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642B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642B1
KR102319642B1 KR1020140192889A KR20140192889A KR102319642B1 KR 102319642 B1 KR102319642 B1 KR 102319642B1 KR 1020140192889 A KR1020140192889 A KR 1020140192889A KR 20140192889 A KR20140192889 A KR 20140192889A KR 102319642 B1 KR102319642 B1 KR 10231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refrigerant pipe
tray
refrigerant
ice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3156A (ko
Inventor
이권재
백선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2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6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냉수가 수용되는 트레이와, 내부로 냉매가 유동되며, 전체가 상기 트레이에 수용되는 냉수에 침지되는 냉매관 및 상기 냉매관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관과 함께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부재를 포함하는 제빙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제빙기{Ice-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얼음을 만드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빙기로 침지식, 유수식 및, 분사식 제빙기가 있다.
침지식 제빙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에 연결된 침지부재가 제빙트레이에 담긴 물에 잠기도록 하여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한다.
또한, 유수식 제빙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에 접촉된 제빙트레이에 물이 흐르도록 하여 제빙트레이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분사식 제빙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에 접촉된 제빙트레이에 물을 분사하여 제빙트레이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제빙기는 침지부재 및 제빙트레이를 매개로 하여 얼음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제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침지부재 및 제빙트레이에 의한 공기중으로의 열손실이 발생되어 제빙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7783호
제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냉수가 수용되는 트레이와, 내부로 냉매가 유동되며, 전체가 상기 트레이에 수용되는 냉수에 침지되는 냉매관 및 상기 냉매관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관과 함께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냉매관은 복수개의 행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냉매관에 복수개의 열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관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에는 생성된 얼음의 분리를 위한 보조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제빙기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 및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메인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외벽부는 외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관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는 제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일예로서, 트레이(110), 냉매관(120), 격벽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110)는 내부에 냉수(S)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즉, 트레이(11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트레이(110)는 냉매관(120)이 내부에 수용된 냉수에 모두 침지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레이(110)의 측벽은 냉매관(120)의 높이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용어를 정의하면, 길이 방향는 도 1에서 X 방향을 말하며, 폭 방향은 Y 방향을 말하여, 높이는 도 1에서 Z 방향을 말한다.
한편, 트레이(110)의 측벽은 생성된 얼음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외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냉매관(120)은 냉매가 내부로 유동되며, 전체가 트레이(110)에 수용되는 냉수(S)에 침지된다. 한편, 냉매관(120)은 복수개의 행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일예로서, 냉매관(120)은 3개의 곡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냉매관(120)은 3개의 곡선부와 4개의 행을 가지는 직선부를 가져 구불구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냉매관(120)은 얼음을 형성하는 기본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가 냉수(S)에 침지되도록 트레이(1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냉수(S)에 침지되는 얼음을 형성하는 기본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냉매관(120)의 내부공간 전체를 통해 냉매가 흘러 트레이(110)에 수용된 냉수가 얼음으로 생성되는 것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냉매관(120)의 상부에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통해서만 냉매가 흐를 수 있으며,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부분의 하부에 배치되는 부분은 단순히 얼음을 형성하는 기본틀로서의 역할만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냉매관(120) 중 상부에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부분의 하부에 배치되는 부분은 냉매관(120)으로부터 단순히 연장되는 플레이트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냉매관(120)에는 얼음의 탈빙 시 뜨거운 가스가 흐른다. 이에 따라, 생성된 얼음이 냉매관(12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격벽부재(130)는 냉매관(120)에 설치되어 냉매관(120)과 함께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격벽부재(130)는 냉매관(120)에 복수개의 열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격벽부재(130)와 냉매관(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매관(120)과 격벽부재(130)에 형성되는 공간에 얼음이 생성되므로, 냉매관(120)이 직접 냉수에 접촉되어 냉매관(120)으로부터 공기 중으로의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에 구비되는 트레이(110)를 생략하여 도시하였습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빙기(100)의 트레이(110, 도 1 참조)에 냉수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냉매관(120)이 냉수에 침지된다. 이후, 냉매관(120)을 통해 냉매(A)가 유동되면, 냉매에 의해 냉매관(120)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냉수에 결빙이 형성되면서 얼음이 성장한다.
얼음은 냉매관(120)과 격벽부재(1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생성되며, 격벽부재(130)에 의해 얼음이 분리되어 생성될 수 있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관(120)에 뜨거운 가스(B)가 흐르도록 하면 얼음의 외부 측이 녹으면서 얼음이 냉매관(12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도면에 도시하고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200)는 트레이(110), 냉매관(120), 격벽부재(130) 및 메인히터(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110), 냉매관(120), 격벽부재(130)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메인히터(240)는 트레이(110)의 하부 및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도록 배치된다. 일예로서, 메인히터(240)는 트레이(1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메인히터(242) 및 트레이(11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메인히터(244)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히터(240)는 탈빙 시 냉매관(120)과 격벽부재(130)에 열을 전달하여 생성된 얼음이 냉매관(120)과 격벽부재(1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탈팅 시 냉매관(120)에 뜨거운 가스가 흐르지 않아도 용이하게 얼음이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300)는 일예로서, 트레이(110, 도 1 참조), 냉매관(320), 격벽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110)과 격벽부재(130)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상기에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도면에 도시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냉매관(320)은 냉매가 내부로 유동되며, 전체가 트레이(110)에 수용되는 냉수에 침지된다. 한편, 냉매관(320)은 복수개의 행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일예로서, 냉매관(320)은 3개의 곡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냉매관(320)은 3개의 곡선부와 4개의 행을 가지는 직선부를 가지는 구불구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냉매관(320)은 얼음을 형성하는 기본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가 냉수에 침지되도록 트레이(1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냉매관(320)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에는 생성된 얼음의 분리를 위한 보조히터(322)가 설치될 수 있다. 즉, 격벽부재(130)와 함께 얼음을 형성하는 공간을 형성하지 않는 최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에 보조히터(3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의 탈빙 시 냉매관(320)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에 생성된 얼음을 냉매관으로부터 먼저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제빙기(300)의 탈빙은 냉매관(320)에 뜨거운 가스가 흐르도록 하여 얼음을 분리시키거나, 메인히터를 통해 얼음을 분리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200, 300 : 제빙기
110 : 트레이
120, 320 : 냉매관
130 : 격벽부재
240 : 메인히터

Claims (6)

  1. 냉수가 수용되는 트레이;
    내부로 냉매가 유동되며, 전체가 상기 트레이에 수용되는 냉수에 침지되는 냉매관; 및
    상기 냉매관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관과 함께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관은 냉매가 유동하기 위한 원형관과 상기 원형관 하부에 연장된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냉매관에는 얼음의 탈빙 시 뜨거운 가스가 유동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은 복수개의 행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냉매관에 복수개의 열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제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에는 생성된 얼음의 분리를 위한 보조히터가 설치되는 제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하부 및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메인 히터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외벽부는 외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선부를 구비하는 제빙기.
KR1020140192889A 2014-12-30 2014-12-30 제빙기 KR10231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889A KR102319642B1 (ko) 2014-12-30 2014-12-30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889A KR102319642B1 (ko) 2014-12-30 2014-12-30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156A KR20160083156A (ko) 2016-07-12
KR102319642B1 true KR102319642B1 (ko) 2021-11-03

Family

ID=5650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889A KR102319642B1 (ko) 2014-12-30 2014-12-30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6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4991A1 (en) * 2006-11-03 2008-05-08 Hoehne Mark R Ice cube tray evaporator
KR101463904B1 (ko) * 2012-12-20 2014-11-20 정휘동 제빙 유닛을 냉수 탱크 하부에 배치한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467A (ko) * 2004-09-23 2006-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제빙용기
KR20120007783A (ko) 2010-07-15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풍력발전장치의 발전량 예측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4991A1 (en) * 2006-11-03 2008-05-08 Hoehne Mark R Ice cube tray evaporator
KR101463904B1 (ko) * 2012-12-20 2014-11-20 정휘동 제빙 유닛을 냉수 탱크 하부에 배치한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156A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0099B2 (ja) 流下液膜式蒸発器
KR101092627B1 (ko) 제빙기용 증발기
KR101337080B1 (ko) 정수기 및 제빙용 증발기
CN109416210A (zh) 制作冰的机器
KR20150027534A (ko) 제빙기
JP2009079839A (ja) 自動製氷機の製氷水タンク
KR102319642B1 (ko) 제빙기
KR102354052B1 (ko) 제빙기
JP6280775B2 (ja) オープンラック型気化装置の散水機構
JP5830188B1 (ja) 流下式製氷機及び該流下式製氷機の製氷棚の製造方法
KR101463904B1 (ko) 제빙 유닛을 냉수 탱크 하부에 배치한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RU2599637C2 (ru) Улучшенный разделочный стол
JP6516435B2 (ja) 加熱調理装置
KR200475742Y1 (ko)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JP2005090814A (ja) 噴射式製氷機
KR102089470B1 (ko)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KR20120088092A (ko) 열반사판을 갖는 유수분리형 튀김기
KR102225177B1 (ko) 제습기
CN104776667A (zh) 风道组件以及具有其的冰箱
KR20140062847A (ko) 정수기용 일체형 직타원 증발기유닛
JP2006250487A (ja) 冷蔵庫の製氷装置
KR102325627B1 (ko) 제빙기
KR102466208B1 (ko) 제빙용 냉각장치
JP6713911B2 (ja) セル型製氷機
JP2011231943A (ja) 流下式製氷機の製氷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