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871B1 - 물품 반송 설비 및 천정 반송차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및 천정 반송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871B1
KR102309871B1 KR1020150014211A KR20150014211A KR102309871B1 KR 102309871 B1 KR102309871 B1 KR 102309871B1 KR 1020150014211 A KR1020150014211 A KR 1020150014211A KR 20150014211 A KR20150014211 A KR 20150014211A KR 102309871 B1 KR102309871 B1 KR 102309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wheel
transport vehicle
wheel
section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380A (ko
Inventor
요시나리 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50116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61B3/02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61C13/04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for elevated railways with rigid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7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semiconductor wafers Not used, see H01L21/6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과제) 물품 반송 설비의 천정측에서 물품의 반송을 행하는 천정 반송차가 여러 가지 곡률의 커브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해서 주행 레일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높인다.
(해결 수단) 천정 반송차(20)를 주행 레일(30I, 30E)을 따라 주행시키는 구동륜(42I, 42E)과, 구동륜(42I, 42E)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종동륜(44I, 44E)을 천정 반송차(20)의 반송 방향에 대한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하고, 직진 구간에 있어서는 좌우 양측의 구동륜(42I, 42E)이 각각 주행 레일(30I, 30E)에 지지되도록 하고, 커브 구간에 있어서는 내주측의 종동륜(42I)이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에 지지되며 또한 외주측의 구동륜(42E)이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에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 및 천정 반송차{ARTICLE TRANSPORT FACILITY AND CEILING TRANSPORT VEHICLE}
본 발명은 설비의 천정 부근에 형성된 반송로를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에 의해 물품의 반송을 행하는 물품 반송 설비 및 그 천정 반송차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의 제조 설비 등에 있어서는 설비의 천정 부근에 형성된 반송로(주행 레일)를 따라 반송차(천정 반송차)를 주행시키고, 이 천정 반송차가 하방의 물품(복수의 반도체 웨이퍼나 제작 도상의 반도체 장치가 수납된 매거진, 후프, 케이스 등)을 서스펜딩하도록 함으로써 물품이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도록 구성된 물품 반송 설비의 방식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사용되는 천정 반송차는 일반적으로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 위를 주행하기 위한 차륜(구동륜)을 차체의 좌우에 각각 구비하고 있지만, 이 좌우의 구동륜으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차축에 대해서는 좌우에서 공통의 차축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때, 반송로의 커브 구간, 즉 주행 레일 형상이 곡선적으로 되어 있는 구간에 있어서는 구동륜이 통과해야할 거리가 좌우로 다른 것이 되기(내외 축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직진 구간과 동일하도록 달리게 하면 천정 반송차의 자세가 주행 해야할 방향에 대해서 좌우로 어긋나버린다. 이것에 의해 천정 반송차가 커브 구간에서 걸려서 주행을 정지해버리거나 최악의 경우 주행 레일로부터 전락하는 경우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디퍼렌셜 기어로 좌우 구동륜의 회전수를 조정하는 등 내외 축차에 관한 대책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물품 서스펜딩을 행하기 위한 제어 장치 등에 추가해서 좌우 구동륜의 회전수를 다르게 하기 위한 디퍼렌셜 기어 등의 복잡한 기구를 구비하면 천정 반송차의 사이즈가 과도하게 커져버려 반송을 위해서 큰 스페이스를 확보해야만 하게 되고, 또한 천정 반송차의 제조 비용도 비싸게 되어버린다.
이것에 대해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반송 대차의 구동륜에 대경 부분과 소경 부분을 준비하고, 커브 구간에 있어서는 내주측에서 소경 부분이 주행 레일에 접하고, 외주측에서 대경 부분이 주행 레일에 접하도록 해둠으로써 좌우의 구동륜을 공통의 구같은 축으로 구동하면서도 디퍼렌셜 기어 등의 기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커브를 매끄럽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8-044400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반송 대차에서는 대경 부분과 소경 부분의 직경의 비에 따른 곡률 반경의 커브에 밖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특정 곡률 반경의 커브를 매끄럽게 주행할 수 있어도 그 이외의 곡률 반경의 커브에 대해서는 내외 축차가 발생해버려 매끄럽게 주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커브 구간에 채용할 수 있는 곡률 반경은 대강 한정되어버려 주행 레일의 레이아웃이 제한되어버린다.
또한, 천정 반송차를 사용한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는 물품을 서스펜딩하기 위한 기구의 형상에 따라서는 커브 구간에서 그 기구가 외주측의 주행 레일에 충돌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즉, 커브 구간에서 외주측이 되는 부분은 큰 범위를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그 움직이는 범위 내에 주행 레일이 있으면 주행 레일과의 충돌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서는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범위에서는 외주측 주행 레일을 깔지 않도록 해서 외주측 주행 레일이 중단되는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외주측 주행 레일이 중단되는 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면 그 구간에 있어서는 주행 레일에 대해서 접촉하는 것이 내주측의 차륜만이 되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천정 반송차의 주행이 정지해버렸을 경우에 대비해서 내주측의 차륜만으로 시동 토크를 조달할 수 있도록 해둘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천정 반송차가 여러 가지 곡률의 커브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해서 주행 레일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높임과 아울러 천정 반송차의 기구가 주행 레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어느 구간에서 천정 반송차의 주행이 정지했을 경우에도 재시동을 위한 토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 반송 설비는 반송로를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물품 반송 시설의 천정측에 상기 반송로를 따라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이 부설되어 있고, 상기 천정 반송차는 상기 주행 레일에 지지되어서 회전 구동됨으로써 천정 반송차를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시키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종동륜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천정 반송차의 상기 구동륜 및 상기 종동륜은 반송 방향에 대한 좌방과 우방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반송로의 직진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천정 반송차의 좌우 양측의 구동륜이 각각 좌우 한 쌍의 상기 주행 레일에 지지되고, 상기 반송로의 커브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천정 반송차의 내주측의 종동륜이 내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고, 상기 천정 반송차의 외주측의 구동륜이 외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물품 반송 설비에 의하면 커브 구간의 내주측에서는 종동륜이 주행 레일에 지지되고, 외주측에서는 구동륜이 주행 레일에 지지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내주측의 차륜(종동륜)의 회전수는 외주측의 차륜(구동륜)의 회전수와 내주측의 주행 레일의 곡률에 의존해서 자동적으로 조절되게 된다. 그 때문에 디퍼렌셜 기어와 같은 복잡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천정 반송차의 좌우의 차륜의 회전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반송로의 커브 구간의 일부에 외주측의 주행 레일이 중단된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천정 반송차의 반송 방향에 대한 좌방과 우방의 양측에 구동륜보다 소경이며 또한 구동륜과 함께 회전하는 보조 구동륜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반송로의 커브 구간 중 상기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천정 반송차의 내주측의 상기 보조 구동륜이 내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천정 반송차가 서스펜딩 방식으로 물품을 반송하는 것인 경우에 천정 반송차에 의한 서스펜딩을 위한 기구가 커브 구간에서 외주 주행 레일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어느 구간에 있어서도 내주측과 외주측 중 어느 쪽의 구동륜 또는 보조 구동륜이 반드시 주행 레일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구동륜과 종동륜의 직경이 다르고, 반송로의 커브 구간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은 내주측에서는 종동륜을 지지하면서 구동륜으로부터는 이간된 형상이 되고, 외주측에서는 구동륜을 지지하는 형상이 되도록 주행 레일 표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천정 반송차가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함에 따라서 구동륜과 종동륜 중 어느 쪽이 주행 레일에 지지되는 것인지가 주행 레일 형상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선택되게 된다.
또한, 천정 반송차가 보조 구동륜을 갖는 형태에 있어서 구동륜과, 종동륜과, 보조 구동륜의 직경이 다르고, 반송로의 커브 구간 중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 이외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은 내주측에서는 종동륜을 지지하면서 구동륜 및 보조 구동륜으로부터는 이간된 형상이 되고, 외주측에서는 구동륜을 지지하면서 보조 구동륜으로부터는 이간된 형상이 되도록 주행 레일 표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에 있어서의 내주측의 주행 레일은 보조 구동륜을 지지하면서 구동륜으로부터는 이간된 형상이 되도록 주행 레일 표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천정 반송차가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함에 따라 구동륜, 종동륜, 보조 구동륜 중 어느 것이 주행 레일에 지지되는 것인지가 주행 레일 형상에 따라 자동적으로 선택되게 된다.
또한, 천정 반송차가 보조 구동륜을 갖는 형태에 있어서 구동륜, 종동륜, 보조 구동륜의 회전축이 같은 축이며, 구동륜과 보조 구동륜 사이에 종동륜이 배치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동륜에 대해서 같은 축에 추가된 보조 구동륜을 고정하고, 그 추가의 차륜의 윤축에 베어링을 통해 종동륜을 부착해 둔다는 약간의 개조를 구동륜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천정 반송차에 대해서 행하는 것만으로 구동륜, 종동륜, 보조 구동륜을 구비한 천정 반송차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천정 반송차는 물품 반송 시설의 천정측에 반송로를 따라 부설된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로서,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기 위해서 상기 주행 레일에 지지되어서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종동륜을 반송 방향에 대한 좌방과 우방의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구동륜은 상기 반송로의 직진 구간에 있어서는 좌우 양측 모두 좌우 한 쌍의 상기 주행 레일에 각각 지지되고, 상기 반송로의 커브 구간에 있어서는 외주측만이 외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종동륜은 상기 반송로의 커브 구간에 있어서 내주측의 것이 내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천정 반송차에 의하면 커브 구간의 내주측에서는 종동륜이 주행 레일에 지지되고, 외주측에서는 구동륜이 주행 레일에 지지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내주측의 종동륜의 회전수는 외주측의 구동륜의 회전수와 내주측의 주행 레일의 곡률에 의존해서 자동적으로 조절되게 된다. 그 때문에 디퍼렌셜 기어와 같은 복잡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좌우의 차륜의 회전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천정 반송차의 좌우의 차륜의 회전수를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천정 반송차는 어떠한 곡률의 커브에 대해서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반송로의 경로를 어떠한 형상으로 할 것인지와 같은 주행 레일의 레이아웃을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물품 반송 설비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주행 레일에 대해서 천정 반송차의 기구가 충돌할 우려가 없어지는 것에 추가해서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에서는 내주측의 보조 구동륜이 주행 레일에 지지됨으로써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에서 천정 반송차의 주행이 정지해버렸다고 해도 주행 레일에 지지되어 있는 보조 구동륜에 의해 충분한 시동 토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구동륜, 종동륜 그리고 보조 구동륜 중 어느 것이 주행 레일에 지지되는 것인지가 천정 반송차의 주행에 따라 주행 레일 형상에 따라 자동적으로 선택되기 때문에 차륜을 승강시키는 복잡한 기구를 준비하지 않더라도 주행 레일에 지지 되는 차륜의 스위칭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륜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천정 반송차에 대해서 약간의 개조를 행하는 것만으로 구동륜, 종동륜, 보조 구동륜을 구비한 천정 반송차를 얻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기존의 물품 반송 설비에 보강에 적용하는 것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있어서의 물품 반송 설비 중 반송로의 커브 구간 부근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동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사용되는 천정 반송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동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사용되는 천정 반송차의 차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의 천정 반송차를 진행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4(a)는 반송로의 직진 구간에서의 개략 정면도, 도 4(b)는 반송로의 커브 구간 중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 이외에서의 개략 정면도, 도 4(c)는 반송로의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에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 종동륜의 직경을 구동륜과 동일하게 했을 경우의 천정 반송차를 진행 방향측으로부터 본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5(a)는 반송로의 직진 구간에서의 개략 정면도, 도 5(b)는 반송로의 커브 구간 중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 이외에서의 개략 정면도, 도 5(c)는 반송로의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에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천정 반송차의 차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a)는 보조 구동륜을 차체 부근에 설치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종동륜을 구동륜과 같은 축으로 하지 않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면에 의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각 도면에 있어서는 각 부의 형상 및 구조를 간략화해서 나타내고 있다.
[반송로]
도 1의 평면도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물품(복수의 반도체 장치가 수납된 케이스 등)이 반송되는 경로인 반송로(1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반송로(10) 중 도 1에 나타내는 부분에 있어서는 물품을 서스펜딩한 상태의 천정 반송차(20)가 상류측 직진 구간(1OSa)을 주행해 오고, 진행 방향에 대해서 좌향으로 구부러지는 U턴상의 커브 구간(1OC)을 거쳐 하류측 직진 구간(1OSb)을 향해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반송로(10)에는 물품 반송 설비의 천정측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30I, 30E)이 부설되어 있고, 천정 반송차(20)는 이 주행 레일(30I, 30E)을 따라 주행한다. 여기에서는 주행 레일(30I, 30E) 중 커브 구간(10C)에 있어서 내주측이 되는 것을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 외주측이 되는 것을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로 한다.
그리고, 커브 구간(10C)의 일부(도 1에 있어서는 2개소)에서는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이 부분은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이 중단된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으로 되어 있다. 커브 구간(10C)은 이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에 의해 분단되어서 상류측 커브 입구 구간(10Ca), 커브가 되접히는 구간(10T), 하류측 커브 출구 구간(10Cb)으로 나뉘어져 있다.
[천정 반송차]
도 2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천정 반송차(2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 천정 반송차(20)는 물품 반송 설비 내의 천정측을 진행하는 것이며, 그 진행 방향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 부분(25)을 구비하고 있고, 이 세로 프레임 부분(25)에 끼워진 가로 프레임 부분(26)에 파지부(29) 및 이 파지부(29)를 와이어(도시 생략)의 권취/권출 등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28)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상방으로 상승한 상태로 나타내어져 있는 파지부(29)는 천정 반송차(20)의 하방에 물품(50)(복수의 반도체 장치가 수납된 케이스 등)이 위치하고 있을 때 승강 기구(28)에 의해 하방향으로 강하하고, 물품(50)의 서스펜딩 플랜지부(52)를 파지하고나서 상방향으로 상승함으로써 물품(50)을 상방으로 운반할 수 있다.
가로 프레임 부분(26)은 그것보다 상방에 형성된 주행부(27)에 연결되어 있고, 이 주행부(27)에 형성된 주행 차륜부(22I, 22E) 및 상부 가이드 롤러(24)가 천정 반송차(20)를 주행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주행 차륜부(22I, 22E)는 물품 반송 설비의 천정에 브래킷(38)을 통해 부착된 레일 하우징(36)에 형성된 주행 레일(30I, 30E)의 면 위에 지지된다. 여기에서는 주행 차륜부(22I, 22E) 중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에 지지되는 것을 내주측의 주행 차륜부(22I),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에 지지되는 것을 외주측의 주행 차륜부(22E)로 한다. 이들 주행 차륜부(221, 22E)의 차륜이 주행 레일(30I, 30E)에 지지되면서 회전함으로써 천정 반송차(20)는 주행 레일(30I, 30E)을 따라 주행할 수 있고, 물품(50)을 물품 반송 설비 내의 천정측에 있어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레일 하우징(36)의 상부에는 상부 가이드 레일(32)이 형성되어 있고, 천정 반송차(20)의 주행부(27)의 상부에서 좌우 한 쌍에 구비된 상부 가이드 롤러(24)가 이 상부 가이드 레일(32)을 사이에 두고 상부 가이드 레일(32)의 측면으로 안내됨으로써 천정 반송차(20)의 가로 요동이 방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 가이드 레일(32)과 상부 가이드 롤러(24)에 의해 천정 반송차(20)의 자세가 유지된다.
[차륜 구조]
도 3에 천정 반송차(20)의 반송 방향(주행 방향)에 대한 좌방과 우방의 양측(내주측과 외주측)에 각각 구비된 주행 차륜부(22I, 22E)의 차륜 구조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내주측의 주행 차륜부(22I)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외주측의 주행 차륜부(22E)도 마찬가지의 구조이다. 차륜 구조에 관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내주측의 」라는 표기를 생략한다.
주행 차륜부(22I)는 구동륜(42I), 종동륜(44I), 보조 구동륜(46I)의 3개의 차륜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구동륜(42I)만을 구비하는 상태의 주행 차륜부(22I)에 대해서 종동륜(44I)과 보조 구동륜(46I)을 부착하는 공정의 설명을 통해서 주행 차륜부(22I)의 구조를 설명한다.
구동륜(42I)은 모터 등의 동력 기구(41)가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같은 축(41a)에 직접 고정되어 있고, 구같은 축(41a)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구같은 축(41a)은 외주측의 주행 차륜부(22E)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상태의 구동륜(42I)에 대해서 보조 구동륜(46I)의 회전축이 되는 보조 구동륜축(46a)을 고정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보조 구동륜축(46a)의 플랜지부를 구동륜(42I)의 함몰부(42a)에 나사 정지로 고정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하면 좋다.
이 보조 구동륜축(46a)에 보조 구동륜(46I)을 부착하기 전에 종동륜(44I)의 부착을 행한다. 도 3에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는 종동륜용 베어링(44a)으로 베어링되는 종동륜(44I)의 축 구멍에 보조 구동륜축(46a)을 통해서 보조 구동륜축(46a)을 통과하는 구멍을 갖는 보조판(44b)을 종동륜(44I)에 겹쳐서 나사 정지함으로써 종동륜(44I)을 보조 구동륜축(46a)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종동륜(44I)의 부착 후, 보조 구동륜축(46a)의 선단측에 보조 구동륜(46I)을 부착한다. 도 3에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는 보조 구동륜축(46a)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 구멍을 이용해서 보조 구동륜 고정 나사(46b)에 의해 보조 구동륜(46I)을 보조 구동륜축(46a)에 대해서 나사 정지해서 고정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보조 구동륜(46I)은 동력 기구(41)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서 구동륜(42I)과 함께 회전하고, 종동륜(44I)은 구동륜(42L) 및 보조 구동륜(46L)의 회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구동륜(42I) 및 보조 구동륜(46L)과는 독립적으로 회전을 행하는 구조가 된다. 여기에서, 구동륜(42I), 종동륜(44I), 보조 구동륜(46I)의 회전축은 같은 축으로 되어 있고, 종동륜(44I)은 구동륜(42I)과 보조 구동륜(46L) 사이에 끼워져 있도록 해서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는 구동륜(42I), 종동륜(44I), 보조 구동륜(46I) 중 구동륜(42I)의 직경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큰 직경을 갖는 것이 종동륜(44I)이며, 보조 구동륜(46I)의 직경은 이들 3륜 중에서 가장 작게 되어 있다.
[주행 레일]
도 1에 나타내는 영역에 있어서는 주행 레일(30I, 30E)은 전체적으로 U자상으로(U턴을 형성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주행 레일(30I, 30E)의 표면에는 도 4 중의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단계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즉, 주행 레일(30I, 30E)은 구동륜용 단부(62I, 62E)와, 종동륜용 단부(64I, 64E)와, 보조 구동륜용 단부(66I, 66E)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각 단부의 부호의 말미에 붙이는 문자에 대해서 「I」는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의 것을 「E」는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의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구동륜용 단부(62I)는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에 있어서의 단부이며, 구동륜용 단부(62E)는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에 있어서의 단부이다.
또한, 도 4 중의 각 도면은 도 1에 나타내는 반송로(10)에 있어서 천정 반송차(20)를 그 진행 방향측으로부터 봤을 때의 대략적인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도 4의 도면 중 우측이 내주측, 도면 중 좌측이 외주측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천정 반송차(20)의 차륜과 주행 레일(30I, 30E)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천정 반송차(20) 중 주행 차륜부(22I, 22E) 이외의 부분(도 2에 있어서의 세로 프레임 부분(25)이나 상부 가이드 롤러(24) 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들 각 단부는 각각 천정 반송차(20)의 주행 차륜부(22I, 22E)를 구성하는 각 차륜, 즉 구동륜(42I, 42E), 종동륜(44I, 44E), 보조 구동륜(46I, 46E)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 중의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륜용 단부(621, 62E)는 각각 구동륜(42I, 42E)의 하방에, 종동륜용 단부(64I, 64E)는 각각 종동륜(44I, 44E)의 하방에, 보조 구동륜용 단부(66I, 66E)는 각각 보조 구동륜(46I, 46E)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들 각 단부의 높이는 대응하는 차륜의 지름이 작을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도 4 중의 각 도면에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는 가장 작은 지름의 보조 구동륜(46I)에 대응하는 보조 구동륜용 단부(661, 66E)의 높이가 이들 각 단부 중에서 가장 높게 되어 있고, 종동륜용 단부(64I, 64E)가 그 다음으로 높고, 구동륜용 단부(62L, 62E)는 각 단부 중에서 가장 낮게 되어 있다.
이들 각 단부는 도 1에 나타내는 반송로(10) 전체에 걸쳐 항상 일정 높이라는 것은 아니고, 구간에 따라서 약간 상하한다. 구체적으로는 그 구간에 있어서 지지되어야 하는 차륜만을 지지하고, 지지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 차륜에 대해서는 이간되도록 높이가 조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반송로(10) 중 천정 반송차(20)가 직진하는 구간, 즉 상류측 직진 구간(10Sa) 및 하류측 직진 구간(10Sb)에 있어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측/외주측의 구동륜용 단부(62I, 62E)는 그 상면이 각각 내주측/외주측의 구동륜(42I, 42E)에 접해서 이들을 지지하는 높이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종동륜용 단부(64I, 64E) 및 보조 구동륜용 단부(66I, 66E)는 모두 종동륜(44I, 44E)이나 보조 구동륜(46I, 46E)에 접하지 않을 정도로 이들 차륜 하면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되어 있다. 즉, 이 구간에 있어서는 주행 레일(301, 30E)의 형상은 구동륜(42I, 42E)을 지지하면서 종동륜(44I, 44E) 및 보조 구동륜(46I, 46E)으로부터는 이간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반송로(10)의 커브 구간(1OC) 중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 이외의 부분, 즉 상류측 커브 입구 구간(10Ca), 커브가 되접히는 구간(10T), 하류측 커브 출구 구간(10Cb)에 있어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이 외주측의 구동륜(42E)을 지지하는 것에 대해서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은 내주측의 종동륜(44I)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에 대해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에 대해서는 도 4(a)의 형상에 비해 구동륜용 단부(62I)가 약간 낮게 되어서 구동륜(42I)으로부터 이간되도록 되어 있고, 종동륜용 단부(64L)가 약간 높게 되어서 종동륜(44I)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조 구동륜용 단부(66I)에 대해서는 도 4(a)의 형상과 동등한 높이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반송로(10)의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에 있어서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측에서는 어느 쪽의 차륜도 지지되지 않지만, 내주측에서는 보조 구동륜(46I)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주측에 대해서는 이 구간에서는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이 중단되어 있기 때문에 외주측의 주행 차륜부(22E) 중 어느 쪽의 차륜도 지지되지 않게 되어 있고, 내주측에 대해서는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의 형상이 도 4(a)의 형상에 비해 구동륜용 단부(62I)가 약간 낮게 되어서 구동륜(42I)으로부터 이간되도록 되어 있고, 보조 구동륜용 단부(66I)가 약간 높게 되어서 보조 구동륜(46I)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레일 표면에 이상과 같은 형상이 되는 단차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 설비 내에 설정되는 반송로(10)(도 1)의 경로의 형상(주행 레일(30I, 30E)의 레이아웃)을 기초로 주행 레일(30I, 30E) 상의 어느 구간에서 어느 차륜이 지지되어야 할지를 산출해 두면 좋다.
특히 내주측에서 보조 구동륜(46I)이 지지되는 구간, 즉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 중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에 대응하는 범위에 대해서는 천정 반송차(20)가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을 통과하는 동안에 내주측의 주행 차륜부(22I)가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 위를 통과하게 되는 범위를 산출해내고, 그 범위 내의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 표면을 보조 구동륜(46L)이 지지되는 형상으로 하면 좋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레이아웃에 있어서는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의 시점 및 종점을 커브 구간(10C)의 곡률 반경의 중심점(P)과 연결한 2개의 직선과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이 교차하는 점끼리 끼워지는 범위에 대해서 보조 구동륜(46I)이 지지되는 형상으로 하면 좋다.
또한,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이 형성되는 범위에 대해서는 천정 반송차(20)의 기구가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에 충돌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하면 좋지만, 그 범위는 커브 구간(10C) 전체의 곡률과, 구동륜(421, 42E) 및 보조 구동륜(46I, 46E)의 지름 치수를 기초로 산출할 수 있다.
[천정 반송차의 거동]
이어서, 천정 반송차(20)가 주행 레일(30I, 30E)을 따라 주행할 때의 거동을 도 1,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류측 직진 구간(직진 구간) 주행시>
천정 반송차(20)는 반송로(10) 중 도 1에 나타내는 범위로 상류측 직진 구간(10Sa)을 통과해서 온다. 이 구간에 있어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측의 구동륜(42I) 및 외주측의 구동륜(42E)이 각각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의 구동륜용 단부(62I) 및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의 구동륜용 단부(62E)에 지지된다.
내주측/외주측의 구동륜용 단부(62I, 62E)가 같은 높이이며, 내주측/외주측의 구동륜(42I, 42E)이 같은 축이며 또한 같은 지름이면 천정 반송차(20)는 반송 방향에 대해서 차체의 좌방측도 우방측도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이 구간에 있어서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다.
<상류측 커브 입구 구간(커브 구간 중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 이외) 주행시>
천정 반송차(20)가 커브 구간(10C)에 당도하면 우선 상류측 커브 입구 구간(10Ca)을 주행하게 된다. 이 구간에 있어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측의 종동륜(44I)이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의 종동륜용 단부(64I)에 지지되고, 외주측의 구동륜(42E)이 외주측의 구동륜용 단부(62E)에 지지된다.
내주측의 종동륜(44I)은 내주측의 구동륜(42I)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내주측의 구동륜(42I)과 외주측의 구동륜(42E)의 구같은 축이 공통이어도 내주측의 종동륜(44I)은 외주측의 구동륜(42E)과 같은 회전 속도로는 되지 않고, 내주측의 종동륜(44I)의 회전 속도는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 상에 외주측의 구동륜(42E)이 지지되면서 회전하는 것에 따른 천정 반송차(20) 전체의 전진 속도와, 이 구간 내에서의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의 곡률에 따른 회전 속도가 된다.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 주행시>
천정 반송차(20)가 주행을 더 진행시켜서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에 도달하면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측의 주행 차륜부(22L)의 차륜은 모두 지지되지 않게 되고, 내주측의 보조 구동륜(46I)이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의 보조 구동륜용 단부(66I)에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의 보조 구동륜용 단부(66I) 상에 보조 구동륜(46I)이 지지되면서 회전함으로써 천정 반송차(20)가 전진한다.
여기에서, 만약 내주측의 보조 구동륜(46I)의 직경이 외주측의 구동륜(42E)과 같으며, 상류측 커브 입구 구간(10Ca)과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에서 차륜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고 하면 커브 구간(10C)에 있어서는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과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의 곡률이 다르기(내주측 쪽이 곡률이 크기) 때문에 커브 구간(10C)의 곡률 반경의 중심점(P)에 대한 천정 반송차(20)의 각속도가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에 들어갔을 때에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내주측의 보조 구동륜(46I)의 직경을 외주측의 구동륜(42E)보다 작게 해두면 1회전당 주행하는 거리가 외주측의 구동륜(42E)보다 짧아진다. 그 때문에 상류측 커브 입구 구간(10Ca)에 있어서의 회전수인 채로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에 들어갔다고 해도 각속도를 급격하게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커브 구간(10C) 중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을 제외하는 부분(외주측의 구동륜(42E)에 의해 전진이 행해지는 구간)에 있어서의 천정 반송차(20)의 각속도와,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내주측의 보조 구동륜(46I)에 의해 전진이 행해지는 구간)에 있어서의 각속도가 차륜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해도 상이하지 않도록 구동륜(42I, 42E)과 보조 구동륜(46I, 46E)의 직경의 비를 선택하면 좋다.
또한, 이 구간에 있어서는 외주측의 주행 차륜부(22E)가 지지되지 않는 상태가 되지만 이 상태에 있어서도 도 2에 나타내는 상부 가이드 레일(32)과 상부 가이드 롤러(24)(도 4에는 도시 생략)가 천정 반송차(20)의 자세를 유지하도록(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천정 반송차(20)가 천정측으로부터 전락해버리는 일은 없다.
<커브가 되접히는 구간~하류측 직진 구간 주행시>
천정 반송차(20)가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을 통과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커브가 되접히는 구간(10T)에 들어가면 상기 상류측 커브 입구 구간(10Ca)과 마찬가지로 내주측에서는 종동륜(44I)이, 외주측에서는 구동륜(42E)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구간에서도 종동륜(44I)의 회전 속도는 천정 반송차(20) 전체의 전진 속도와,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의 곡률에 따른 회전 속도가 된다.
천정 반송차(20)가 커브가 되접히는 구간(10T)을 통과하면 또 하나의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에 들어간다. 여기에서는 외주측의 주행 차륜부(22E)는 지지되지 않고, 내주측에서는 보조 구동륜(46I)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천정 반송차(20)가 또 하나의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을 통과하면 하류측 커브 출구 구간(1OCb)에 도달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상류측 커브 입구 구간(1OCa) 및 커브가 되접히는 구간(10T)과 마찬가지로 내주측에서는 종동륜(44I)이, 외주측에서는 구동륜(42E)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천정 반송차(20)가 하류측 커브 출구 구간(10Cb)을 통과해서 커브 구간(C)으로부터 빠지면 하류측 직진 구간(1OSb)을 통해서 반송로(10)의 하류측으로 더 향한다. 이 구간에서는 상기 상류측 직진 구간(10Sa)과 마찬가지로 내주측과 외주측의 구동륜(42I, 42E)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반송로(10)의 커브 구간(1OC) 중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을 제외한 부분(상류측 커브 입구 구간(10Ca), 커브가 되접히는 구간(10T), 하류측 커브 출구 구간(10Cb))에 있어서는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에 지지되는 내주측의 종동륜(44I)의 회전수(회전 속도)가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에 지지되는 외주측의 구동륜(42E)의 회전수와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의 곡률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따라서, 디퍼렌셜 기어와 같은 복잡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천정 반송차(20)의 좌우의 차륜(내주측의 차륜과 외주측의 차륜)의 회전수를 다르게 할 수 있어서 천정 반송차(20)는 어떠한 곡률의 커브에 대해서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반송로(10)의 경로의 형상(주행 레일(30I, 30E)의 레이아웃)을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물품 반송 설비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천정 반송차(20)의 반송 방향(주행 방향)에 대한 좌방과 우방의 양측에 각각 구동륜(42I, 42E), 종동륜(44I, 44E), 보조 구동륜(46I, 46E)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진행 방향에 대해서 좌향으로 구부러지는 커브 구간(1OC)의 이외에도 우향으로 구부러지는 커브에 대해서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우향으로 구부러지는 커브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에서는 내주측이 되어 있었던 구성 요소와, 외주측이 되어 있었던 구성 요소가 교체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을 형성함으로써 천정 반송차(20)의 기구가 커브 구간(10C)에 있어서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에서는 내주측의 보조 구동륜(46I)이 내주측의 주행 레일(30I)에 지지되므로 반송 작업의 긴급 정지 등에 의해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에 있어서 천정 반송차(20)의 주행이 정지해버렸다고 해도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내주측의 보조 구동륜(461)에 의해 충분한 재시동 토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구동륜(42I, 42E), 종동륜(44I, 44E) 그리고 보조 구동륜(46I, 46E) 중 어느 것이 주행 레일(30I, 30E)에 지지되는 것인지가 천정 반송차(20)의 주행에 따라 주행 레일(30I, 30E)의 형상에 따라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그 때문에 주행 레일(30I, 30E)에 지지되는 차륜의 스위칭을 행하기 위해서 차륜를 승강시키는 복잡한 기구를 준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구동륜(42I, 42E)에 대해서 같은 축에 추가된 보조 구동륜(46I, 46E)을 고정하고, 그 추가된 보조 구동륜(46I, 46E)의 보조 구동륜축(46a)(도 3)에 종동륜용 베어링(44a)을 통해 종동륜(44I, 44E)을 부착해 둔다는 약간의 개조를 구동륜(42I, 42E)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천정 반송차(20)에 대해서 행하는 것만으로 종동륜(44I, 44E) 및 보조 구동륜(46I, 46E)도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조를 기존의 물품 반송 설비에 구비되어 있는 천정 반송차(20)에 보강에 적용하는 것도 용이하다.
(변형예)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서스펜딩)을 위한 천정 반송차(20)의 기구가 외주측의 주행 레일(30E)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을 형성하고 있지만 그 기구의 형상이 충돌의 우려가 없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면 레일 중단 구간(10D)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에는 커브 구간(10C)의 전체에 있어서 내주측의 종동륜(44I)을 내주측의 레일(30I)에 지지시키면 좋으므로 보조 구동륜(46I, 46E) 및 보조 구동륜용 단부(66I, 66E)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커브 구간(1OC) 전체의 곡률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물품 반송 설비의 설계 자유도가 더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종동륜(44I, 44E)의 직경을 구동륜(42I, 42E)보다 작게 하고 있지만 구동륜(42I, 42E)과 같은 직경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4에서 나타낸 주행 레일(30I, 30E) 표면에 단차를 형성하는 구성 대신에 도 5에 나타내는 지지되는 차륜용의 레일만을 부설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즉, 천정 반송차(20)가 직진하는 구간에 있어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측의 구동륜(42I) 및 외주측의 구동륜(42E)의 하방에 각각 구동륜(42I, 42E)만을 지지하는 정도의 좁은 레일 폭으로 되어 있는 내주측 구동륜용 레일(72I) 및 외주측 구동륜용 레일(72E)을 형성하고, 이들에 의해 구동륜(42I, 42E)을 지지하고, 종동륜(44I, 44E)이나 보조 구동륜(46I, 46E)의 하방에는 레일이 없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커브 구간(10C) 중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측에서는 외주측 구동륜용 레일(72E)로 외주측의 구동륜(42E)를 지지하고, 내주측에서는 내주측 구동륜용 레일(72I) 대신에 종동륜(44I)만을 지지하는 정도의 좁은 레일 폭의 내주측 종동륜용 레일(74I)로 종동륜(44I)을 지지한다. 또한,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10D)의 내주측에서는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구동륜(46I)만을 지지하는 정도의 좁은 레일 폭의 내주측 보조 구동륜용 레일(76I)로 보조 구동륜(46I)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도 4에 나타내는 주행 레일(30I, 30E)에 비해 레일 폭이 좁아지므로 설비 구축에 필요한 자재가 적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 반송차(20)의 차체측으로부터 외방측을 향해서 구동륜(42I), 종동륜(44I), 보조 구동륜(46I)의 순서로 배치된 구조로 하고 있지만, 각 차륜의 배치 순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측으로부터 외방측을 향해서 보조 구동륜(46I), 종동륜(44I), 구동륜(42I)의 순서로 배치되는 구조로 해도 좋다. 여기에서는 내주측의 차륜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지만, 외주측에 대해서도 차륜의 배치 순서를 바꾸어도 좋다. 또한, 주행 레일(30I, 30E)의 표면 형상은 차륜의 배치 형태에 따른 것으로 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동륜(44I)을 구동륜(42I)과 같은 축으로 하고 있지만 종동륜(44I)은 구동륜(42I)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면 좋고, 그 차륜축은 구동륜(42I)과 같은 축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력 기구(41)의 플랜지부(이 부분은 회전하지 않는다)에 종동륜축(85)을 고정하고, 이 종동륜축(85)에 종동륜용 베어링(84a)을 통해 소형의 종동륜(84I)을 부착한 구조로 해도 좋다.
10 : 반송로 1OC : 커브 구간
10D :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 1OSa : 상류측 직진 구간
1OSb : 하류측 직진 구간 20 : 천정 반송차
30I : 내주측의 주행 레일 30E : 외주측의 주행 레일
42I, 42E : 구동륜 44I, 44E : 종동륜
46I, 46E : 보조 구동륜 62I, 62E : 구동륜용 단부
64I, 64E : 종동륜용 단부 66I, 66E : 보조 구동륜용 단부

Claims (7)

  1. 반송로를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물품 반송 시설의 천정측에 상기 반송로를 따라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이 부설되어 있고,
    상기 천정 반송차는 상기 주행 레일에 지지되어서 회전 구동됨으로써 천정 반송차를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시키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종동륜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천정 반송차의 상기 구동륜 및 상기 종동륜은 반송 방향에 대한 좌방과 우방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반송로의 직진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천정 반송차의 좌우 양측의 구동륜이 각각 좌우 한 쌍의 상기 주행 레일에 지지되고,
    상기 반송로의 커브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천정 반송차의 내주측의 종동륜이 내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고, 상기 천정 반송차의 외주측의 구동륜이 외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반송로의 커브 구간의 일부에 외주측의 주행 레일이 도중에 끊어진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천정 반송차의 반송 방향에 대한 좌방과 우방의 양측에 구동륜보다 소경이며 또한 구동륜과 함께 회전하는 보조 구동륜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반송로의 커브 구간 중 상기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천정 반송차의 내주측의 상기 보조 구동륜이 내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2. 반송로를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물품 반송 시설의 천정측에 상기 반송로를 따라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이 부설되어 있고,
    상기 천정 반송차는 상기 주행 레일에 지지되어서 회전 구동됨으로써 천정 반송차를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시키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종동륜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천정 반송차의 상기 구동륜 및 상기 종동륜은 반송 방향에 대한 좌방과 우방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반송로의 직진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천정 반송차의 좌우 양측의 구동륜이 각각 좌우 한 쌍의 상기 주행 레일에 지지되고,
    상기 반송로의 커브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천정 반송차의 내주측의 종동륜이 내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고, 상기 천정 반송차의 외주측의 구동륜이 외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커브 구간에서의 내주측의 상기 종동륜의 회전속도는 상기 천정 반송차 전체의 전진 속도와, 상기 커브 구간 내에서의 내주측의 주행 레일의 곡률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구동륜과 종동륜의 직경이 다르게 되어 있고,
    반송로의 커브 구간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은 내주측에서는 종동륜을 지지하면서 구동륜으로부터는 이간된 형상이 되고, 외주측에서는 구동륜을 지지하는 형상이 되도록 주행 레일 표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륜과, 종동륜과, 보조 구동륜의 직경이 다르게 되어 있고,
    반송로의 커브 구간 중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 이외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은 내주측에서는 종동륜을 지지하면서 구동륜 및 보조 구동륜으로부터는 이간된 형상이 되고, 외주측에서는 구동륜을 지지하면서 보조 구동륜으로부터는 이간된 형상이 되도록 주행 레일 표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에 있어서의 내주측의 주행 레일은 보조 구동륜을 지지하면서 구동륜으로부터는 이간된 형상이 되도록 주행 레일 표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5.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륜, 종동륜, 보조 구동륜의 회전축이 같은 축이며, 구동륜과 보조 구동륜 사이에 종동륜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송 설비.
  6. 물품 반송 시설의 천정측에 반송로를 따라 부설된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로서,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기 위해서 상기 주행 레일에 지지되어서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종동륜을 반송 방향에 대한 좌방과 우방의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구동륜은 상기 반송로의 직진 구간에 있어서는 좌우 양측 모두 좌우 한 쌍의 상기 주행 레일에 각각 지지되고, 상기 반송로의 커브 구간에 있어서는 외주측만이 외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종동륜은 상기 반송로의 커브 구간에 있어서 내주측의 것이 내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는 것이고,
    반송로의 커브 구간의 일부에 외주측의 주행 레일이 도중에 끊어진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이 형성되어 있고,
    천정 반송차의 반송 방향에 대한 좌방과 우방의 양측에 구동륜보다 소경이며 또한 구동륜과 함께 회전하는 보조 구동륜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반송로의 커브 구간 중 상기 외주 주행 레일 중단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천정 반송차의 내주측의 상기 보조 구동륜이 내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반송차.
  7. 물품 반송 시설의 천정측에 반송로를 따라 부설된 좌우 한 쌍의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로서,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기 위해서 상기 주행 레일에 지지되어서 회전 구동되는 구동륜과, 상기 구동륜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종동륜을 반송 방향에 대한 좌방과 우방의 양측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구동륜은 상기 반송로의 직진 구간에 있어서는 좌우 양측 모두 좌우 한 쌍의 상기 주행 레일에 각각 지지되고, 상기 반송로의 커브 구간에 있어서는 외주측만이 외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는 것이며,
    상기 종동륜은 상기 반송로의 커브 구간에 있어서 내주측의 것이 내주측의 주행 레일에 지지되는 것이고,
    상기 커브 구간에서의 내주측의 상기 종동륜의 회전속도는 상기 천정 반송차 전체의 전진 속도와, 상기 커브 구간 내에서의 내주측의 주행 레일의 곡률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반송차.
KR1020150014211A 2014-04-07 2015-01-29 물품 반송 설비 및 천정 반송차 KR102309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8280A JP6225803B2 (ja) 2014-04-07 2014-04-07 物品搬送設備
JPJP-P-2014-078280 2014-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380A KR20150116380A (ko) 2015-10-15
KR102309871B1 true KR102309871B1 (ko) 2021-10-07

Family

ID=5420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211A KR102309871B1 (ko) 2014-04-07 2015-01-29 물품 반송 설비 및 천정 반송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30632B2 (ko)
JP (1) JP6225803B2 (ko)
KR (1) KR102309871B1 (ko)
CN (1) CN104973390B (ko)
SG (1) SG10201500733UA (ko)
TW (1) TWI6225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8292C2 (sv) * 2014-12-18 2016-04-26 Il Granito Ab Track, load carrying carriage and track system
CN109533971A (zh) * 2018-12-25 2019-03-29 安徽新涛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高品质有机玻璃运输系统及其使用方法
CN110161378B (zh) * 2019-04-17 2022-03-29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南宁供电局 一种开关柜智能巡检机器人
CN110641912A (zh) * 2019-09-10 2020-01-03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五研究所 一种转弯输送装置
TWI733529B (zh) 2020-04-08 2021-07-11 盟立自動化股份有限公司 懸吊式搬運設備
TWI733528B (zh) 2020-04-08 2021-07-11 盟立自動化股份有限公司 懸吊式搬運設備、及懸吊式搬運設備的導引裝置與方向保持模組
TWI831449B (zh) * 2022-11-01 2024-02-01 張榮傑 懸吊式天車搬運裝置
CN116453994B (zh) * 2023-06-15 2023-09-08 上海果纳半导体技术有限公司 天车搬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400A (ja) * 2006-08-10 2008-02-28 Murata Mach Ltd 搬送台車システム
JP2010247685A (ja) * 2009-04-16 2010-11-04 Murata Machinery Ltd 搬送車システム
JP2011105254A (ja) * 2009-11-20 2011-06-02 Okamura Corp 物品搬送装置における走行台車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5906A (en) * 1977-10-07 1979-05-04 Fujiwa Denki Kk Transportation device by coaxial two wheels driving
KR100520061B1 (ko) * 2002-12-06 2005-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버헤드타입 이송장치
TWI291447B (en) * 2003-12-26 2007-12-21 Murata Machinery Ltd Track guided vehicle system
DE102006020546B4 (de) * 2006-04-30 2009-11-26 Stahn, Uwe, Dipl.-Ing. Aktives schienengebundenes Transportsystem mit passiven Weichen und Spurweitenwechsel
TWI473194B (zh) * 2011-09-08 2015-02-11 Inotera Memories Inc 懸吊式晶圓傳輸系統
US8950337B1 (en) * 2014-05-02 2015-02-10 William D. Davis Personal transportation rail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400A (ja) * 2006-08-10 2008-02-28 Murata Mach Ltd 搬送台車システム
JP2010247685A (ja) * 2009-04-16 2010-11-04 Murata Machinery Ltd 搬送車システム
JP2011105254A (ja) * 2009-11-20 2011-06-02 Okamura Corp 物品搬送装置における走行台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201500733UA (en) 2015-11-27
CN104973390A (zh) 2015-10-14
CN104973390B (zh) 2019-10-01
TWI622539B (zh) 2018-05-01
US20150284011A1 (en) 2015-10-08
JP6225803B2 (ja) 2017-11-08
TW201538407A (zh) 2015-10-16
US9630632B2 (en) 2017-04-25
JP2015199394A (ja) 2015-11-12
KR20150116380A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871B1 (ko) 물품 반송 설비 및 천정 반송차
JP6743750B2 (ja) 物品搬送設備
US8967367B2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101736887B1 (ko) 물품 반송 설비
JP5630661B2 (ja) 天井設置型の物品搬送設備
KR20090027448A (ko) 차량용 대차 이송 시스템
CN104822615B (zh) 用于乘客输送机的偏移托板引导
KR101833310B1 (ko) 곡선 주행 시스템
CN205500140U (zh) 一种可选择路线的积放式悬挂输送系统
JP4683143B2 (ja) 搬送車
KR101407417B1 (ko) 반송 시스템
JP6760862B2 (ja) 仕分けコンベヤ用レール
JP5521381B2 (ja) 搬送車システム
WO2013168283A1 (ja) 走行型浸漬処理装置
CN103738673A (zh) 头部可伸缩的带式输送机
JP5151663B2 (ja) 昇降機能を備えた台車コンベア
JP5338752B2 (ja) 搬送車システム
JP5669017B2 (ja) 走行型浸漬処理装置
JP2007290446A (ja) 吊下げ搬送装置
CN203652576U (zh) 头部可伸缩的带式输送机
JP2011002004A (ja) 送り装置
JP5678560B2 (ja) 自走式キャリア
CN211679320U (zh) 一种棒材横移装置
JP3185726U (ja) 単軌条運搬装置
JP2022030071A (ja) 有軌道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