b에 나타낸 예에 비하여, 유저는 터치 무브로부터 터치 업까지의 1회의 터치 조작 중에 대폭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도 12d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터치 무브에 의해 설정 값을 1회 설정한 후, 유저가 리피트 시작 타이머 만료 전에 터치 푸시를 행하고, 그 후에도 몇 번 반복해서 터치 푸시를 행한 경우의 타이밍 차트다. 터치를 계속했을 경우의 타이밍 차트다. 터치 푸시를 반복해서 행하는 것은, 보다 엄밀하게는, "약" 터치 푸시 상태가 되는 압력을 약화시키고, 다시 "강" 터치 푸시 상태가 되는 압력을 높이는 조작을 반복해서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1번째의 설정 변경으로부터 소정시간 TH1이 경과하기 전에 터치 푸시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2번째 설정 변경을 도 12b에 나타낸 타이밍보다 더 빠른 타이밍에서 행할 수 있다. 그 후에, 키 리피트 상태가 된다. 유저는 리피트 타이머의 만료 시간(키 리피트의 1주기분의 시간)보다도 짧은 주기로 터치 푸시를 반복해 행한다. 도 12d에 나타낸 예에서는, 터치 업이 이루어지기까지 터치 푸시에 따라 2~8번째의 설정 변경이 행해진다. 그 결과, 도 12c에 나타낸 예에 비하여, 유저는 터치 무브로부터 터치 업까지의 1회의 터치 조작 중에 더 대폭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 설정 변경은, 터치 패널(70a)을 푸시한 횟수에 대응하는 횟수만큼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저는, 설정 값이 몇 번 변경되었는지 파악하기 쉽다. 즉, 유저는 빠르고 확실하게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저는 블라인드 터치 조작(접안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있어서 소정거리 이상의 터치 무브를 통해서 설정 값을 변경한 후, 리피트 시작 타이머 만료까지 터치를 계속하면, 리피트 온 상태(키 리피트 상태)에 진입한다. 그렇지만, 키 리피트 상태에 진입하지 않아도 된다. 즉, 유저가 블라인드 터치 조작(접안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있어서 소정거리 이상의 터치 무브를 행해서 설정 값을 변경한 후, 터치를 계속해도, 설정 변경이 더 행해지지 않아도 된다. 이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도 10에 나타낸 스텝 S1014에서의 처리와, 도 4에 있어서의 스텝 S420 및 S421에서의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시스템 제어부(50)가 스텝 S419에서 "NO"를 선택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30로 진행된다). 이 경우, 도 12a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에 따른 동작이 실현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저는 블라인드 터치 조작(접안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있어서 소정거리 이상의 터치 무브를 행해서 설정 값을 변경한 후, "강" 터치 푸시 상태가 되는 터치 푸시를 행한 경우에, 바로 리피트 온 상태가 된다. 그렇지만, 리피트 온 상태에 진입하지 않아도 된다. 즉, 유저는 블라인드 터치 조작(접안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있어서 소정거리 이상의 터치 무브를 행해서 설정 값을 변경한 후, 터치 푸시를 하고, 그 후 터치를 계속해도, 설정 변경이 더 행해지지 않아도 된다. 이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도 11에 나타낸 스텝 S1113 및 S1114에서의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터치 푸시를 반복하면 그 반복 횟수에 대응하는 횟수만큼 설정 값이 변경되므로, 도 12d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에 따른 동작이 실현된다. 이 경우에도, 도 12a에 나타낸 예에 비하여, 유저가 터치 무브로부터 터치 업까지의 1회의 터치 조작 중에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는 폭이 크다. 즉, 유저는 빠르고 확실하게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소정거리 이상 터치 무브한 것에 따라 설정 값을 변경할 경우(스텝 S1010 및 S1012), 및 터치 푸시에 따라 설정 값을 변경할 경우(스텝 S1111 및 S1112)에, 1회의 설정 변경에 대해 같은 변경량이 사용되지만, 2개의 경우 사이에서 변경량을 다르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텝 S1010 및 S1012에서, 소정거리 이상 터치 무브한 것에 따라 설정 값을 변경할 경우에는, 1개의 변경량만큼 설정 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한편, 스텝 S1111 및 S1112에서, 터치 푸시에 따라 설정 값을 변경할 경우에는, 1회의 설정 변경에 대한 변경량을 크게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텝 S1010 및 S1012에서, 소정거리 이상 터치 무브한 것에 따라 ISO 감도 설정 값을 변경할 경우에는, 1/3단분(段分)(1/3-stop increments)(제1 양) 설정 값을 변경한다(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스텝 S1111 및 S1112에서, 터치 푸시에 따라 설정 값을 변경할 경우에는, 1단분(1-stop increments)(제1 양보다 많은 제2 양) ISO 감도 설정 값을 변경한다. 이 경우, ISO 감도가 160으로 설정되어 있었던 상태로부터 유저가 상방으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를 행하면, 스텝 S1012에서 1/3단분 설정값이 변경되고, ISO 감도가 200으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유저가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행하면, 스텝 S1112에서 1단분 설정 값이 더 변경되고, ISO 감도가 400으로 설정된다.
스텝 S1111 및 S1112에서, 터치 푸시에 따라 설정 값을 변경할 경우, 설정 가능한 설정값 후보 중 소정의 단락(demarcation)의 설정 값으로 설정 값을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소정의 단락의 설정 값으로서, ISO 감도 설정 값을, ISO100로부터 1단(段)씩 가장 가까운 값으로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ISO 감도가 400으로 설정되어 있었던 상태로부터 유저가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상 터치 무브를 행하면, 스텝 S1012에서 ISO 감도가 500으로 설정된다. 그 상태로부터 유저가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행하면, 스텝 S1112에서 ISO 감도 500보다 높은 ISO 감도 값 중 가장 가까운 단락 위치(단락 위치는 도 3에 나타낸 O 표시가 첨부된 값)인 ISO800로 설정된다. 이후, 터치 푸시가 이루어질 때마다 도 3에 나타낸 O 표시가 첨부된 값 사이에서 설정 값이 변경된다. 반대로, ISO 감도가 400으로 설정되어 있었던 상태에서 유저가 하방으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를 행하면, 스텝 S1012에서 ISO 감도가 320으로 설정된다. 그 상태로부터 유저가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행하면, 스텝 S1112에서 ISO 감도 320보다 낮은 ISO 감도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단락 위치(단락 위치는 도 3에 나타낸 O 표시가 첨부된 값)인 ISO200으로 설정된다.
스텝 S1111 및 스텝 S1112에서, 터치 푸시에 따라 설정 값을 변경할 경우, 설정가능한 설정 값 후보 중 최대값 또는 최소값으로 설정 값을 변경해도 된다. 이 경우, ISO 감도가 400으로 설정되어 있었던 상태에서 유저가 상방으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를 행하면, 스텝 S1012에서 ISO 감도가 500으로 설정된다. 그 상태로부터 유저가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행하면, 스텝 S1112에서 ISO 감도가 설정 가능한 최대값인 HS(51200)로 설정된다. 이후, 유저에 의해 터치 푸시가 행해져도, 그 이상 값을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설정 값은 변경되지 않는다. 반대로, ISO 감도가 400으로 설정되어 있었던 상태에서 유저가 하방으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를 행하면, 스텝 S1012에서 ISO 감도가 최소값인 100, 또는 AUTO로 설정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터치 푸시 없이 리피트 시작 타이머가 만료한 것에 따라 리피트 온 상태가 되었을 경우(스텝 S421)와, 터치 푸시에 의해 리피트 온 상태가 되었을 경우(스텝 S1113)에, 리피트 기간 동안의 1회의 설정 변경에서의 설정 변경량이 같지만, 이 처리는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터치 푸시 없이 리피트 시작 타이머가 만료한 것에 따라 리피트 온 상태가 되었을 경우(스텝 S421)보다도, 터치 푸시에 의해 리피트 온 상태가 되었을 경우(스텝 S1113)에 리피트 기간 동안의 1회의 설정 변경량을 크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리피트 기간 동안의 1회의 설정 변경에서 ISO 감도 설정 변경의 변경량을, 전자는 1/3단(段), 후자는 1단(湍)으로 해도 된다.
리피트 온 상태 요인(스텝 S421 또는 스텝 S1113)에 의거하여 설정 변경량을 변경하는 대신에, 그 이외의 요인에 의거하여 설정 변경량을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리피트 온 상태에서 리피트 타이머의 만료에 따른 주기적인 각 설정 변경시에, 터치 푸시 상태가 "강"인지 "약"인지에 의거하여 설정 변경량을 변경해도 된다. 이 경우, 스텝 S425 대신에, 시스템 제어부(50)는 현재의 터치 푸시 상태를 판정한다. 현재의 터치 푸시 상태가 "약"인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 값을 제1 양(ISO 감도에 대해서 예를 들면 1/3단)만큼 증가시킨다. 현재의 터치 상태가 "강"인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설정 값을 제2 양(ISO 감도에 대해서 예를 들면 1단)만큼 증가시킨다. 터치 푸시 상태가 "강"인지 "약"인지에 의거하여 리피트 타이머의 만료 시간(주기)을 변경해도 된다. "강"의 만료 시간은 "약"의 만료 시간보다 짧아도 된다. 터치 푸시 상태가 "강"인지 "약"인지에 의거하여 1회의 설정 변경량과 리피트 온 상태에 있어서의 주기의 쌍방을 변경해도 된다. 터치 푸시 상태가 "약"과 "강"의 2단계뿐만 아니라, 3단계 이상으로 판별될 수 있는 경우에는, 터치 푸시의 단계별(압력별)로, 1회의 설정 변경량과 리피트 온 상태에 있어서의 주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단계로 다르게 해도 된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전에 설정된 "강" 터치 푸시 상태가 정지한 채 계속될 때 스텝 S429에서 설정 값을 초기값으로 변경하지만, 이 처리는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설정 값을 초기값으로 변경하는 것이 아니고, 변경 가능한 설정 항목을 변경해도 된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무브 전에 설정된 "강" 터치 푸시 상태가 정지한 채 계속될 때 도 8b에 나타낸 서브 항목 807의 설정을 ISO 감도로부터 노출 보정으로 변경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예의 블라인드 터치 조작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상방으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한 것에 따라 설정 값을 증가시키고, 하방으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한 것에 따라 설정 값을 감소시킨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Y축(제1 축) 위의 서로 반대의 방향인 상방(제1 방향) 또는 하방(제2 방향)으로의 터치 무브에 따라 설정 값을 증감시킨다. 다만, 방향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X축(제2 축) 위의 서로 반대의 방향인 우측 방향(제3 방향) 또는 좌측 방향(제4 방향)으로의 터치 무브에 따라 설정 값을 증감해도 된다.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우측 방향으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한 것에 따라 설정 값을 증가시키고, 좌측 방향으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한 것에 따라 설정 값을 감소시켜도 된다. 또한, 방향별로 상이한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50)는 상방으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한 것에 따라 제1 설정 항목(예를 들면, ISO 감도)의 설정 값을 증가시키고, 하방으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한 것에 따라 제1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감소시킨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50)는 우측 방향으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한 것에 따라 제2 설정 항목(예를 들면, 노출 보정)의 설정 값을 증가시키고, 좌측 방향으로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한 것에 따라 제2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감소시켜도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뷰 파인더(28b)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광학 파인더도 적용가능하다.
소정거리이상 터치 무브한 것에 따라 설정 값을 변경시켜, 터치 푸시에 의해 설정 값을 더 변경하는 상황의 예로서, 블라인드 터치 조작(접안 상태에서의 터치 조작)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처리는 이 상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예에서는, 본 실시예를 촬상장치에 적용했지만, 적용 가능한 장치는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는 스마트폰의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패널과,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PC)의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패드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실시예가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전화기, 음악 플레이어)의 예를 나타낸다. 스마트폰(1301)은, 터치한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검출 가능한 터치 패널(1302), 스피커(1303), 및 음성 출력 단자(130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마트폰(1301)에 있어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Music Player)을 기동하면,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터치 패널(1302)에는, 터치 아이콘 1310∼1313과, 재생 시크 바(seek bar)(1314)와, 앨범 재킷 화상(1315)이 표시되어 있다. 터치 아이콘 1310이 터치되면, 현재 재생되고 있는 트랙의 시작 위치, 또는 이전 트랙으로 재생 위치를 이동시킨다. 터치 아이콘 1311이 터치되면, 현재 트랙의 재생을 시작 또는 정지시킨다. 터치 아이콘 1312가 터치되면, 현재 재생되고 있는 트랙 다음의 트랙의 시작 위치로 재생 위치를 이동시킨다.
터치 아이콘 1313은 음량 조정 아이콘이다. 유저가 터치 아이콘 1313을 탭(터치 다운하고, 터치 무브 없이 터치 업)하면, 음량의 증감 바가 표시된다. 음량 증감 바를 조작함으로써 유저는 스피커(1303) 또는 음성 출력 단자(1304)로부터 출력되는 음량을 조정할 수 있다. 유저가 터치 아이콘 1313에 터치 다운하고, 거기에서 위로 소정거리 터치 무브하면, 음량이 1단계 증가한다. 유저가 그 상태에서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행하면, 음량이 더 1단계 증가한다. 그 시점에서 키 리피트 상태가 된다. 유저가 터치를 계속하면, 터치의 계속시간에 따라 음량이 증가해 간다. 유저가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반복해 행함으로써, 터치 푸시가 이루어질 때마다 음량이 증가해 간다. 반대로, 유저가 터치 아이콘 1313에 터치 다운하고, 거기에서 아래로 소정거리 터치 무브하면, 음량이 1단계 감소한다. 유저가 그 상태에서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행하면, 음량이 더 1단계 감소한다. 그 시점에서 키 리피트 상태가 된다. 유저가 터치를 계속하면, 터치의 계속 시간에 따라 음량이 감소해 간다. 유저가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반복해 행함으로써도, 터치 푸시가 이루어질 때마다 음량이 감소해 간다.
즉,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라인드 터치 조작에서 설명한 제어와 같은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1∼도 12a 내지 12d를 참조해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터치 유효 영역을, 터치 아이콘 1313의 반응 영역으로서 사용하고, 음량은 설정 변경되는 설정 항목을 나타낸다. 터치 다운이 터치 아이콘 1313의 반응 영역에서 행해지면, 터치 무브 후에 터치 아이콘 1313의 밖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해도 제어가 유효하다. 이렇게, 블라인드 터치 조작이 아니라, 표시된 아이콘에 대한 조작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를 적용 가능하다. 이 예에 있어서는, 음량 조정을 위한 터치 아이콘 1313을 1개 표시하면, 유저는 음량을 상승시킬 때도 음량을 하강시킬 때도, 빠르고 확실하게 음량을 원하는 음량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음량을 상승시키기 위한 터치 아이콘과 음량을 하강시키기 위한 터치 아이콘의 2개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1302)의 표시가 OFF이고 음악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 패널(1302)의 전체 면이 음량 조정을 위한 터치 유효 영역으로서 기능하면, 유저는 스마트폰(1301)을 포켓이나 가방에 넣은 상태에서, 터치 패널(1302)을 보지 않고 적절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음량의 조정의 양(스텝)과 키 리피트의 주기에 관해서도, 상기와 같이 압력에 의해 다르게 해도 된다.
앨범 재킷 화상(1315)의 표시 영역에서의 좌우측 방향의 터치 무브에 의해, 재생되는 곡을 변경할 수도 있다. 유저가 앨범 재킷 화상(1315)의 표시 영역에 터치 다운하고, 거기에서 오른쪽으로 소정거리 터치 무브하면, 재생되는 트랙은 현재의 트랙에서 다음 트랙으로 변경되고, 재생 위치가 다음 트랙의 시작 위치로 설정된다. 유저가 이 상태에서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행하면, 재생되는 트랙이 다음 트랙으로 변경된다. 그 시점에서 키 리피트 상태가 된다. 유저가 터치를 계속하면, 터치의 계속시간에 따라 재생되는 트랙이 다음의 트랙으로 변경된다. 또한, 유저는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반복해 행함으로써도, 재생되는 트랙이 다음 트랙으로 변경된다. 반대로, 유저가 앨범 재킷 화상(1315)의 표시 영역에 터치 다운하고, 거기에서 왼쪽으로 소정거리 터치 무브하면, 재생되는 트랙을, 현재의 트랙에서 이전의 트랙으로 변경하고, 재생 위치가 이전의 트랙의 시작 위치로 설정된다. 유저가 이 상태에서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행하면, 재생되는 트랙이 이전의 트랙으로 변경된다. 이 시점에서 키 리피트 상태가 된다. 유저가 터치를 계속하면, 터치의 계속시간에 따라 재생되는 트랙이 이전의 트랙으로 변경된다. 또한, 유저가 터치를 떼지 않고 터치 푸시를 반복해 행함으로써도, 재생되는 트랙이 이전의 트랙으로 변경된다. 다시 말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블라인드 터치 조작을 중심으로 상기 설명한 제어와 같은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터치 유효 영역을 앨범 재킷 화상(1315)의 표시 영역으로서 사용하고, 재생되는 트랙은, 설정 변경되는 설정 항목을 나타낸다.
시스템 제어부(50)가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 상기의 각종 제어는, 1개의 하드웨어 구성요소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구성요소가 처리를 분담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다양한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술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각 실시예를 적당하게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301)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터치 조작면에 대한 터치 조작과 압력을 검출 가능한 전자기기에도 적용가능하다. 상술한 블라인드 터치 조작과 노트북 PC의 터치 패드에의 적용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조작면은 반드시 표시 능력을 갖지 않아도 된다. 즉, 본 발명은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전화 단말, 휴대형의 화상 뷰어, 프린터 장치, 디지털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 태블릿 단말, 스마트폰, 투영 장치, 가전장치, 차량 탑재장치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설정 값을 크게 변경할 경우에도 설정 값을 미세 조정할 경우에도, 보다 빠르게 유저의 의도대로 설정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고,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및/또는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5)

  1. 터치면에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검출 유닛과,
    터치면에의 가압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가압 검출 유닛과,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2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과 상이한 다른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가 떼어지는 일없이 터치가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계속되면 진입되는 키 리피트(key repeat) 상태에서, 터치가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도 짧은 제1 주기의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의 양씩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다른 방향으로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다른 방향으로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자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은 설정 값을 증가시키는 방향이며, 상기 다른 방향은 설정 값을 감소시키는 방향인, 전자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터치가 검출된 채로 터치 위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했는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터치가 검출된 채 터치 위치가 이동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정보에 근거하는 방향으로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자기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 이동한 것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를 초과한 이동 거리에 관계없이,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제1의 양씩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자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의 계속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에 도달하지 않아도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진입되는 키 리피트 상태에서, 터치가 계속되고 있는 동안 미리 결정된 주기의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의 양씩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자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주기는 상기 제1 주기와 같은, 전자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짧은, 전자기기.
  10. 터치면에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검출 유닛과,
    터치면에의 가압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가압 검출 유닛과,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2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과 상이한 다른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가 떼어지는 일없이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할 때마다,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특정량씩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자기기.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후에 터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정해진 값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자기기.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후에 터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의 변경과 상이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자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의 변경과는 상이한 기능은, 설정 값을 변경하는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을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으로부터 다른 설정 항목으로 변경하는 기능인, 전자기기.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제1의 양씩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더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제1의 양보다도 많은 제2의 양씩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자기기.
  15. 터치면에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검출 유닛과,
    터치면에의 가압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가압 검출 유닛과,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2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과 상이한 다른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더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 전의 설정 값보다도 미리 결정된 방향에 더 존재하는 단락(demarcation)의 위치에서의 설정 값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자기기.
  16.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3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과는 상이한 제2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4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상기 제2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과 상이한 다른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3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제2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자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은 제1 축 위의 서로 반대의 방향이며, 상기 제3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은, 상기 제1 축과 상이한 제2 축 위의 서로 반대의 방향인, 전자기기.
  18. 터치면에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검출 유닛과,
    터치면에의 가압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가압 검출 유닛과,
    물체의 접근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접근 검출 유닛과,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2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과 상이한 다른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접근 검출 유닛에 의해 접근을 검출한 상태에서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접근 검출 유닛에 의해 접근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터치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설정하고, 상기 터치 검출 유닛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을 검출해도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은 변경하지 않는, 전자기기.
  19. 터치 검출에 의해 터치면에의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가압 검출에 의해 터치면에의 가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를 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검출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를 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검출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2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과 상이한 다른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를 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를 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가 떼어지는 일없이 터치가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계속되면 진입되는 키 리피트(key repeat) 상태에서, 터치가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도 짧은 제1 주기의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의 양씩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20. 컴퓨터를, 청구항 1 내지 4, 6 내지 10, 15 및 18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기기의 각 유닛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2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다른 방향으로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다른 방향으로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자기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은 설정 값을 증가시키는 방향이며, 상기 다른 방향은 설정 값을 감소시키는 방향인, 전자기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터치가 검출된 채로 터치 위치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했는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터치가 검출된 채 터치 위치가 이동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정보에 근거하는 방향으로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전자기기.
  24. 터치 검출에 의해 터치면에의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가압 검출에 의해 터치면에의 가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를 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검출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를 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검출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2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과 상이한 다른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를 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를 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가 떼어지는 일없이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할 때마다,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특정량씩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25. 터치 검출에 의해 터치면에의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가압 검출에 의해 터치면에의 가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를 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검출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를 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검출에 의해 터치가 검출된 채로 제2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과 상이한 다른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를 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더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를 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한 후에 터치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 것에 따라,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더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의 설정 항목의 설정 값을 변경 전의 설정 값보다도 미리 결정된 방향에 더 존재하는 단락(demarcation)의 위치에서의 설정 값으로 변경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180059359A 2017-06-05 2018-05-25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26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11125A JP7023621B2 (ja) 2017-06-05 2017-06-05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7-111125 2017-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206A KR20180133206A (ko) 2018-12-13
KR102326196B1 true KR102326196B1 (ko) 2021-11-15

Family

ID=6197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359A KR102326196B1 (ko) 2017-06-05 2018-05-25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49645B2 (ko)
EP (1) EP3413183B1 (ko)
JP (1) JP7023621B2 (ko)
KR (1) KR102326196B1 (ko)
CN (1) CN1089840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9411B2 (ja) 2019-02-27 2023-05-23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7377088B2 (ja) 2019-12-10 2023-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3288A1 (en) * 2007-12-12 2009-06-18 Eric James Hope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and gesture recognitio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8221A (ja) 1990-04-05 1991-12-18 Canon Inc 電子機器
JP4115198B2 (ja) 2002-08-02 2008-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5125879A (ja) 2003-10-22 2005-05-19 Clarion Co Ltd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68726A (ja) 2007-04-24 2008-11-06 Canon Inc 撮影装置
US9058061B2 (en) 2007-08-10 2015-06-16 Kyocer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KR101016221B1 (ko) * 2008-11-14 2011-02-2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힘 센서를 구비한 입력모듈에 터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 구현방법
JP5775659B2 (ja) 2009-05-07 2015-09-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におけるモード切換え方法
JP5127792B2 (ja) * 2009-08-18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278259B2 (ja) 2009-09-07 2013-09-04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17510B2 (ja) 2010-04-08 2015-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20120062037A (ko) 2010-10-25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책 단말기에서 페이지를 전환하는 방법
KR101182076B1 (ko) * 2011-03-31 2012-09-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이동 장치 및 방법
JP5975794B2 (ja) * 2012-08-29 2016-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392679B1 (ko) * 2012-10-12 2014-05-21 한국과학기술원 드래그 제스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43370B1 (ko) * 2012-12-18 2019-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부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DE112014001380T5 (de) 2013-03-15 2015-12-03 Tk Holdings Inc. Adaptive Mensch-Maschine-Schnittstellen für druckempfindliche Steuerung in einer abgelenkten Betriebsumgebung und Verfahren zur Anwendung derselben
JP2015141448A (ja) * 2014-01-27 2015-08-03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検査装置
US9971500B2 (en) * 2014-06-01 2018-05-15 Apple Inc. Displaying options, assigning notification, ignoring messages, and simultaneous user interface displays in a messaging application
KR20160009323A (ko) * 2014-07-16 201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101650269B1 (ko) * 2015-03-12 2016-08-22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화면 제어를 위한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6224834A (ja) * 2015-06-03 2016-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3288A1 (en) * 2007-12-12 2009-06-18 Eric James Hope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and gesture reco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23621B2 (ja) 2022-02-22
CN108984019A (zh) 2018-12-11
CN108984019B (zh) 2022-05-06
KR20180133206A (ko) 2018-12-13
US20180348982A1 (en) 2018-12-06
JP2018206088A (ja) 2018-12-27
US10649645B2 (en) 2020-05-12
EP3413183B1 (en) 2024-03-06
EP3413183A1 (en)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626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22290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054376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219414B1 (ko)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797714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2018129765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904442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with improved user operability when performing an enlarged display of a live view image and control method of image sensing apparatus
CN106961545B (zh) 显示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326196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184528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557529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0661966B (zh) 电子设备、电子设备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6257255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709849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975813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7007805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0173506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20046476A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301002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6545048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68155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1009677A (ja) 電子機器
JP2019197557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