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396B1 -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과립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식품 - Google Patents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과립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396B1
KR102314396B1 KR1020190084177A KR20190084177A KR102314396B1 KR 102314396 B1 KR102314396 B1 KR 102314396B1 KR 1020190084177 A KR1020190084177 A KR 1020190084177A KR 20190084177 A KR20190084177 A KR 20190084177A KR 102314396 B1 KR102314396 B1 KR 102314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es
coating layer
extract
core
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535A (ko
Inventor
유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스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스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스타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084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3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05Coating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vegetable or microbial fermentation gums, e.g. cellulose or derivatives; Coating with edible polymers, e.g. polyvinyalcoh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마토코쿠스(Haematococcus)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은, 산화방지 제1 코팅층; 및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2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과립(granule)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과립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과립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식품{GRANULES INCLUDING HAEMATOCOCCUS EXTRA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GRANULES}
본 발명은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과립(granule)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과립을 포함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섭취와 휴대가 간편한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헤마토코쿠스 추출물(Haematococcus Pluvialis)의 지표 성분인 아스타잔틴(Astaxanthin)은, 인체의 신진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의 활동을 억제하는 대표적 항산화물질이다. 이러한 아스타잔틴은 적색을 띠는 케토카로티노이드 계통의 색소로서,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비타민 E보다 500배, 베타-카로틴보다 20배 정도 높은 항산화 활성을 지닌다. 그 외에도 자외선에 의한 눈과 피부 보호, 면역 기능 강화 등 다양한 기능이 알려져 있어 최근에는 아스타잔틴을 함유한 식품첨가제, 건강 기능식품, 기능성 화장품, 의약품 등을 개발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한편 헤마토코쿠스는 단백질, 지질 및 탄수화물로 이루어진 광반응을 하는 식물세포이기 때문에, 대기 (공기) 노출시 온도, 수분 및 자외선 환경에서 쉽게 산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산패는 지표 성분의 성능 지수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식품원료로서 기능을 상실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식품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냉동 보관(-20℃) 등의 엄격한 보관 조건이 필요하다. 종래 헤마토코쿠스를 추출물 형태의 액상제제 또는 분말 형태의 정제로 제형화할 경우, 산화가 쉬운 물질의 특성상 장기간 상온 보관이 곤란할 뿐만 섭취 이용 면에서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소정의 코팅층을 갖는 과립(granule) 제형으로 변형하고, 필요에 따라 기능성 물질을 복합화함으로써, 일상 생활 조건에서 식품 원료로서 섭취가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과립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과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헤마토코쿠스 (Haematococcus)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은 산화방지 제1 코팅층; 및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2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과립(granule)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들면, 상기 코어는, 활성 성분으로 4 내지 6.5%의 아스타잔틴 (Astaxanthi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들면, 상기 제1 코팅층은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테르, 변성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들면, 상기 인삼 추출물은 홍삼 농축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들면, 상기 제2 코팅층의 함량은 당해 코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98 중량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들면, 상기 코어의 평균 입경(D50)은 0.3 mm 이하이며, 과립의 평균 입경(D50)은 0.3 mm 초과, 3.0 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들면, 상기 과립은 감미제, 보존제, 결합제, 및 착향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과립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안구 질환 예방, 눈피로 개선, 또는 이들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들면, 상기 과립은, 12 내지 40 mg/g의 아스타잔틴과 15 내지 35 mg/g의 진세노사이드 (ginsenoside)를 함유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i) 헤마토코쿠스(Haematococcus) 추출물 시드(seed)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ii) 상기 시드 분말을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하여 미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미세 과립 상에,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들면, 상기 단계 (iii)는, (iii-1) 상기 미세 과립 상에 산화방지 제1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iii-2) 상기 제1 코팅층 상에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2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들면, 상기 단계 (iii)는, 상부 분무(top spray) 유동층 조립기 또는 하부 분무(bottom spray) 유동층 조립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들면, 상기 단계 (iii)는 50~60℃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40℃ 이하의 온도 조건 하에서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소정의 코팅층을 갖는 과립(granule) 제형으로 변형하고, 필요에 따라 기능성 물질을 복합화함에 따라, 보관이 용이하며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고, 다른 음료 없이도 섭취할 수 있으므로 섭취가 용이하다.
이에 따라, 전술한 과립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항산화 기능과 함께 눈의 조절능력 강화에 도움을 주며, 망막 모세혈관의 혈류량을 증가시켜 눈의 피로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므로, 안구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립(granule)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립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각 단계별로 제조된 과립 및 상기 과립을 포함하는 제품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명세서 전체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조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위에" 또는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제(granule formulation)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립(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과립(100)은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어(10); 및 상기 코어(10)의 표면을 감싸는 적어도 1층의 코팅층(20)을 포함하는 코어-쉘(core-shell) 구조를 갖는다. 이하, 과립(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코어
본 발명의 과립(100)에 있어서, 코어(10)는 활성성분인 아스타잔틴 (Astaxanthin)을 함유하는 미세 조류(microalgae) 추출물 또는 이의 건조분말을 포함한다.
여기서, 미세조류(microalgae)는 크기 50 ㎛ 이하의 단세포 조류로서, 자연계의 먹이사슬에서 최하위에 위치하여 광합성 색소를 가지며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산하는 독립영양생물이다. 사용 가능한 미세조류의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파피아(Phaffia)속, 파라코커스(Paracoccus)속, 및 헤마토코쿠스(Haematococcus)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미생물의 빠른 성장과 식약처 고시형 기능성 지표 물질로 인정된 아스타잔틴을 함유하는 헤마토코쿠스 플루비아리스 (Haematococcus pluvialis)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청정지역인 아이슬란드(Iceland)에서 배양된 헤마토코쿠스 플루비아리스(Haematococcus pluvialis)일 수 있다.
상기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은 원료 또는 이의 건조물을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원료는 배양하여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추출 방법으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 용매 추출법, 냉침 추출법, 가열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또는 환류 추출법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물법 또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저급 알코올(구체적으로, C1-C4의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헤마토코쿠스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아스타잔틴(Astaxanthin; 3,3'-dihydroxy-β,β-carotene-4,4'-dione)을 포함한다. 아스타잔틴은 베타카로틴(β-carotene)과 같은 화학 구조를 갖는 카로티노이드계 색소의 일종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 바와 같이 β-카로틴에 비해 양쪽 말단에 하이드록실기(-OH)와 케톤기(=O)를 하나씩 더 가지는 화학 구조 (C40H52O4)를 갖는다. 이에 따라, 기존 항산화 물질보다 월등히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다. 특히, 슈퍼 비타민E라고 불릴 정도로 강한 항산화 능력을 가져 망막의 혈류량을 증가시켜 눈의 피로도 개선 및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서, 루테인보다 3배 강하게 활성산소를 잡아 줄 뿐만 아니라 지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세포막에 친화성이 있어 눈 건강과 세포 기능 등에 있어 매우 좋다. 비타민 E인 α-토코페롤(tocoperol) 보다 지방 구조 내에서 100~500배 정도의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β-카로틴보다는 10배 이상 더 강력한 항산화제 기능을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71406710-pat00001
상기 코어(10)에 포함된 아스타잔틴은, 천연 공급원에서 얻어진 것으로 구체적으로, 아이슬란드(Iceland)에서 배양된 헤마토코쿠스를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하거나 또는 압착과 같은 물리적 힘을 가하여 헤마토코쿠스의 세포벽(cell)을 부수어 얻어진 천연 아스타잔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코어(10)는 활성 성분으로 4 내지 6.5%의 아스타잔틴 (Astaxanthi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10)는 유효 성분으로 1g 당 아스타잔틴 함량이 적어도 12 mg 이상이며, 구체적으로 12 내지 40 mg/g, 보다 구체적으로 12 내지 36 mg/g (또는 4 내지 12 mg/0.3g)일 수 있다.
코어(10)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통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코어(10)의 평균 입경(D 50)은 100 메쉬(mesh)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100 메쉬(mesh)는 대략 0.3 mm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0)의 평균 입경은 0.3 mm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 마이크로미터 내지 0.3 mm일 수 있다.
상기 코어(10)의 형태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구형일 수 있다.
코팅층
본 발명에 따른 과립(100)은, 전술한 헤마토코쿠스 추출물 함유 코어(10)의 표면을 둘러싸는 적어도 1층의 코팅층(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1층의 코팅층(20)은, 코어(10)의 산화 및 산패를 방지하는 제1 코팅층(21); 및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2 코팅층(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과립(100)의 산패방지, 보관성, 휴대성, 섭취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산화방지 제1 코팅층(21)과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2 코팅층(22)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코팅층(21)은 코어(10)의 표면에 직접 부착되어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이 대기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산패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산패는 유지를 공기 속에 오래 방치해 두었을 때 산성이 되어 불쾌한 냄새가 나고, 맛이 나빠지거나 빛깔이 변하는 현상(산화)을 의미한다. 산패가 되면 산가 또는 과산화물가 증가, 영양가 감소, 독성 발현, 필수 지방산 파괴 등이 일어나게 된다. 산패가 일어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코어(10)가 직접 대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적어도 1층의 코팅층(20), 구체적으로 제1 코팅층(21)으로 인해, 코어(10)의 변질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층(21)은 코어(10)와 우수한 부착성을 가지면서, 산화 및/또는 산패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이의 성분이나 두께 등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 가능한 제1 코팅층(21)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테르, 변성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셀룰로오스, 예컨대 HPMC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코팅층(21)을 구성하는 물질의 함량 조절을 통해 제1 코팅층(21)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제1 코팅층(21)의 함량은 당해 코어(10)의 총 중량(예, 아스타잔틴 4~6.5%를 갖는 헤마토코쿠스 분말 100 중량부)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내지 6 중량부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범위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제2 코팅층(22)은,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이 나타내는 효과를 저감시키지 않으면서, 신진대사 기능에 도움을 주거나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의 식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물질, 즉 인삼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인삼으로는 당 업계에 공지된 삼(蔘)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는 수삼, 백삼, 홍삼, 산삼, 산삼 배양근, 장뇌삼 등의 인삼류를 세척하고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산처리, 고온처리, 가압처리 등을 거친 삼을 사용하거나, 또는 인삼류에서 얻은 농축액 또는 추출액,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홍삼 추출물, 또는 홍삼 농축액을 사용할 수 있다.
홍삼은 원료인삼(수삼)을 장기간 저장할 목적으로 수회 증숙하여 건조한 것을 지칭한다. 이러한 홍삼은 그 제조과정에서 수삼이나 백삼에는 없거나 극히 미미한 성분이 홍삼 특유의 생리활성 성분들로 새롭게 생성되거나 또는 수 배 이상 증대된다. 또한 인삼의 주요 약리작용을 하는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의 화학구조가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홍삼은 소위 5대 기능인 면역력 개선, 피로회복, 기억력 개선, 혈행개선, 항산화 효과 등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홍삼 농축액은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례로 수삼을 증삼(蒸蔘)시키고 건조시켜 얻어진 홍삼을 물이나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여 가열추출함으로써 홍삼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홍삼 농축액을 함유하는 제2 코팅층(22)은 유효 성분으로 15 내지 35 mg/g (구체적으로, 5 내지 10mg/0.3g) 의 진세노사이드 (ginsenoside)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5 내지 25 mg/g (또는 5 내지 8 mg/0.3 g)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세노사이드는 홍삼에 포함된 사포닌을 의미하며, 일례로 Rg1, Rg2, Rg3, Rb1, Rb2, Rg5, Rh1, Rk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팅층(22)은 단일 코팅층이거나 또는 적어도 2층의 다층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다층 형태일 경우, 복수의 제2 코팅층(22)은 서로 다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갖거나, 또는 농도 구배(gradient)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코팅층(22)을 구성하는 기능성 물질, 예컨대 홍삼 농축액의 함량 조절을 통해 제2 코팅층(22)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구체예를 들면, 상기 제2 코팅층(22)의 함량은 당해 코어(10)의 총 중량(예, 아스타잔틴 4 ~ 6.5%를 갖는 헤마토코쿠스 분말 100 중량부)을 기준으로 3 내지 98 중량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 내지 95 중량부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범위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하기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과립(100)은 당해 과립의 수분 영향을 방지하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코팅층은 방습 내지 산패를 지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이의 성분이나 함량, 두께 등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립(100)은 평균 입경(D50)이 0.3 mm 초과, 3.0 mm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3 mm 초과, 2.8 mm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평균 입경은 과립(granule)의 크기를 평균 지름이나 대표 지름인 D50으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과립(100)은, 당해 과립의 고유 특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감미제, 보존제, 결합제, 착향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전술한 첨가제는 당 분야에 공지된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일례로 당해 과립의 총 중량(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감미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설탕, 수크랄로스, 프락토올리고당, 자일리톨, 말토덱스트린, 스테비아 추출물(stevioside), 아스파탐(aspartame), 올리고당, 소르비톨(sorbitol), (결정)과당, 꿀, 엿기름, 물엿, 요리당, 식물성크림분말, L-글루타민산, L-글루타민산나트륨, 사카린, 사카린나트륨, 구연산, 주석산, 주석산나트륨, 젖산 아디핀산, 푸마르산, 푸마르산나트륨, 감자 추출물(피로즐친), 감초 추출물(glycyrrhetenic acid), 타강카 추출물(monellin), 타우마틴(thaumatin), 아세설팜(acesulfame), 둘신, 시클라민산나트륨(cyclamate sodium)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보존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올리브오일, 벤잘코늄염화물, 벤질알코올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결합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꿀,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아가, 글리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포비돈, 히프로멜로오스, 폴리메타크릴레이트히프로멜로오스(HP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착향제는 제제에 향을 더하여 불쾌감을 상쇄시키는 통상의 착향 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성분들 이외에, 기타 보조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기타 보조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전호화분 녹말(pregelatinized starch), 카복시메틸전분(carboxymethyl starch), 아라비아검(arabic gum), 덱스트란(dextran), 세스바니아검(sesbania gum), 카라기닌(carrageenan), 인도검(india gum), 풀릴라란(fureellaran), 트라가칸트검(tragacanth gum), 타마린드검(tamarind gum), 펙틴(pectin), 잔탄검(xanthan gum), 알긴산(alginic acid), 소금, 한천(agar),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glyceryl monostearate),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 (polyoxyethylene monostearate), 가교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실리카(silica),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윤활용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비타민 C, 유당, 말토오스, D-만니톨, 양이온 교환 수지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헤마토코쿠스 추출물 함유 단일 코어(10) 상에, 산화방지 제1 코팅층(21) 및 인삼 추출물 함유 제2 코팅층(22)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과립(100)을 위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코어(10)의 형태나 구조, 코팅층(20)의 층수, 형상 등을 다양화하여 제조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전술한 인삼 추출물 대신에 다양한 약리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의 제조방법>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립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제조방법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공정의 단계가 변형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헤마토코쿠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말을 시드(seed) 분말로 사용하여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하여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들면, (i) 헤마토코쿠스(Haematococcus) 추출물 시드(seed)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S10 단계'); (ii) 상기 시드 분말을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하여 미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S20 단계'); 및 (iii) 상기 미세 과립 상에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30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립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3은 각 제조공정 별로 수득된 결과물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3을 참고하여 각 공정 단계별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헤마토코쿠스 추출물 시드 분말 제조단계('S10 단계')
상기 S10 단계에서는, 과립화를 하기 위한 시드(seed) 분말을 준비한다.
시드 분말은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이용하여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헤마토코쿠스 추출물 또는 이의 건조 분말을 고속 혼합기에서 혼합하여 이들이 물리적으로 균일하게 결착된 시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일례를 들면, 상기 헤마토코쿠스 추출물 또는 이의 건조 분말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시드화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S10 단계에서 제조된 시드 분말은 도 3의 (a)로 나타낼 수 있으며, 평균 입경은 100 메쉬 이하, 구체적으로 0.3 mm 이하일 수 있다.
(2) 과립화 단계('S20 단계')
이어서, 상기 S20 단계에서는, 시드 분말을 분체 형태로 과립화하여 미세 과립(granule)을 생성한다.
이때 과립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유동층 과립기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S20 단계의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시드 분말을 유동층 과립기의 밀폐된 챔버 내에 공급한 후 유동 부유하도록 한다. 이러한 유동층 순환에 의해 시드 분말들이 접촉하여 시드 분말간의 부착이 발생되고, 또한 유동층의 열이나 압력에 의해 부착된 시드 분말이 건조되어 미세 과립이 생성된다. 필요에 따라, 당 분야에 공지된 결합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S20 단계에서 제조된 미세 과립은 도 3의 (b)로 나타낼 수 있다.
(3) 코팅층 형성 단계('S30 단계')
상기 S30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생성된 미세 과립 상에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유동층 과립기 내에서 유동화시킨 상태에서 코팅액을 미세 과립에 분사하여 코팅액이 코팅된 미세 과립을 형성하고, 이를 건조하여 시드 입자(코어) 및 상기 시드 입자를 둘러싸는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과립을 형성한다.
구체적인 일례를 들면, 상기 S30 단계는, (iii-1) 상기 미세 과립 상에 산화방지 제1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S31 단계'); 및 (iii-2) 상기 제1 코팅층 상에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2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32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S31 단계와 S32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산화방지 제1 코팅층 및 인삼 추출물 함유 제2 코팅층은 전술한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코팅층 형성 단계는, 상부 분무(top spray)형 유동층 과립기 또는 하부 분무(bottom spray)형 유동층 과립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부 분무형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부 분무(top spary)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미세 과립을 밀폐된 유동층 과립기의 하단에 투입한 후 소정의 가열된 공기를 투입하여 유동층 과립기의 챔버를 유동 부유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유동층 과립기의 상부에 분사노즐을 통하여 코팅액, 예컨대 산화방지용 제1 코팅액과, 인삼 추출물 제2 코팅액을 순차적으로 분사함으로써, 코팅물질이 휘발 증착된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분무 방식을 적용할 경우, 코팅액이 유동화된 미세과립 입자와 보다 균일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과립 크기 및 형태에 대한 품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코팅을 실시하기 전에, 유동층 과립기의 챔버(chamber)를 50~60℃에서 예비 가열하여 수분을 미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코팅액을 유동층 과립기 내부로 분사할 때, 유동층 과립기 내부의 온도는 40℃ 이하(예를 들어, 35~40℃)로 조절하여 1 내지 12 시간 정도 코팅할 수 있다. 챔버의 온도를 40℃ 이하로 유지하면서 저온에서 코팅 및 건조를 실시하는 경우 과립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이 변질될 염려가 없고 약리적인 특성과 관능적인 특성 면에서 우수한 과립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코팅 단계의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조건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코팅액의 공급량은 45~165 rpm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0~165 rpm일 수 있다. 분사 압력은 1.5~3.0 kgf/cm2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8~2.8 kgf/cm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S30 단계에서 미세 과립 대 코팅액에 함유된 고형분의 중량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코팅층의 함량 및 두께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수분 함량이 12~18% (v/w)가 되도록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S31 단계와 S32 단계를 거쳐 제조된 과립은, 각각 도 3의 (c) 및 (d)로 나타낼 수 있다. 최종 과립의 평균 입경은 0.3 mm 초과, 3.0 mm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3 초과, 2.8 mm 이하일 수 있다.
이어서 완성된 과립을 스틱형 밀봉 포장재에 넣어 포장하는 단계('S40 단계')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하기 도 3의 (e) 참조).
<건강 기능 식품>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 (granule)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이다. 구체적으로,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어와,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과립;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첨가제를 포함하는 안구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여기서, 건강 기능 식품(health functional food)은, 건강 보조의 목적으로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특정 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 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및 가공된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기본적으로 과립 제형(granule formulation)으로 제공된다. 그 외에 당해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전술한 과립제가 포함되거나 혼합된 제형, 예컨대 정제, 환제, 캡슐제, 액상 제제,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도 제공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한편 상기 과립제를 건강 기능 식품으로서 제조하는 경우,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추가성분으로서 여러 가지 향미제, 감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천연 또는 합성 감미제일 수 있고, 천연 감미제의 예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이 있다. 한편, 합성 감미제의 예로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올리고당 및 당알코올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추가성분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스탄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과립제의 총 중량(예,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컨대 예방 및/또는 개선용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은 독성, 부작용 등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과립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사용량이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2 내지 40 mg/g의 아스타잔틴과 15 내지 35 mg/g의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를 들면, 과립의 1일 섭취량인 0.3g를 기준으로 하여 4 내지 12mg의 아스타잔틴과, 5 내지 10mg의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를 일일 1회 내지 3회로 나누어 복용할 수 있다. 상기 복용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섭취가 간편한 과립 제형이므로, 물 없이도 언제 어디서든 복용이 가능하며, 복용 방법 역시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일례로, 기호에 따라 요거트, 우유, 주스 및 드링크 형태에 투입하여 음용하도록 복용할 수도 있다.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을 섭취할 경우, 아스타잔틴에 기인한 눈 피로 개선을 비롯한 눈 건강과 면역력 향상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홍삼 농축액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로 인해 항산화, 피로회복, 기억력 개선 및 혈행 흐림 개선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기능성 식품>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 (granule)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이다.
여기서, 기능성 식품은 식품 성분이 갖는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질병의 예방 및 질병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도 갖고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은 당 분야에 정의된 식품 조성물, 식품 첨가제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은, 안구 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과립이 첨가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기 과립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낙농 제품, 음료수, 차, 드링크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의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0 중량부, 구체적으로 0.1 내지 15 중량부의 과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은, 전술한 주요 유효성분, 예컨대 아스타잔틴과 진세노사이드의 혼합조성으로 인하여 상승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단순한 안구 질환 예방 및 면역력 개선 효과 이외에도 각종 항산화, 피로회복, 기억력 개선, 혈행 흐름에서 우수한 건강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과립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에 대해 관능 검사를 실행한 결과, 외관, 맛 및 섭취 면에서 선호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약처에서 기능성 지표 물질로 제시하고 있는 바이오매스(biomass, 아스타잔틴 함량 4%, 헤마토코쿠스 추출분말) 1 kg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유동층 과립기의 밀폐된 챔버 내에, 상기 바이오매스(아스타잔틴 함량 4%, 헤마토코쿠스 분말) 1kg를 시드(seed) 분말로 사용하여 유동 부유되도록 유동화시킨 후, 상부 분무(Top spray) 방식으로 4%의 HPMC 용액 (소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셀룰로오스 함유 코팅액)을 사용하여 당해 바이오매스의 총 중량 대비 2 중량부 (= 1,000g x 2%)가 되도록 코팅하였다. 이때 코팅 시간은 2시간 30분이었으며, 챔버의 내부온도는 35~40℃가 되도록 유지하였다.
상기 챔버 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50 ~ 60 ℃로 예비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였으며, 이후 챔버의 온도가 40℃가 넘지 않게 유지하며 코팅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건조된 과립을 포장재에 진공 포장하였다(하기 도 3 참조).
[실시예 2]
챔버에 바이오매스(아스타잔틴 함량 4%, 헤마토코쿠스 분말) 1kg 대신 30 kg을 투입하고, 4% HPMC 용액을 사용하여 당해 바이오매스의 총 중량 대비 5 중량부가 되도록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HPMC로 1차 코팅된 과립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헤마토코쿠스 추출 분말(아스타잔틴 4%)의 총 중량 대비 홍삼 농축액이 97 중량부가 되도록 홍삼 농축액을 2차 코팅하였다. 이때 2차 코팅 조건 및 챔버의 내부온도는 1차 코팅 조건과 동일하다. 이어서 건조된 과립을 포장재에 진공 포장하였다.
[실시예 3]
챔버에 바이오매스(아스타잔틴 함량 4%, 헤마토코쿠스 분말) 1kg 대신 30g을 투입하고, 홍삼 농축액 1,940g을 사용하여 35~40℃에서 10시간 정도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실시예 3의 과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코팅층을 형성하는 대신, 실시예 1의 헤마토코쿠스 추출 분말을 타정하여 분말형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 평가
실시예 2의 과립과 비교예 1의 분말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복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패널은 일반인 남자 5명, 여자 5명 총 10명을 선정하여 1회에 2가지의 시료를 제시하고 10회에 걸쳐 시료의 반복횟수는 3번으로 하여 시료의 외관, 맛, 목넘김(식감), 섭취 용이성 등의 종합적 기호도를 다음과 같은 9점 척도법에 의해 평가하도록 하였다(1점: 아주 나쁨, 9점: 아주 좋음).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평균으로 표시하였으며, 이상의 관능 검사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냈다.
외관 목넘김(식감) 섭취 용이성
실시예 1 8.64 8.46 8.62 8.79
비교예 2 8.43 8.09 8.18 8.1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과립 제형의 실시예 1의 경우 외관, 맛, 식감, 섭취 용이성 면에서 모두 8.4점 이상으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전술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형 건강 기능식품은 섭취가 용이하여 유효성분인 아스타잔틴을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눈 건강과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휴대가 간편하므로, 안구 질환 예방 및 개선, 면역력 증대용 건강식품 및 식료품 제조산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과립
10: 코어
20: 적어도 1층의 코팅층
21: 제1 코팅층
22: 제2 코팅층

Claims (14)

  1. 아스타잔틴을 6 내지 6.5% 포함하는 헤마토코쿠스 플루비아리스(Haematococcus pluvialis)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는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은,
    산화방지 제1 코팅층; 및
    상기 제1 코팅층의 외면에 코팅되며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고, 유효 성분으로 15 내지 35 mg/g의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를 함유하는 제2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코팅층은 적어도 2층의 다층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서로 다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갖거나 서로 다른 농도 구배를 갖는 과립(granule).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은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에테르, 변성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과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추출물은 홍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과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층의 함량은 당해 코어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 내지 98 중량부를 갖는, 과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평균 입경(D50)은 0.3 mm 이하이며,
    과립의 평균 입경(D50)은 0.3 mm 초과, 3.0 mm 이하인, 과립.
  7. 제1항에 있어서,
    감미제, 보존제, 결합제, 및 착향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과립.
  8.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과립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안구 질환 예방 또는 눈피로 개선용인 건강기능식품.
  11. 제1항에 기재된 과립의 제조방법으로서,
    (i) 아스타잔틴을 6 내지 6.5% 포함하는 헤마토코쿠스 플루비아리스(Haematococcus pluvialis) 추출물을 이용하여 시드(seed)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ii) 상기 시드 분말을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하여 미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i) 상기 미세 과립 상에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iii)는,
    (iii-1) 상기 미세 과립 상에 산화방지 제1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iii-2) 상기 제1 코팅층 상에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2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iii-2) 단계에서, 상기 제2 코팅층은 적어도 2층의 다층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서로 다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갖거나 서로 다른 농도 구배를 갖는 과립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는, 상부 분무(top spray) 유동층 조립기 또는 하부 분무(bottom spray) 유동층 조립기를 이용하는 과립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는 50~60℃에서 수분을 제거한 후, 40℃ 이하의 온도 조건 하에서 적어도 1층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립의 제조방법.
KR1020190084177A 2019-07-12 2019-07-12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과립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식품 KR102314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177A KR102314396B1 (ko) 2019-07-12 2019-07-12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과립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177A KR102314396B1 (ko) 2019-07-12 2019-07-12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과립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535A KR20210007535A (ko) 2021-01-20
KR102314396B1 true KR102314396B1 (ko) 2021-10-19

Family

ID=7430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177A KR102314396B1 (ko) 2019-07-12 2019-07-12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과립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3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442A (ja) * 2002-02-19 2003-08-27 Sunnyhealth Co Ltd 眼健康指向性組成物
KR101831740B1 (ko) * 2016-07-29 2018-02-23 주식회사 이지1 비타민c를 시드로 한 인삼류 농축액을 이용한 과립 코팅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722A (ko) * 2007-07-20 2009-01-23 (주)지원비즈텍 안정화된 항산화제-함유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442A (ja) * 2002-02-19 2003-08-27 Sunnyhealth Co Ltd 眼健康指向性組成物
KR101831740B1 (ko) * 2016-07-29 2018-02-23 주식회사 이지1 비타민c를 시드로 한 인삼류 농축액을 이용한 과립 코팅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535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188B1 (ko)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1938810A1 (en) Ameliorating agent for metabolic syndrome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96458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WO2003006037A1 (fr) Medicaments de traitement
KR10077152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US2018029661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health fo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water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pf.) as active ingredient
KR101565964B1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4396B1 (ko)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과립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식품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68830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KR10063849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101210748B1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08925807A (zh) 一种降糖降压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642806B1 (ko) 증숙 후 발효시킨 더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hah et al. Fruit and fruit products as functional foods
KR20070047396A (ko)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KR100758266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구절초 추출물
KR101894491B1 (ko) 지각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528557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의약 조성물
KR102151003B1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8581B1 (ko) 팽화 가공처리한 홍삼 및 구기자,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또는 증진용 조성물
KR101750854B1 (ko) 프로폴리스 추출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소분획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102382817B1 (ko) 수세미 및 엘더베리가 함유된 면역력 증진용 음료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