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193B1 -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193B1
KR102594193B1 KR1020220101438A KR20220101438A KR102594193B1 KR 102594193 B1 KR102594193 B1 KR 102594193B1 KR 1020220101438 A KR1020220101438 A KR 1020220101438A KR 20220101438 A KR20220101438 A KR 20220101438A KR 102594193 B1 KR102594193 B1 KR 102594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unit
stand
pulley
trans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래용
강두현
유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제이더블유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제이더블유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0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7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4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38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컨베이어를 통해 뉘어진 상태로 이송된 수액백이 이물질 검사장치를 통해 이물질의 존재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세워진 상태로 픽업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뉘어진 상태로 정렬되어 유입된 복수개의 수액백을 흡착하여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리는 수액백 흡착부와, 상기 수액백 흡착부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려진 복수개의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일렬로 안착시키는 복수개의 거치대가 구비되며 각 거치대를 제어신호에 따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수액백 승강부와, 상승된 복수개의 거치대에 안착된 수액백을 파지하는 복수개의 집게유닛이 구비되며 각 집게유닛에 의해 파지된 수액백을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그부, 및 상기 컨베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액백 흡착부를 제어하여 뉘어진 상태로 정렬된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리며, 상기 수액백 흡착부를 제어하여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려진 수액백을 상기 거치대에 안착시키고, 상기 수액백 승강부를 제어하여 거치대를 상승시키며, 상승된 수액백을 상기 집게유닛으로 파지하고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를 통해 뉘어진 상태로 이송된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정렬시킨 후 파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PICK-UP SYSTEM FOR INFUSION SOLUTION BAGS TRANSPORTED ALONG THE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수액백을 이물질 검사장치에 투입할 수 있도록 픽업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를 통해 뉘어진 상태로 이송된 수액백이 이물질 검사장치를 통해 이물질의 존재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세워진 상태로 픽업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액백이란 식염수, 포도당, 영양제 및 증류수 등을 내부에 넣고 밀봉시켜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된 용기로서, 기존의 유리병에 비하여 파손될 염려가 적고 사용 및 폐기가 간편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수액백은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고, 그 구조상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뉘어진 상태로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킨다.
이러한 수액백은 내부에 충진된 수액을 검사하기 직전에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정렬시켜야 하지만, 뉘어진 상태의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정렬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구체적으로, 수액백을 3~6개씩 단위 세트로 묶어서 검사하는 경우, 수액백이 이송라인을 따라 제대로 정렬되면서 이송되지 못하고 1,2개가 튀어나온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가 있어 검수자가 이렇게 튀어나온 수액백을 손으로 밀어 정렬시켜 주거나 넘어진 제품을 바로 세우고 정렬시켜 주어야 하는 등의 작업상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수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수액백을 뉘어진 상태에서 세워진 상태로 위치를 변경한 후 수액백을 한 개씩 픽업하여 이물질 검사장치를 향하여 공급해야 하므로, 수액백의 검사효율이 극히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7703호(2019.10.2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6149호(2016.06.10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2369호(2018.03.2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7788호(2018.02.12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구간에서 뉘어진 상태로 정렬된 수액백을 자동 공정을 통해 세워진 상태로 정렬시킨 후, 수액백의 일부를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를 통해 뉘어진 상태로 정렬되어 유입된 복수개의 수액백을 흡착하여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리는 수액백 흡착부와, 상기 수액백 흡착부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려진 복수개의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일렬로 안착시키는 복수개의 거치대가 구비되며, 각 거치대를 제어신호에 따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수액백 승강부와, 상승된 복수개의 거치대에 안착된 수액백을 파지하는 복수개의 집게유닛이 구비되며, 각 집게유닛에 의해 파지된 수액백을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그부, 및 상기 컨베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액백 흡착부를 제어하여 뉘어진 상태로 정렬된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리며, 상기 수액백 흡착부를 제어하여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려진 수액백을 상기 거치대에 안착시키고, 상기 수액백 승강부를 제어하여 거치대를 상승시키며, 상기 지그부를 제어하여 상승된 수액백을 상기 집게유닛으로 파지하고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를 통해 뉘어진 상태로 이송된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수액백을 이물질 검사장치로 이송시키기 전에 여러 개의 수액백을 각 집게유닛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여러 개의 수액백을 한꺼번에 이물질 검사장치로 투입하여 여러 개의 수액백을 한꺼번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수액백의 검사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액백을 픽업하여 이동시키는 과정 중 수액백에 물리적인 충격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픽업 공정 중 수액백의 훼손을 억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컨베이어를 따라 뉘어진 상태로 이송된 수액백이 거치대를 통해 세워진 상태로 안정되게 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집게유닛이 정확한 위치에서 수액백을 파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의 수액백 흡착부와 수액백 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의 수액백 승강부와 지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흡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흡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이하,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의 수액백 흡착부와 수액백 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의 수액백 승강부와 지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은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된 수액백을 흡착하여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리는 수액백 흡착부(100)와, 상기 수액백 흡착부(100)에 의해 들어 올려진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안착시키는 거치대(260)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대(260)를 승강시키는 수액백 승강부(200)와, 상승된 거치대(260)에 안착된 수액백을 파지하는 복수개의 집게유닛(310)이 구비되며 각 집게유닛(310)에 의해 파지된 수액백을 이동시키는 지그부(300), 및 상기 수액백 흡착부(100)와 수액백 승강부(200) 및 지그부(300)를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10)는 수액백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일정간격으로 정렬시키는 것으로,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상품이 투입되도록 컨베이어(10) 벨트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컨베이어(10)는 컨베이어(10) 벨트가 회전되지 않고, 상품들이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선단의 위치가 일정 길이로 확장되면서 상품을 투입시킨다. 이때, 상기 일정 간격은 5㎝ 내지 30㎝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흡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흡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은 수액백 흡착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액백 흡착부(100)는 컨베이어(10)를 통해 뉘어진 상태로 정렬되어 유입된 복수개의 수액백을 흡착하여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리는 것으로, 컨베이어(10)의 후방에 설치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흡착부(100)는 수직패널(110)과, 제1 구동유닛(120)과, 구동력 전달유닛(130)과, 승강유닛(140)과, 회전가이드유닛(150)과, 고정바디(160)와, 회전력전달유닛(170), 및 수액백 흡착유닛(1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흡착부(100)를 구성하는 수직패널(110)은 컨베이어(10)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컨베이어(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수직패널(110)은 컨베이어(10)에 구비된 컨베이어(10) 벨트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면서 컨베이어(10) 벨트에 수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수직패널(110)은 지면 또는 컨베이어(10)에 설치된 어댑터유닛(115)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유닛(115)은 수직패널(110)이 컨베이어(10)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흡착부(100)를 구성하는 제1 구동유닛(120)은 승강유닛(14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동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흡착부(100)를 구성하는 구동력 전달유닛(130)은 제1 구동유닛(120)이 생성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제1 구동유닛(120)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축풀리(131)와, 상기 회전축풀리(131)에 이격되도록 설치된 연동풀리(132)와, 상기 회전축풀리(131)와 연동풀리(132)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연동풀리(132)를 회전축풀리(131)와 연동시키는 구동벨트(133)와, 상기 회전축풀리(131)의 중앙에 설치되어 회전축풀리(131)와 연동하며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제1 회전봉(134)과, 상기 연동풀리(132)의 중앙에 설치되어 연동풀리(132)와 연동하며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제2 회전봉(135)이 포함된다.
상기 회전축풀리(131)와 연동풀리(132)로는 타이밍 풀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벨트(133)로는 타이밍 벨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흡착부(100)를 구성하는 승강유닛(140)은 구동력 전달유닛(130)이 전달한 구동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으로, 상기 제1 회전봉(134)의 회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제1 회전봉(134)에 치합된 제1 치합링(141)과, 상기 제2 회전봉(135)의 회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제2 회전봉(135)에 치합된 제2 치합링(142), 및 상기 제1 치합링(141) 및 제2 치합링(142)과 결합된 승강바(143)가 포함된다.
상기 제1 치합링(141)은 제1 회전봉(134)의 나선부에 치합되는 나선부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제2 치합링(142)은 제2 회전봉(135)의 나선부에 치합되는 나선부가 내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승강바(143)는 제1,2 치합링(141,142)이 제1,2 회전봉(134,135)을 따라 하강하면 컨베이어(10)로부터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고, 제1,2 치합링(141,142)이 제1,2 회전봉(134,135)을 따라 상승하면 컨베이어(1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상기 승강바(14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패널(11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패널(110)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며, 수직패널(110)의 길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흡착부(100)를 구성하는 회전가이드유닛(150)은 승강바(143)의 움직임에 따른 회전력전달유닛(170)의 움직임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에 장공이 형성되며 승강바(143)의 전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우측 가이드바(151) 및 좌측 가이드바(152)가 포함된다.
상기 우측 가이드바(151)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후술하는 고정바디(160)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바디(160)의 우측에 설치되며, 좌측 가이드바(152)는 고정바디(160)의 좌측에 설치된다. 또한, 우측 가이드바(151) 및 좌측 가이드바(152)는 수직패널(110)에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흡착부(100)를 구성하는 고정바디(160)는 우측 가이드바(151)와 좌측 가이드바(15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직패널(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패널(110)에 조립된 일단에 대향되는 말단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바디(160)는 후술하는 회전지지봉(171)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패널(110)의 전면에 설치된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패널에 이격되도록 수직패널(110)의 전면에 설치된 제2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은 일단이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수직패널(110)에 결합되며 타단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패널은 일단이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수직패널(110)에 결합되며 타단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때, 제2 관통홀은 제1 관통홀과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에 내삽된 회전지지봉(171)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고정바디(160)는 수직패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패널(110)에 3개 내지 6개, 바람직하게는 5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흡착부(100)를 구성하는 회전력전달유닛(170)은 승강바(143)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고정바디(160)의 관통홀에서 축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에 내삽된 회전지지봉(171)과, 일단이 우측 가이드바(151)의 장공에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지지봉(171)의 우측 말단에 고정되어 승강바(143)의 승강에 따라 회전지지봉(171)을 회전시키는 제1 연결바(172)와, 일단이 좌측 가이드바(152)의 장공에 조립되고 타단이 회전지지봉(171)의 좌측 말단에 고정되어 승강바(143)의 승강에 따라 회전지지봉(171)을 회전시키는 제2 연결바(173)가 포함된다.
상기 회전지지봉(171)은 고정바디(160)를 구성하는 제1 패널의 제1 관통홀에 일측이 내삽되고, 고정바디(160)를 구성하는 제2 패널의 제2 관통홀에 타측이 내삽된다.
상기 제1 연결바(172)는 제1,2 회전봉(134,135)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는 승강바(143)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지지봉(171)을 축회전시키기 위해 우측 가이드바(151)와 회전지지봉(171)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우측 가이드바(151)가 하강하면 회전지지봉(171)을 시계방향으로 축회전시키고 우측 가이드바(151)가 상승하면 회전지지봉(171)을 반시계방향으로 축회전시킨다. 이때, 우측 가이드바(151)의 장공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연결바(172)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제1 원판이 수직패널(110)의 수직방향으로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바(173)는 제1,2 회전봉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는 승강바(143)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지지봉(171)을 축회전시키기 위해 좌측 가이드바(152)와 회전지지봉(171)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좌측 가이드바(152)가 하강하면 회전지지봉(171)을 시계방향으로 축회전시키고 좌측 가이드바(152)가 상승하면 회전지지봉(171)을 반시계방향으로 축회전시킨다. 이때, 좌측 가이드바(152)의 장공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2 연결바(173)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제2 원판이 수직패널(110)의 수직방향으로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흡착부(100)를 구성하는 수액백 흡착유닛(180)은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되는 수액백을 흡착하고 회전력전달유닛(17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따라 흡착된 수액백을 수액백 승강부(200)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회전지지봉(171)에 설치되어 회전지지봉(171)과 연동하는 실린더(181)와, 상기 실린더(181)의 실린더로드에 설치된 패드부착판(182), 및 상기 패드부착판(182)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10)로 이송된 수액백을 흡착하는 흡착패드(183)가 포함된다. 이때, 실린더(181)는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실린더로드가 이동되며, 흡착패드(183)는 공기흡입기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흡입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액백에 대한 흡입력을 제공한다.
상기 흡착패드(183)는 수액백의 안정적인 흡착을 위해 패드부착판(182)에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액백 흡착부(100)는 복수개의 가이드레일(1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90)은 승강바(143)가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바(143)에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수직패널(110)의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레일(190)은 컨베이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승강바(143)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은 수액백 승강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액백 승강부(200)는 수액백 흡착부(100)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려진 복수개의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일렬로 안착시키는 복수개의 거치대(260)가 구비된 것으로, 각 거치대(260)를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200)는 선반(210)과, 제1 고정받침대(220)와, 이동받침대(230)와, 제2 고정받침대(240)와, 제1 이격지지봉(250)과, 거치대(260)와, 제2 이격지지봉(270)과, 제2 구동유닛(280), 및 높이조절유닛(2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200)를 구성하는 선반(210)은 제1 받침대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수액백 흡착부(100)의 측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200)를 구성하는 제1 고정받침대(220)는 상기 선반(2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선반(210)의 양측 말단에 배치된 복수개의 말단 받침다리(222)와, 선반(210)의 중앙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중앙 받침다리(224), 및 말단 받침다리(222)와 중앙 받침다리(224)의 상단에 구비된 받침판(2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200)를 구성하는 이동받침대(230)는 상기 제1 고정받침대(22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 고정받침대(220)의 상측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받침판(226)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제2 구동유닛(280)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상승되거나 하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200)를 구성하는 제2 고정받침대(240)는 이동받침대(23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받침대(230)의 상측에 설치된 것으로, 제2 구동유닛(280)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상관없이 그 위치가 고정되며, 제1 고정받침대(220)와의 사이에 이동받침대(230)가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2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제1 이격지지봉(250)은 제2 고정받침대(240)가 제1 고정받침대(220) 및 이동받침대(23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고정받침대(220)와 제2 고정받침대(24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고정받침대(220)의 상부에 하단이 결합되고, 제2 고정받침대(240)의 하부에 상단이 결합되며, 이동받침대(230)를 관통한다. 이러한 제1 이격지지봉(250)은 제2 고정받침대(240)가 제1 고정받침대(220)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이격시키면서 이동받침대(230)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200)를 구성하는 거치대(260)는 제2 고정받침대(24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 고정받침대(24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액백 흡착부(100)에 의해 상승된 수액백이 세워진 상태로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거치대(260)는 세워진 상태의 수액백이 안착되는 밑판과, 상기 밑판의 우측 상면에 구비되어 수액백의 우측면을 지지하는 우측지지대과, 밑판의 좌측 상면에 구비되어 수액백의 좌측면을 지지하는 좌측지지대과, 밑판의 전방 상면에 구비되어 수액백의 전면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대, 및 밑판의 후방 상면에 구비되어 수액백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방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2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제2 이격지지봉(270)은 거치대(260)가 제2 고정받침대(240) 및 이동받침대(23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거치대(260)와 제2 고정받침대(24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동받침대(230)의 상부에 하단이 결합되고, 거치대(260)의 하부에 상단이 결합되며, 제2 고정받침대(240)를 관통한다. 이러한 제2 이격지지봉(270)은 거치대(260)가 제2 고정받침대(240)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이격시키면서 이동받침대(230)의 승강에 따라 거치대(260)를 승강시킨다. 다시 말해, 제2 이격지지봉(270)은 이동받침대(230)가 상승되면 거치대(260)를 상승시키고, 이동받침대(230)가 하강되면 거치대(260)를 하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200)를 구성하는 제2 구동유닛(280)은 선반(210)이나 제1 고정받침대(2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동받침대(230)가 상승하거나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제2 구동유닛(280)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높이조절유닛(290)이 이동받침대(230)를 상승시키고, 제2 구동유닛(280)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높이조절유닛(290)이 이동받침대(230)를 하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승강부(200)를 구성하는 높이조절유닛(290)은 선반(210)과 제2 고정받침대(24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구동유닛(280)에 연결되어 제2 구동유닛(280)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이동받침대(230) 및 거치대(260)를 승강시킨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유닛(290)은 제2 구동유닛(28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동하는 제2 회전축풀리(291)와, 상기 제2 회전축풀리(291)에 제2 구동벨트(292)로 연결되어 제2 회전축풀리(291)와 연동하는 제2 연동풀리(293)와, 하단이 상기 제2 연동풀리(293)의 중앙에 설치되어 제2 연동풀리(293)의 회전에 따라 축회전하고 중앙이 상기 이동받침대(230)에 내삽되며 상단이 상기 제2 고정받침대(240)에 축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3 회전봉(294), 및 상기 제3 회전봉(294)에 치합되고 상기 이동받침대(230)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밀착되어 제3 회전봉(294)의 회전에 따라 이동받침대(230)를 승강시키는 제1,2 너트블록(29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회전봉(294)은 제2 연동풀리(293)의 회전에 따라 그 자리에서 축회전하면서 제1 너트블록 및 제2 너트블록을 승강시킨다. 예컨대, 제3 회전봉(294)이 정회전되면 제1 너트블록 및 제2 너트블록이 상승하고, 이동받침대(230)의 하면에 밀착된 제2 너트블록이 상승함에 따라 이동받침대(230)도 상승하며, 이동받침대(230)가 상승함에 따라 제2 이격지지봉(270)으로 연결된 거치대(260)도 상승한다. 그리고 제3 회전봉(294)이 역회전되면 제1 너트블록 및 제2 너트블록이 하강하고, 이동받침대(230)의 상면에 밀착된 제1 너트블록이 하강함에 따라 이동받침대(230)도 하강하며, 이동받침대(230)가 하강함에 따라 제2 이격지지봉(270)으로 연결된 거치대(260)도 하강한다.
필요에 따라, 높이조절유닛(290)은 제2 연동풀리(293)나 제3 회전봉(294)에 결합된 제3 연동풀리(296)와, 상기 제3 연동풀리(296)에 제3 구동벨트(133)로 연결되어 제3 연동풀리(296)와 연동하는 제4 연동풀리(297)와, 하단이 상기 제4 연동풀리(297)의 중앙에 설치되어 제4 연동풀리(297)의 회전에 따라 축회전하고, 중앙이 상기 이동받침대(230)에 내삽되며, 상단이 상기 제2 고정받침대(240)에 축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4 회전봉(298), 및 상기 제4 회전봉(298)에 치합되고 상기 이동받침대(230)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밀착되어 제4 회전봉(298)의 회전에 따라 이동받침대(230)를 승강시키는 제3,4 너트블록(29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연동풀리(297)는 제3 연동풀리(296)의 반대 방향에서 제2 구동유닛(280)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제3 연동풀리(296)와 소정거리로 이격된다. 예컨대, 제3 연동풀리(296)가 받침판(226)의 전체 길이 중 1/5 지점에 설치되면 제4 연동풀리(297)는 받침판(226)의 전체 길이 중 4/5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축풀리(291), 제2 연동풀리(293), 제3 연동풀리(296) 및 제4 연동풀리(297)로는 타이밍 풀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구동벨트(292)와 제3 구동벨트(133)로는 타이밍 벨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4 회전봉(298)은 제4 연동풀리(297)의 회전에 따라 그 자리에서 축회전하면서 제3 너트블록 및 제4 너트블록을 승강시킨다. 예컨대, 제4 회전봉(298)이 정회전되면 제3 너트블록 및 제4 너트블록이 상승하고, 이동받침대(230)의 하면에 밀착된 제4 너트블록이 상승함에 따라 이동받침대(230)도 상승하며, 이동받침대(230)가 상승함에 따라 제2 이격지지봉(270)으로 연결된 거치대(260)도 상승한다. 그리고 제4 회전봉(298)이 역회전되면 제3 너트블록 및 제4 너트블록이 하강하고, 이동받침대(230)의 상면에 밀착된 제3 너트블록이 하강함에 따라 이동받침대(230)도 하강하며, 이동받침대(230)가 하강함에 따라 제2 이격지지봉(270)으로 연결된 거치대(260)도 하강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은 지그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지그부(300)는 상승된 복수개의 거치대(260)에 안착된 수액백을 파지하는 복수개의 집게유닛(310)이 구비되는 것으로, 각 집게유닛(310)에 의해 파지된 수액백을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각 지그부(300)는 수액백의 중앙이 가려지지 않게 상단 양측을 파지할 수 있도록 양측 말단에 제1 집게와 제2 집게가 구비된 복수개의 집게유닛(310)과, 상기 복수개의 집게유닛(31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320), 및 상기 제1 집게와 제2 집게의 말단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도록 각 집게유닛(310)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320)에는 5개의 집게유닛(31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집게유닛(310)은 수액백의 중앙 상단을 파지하는 대신 수액백의 좌측 상단과 우측 상단을 파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수액백을 파지한 상태에서 수액백에 대한 영상촬영이 진행되더라도 수액백 내부의 기포와 이물질의 유동을 원활히 관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은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에 포함된 세부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수액백 흡착부(100), 수액백 승강부(200), 지그부(3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는 컨베이어(10)의 움직임에 따라 수액백 흡착부(100)를 제어하여 뉘어진 상태로 정렬된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린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실린더(181)의 실린더로드가 수액백에 접근하도록 펌프를 제어하고, 수액백에 밀착된 흡착패드(183)가 수액백을 흡착하도록 공기흡입기를 제어한다. 그 다음, 제어부는 제1 구동유닛(120)을 제어하여 승강바(143)가 하강하도록 제1 회전봉(134) 및 제2 회전봉(135)을 회전시켜 흡착패드(183)에 흡착된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린다.
상기 제어부는 수액백 흡착부(100)를 제어하여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려진 수액백을 컨베이어(10)의 측면에 위치한 거치대(260)에 세워진 상태로 안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실린더(181)의 실린더로드가 거치대(260)에 접근하도록 펌프를 제어하고, 흡착패드(183)로부터 수액백이 이탈되어 거치대(260)에 안착되도록 공기흡입기를 제어하며, 실린더(181)가 초기 위치로 회동하도록 제1 구동유닛(120)을 제어하여 승강바(143)를 상승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수액백 승강부(200)를 제어하여 수액백이 안착된 거치대(260)를 상승시키며, 지그부(300)를 제어하여 거치대(260)에 의해 상승된 수액백을 집게유닛(310)으로 파지하고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수액백이 안착된 거치대(260)가 상승되도록 상기 거치대(260)에 제2 이격지지봉(270)으로 연결된 이동받침대(230)를 제2 구동유닛(280)을 제어하여 상승시키고, 거치대(260)에 의해 상승된 수액백을 집게유닛(310)에 의해 파지되도록 제3 구동유닛(330)을 제어하여 집게유닛(310)을 동작시키며, 이동받침대(230)가 초기 위치로 하강하도록 제2 구동유닛(280)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수액백 흡착부 110 : 수직패널
115 : 어댑터유닛 120 : 제1 구동유닛
130 : 구동력 전달유닛 131 : 회전축풀리
132 : 연동풀리 133 : 구동벨트
134 : 제1 회전봉 135 : 제2 회전봉
140 : 승강유닛 141 : 제1 치합링
142 : 제2 치합링 143 : 승강바
150 : 회전가이드유닛 151 : 우측 가이드바
152 : 좌측 가이드바 160 : 고정바디
170 : 회전력전달유닛 171 : 회전지지봉
172 : 제1 연결바 173 : 제2 연결바
180 : 수액백 흡착유닛 181 : 실린더
182 : 패드부착판 183 : 흡착패드
190 : 가이드레일 200 : 수액백 승강부
210 : 선반 220 : 제1 고정받침대
222 : 말단 받침다리 224 : 중앙 받침다리
226 : 받침판 230 : 이동받침대
240 : 제2 고정받침대 250 : 제1 이격지지봉
260 : 거치대 270 : 제2 이격지지봉
280 : 제2 구동유닛 290 : 높이조절유닛
291 : 제2 회전축풀리 292 : 제2 구동벨트
293 : 제2 연동풀리 294 : 제3 회전봉
295 : 제1,2 너트블록 296 : 제3 연동풀리
297 : 제4 연동풀리 298 : 제4 회전봉
299 : 제3,4 너트블록 300 : 지그부
310 : 집게유닛 320 : 하우징
330 : 제3 구동유닛

Claims (7)

  1. 컨베이어를 통해 뉘어진 상태로 정렬되어 유입된 복수개의 수액백을 흡착하여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리는 수액백 흡착부;
    상기 수액백 흡착부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려진 복수개의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일렬로 안착시키는 복수개의 거치대가 구비되며, 각 거치대를 제어신호에 따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수액백 승강부;
    상승된 복수개의 거치대에 안착된 수액백을 파지하는 복수개의 집게유닛이 구비되며, 각 집게유닛에 의해 파지된 수액백을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그부; 및
    상기 컨베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수액백 흡착부를 제어하여 뉘어진 상태로 정렬된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리며, 상기 수액백 흡착부를 제어하여 세워진 상태로 들어 올려진 수액백을 상기 거치대에 안착시키고, 상기 수액백 승강부를 제어하여 거치대를 상승시키며, 상기 지그부를 제어하여 상승된 수액백을 상기 집게유닛으로 파지하고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액백 승강부는
    상기 수액백 흡착부의 측면에 배치된 선반과, 상기 선반의 상면에 설치된 제1 고정받침대와, 상기 제1 고정받침대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 고정받침대의 상측에 설치된 이동받침대와, 상기 이동받침대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받침대의 상측에 설치된 제2 고정받침대와, 상기 제1 고정받침대의 상부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받침대의 하부에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이동받침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1 이격지지봉과, 상기 제2 고정받침대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 고정받침대의 상측에 설치되며 수액백을 세워진 상태로 안착시키는 거치대와, 상기 이동받침대의 상부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2 고정받침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2 이격지지봉과, 상기 선반이나 제1 고정받침대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유닛, 및 상기 선반과 제2 고정받침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구동유닛에 연결되며, 제2 구동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이동받침대 및 거치대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백 흡착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컨베이어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 수직패널과,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유닛과,
    상기 제1 구동유닛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축풀리와, 상기 회전축풀리에 이격되도록 설치된 연동풀리와, 상기 회전축풀리와 연동풀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연동풀리를 회전축풀리와 연동시키는 구동벨트와, 상기 회전축풀리의 중앙에 설치되어 회전축풀리와 연동하며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제1 회전봉과, 상기 연동풀리의 중앙에 설치되어 연동풀리와 연동하며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제2 회전봉이 포함된 구동력 전달유닛과,
    상기 제1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제1 회전봉에 치합된 제1 치합링과, 상기 제2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제2 회전봉에 치합된 제2 치합링, 및 상기 제1 치합링 및 제2 치합링과 결합된 승강바가 포함된 승강유닛과,
    내부에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바의 전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우측 가이드바 및 좌측 가이드바가 포함된 회전가이드유닛과,
    상기 우측 가이드바와 좌측 가이드바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며 말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의 관통홀에서 축회전될 수 있도록 관통홀에 내삽된 회전지지봉과, 일단이 상기 우측 가이드바의 장공에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지지봉의 우측 말단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바의 승강에 따라 회전지지봉을 회전시키는 제1 연결바와, 일단이 상기 좌측 가이드바의 장공에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지지봉의 좌측 말단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바의 승강에 따라 회전지지봉을 회전시키는 제2 연결바가 포함된 회전력전달유닛, 및
    상기 회전지지봉에 설치되어 회전지지봉과 연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설치된 패드부착판, 및 상기 패드부착판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로 이송된 수액백을 흡착하는 흡착패드가 포함된 수액백 흡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백 흡착부는
    상기 수직패널의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강바가 승강하는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승강바가 안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제2 구동유닛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 회전축풀리와,
    상기 제2 회전축풀리에 제2 구동벨트로 연결되어 제2 회전축풀리와 연동하는 제2 연동풀리와,
    하단이 상기 제2 연동풀리의 중앙에 설치되어 제2 연동풀리의 회전에 따라 축회전하고, 중앙이 상기 이동받침대에 내삽되며, 상단이 상기 제2 고정받침대에 축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3 회전봉, 및
    상기 제3 회전봉에 치합되고 상기 이동받침대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밀착되어 제3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이동받침대를 승강시키는 제1,2 너트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제2 연동풀리나 제3 회전봉에 결합된 제3 연동풀리와,
    상기 제3 연동풀리에 제3 구동벨트로 연결되어 제3 연동풀리와 연동하는 제4 연동풀리와,
    하단이 상기 제4 연동풀리의 중앙에 설치되어 제4 연동풀리의 회전에 따라 축회전하고, 중앙이 상기 이동받침대에 내삽되며, 상단이 상기 제2 고정받침대에 축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4 회전봉, 및
    상기 제4 회전봉에 치합되고 상기 이동받침대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밀착되어 제4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이동받침대를 승강시키는 제3,4 너트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수액백의 중앙이 가려지지 않게 상단 양측을 파지할 수 있도록 양측 말단에 제1 집게와 제2 집게가 구비된 복수개의 집게유닛과,
    상기 복수개의 집게유닛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집게와 제2 집게의 말단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도록 각 집게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KR1020220101438A 2022-08-12 2022-08-12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KR102594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438A KR102594193B1 (ko) 2022-08-12 2022-08-12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438A KR102594193B1 (ko) 2022-08-12 2022-08-12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193B1 true KR102594193B1 (ko) 2023-10-25

Family

ID=8851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438A KR102594193B1 (ko) 2022-08-12 2022-08-12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19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149A (ko) 2014-12-02 2016-06-10 (주)메디파마플랜 수액팩 정열 및 낱장 연속공급 장치
KR101827788B1 (ko) 2017-08-10 2018-02-12 이래용 수액백 포장봉지 진공포장 시스템
KR101842369B1 (ko) 2016-11-10 2018-03-27 김상근 스파우트 캡핑을 위한 비닐백 공급 시스템
KR20190029841A (ko) * 2017-09-12 2019-03-21 주식회사 나오팩 스파우트와 파우치를 실링하기 위한 로터리형 자동실링장치.
KR102037703B1 (ko) 2018-05-14 2019-10-29 주식회사 하나비전테크 링거수액 이물질 비전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2144637B1 (ko) * 2019-06-24 2020-08-13 (주)대림이엔지 제함기
KR102199907B1 (ko) * 2020-09-04 2021-01-08 주식회사 삼원팩 생산속도를 향상시킨 항균 마스크 자동 포장 장치
KR20210115712A (ko) * 2020-03-16 2021-09-27 박양순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149A (ko) 2014-12-02 2016-06-10 (주)메디파마플랜 수액팩 정열 및 낱장 연속공급 장치
KR101842369B1 (ko) 2016-11-10 2018-03-27 김상근 스파우트 캡핑을 위한 비닐백 공급 시스템
KR101827788B1 (ko) 2017-08-10 2018-02-12 이래용 수액백 포장봉지 진공포장 시스템
KR20190029841A (ko) * 2017-09-12 2019-03-21 주식회사 나오팩 스파우트와 파우치를 실링하기 위한 로터리형 자동실링장치.
KR102037703B1 (ko) 2018-05-14 2019-10-29 주식회사 하나비전테크 링거수액 이물질 비전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2144637B1 (ko) * 2019-06-24 2020-08-13 (주)대림이엔지 제함기
KR20210115712A (ko) * 2020-03-16 2021-09-27 박양순 파우치 연속 공급 장치
KR102199907B1 (ko) * 2020-09-04 2021-01-08 주식회사 삼원팩 생산속도를 향상시킨 항균 마스크 자동 포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45821B (zh) 一种铜排自动化平面仓库
JP7485411B2 (ja) 物品受け渡し手段
KR102594193B1 (ko)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수액백의 픽업 시스템
CN113460580A (zh) 具有顶升对中功能的链板输送线
CN109848056B (zh) 一种检测装置
CN214732771U (zh) 电视背板角码自动安装码垛系统
KR20090057745A (ko) 계란 오토 로더 장치
CN116259564B (zh) 一种光伏硅片的清洁系统
CN209009627U (zh) 一种用于加工换向阀管件的自动上料机构
CN112525113A (zh) 一种半导体封装测试装置
CN209337527U (zh) 一种餐盘在线检测设备
KR20210004778A (ko) 계란 자동 투입기
KR100376866B1 (ko) 반도체 칩 이송용 픽커
US8622686B2 (en) Stabilized device for mov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CN211469971U (zh) 镍片上料机
KR102045238B1 (ko) 계란 자동 투입기
CN208413233U (zh) 一种搬运装置
CN219570047U (zh) 一种整体管盒及数控排管输送装置
KR100988630B1 (ko) 반도체 소자 이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N113070227A (zh) 通信模块自动测试设备
KR20220009096A (ko)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
KR20090008165U (ko) 계란이 안치된 난좌의 이송 및 적재장치
CN219970174U (zh) 一种方向调整装置
CN220295262U (zh) 一种管件自动检测设备
CN219688650U (zh) 一种用于板材加工的抓料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