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819B1 -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819B1
KR102305819B1 KR1020200033141A KR20200033141A KR102305819B1 KR 102305819 B1 KR102305819 B1 KR 102305819B1 KR 1020200033141 A KR1020200033141 A KR 1020200033141A KR 20200033141 A KR20200033141 A KR 20200033141A KR 102305819 B1 KR102305819 B1 KR 102305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driving
driver
electric vehicle
sta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실로
서인근
변세희
김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00033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819B1/ko
Priority to PCT/KR2021/003303 priority patent/WO2021187892A1/ko
Priority to CN202180022204.3A priority patent/CN115298075A/zh
Priority to US17/912,269 priority patent/US2023014686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20Drive modes; Transition between modes
    • B60L2260/26Transition between different driv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7Posi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는, 주/정차와 관련된 운행 안전을 위한 상태들로서, 스로틀이 비활성화된 키온 상태, 스로틀이 활성화된 시동 상태, 및 주행 상태를 구비하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로서, 상기 전동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을 수집하는 주행 파라미터 확인부; 수집된 상기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로부터,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판정하는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 및 판정된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통보하는 운전자 통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STATE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동 차량의 아이들링 상황을 포함한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시간 아이들링 상황이 이어지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환경보호를 위해 유해가스의 발생원이 되는 내연기관의 사용을 지양하고, 무공해 동력원인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시키는 전동 차량(electric vehicle)이 주목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동 차량은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이다. 이러한 전동 차량를 실용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들이 연구 및 발달되고 있으며, 특히 모터/제어기술이 발달되어 고출력, 소형이면서 효율이 높은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고, 특히 전동모터부분에서 많은 개발 및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동 차량은 축전지를 장착하고, 축전지의 전력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소형 전동스쿠터, 전동휠체어, 골프카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전동 차량의 경우, 내연 기관을 전기 모터로 대체하였는데, 정지된 상태에서는 에너지 소비없이 그대로 가동을 멈출 수 있는 전기 모터는 에너지 효율은 급상승시키는 반면, 내연 기관에 익숙해진 운전자에게 착오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2륜 전동차 등 비교적 작으면서 종래 내연 기관의 유사 차량의 엔진음이 큰 경우, 이는 더욱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가공의 엔진음을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식은, 아이들 상태 (시동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에 그치며, 아이들 상태에서 운전자의 의도치 않은 스로틀 조작을 방지 할 수 없다.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아이들링 상태로 비교적 장기간 대기하였다가 출발하는 경우, 엔진음이 지속적으로 들리고, 진동이 느껴지므로 아이들링 상태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전동 차량의 경우, 아이들링 상태로 비교적 장기간 대기하였다가 출발하는 경우, 운전자는 차량 탑승후 최초 출발 상황과 구분할 수가 없다.
그런데, 대부분의 전동 차량의 경우, 아이들링 상태에서는 모터 구동을 위한 인버터의 축전기에 전력이 체워진 상태라서, 운전자는 차량 탑승후 최초 출발 상황 보다 반응 속도가 현저히 빠르다. 이는 사고의 위험을 높일 수 있지만, 운전자가 이러한 상황을 인지토록 하는 유효한 통보 수단이 없었다.
한국등록특허 10-1907339호
본 발명은 장시간 아이들링 상황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동 차량의 주행 중에도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시동키를 켠체로 장시간 정차 상태에서 운전자가 이를 망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는, 주/정차와 관련된 운행 안전을 위한 상태들로서, 스로틀이 비활성화된 키온 상태, 스로틀이 활성화된 시동 상태, 및 주행 상태를 구비하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로서, 상기 전동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을 수집하는 주행 파라미터 확인부; 수집된 상기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로부터,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판정하는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 및 판정된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통보하는 운전자 통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의 운전 의지에 대하여 판정하는 운전 의지 판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전자 통보부는, 운전자가 착용하는 헬맷의 내면 중 운전자의 턱 부분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 진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전자 통보부는, 상기 전동 차량이 상기 주행 상태인 경우, 차속에 따라 조합된 진동 및 음향 정보로 이를 운전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합된 진동 및 음향 정보는, 알림음에 가까운 제1 조합과, 주행음에 가까운 제2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운전자 통보부는, 저속 구간에서는 차속에 대하여 반비례하는 상기 제1 조합으로 통보하며, 고속 구간에서는 차속에 대하여 비례하는 상기 제2 조합으로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는, 상기 전동 차량의 상기 시동 상태를, 시동정지 상태와 시동안전 상태로 구분하여 판정하고,
시동정지 상태인 차량이 정지된 시간이 소정의 단기 기준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시동안전 상태로 천이시키고, 운전자의 특정 조작에 따라 상기 시동안전 상태에서 상기 시동정지 상태로 천이시키는 조건부 천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전자 통보부는, 상기 전동 차량이 상기 시동안전 상태 중에 운전자의 운전 의지가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 시동안전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건부 천이부는, 상기 전동 차량의 스트틀이 소정 시간 내 2회 연속 조작되면, 상기 시동안전 상태에서 상기 시동정지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건부 천이부는, 상기 시동안전 상태에서, 상기 키온 상태에서 상기 시동정지 상태로 천이하는데 필요한 조작이 인가되면, 상기 시동안전 상태에서 상기 시동정지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은, 전동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을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로부터,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및 판정된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운전 상태는, 스로틀이 비활성화된 키온 상태, 스로틀이 활성화된 시동 상태, 및 주행 상태로 구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동 상태는, 스로틀이 상기 주행 상태와 동일하게 조작할 수 있는 시동정지 상태와, 스로틀이 특정 조작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시동안전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관적으로 통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동 차량이 상기 시동안전 상태 중에 운전자의 운전 의지가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 시동안전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진동 및 음향 정보로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정된 운전 상태가 주행 상태이면, 운전자에게 주행 상태임을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행 상태임을 통보하는 단계에서는, 저속 구간에서는 차속에 대하여 반비례하고 알림음에 가까운 진동 및 음향 조합으로 통보하며, 고속 구간에서는 차속에 대하여 비례하고 주행음에 가까운 진동 및 음향 조합으로 통보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또는 장치를 실시하면, 장시간 아이들링 상황에서도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또는 장치는 전동 차량의 주행 중에도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또는 장치는, 전기 모터 차량의 시동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 뿐만 아니라, 시동 상태에서 운전자의 운전 의지를 판단하여, 운전 의지가 없다고 판단될 시, 시동 상태에서 스로틀이 비활성화되는 키온(Key ON) 상태로 강제 천이시켜 의도치 않은 스로틀 조작 외 기타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또는 장치는, 특히, 스로틀이 노출되어 있어 오조작 발생 가능성이 많은 개인용 전동 이동 수단(Electric Personal Mobility) 안전 사고 예방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의 수행에 있어서, 동작의 기준이 되는 전동 차량의 3가지 상태 및 상태 변경 조건들을 도시한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의 수행에 있어서, 운전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도 1의 3 상태에 시동안전 상태를 추가한 전동 차량의 4가지 상태 및 상태 변경 조건들을 도시한 개념도.
도 2b는 주행 중인 차량이 정지된 이후, 시동정지 상태 및 시동안전 상태, 키온 상태로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주행 상태 통보를 위한 방안을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도 1의 3가지 상태를 천이하는 상태 제어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도 2a의 4가지 상태를 천이하는 상태 제어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의 수행에 있어서, 동작의 기준이 되는 전동 차량의 3가지 상태 및 상태 변경 조건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키온(Key ON) 상태는, 전동 차량에 시동키를 꽂고, on 상태로 위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전무한 상태이다. 즉, 모터 rpm은 0이며, 차속도 0이고, 스로틀 개도도 0인데, 시동키는 on에 위치한다. 또한, 안전을 위해 스토틀 핸들이 비활성화되어 있다. 구현에 따라, 모터 및 인버터에 대한 전력 공급도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주행 상태는, 전동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로서, 차속 및 모터 rpm에 일정한 값이 존재한다.
시동 상태는,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 시동이 걸려있어 엔진은 가동 중 이지만, 차량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 대비하는 상태로서, 모터 또는 인버터에 소정의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이다. 구현에 따라, 인버터에 내장된 커패시터가 시동 상태에서는 충전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반면, 상기 키온 상태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전될 수 있다.
주차 중인 전동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차량의 시동키를 꼽고 on 상태로 돌리면, 최초의 상기 키온 상태가 된다. 상기 최초 키온 상태에서는 차량의 각종 제어기들(예: 주행 제어기, ECU, TCU 등)이 웨이크업되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상태 통보 방법을 수행하는 상태 통보 장치도 웨이크업된다.
상기 키온 상태에서, 전동 차량을 시동시키려는 운전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시동 상태가 된다. 상기 시동 상태는 내연기관 차량에 대비할 때 아이들링 상태라고 볼 수도 있다. 상기 시동시키려는 운전자의 조작으로서, 단순하게는 시동 스위치를 켜는 것이 될 수 있으며, 다른 구현에서는, 스로틀 개도의 0이상 값 입력, 차량 브레이크 해제, 클러치 체결, 운전자 착석(착석 상태 감지 센서로 확인), 시동키의 조작(on외 별도의 주행 위치가 있는 경우), 주차 장치(예: 주차 브레이크, 주차 지지대 등) 조작 등 중에서 전부 또는 하나 이상 일부가 될 수 있다.
시동 상태, 즉 아이들링 상태에서 운전자의 일반주행 조작에 의해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 주행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0이 되면, 다시 말해, 주행 중인 차량이 일시 정지하여, 주행 관련 파라미터들이 0으로 떨어진 경우에도, 상기 시동 상태로 천이된다.
상기 시동 상태에서, 운전자의 일반주행을 위한 조작을 입력받으면, 해당 전동 차량은 주행 상태로 되어,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일반주행을 위한 조작으로서, 예컨대, 스로틀 개도의 소정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조작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준값은 상술한 키온 상태에서 시동 상태로 변경되는데 필요한 0 이상 판정의 기준값 보다는 명확히 큰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안전을 위해, 상기 시동 상태에서, 주행 관련 파라미터의 변경없이 소정의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 상태를 키온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시동 상태 진입 이후 에러가 발생하거나 운전자가 운전 의지가 없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도 키온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간은 전동 차량 운행 중 정지한 운전자가 해당 차량이 시동되어 있음을 망각할 수 있는 충분히 긴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운전자의 편의성 면에서 유리하다.
도 2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의 수행에 있어서, 운전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도 1의 3 상태에 시동안전 상태를 추가한 전동 차량의 4가지 상태 및 상태 변경 조건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b는 주행 중인 차량이 정지된 이후, 시동정지 상태 및 시동안전 상태, 키온 상태로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한 전동 차량의 4가지 상태는, 주행 상태, 시동정지 상태, 시동안전 상태, 키온(정지) 상태이다.
키온(Key ON) 상태는, 전동 차량에 시동키를 꽂고, on 상태로 위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가 전무한 상태이다. 즉, 모터 rpm은 0이며, 차속도 0이고, 스로틀 개도도 0인데, 시동키는 on에 위치한다. 또한, 안전을 위해 스토틀 핸들이 비활성화되어 있다. 구현에 따라, 모터 및 인버터에 대한 전력 공급도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주행 상태는, 전동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로서, 차속 및 모터 rpm에 일정한 값이 존재한다.
시동정지 상태는,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 시동이 걸려있어 엔진은 가동 중 이지만, 차량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 대비하는 상태로서, 모터 또는 인버터에 소정의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이다. 구현에 따라, 인버터에 내장된 커패시터가 시동정지 상태에서는 충전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반면, 상기 키온 상태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전될 수 있다.
시동안전 상태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새롭게 제안되는 상태로서, 다른 파라미터나 전력 공급 상태는 상기 시동정지 상태와 동일하나, 운전자가 시동정지 상태 즉, 아이들링 상태임을 망각할 가능성이 높아지도록 시간이 경과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시동안전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스로틀 핸들은 키온 상태와 같이 완전히 비활성화되지 않고, 미리 규정된 특정 신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주차 중인 전동 차량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차량의 시동키를 꼽고 on 상태로 돌리면, 최초의 상기 키온 상태가 된다. 상기 최초 키온 상태에서는 차량의 각종 제어기들(예: 주행 제어기, ECU, TCU 등)이 웨이크업되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상태 통보 방법을 수행하는 상태 통보 장치도 웨이크업된다.
상기 키온 상태에서, 전동 차량을 시동시키려는 운전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시동정지 상태가 된다. 상기 시동정지 상태는 아이들링 상태라고 볼 수도 있다. 상기 시동시키려는 운전자의 조작으로서, 단순하게는 시동 스위치를 켜는 것이 될 수 있으며, 다른 구현에서는, 스로틀 개도의 0이상 값 입력, 차량 브레이크 해제, 클러치 체결, 운전자 착석(착석 상태 감지 센서로 확인), 시동키의 조작(on외 별도의 주행 위치가 있는 경우), 주차 장치(예: 주차 브레이크, 주차 지지대 등) 조작 등 중에서 전부 또는 하나 이상 일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시동정지 상태를 보다 세밀히 구분하면, 차량의 속도 및 모터 rpm이 0이 된 직후, 전동 차량의 아이들링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데, 확인 이전을 아이들링 점검 상태로, 아이들링 상태로 확인된 이후 부터는 아이들링 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시동정지 상태에서, 운전자의 일반주행을 위한 조작을 입력받으면, 해당 전동 차량은 주행 상태로 되어,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일반주행을 위한 조작으로서, 예컨대, 스로틀 개도의 소정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조작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준값은 상술한 키온 상태에서 시동정지 상태로 변경되는데 필요한 0 이상 판정의 기준값 보다는 명확히 큰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시동정지 상태에서, 주행 관련 파라미터의 변경없이 소정의 제1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시동안전 상태로 진입한다. 상기 제1 기준 시간은 전동 차량 운행 중 정지한 운전자가 해당 차량이 시동되어 있음을 망각할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시동정지 상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특정된 조작(특정 조작)이 있어야, 시동정지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특정 조작은 운전자가 대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동 차량이 빠르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직감적으로 인지하기 용이하며, 잊더라도 계속되는 조작으로 유추가 용이하게 구현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컨대, 상기 특정된 조작으로서, 스로틀 핸들의 2회 반복 조작, 시동 스위치나 시동키 재조작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시동정지 상태에서는, 시동정지 상태 진입 이후 에러가 발생하거나 운전자가 운전 의지가 없다고 판정되면 차량 상태를 키온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특정 조작없이, 운전자가 일반주행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 본 발명의 취지상 바로 주행 상태로 되지 않고, 키온 상태로 진입한 후, 키온 상태에서 다시 시동정지 상태를 거쳐 주행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동정지 상태, 즉 아이들링 상태에서 운전자의 일반주행 조작에 의해 주행 상태로 진입하고, 주행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0이 되면, 시동정지 상태로 진입하는 것은 일반적인 전동 차량의 경우와 유사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주/정차와 관련된 운행 안전을 위한 모드들로서, 키온 상태; 시동정지 상태; 시동안전 상태; 주행 상태에 대하여, 운전자가 어떤 모드 상태임을 알 수 있도록, 통보 방법을 제시한다.(도 1의 경우에는 키온 상태; 시동 상태; 주행 상태)
상기 나열된 상태(모드)들 중 주행 상태는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운전자는 바로 인지하므로, 주행 상태에 대한 통보는 불필요하다.
반면, 상술한 키온 상태, 시동정지 상태 및 시동안전 상태(또는 시동 상태)는 모두 차량이 정지하고 있어,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이 어느 상태에 있는지 인지하기 곤란하다.
정지되었을 때의 상술한 상태(모드)들 중 키온 상태는 다른 상태로 천이되는 방법은 시동조작, 즉, 운전자가 시동키를 주행을 위한 위치로 변경하는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유일하며, 차량 주행을 위한 기능들이 대부분 비활성화되어 있어, 운전자가 키온 상태를 인지하지 않더라도, 운전자 불인지로 인한 위험성은 크지 않다.
반면, 상기 시동정지 상태에서는, 특정한 조작에 의해서만 해제되므로, 운전 위험성은 방지되지만, 운전자가 시동안전 상태임을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통상적인 주행 동작을 계속 수행하는 것이 제대로 응답하지 않음을 차량 고장으로 오인할 수 있으며, 주행 감성(쾌적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3가지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동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것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운전 상태 통보의 주된 목적이 된다.
도 2a에 도시한 4가지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동정지 상태 및 시동안전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것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운전 상태 통보의 주된 목적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는, 전동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을 수집하는 주행 파라미터 확인부(210); 수집된 상기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로부터,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키온 상태, 시동 상태, 주행 상태 중 1)를 판정하는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220); 및 판정된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통보하는 운전자 통보부(S280)를 포함한다.
구현에 따라, 상기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220)는, 상기 전동 차량의 상기 시동 상태를, 시동정지 상태와 시동안전 상태로 구분하여 판정하고, 시동정지 상태인 차량이 정지된 시간이 소정의 단기 기준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시동안전 상태로 천이시키고, 운전자의 특정 조작에 따라 상기 시동안전 상태에서 상기 시동정지 상태로 천이시키는 조건부 천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정지 중 운전자의 운전 의지에 대하여 판정하는 운전 의지 판정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전자 통보부(280)는, 상기 전동 차량이 상기 시동안전 상태(도 1의 경우 시동 상태) 중에 운전자의 운전 의지가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 시동안전 상태임(도 1의 경우 시동 상태)을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통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시동안전 상태의 알림은 별도의 진동 장치에 저전력 공급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시각적 인디케이터를 통해 연속적 또는 깜빡거리는 시각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시각적/청각적 신호를 동시 발생시키는 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시동정지 상태 중에 운전석, 발 거치대, 스로틀 핸들 등에 설치된 접촉 감지 센서에 운전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운전자가 언제든지 바로 정지 상황에서 가속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청각적 및 촉각적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신호(진동)을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석 상면이나, 헬맷의 내면에 진동 수단을 구비하여, 진동으로서 2륜 전동 차량 운전자에게 유효한 통보를 전달할 수 있다. 헬맷에 구비된 진동 수단의 경우, 헬맷 착용시 운전자와 신체와 접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머리에 직접 가해지는 진동이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하면, 머리 부분 보다는 턱 부분 등 다른 신체 부분과 접하느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상기 운전자 통보부(280)는, 운전자가 착용하는 헬맷의 내면 중 운전자의 턱 부분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 진동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판정/천이부(220), 운전 의지 판정부(260), 조건부 천이부(240) 및 운전자 통보(280)는, 일종의 CPU인 제어기(200)의 내부 SW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제어기(200)는 차량의 다른 MCU가 상술한 기능을 겸하도록 구현하거나, 별도의 CPU 또는 MCU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주행 파라미터 확인부(210)는, 차량 속도, rpm, 스로틀, 전력 변환기, 트랙션 모터의 전기적 특성, 전력 저장 장치, 사용자 인증 상태 등에 대한 측정값 및 기록값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파라미터 확인부(210)는, 차량의 스로틀 센서(120) 및 다른 센서들(150)로부터 센싱 신호들을 수집하며, 수집된 신호들 또는 각 신호에 대한 디지털 수치 변환값들을 상기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 및/또는 상기 운전 의지 판정부로 전달한다.
상기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220)는 전달받은 상기 신호/값들을 차량의 운행 관련 상태 판정을 위한 근거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주행 상태에서 차량 속도 및 rmp이 0이며, 각종 모션 센서가 움직임이 없음을 센싱하고, 키는 on상태임을 확인하면, 시동정지 상태로 판정/천이할 수 있다.
상기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220)는, 1) 시스템 에러가 없는 Key ON 상태, 2) 스로틀 개도 값이 0%일 때, 3) 모터 rpm이 0으로 차량이 정지인 상태, 4) 운전자가 시동 스위치(버튼) 누름(시동 신호 ON)을 모두 만족했을 때 시동 상태(또는 시동정지/안전 상태)라고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220)는, 상기 주행 파라미터 확인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로부터 운전자의 운전 의지를 판단하는데, 예컨대, 시동 상태(또는 시동안전 상태) 진입 이후 시간 임계치와 모션 센서값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운전 의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220)는, 상기 다른 센서들(150)에서 획득되는 신호 들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운전 의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 시간 동안 탑승자 감지 센서로부터 운전자가 부재 중인 신호를 취득하면, 운전자가 부재로 운전할 수 없음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220)는, 운전자의 운전 의지를 판단하되, 시동 상태(또는 시동안전 상태) 진입 이후 부터 시간을 적산하고, 미리 정해둔 2개의 short/long timeout threshold와 비교하여, long timeout threshold)을 초과하였을 시에는 운전 의지가 없다고 판단하고, short timeout threshold를 초과하였을 시에는, 시동 상태 진입 후 모션 센서값을 바탕으로 운전자가 차량 내에 없거나 차량과 거리가 기 설정된 distance threshold를 초과하는 것과 동시 만족시 운전의지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기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220)는, 시동 상태(이 경우에는, 시동정지 상태 및 시동안전 상태 모두될 수 있음) 진입 이후 에러가 발생하거나 운전 관련 파라미터들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 의지가 없다고 판정되면 차량 상태를 키온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센서(120)는 내연기관 차량과 같이 실제 스로틀의 개도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가 내연기관 차량의 스로틀 개도 조정 조작(예 : 엑셀 페달/손잡이 조작)을 위한 핸들의 움직임 정도를 검출하며, 이 검출 신호를 스로틀 개도 정도에 대한 신호로 취급한다.
상기 다른 센서들(150)로서, rpm센서, 가속도 센서, GPS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스위치 위치 판단 센서, 탑승자 감지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는 전동 차량 주행을 위한 구성 요소로서, 차량 주행을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480); 차량 주행을 위한 전력이 저장된 전력 저장 장치(420); 상기 전력 저장 장치에 저장된 전력을 차량 구동을 위한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기(440); 상기 변환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 모터(480)를 회전시키는 인버터(460)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제어기(200)는 상기 인버터(460)에 대한 토크 제어를 수행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전동 차량의 기본적인 구성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인버터는 스위칭 소자들 및 출력 전력 축적을 위한 커패시터를 구비하는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키온 상태에서는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력이 방전되는 반면, 시동정지 상태 및 시동안전 상태(도 1에서는 시동 상태)에서는 상기 커패시터에 전력이 축적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인버터 제어를 수행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운전자 통보부(280)를 지원하는 부속 구성요소로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20);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기(340); 시각적 신호/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360)를 나타내었다.
상기 운전자 통보부(280)에서 전동 차량이 시동 상태(또는 시동안전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방안으로서, 예컨대, 장치 연결 여부에 따라 아래 4가지 방안의 조합들이 가능하다.
첫째로, Sound Speaker를 통해 음향 신호를 발생시켜 청각적으로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둘째로, Vibration Device에 전력을 공급해 촉각적으로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세째로, Display Device를 통해 연속적 혹은 깜빡거리는 시각적 신호를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네째로, Smart Device를 통해 시각적/청각적 신호를 동시에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직관적인 통보는, 일반적인 알람 수단인 시각적 통보를 제외하고, 청각 및 촉각(특히 촉각)에 의한 알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청각과 촉각이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또는 레버식 스로틀이면서, 스로틀을 운전자가 조작하는데 필요한 로드(load, 힘)를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인 경우, 상기 직관적인 통보 신호로서 상기 스로틀 조작을 위한 로드값이 될 수 있다. 상기 로드값은 운전자가 스로틀 핸들 조작시 일종의 촉각으로서 인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주행 상태 통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조합된 진동 및 음향 정보의 형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운전자 통보부(280)는, 상기 전동 차량이 상기 주행 상태인 경우에는, 차속에 따른 음향 정보로 이를 운전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그래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속이 높을수록 높은 음량 및/또는 높은 주파수로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주행 시에도 전기 모터 차량의 소음은 작기 때문에 운전 중 주변인의 안전을 위해 내연기관과 같은 청각적/촉각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행 상태 모니터링 기능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2개 종류의 청각적 수단(Sound Speaker)과 촉각적 수단(Vibration Device)을 조합하여 주행 상태를 차속에 따라 3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 전략에 기반하여 2가지의 청각적/촉각적 신호를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통보할 뿐만 아니라, 주변인에게도 차량이 지나감을 알릴 수 있다.
첫번째(1st) 종류의 소리/진동은 실제 주행음보다는 알림음에 가까운 소리를 나타내며, 두번째(2nd) 종류의 소리/진동은 실제 주행음과 유사한 소리를 나타낸다.
예컨대, 첫번째 종류의 소리/진동은 간격이 성긴 펄스들 형태로 비교적 고주파수 형태를 가지고, 반면, 두번째 종류의 소리/진동은 내연 기관 엔진음 유사하게 간격이 조밀한 펄스들 형태로, 내연 기관 엔진음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차량 속도 구간별로 예시하여 살펴보겠다.
먼저, 저속 구간(1-30km/h)에서는, 아이들 상태를 막 벗어났으므로, 이 구간에서는 전기 모터의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바, 속도에 대하여 역방향(-2)의 기울기를 가지고 첫번째(1st) 소리/진동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1km/h에서 가장 큰 소리/진동이 발생하고 -2의 기울기를 가지고 첫번째(1st) 소리/진동이 줄어들게 구현할 수 있다.
다음, 중속 구간(30-60km/h)에서는 첫번째(1st) 소리/진동과 2nd 소리/진동, 2 종류의 소리/진동이 같이 발생된다. 이때, 첫번째(1st) 소리/진동은 -2의 기울기를 가지고 줄어들다가 차속 50km/h에서 사라지고, 두번째(2nd) 소리/진동은 차속 30km/h에서부터 1의 기울기를 가지고 커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속 구간(60-100km/h)에서는 두번째(2nd) 소리/진동만 발생하며, 예컨대, 60km/h에서부터 1.75의 기울기를 가지고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도 3의 상기 조건부 천이부(240)는, 도 1의 경우에는 특정 조작에 따라 시동 상태에서 주행 상태로 천이하며, 도 2의 경우에는 특정 조작에 따라 시동안전 상태에서 시동정지 상태 또는 주행 상태로 천이한다.
상기 조건부 천이부(240)가 확인하는 상기 특정 조작은, 2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 종류는 스로틀 핸들에 대한 일련의 연속된 조작 형태를 가지며, 둘째 종류는 스로틀 핸들 조작과 다른 부분에 대한 조작의 동시 입력의 형태를 가진다.
첫째 종류로서, 예컨대, 조건부 천이부(240)는, 상기 전동 차량의 스트틀이 소정 시간 내 2회 연속 조작되면, 시동안전 상태(또는 시동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천이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st 스로틀 센싱 값이 1st recognition threshold 이상 && 두 번째 스로틀 센싱 값이 min threshold 이상 발생시, 2nd 스로틀 센싱 값을 실제 운전자의 의도된 스로틀 값으로 고려하여 이를 출력할 토크 계산에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st 스로틀 조작과 2nd 스로틀 조작 사이 시간이 throttle valid time을 넘어서면, 연속된 스로틀 조작으로 볼 수 없어, 다시 1st 스로틀 조작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는 시동 상태에서 운전자의 의도치 않은 스로틀 조작으로 인한 차량 움짐임 방지를 위해 최초 스로틀 조작은, 시동안전 상태(또는 시동 상태)를 벗어나기 위한 운전자의 의도로 해석하고, 2번의 스로틀 조작 중 두 번째 스로틀 값을 실제 의도된 유효한 값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일단 차속이 발생한 이후부터는 상술한 조건들은 해제되고, 일반적인 주행 상태로서 스토틀 조작이 해석된다.
예컨대, 상기 조건부 천이부(240)는, 시동안전 상태(또는 시동 상태)(정지 상태 && 차속 0)에서 스로틀을 최초 역방향으로 조작한 이후 정상적으로 스로틀 조작 시 이를 유효한 값으로 판단하여, 시동안전 상태(또는 시동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천이시킬 수 있다.
둘째 종류로서, 예컨대, 상기 조건부 천이부는, 상기 시동안전 상태(또는 시동 상태)에서, 시동 스위치 조작(즉, 상기 키온 상태에서 상기 시동정지 상태(또는 시동 상태)로 천이하는데 필요한 조작임)이 인가된 후, 스로틀 조작이 발생되면, 시동안전 상태(또는 시동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천이시킬 수 있다.(예컨대, 상기 시동안전 상태에서 상기 시동정지 상태로 천이시킨다.)
예컨대, 상기 조건부 천이부는, 상기 시동안전 상태(또는 시동 상태)에서 출발시에는 브레이크를 잡은 상태에서의 스로틀 조작을 유효한 값으로 판단하여, 시동안전 상태(또는 시동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천이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태 천이를 위한 별도의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건부 천이부(240)는, 상기 별도의 조작 스위치(즉, 스로틀 스위치)의 조작과 함께 스로틀이 조작되면, 시동안전 상태(또는 시동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천이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별도의 조작 스위치로서, 예컨대, 스로틀 옆 별도의 푸쉬(Push) 타입 스위치를 적용하여 시동안전 상태(또는 시동 상태(정지 상태 && 차속 0)에서 스위치 누름과 같이 스로틀을 당겼을 시 이를 유효한 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3가지 상태를 천이하는 상태 통보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은, 전동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을 수집하는 단계(S110); 수집된 상기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로부터,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S120); 및 판정된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운전자에게 직관적(직관적)으로 통보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되, 상기 운전 상태는, 스로틀이 비활성화된 키온 상태, 스로틀이 활성화된 시동 상태, 및 주행 상태로 구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S120 단계에서 판정된 운전 상태가 시동 상태가 아니고(S140), 마찬가지로 주행 상태로 아니라면(S150), 키온 상태인데, 키온 상태에서는 별다른 운전자 통보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다시 S110 단계로 복귀한다.
도시한 S150 단계에서 주행 상태이면, 속도에 따른 주행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보하는데(S170), 주행 상태의 통보도 촉각/청각을 활용한 직관적 통보인 것이 유리하다. 구현에 따라, 상기 S170 단계에서 주행 상태 통보는, 상기 도 5의 그래프 및 그 설명에 따른, 2가지의 청각적/촉각적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직관적으로 통보하는 단계(S160)에서는, 상기 전동 차량이 상기 시동 상태 중에 운전자의 운전 의지가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 시동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진동 및 음향 정보로 통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행 상태임을 통보하는 단계(S160)에서는, 저속 구간에서는 차속에 대하여 반비례하고 알림음에 가까운 진동 및 음향 조합으로 통보하며, 고속 구간에서는 차속에 대하여 비례하고 주행음에 가까운 진동 및 음향 조합으로 통보할 수 있다.
상기 직관적으로 통보하는 단계(S160)에서는, 주행 상태임을 진동으로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방안으로서, 운전자가 착용하는 헬맷의 내면 중 운전자의 턱 부분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 진동 소자를 진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속도에 따른 주행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170)에서도 운전자로의 진동 전달에 있어, 운전자의 턱 부분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 진동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2a의 4가지 상태를 천이하는 상태 통보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은, 전동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을 수집하는 단계(S210); 수집된 상기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로부터,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S220); 및 판정된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운전자에게 직관적(직관적)으로 통보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되, 상기 운전 상태는, 스로틀이 비활성화된 키온 상태, 스로틀이 상기 주행 상태와 동일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활성화된 시동정지 상태, 스로틀이 특정 조작에 의해 조작할 수 있도록 활성화된 시동안전 상태, 및 주행 상태로 구별된다.
도 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키온 상태에서는 별다른 운전자 통보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다시 S210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시한 S250 단계에서 주행 상태이면, 속도에 따른 주행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보하는데(S270), 주행 상태의 통보도 촉각/청각을 활용한 직관적 통보인 것이 유리하다.
상기 직관적으로 통보하는 단계(S260)에서는, 상기 전동 차량이 상기 시동안전 상태 중에 운전자의 운전 의지가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 시동안전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진동 및 음향 정보로 통보할 수 있다.
상기 직관적으로 통보하는 단계(S260)에서는, 주행안전 상태임을 진동으로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방안으로서, 운전자가 착용하는 헬맷의 내면 중 운전자의 턱 부분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 진동 소자를 진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속도에 따른 주행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270)에서도 운전자로의 진동 전달에 있어, 운전자의 턱 부분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 진동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 제어기
220 :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
240 : 조건부 천이부
260 : 운전 의지 판정부
280 : 운전자 통보부
320 : 스피커
340 : 진동기
360 : 디스플레이

Claims (14)

  1. 주/정차와 관련된 운행 안전을 위한 상태들로서, 스로틀이 비활성화된 키온 상태, 스로틀이 활성화된 시동 상태, 및 주행 상태를 구비하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로서,
    상기 전동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을 수집하는 주행 파라미터 확인부;
    수집된 상기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로부터,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전동 차량의 상기 시동 상태를, 상기 전동 차량이 정지되어 있지만 시동은 걸려있는 상태인 시동정지 상태와 운전자가 상기 전동 차량의 아이들링 상태를 망각한 것으로 판정된 상태인 시동안전 상태로 구분하는 운전 상태 판정/천이부; 및
    판정된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통보하는 운전자 통보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자 통보부는,
    상기 전동 차량이 상기 시동안전 상태인 중에 운전자의 운전 의지가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 상기 전동 차량이 운전자의 대비 없이 빠르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시동안전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통보하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상기 운전 의지에 대하여 판정하는 운전 의지 판정부;
    를 더 포함하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통보부는,
    운전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내면 중 운전자의 턱 부분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 진동 소자를 포함하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통보부는,
    상기 전동 차량이 상기 주행 상태인 경우, 차속에 따라 조합된 진동 및 음향 정보로 이를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된 진동 및 음향 정보는,
    알림음에 가까운 제1 조합과, 주행음에 가까운 제2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운전자 통보부는,
    저속 구간에서는 차속에 대하여 반비례하는 상기 제1 조합으로 통보하며, 고속 구간에서는 차속에 대하여 비례하는 상기 제2 조합으로 통보하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정지 상태인 차량이 정지된 시간이 소정의 단기 기준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시동안전 상태로 천이시키고, 운전자의 특정 조작에 따라 상기 시동안전 상태에서 상기 시동정지 상태로 천이시키는 조건부 천이부
    를 더 포함하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천이부는,
    상기 전동 차량의 스로틀이 소정 시간 내 2회 연속 조작되면, 상기 시동안전 상태에서 상기 시동정지 상태로 천이시키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천이부는,
    상기 시동안전 상태에서, 상기 키온 상태에서 상기 시동정지 상태로 천이하는데 필요한 조작이 인가되면, 상기 시동안전 상태에서 상기 시동정지 상태로 천이시키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장치.
  10. 전동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을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주행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의 측정값들로부터,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및
    판정된 상기 전동 차량의 운전 상태를 운전자에게 직관적으로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운전 상태는, 스로틀이 비활성화된 키온 상태, 스로틀이 활성화된 시동 상태, 및 주행 상태로 구별되며,
    상기 시동 상태는, 상기 전동 차량이 정지되어 있지만 시동은 걸려있는 상태인 시동정지 상태와 운전자가 상기 전동 차량의 아이들링 상태를 망각한 것으로 판정된 상태인 시동안전 상태로 구분되고,
    상기 직관적으로 통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동 차량이 상기 시동안전 상태인 중에 상기 전동 차량이 운전자의 대비 없이 빠르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의 운전 의지가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 상기 시동안전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진동 및 음향 정보로 통보하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정지 상태는 스로틀이 상기 주행 상태와 동일하게 조작될 수 있는 상태이고, 상기 시동안전 상태는 스로틀이 특정 조작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된 운전 상태가 주행 상태이면, 운전자에게 주행 상태임을 통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상태임을 통보하는 단계에서는,
    저속 구간에서는 차속에 대하여 반비례하고 알림음에 가까운 진동 및 음향 조합으로 통보하며, 고속 구간에서는 차속에 대하여 비례하고 주행음에 가까운 진동 및 음향 조합으로 통보하는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KR1020200033141A 2020-03-18 2020-03-18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KR10230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141A KR102305819B1 (ko) 2020-03-18 2020-03-18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PCT/KR2021/003303 WO2021187892A1 (ko) 2020-03-18 2021-03-17 전동 차량의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
CN202180022204.3A CN115298075A (zh) 2020-03-18 2021-03-17 电动车辆的状态控制方法及装置
US17/912,269 US20230146868A1 (en) 2020-03-18 2021-03-17 Electric vehicle state control method an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141A KR102305819B1 (ko) 2020-03-18 2020-03-18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819B1 true KR102305819B1 (ko) 2021-09-28

Family

ID=7777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141A KR102305819B1 (ko) 2020-03-18 2020-03-18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46868A1 (ko)
KR (1) KR102305819B1 (ko)
CN (1) CN115298075A (ko)
WO (1) WO202118789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9292A (ja) * 1996-12-20 1997-06-30 Casio Comput Co Ltd 電動車両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7028816A (ja) * 2005-07-19 2007-02-0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始動装置
KR20110060504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
JP2017144876A (ja) * 2016-02-17 2017-08-24 株式会社 ミックウェア 二輪車及び二輪車システム
KR20180033717A (ko) * 2016-09-26 2018-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isg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07339B1 (ko) 2015-06-01 2018-10-11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차량의 발진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2587A (ja) * 1993-12-21 1995-07-21 Honda Motor Co Ltd 電気車両用擬似音発生装置
US6751534B2 (en) * 2000-12-21 2004-06-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to a driver of a hybrid vehicle
JP3979348B2 (ja) * 2003-06-12 2007-09-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始動確認装置
JP2006304509A (ja) * 2005-04-21 2006-11-02 Toyota Motor Corp 作動音報知装置
JP2009077556A (ja) * 2007-09-21 2009-04-09 Fuji Heavy Ind Ltd 電気自動車の発進制御装置
KR20120000861A (ko)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레오모터스 전기 이동체의 시동 시스템 및 시동 방법
JP5212512B2 (ja) * 2011-03-22 2013-06-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の運行通知音出力装置
KR101547938B1 (ko) * 2014-04-29 2015-08-28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작동 사운드 발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E102014225625A1 (de) * 2014-12-11 2016-06-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eines einspurigen Kraftfahrzeugs zum sicheren Befahren einer Kurve
KR20170005588A (ko) * 2015-07-06 2017-01-16 석정민 운전기사 부재시 자동시동(엔진)정지장치
KR101725673B1 (ko) * 2015-11-03 2017-04-11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 사운드 제네레이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315016B2 (ja) * 2016-03-25 2018-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9292A (ja) * 1996-12-20 1997-06-30 Casio Comput Co Ltd 電動車両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7028816A (ja) * 2005-07-19 2007-02-0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始動装置
KR20110060504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
KR101907339B1 (ko) 2015-06-01 2018-10-11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차량의 발진 제어 장치
JP2017144876A (ja) * 2016-02-17 2017-08-24 株式会社 ミックウェア 二輪車及び二輪車システム
KR20180033717A (ko) * 2016-09-26 2018-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isg 시스템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46868A1 (en) 2023-05-11
CN115298075A (zh) 2022-11-04
WO2021187892A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2615B2 (en) Artificial engine sound control unit, approaching vehicle audible system, and electric vehicle having them
JP5848828B2 (ja) 内燃機関制御システム
CN102254403B (zh) 汽车疲劳驾驶预警方法
JP5804725B2 (ja) アイドルストップ車の制御装置
JP2011184039A (ja) 車両の警報音発生装置
JP2011246121A (ja) 擬似音制御装置、擬似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動移動体
CN109353229B (zh) 一种纯电动车辆控制方法及装置
CN108859866B (zh) 一种紧急制动预警控制方法、装置及汽车
JP2017063535A (ja) 車両
KR20110060504A (ko)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
JP4794699B1 (ja) 擬似音制御装置、擬似音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動移動体
JP3703646B2 (ja) エンジン停止始動制御装置
JP2016199254A (ja) 車両制御装置
KR102305819B1 (ko) 전동 차량의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JP2006302106A (ja) 車両の警報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KR20130142346A (ko) 스마트 전기자동차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977416B1 (ko) 스마트 전기자동차 및 이의 운용방법
JP6559603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6044406B2 (ja) エンジン不停止警告装置
JP2004216955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JP2005231588A (ja) 車両の停車支援装置
KR102260330B1 (ko) 전동 차량의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1011968A (zh) 加速提醒方法及装置
JP2013035430A (ja) 自動二輪車
JP5569843B2 (ja) 自動車運転中の居眠り予兆検知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運転中の居眠り予兆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