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238B1 - 계란 자동 투입기 - Google Patents

계란 자동 투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238B1
KR102045238B1 KR1020190080855A KR20190080855A KR102045238B1 KR 102045238 B1 KR102045238 B1 KR 102045238B1 KR 1020190080855 A KR1020190080855 A KR 1020190080855A KR 20190080855 A KR20190080855 A KR 20190080855A KR 102045238 B1 KR102045238 B1 KR 102045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seat
conveyor
sensor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인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to KR102019008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65B23/06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eggs to be packed; Removing eggs from tray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Abstract

적재가 용이하고 작업시간 및 인력이 절감되도록, 계란이 담긴 상태로 복수층으로 적층되는 난좌가 이송되되, 상하로 인접하는 난좌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적층되는 난좌가 이송되는 제1난좌이송장치와, 제1난좌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난좌가 적재되는 턴테이블을 구비하고 턴테이블에 적재되는 난좌의 층수가 감소되어도 최상층에 위치하는 난좌의 높이와 방향이 일정하도록 턴테이블이 회전 및 승강되는 난좌배치장치와, 턴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고 난좌가 하나씩 적재되어 이송되는 제2난좌이송장치와, 턴테이블에 적재되는 난좌 중 최상층의 난좌를 제2난좌이송장치에 이동 적재시키는 난좌적재장치와, 제2난좌이송장치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난좌로부터 계란을 인출하여 계란이송장치에 이동 적재시키는 계란적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란 자동 투입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계란 자동 투입기 {Automatic Egg Loading Machine}
본 발명은 계란 자동 투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층으로 적층되는 난좌를 동일한 방향으로 통일시켜 하나씩 이송하고 이송되는 난좌로부터 계란을 인출하여 계란세척장치, 계란이송장치, 계란포장장치 등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투입시켜 주는 것이 가능한 계란 자동 투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에서 대량 생산되는 계란은 세척, 살균, 선별, 인쇄, 포장 등의 처리 공정을 거쳐서 시중에 유통된다. 각각의 계란 처리 공정은 계란세척장치, 계란살균장치, 계란선별장치, 계란인쇄장치, 계란포장장치 등을 이용함으로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계란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계란의 세척에서 포장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계란 자동화 시스템이 개발되어 인력을 절감하고 보다 신속하게 계란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계란 자동화 처리 시스템은 설치비용이 고가이므로 규모가 큰 대형 양계장에서는 경제성이 있으나 규모가 작은 소형 양계장에서는 경제성이 없다.
소형 양계장에서 생산된 계란은 대형 양계장과는 달리 곧바로 난좌에 담아서 출하 후, 집란장에서 세척, 선별, 인쇄, 포장 등의 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시중에 상품으로 유통된다. 양계장에서 계란을 담는 난좌는 30개의 계란을 5행*6열로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양계장에서 계란 출하시는 취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계란이 담긴 난좌를 대략 5층 내지 10층 높이로 적층하여 이동, 적재, 운반, 하역 등을 행하게 된다. 계란이 담긴 난좌의 적층시는 인접층간의 난좌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난좌를 90°씩 회전시켜 인접층간의 계란이 지그재그로 배치되게 한다.
양계장에서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운반된 계란이 담겨진 난좌는 집란장에서 하역 후, 난좌에 담겨진 계란을 꺼내어 세척, 선별, 인쇄, 포장 등의 처리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19444호에는 난좌에 삽입된 계란을 인출하여 계란의 코팅이나 재포장, 이송, 세척, 살균, 인쇄 등을 행하기 위한 장치에 투입시키는 계란 자동 투입기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12932호에는 난좌에 담긴 계란에 대해 세척공정, 코팅공정, 살균처리공정, 무게측정 및 선별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난좌로부터 계란을 꺼내어 운반하는 일련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계란 오토 로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계란 자동 투입기 및 오토 로더 장치는 작업자가 난좌를 하나씩 들어서 난좌이송장치에 적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적재작업이 하루에 수백 회 내지 천회 넘게 반복되므로 작업이 어렵고 작업자의 신체피로도가 증가된다.
그리고 난좌이송장치에 난좌 적재시 5행*6열로 배치되는 흡착반이나 흡착패드에 계란이 흡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일부 난좌의 방향을 회전시켜 모든 난좌가 일정한 방향으로 적재되어 이송되어야 하므로 작업이 더욱 어렵고 힘들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층으로 난좌가 적층된 상태로 적재를 행하면 적재된 난좌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1개씩 이송되므로 난좌의 적재작업에 투입되는 인력 및 시간이 절감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는 계란 자동 투입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계란 자동 투입기는 계란이 담긴 상태로 복수층으로 적층되는 난좌가 이송되되, 상하로 인접하는 난좌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적층되는 난좌가 이송되는 제1난좌이송장치와, 상기 제1난좌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난좌가 적재되는 턴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턴테이블에 적재되는 난좌의 층수가 감소되어도 최상층에 위치하는 난좌의 높이와 방향이 일정하도록 턴테이블이 회전 및 승강되는 난좌배치장치와,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고 난좌가 하나씩 적재되어 이송되는 제2난좌이송장치와, 상기 턴테이블에 적재되는 난좌 중 최상층의 난좌를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에 이동 적재시키는 난좌적재장치와,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난좌로부터 계란을 인출하여 계란이송장치에 이동 적재시키는 계란적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난좌이송장치는 상기 복수층으로 적층되는 난좌가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군데에 적재되고 적재된 난좌가 일측으로 이송되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일측에서 상기 난좌를 감지하는 제1이송센서와, 상기 제1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난좌가 일측에 적재되어 타측으로 이송되는 제2컨베이어와, 상기 제2컨베이어의 일측에서 상기 난좌를 감지하는 제2이송센서와, 상기 제2컨베이어의 타측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으로 이동시 제2컨베이어의 타측에 이송되는 난좌를 상기 턴테이블 위로 밀어서 턴테이블에 적재시키는 푸쉬로더와, 상기 난좌가 상기 턴테이블에 적재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제3이송센서와, 상기 제1이송센서와 제2이송센서, 제3이송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제1컨베이어는 상기 제3이송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작동되고 상기 제1이송센서와 제2이송센서의 감지신호가 함께 입력되면 작동이 정지되게 제어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는 상기 제3이송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작동되되 제2컨베이어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2이송센서에 감지되는 난좌가 제2컨베이어의 타측으로 이송될 때까지 작동되게 제어하는 난좌이송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난좌이송컨트롤러는 상기 제1이송센서의 감지신호와 제2이송센서의 감지신호가 함께 입력되면 상기 제2컨베이어의 일측에 적재되는 난좌의 이송속도가 더 빨라지게 제2컨베이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난좌배치장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에 수평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승강대의 상하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턴테이블의 수평회전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작동시마다 상기 턴테이블이 90°회전되되, 매번 회전방향이 달라지게 설치되는 링크기구와, 상기 승강대의 최상단 위치를 감지하는 상승단센서와, 상기 승강대의 최하단 위치를 감지하는 하강단센서와, 상기 상승단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승강대가 최하단으로 하강되고 상기 하강단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승강대가 일정 시간 차를 두고 상기 난좌의 1층 높이만큼씩 상승되게 상기 제1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승강대가 상승될 때마다 상기 제2모터가 작동되게 제어하는 난좌배치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링크기구는 일측이 상기 제2모터의 모터축에 일체로 결합되는 크랭크와, 일측이 상기 크랭크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는 커넥팅로드와, 일측이 상기 커넥팅로드의 타측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중심축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가 360° 회전시 90° 범위로 왕복각운동되는 연동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난좌적재장치는 지지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지지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으로 왕복각운동되는 요동대와, 일측이 상기 요동대의 타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암과, 내부에 흡기실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의 타측에 설치되는 흡착대와, 상기 흡기실과 내부가 서로 통하는 상태로 상기 흡착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요동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으로 각운동시 상기 턴테이블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난좌에 삽입된 계란이 흡착되고 상기 요동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으로 각운동시 흡착된 계란이 분리되는 복수의 흡착튜브와, 상기 흡착대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왕복각운동되는 한 쌍의 걸침턱을 구비하며, 상기 요동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으로 각운동시 한 쌍의 상기 걸침턱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각운동되면서 한 쌍의 상기 걸침턱에 난좌의 양측이 걸쳐져 지지되고 상기 요동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으로 각운동시 한 쌍의 상기 걸침턱이 서로 멀어지도록 각운동되면서 한 쌍의 걸침턱으로부터 난좌의 지지가 해제되어 난좌가 하역되는 난좌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난좌홀더는 일측이 상기 흡착대에 힌지결합되고 서로 180° 위상차를 두고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각운동레버와, 상기 제1각운동레버를 왕복각운동시키는 실린더와, 일측이 상기 흡착대와 각운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걸침턱을 구비하는 한 쌍의 제2각운동레버와, 상기 제1각운동레버가 왕복각운동시 상기 제2각운동레버가 왕복각운동되도록 제1각운동레버와 제2각운동레버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의 타측에는 계란이 인출된 빈 난좌를 수거하는 난좌수거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난좌수거장치는 상기 빈 난좌가 적재되는 적재대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대가 상하 이동되는 난좌리프트와, 상기 난좌리프트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각 일측에 빈 난좌가 걸쳐지는 받침턱을 구비하고 상기 난좌리프트에 의해 빈 난좌가 받침턱의 위쪽으로 이동될 때 받침턱의 간격이 벌어졌다 원위치되면서 받침턱에 빈 난좌가 걸쳐지는 한 쌍의 난좌수거부재와, 상기 난좌수거부재의 타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한 쌍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샤프트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연동회전기구와, 상기 받침턱이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가 회전되게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난좌수거장치는 상기 적재대의 위쪽으로 빈 난좌가 이송되면 적재대가 상승되고 계란이 삽입된 난좌가 이송되면 적재대가 미상승되게 난좌리프트를 제어하는 리프트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리프트제어부는 일측에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대의 위쪽으로 빈 난좌가 이송되면 미회전되고 계란이 삽입된 난좌가 이송되면 이송되는 계란의 미는 힘에 의해 회전되는 계란감지부재와, 상기 계란감지부재의 미회전시 감지부가 감지되고 상기 계란감지부재의 회전시 감지부가 미감지되는 리프트센서와, 상기 리프트센서가 감지부를 감지시 적재대의 상승을 허용하고 상기 리프트센서가 감지부를 미감지시 적재대의 상승을 불허하는 리프트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에 의하면, 복수층으로 적층된 난좌의 방향이 자동으로 변경되어 모든 난좌가 같은 방향으로 1개씩 이송되므로 난좌의 적재작업에 투입되는 인력 및 시간이 감소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에 의하면, 방향이 통일된 난좌를 하나씩 들어서 운반할 때 난좌와 계란을 함께 들어서 운반하므로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에 의하면, 계란이 인출된 난좌가 자동 수거되므로 난좌의 수거가 용이하고 작업시간 및 인력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제1난좌이송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제1난좌이송장치에 있어서 제1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제1난좌이송장치에 있어서 제2컨베이어 및 푸쉬로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제1난좌이송장치에 있어서 난좌이송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배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배치장치에 있어서 상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배치장치에 있어서 링크기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배치장치에 있어서 턴테이블이 90°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링크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배치장치에 있어서 난좌배치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제2난좌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제2난좌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제2난좌이송장치에 있어서 체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적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적재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적재장치에 있어서 수평유지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적재장치에 있어서 난좌홀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적재장치에 있어서 난좌홀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적재장치에 있어서 보조난좌홀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적재장치에 있어서 흡기배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적재장치에 있어서 흡기배관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적재장치에 있어서 흡기배관을 나타내는 평면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수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수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난좌수거장치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계란수거장치에 있어서 난좌수거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계란수거장치에 있어서 리프트제어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계란수거장치에 있어서 리프트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란(2)이 담긴 상태로 복수층으로 적층되는 난좌(10)가 이송되되, 상하로 인접하는 난좌(10)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적층되는 난좌(10)가 이송되는 제1난좌이송장치(100)와, 상기 제1난좌이송장치(100)에 의해 이송되는 난좌(10)가 적재되는 턴테이블(220)을 구비하고 상기 턴테이블(220)에 적재되는 난좌(10)의 층수가 감소되어도 최상층에 위치하는 난좌(10)의 높이와 방향이 일정하도록 턴테이블(220)이 회전 및 승강되는 난좌배치장치(200)와, 상기 턴테이블(220)의 일측에 설치되고 난좌(10)가 하나씩 적재되어 이송되는 제2난좌이송장치(300)와, 상기 턴테이블(320)에 적재되는 난좌(10) 중 최상층에 위치한 난좌(10)를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300)에 이동 적재시키는 난좌적재장치(400)와,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300)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난좌(10)로부터 계란(2)을 인출하여 계란이송장치(580)에 이동 적재하는 계란적재장치(500)와,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30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계란적재장치(500)에 의해 계란(2)이 인출된 빈 난좌(10)가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300)에 의해 이송됨에 따라 빈 난좌(10)를 수거하는 난좌수거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난좌이송장치(100)는 상하로 인접하는 난좌(10)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적층되는 난좌(10)가 적재되어 이송된다.
상기 제1난좌이송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101)와, 제1이송센서(110)와, 제2컨베이어(120)와, 제2이송센서(130)와, 푸쉬로더(140)와, 제3이송센서(150)와, 난좌이송컨트롤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컨베이어(101)는 벨트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층으로 적층된 난좌(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군데에 적재됨에 따라 적재된 복수층의 난좌(10)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101)는 상기 난좌(10)의 이송경로 일측에 수직으로 난간벽(104)을 구비하여 난좌(10)의 낙하를 방지하고 난좌(10)가 똑바로 이송되게 안내한다.
상기 제1이송센서(110)는 상기 제1컨베이어(101) 일측에서 상기 복수층의 난좌(10)를 감지한다.
상기 제1이송센서(110)는 상기 난좌(10)의 이송이 끝나는 제1컨베이어(101)의 후방 끝부분에 위치하는 난좌(10)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이송센서(110)는 상기 제1컨베이어(101)에 의해 이송되는 난좌(10)가 상기 제2컨베이어(120)에 적재되기 직전에 난좌(10)를 감지한다.
상기 제2컨베이어(120)는 상기 제1컨베이어(101)와 일렬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제1컨베이어(101)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복수층의 난좌(10)가 일측에 적재되어 타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2이송센서(130)는 상기 제2컨베이어(120)의 일측에서 상기 복수층의 난좌(10)를 감지한다.
상기 제2이송센서(110)는 상기 제2컨베이어(120)의 앞쪽 끝부분에서 난좌(10)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컨베이어(101)에서 하역되는 난좌(10)가 제2컨베이어(120)에 적재되는 부분에서 난좌(10)를 감지한다.
상기 푸쉬로더(140)는 상기 제2컨베이어(120)의 타측(뒤쪽)에 적재되는 난좌(10)를 밀어서 상기 턴테이블(220) 위에 적재시킨다.
상기 푸쉬로더(140)는 전후 왕복이동되며 전진시 난좌(10)를 밀어서 턴테이블(220)에 적재시키고 후진시 원래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푸쉬로더(140)의 전후 왕복이동은 일반적으로 물체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왕복이동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푸쉬로더(140)를 전후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장치(141)는 예를 들면, 지지프레임(141a)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원동풀리(141b) 및 종동풀리(141c)와, 상기 원동풀리(141b)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141d)와, 상기 원동풀리(141b)와 종동풀리(141c)가 연동 회전되게 상기 원동풀리(141b)와 종동풀리(141c)를 감아걸어 연결하고 일측에 상기 푸쉬로더(140)가 연결되는 전동벨트(141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왕복이동장치(141)는 상기 모터(141d)의 정회전시 푸쉬로더(140)가 난좌(10)를 밀고 전진하여 상기 턴테이블(220) 위에 난좌(10)를 적재하고 모터(141d)의 역회전시 푸쉬로더(140)가 원래 위치로 후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쉬로더(140)의 일측에는 측면난간대(14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난간대(142)는 제2컨베이어(120)에 적재되는 난좌(10)가 턴테이블(220)로 이송될 때 난좌(10)의 이송경로 일측에 세워져 설치되어 난좌(10)가 똑바로 이송되게 안내하고 난좌(10)의 추락 및 자세불량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더(140)의 맞은편에는 상기 턴테이블(220)에 난좌(10)가 적재될 때 정위치로 이동되어 적재되도록 후면난간대(144)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후면난간대(144)는 상기 턴테이블(220)을 중심으로 푸쉬로더(140) 반대편에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22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전후 왕복이동될 수 있다.
상기 후면난간대(144)의 전후 이동은 일반적으로 물체를 전후이동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전후이동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왕복이동장치(141)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컨베이어(120)와 턴테이블(220) 사이에는 난좌(10)가 턴테이블(220)로 이동될 때 난좌(10)를 받쳐서 지지하는 이송대(146)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푸쉬로더(140)는 전진 이동되어 난좌(10)가 턴테이블(220)에 적재되는 위치가 상기 제3이송센서(150)에 감지된다.
즉 상기 제3이송센서(150)는 상기 복수층의 난좌(10)가 턴테이블(220)에 적재될 때 푸쉬로더(140)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제1이송센서(110), 제2이송센서(130), 제3이송센서(150)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난좌이송컨트롤러(160)는 제1이송센서(110)와 제2이송센서(130), 제3이송센서(1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컨베이어(101) 및 제2컨베이어(1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난좌이송컨트롤러(160)는 상기 제3이송센서(150)의 감지신호 입력되면 상기 제1컨베이어(101)가 작동되고 상기 제1이송센서(110)와 제2이송센서(130)의 감지신호가 함께 입력되면 제1컨베이어(101)의 작동이 정지되게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난좌이송컨트롤러(160)는 상기 제3이송센서(15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컨베이어(120)가 작동되게 제어하되, 제2컨베이어(120)에 적재된 난좌(10)가 상기 제2이송센서(130)에 감지된 후 타측으로 이송될 때까지 작동되게 제어한다.
상기에서 난좌이송컨트롤러(160)는 상기 제1이송센서(110)의 감지신호와 제2이송센서(130)의 감지신호가 함께 입력되면 난좌(10)의 이송속도가 더 빨라지게 상기 제2컨베이어(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난좌배치장치(200)는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1)과, 승강대(210)와, 턴테이블(220)과, 제1모터(230)와, 제2모터(240)와, 링크기구(250)와, 상승단센서(260)와, 하강단센서(270)와, 난좌배치컨트롤러(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대(210)는 상기 지지프레임(20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1)에는 상기 승강대(210)의 양측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하이동가이드(204)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대(210)는 상기 지지프레임(2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동풀리(212)와 종동풀리(213)가 연동 회전되게 상기 원동풀리(212)와 종동풀리(213)에 감아걸리는 전동벨트(214)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원동풀리(212), 종동풀리(213), 전동벨트(214)는 한 쌍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대(2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220)은 상기 승강대(210)에 수평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모터(230)는 상기 승강대(210)의 상하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제1모터(230)는 상기 원동풀리(212)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2모터(240)는 상기 승강대(2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220)의 수평회전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2모터(240)는 작동시 모터축(242)이 매번 180°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링크기구(250)는 상기 제2모터(230)가 작동할 때마다 상기 턴테이블(220)이 90° 회전되되, 매번 회전방향이 달라지게 설치된다. 즉 링크기구(250)는 상기 모터축(242)이 180° 회전되면 턴테이블(220)이 한쪽방향으로 90° 회전되고 모터축(242)이 추가로 180° 더 회전되면 반대쪽 방향으로 90° 회전되게 구성된다.
상기 링크기구(250)는 일측이 상기 모터축(242)에 일체로 결합되는 크랭크(251)와, 일측이 상기 크랭크(251)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는 커넥팅로드(254)와, 일측이 상기 커넥팅로드(254)의 타측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턴테이블(220)의 회전중심축(222)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251)가 360° 회전시 90° 범위로 왕복각운동되는 연동레버(2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승단센서(260)는 상기 승강대(2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승강대(210)의 최상단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하강단센서(270)는 상기 승강대(2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승강대(210) 최하단 위치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푸쉬로더(160)는 상기 승강대(210)가 최하단에 위치할 때 난좌(10)를 밀어서 턴테이블(220)에 적재시킨다.
상기 난좌배치컨트롤러(280)는 상기 상승단센서(26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승강대(210)가 최하단으로 하강되고 상기 하강단센서(27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승강대(210)가 일정 시간 차를 두고 상기 적층된 난좌(10)의 1층 높이만큼씩 상승되게 상기 제1모터(230)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난좌배치컨트롤러(280)는 상기 승강대(210)의 높이가 상승될 때마다 상기 턴테이블(220)이 회전되게 상기 제2모터(24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턴테이블(220)에 적재되는 난좌(10)는 상기 난좌로딩장치(400)에 의해 하나씩 이동되어 제2난좌이송장치(300)의 일측에 적재된다.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300)는 일반적으로 난좌(10)를 하나씩 이송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난좌이송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300)는 일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312)을 구비하는 이송테이블(310)과, 체인(336)의 일측이 상기 상판(312) 위에 얹혀져 순환회전되면서 상판(312)의 일측에 하역되는 난좌(10)를 상기 적재대(614)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체인(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테이블(310)은 지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판(312)과, 상기 상판(312)을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체인(330)은 상기 이송테이블(310)의 양쪽 끝분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측에 한 쌍의 스프로킷휠(333), (335)을 구비하는 구동축(332) 및 종동축(334)과, 상기 구동축(33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동력원(331)과,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332)의 스프로킷휠(333)과 종동축(334)의 스프로킷휠(335)에 물려서 순환회전되는 상기 2열의 체인(3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동력원(331)은 모터 또는 감속모터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체인전동장치 또는 벨트전동장치, 감속기 등을 통하여 상기 구동축(332)에 회전력을 전달시킨다.
상기 체인(336)은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판(312) 위로 순환회전될 때 상부에 난좌(10)가 얹혀져 이송된다.
상기 체인(336)은 동력전달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롤러체인(roller chain)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체인(336)에는 상기 난좌(10)가 이송될 때 미끄러져 떨어지거나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난좌(10)가 걸려서 함께 이동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출편(337)이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돌출편(337)은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체인(336)의 상부 및 양측면을 감싸며 고정되는 "ㄷ"형상의 고정부(338)와 상기 고정부(338) 중앙에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난좌(10)의 계란(2)이 삽입되는 삽입홈(14)과 삽입홈(14) 사이 공간(15)에 삽입되는 돌기부(33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300)는 체인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300)의 일측에는 상기 난좌적재장치(400)가 설치된다.
상기 난좌적재장치(400)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402)과, 요동대(404)와, 아암(406)과, 수평유지기구(410)와, 흡착대(430)와, 복수의 흡착튜브(440)와, 난좌홀더(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요동대(404)는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402)과 제1힌지축(403)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힌지축(403)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프레임(402)의 양측으로 왕복각운동된다.
상기 제1힌지축(403)은 상기 요동대(404)와 함께 회전되게 요동대(404)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아암(406)의 일측은 상기 요동대(404)의 타측과 제2힌지축(407)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힌지축(407)은 상기 아암(406)와 일체로 회전되게 아암(406)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수평유지기구(410)는 상기 요동대(404)가 왕복각운동시 요동대(404)의 회전각도 만큼 아암(406)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아암(406) 및 아암(406)의 타측에 장착되는 상기 흡착대(430)의 자세가 수평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상기 수평유지기구(410)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축(403)과 제2힌지축(407)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타이밍풀리(411)와, 양측이 상기 한 쌍의 타이밍풀리(411)에 감아걸려 한 쌍의 타이밍풀리(411)가 항상 동시에 반대로 회전되도록 하는 타이밍벨트(412)를 포함한다.
상기 역회전장치(41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타이밍풀리(411)와 타이밍벨트(412) 대신 스프로킷휠과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406)의 타측에 설치되는 흡착대(430)는 대략 납작한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수평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흡기실(432)을 구비한다.
상기 흡기실(432)은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흡착튜브(440)에 계란(2)이 흡착될 때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요동대(404)가 상기 지지프레임(402)의 일측으로 각운동시 내부에 진공(흡입력)이 형성되고 상기 요동대(404)가 지지프레임(402)의 타측으로 회전시 진공(흡입력) 형성이 해제된다.
상기 흡착튜브(440)는 주름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기실(432)과 내부가 서로 통하는 상태로 상기 흡착대(30)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흡착튜브(440)는 상기 흡착대(430)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난좌(10)의 계란(2)이 삽입되는 삽입홈(14)에 대응하는 갯수와 간격으로 배열 설치된다.
상기 흡착튜브(440)는 상기 요동대(404)가 상기 지지프레임(402)의 일측으로 각운동시 흡기실(432)에 진공에 의한 흡입력이 발생하면서 상기 턴테이블(320)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난좌(10)에 삽입된 계란(2)이 하단에 흡착 지지되고 상기 요동대(404)가 상기 지지프레임(402)의 타측으로 각운동시 흡기실(432)에 작용하는 흡입력이 해제되면서 하단에 흡착된 계란(2)이 분리된다.
상기 흡착튜브(440)는 종래 계란 자동 투입기나 계란 오토 로더 등에 널리 사용되는 흡착튜브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난좌홀더(450)는 상기 흡착대(430)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왕복각운동되는 한 쌍의 걸침턱(460)을 구비하며, 한 쌍의 상기 걸침턱(460)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각운동될시 한 쌍의 상기 걸침턱(460)에 난좌(10)의 양측이 걸쳐져 지지되고 한 쌍의 상기 걸침턱(460)이 서로 멀어지도록 각운동될시 한 쌍의 걸침턱(460)으로부터 난좌(10)의 지지가 해제되어 난좌(10)가 하역된다.
즉 상기 난좌홀더(450)는 상기 요동대(404)가 상기 지지프레임(402)의 일측으로 각운동되어 상기 흡착튜브(440)가 상기 턴테이블(220)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난좌(10)에 삽입된 계란(2)을 흡착 지지할 때 난좌(10)의 양측이 걸쳐져 지지되고 상기 요동대(404)가 상기 지지프레임(402)의 타측으로 각운동되어 흡착튜브(440)에서 계란(2)이 분리될 때 난좌(10)의 걸침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흡착튜브(440)와 난좌홀더(450)가 설치되면, 계란(2)이 삽입된 난좌(10)의 이동시 계란(2)과 난좌(10)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으므로 유동이 최소화되고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난좌홀더(450)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흡착대(430)에 힌지결합되고 서로 180° 위상차를 두고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각운동레버(452)와, 상기 제1각운동레버(452)를 왕복각운동시키는 실린더(454)와, 일측이 흡착대(430)와 각운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걸침턱(460)을 구비하는 한 쌍의 제2각운동레버(456)와, 상기 제1각운동레버(452)가 왕복각운동시 상기 제2각운동레버(456)가 왕복각운동되도록 제1각운동레버(452)와 제2각운동레버(456)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대(4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454)는 일측에 피스톤로드(455)를 구비하고 타측이 흡착대(430)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피스톤로드(455)는 한 쌍의 상기 제1각운동레버(452) 중 어느 하나와 볼힌지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전후 이동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제1각운동레버(452)가 왕복각운동된다.
상기 실린더(454)는 공압실린더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각운동레버(456)는 상기 흡착대(430)의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각운동레버(452)와 연결대(456) 및 상기 연결대(456)와 제2각운동레버(456)는 각각 볼힌지를 이용하여 각각 결합된다.
상기 난좌적재장치(400)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난좌(10)의 사방이 걸쳐져 지지되도록 보조난좌홀더(47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난좌홀더(450)와 보조난좌홀더(470)가 동시에 하나의 난좌(10)를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조난좌홀더(470)는 설치되는 위치가 상기 난좌홀더(450)와 다른 것을 제외하고 상기 난좌홀더(450)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보조난좌홀더(470)는 도 18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흡착대(430)의 다른 양측에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왕복각운동되는 한 쌍의 보조걸침턱(480)을 구비하며, 상기 요동대(404)가 상기 지지프레임(402)의 일측으로 각운동시 한 쌍의 상기 보조걸침턱(480)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각운동되면서 한 쌍의 보조걸침턱(480)에 난좌(10)의 다른 양측이 걸쳐져 지지되고 상기 요동대(404)가 상기 지지프레임(402)의 타측으로 각운동시 한 쌍의 보조걸침턱(480)이 멀어지도록 각운동되면서 한 쌍의 보조걸침턱(480)으로부터 난좌(10)의 지지가 해제되어 난좌(10)가 하역되게 구성된다.
상기 보조난좌홀더(470)는 일측이 상기 흡착대(430)에 힌지결합되고 서로 180도 위상차를 두고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보조각운동레버(472)와, 상기 제1보조각운동레버(472)를 왕복각운동시키는 실린더(474)와, 일측이 흡착대(430)와 각운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보조걸침턱(480)을 구비하는 한 쌍의 제2보조각운동레버(476)와, 상기 제1보조각운동레버(472)가 왕복각운동시 상기 제2보조각운동레버(476)가 왕복각운동되도록 제1보조각운동레버(472)와 제2보조각운동레버(476)를 연결하는 한 쌍의 보조연결대(4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아암(406)과 흡착대(430)는 완충기능을 구비하고 흡기통로가 형성되는 흡기배관(42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기배관(420)은 도 21 내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아암(406)의 타측에 고정되며,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되는 고정관(421)과, 상기 고정관(421)의 하측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422)와, 상기 흡기실(432)과 내부가 통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이 흡착대(43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관(421)의 내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이동관(424)과, 상기 이동관(424)의 하측 둘레에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425)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22)와 이동플레이트(424)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고정플레이트(422)와 이동플레이트(424)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4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426)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426)는 복수의 지지구(427)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422)와 이동플레이트(424)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구(427)는 고정플레이트(422)의 상부에 설치되는 두부(428)와, 상기 두부(428)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422)를 관통하여 이동플레이트(425)와 결합되며 외면에 상기 탄성부재(426)가 지지되는 축부(4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22)에는 상기 축부(429)가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멍(422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흡기배관(420)은 상기 흡기실(432)과 진공펌프(미도시)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흡착대(430)에 작용하는 관성 및 충격을 상쇄하여 난좌(10) 및 계란(2)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계란적재장치(500)는 일반적으로 난좌(10)로부터 계란(2)을 흡착하여 계란이송장치(4) 등이나 다른 빈 난좌에 이동 적재시키는 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 난좌로부터 계란을 흡착하여 계란이송장치에 대한 구성은 등록특허공보 제10-0912932호, 등록특허공보 제10-0919444호 등에 개시되어 있고, 난좌로부터 계란을 흡착하여 다른 난좌에 적재시키는 장치에 대한 구성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95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난좌수거장치(600)는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빈 난좌(10)가 적재되는 적재대(612)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대(614)가 상하 이동되는 난좌리프트(610)와, 상기 난좌리프트(61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며, 각각 일측에 빈 난좌(10)가 걸쳐지는 받침턱(622)을 구비하고 상기 난좌리프트(610)에 의해 빈 난좌(10)가 받침턱(622)의 위쪽으로 이동될 때 받침턱(622)의 간격이 벌어졌다 원위치되면서 받침턱(622) 위에 빈 난좌(10)가 걸쳐지는 한 쌍의 난좌수거부재(620)와, 상기 난좌수거부재(620)의 타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한 쌍의 샤프트(630)와, 상기 샤프트(63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640)과, 한 쌍의 상기 샤프트(6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게 상기 샤프트(630)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연동회전기구(650)와, 상기 받침턱(622)이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630)가 회전되게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6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난좌리프트(610)는 빈 난좌(10)가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300)에 의해 상기 적재대(614) 위쪽으로 이송되면 적재대(614)가 상승하여 빈 난좌(10)를 한 쌍의 상기 받침턱(622) 사이로 이동시킨다.
상기 난좌리프트(610)는 일측에 피스톤로드(613)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612)와, 하측이 피스톤로드(613)에 연결되어 피스톤로드(613)와 함께 상하이동되는 상기 적재대(6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612)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고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재대(614)는 상기 빈 난좌(10)의 양측이 위에 얹혀지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300)의 상판(312)을 관통하여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난좌수거부재(620)는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받침턱(622)과, 상기 받침턱(622)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빈 난좌(10)의 상향 이동시 빈 난좌(10)와 간섭이 발생되면서 빈 난좌(10)의 미는 힘에 의해 받침턱(622)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하측에 상기 샤프트(630)가 고정되는 경사부(624)와, 상기 받침턱(626)의 타측에서 위쪽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난간부(6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난좌수거부재(620)의 일측에는 난간대(632)가 일정 높이로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난간대(632)는 대략 수십 개, 많게는 백여개 이상의 난좌(10)가 받침턱 (622)위에 똑바로 쌓이도록 하고 쌓인 상태에서 흔들리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난간대(632)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상기 샤프트(630)의 양쪽 끝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동회전기구(650)는 도 25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샤프트(630) 중에서 어느 하나와 일측이 결합되는 제1레버(652)와, 일측이 상기 제1레버(652)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는 연동레버(654)와, 일측이 한 쌍의 샤프트(630) 중 다른 하나와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연동레버(654)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레버(652)와 180도 위상차를 두고 설치되는 제2레버(6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레버(652)와 제2레버(656)는 상기 연결대(654)와 각각 볼힌지를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6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60)는 일측이 제2레버(652)에 지지되고 타측이 지지프레임(640)에 지지된다.
상기 적재대(614)의 위쪽으로 빈 난좌(2)가 이송되면 적재대(614)가 상승되고 계란(2)이 삽입된 난좌(10)가 이송되면 적재대(614)가 미상승되게 난좌리프트(610)를 제어하는 리프트제어부(6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리프트제어부(670)는 상기 계란적재장치(500)에 의해 계란(2)이 일부 또는 전부 미인출된 상태로 난좌(10)가 이송되는 경우 난좌(10)가 난좌수거부재(620)에 지지되지 않도록 상기 적재대(614)의 상승을 방지한다.
상기 리프트제어부(670)는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감지부(674)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대(614)의 위쪽으로 빈 난좌(10)가 이송되면 미회전되고 계란(2)이 삽입된 난좌(10)가 이송되면 이송되는 계란(2)의 미는 힘에 의해 회전되는 계란감지부재(671)와, 상기 계란감지부재(671)의 미회전시 상기 감지부(674)가 근접하면서 감지되고 상기 계란감지부재(671)의 회전시 감지부(674)가 멀어지면서 미감지되는 리프트센서(676)와, 상기 리프트센서(676)가 감지부(674)를 감지시 적재대(614)의 상승을 허용하고 상기 리프트센서(676)가 감지부(674)를 미감지시 적재대(614)의 상승을 불허하는 리프트컨트롤러(678)를 포함한다.
상기 계란감지부재(671)는 상기 지지프레임(640)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난좌(10)의 이송경로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막대부(672)와, 일측이 상기 막대부(672)에 연결되어 막대부(672)와 함께 회전되고 타측이 하부로 이송되는 난좌(10)에 삽입되는 계란(2)의 진로를 막도록 형성되며 막대부(6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계란감지레버(673)와, 일측이 상기 막대부(672)에 연결되어 막대부(672)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감지부(6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자동 투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 및 발명의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2 : 계란 10 : 난좌
14 : 삽입홈 15 : 사이 공간
100 : 제1난좌이송장치 101 : 제1컨베이어
104 : 난간벽 110 : 제1이송센서
120 : 제2컨베이어 130 : 제2이송센서
140 : 푸쉬로더 141 : 왕복이동장치
142 : 측면난간벽 144 : 후면난간벽
146 : 받침판 150 : 제3이송센서
160 : 난좌이송컨트롤러
200 : 난좌배치장치 201 : 지지프레임
204 : 상하이동가이드 210 : 승강대
212 : 원동풀리 213 : 종동풀리
214 : 전동벨트 220 : 턴테이블
222 : 회전중심축 230 : 제1모터
240 : 제2모터 242 : 모터축
250 : 링크기구 252 : 크랭크
254 : 커넥팅로드 256 : 레버
260 : 상승단센서 270 : 하강단센서
280 : 난좌배치컨트롤러
300 : 제2난좌이송장치 301 : 이송테이블
312 : 상판 314 : 지지프레임
330 : 이송체인 331 : 회전동력원
332 : 구동축 333, 3345 : 스프로킷휠
334 : 종동축 336 : 체인
337 : 돌출편
400 : 난좌적재장치 402 : 지지프레임
403 : 제1힌지축 404 : 요동대
406 : 아암 407 : 제2힌지축
410 : 수평유지기구 411 : 타이밍풀리
412 : 타이밍벨트 420 : 흡기배관
430 : 흡착대 432 : 흡기실
440 : 흡착튜브 450 : 난좌홀더
452 : 제1각운동레버 454 : 실린더
456 : 제2각운동레버 458 : 연결대
460 : 걸침턱 470 : 보조난좌홀더
480 : 보조걸침턱
500 : 계란적재장치 600 : 난좌수거장치
610 : 난좌리프트 612 : 적재대
614 : 실린더 620 : 난좌수거부재
622 : 받침턱 624 : 경사부
626 : 난간부 630 : 샤프트
632 : 난간대 640 : 지지프레임
650 : 연동회전기구 652 : 제1레버
654 : 연결대 656 : 제2레버
660 : 탄성부재 670 : 리프트제어부
671 : 계란감지부재 672 : 막대부
673 : 계란감지레버 674 : 감지부
676 : 리프트센서 678 : 리프트컨트롤러

Claims (11)

  1. 계란이 담긴 상태로 복수층으로 적층되는 난좌가 이송되되, 상하로 인접하는 난좌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적층되는 난좌가 이송되는 제1난좌이송장치와,
    상기 제1난좌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난좌가 적재되는 턴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턴테이블에 적재되는 난좌의 층수가 감소되어도 최상층에 위치하는 난좌의 높이와 방향이 일정하도록 턴테이블이 회전 및 승강되는 난좌배치장치와,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고 난좌가 하나씩 적재되어 이송되는 제2난좌이송장치와,
    상기 턴테이블에 적재되는 난좌 중 최상층의 난좌를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에 이동 적재시키는 난좌적재장치와,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난좌로부터 계란을 인출하여 계란이송장치에 이동 적재시키는 계란적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난좌적재장치는,
    지지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지지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으로 왕복각운동되는 요동대와, 일측이 상기 요동대의 타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암과, 내부에 흡기실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의 타측에 설치되는 흡착대와, 상기 흡기실과 내부가 서로 통하는 상태로 상기 흡착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요동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으로 각운동시 상기 턴테이블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난좌에 삽입된 계란이 흡착되고 상기 요동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으로 각운동시 흡착된 계란이 분리되는 복수의 흡착튜브와, 상기 흡착대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왕복각운동되는 한 쌍의 걸침턱을 구비하며, 상기 요동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으로 각운동시 한 쌍의 상기 걸침턱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각운동되면서 한 쌍의 상기 걸침턱에 난좌의 양측이 걸쳐져 지지되고 상기 요동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으로 각운동시 한 쌍의 상기 걸침턱이 서로 멀어지도록 각운동되면서 한 쌍의 걸침턱으로부터 난좌의 지지가 해제되어 난좌가 하역되는 난좌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난좌홀더는,
    일측이 상기 흡착대에 힌지결합되고 서로 180° 위상차를 두고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각운동레버와, 상기 제1각운동레버를 왕복각운동시키는 실린더와, 일측이 상기 흡착대와 각운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걸침턱을 구비하는 한 쌍의 제2각운동레버와, 상기 제1각운동레버가 왕복각운동시 상기 제2각운동레버가 왕복각운동되도록 제1각운동레버와 제2각운동레버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계란 자동 투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난좌이송장치는,
    상기 복수층으로 적층되는 난좌가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군데에 적재되고 적재된 난좌가 일측으로 이송되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일측에서 상기 난좌를 감지하는 제1이송센서와, 상기 제1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난좌가 일측에 적재되어 타측으로 이송되는 제2컨베이어와, 상기 제2컨베이어의 일측에서 상기 난좌를 감지하는 제2이송센서와, 상기 제2컨베이어의 타측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으로 이동시 제2컨베이어의 타측에 이송되는 난좌를 상기 턴테이블 위로 밀어서 턴테이블에 적재시키는 푸쉬로더와, 상기 난좌가 상기 턴테이블에 적재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제3이송센서와, 상기 제1이송센서와 제2이송센서, 제3이송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제1컨베이어는 상기 제3이송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작동되고 상기 제1이송센서와 제2이송센서의 감지신호가 함께 입력되면 작동이 정지되게 제어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는 상기 제3이송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작동되되 제2컨베이어의 일측에 위치하여 제2이송센서에 감지되는 난좌가 제2컨베이어의 타측으로 이송될 때까지 작동되게 제어하는 난좌이송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계란 자동 투입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난좌이송컨트롤러는,
    상기 제1이송센서의 감지신호와 제2이송센서의 감지신호가 함께 입력되면 상기 제2컨베이어에 적재되는 난좌의 이송속도가 더 빨라지게 상기 제2컨베이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계란 자동 투입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좌배치장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에 수평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승강대의 상하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턴테이블의 수평회전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작동시마다 상기 턴테이블이 90°회전되되, 매번 회전방향이 달라지게 설치되는 링크기구와, 상기 승강대의 최상단 위치를 감지하는 상승단센서와, 상기 승강대의 최하단 위치를 감지하는 하강단센서와, 상기 상승단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승강대가 최하단으로 하강되고 상기 하강단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승강대가 일정 시간 차를 두고 상기 난좌의 1층 높이만큼씩 상승되게 상기 제1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승강대가 상승될 때마다 상기 제2모터가 작동되게 제어하는 난좌배치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계란 자동 투입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일측이 상기 제2모터의 모터축에 일체로 결합되는 크랭크와, 일측이 상기 크랭크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는 커넥팅로드와, 일측이 상기 커넥팅로드의 타측과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중심축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가 360° 회전시 90° 범위로 왕복각운동되는 연동레버를 포함하는 계란 자동 투입기.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동대는 일측에 상기 지지프레임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힌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아암은 일측에 상기 요동대의 타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요동대가 왕복각운동시 요동대의 회전각도 만큼 아암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아암의 타측에 장착되는 상기 흡착대의 자세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수평유지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유지기구는,
    상기 제1힌지축과 제2힌지축에 각각 일체로 설치되는 한 쌍의 타이밍풀리와, 양측이 한 쌍의 상기 타이밍풀리에 감아걸리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하는 계란 자동 투입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암과 흡착대를 연결하는 흡기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기배관은 일측이 상기 아암의 타측에 고정되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하측 둘레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흡기실과 내부가 통하도록 설치되며, 일측이 흡착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이동관과, 상기 이동관의 하측 둘레에 설치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고정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계란 자동 투입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난좌이송장치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계란적재장치에 의해 계란이 인출된 빈 난좌를 수거하는 난좌수거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난좌수거장치는,
    상기 빈 난좌가 적재되는 적재대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대가 상하 이동되는 난좌리프트와, 상기 난좌리프트의 상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각 일측에 빈 난좌가 걸쳐지는 받침턱을 구비하고 상기 난좌리프트에 의해 빈 난좌가 받침턱의 위쪽으로 이동될 때 받침턱의 간격이 벌어졌다 원위치되면서 받침턱에 빈 난좌가 걸쳐지는 한 쌍의 난좌수거부재와, 상기 난좌수거부재의 타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한 쌍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샤프트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연동회전기구와, 상기 받침턱이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가 회전되게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계란 자동 투입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난좌수거장치는,
    상기 적재대의 위쪽으로 빈 난좌가 이송되면 적재대가 상승되고 계란이 삽입된 난좌가 이송되면 적재대가 미상승되게 난좌리프트를 제어하는 리프트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제어부는,
    일측에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대의 위쪽으로 빈 난좌가 이송되면 미회전되고 계란이 삽입된 난좌가 이송되면 이송되는 계란의 미는 힘에 의해 회전되는 계란감지부재와, 상기 계란감지부재의 미회전시 감지부가 감지되고 상기 계란감지부재의 회전시 감지부가 미감지되는 리프트센서와, 상기 리프트센서가 감지부를 감지시 적재대의 상승을 허용하고 상기 리프트센서가 감지부를 미감지시 적재대의 상승을 불허하는 리프트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계란 자동 투입기.
KR1020190080855A 2019-07-04 2019-07-04 계란 자동 투입기 KR102045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855A KR102045238B1 (ko) 2019-07-04 2019-07-04 계란 자동 투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855A KR102045238B1 (ko) 2019-07-04 2019-07-04 계란 자동 투입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641A Division KR20210004778A (ko) 2019-10-21 2019-10-21 계란 자동 투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238B1 true KR102045238B1 (ko) 2019-11-15

Family

ID=6857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855A KR102045238B1 (ko) 2019-07-04 2019-07-04 계란 자동 투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0423A (zh) * 2022-03-31 2022-06-14 漳州喜梦宝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加工物料回转结构及自动进料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9905A (ja) * 1995-07-28 1997-02-10 Kyowa Kikai Kk 供給コンベヤから洗卵コンベヤへの鶏卵移替え装置
JP2000072234A (ja) * 1998-08-27 2000-03-07 Q P Corp 卵トレイの搬送方向転換装置
JP2005168491A (ja) * 2003-11-17 2005-06-30 Naberu:Kk 鶏卵の選別包装方法
KR20090008165U (ko) * 2008-02-11 2009-08-14 김장권 계란이 안치된 난좌의 이송 및 적재장치
KR100912932B1 (ko) * 2007-12-03 2009-08-20 주식회사 에그텍 계란 오토 로더 장치
KR100919444B1 (ko) * 2009-03-18 2009-09-29 양인근 계란 자동 투입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9905A (ja) * 1995-07-28 1997-02-10 Kyowa Kikai Kk 供給コンベヤから洗卵コンベヤへの鶏卵移替え装置
JP2000072234A (ja) * 1998-08-27 2000-03-07 Q P Corp 卵トレイの搬送方向転換装置
JP2005168491A (ja) * 2003-11-17 2005-06-30 Naberu:Kk 鶏卵の選別包装方法
KR100912932B1 (ko) * 2007-12-03 2009-08-20 주식회사 에그텍 계란 오토 로더 장치
KR20090008165U (ko) * 2008-02-11 2009-08-14 김장권 계란이 안치된 난좌의 이송 및 적재장치
KR100919444B1 (ko) * 2009-03-18 2009-09-29 양인근 계란 자동 투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0423A (zh) * 2022-03-31 2022-06-14 漳州喜梦宝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加工物料回转结构及自动进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674B1 (ko) 봉상물의 충진장치
KR101559018B1 (ko) 판형 부재 반전 시스템 및 그 반전 이송 방법
US2014016643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gg Transfer Within an Egg Handling Machine
KR102045238B1 (ko) 계란 자동 투입기
KR100912932B1 (ko) 계란 오토 로더 장치
CN111689222A (zh) 自动上料机构
KR101773142B1 (ko) 멸치 자동 분리장치
JPS6042127B2 (ja) 卵をコンベヤ−に移送する装置
KR102179921B1 (ko) 난좌 적재장치
KR100919444B1 (ko) 계란 자동 투입기
JP2007217020A (ja) 商品の自動段積み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10004778A (ko) 계란 자동 투입기
KR200428415Y1 (ko) 계란 소포장장치
CN113353642B (zh) 拆垛装置
KR200453652Y1 (ko) 계란이 안치된 난좌의 이송 및 적재장치
JP2550527Y2 (ja) 積重ねられたカップ状容器の供給装置
KR20210004436A (ko) 난좌 수거장치
JP3912455B2 (ja) 物品処理装置
KR20220011121A (ko) 배양된 알들을 바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기계 및 가금사에서의 용도
JP3518715B2 (ja) 物品の集合整列装置
JPH01172123A (ja) 物品の移載方法
JPH06135548A (ja) ブロック状惣菜の自動搭載装置
JPH0745465Y2 (ja) タイルの移載装置
RU2804956C2 (ru) Машина переноса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в птичнике для переноса инкубируемых яиц на его пол
JP2000142614A (ja) 物品箱詰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