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186B1 -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186B1
KR102323186B1 KR1020200031885A KR20200031885A KR102323186B1 KR 102323186 B1 KR102323186 B1 KR 102323186B1 KR 1020200031885 A KR1020200031885 A KR 1020200031885A KR 20200031885 A KR20200031885 A KR 20200031885A KR 102323186 B1 KR102323186 B1 KR 102323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unit
coupled
link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712A (ko
Inventor
박양순
Original Assignee
박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양순 filed Critical 박양순
Priority to KR102020003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186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5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otary movement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16H21/22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with one connecting-rod and one guided slide to each crank or eccentric
    • F16H21/2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with one connecting-rod and one guided slide to each crank or eccentric with cams or additional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38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를 눕힌 상태로 흡착하여 거꾸로 세워진 상태로 후 공정으로 이송함에 따라 장치를 설치하는 데 필요로 하는 공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파우치를 제작 시 발생하는 불량률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continuously pouch}
본 발명은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파우치를 눕힌 상태로 흡착하여 후 공정으로 이송함에 따라 장치를 설치하는 데 필요로 하는 공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파우치 제작 시 발생하는 불량률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많은 양의 파우치를 눕힌 상태로 적재하고 이송한 후 낱개로 포장기 입구에 배치 시켜주어 파우치의 정열을 바로하고 포장기가 파우치를 바르게 가져감으로써 내용물 주입이 용이하며 씰링이 바르게 되도록 해주는 것이 가능한 파우치 연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에서 흔히 사용해오고 있는 샴푸, 세제, 폼 클렌저 등과 같은 내용물은 플라스틱 및 유리 용기의 내부에 담아 사용 및 보관하였으며, 사용 완료 시 분리수거하여 버리는 것을 보편적으로 행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을 완료한 후 버리지 않고, 동일한 내용물이 담긴 리필용 파우치를 구입하여 기존의 용기에 다시 채워서 재사용함에 따라 환경을 보존하는 데 동참하고 있다.
여기서, 리필용 파우치는 일반적으로 두 장의 비닐을 열융착 후 내부에 내용물을 주입하게 된다. 이때, 상단에 스파우트가 결합되는 용기인 스파우트 파우치와 양면이 접착되어 내부가 밀봉된 형태인 레토르트 파우치의 형태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파우치 연속 공급장치는 덩치가 크고 캠으로 작동하는 형식의 복잡한 구조로 잦은 고장과 파우치 공급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고 정비 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필제품을 포장함에 있어 부자재실과 포장실이 분리됨에 따라 부자재(파우치)의 공급을 편리하고 빠르게 공급해 주기 위해 처음 이 기계를 만들었으며 공간을 최소화하고 불량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양을 컨베이어에 적재하고 낱개로 수직 이송시키는 방법으로 만들 필요가 생겼다.
또한 기존의 포장기는 파우치를 직접 적재하여 하나씩 집어 갔는데 파우치에 캡이 생기면서 캡의 방향이 충전기쪽을 향하면 많은 양을 적재하지 못하고 또한 똑바로 잡아가지 못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여 파우치를 포장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항상 작업자가 대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JP 5474672 B2 JP 6225086 B2 JP 2003137220 A KR 0023310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많은 양의 파우치를 눕힌 상태로 적재하고 이송한 후 낱개로 포장기 입구에 배치 시켜주어 파우치의 정열을 바로하고 포장기가 파우치를 바르게 가져감으로써 내용물 주입이 용이하며 씰링이 바르게 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필제품을 포장함에 있어 부자재실과 포장실이 분리됨에 따라 부자재(파우치)의 공급을 편리하고 빠르게 공급해 주고 공간을 최소화하고 불량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양의 파우치를 컨베이어에 적재하고 낱개로 이송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포장기는 파우치를 직접 적재하여 하나씩 집어 갔는데 파우치에 캡이 생기면서 캡의 방향이 충전기쪽을 향하면 많은 양을 적재하지 못하고 또한 똑바로 잡아가지 못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여 파우치를 포장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항상 작업자가 대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캡의 방향을 후단으로 하여 적재를 많이 할 수 있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포장기에 투입시 캡의 방향을 바르게 하여 한 장씩 정렬해 줌으로써 포장기가 파우치를 바르게 잡아 갈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에 있어서,
눕혀진 상태로 정렬된 다수의 파우치를 간헐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낱개의 파우치를 피딩하는 피딩부와 상기 피딩부에 의해 피딩 된 낱개의 파우치를 흡착하여 후속 공정으로 낙하시키는 픽업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기존의 파우치 연속 공급장치는 덩치가 크고 캠으로 작동하는 형식의 복잡한 구조로 잦은 고장과 파우치 공급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고 정비 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리필제품을 포장함에 있어 부자재실과 포장실이 분리됨에 따라 부자재(파우치)의 공급을 편리하고 빠르게 공급해 주기 위해 처공간을 최소화하고 불량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양을 컨베이어에 적재하고 낱개로 수직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포장기가 파우치를 직접 적재하여 하나씩 집어 갔는데 파우치에 캡이 생기면서 캡의 방향이 충전기쪽을 향하면 많은 양을 적재하지 못하고 또한 똑바로 잡아가지 못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여 파우치를 포장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항상 작업자가 대기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를 누운 상태로 일정 거리를 이송하고, 후 공정에 세워진 상태로 공급함에 따라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파우치를 낱개로 공급하고, 흡착패드에 의해 파우치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파우치의 하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후 공정에서 내용물을 용이하게 주입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속 공정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파우치 공급 시, 규정된 시간에 흡착패드로부터 파우치가 분리되지 않아 생기는 파기 작업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링크부와 진공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부가 파우치를 흡착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부가 파우치를 흡착한 상태로 90도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부가 파우치를 탈착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e, f, g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 전면부 터치 패널 UI 화면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 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이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방향의 기준을 특정하면, 파우치(150)가 이송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정한다. 그리고 전방을 기준으로 왼쪽을 좌측방향이라 하고, 오른쪽을 우측방향으로 설정하여 좌측/우측을 표현하는 양쪽 방향은 수평방향이라고 정한다. 한편,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부방향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상부방향으로 설정하여 하부 및 상부방향으로 나타내는 방향은 수직방향으로 나타낸다. 이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눕혀진 상태로 정렬된 다수의 파우치(150)를 간헐 이송시키는 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부(100)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낱개의 파우치를 피딩하는 피딩부(200)와 상기 피딩부(200)에 의해 피딩 된 낱개의 파우치(150)를 흡착하여 후속 공정으로 파기시키는 픽업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100)는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된 장치로써 작업자가 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상기 파우치(150)를 올리면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자동 이송시킨다.
상기 파우치(150)는 상부 또는 측부에 주입구가 형성된 스파우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우치(150)는 눕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데, 상기 파우치(150)의 제품 특징에 따라 상기 스파우트가 구비되는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눕혀지는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상기 이송부(100)의 컨베이어벨트를 기준으로 양쪽 측면에 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파우치(150)를 일렬로 이송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상기 이송부(100)는 중앙에 가이드가 더 형성되어 상기 파우치(150)가 이송되는 라인이 제1라인(101) 및 제2라인(102)이 각각 형성되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파우치(150)가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흡착부(340)에 의해 흡착되어 들어 올려지게 되는데, 복수개의 파우치(150)가 흡착되더라도 낱개로만 흡착되도록 하는 낱개가이드(103)가 더 포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낱개가이드(103)는 가이드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파우치(150)보다 높은 위치에서 일정 길이가 안쪽을 향해 돌출된다.
이때, 상기 파우치(150)는 후술할 흡착패드(347)에 의해 진공되고, 실린더(343)의 피스톤부(344)가 상승할 시 상기 파우치(150)가 상기 낱개가이드(103)의 저면에 걸리게 되어 구부러지게 됨과 동시에 들어 올려진다. 이를 통해, 상기 파우치(150)가 겹쳐져 누워있는 상태에서 상기 흡착패드(347)의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이 비교적 강하여 복수개가 동시에 들어 올려 지더라도 상기 낱개가이드(103)에 의해 상기 파우치(15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구부러져서 상기 흡착패드(347)는 두 장 이상의 상기 파우치(150)를 흡착하고 있더라도 낱개의 상기 파우치(150)만 흡착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상기 피딩부(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2a의 부호는 상기 제1라인(101)쪽에만 기재하였으나, 제2라인(102)에도 동일한 형태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피딩부(200)를 제어하는 피딩부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딩부제어부는 상기 피딩부(200)를 제어하는 데 필요한 제어기 및 컨트롤러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피딩부(200)는 롤러(252)가 일정수로 회전하여 낱개의 상기 파우치(150)를 일정 거리만큼 이송시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피딩부(200)는 상기 이송부(100)에서 상기 파우치(150)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양쪽 측면에 지주가 인접하게 세워지는 'Π'형태의 픽업부지지대(210)와 일측이 상기 피딩부지지대(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피딩부모터(220) 및 상기 피딩부모터(220)의 축에 결합되는 상부스프라켓(221)과 양단이 상기 피딩부지지대(2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봉 형태의 피딩부회전축(230)의 일단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스프라켓(221)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하부스프라켓(231)과 상기 상부스프라켓(221) 및 하부스프라켓(231)에 연결되는 체인(241)과 상기 피딩부회전축(230)의 외경에 결합되는 피딩부부재(250) 및 상기 피딩부부재(250)의 양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전하는 접촉면에 원주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롤러(2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252)는 상기 피딩부부재(25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롤러(253)와 상기 피딩부부재(25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롤러(254)의 홈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파우치(150)를 피딩하는 고무재질의 벨트(255)를 포함한다.
상기 피딩부지지대(210)는 피딩부모터(220)와, 가압부스프라켓(230)과 피딩부회전축(230)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부(100)를 기준으로 컨베이어벨트의 양쪽 측면에 각각 1개씩 설치될 수 있으며, 측면 상단 일측에 상기 피딩부모터(220)의 축이 관통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피딩부모터(220)의 하부에는 피딩부회전축(230)이 결합된다.
상기 피딩부회전축(230)은 양쪽 측면에 세워진 상기 피딩부지지대(210)의 간격보다 약간 더 긴 길이로 제작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피딩부모터(220)의 축에는 상부스프라켓(221)이 결합되며, 상기 피딩부회전축(230)에는 하부스프라켓(231)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스프라켓(221) 및 하부스프라켓(231)에는 체인(24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딩부모터(220)가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면 상기 상부스프라켓(221)이 회전하고, 이에 맞물린 상기 체인(24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부스프라켓(231)이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피딩부회전축(230)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감속비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스프라켓(221) 및 하부스크라켓(231)의 크기를 각각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딩부회전축(230)에는 피딩부부재(250)와, 벨트(255)와, 롤러(252)가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롤러(252)는 상부롤러(253)와, 하부롤러(25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딩부부재(250)는 일측이 상기 피딩부회전축(230)의 외경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파우치(150)의 상면을 향하여 일정 각도를 기울어진 채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롤러(253)는 상기 피딩부부재(250)의 상부 양쪽 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롤러(254)는 상기 피딩부부재(250)의 하부 양쪽 측면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벨트(255)는 일측이 상기 상부롤러(253)에 형성된 홈에 연동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롤러(254)에 형성된 홈에 연동 결합되어 회전한다. 또한, 상기 벨트(255)는 탄성력과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상기 하부롤러(254)는 상기 상부롤러(253)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동일한 회전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딩부모터(220)가 회전하면 상기 상부스프라켓(221)이 회전하고, 이에 맞물린 상기 체인(241)이 회전하며, 상기 체인(241)과 연결된 상기 하부스프라켓(23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딩부회전축(23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딩부회전축(230)이 회전할 때 연동 결합된 상기 상부롤러(253)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벨트(27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벨트(270)와 결합된 상기 하부롤러(254)가 상부롤러(253)와 동일한 회전수를 가지며 회전한다. 이때, 상기 벨트(270)의 재질로 이용되는 고무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파우치(150)의 상면에 접촉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일정 거리를 이송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피딩부부재(250)의 타측에는 일정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는 내부 중앙에 상기 피딩부부재(250)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의 무게추(251)가 체결되어 나사산을 이용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무게추(251)는 상기 벨트(255)가 파우치(150)의 상면에 최대한 밀착 및 압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무게추(251)의 무게에 의한 밀착력이 다소 강할 경우 복수개의 파우치(150)가 겹쳐져서 동시에 이송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무게추(251)를 이용한 밀착력이 다소 약할 경우 상기 벨트(255)가 파우치(150)의 상면과 마찰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무게추(251)는 상기 피딩부부재(250)와 롤러(252)를 합한 무게와 비슷하거나 더 무게가 나가도록 제작되어 균형을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무게추(251)가 상기 롤러(252)와 가까이 위치할수록 상기 피딩부부재(250)쪽으로 중력이 더 작용하여 상기 파우치(150)의 상면에 더 밀착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피딩부부재(250)와 상기 무게추(251)가 멀어지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게추(251)의 무게에 의해 피딩부부재(250)가 약간 들어 올려짐으로써 상기 파우치(150)의 상면에 덜 밀착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픽업부(300)는 파우치(150)를 후속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특징으로서 상기 이송부(100)에서 상기 파우치(150)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양쪽 측면에 지주가 인접하게 세워지는 'Π'형태의 픽업부지지대(301)와 상기 픽업부지지대(301)에 결합되는 캠부(310)와 링크부(320)와 흡착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캠부(310)는 상기 픽업부지지대(31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캠부모터(311)와 상기 픽업부지지대(3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하단에 단턱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링크축(312)과 상기 캠부모터(311)의 축과 연결되고, 상면에 바깥 둘레를 따라 일정 크기의 홈이 형성된 캠홈(314)이 구비되는 원반 형태의 캠(313)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부(320)는 일측에 구비된 베이스링크(322)와 타측에 구비된 엔드링크(324) 및 상기 베이스링크(322)와 엔드링크(324) 사이에 연결된 원통형의 링크연결부(323) 및 상기 엔드링크(324)의 일측에 연결된 제1조인트(325)와 축이 상기 베이스링크(322)의 저면에 결합되고, 회전하는 접촉면이 미끄럼 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캠홈(314)의 내부 측면을 따라 제자리 회전을 하는 캠팔로워(326) 를 포함하는 제1링크부(321)와 일측이 상기 제1조인트(325)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2조인트(331)와 타측에 구비되는 제3조인트(333) 사이에 결합되는 미들링크(332)를 포함하는 제2링크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부(340)는 상기 흡착부회전축(342)의 외경에 결합되는 실린더(343) 및 상기 실린더(343) 내에서 유공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부(344)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344)의 일측에는 공기를 빨아들이는 압력을 형성하는 공압호스(345)가 장착되고, 상기 공압호스(345)의 하부에는 상기 파우치(150)를 흡착하는 흡착패드(347)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픽업부제어부는 상기 픽업부(300)를 제어하는 데 필요한 제어기 및 컨트롤러 등이 포함된다.
상기 픽업부(300)는 캠부모터(311)의 회전 운동을 상기 링크부(320)가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형시키고, 상기 흡착부(340)는 상기 링크부(320)의 직선 왕복 운동을 다시 회전 운동으로 변형시킴에 의해 상기 파우치(150)를 흡착 후 후속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특징이 있다.
상기 캠부모터(311)는 상기 픽업부지지대(301)의 상단의 중앙영역에 설치되며, 축이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캠(313)은 상기 캠부모터(311)의 축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캠부모터(311)가 회전할 시 맞물려 회전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캠(313)은 일단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방울과 같이 일정 부분이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시 회전하면 돌출된 형태만큼 특정 각도가 형성됨에 따라 타원의 형태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캠(313)이 캠부모터(311)의 중심에 결합되는 것이 아닌 축에 편심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캠(313)이 회전할 때 타원형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캠팔로워(326) 또한 타원형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링크(322)는 일정 각도로 왕복 회동하게 된다.
이때, 일측이 상기 픽업부지지대(301)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링크(322)의 일부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링크(322)가 상기 픽업부지지대(3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다시 원점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32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캠(313)이 회전 시 돌출된 형태에 의해 상기 베이스링크(322)가 최대 각으로 회전하게 될 시 상기 픽업부지지대(301)와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체(327)의 탄성력을 제공받게 되면, 상기 베이스링크(322)가 상기 픽업부지지대(301)로 되돌아오게 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캠(313)이 반복 회전하면 상기 베이스링크(322)는 상기 제1탄성체(327)에 의해 일정 각도로 왕복 회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 링크부(320)는 상기 캠(313)의 회전 운동을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형시킨 후 상기 흡착부(340)의 회동시키는 특징이 있다.
상기 베이스링크(322)는 링크축(312)과 링크연결부(323)와 연동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링크(322)는 바 형태로써, 일측이 내부가 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링크축(312)에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타측이 링크연결부(323)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축(312)은 원통형의 형태이므로 상기 베이스링크(322)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단턱부에 의해 걸리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축(312)은 상기 베이스링크(322)가 회동하는 축으로 이용된다. 또한, 베어링이 더 결합되어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링크(322)의 타측에는 링크연결부(323)와 결합된다.
상기 링크연결부(323)는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며, 일단은 상기 베이스링크(322)와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할 엔드링크(324)와 결합된다. 이때, 결합 시 상기 베이스링크(322) 및 엔드링크(324)가 부드럽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링크(322)의 양쪽 끝단 사이에는 캠팔로워(32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캠팔로워(326)는 미끄러지는 특성을 갖는 일종의 베어링으로써, 축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의 수평방향으로 베어링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캠홈(314)의 내측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회전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캠(313)이 회전운동 시 상기 캠팔로워(326)는 상기 캠홈(314)을 미끄러지면서 상기 베이스링크(322)가 왕복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엔드링크(324)는 바 형태로써, 상기 베이스링크(322)가 결합되는 방향의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엔드링크(324)의 일측은 상기 링크연결부(323)와 결합되고, 타측은 제1조인트(325)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엔드링크(324)는 베이스링크(322)와 동일하게 양측은 원형으로 구비되고, 그 내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타측은 상기 픽업부지지대(301)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엔드링크(324)의 타측에는 제1조인트(325)가 결합된다.
상기 제1조인트(325)는 직육면체 형으로 제작되고, 일면은 상기 엔드링크(324)와 연동 결합되고, 타면은 상기 픽업부지지대(301)의 측면에 삽입된 제2베어링(303)을 관통 후 제2조인트(331)와 연동 결합된다.
상기 제2조인트(331)는 직육면체 형으로 제작되고, 일면이 상기 제1조인트(325)와 결합되고, 타면은 미들링크(332)와 연동 결합된다.
상기 미들링크(332)는 양측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측면이 개방된 바의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들링크(332)는 일측이 상기 제2조인트(331)와 연동 결합되고, 타측이 제3조인트(333)와 연동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상기 베이스링크(322), 엔드링크(324), 미들링크(332)는 내부 측면이 개방된 원형의 부재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일정 각도로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제3조인트(333)는 흡착부회전축(342)과 연동 결합되어 후술할 흡착부회전축(342)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3조인트(333)의 상부 방향으로 최대 각으로 회전 시 상면에 최대한 가까이 위치하는 제1비접촉센서(334)와 하부 방향으로 최대 각으로 회전 시 저면에 최대한 가까이 위치하는 제2비접촉센서(335)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조인트(333)가 상부 방향으로 최대 각에 도달했을 시 상기 제1비접촉센서(334)에 근접하게 되었다는 것을 인지시키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3조인트(333)가 하부 방향으로 최대 각에 도달할 시 상기 제2비접촉센서(335)에 근접하게 되었다는 것을 인지시킨다.
이하 흡착부(34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흡착부(340)는 상기 제2링크(350)와 연결되며, 상기 픽업부(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픽업부지지대(301)의 내부면에 삽입된 베어링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흡착부회전축(342)과 상기 흡착부회전축(342)과 연동 결합되는 실린더(343)와 상기 실린더(343)에 포함된 피스톤부(344)의 일측에 장착되는 공압호스(345)와 상기 공압호스(345)의 외측면을 둘러싼 형태로 결합되는 진공부탄성체(427)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부회전축(342)은 상기 픽업부지지대(301)의 양쪽 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베어링에 삽입되어 상기 제3조인트(333)가 일정 각도로 회전할 시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린더(343)는 상기 흡착부회전축(342)의 양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흡착부회전축(342)이 회전 시 동일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 결합되거나 흡착부부재(34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343)의 위치는 상기 파우치(150)를 잘 흡착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하부방향을 향하여 상기 파우치(150)와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부(344)는 상기 실린더(343)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피스톤이다. 이를 통해, 후술할 흡착패드(347)가 상기 파우치(150)의 상면에 최대한 수직방향으로 가깝게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한편, 상기 피스톤부(344)의 일부에는 공압호스(345)와 제2탄성체(346)와 흡착패드(347)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피스톤부(344)의 일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공압호스(345)가 장착되고, 상기 공압호스(345)의 외경을 감싸는 제2탄성체(346)가 결합되며, 상기 공압호스(345)의 끝단에는 상기 흡착패드(347)가 연통되어 장착된다.
상기 흡착패드(347)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어 유연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공압호스(345)에서 진공을 형성하면, 상기 흡착패드(347)가 상기 파우치(150)의 상면과 최대한 밀착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빨아들이는 힘에 의해 상기 파우치(150)가 들어 올려진다.
이후부터는 본 발명의 작동 순서에 따라 상기 파우치(150)가 후 공정으로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작업자는 전원을 On으로 인가 후 전체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자동모드로 설정하거나 상기 이송부(100), 피딩부(200), 픽업부(300), 흡착부(340) 중 어느 하나로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모드로 설정한다.
그리고 현재 투입되는 상기 파우치(150)의 모델 및 수량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리필 파우치를 300개 생산하고, 종류가 다른 리필 파우치를 200개 생산한다고 하면, 이에 대한 생산량을 모델 및 수량별로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이후, 작업이 종료되면 각 모델 별로 상기 파우치(150)의 투입 수량 및 후 공정으로 공급된 수량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투입되는 모델을 식별하는 모델식별카메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송부(100)의 동작 시간을 설정한다. 이때, 동작 시간에 따라 상기 파우치(150)가 이송되는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시간을 최적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150)의 모델 별로 길이가 각각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맞춰 설정한다.
상기 피딩부(200)에 포함된 피딩부모터(220)의 동작시간 조절을 통해 상기 파우치(150)가 상기 흡착부(340)의 하부까지 이동시키는 거리를 설정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파우치(150)의 모델 별로 길이가 각각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롤러(253) 및 하부롤러(254)의 1피치 당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여 입력 및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송부(100)에 장착된 구동 실린더의 동작 개수를 지정하여 상기 이송부(100)가 한 번에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340)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파우치(150)가 상기 흡착패드(347)에 흡착된 것을 감지하는 센서가 동작하고, 상기 제어기 및 컨트롤러가 흡착부(340)를 통해 파기되기 까지 지연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흡착부(340)의 흡착력을 재설정한다.
예를 들어 리필 파우치를 300개 생산 시의 흡착력하고, 종류가 다른 리필 파우치를 200개 생산시 흡착력은 다르게 계산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파우치(150)가 상기 흡착패드(347)에 탈착이 되었다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가 동작하는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탈착이 완료되었다고 인지될 시 동작의 완료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파우치(150)가 상기 흡착패드(347)에 설정 시간 이상 흡착된 것을 감지하는 센서가 동작하는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설정 시간 이상 흡착이 되었다고 인지될 시 동작의 완료 처리가 되었다는 것을 설정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파우치(150)가 상기 흡착패드(347)에 설정 시간 이상 파지된 것을 감지하는 센서가 동작하는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설정 시간 이상 파지가 되었다고 인지될 시 동작의 완료 처리한다.
이후 투입되는 상기 파우치(150)의 수량이 전량 소모되어 더 이상 이송할 것이 없을 시에는 자동종료 될 수 있도록 파라미터 값을 조정한다. 이때, 999라는 숫자를 입력 시 현재의 기능을 무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착패드(347)가 상기 파우치(150)를 안정적으로 흡착 및 탈착을 할 수 있도록 위치 및 각도를 설정하고, 감속량과 가속량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각 모델별로 최적화 된 파라미터가 입력된 프리셋으로 각기 설정하여, 매번 수작업으로 입력하지 않고 지정된 프리셋을 선택하면 자동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파라미터 설정을 완료 후 작업자는 상기 파우치(150)를 상기 이송부(100)의 제1라인(101) 및 제2라인(102)의 컨베이어벨트 상면에 상기 투입부를 향하도록 눕힌 후 일렬로 배치시킨다.
이후 작업자가 시작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1라인(101) 및 제2라인(102)의 컨베이어벨트가 후속 공정을 향하여 상기 파우치(150)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파우치(150)는 점점 이송되면서 상기 피딩부(200)가 위치한 곳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딩부모터(220)가 회전하게 되고, 결합된 상기 제1가압부스프라켓(230)이 회전하면서 상기 체인(241)에 의해 상기 제2가압부스프라켓(230)이 회전하게 되고, 결합된 상기 피딩부회전축(230)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롤러(253)가 회전하며 벨트(255)에 의해 하부롤러(254)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우치(150)의 상면은 상기 벨트(255)와 마찰하며 상기 후속 공정으로 낱개씩 공급된다. 이렇게 상기 피딩부(200)에 의해 후속 공정으로 이송된 파우치(150)는 대기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픽업부(300)는 흡착부(340)가 파우치(150)를 흡착 및 후 공정에 공급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상기 캠부모터(311)가 회전하면 상기 캠(313)이 따라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캠홈(314)의 내측면을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하는 캠팔로워(32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크부(320)의 베이스링크(322)가 링크축(312)을 기준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링크(322)는 상기 픽업부지지대(301)에 결합된 상기 제1탄성체(32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링크(322)는 상기 제1탄성체(327)가 전진 및 후진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링크(322)의 일측에 결합된 상기 링크연결부(323)는 상기 엔드링크(324)를 상기 베이스링크(322)가 왕복 운동하는 방향의 직교된 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조인트(325) 및 상기 제2조인트(331)는 상기 제2베어링(303)을 관통 및 결합함에 따라 상기 엔드링크(324)가 직선 왕복운동 시 상기 제1조인트(325)가 전방 및 후방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제2조인트(331)는 일정 각도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조인트(331)의 일측에 연결된 미들링크(332)가 수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될 시 상기 제3조인트(333)가 상기 제1조인트(325)와 동일한 각도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조인트(333)의 일측에 결합되어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는 상기 흡착부회전축(342)은 상기 흡착부부재(341) 또한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제3조인트(333)의 상부 및 하부에 비접촉식 센서를 각각 구비한 후 상기 제3조인트(333)의 회전에 따라 위치 값을 측정하여 상기 캠부모터(311)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부재(341)에 연결된 실린더(343)의 피스톤부(344)가 하부방향을 향해 뻗어질 시 상기 공압호스(345)에는 진공을 형성하도록 공기를 빨아들이며, 상기 제2탄성체(346)는 흡착패드(347)가 파우치(150)의 상면을 더욱 용이하게 흡착하도록 밀착시킨다.
이후 상기 공압호스(345)의 내부는 진공을 유지한 상태임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부(344)가 후진하여 상기 파우치(150)를 들게 되면 상기 낱개가이드(103)에 의해 낱개로만 들리게 된다. 이후 상기 흡착부회전축(342)을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파우치(150)의 상단이 하부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대기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파우치(150)는 후속 공정으로 공급되기 전에 낱개씩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픽업부(300)가 파우치(150)를 흡착한 후 파기시키는 순간 에어를 파우치(150)에 뿌려(BLOWING) 픽업부(300)로부터 파우치(150)를 분리하는 에어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부(360)는 파우치로 에어를 분사하는 보조파기 기능을 갖는 노즐을 포함하는 에어 노즐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 노즐유닛은 공압호스(345) 등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 및 컨트롤러 등의 제어에 의해 에어를 공급받는다.
상기 파우치(150)의 표면에 에어 분사영역을 설정하고 에어 분사영역에 집중할 수 있는 에어를 분사할 니들(needle)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에어부(360)를 더 포함하여 에어의 흐름을 개선함과 아울러 일정 에어 압력을 주기적으로 인가하여 니들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우치(150)의 표면이 이루는 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 개의 니들부에 의하여 상기 파우치(150)의 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에어 노즐유닛에 광센서(발광, 수광 센서),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더 설치하고, 파우치(150)의 상단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을 감지하는 광센서의 감지 신호에 맞춰 상기 노즐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켜 에어를 상기 파우치(150)의 표면에 토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광센서로 상기 파우치(150)가 에어에 의해 픽업부(300)로부터 분리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일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기 및 컨트롤러는 에어 분사영역 또는 분사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기 및 컨트롤러는 에어의 흐름을 개선함과 아울러 니들부의 막힘을 미리 감지하여 분사 압력 등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후 공정에 세워진 상태로 공급 시 정확한 시간에 파우치(150)가 분리되지 않아 생기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패드유닛의 상승(취출동작 이외에는 모두 상승)/하강(컨베어상의 파우치를 취출 흡착하기위한 위치) 버튼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패드유닛의 흡착/파기 동작에 따라, 흡착의 경우 파우치 취출 위한 진공ON 상태가 되고, 파기의 경우 진공패드에서 파우치가 잘 분리될 수 있게 BLOWING(블로윙)을 한다.
또한 보조파기 기능(도 4e의 B)의 경우 파우치가 1F(후속 공정)으로 잘 이송될 수 있게 BLOWING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파우치 연속 공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많은 양의 파우치를 눕힌 상태로 적재하고 이송한 후 낱개로 포장기 입구에 배치 시켜주어 파우치의 정열을 바로하고 포장기가 파우치를 바르게 가져감으로써 내용물 주입이 용이하며 씰링이 바르게 되도록 해주는 방법이다.
이송부(100)가 눕혀진 상태로 정렬된 다수의 파우치(150)를 간헐 이송시킨다.
이 때 리필제품을 포장함에 있어 부자재실과 포장실이 분리됨에 따라 부자재(파우치)의 공급을 편리하고 빠르게 공급해 주고 공간을 최소화하고 불량을 줄이기 위하여 많은 양의 파우치를 컨베이어에 적재하고 낱개로 이송시킨다.
피딩부(200)가 상기 이송부(100)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낱개의 파우치를 피딩한다.
기존의 포장기는 파우치를 직접 적재하여 하나씩 집어 갔는데 파우치에 캡이 생기면서 캡의 방향이 충전기쪽을 향하면 많은 양을 적재하지 못하고 또한 똑바로 잡아가지 못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여 파우치를 포장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항상 작업자가 대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은 캡의 방향을 후단으로 하여 적재를 많이 할 수 있게 하였다.
픽업부(300)가 상기 피딩부(200)에 의해 피딩 된 낱개의 파우치(150)를 흡착하여 후속 공정으로 파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품포장기에 투입시 캡의 방향을 바르게 하여 한 장씩 정렬해 줌으로써 포장기가 파우치를 바르게 잡아 갈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C 인풋과 아웃풋 정보를 PLC I/O 모듈로부터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고 파우치의 정열, 파우치의 개수, 캡의 방향 등이 일정치를 넘거나 반대일 경우 알람을 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의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카메라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파라미터 항목 중에서 진공패드서보>하강 및 흡착위치 항목은 컨베어위의 파우치를 잡는 위치를 설정한다.
진공패드서보>배출위치 항목은 파우치 배출 위치를 설정한다.
진공패드서보>파기ON위치(흡착위치 + 설정위치) 항목은 진공 흡착된 파우치를 배출위치로 이동시 파기ON되는 위치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흡착위치:0도 , 파기 설정위치:50도 위치에서 부터 파기를 시작하여 정확히 90도에서 블로윙하여 파기할 수 있다.
상기 진공패드서보>파기ON위치(흡착위치 + 설정위치) 항목에서 일정 위치 이상 또는 이하로 하였을 경우 흡착의 경우 파우치 취출 위한 진공ON 상태가 잘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진공패드서보>파기OFF위치(배출위치 + 설정위치) 항목은 진공 흡착된 파우치를 배출위치로 이동시 파기ON되는 위치를 설정한다.
또한 파기의 경우 진공패드에서 파우치가 잘 분리될 수 있게 BLOWING(블로윙)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진공패드서보>파기OFF위치 항목에서 일정 위치 이상 또는 이하로 하였을 경우 진공패드에서 파우치가 잘 분리될 수 있지 않아 BLOWING 각도와 강도를 조절하여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어테치서보>파우치 배출 가능시작위치 항목은 어테치가 미리 정위치에 도달 후 파우치배출을 하지 않고 어테치가 정위치에 도달하기전 설정위치 이상 되면 파우치를 배출한다.
진공패드서보>회전속도 항목은 파우치 공급용 서보의 이동속도를 설정한다.
메거진 가이드서보>이동속도 항목은 메거진 가이드 폭조절서보의 이동속도를 설정한다.
진공패드서보>가속시간 항목은 해당서보가 "0"속도에서 최대속도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한다.
진공패드서보>감속시간 항목은 해당서보가 최대속도에서 "0"속도 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한다.
메거진 어테치서보>가속시간 항목은 해당서보가 "0"속도에서 최대속도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한다.
메거진 어테치서보 >감속시간 항목은 해당서보가 최대속도에서 "0"속도 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한다.
메거진 가이드서보>가속시간 항목은 해당서보가 "0"속도에서 최대속도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한다.
메거진 가이드서보 >감속시간 항목은 해당서보가 최대속도에서 "0"속도 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한다.
메거진 어테치서보 >1피치 이동량 항목은 파우치 이송용 1회 이동량을 설정한다.
상술한 항목들의 용이한 설정을 위한 모션 파라미터 모듈을 포함하여 각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항목들을 설정하여 많은 양의 파우치를 눕힌 상태로 적재하고 이송한 후 낱개로 포장기 입구에 배치 시켜주어 파우치의 정열을 바로하고 포장기가 파우치를 바르게 가져감으로써 내용물 주입이 용이하며 씰링이 바르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거진 어테치서보 >1피치 이동량 항목을 일정치 이상 또는 이하로 하였을 경우 파우치 이송용 1회 이동량이 초과하거나 미달하여 적절히 눕힌 상태로 적재하고 이송한 후 낱개로 포장기 입구에 배치 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패드서보>가속시간 항목을 일정 시간 이상 또는 이하로 하였을 경우 포장기가 파우치를 바르게 가져가지 못해 내용물 주입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진공패드서보>회전속도 항목은 파우치 공급용 서보의 이동속도를 일정 시간 이상 또는 이하로 하였을 경우 캡의 방향이 충전기쪽을 향하면 많은 양을 적재하지 못하고 또한 똑바로 잡아가지 못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여 파우치를 포장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항상 작업자가 대기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변형에 의하여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기술의 범주도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100: 이송부
101: 제1라인
102: 제2라인
103: 낱장가이드
150: 파우치
200: 피딩부
210: 피딩부지지대
220: 피딩부모터
221: 상부스프라켓
230: 피딩부회전축
231: 하부스프라켓
241: 체인
250: 피딩부부재
251: 무게추
252: 롤러
253: 상부롤러
254: 하부롤러
255: 벨트
300: 픽업부
301: 픽업부지지대
302: 제1베어링
303: 제2베어링
310: 캠부
311: 캠부모터
312: 링크축
313: 캠
314: 캠홈
320: 링크부
321: 제1링크부
322: 베이스링크
323: 링크연결부
324: 엔드링크
325: 제1조인트
326: 캠팔로워
327: 제1탄성체
330: 제2링크부
331: 제2조인트
332: 미들링크
333: 제3조인트
334: 제1비접촉센서
335: 제2비접촉센서
340: 흡착부
341: 흡착부부재
342: 흡착부회전축
343: 실린더
344: 피스톤부
345: 공압호스
346: 제2탄성체
347: 흡착패드
360 : 에어부

Claims (8)

  1. 눕혀진 상태로 정렬된 다수의 파우치(150)를 간헐 이송시키는 이송부(100);
    상기 이송부(100)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낱개의 파우치를 피딩하는 피딩부(200);
    상기 피딩부(200)에 의해 피딩 된 낱개의 파우치(150)를 흡착하여 후속 공정으로 파기시키는 픽업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픽업부(300)는,
    상기 이송부(100)에서 상기 파우치(150)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양쪽 측면에 지주가 인접하게 세워지는 'Π'형태의 픽업부지지대(301);
    상기 픽업부지지대(301)에 결합되는 캠부(310)와 링크부(320)와 흡착부(340)를 포함하되,
    상기 캠부(310)는,
    상기 픽업부지지대(301)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캠부모터(311);
    상기 픽업부지지대(30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하단에 단턱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링크축(312);
    상기 캠부모터(311)의 축과 연결되고, 상면에 바깥 둘레를 따라 일정 크기의 홈이 형성된 캠홈(314)이 구비되는 원반 형태의 캠(313);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320)는,
    일측에 구비된 베이스링크(322)와 타측에 구비된 엔드링크(324) 및 상기 베이스링크(322)와 엔드링크(324) 사이에 연결된 원통형의 링크연결부(323) 및 상기 엔드링크(324)의 일측에 연결된 제1조인트(325);
    상기 베이스링크(322)의 저면에 축이 결합되고, 회전하는 접촉면이 미끄럼 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캠홈(314)의 내부 측면을 따라 제자리 회전을 하는 캠팔로워(326); 를 포함하는 제1링크부(321);
    상기 제1조인트(325)의 일측과 일측이 연결되는 제2조인트(331)와 타측에 구비되는 제3조인트(333) 사이에 결합되는 미들링크(332)를 포함하는 제2링크부(330); 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340)는,
    흡착부회전축(342)의 외경에 결합되는 실린더(343); 및 상기 실린더(343) 내에서 유공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부(344);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344)의 일측에는 공기를 빨아들이는 압력을 형성하는 공압호스(345)가 장착되고, 상기 공압호스(345)의 하부에는 상기 파우치(150)를 흡착하는 흡착패드(347)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200)는,
    상기 이송부(100)에서 상기 파우치(150)가 이송되는 이송경로의 양쪽 측면에 지주가 인접하게 세워지는 'Π'형태의 피딩부지지대(210);
    일측이 상기 피딩부지지대(2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피딩부모터(220) 및 상기 피딩부모터(220)의 축에 결합되는 상부스프라켓(221);
    양단이 상기 피딩부지지대(2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봉 형태의 피딩부회전축(230)의 일단에 결합되되, 상기 상부스프라켓(221)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하부스프라켓(231);
    상기 상부스프라켓(221) 및 하부스프라켓(231)에 연결되는 체인(241);
    상기 피딩부회전축(230)의 외경에 결합되는 피딩부부재(250) 및 상기 피딩부부재(250)의 양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전하는 접촉면에 원주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롤러(2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252)는,
    상기 피딩부부재(25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롤러(253)와 상기 피딩부부재(25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롤러(254)의 홈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파우치(150)를 피딩하는 고무재질의 벨트(2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313)은,
    일단이 돌출된 형태 또는 상기 캠부모터(311)의 축에 편심 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300)가 파우치(150)를 흡착한 후 흡착 압력이 제거되는 순간 에어를 파우치(150)에 분사하여 픽업부(300)로부터 파우치(150)가 분리되어 파기하도록 하는 에어부(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300)는,
    일측이 상기 픽업부지지대(301)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링크(322)의 일부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링크(322)가 상기 픽업부지지대(3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다시 원점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체(32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300)는,
    상기 캠(313)이 반 바퀴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흡착부회전축(342)을 90도로 회전시키고, 다시 반 바퀴 회전하는 동안에 원점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연속 공급장치.
KR1020200031885A 2020-03-16 2020-03-16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KR102323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885A KR102323186B1 (ko) 2020-03-16 2020-03-16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885A KR102323186B1 (ko) 2020-03-16 2020-03-16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712A KR20210115712A (ko) 2021-09-27
KR102323186B1 true KR102323186B1 (ko) 2021-11-05

Family

ID=7792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885A KR102323186B1 (ko) 2020-03-16 2020-03-16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193B1 (ko) * 2022-08-12 2023-10-25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993B1 (ko) * 2014-10-02 2015-11-13 (주)주팩 파우치 공급매거진을 포함하는 로터리 포장장치
KR101838444B1 (ko) * 2017-08-18 2018-03-13 이재성 가공식품이 포장된 포장용기 이송용 진공 흡착형 그리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2139U (ja) * 1984-07-28 1986-02-26 日本精機株式会社 エノキ茸栽培容器の自動紙巻装置
JP2003137220A (ja) 2001-11-01 2003-05-14 Seiko Corp パウチ袋搬送装置
JP5474672B2 (ja) 2010-06-16 2014-04-16 花王株式会社 物品把持装置
JP6225086B2 (ja) 2014-08-26 2017-11-01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スパウト付き袋の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993B1 (ko) * 2014-10-02 2015-11-13 (주)주팩 파우치 공급매거진을 포함하는 로터리 포장장치
KR101838444B1 (ko) * 2017-08-18 2018-03-13 이재성 가공식품이 포장된 포장용기 이송용 진공 흡착형 그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712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571B1 (ko) 직렬 순차 이송 방식의 신속 자동포장장치
JPH06293385A (ja) 充填方法及び装置
KR101963657B1 (ko) 음료제조장치용 용기 공급 및 포장장치
KR101890551B1 (ko) 용기뚜껑 제조장치
CN105775189A (zh) 一种全自动筷子包装机
KR101320640B1 (ko)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듀얼 포장장치
KR101969734B1 (ko) Iot 기반의 로터리형 자동 포장시스템
KR102323186B1 (ko)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KR20170051973A (ko) 티백 포장장치
KR101462267B1 (ko) 의약품 보관용기용 회전형 라벨설명서 부착장치
JP6986860B2 (ja) 袋搬送方法及び袋搬送機構
CN105439058A (zh) 一种爪式旋盖机
KR100898779B1 (ko) 용기 밀봉장치
CN205313028U (zh) 一种爪式旋盖机
CN111891442A (zh) 入托机
KR20160066149A (ko) 수액팩 정열 및 낱장 연속공급 장치
KR20130042186A (ko) 백 플레이서 자동운전방법
US5709066A (en) Inserter apparatus
CN219838801U (zh) 一种包装机条盒提升输送及长侧面烫压装置
KR101693712B1 (ko) 흡착식 포장제품 다량이송장치
EP0584885B1 (en) Blank feeder
KR100361428B1 (ko) 스트로 포장기의 스트로 공급장치
CN2590876Y (zh) 一种空瓶剔检装置
JP3560292B2 (ja) 物品の保持体への挿入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7297259U (zh) 一种牛奶饮品生产加工用牛奶灌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