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875B1 -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875B1
KR102303875B1 KR1020190036192A KR20190036192A KR102303875B1 KR 102303875 B1 KR102303875 B1 KR 102303875B1 KR 1020190036192 A KR1020190036192 A KR 1020190036192A KR 20190036192 A KR20190036192 A KR 20190036192A KR 102303875 B1 KR102303875 B1 KR 102303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romatic vinyl
mol
based copolymer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431A (ko
Inventor
이승환
김보은
박광수
장기보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90036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8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08F212/10Styrene with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2/00Copolymers of cyclic compounds contain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a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ring system
    • C08F232/08Copolymers of cyclic compounds contain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a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ring system having condens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내열성, 유동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AROMATIC VINYL-BASED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열성, 유동성 등이 우수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등의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내화학성, 투명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하여, 매트릭스(matrix) 수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통상적인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내열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으며, 내열성 수지로 적용하기 위하여, α-메틸스티렌계 단량체,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등의 고내열 단량체를 일정 함량 이상 포함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α-메틸스티렌계 단량체를 도입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용융점도가 낮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여러 열가소성 수지에 배합 시, 색상이 양호하고,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며, 상대적으로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도입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높은 열변형 온도 및 열분해 온도를 가지며, 여러 열가소성 수지와 배합 시, 내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α-메틸스티렌계 단량체의 경우, α-메틸스티렌계 단량체의 낮은 해중합 온도로 인하여, 통상적인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중합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중합을 진행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공중합체 중합 속도 및 전환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산업 적용에 큰 장애 요인이 된다.
또한,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적용한 공중합체의 경우, 말레이미드계 단량체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공중합체의 용융점도가 상승하며, 이로 인해 높은 가공 온도가 요구되고, 내충격성 등이 급격히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내열성, 유동성, 기계적 물성 등이 모두 우수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6638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유동성 등이 우수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32118436-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니트릴기, -COOR4(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32118436-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3는 탄소수 3 내지 7의 탄화수소기이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40 내지 60 몰%;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10 내지 50 몰%;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반복단위 5 내지 40 몰%;를 포함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및 비닐나프탈렌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및 푸마로니트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1a 내지 1c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112019032118436-pat00003
[화학식 1b]
Figure 112019032118436-pat00004
상기 화학식 1b에서,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다;
[화학식 1c]
Figure 112019032118436-pat00005
상기 화학식 1c에서, Ar은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2a 내지 2d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a]
Figure 112019032118436-pat00006
[화학식 2b]
Figure 112019032118436-pat00007
[화학식 2c]
Figure 112019032118436-pat00008
[화학식 2d]
Figure 112019032118436-pat00009
.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50,000 g/mol일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한 유리전이온도가 115 내지 160℃일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8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ASTM D1525에 의거하여 5 kg 하중 및 50℃/hr 조건에서 측정한 Vicat 연화온도가 100 내지 120℃일 수 있다.
10. 상기 1 내지 9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ASTM D1238 220℃, 10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20 내지 80 g/10분일 수 있다.
11.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9032118436-pat00010
상기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니트릴기, -COOR4(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19032118436-pat00011
상기 화학식 4에서, R3는 탄소수 3 내지 7의 탄화수소기이다.
12. 상기 11 구체예에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40 내지 60 몰%;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0 내지 50 몰%;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5 내지 40 몰%;를 포함할 수 있다.
13. 상기 11 또는 12 구체예에서, 상기 중합은 60 내지 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열성, 유동성 등이 우수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내열성, 유동성 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32118436-pat0001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니트릴기, -COOR4(여기서,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다),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다. 여기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를 제외한 니트릴기, -COOR4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19032118436-pat00013
상기 화학식 2에서, R3는 탄소수 3 내지 7의 탄화수소기이다. 예를 들면, R3는 탄소수 3 내지 7의 알킬렌기일 수 있고, R3가 프로필렌기일 경우, 5각형 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R3를 포함하는 고리는 이중 결합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는 전체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100 몰% 중 40 내지 60 몰%, 예를 들면 45 내지 55 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내열성, 유동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는 전체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100 몰% 중 10 내지 50 몰%, 예를 들면 20 내지 40 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내열성, 유동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하기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112019032118436-pat00014
[화학식 1b]
Figure 112019032118436-pat00015
상기 화학식 1b에서,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다.
[화학식 1c]
Figure 112019032118436-pat00016
상기 화학식 1c에서, Ar은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하기 화학식 2b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하기 화학식 2c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하기 화학식 2d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a]
Figure 112019032118436-pat00017
[화학식 2b]
Figure 112019032118436-pat00018
[화학식 2c]
Figure 112019032118436-pat00019
[화학식 2d]
Figure 112019032118436-pat00020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반복단위는 전체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100 몰% 중 5 내지 40 몰%, 예를 들면 10 내지 30 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내열성, 유동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가 함께 사용될 경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몰비는 1 : 0.01 내지 1 : 100, 예를 들면, 1 : 0.1 내지 1 : 1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에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내열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50,000 g/mol, 예를 들면 20,000 내지 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내열성, 유동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측정한 유리전이온도가 115 내지 160℃, 예를 들면 120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ASTM D1525에 의거하여 5 kg 하중 및 50℃/hr 조건에서 측정한 Vicat 연화온도가 100 내지 120℃, 예를 들면 103 내지 115℃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20℃, 10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20 내지 80 g/10분, 예를 들면 30 내지 70 g/10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9032118436-pat00021
상기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4]
Figure 112019032118436-pat00022
상기 화학식 4에서, R3는 상기 화학식 2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 100 몰% 중 40 내지 60 몰%, 예를 들면 45 내지 55 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내열성, 유동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 100 몰% 중 10 내지 50 몰%, 예를 들면 20 내지 40 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내열성, 유동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3a로 표시되는 단량체, 하기 화학식 3b로 표시되는 단량체, 하기 화학식 3c로 표시되는 단량체,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a]
Figure 112019032118436-pat00023
[화학식 3b]
Figure 112019032118436-pat00024
상기 화학식 3b에서,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다.
[화학식 3c]
Figure 112019032118436-pat00025
상기 화학식 3c에서, Ar은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단량체, 하기 화학식 4b로 표시되는 단량체, 하기 화학식 4c로 표시되는 단량체, 하기 화학식 4d로 표시되는 단량체,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a]
Figure 112019032118436-pat00026
[화학식 4b]
Figure 112019032118436-pat00027
[화학식 4c]
Figure 112019032118436-pat00028
[화학식 4d]
Figure 112019032118436-pat00029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 및/또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 100 몰% 중 5 내지 40 몰%, 예를 들면 10 내지 30 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내열성, 유동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함께 사용될 경우,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의 몰비는 1 : 0.01 내지 1 : 100, 예를 들면, 1 : 0.1 내지 1 : 1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에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내열성,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합성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미반응물인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생성물인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와 분리하지 않고,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의 혼합물 형태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중합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개시제와 함께 테트라히드로퓨란(THF), 톨루엔, 자일렌 등의 유기 용매에 넣은 후, 1 내지 10 시간 동안 60 내지 100℃, 예를 들면 70 내지 90℃로 가열 및 교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제조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분해 및 역반응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개시제로는 중합 분야에서 알려진 통상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옥탄오일 퍼옥사이드, 데칸오일 퍼옥사이드, 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모노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디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p-메틸벤조일 퍼옥사이드,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상기 반응 혼합물 100 몰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몰부, 예를 들면 0.3 내지 5 몰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
스티렌 50 몰%, 아크릴로니트릴 40 몰% 및 상기 화학식 3a로 표시되는 단량체(5-norbornene-2-carbonitrile; NBC) 10 몰%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 100 몰부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5 몰부를 혼합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용매에 넣고, 7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50 몰%,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40 몰% 및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0 몰%를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전환율: 42%). 제조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유리전이온도, Vicat 연화온도 및 용융흐름지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
스티렌 50 몰%, 아크릴로니트릴 40 몰% 및 상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단량체(dicyclopentadiene; DCPD) 10 몰%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 100 몰부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5 몰부를 혼합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용매에 넣고, 7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50 몰%,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40 몰% 및 상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0 몰%를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전환율: 45%). 제조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유리전이온도, Vicat 연화온도 및 용융흐름지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
스티렌 50 몰%, 아크릴로니트릴 40 몰%, 상기 화학식 3a로 표시되는 단량체(5-norbornene-2-carbonitrile; NBC) 7 몰% 및 상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단량체(dicyclopentadiene; DCPD) 3 몰%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 100 몰부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5 몰부를 혼합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용매에 넣고, 7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50 몰%,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40 몰%,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7 몰% 및 상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3 몰%를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전환율: 48%). 제조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유리전이온도, Vicat 연화온도 및 용융흐름지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
스티렌 50 몰%, 아크릴로니트릴 30 몰%, 상기 화학식 3a로 표시되는 단량체(5-norbornene-2-carbonitrile; NBC) 14 몰% 및 상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단량체(dicyclopentadiene; DCPD) 6 몰%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 100 몰부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5 몰부를 혼합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용매에 넣고, 7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50 몰%,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30 몰%,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4 몰% 및 상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6 몰%를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전환율: 48%). 제조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유리전이온도, Vicat 연화온도 및 용융흐름지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
스티렌 50 몰%, 아크릴로니트릴 20 몰%, 상기 화학식 3a로 표시되는 단량체(5-norbornene-2-carbonitrile; NBC) 20 몰% 및 상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단량체(dicyclopentadiene; DCPD) 10 몰%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 100 몰부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5 몰부를 혼합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용매에 넣고, 7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50 몰%,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20 몰%,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20 몰% 및 상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0 몰%를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전환율: 44%). 제조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유리전이온도, Vicat 연화온도 및 용융흐름지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
스티렌 50 몰%, 아크릴로니트릴 30 몰%, 상기 화학식 3c로 표시되는 단량체(Ar: 페닐기) 14 몰% 및 상기 화학식 4c로 표시되는 단량체 6 몰%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 100 몰부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5 몰부를 혼합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용매에 넣고, 7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50 몰%,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30 몰%, 상기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4 몰% 및 상기 화학식 2c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6 몰%를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전환율: 47%). 제조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유리전이온도, Vicat 연화온도 및 용융흐름지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
스티렌 50 몰% 및 아크릴로니트릴 50 몰%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 100 몰부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5 몰부를 혼합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용매에 넣고, 7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50 몰% 및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50 몰%를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전환율: 78%). 제조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유리전이온도, Vicat 연화온도 및 용융흐름지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
스티렌 20 몰%, 아크릴로니트릴 30 몰% 및 α-메틸스티렌 50 몰%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 100 몰부에 대하여,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5 몰부를 혼합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용매에 넣고, 11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20 몰%,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30 몰% 및 α-메틸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반복단위 50 몰%를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전환율: 75%). 제조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 유리전이온도, Vicat 연화온도 및 용융흐름지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1) 중량평균분자량(Mw, 단위: g/mol):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로 측정하였다.
(2) 유리전이온도(Tg, 단위: ℃): TA Instrument사의 Q2910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장비를 이용하여, 샘플 0.5 mg을 80℃에서 4시간 동안 진공 건조 후(수분 3,000 ppm 이하), 질소 분위기에서, 20℃에서 160℃까지 20℃/min 속도로 승온 후 5분간 160℃에서 체류 후 10℃/min 속도로 냉각하고, 20℃에서 5분간 체류 후, 승온 속도 10℃/min으로 160℃로 올리면서(2nd scan), 나오는 전이 온도(transition temperature)로부터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였다.
(3) Vicat 연화온도(VST, 단위: ℃): ASTM D1525에 의거하여 5 kg 하중 및 50℃/hr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4)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 단위: g/10분): ASTM D1238 220℃에 의거하여, 220℃, 10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스티렌 (몰%) 50 50 50 50 50 50 50 20
아크릴로니트릴 (몰%) 40 40 40 30 20 30 50 30
화학식 3a (몰%) 10 - 7 14 20 - - -
화학식 3c (몰%) - - - - - 14 - -
화학식 4a (몰%) - 10 3 6 10 - - -
화학식 4c (몰%) - - - - - 6 - -
α-메틸스티렌 (몰%) - - - - - - - 50
중량평균분자량 (g/mol) 24,000 33,000 42,000 29,000 35,000 30,000 120,000 98,000
유리전이온도 (℃) 125 120 122 137 145 126 105 116
VST (℃) 105 104 105 112 115 108 80 102
MI (g/10분) 32 46 55 69 47 45 8 12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실시예 1 내지 6)는 통상적인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비교예 1) 및 기존 내열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비교예 2)에 비하여, 내열성(유리전이온도 및 Vicat 연화온도) 및/또는 유동성(MI)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40 내지 60 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반복단위 10 내지 50 몰%;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반복단위 5 내지 40 몰%;를 포함하며,
    ASTM D1238에 의거하여 220℃, 10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20 내지 80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21057067237-pat00030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니트릴기, -COOR4(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21057067237-pat00031

    상기 화학식 2에서, R3는 탄소수 3 내지 7의 탄화수소기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및 비닐나프탈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및 푸마로니트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1a 내지 1c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화학식 1a]
    Figure 112019032118436-pat00032

    [화학식 1b]
    Figure 112019032118436-pat00033

    상기 화학식 1b에서,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이다;
    [화학식 1c]
    Figure 112019032118436-pat00034

    상기 화학식 1c에서, Ar은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2a 내지 2d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화학식 2a]
    Figure 112019032118436-pat00035

    [화학식 2b]
    Figure 112019032118436-pat00036

    [화학식 2c]
    Figure 112019032118436-pat00037

    [화학식 2d]
    Figure 112019032118436-pat00038
    .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5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시차주사열량계(DSC)로 측정한 유리전이온도가 115 내지 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ASTM D1525에 의거하여 5 kg 하중 및 50℃/hr 조건에서 측정한 Vicat 연화온도가 100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10. 삭제
  11.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40 내지 60 몰%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10 내지 50 몰%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단량체 5 내지 40 몰%를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이며,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20℃, 10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20 내지 80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3]
    Figure 112021057067237-pat00039

    상기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니트릴기, -COOR4(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21057067237-pat00040

    상기 화학식 4에서, R3는 탄소수 3 내지 7의 탄화수소기이다.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은 60 내지 10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90036192A 2019-03-28 2019-03-28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3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92A KR102303875B1 (ko) 2019-03-28 2019-03-28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192A KR102303875B1 (ko) 2019-03-28 2019-03-28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431A KR20200114431A (ko) 2020-10-07
KR102303875B1 true KR102303875B1 (ko) 2021-09-17

Family

ID=7288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192A KR102303875B1 (ko) 2019-03-28 2019-03-28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8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5618A (ja) * 2000-12-11 2004-05-27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レジ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チレンおよびジシクロペンタジエンのモノマーから作製された熱重合共重合体
JP2011202153A (ja) * 2010-03-03 2011-10-13 Nihon Univ ノルボルネン系付加重合用パラジウム触媒並びにノルボルネン系付加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97693B1 (ko) * 2011-06-03 2014-05-22 제일모직주식회사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820B1 (ko) * 2014-10-16 2017-03-20 롯데첨단소재(주)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895112B1 (ko) * 2015-12-31 2018-09-04 롯데첨단소재(주)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35099B1 (ko) * 2016-08-29 2019-01-03 롯데첨단소재(주)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5618A (ja) * 2000-12-11 2004-05-27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レジ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チレンおよびジシクロペンタジエンのモノマーから作製された熱重合共重合体
JP2011202153A (ja) * 2010-03-03 2011-10-13 Nihon Univ ノルボルネン系付加重合用パラジウム触媒並びにノルボルネン系付加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97693B1 (ko) * 2011-06-03 2014-05-22 제일모직주식회사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431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6708B1 (en) A continuous polymerization process for producing maleimide-alpha-alkylstyrene-based tetrapolymer with low molten viscosity
EP2160422B1 (en) Maleimide-alpha-alkylstyrene-based terpolymer with low molten viscosity and continuous bulk process for producing it
KR102146370B1 (ko)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JPH0463810A (ja) アクリル―ノルボルネン系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法
KR102303875B1 (ko)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2597B1 (ko) 내열성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US20060241277A1 (en) Method for preparing imide substituted copolymer resin
KR101152058B1 (ko) 내열성 알파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509858B1 (ko) 말레이미드계 공중합 수지의 제조방법
KR100751022B1 (ko) 초고광택 고무 변성 스티렌계 수지의 연속 제조 방법
KR101055000B1 (ko) α-메틸스티렌 및 비닐시안 화합물의 공중합 내열성 수지의연속 제조 방법
KR20140118170A (ko)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828715B1 (ko) 내열성이 우수한 α-메틸스티렌 및 비닐 시안 화합물의공중합 내열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0768742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알파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514412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이미드화 공중합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4928A (ko) 연속괴상중합에 의한 초내열수지 제조
KR100582336B1 (ko)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를 이용한 방향족비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839652B1 (ko)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스티렌계수지
KR101397693B1 (ko)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708990B1 (ko) 색상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말레이미드계 공중합 수지의제조방법
KR20210070908A (ko)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682237B1 (ko) 이미드 치환 공중합 수지의 제조방법
JPH05310853A (ja) 耐熱性アクリル樹脂の製造方法
KR100497176B1 (ko) 말레 이미드계 공중합 수지의 제조방법
JP2008248207A (ja) クマリン−ス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