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42Y1 -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42Y1
KR200475742Y1 KR2020120012029U KR20120012029U KR200475742Y1 KR 200475742 Y1 KR200475742 Y1 KR 200475742Y1 KR 2020120012029 U KR2020120012029 U KR 2020120012029U KR 20120012029 U KR20120012029 U KR 20120012029U KR 200475742 Y1 KR200475742 Y1 KR 200475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ld water
making
water tank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984U (ko
Inventor
정휘동
송광석
안대훈
김승하
육준수
Original Assignee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동 filed Critical 정휘동
Priority to KR2020120012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42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나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얼음 정수기나 얼음 냉온수기는, 복수의 핑거 형상의 제빙핀을 가지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을 중심으로 생성되는 얼음의 형상을 규정하는 얼음 형상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형상 가이드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취향이나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얼음 형상 가이드를 분리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Water Purifier and Hot/Cold Water Supplier in Capable of Making Various Shaped Ice}
본 고안은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1 개 이상의 필터를 사용하여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기로서, 최근에는 정수된 물을 냉각 또는 가열함으로써 각각 냉수 또는 온수로서 제공하는 기능과 함께, 기기 내부에 제빙 유닛을 구비하여 정수된 물로 얼음을 만들어서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한편, 냉온수기는 별도로 공급되는 생수나 미네랄 워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각각 냉수 또는 온수로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기기로서, 최근에는 얼음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제빙 기능을 구비한 얼음 냉온수기가 알려져 있다.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에서 얼음을 만드는 방식은 몇 가지 방식으로 나뉘는데, 대개 다음의 두 가지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첫째는, 예컨대 특허문헌 1(등록특허 10-0729962호)과 같이, 냉수 탱크 상부에서, 제빙용 냉수를 담는 물받이에 핑거 모양의 제빙핀을 침지시켜 제빙핀의 외주면에서부터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둘째는, 예컨대 특허문헌 2(등록실용신안 20-0330516호)와 같이, 제빙실의 상부에, 아래쪽으로 개구된 복수의 오목홈들을 가지고 내부에 증발기가 구비된 제빙판을 배치하고, 이 제빙판의 아래쪽에서 상기 오목홈들을 향해 제빙용 냉수를 분사하여 제빙판의 각 오목홈의 표면에서부터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으로 만들어진 얼음의 형상은 천편일률적으로, 칵테일용이나 장식용 얼음 등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없다. 즉, 특허문헌 1의 얼음 정수기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제빙핀의 외주면에서부터 생성되기 시작하여 완성되면 대략 종형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의해 만들어지는 얼음은 제빙판의 오목홈의 내부 표면에서부터 생성되기 시작하여 완성되면 오목홈의 형상을 따라 대개 모서리가 라운드진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물론, 특허문헌 2에서는 오목홈의 형상이 다른 제빙판을 사용하게 되면 그 오목홈의 형상에 따른 얼음을 얻을 수 있지만, 특허문헌 2의 제빙판은 내부에 증발기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제빙판을 별도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는 없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10-0729962호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 20-0330516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는, 복수의 핑거 형상의 제빙핀을 가지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을 중심으로 생성되는 얼음의 형상을 규정하는 얼음 형상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형상 가이드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얼음 형상 가이드는, 판상의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의 위치를 중심으로 각 제빙핀의 측방을 둘러싸는,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 기둥 형태의 복수의 형상 규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형상 규제부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별 모양, 하트 모양 및 동물 모양을 포함하는 임의의 폐곡선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는 음용 가능한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기는 각 제빙핀의 선단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면서 상기 냉수 탱크에 저장되는 냉수에 잠기도록 배치되며, 상기 얼음 형상 가이드는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면에는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핑거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은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면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핑거 홀에 삽입되어 수밀하게 결합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면에 형성된 핑거 홀과 일치하는 위치에 핑거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서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판상의 전기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냉수 탱크의 측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빙 유닛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 및 상기 제빙 유닛에 의해 제조되어 상기 냉수 탱크의 수면으로 떠오른 얼음을 상기 얼음 저장고로 이동시키는 얼음 이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발기는 각 제빙핀의 선단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는,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에 제빙용 냉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형상 가이드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증발기 및 얼음 형상 가이드 아래에 위치하고 음용 가능한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탱크; 상기 냉수 탱크의 측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빙핀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 및 상기 증발기 및 얼음 형상 가이드와 상기 냉수 탱크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빙핀에 의해 제조되어 낙하하는 얼음은 상기 얼음 저장고로 가이드하고, 제빙되지 않고 낙하하는 제빙용 냉수는 상기 냉수 탱크로 통과시키는 그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에 의하면, 서로 다른 형상의 형상 규제부를 가지는 얼음 형상 가이드를 복수 개 준비해 두고, 사용자의 취향이나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얼음 형상 가이드를 분리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를 포함한 제빙 유닛이 냉수 탱크의 냉수에 잠기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 냉수 탱크 상부에 냉수 탱크로부터 이격되어 제빙 유닛이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냉수 탱크 또는 제빙실의 공간을 절약하여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의 청소나 유지 보수시 제빙 유닛이 시야를 가리지 않고 작업 도구나 손이 냉수 탱크의 구석구석까지 쉽게 미칠 수 있어, 청소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고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얼음 정수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얼음 정수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얼음 형상 가이드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얼음 정수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이어 완성된 얼음을 탈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 이어 완성된 얼음을 얼음 저장고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이어 완성된 얼음을 얼음 저장고로 이동시키지 않고 냉수 탱크의 물을 냉각시키는 용도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얼음 정수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얼음 정수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얼음 냉온수기의 경우에도 정수 기능이 없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빙 유닛의 구조나 배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와 동일하므로 얼음 냉온수기에 관한 실시예는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정수기나 음용수 공급기(냉온수기)에서 제빙 유닛의 구조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에서 얼음 정수기와 얼음 냉온수기는 온수 공급 기능이 없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로서, 일반적인 정수기에 구비되는 각종 필터나 정수 탱크, 온수 탱크 등의 구성은 본 고안의 주된 특징과 무관하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는, 상수도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미도시), 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을 1차 저장하는 정수 탱크(미도시),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냉수 탱크(10), 냉수 탱크 하부에 설치되는 제빙 유닛(100), 제빙 유닛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20), 및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는 정수 탱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히터(미도시)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 탱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정수 탱크(미도시), 냉수 탱크(10), 온수 탱크(미도시)로부터는 사용자가 각 탱크에 저장된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각각의 취수 배관과 밸브 등이 구비되고, 얼음 저장고(20)에 저장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공지의 얼음 취출수단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에서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은 제빙 유닛(100)과 얼음 형상 가이드(140)의 구성과 배치에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빙 유닛(100)과 얼음 형상 가이드(1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나머지 각종 필터나 탱크, 배관, 밸브, 얼음 취출수단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에서 제빙 유닛(100)은 복수의 핑거 형상의 제빙핀(112)을 가지는 증발기(110)를 구비한다. 이 증발기(110)의 내부로는 냉매가스가 공급되어, 각 제빙핀(112)의 외주면에서부터 주위의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 생성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빙 유닛(100)은, 증발기(110)의 각 제빙핀(112)의 선단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면서 냉수 탱크(10)에 저장되는 냉수(14, 도 3 참조)에 잠기도록 배치된다. 즉, 종래의 제빙 유닛은 냉수 탱크 또는 제빙실의 상부에 배치됨에 반해, 본 고안의 제빙 유닛(100)은 냉수 탱크(10)의 하부에서 냉수(14)에 잠기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냉수 탱크(10)의 바닥면에는 증발기(110)의 각 제빙핀(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핑거 홀(12)이 형성되어 있어, 증발기의 각 제빙핀(112)은 냉수 탱크(10)의 바닥면 바깥쪽으로부터 핑거 홀(1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핑거 홀(12)과 제빙핀(112) 사이의 틈새로 냉수 탱크(10)의 물이 새지 않도록 제빙핀(112)과 핑거 홀(12)은 패킹이나 씰링재를 이용하여 수밀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는 증발기(110)의 각 제빙핀(112) 주위에 생성되는 얼음의 형상을 규정하는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더 포함한다. 즉, 이러한 얼음 형상 가이드(140)가 없는 경우에는 각 제빙핀(112)의 외주면으로부터 생성되는 얼음의 형상이 대략 종모양이 될 것이지만, 본 고안의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얼음 형상 가이드(140)는 판상의 기판(142)과, 이 기판(142) 상에서 증발기(110)의 각 제빙핀(11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원기둥이나 각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의 중공 기둥 형태로 형성된 형상 규제부(144)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형상 규제부(144)는 평면 형상(횡단면 형상)이 삼각형이지만, 그 평면 형상은, 도 3에 일부가 예시된 바와 같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별 모양, 하트 모양, 동물 모양 등 임의의 폐곡선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아울러 하나의 얼음 형상 가이드(140)에 서로 다른 형상의 형상 규제부(144)를 조합하여 배열할 수도 있다.
형성 규제부(144)의 상하 양면은 개방되어 있다(하면은 기판(142)에 접하게 되므로 결국 형상 규제부(144) 아래의 기판(142) 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냉수 탱크(10)의 바닥면에 돌출된 증발기(110)의 각 제빙핀(112)이 각각 대응되는 형상 규제부(144)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냉수 탱크(10) 안에 설치하면, 형상 규제부(144)는 각각의 제빙핀(112)을 측방에서 둘러싸게 되고 각 제빙핀(112)의 외주면에서부터 생성되는 얼음은 결국 형상 규제부(144)의 형상대로 성장하게 된다.
여기서, 얼음 형상 가이드(140)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교환가능 하도록, 또한 청소의 용이성을 위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냉수 탱크(10)의 바닥면에, 얼음 형상 가이드(140)가 설치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15) 및 체결 후크(17)를 마련하여, 얼음 형상 가이드(140)가 가이드 돌기(15) 및 체결 후크(17)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위에서부터 아래로 눌러 체결함으로써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면 된다. 분리시에는 체결 후크(17)를 바깥쪽으로 젖힘으로써 간단히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분리 교체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은, 상술한 후크 결합 이외에도 나사결합, 볼트/너트 결합 등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얼음 형상 가이드(140)의 형상 규제부(144)는 탈빙의 용이성을 위해 상면이 하면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는 제빙 유닛(증발기의 각 제빙핀)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각 제빙핀(112)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탈빙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탈빙 수단으로서는, 전형적으로 증발기(110) 내부로 냉매가스 대신에 고온의 핫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구현되거나, 증발기(110) 아래쪽에 이른바 시즈 히터(Sheath Heater)라 불리는 전기 히터(114)를 설치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핫 가스 또는 전기 히터(114)에 의해 순간적으로 증발기(제빙핀)를 가열함으로써 제빙핀(112) 표면의 얼음 일부를 녹임으로써 각 제빙핀(112)으로부터 얼음을 분리하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의 제빙 유닛(100)에 의하면 증발기(110)의 각 제빙핀(112)의 외주면에서부터 생성된 얼음이 냉수 탱크(10) 바닥면에 붙게 되고, 상술한 통상적인 탈빙 수단에 의해서는 완성된 얼음이 냉수 탱크(10) 바닥면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통상적인 탈빙 수단과 함께 또는 상술한 통상적인 탈빙 수단을 대신하여, 냉수 탱크(10) 바닥면으로부터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또 다른 탈빙 수단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탈빙 수단은, 냉수 탱크(10)의 바깥쪽에서 냉수 탱크의 바닥면 아래에 접하게(즉, 증발기(110)와 냉수 탱크(10)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판상의 전기 히터(120)이다. 이 판상의 전기 히터(120)에는 전술한 냉수 탱크(10)의 바닥면에 형성된 핑거 홀(12)과 일치하는 위치에 핑거 관통 홀(122)이 형성되어 있어, 이 핑거 관통 홀(122)과 핑거 홀(12)을 통해 증발기(110)의 각 제빙핀(112)이 전기 히터(120)와 냉수 탱크(10) 바닥면을 관통하여 냉수 탱크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판상의 전기 히터(120)의 내부에는 핑거 관통 홀(122)을 둘러싸는 평면상에 열선(124)이 배치되어, 각 제빙핀(112) 주위에 생성된 얼음의 바닥면을 가열함으로써 냉수 탱크(10) 바닥면으로부터 얼음을 원활하게 분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판상의 전기 히터(120)는 냉수 탱크(10)의 바깥쪽에서 냉수 탱크의 바닥면 아래에 접하게(즉, 증발기(110)와 냉수 탱크(10)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판상의 전기 히터(120)는 냉수 탱크(10)의 안쪽에서 냉수 탱크의 바닥면 위에 접하게(즉, 냉수 탱크(10)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는 제빙 유닛(100)에 의해 제조되고 상술한 탈빙 수단에 의해 분리되어 냉수 탱크(10)에 저장된 냉수(14)의 수면으로 떠오른 얼음(16)을 얼음 저장고(20)로 이동시키는 얼음 이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구체적으로, 얼음 이동수단은 냉수 탱크(10)의 상부에 설치된 판상의 그릴(130)을 포함한다. 이 판상의 그릴(130)에는 물은 통과하고 얼음은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관통 홀들(132)이 형성되어 있고, 냉수 탱크(10)에 저장되는 냉수(14)의 수면과 평행한 일변(13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그릴 지지부(136)에 설치된다. 또한, 판상의 그릴(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등의 그릴 구동부(미도시)가 일측의 그릴 지지부(136)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 증발기(110) 자체는 냉수 탱크(10)의 바깥에 위치하고 각 제빙핀(112)이 핑거 홀(12)에 삽입되어 냉수 탱크(10) 안쪽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가졌지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빙핀(112)뿐만 아니라 증발기(110) 전체를(판상의 전기 히터(12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판상의 전기 히터까지) 냉수 탱크(10) 안쪽의 바닥면 상에 배치하여도 된다. 이때, 증발기(110)를 냉수 탱크(10) 안쪽의 바닥면에 반드시 밀착시켜 배치하지 않고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도 된다. 다만, 증발기(110)의 제빙핀(112)이 냉수 탱크(10)에 저장되는 냉수에 충분히 잠기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냉수 탱크(10)의 바닥면에 핑거 홀(12)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수밀을 위한 패킹이나 씰링도 필요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형상의 형상 규제부(144)를 가지는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복수 개 준비해 두고, 사용자의 취향이나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분리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110)를 포함한 제빙 유닛(100)이 냉수 탱크(10)의 냉수에 잠기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 냉수 탱크 상부에 냉수 탱크로부터 이격되어 제빙 유닛이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냉수 탱크 또는 제빙실의 공간을 절약하여 얼음 정수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 정수기의 청소나 유지 보수시 제빙 유닛(100)이 시야를 가리지 않고 작업 도구나 손이 냉수 탱크(10)의 구석구석까지 쉽게 미칠 수 있어, 청소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고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판상의 전기 히터(12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완성된 얼음(16)을 냉수 탱크 바닥면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 탈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의 동작, 즉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정수 탱크(미도시)로부터 냉수 탱크(10)로 정수를 정해진 만수 수위까지 공급한다(이 과정은 도시하지 않은 만수 수위 센서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이어서, 제빙을 위해 제빙 유닛, 즉 증발기(110)에 냉매가스를 공급하면, 증발기(110)의 각 제빙핀(112) 외주면으로부터 얼음이 성장하고, 점점 커지는 얼음은 얼음 형상 가이드(140)의 형상 규제부(144)의 내벽에 의해 규정되는 형상으로 성장하게 되고,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적절한 크기의 얼음이 완성된다.
이어서, 탈빙 수단(증발기에 공급되는 핫 가스, 전기 히터(114), 및/또는 판상의 전기 히터(120))을 이용하여 완성된 얼음(16)을 증발기 제빙핀(112)과 냉수 탱크(10) 바닥면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면 얼음(16)은 물보다 비중이 작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냉수(14)의 수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이동수단인 판상의 그릴(130)을 일변(134)을 중심으로 회전(도 6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릴(130)의 관통 홀들(132)을 통해 물은 냉수 탱크(10) 안으로 다시 떨어지고, 얼음(16)은 그릴(13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냉수 탱크(10) 측면에 설치된 얼음 저장고(20)로 이동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얼음 이동과정을 생략하고 도 5에 도시된 상태 그대로 두어, 냉수 탱크(10)에 저장된 물(14)을 냉각시키는 용도로 얼음(16)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추후에 다시 얼음을 제조하여 얼음 저장고(20)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대비하여, 현재 녹고 있는 얼음(16)이 나중에 얼음 저장고(20)로 이동되지 않도록, 그릴(130)을 도 5에서 시계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시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의 얼음(16)을 그릴(130) 뒤쪽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빙 유닛(100) 및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냉수 탱크(10)의 하부에서 냉수에 잠기도록 배치한 구성을 취하였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고안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 유닛이 냉수 탱크(10)의 상부에 배치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에서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는, 상수도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미도시), 필터에 의해 정수된 물을 1차 저장하는 정수 탱크(5),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냉수 탱크(10), 냉수 탱크 상부에 설치되는 제빙 유닛(100'), 제빙 유닛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20), 및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는 정수 탱크(5)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히터(미도시)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 탱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정수 탱크(5), 냉수 탱크(10), 온수 탱크(미도시)로부터는 사용자가 각 탱크에 저장된 물을 취수할 수 있도록 각각의 취수 배관과 밸브 등이 구비되고, 얼음 저장고(20)에 저장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공지의 얼음 취출수단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빙 유닛(100')(증발기(110))은, 냉수 탱크(10)의 상부에 각 제빙핀(112)의 선단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증발기(11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증발기의 각 제빙핀(112)에 제빙용 냉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 어셈블리(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는 노즐 어셈블리(150)로 냉수 탱크(10) 내부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순환 펌프(160)와 냉수 공급관(162)을 더 포함한다. 순환 펌프(160)는 냉수 탱크(10)의 바닥에 고정되거나 냉수 탱크(1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냉수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순환 펌프(160)를 통과한 물을 노즐 어셈블리(150)로 공급하는 냉수 공급관(162)도 냉수 탱크(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순환 펌프(160)와 냉수 공급관(162)을 냉수 탱크(10)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냉수 공급관(162) 내부의 냉수와 외부의 냉수 간의 온도 차이가 거의 나지 않기 때문에 냉수 공급관(162) 주위에 결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고, 냉수 공급관(162) 주위를 단열재로 둘러쌀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순환 펌프(160)의 구동으로 인한 소음이 얼음 정수기의 내부에서 대부분 차음되어 얼음 정수기의 구동 소음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노즐 어셈블리(150)는 냉수 공급관(162)과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제빙핀(112)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제빙핀(112)을 둘러싸도록 제빙핀(112)의 직경보다 넓은 관통공(152)이 형성된 판상 구조물이다. 노즐 어셈블리(150)의 내부에는 냉수가 유동하며, 제빙핀(112)을 둘러싸는 관통공(152)의 내주면에는 물분사 노즐(154)이 형성되어 제빙핀(112)에 냉수가 분사된다. 또한, 노즐 어셈블리(150)의 측면에는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155)와 체결 후크(15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얼음 형상 가이드(140)는 노즐 어셈블리(15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전술한 실시예와는 방향이 다르게 장착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얼음 형상 가이드(140)의 기판(142)이 냉수 탱크(10)의 바닥면에 놓이고, 형상 규제부(144)가 위를 향하도록 장착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 얼음 형상 가이드(140)는 기판(142)이 노즐 어셈블리(15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55)와 체결 후크(157)에 장착되고 형상 규제부(144)는 아래를 향하게 된다.
한편,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분리 교체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후크 결합 이외에도 나사결합, 볼트/너트 결합 등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빙 유닛(100')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얼음 저장고(20)로 이동시키기 위한 얼음 이동수단으로서 판상의 그릴(130')을 포함한다. 그릴(130')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물은 통과하고 얼음은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관통 홀들(1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그릴(130')은 제빙 유닛(100')과 냉수 탱크(10)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빙 유닛(100')에 의해 제조되어 탈빙됨으로써 낙하하는 얼음은 얼음 저장고(20)로 가이드되고, 제빙되지 않고 낙하하는 제빙용 냉수는 관통 홀들(132)을 통해 냉수 탱크(10)로 순환되어 냉수 탱크 내의 물을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그릴(13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탱크(10)와 얼음 저장고(20)의 경계벽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고, 냉수 탱크(10)와 얼음 저장고(20)의 경계벽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그릴(130')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릴(130')을 얼음 저장고(20) 쪽으로 회동시켜, 탈빙되어 낙하하는 얼음을 그대로 냉수 탱크(10)로 떨어지게 하여 냉수 탱크(10) 내의 물을 냉각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냉수 탱크(10)는 그 내부에 냉수 탱크 격벽(19)을 포함하여 냉수 탱크(10)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서로 완전히 단절된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은 아니고 각 공간이 서로 유체 연통될 수 있을 정도로 구획된다. 그리고 이렇게 구획된 냉수 탱크(10) 내부의 각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 순환 펌프(160)가 설치된다. 이 경우, 순환 펌프(160)가 설치되지 않은 공간으로는 정수 탱크(5)로부터 정수가 유입되고, 제빙 유닛(100')으로부터 떨어지는 냉수는 주로 순환 펌프(160)가 설치된 공간으로 떨어지게 하여, 제빙 유닛(100')에 의한 제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형상의 형상 규제부(144)를 가지는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복수 개 준비해 두고, 사용자의 취향이나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얼음 형상 가이드(140)를 분리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의 동작, 즉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과정은, 제빙 유닛(100')의 배치와 그에 따른 얼음 이동수단(130)의 동작이 다를 뿐, 전술한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얼음 정수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정수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얼음 냉온수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5 : 정수 탱크
10 : 냉수 탱크
12 : 핑거 홀
15, 155 : 가이드 돌기
17, 157 : 체결 후크
19 : 냉수 탱크 격벽
20 : 얼음 저장고
100, 100' : 제빙 유닛
110 : 증발기
112 : 제빙핀
114 : 전기 히터(탈빙 수단)
120 : 판상의 전기 히터(탈빙 수단)
122 : 핑거 관통 홀
124 : 열선
130, 130' : 그릴(얼음 이동수단)
132 : 관통 홀
136 : 그릴 지지부
140 : 얼음 형상 가이드
142 : 기판
144 : 형상 규제부
150 : 노즐 어셈블리
152 : 관통공
154 : 물분사 노즐
160 : 순환 펌프
162 : 냉수 공급관

Claims (20)

  1. 복수의 핑거 형상의 제빙핀을 가지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을 중심으로 생성되는 얼음의 형상을 규정하는 얼음 형상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형상 가이드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얼음 형상 가이드는,
    판상의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의 위치를 중심으로 각 제빙핀의 측방을 둘러싸는,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 기둥 형태의 복수의 형상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형상 규제부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별 모양, 하트 모양 및 동물 모양을 포함하는 임의의 폐곡선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정수기는 음용 가능한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기는 각 제빙핀의 선단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면서 상기 냉수 탱크에 저장되는 냉수에 잠기도록 배치되며,
    상기 얼음 형상 가이드는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면에는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핑거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은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면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핑거 홀에 삽입되어 수밀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면에 형성된 핑거 홀과 일치하는 위치에 핑거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서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판상의 전기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의 측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빙 유닛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 및
    상기 제빙 유닛에 의해 제조되어 상기 냉수 탱크의 수면으로 떠오른 얼음을 상기 얼음 저장고로 이동시키는 얼음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이동수단은 상기 냉수 탱크의 상부에, 상기 냉수 탱크에 저장되는 냉수의 수면과 평행한 일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판상의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각 제빙핀의 선단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얼음 정수기는,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에 제빙용 냉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형상 가이드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및 얼음 형상 가이드 아래에 위치하고 음용 가능한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탱크;
    상기 냉수 탱크의 측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빙핀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 및
    상기 증발기 및 얼음 형상 가이드와 상기 냉수 탱크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빙핀에 의해 제조되어 낙하하는 얼음은 상기 얼음 저장고로 가이드하고, 제빙되지 않고 낙하하는 제빙용 냉수는 상기 냉수 탱크로 통과시키는 그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11. 복수의 핑거 형상의 제빙핀을 가지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을 중심으로 생성되는 얼음의 형상을 규정하는 얼음 형상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형상 가이드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얼음 형상 가이드는,
    판상의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의 위치를 중심으로 각 제빙핀의 측방을 둘러싸는,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 기둥 형태의 복수의 형상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냉온수기.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형상 규제부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별 모양, 하트 모양 및 동물 모양을 포함하는 임의의 폐곡선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냉온수기.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냉온수기는 음용 가능한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기는 각 제빙핀의 선단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면서 상기 냉수 탱크에 저장되는 냉수에 잠기도록 배치되며,
    상기 얼음 형상 가이드는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냉온수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면에는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핑거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은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면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핑거 홀에 삽입되어 수밀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냉온수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면에 형성된 핑거 홀과 일치하는 위치에 핑거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서 상기 냉수 탱크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판상의 전기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냉온수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의 측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빙핀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 및
    상기 제빙핀에 의해 제조되어 상기 냉수 탱크의 수면으로 떠오른 얼음을 상기 얼음 저장고로 이동시키는 얼음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냉온수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이동수단은 상기 냉수 탱크의 상부에, 상기 냉수 탱크에 저장되는 냉수의 수면과 평행한 일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판상의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냉온수기.
  19.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각 제빙핀의 선단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얼음 냉온수기는,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증발기의 각 제빙핀에 제빙용 냉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형상 가이드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냉온수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및 얼음 형상 가이드 아래에 위치하고 음용 가능한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탱크;
    상기 냉수 탱크의 측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빙핀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 및
    상기 증발기 및 얼음 형상 가이드와 상기 냉수 탱크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빙핀에 의해 제조되어 낙하하는 얼음은 상기 얼음 저장고로 가이드하고, 제빙되지 않고 낙하하는 제빙용 냉수는 상기 냉수 탱크로 통과시키는 그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냉온수기.
KR2020120012029U 2012-12-20 2012-12-20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200475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029U KR200475742Y1 (ko) 2012-12-20 2012-12-20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029U KR200475742Y1 (ko) 2012-12-20 2012-12-20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84U KR20140003984U (ko) 2014-06-30
KR200475742Y1 true KR200475742Y1 (ko) 2014-12-31

Family

ID=5244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029U KR200475742Y1 (ko) 2012-12-20 2012-12-20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470B1 (ko) 2021-11-24 2022-05-03 이종용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21013933A (es) * 2019-05-16 2022-03-11 Prive Products Llc Sistema y método para hacer una pajilla de hiel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023A (ko) * 2008-03-27 2009-10-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빙 시스템
KR20120111374A (ko) * 2011-03-31 2012-10-10 정휘동 탈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탈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023A (ko) * 2008-03-27 2009-10-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빙 시스템
KR20120111374A (ko) * 2011-03-31 2012-10-10 정휘동 탈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탈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470B1 (ko) 2021-11-24 2022-05-03 이종용 정수통 일체형 기능성 냉온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84U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700B1 (ko)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US9500399B2 (en) Water purifier with ice maker
KR200458160Y1 (ko) 얼음 정수기
KR101337080B1 (ko) 정수기 및 제빙용 증발기
KR102038030B1 (ko) 냉수 공급장치 및 냉수 공급을 위한 제어방법
KR20130110874A (ko) 제빙기
KR101795424B1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KR20130026969A (ko) 제빙시스템
KR20090111716A (ko) 보조탱크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CN102727090A (zh) 冷水贮水罐内安有循环泵的冰块饮水机及冰块冷温水机
JP2018031581A (ja) 製氷装置
KR200475742Y1 (ko)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101463904B1 (ko) 제빙 유닛을 냉수 탱크 하부에 배치한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20110069248A (ko) 얼음 정수기
KR101765666B1 (ko) 상하 분리형 탱크구조
KR101644836B1 (ko) 냉매공급 및 배출을 일체형 구조로 구현하는 제빙장치
KR102354052B1 (ko) 제빙기
KR101826872B1 (ko) 제빙기
KR200467123Y1 (ko) 얼음이 출빙되는 냉온수기
KR20160012253A (ko) 냉수공급장치
KR101306140B1 (ko) 제빙기의 제빙유닛과 이를 이용한 얼음형성방법
KR101346963B1 (ko) 와인 냉각장치
KR102649978B1 (ko)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2392197B1 (ko)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KR101647648B1 (ko) 순간냉수 생성이 가능한 얼음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