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235B1 -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235B1
KR102303235B1 KR1020140158763A KR20140158763A KR102303235B1 KR 102303235 B1 KR102303235 B1 KR 102303235B1 KR 1020140158763 A KR1020140158763 A KR 1020140158763A KR 20140158763 A KR20140158763 A KR 20140158763A KR 102303235 B1 KR102303235 B1 KR 102303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fastening member
ben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7757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2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 사용되는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는 일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전방이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저지하는 분리방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타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분리방지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부의 상부 및 절곡부의 후방을 감싸면서 상기 체결부재에 고정결합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STRUCTURE OF PREVENTING CONNECTOR REMOVEMENT}
본 발명은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 사용되는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증가와 함께 차량의 도난 또한 늘게 되어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도난 방지 장치 중 가장 대표적인 장치로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IMMOBILIZER SYSTEM)이 있다.
상기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은 시동키의 기계적인 일치뿐만 아니라 시동키에서 무선으로 암호화 코드를 발생시키고 이를 EMS가 확인하여 미리 저장된 암호화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시동을 허가하는 시스템이다.
즉, 운전자가 시동키를 키 홀에 삽입, 또는 원거리에서 무선으로 온(ON) 시키면 시동키에 저장된 고유 암호화 코드를 EMS가 판독하여 미리 저장된 암호화 코드와 비교하고 이들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시동을 허가한다.
그리고, 해당 차량의 고유한 암호화 코드가 아닐 경우, EMS는 엔진 시동에 관련된 릴레이를 오프 제어하고 연료분사 및 점화를 차단하여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폰더(11: TRANSPONDER), 스마트라 유닛(20: SMARTRA UNIT)과 EMS(30: ENGINE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트랜스폰더(11)는 상기 시동키(10)에 내장된 것으로서, 차량 도난 방지 관련 보안 프로그램 및 ID CODE 등이 저장되어 있으면서 암호화 코드를 발생시킨다.
상기 스마트라(20)는 상기 시동키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암호화 코드를 상기 EMS(30)가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러한 상기 이모빌라이저의 개략적이 인증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트랜스폰더(20)는 안테나 코일(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유도된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하는데, 상기 시동키(10)를 온(IG ON)시킬 때 안테나 코일로부터 전달되는 전자기적 에너지에 의해 암호화 코드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암호화 코드를 안테나 코일로 무선 송신하게 된다.
안테나 코일로부터 무선 송신된 상기 트랜스폰더(11) 암호화 코드는 상기 스마트라(20)에 포함된 디코더(DECODER)에서 상기 EMS가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EMS(30)로 전달된다.
상기 EMS(30)는 난수(Random Number)를 생성하고 암호코드를 계산하게 되며, 상기 스마트라(20)로부터 전달받은 암호화 코드를 판독하여 그 결과에 따라 엔진 시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EMS(30)는 상기 스마트라(20)로부터 전송받은 암호코드와 상기 계산된 암호코드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할 경우 인증을 종료하며, 인증 종료 후에는 차량 시동시 상기 EMS(30)의 연료분사 및 점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상기 스마트라(20)로부터 전송된 암호코드와 상기 계산된 암호코드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연료분사 및 점화를 할 수 없게 된다.
현재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이 장착되는 차량에는 생산공장에서 차량 생산시 각 시동키마다 고유 암호화 코드를 부여하고 있다.
상술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은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으로 전 차종에 확대 적용되고 있는 필수 시스템이나, 상기 EMS 및 상기 스마트라를 차량에 탈거하여 새로운 EMS나 스마트라로 교체한 후, 상기 교체된 EMS에 맞는 시동키를 이용하면 시동을 걸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을 쉽게 도난당할 위험성이 있다.
특히, 회로기판, 커넥터 등 상기 스마트라 유닛의 구성품들을 은폐시키는 종래의 스마트라 구조물은 길다란 공구 등을 이용할 경우 상기 스마트라 유닛의 구성품들이 강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리방지부가 상기 커넥터를 감쌈으로써, 커넥터가 분리방지부의 내부에 용이하게 은폐되어 하우징으로부터 강제로 분리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는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는 일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전방이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저지하는 분리방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타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분리방지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부의 상부 및 절곡부의 후방을 감싸면서 상기 체결부재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재는, 금속재질의 상기 너트, 상기 너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플라스틱 재질의 너트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너트의 외주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요철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너트하우징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커넥터의 후방을 감싸면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커넥터의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양단에서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커넥터가 배치된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의 하면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면접한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둘레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방지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차단부의 상면에서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덮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부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보호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호돌기의 안쪽에 면접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상기 하우징에 상기 체결부재가 일체로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기 분리방지부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 상기 하우징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방지부가 상기 커넥터를 감쌈으로써, 상기 커넥터가 분리방지부의 내부에 용이하게 은폐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강제로 분리되는 것이 저지될 수 있고,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너트의 외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너트가 상기 너트하우징에 결합후, 상기 너트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너트하우징의 외주면에 요철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너트하우징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진 너트가 플라스틱 재질의 너트하우징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분리방지부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이 손상되는 것이 저지된다.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리방지부를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분리방지부가 상기 커넥터의 후방을 감싸도록 절곡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넥터의 후방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가 상기 커넥터의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단부가 상기 커넥터의 절곡부를 용이하게 은폐시킬 수 있고,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분리방지부를 상기 하우징에 용이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하면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분리방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용이하게 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 사이의 틈을 용이하게 은폐시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별도의 길다란 공구 등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체결부재 둘레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방지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리방지부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돌기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분리방지부를 상기 하우징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덮개부가 상기 차단부의 상면에서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리방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용이하게 저지할 수 있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분리방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2중으로 저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기 보호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와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 별도의 길다란 공구 등이 삽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분리 방지 구조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중 가장 대표적인 장치인 이모빌라이저 시스템(IMMOBILIZER SYSTEM)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300) 제거 방지 구조는 하우징(100)과, 회로기판(200)과, 커넥터(300)와, 체결부재(400)와, 분리방지부(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상기 회로기판(200)과 커넥터(300) 등 각종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3)이 형성된 몸체로서, 상기 회로기판(200)과 상기 커넥터(300) 등의 각종 부품들이 원활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110)와 커버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부 및 일측면은 삽입공(124)이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회로기판(200)과 상기 커넥터(300) 등의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3)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113)에 수용된 각종 부품들은 은폐시킨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120)는 안착홈(121)과, 고정홈(122)과, 보호돌기(112)와, 체결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삽입공(124)은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커버부(120) 일측면 또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측면과 커버부(120)의 일측면에 형성됨도 가능하다.
상기 안착홈(121)은 상기 커버부(120)의 상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삽입배치된다.
상기 안착홈(121)은 더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2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22)은 상기 커버부(120)에서 상기 체결부재(400)의 둘레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홈(122)은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상기 커버부(120)의 상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돌기(112)는 상기 삽입공(124)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은 상기 커버부(120)의 상면에 관통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체결부재(400)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체결부재(400)에 의해 상기 커버부(120)에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고정된다.
상기 회로기판(200)은 상기 수용공간(113)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300)는 상기 회로기판(200)과 외부기기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공(124)에 삽입되어 전방이 상기 회로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커넥터(300)는 수평부(310)와, 절곡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310)는 일단이 상기 삽입공(124)에 삽입되어 상기 회로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절곡부(320)는 상기 수평부(310)의 타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320)는 상기 삽입공(124)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로 인해, 외부기기가 상기 절곡부(32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에 일체로 고정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00)에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체결부재(400)는 너트(410)와, 너트하우징(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너트(41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4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결합홈(411)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하우징(42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너트(410)의 외주면을 감싼다.
그리고, 상기 너트하우징(42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요철돌기(421)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410)는 상기 너트하우징(420)에 수용될 때, 상기 너트(4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411)에 의해 상기 너트하우징(420)으로 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너트하우징(420)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너트하우징(42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 요철돌기(421)로 인해, 상기 베이스부(110)에 인서트사출될 때,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이 저지된다.
여기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상기 베이스부(110)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너트하우징(420)이 일체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너트하우징(420)의 내부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너트(410)가 수용됨으로써,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사 또는 볼트가 상기 베이스부(110)를 조여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베이스부(110)를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나사 또는 볼트를 용이하게 조일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50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체결부재(400)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300)가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저지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분리방지부(500)는 상기 수평부(310)의 상부 및 상기 절곡부(320)의 후방을 감싸면서 상기 체결부재(400)에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방지부(500)는 상기 커넥터(300)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300)가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강제로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분리방지부(500)는 차단부(510)와, 연결부(520)와, 지지부(530)와, 덮개부(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부(510)는 상기 삽입공(124) 방향인 상기 커넥터(300)의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124)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20)는 상기 차단부(510)의 양단에서 상기 하우징(100) 방향으로 절곡형성 되고, 상기 보호돌기(112)의 안쪽에 면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510)와 상기 연결부(520)에 의해 상기 커넥터(300)의 절곡부(320)는 용이하게 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520)는 상기 보호돌기(112)의 안쪽에 면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530)와 상기 베이스부(110)사이의 틈이 상기 보호돌기(112)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별도의 길다란 공구 등을 상기 베이스부(110)와 상기 연결부(520)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로 인해,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강제로 개방되는 것이 저지된다.
상기 지지부(530)는 상기 연결부(520)에서 상기 커넥터(300)가 배치된 수평방향으로 절곡형성되며, 하면이 상기 커버부(120)에 면접촉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53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홈(121)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530)는 상기 안착홈(121)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10)와 상기 지지부(530) 사이의 틈이 가려짐으로써, 별도의 길다란 공구 등을 상기 베이스부(110)와 상기 지지부(530)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로 인해,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강제로 개방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530)는 체결공(531)과, 고정돌기(5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공(531)은 상기 지지부(530)에서 상기 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공(531)을 통해 상기 커버부(120)의 체결홈에 삽입된 상기 체결부재(400)에 나사 또는 볼트가 삽입되어 조여짐으로써,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상기 커버부(120)의 상면에 용이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532)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12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53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상기 커버부(120)에 결합시, 상기 분리방지부(500)의 결합위치를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540)는 상기 차단부(510)의 상면에서 상기 하우징(100) 방향으로 수평으로 절곡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5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용이하게 저지할 수 있고, 상기 덮개부(540)는 상기 지지부(53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서,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상기 지지부(530)와 함께 2중으로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강제로 개방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300) 제거 방지 구조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체결부재(400)가 일체로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시, 상기 하우징(100)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상기 커넥터(300)를 감쌈으로써, 상기 커넥터(300)가 분리방지부(500)의 내부에 용이하게 은폐되어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강제로 분리되는 것이 저지될 수 있고,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410)의 외주면에 결합홈(41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너트(410)가 상기 너트하우징(420)에 결합후, 상기 너트하우징(4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너트하우징(420)의 외주면에 요철돌기(421)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너트하우징(420)이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후,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진 너트(410)가 플라스틱 재질의 너트하우징(4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분리방지부(500)를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이 손상되는 것이 저지된다.
아울러, 상기 차단부(510)가 상기 커넥터(300)의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124)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단부(510)가 상기 커넥터(300)의 절곡부(320)를 용이하게 은폐시킬 수 있고, 상기 연결부(520) 및 상기 지지부(530)에 의해 상기 분리방지부(500)를 상기 하우징(100)에 용이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30)가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21)에 삽입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지지부(530) 사이의 틈을 용이하게 은폐시켜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지지부(530) 사이에 별도의 길다란 공구 등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체결부재(400) 둘레에 고정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방지부(500)에는 상기 고정홈(12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53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리방지부(500)를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시, 상기 고정홈(122)과 상기 고정돌기(532)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분리방지부(500)의 결합위치를 용이하게 가이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덮개부(540)가 상기 차단부(510)의 상면에서 상기 하우징(100) 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용이하게 저지할 수 있고, 상기 덮개부(540)가 상기 지지부(53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분리방지부(500)가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2중으로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상기 보호돌기(11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520)와 면접촉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연결부(520) 사이에 별도의 길다란 공구 등이 삽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하우징, 110: 베이스부, 112: 보호돌기, 113: 수용공간, 120: 커버부, 121: 안착홈, 122: 고정홈, 123: 체결홈, 124: 삽입공
200: 회로기판
300: 커넥터, 310: 수평부, 320: 절곡부
400: 체결부재, 410: 너트, 411: 결합홈, 420: 너트하우징, 421: 요철돌기
500: 분리방지부, 510: 차단부, 520: 연결부, 530: 지지부, 531: 체결공, 532: 고정돌기, 540: 덮개부

Claims (10)

  1. 일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전방이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저지하는 분리방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타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분리방지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부의 상부 및 절곡부의 후방을 감싸면서 상기 체결부재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커넥터의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양단에서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커넥터가 배치된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차단부의 상면에서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덮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부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금속재질의 너트;
    상기 너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플라스틱 재질의 너트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너트의 외주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요철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너트하우징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커넥터의 후방을 감싸면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면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면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둘레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방지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9. 삭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보호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호돌기의 안쪽에 면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KR1020140158763A 2014-11-14 2014-11-14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KR102303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763A KR102303235B1 (ko) 2014-11-14 2014-11-14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763A KR102303235B1 (ko) 2014-11-14 2014-11-14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757A KR20160057757A (ko) 2016-05-24
KR102303235B1 true KR102303235B1 (ko) 2021-09-16

Family

ID=5611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763A KR102303235B1 (ko) 2014-11-14 2014-11-14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2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1896A (ja) * 2002-11-19 2004-06-17 Sony Corp コネクタ装置、電源装置、並びにコネクタ装置の取り付け方法
JP4150378B2 (ja) * 2005-02-09 2008-09-17 サミー株式会社 コネクタの引き抜き制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987U (ja) * 1992-02-27 1993-09-2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コネクタホルダ
JP4371897B2 (ja) * 2003-09-04 2009-11-25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ーの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1896A (ja) * 2002-11-19 2004-06-17 Sony Corp コネクタ装置、電源装置、並びにコネクタ装置の取り付け方法
JP4150378B2 (ja) * 2005-02-09 2008-09-17 サミー株式会社 コネクタの引き抜き制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757A (ko)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0828B1 (en) Protective cover
JP4625724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H09289057A (ja) 防水コネクタ
JP2004039332A (ja) 牽引車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9160104B2 (en) Plug-in connector and a plug-in module system
CN204155872U (zh) 断路器接线端子
JP2013141937A (ja) Obdコネクタ保護カバー
US5619074A (en) Electronic security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2303235B1 (ko) 커넥터 제거 방지 구조
JP2015133175A (ja) 充電コネクタホルダ
JP6358164B2 (ja) アース機能付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4867862B2 (ja) コネクタの抜き取り防止装置
US6833503B2 (en) Device for fixing distribution boxes
US20050013435A1 (en) Mounting for electronic accessories for vehicles
JP6470090B2 (ja) 充電コネクター用ホルダー
EP3628548B1 (en) A security system
JP2005256476A (ja) キー装置
CN109196732B (zh) 连接器
JP4930946B2 (ja) ボルトカバー器具
KR101159728B1 (ko) 차량용 변속기의 커넥터 고정 장치
JP3729636B2 (ja) 電気機器の防水ケース
KR20050063287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도난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방법
RU185709U1 (ru) Механическая защита диагностического разъема автомобиля
JP2010092614A (ja) コネクタ
US20160247654A1 (en) Fusible link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