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397B1 -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397B1
KR102302397B1 KR1020200117694A KR20200117694A KR102302397B1 KR 102302397 B1 KR102302397 B1 KR 102302397B1 KR 1020200117694 A KR1020200117694 A KR 1020200117694A KR 20200117694 A KR20200117694 A KR 20200117694A KR 102302397 B1 KR102302397 B1 KR 102302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ishing rod
mold
polygonal
grip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귀
Original Assignee
김선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귀 filed Critical 김선귀
Priority to KR102020011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낚싯대(20)의 제작을 위한 원단(10)의 끝부분을 금형(6)에 부착하는 원단 부착 단계; 상기 원단(10)을 금형(6)에 말아주는 원단 폴딩 단계; 상기 금형(6)에 말아진 상기 원단(10)의 외주면에 성형 테이프(14)를 말아주는 테이프 폴딩 단계; 상기 금형(6)에 상기 원단(10)과 상기 성형 테이프(14)가 말려져 있는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하여 낚싯대(20)를 형성하는 낚싯대 성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금형(6)에는 낚싯대(20)의 각이진 다각형 그립부(22)를 형성하기 위한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를 구비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원단 폴딩 단계에서 상기 원단(10)을 상기 금형(6)의 외주면에 말아줄 때에 상기 원단(10)에 다각형 그립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 테이프(14)를 상기 원단(10)에 말아준 상태에서 상기 성형 테이프(14)도 상기 원단(10)의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와 대응되는 다각형상으로 말아지며,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상기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하면, 상기 낚싯대(20)에 다각형 그립부(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Fishing rod with polygonal grip pa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싯대에서 손으로 잡는 그립부를 다각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는 직경이 다른 여러 개의 단위 낚싯대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손잡이로부터 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다수개의 단위 낚싯대를 전,후진 또는 끼워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낚싯대를 보관 및 운반할 시에는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사용시에는 길이를 길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낚싯대는 낚시줄을 포함한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요구되고, 또한 낚시줄의 마모방지와 함께 탄력성 유지 및 낚시줄 고정에 따른 번거로움 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한편, 낚싯대의 강도를 보장하도록 카본 소재로 낚싯대를 제조하고 있는 추세이다. 카본섬유로 제조되는 낚싯대는 카본섬유의 우수한 특성, 즉 고탄성 고인장강도를 지니고 있으면서 가볍고 강성이 높으며, 내식성(내약품성)과 내피로성, 그리고 진동감쇠성이 우수하여 가볍고 우수한 품질의 낚싯대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낚싯대에서 손으로 잡는 그립부에서 손이 미끄러지거나 낚싯대를 파지한 손에서 그립부가 회전됨으로 인하여 낚싯대 자체가 손에서 회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낚시를 즐길 때에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28159호(2017년04월12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056110호(2011년08월04일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대에서 손으로 잡는 그립부를 다각형으로 제조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낚싯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돌아가거나 슬립됨으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등의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싯대 바디; 상기 낚싯대 바디의 기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그립부 포밍편으로 이루어진 다각형 그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가 제공된다.
상기 낚싯대 바디와 상기 다각형 그립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원단의 양쪽 끝단과 인접한 안쪽면에 한 쌍의 보강원단이 부착된 상태에서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를 구비한 금형의 둘레부에 상기 원단과 상기 보강원단을 감아서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가열함으로써 다각형 그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단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한 쌍의 상기 보강원단에 의해서는 상기 낚싯대 바디의 선단부쪽에 프론트 보강부와 상기 다각형 그립부의 기단부쪽에 리어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상기 보강원단은 상기 원단의 안쪽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보강원단이 상기 원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상기 프론트 보강부과 상기 리어 보강부에 의해 상기 낚싯대 바디의 선단부와 인접한 부분과 상기 다각형 그립부의 기단부에 인접한 부분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원단은 상기 원단의 선단부와 기단부에 인접한 안쪽면에 각각 부착되며 상대적으로 길이가 다른 단선 보강원단과 장선 보강원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선 보강원단의 길이는 상기 낚싯대 바디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다각형 그립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도록 형성하여, 상기 원단에 단선 보강원단과 장선 보강원단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낚싯대 바디와 다각형 그립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낚싯대 바디의 선단부와 인접한 안쪽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프론트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 그립부의 안쪽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리어 보강부가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보강부에 의해 상기 낚싯대 낚싯대 바디의 선단부쪽의 강도가 보강되고, 상기 리어 보강부에 의해 상기 다각형 그립부 전체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싯대의 제작을 위한 원단의 끝부분을 금형에 부착하는 원단 부착 단계; 상기 원단을 금형에 말아주는 원단 폴딩 단계; 상기 금형에 말아진 상기 원단의 외주면에 성형 테이프를 말아주는 테이프 폴딩 단계; 상기 금형에 상기 원단과 상기 성형 테이프가 말려져 있는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하여 낚싯대를 형성하는 낚싯대 성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금형에는 낚싯대의 각이진 다각형 그립부를 형성하기 위한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를 구비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원단 폴딩 단계에서 상기 원단을 상기 금형의 외주면에 말아줄 때에 상기 원단에 다각형 그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상기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한 다음 경화시키면, 상기 낚싯대 바디에 사람이 손으로 잡는 다각형 그립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금형의 외주면에 상기 원단이 감겨지고 상기 원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성형 테이프가 감져져 있는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상기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하면, 상기 원단이 상기 금형에 의해 지지되어 낚싯대 바디에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 테이프를 상기 원단에 말아준 상태에서 상기 성형 테이프도 상기 원단의 다각형 그립부와 대응되는 테이프 다각 형상부를 구비하도록 말아져서 상기 원단이 가열된 다음 경화되어 낚싯대가 성형된 다음에는 상기 성형 테이프를 벗겨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로의 내부 온도는 135~145℃이며,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상기 가열로의 내부에서 상기 온도로 가열하여 낚싯대를 성형하며, 상기 가열로 내부에서의 가열 시간은 1시간 40분에서 2시간 10분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은 카본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낚싯대가 카본 낚싯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형을 상기 낚싯대에서 탈거하는 금형 탈거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 폴딩 단계에서는 일정 사이즈로 재단된 상기 원단을 폴딩 베이스에 얹혀서 폴딩기를 이용하여 상기 금형의 외주면에 상기 원단을 말아주며, 상기 폴딩 베이스는 35~45℃의 온열로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원단을 상기 금형의 외주면에 말아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 부착 단계를 실시하기 이전에 상기 원단의 앞쪽과 뒤쪽에 보강원단을 부착하는 보강원단 부착 단계를 더 실시한 다음, 상기 보강원단이 부착된 상기 원단의 끝쪽을 상기 원단 부착 단계에서 상기 금형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싯대의 제작을 위한 원단의 끝부분을 금형에 부착하는 원단 부착 단계; 상기 원단을 금형에 말아주는 원단 폴딩 단계; 상기 금형에 말아진 상기 원단의 외주면에 성형 테이프를 말아주는 테이프 폴딩 단계; 상기 금형과 상기 원단과 상기 테이프가 결합된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하여 낚싯대를 형성하는 낚싯대 성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금형에는 낚싯대의 각이진 다각형 그립부를 형성하기 위한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를 구비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원단 폴딩 단계에서 상기 원단을 상기 금형의 외주면에 말아줄 때에 상기 원단에 다각형 그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 테이프를 상기 원단에 말아준 상태에서 상기 성형 테이프도 상기 원단의 다각형 그립부와 대응되는 다각형상으로 말아지며,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상기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하면, 낚싯대 바디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다각형 그립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각형 그립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대칭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 가압롤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가압롤들이 상기 대칭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따라 롤링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각형 그립부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 다음,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상기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하여 상기 낚싯대를 성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에서는 낚싯대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그립부를 다각형 그립부로 형성되도록 낚싯대를 제조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낚싯대의 다각형 그립부를 잡은 상태에서 낚시를 즐길 때에 낚싯대가 손에서 슬립이 되거나 손에서 헛돌아가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보다 편안하고 즐겁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에 의해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를 성형하기 위한 원단을 재단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의 (a)는 도 1의 카본 원단에 한 쌍의 보강원단 중에서 한쪽의 보강원단을 접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의 (b)는 도 1의 카본 원단에 한 쌍의 보강원단을 접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카본 원단에 단변 보강원단과 장변 보강원단을 접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은 낚싯대를 제조하기 위해 원단의 끝부분을 금형에 접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원단을 금형에 말아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금형에 말려있는 원단에 테이프를 말아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낚싯대의 다각형 그립부가 육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선 종단면도
도 9는 도 6의 C-C선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낚싯대의 다각형 그립부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낚싯대의 다각형 그립부가 팔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서 가압롤들에 의해 낚싯대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낚싯대의 단면 사각형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가압롤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낚싯대의 단면 사각형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가압롤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낚싯대의 단면 팔각형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가압롤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낚싯대의 단면 팔각형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가압롤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낚싯대의 단면 육각형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가압롤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서 낚싯대의 단면 육각형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가압롤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에 의해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를 성형하기 위한 원단을 재단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의 (a)는 도 1의 카본 원단에 한 쌍의 보강원단 중에서 한쪽의 보강원단을 접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의 (b)는 도 1의 카본 원단에 한 쌍의 보강원단을 접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카본 원단에 단변 보강원단과 장변 보강원단을 접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은 낚싯대를 제조하기 위해 원단의 끝부분을 금형에 접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원단을 금형에 말아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금형에 말려있는 원단에 테이프를 말아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낚싯대의 다각형 그립부가 육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선 종단면도, 도 9는 도 6의 C-C선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낚싯대의 다각형 그립부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낚싯대의 다각형 그립부가 팔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서 가압롤들에 의해 낚싯대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낚싯대의 단면 사각형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가압롤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낚싯대의 단면 사각형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가압롤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낚싯대의 단면 팔각형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가압롤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낚싯대의 단면 팔각형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가압롤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낚싯대의 단면 육각형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가압롤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서 낚싯대의 단면 육각형의 다각형 그립부의 서로 대칭되는 그립부 포밍편의 외표면을 가압롤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롤링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일정 사이즈로 재단된 원단(10)을 금형(6)에 말아주고, 원단(10)의 외주면에 성형 테이프(14)를 말아준 상태에서 가열로에서 일정 온도로 원단(10)을 가열한 다음 경화시켜서 낚싯대(20)를 형성하며, 상기 낚싯대(20)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그립부는 다각형 그립부(22)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은 원단 부착 단계와 원단 폴딩 단계와 테이프 폴딩 단계 및 낚싯대 성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금형(6)을 낚싯대(20)에서 탈거하는 금형 탈거 단계를 더 포함한다.
원자재 입고, 검수 후 도면에 맞게 재단기를 이용하여 카본 원단을 재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카본 원단을 원단(10)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원단(10)은 한쪽 끝단의 폭이 다른 쪽 끝단의 폭보다 작은 테이퍼 시트 형상으로 재단된다. 낚싯대(20)가 앞쪽 단부에서 뒤쪽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중공의 테이퍼봉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이러한 테이퍼봉 형상으로 낚싯대(20)를 제작하도록 상기 원단(10)을 테이퍼 시트 형상으로 재단한다. 테이퍼 시트 형상은 보다 정확하게는 테이퍼 사각 시트 형상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단 부착 단계 실시 이전에 보강원단 부착 단계를 먼저 실시한다. 상기 원단(10)(카본 원단)에 앞쪽과 뒤쪽에 보강원단(12)을 부착한다. 상기 원단(10)의 재질은 카본이어서 카본 원단에 보강원단(12)을 부착한다. 보강원단(12)의 재질도 카본이다. 이때, 보강원단(12)의 부착은 생략할 수도 있다. 보강원단(12)을 부착하는 것은 낚싯대(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원단(10)의 앞쪽과 뒤쪽에 보강원단(12)을 부착한다는 것은 한쪽의 제1테이퍼 시트형 보강원단(12)을 원단(10)의 한쪽 단부(즉, 상대적으로 폭이 더 작은 작은 단부)쪽에서 원단(10)의 양쪽 단부 사이의 중심선 부분까지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으로 접합하고, 다른 쪽의 제2테이퍼 시트형 보강원단(12)을 원단(10)의 다른 쪽 단부(즉, 상대적으로 폭이 더 큰 단부)쪽에서 원단(10)의 양쪽 단부 사이의 중심선 부분까지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으로 접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적어도 두 개의 제1테이퍼 시트형 보강원단(12)과 제2테이퍼 시트형 보강원단(12)을 부착하여 낚싯대(20)를 형성하면 낚싯대(20) 자체의 강도가 더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원단(10)에 적어도 두 개의 제1테이퍼 시트형 보강원단(12)과 제2테이퍼 시트형 보강원단(12)을 나누어서 부착하면 보강원단(12)을 원단(10)에 부착하는 작업도 보다 원활하고 수월해질 수 있다.
상기 원단(10)을 금형(6)에 말아주기 위해서 원단(10)의 끝부분을 금형(6)에 부착한다. 상기 원단(10)은 상대적으로 폭이 더 작은 제1단부와 상대적으로 폭이 더 큰 제2단부와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길이 방향 단부를 구비한 테이퍼 시트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원단(10)의 끝부분을 금형(6)에 부착한다는 것은 원단(10)의 한 쌍의 길이 방향 단부 중에서 한쪽의 길이 방향 단부쪽과 인접한 면을 금형(6)에 부착하는 것이다.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으로 금형(6)의 외주면에 원단(10)을 끝부분을 부착한다. 구체적으로, 원단(10)에는 보강원단(12)이 부착되어 있어서, 보강원단(12)이 부착된 원단(10)을 금형(6)에 말아주기 위해서 보강원단(12)의 끝부분을 금형(6)에 부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단(10)이 카본 원단이고 보강원단(12)도 카본 재질이므로, 원단(10)과 보강원단(12)이 부착된 것을 카본 원단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단(10)의 끝부분의 한쪽 면을 금형(6)에 부착한다는 것은 카본 원단의 길이 방향 양쪽 끝부분에서 한쪽 끝부분의 한쪽 면을 금형(6)에 부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금형(6)은 앞쪽 단부에서 뒤쪽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봉형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금형(6)은 앞쪽 단부에서 뒤쪽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중공의 테이퍼봉형상으로 구성된다. 금형(6)을 중공의 테이퍼봉 형상으로 구성하면, 낚싯대(20) 제조 작업시 무게가 가벼워서 낚싯대(20) 제조 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중공의 테이퍼봉 형상의 금형(6)의 외주면에 상기와 같이 접합수단으로 원단(10)의 끝부분을 부착한다.
상기 원단(10)을 금형(6)에 말아준다. 원단 폴딩 단계에서 원단(10)을 금형(6)에 말아주는 것이다. 즉, 원단 폴딩 단계에서는 상기 금형(6)에 원단(10)의 끝부분이 부착된 상태에서 롤링기를 이용하여 금형(6)에 원단(10)을 말아준다. 한편, 원단(10)의 안쪽면(다시 말해, 금형(6)의 외주면가 부착되는 면)에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을 도포한 상태에서 금형(6)의 외주면에 원단(10)을 말아준다. 원단(10)에 보강원단(12)이 접작체와 같은 접합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면, 보강원단(12)의 안쪽면(즉, 금형(6)의 외주면과 부착되는 면)에 접착체 등의 접합수단을 도포한 상태에서 원단(10)을 금형(6)의 외주면에 말아준다. 그러면, 접합수단에 의해 원단(10)과 보강원단(12)이 금형(6)의 외주면에 말아져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원단(10)이 카본 시트이고 보강원단(12)도 카본 시트이므로 이하에서는 편의상 원단(10)의 안쪽면에 보강원단(12)이 접합된 것을 원단(10)이라 칭하기로 한다.
한편, 원단(10)을 금형(6)에 말아줄 때에는 원단(10)의 한쪽 끝부분에 원단(10)의 다른 쪽 끝부분 일부가 겹쳐지도록 말아준다. 즉, 원단(10)을 금형(6)에 말아줄 때에는 원단(10)의 한쪽 끝부분에서 더 나아간 위치에 원단(10)의 다른 쪽 끝부분이 위치하도록 말아줌으로써 원단(10)의 한쪽 끝부분과 다른 쪽 끝부분 사이에 일정한 폭의 겹침 폴딩부(10LF)가 형성되도록 한다. 금형(6)의 외주면에 원단(10)을 2에서 3바퀴 정도 말아주되 원단(10)의 일부는 겹쳐지도록 함으로써 겹칩 폴딩부(10LF)가 형성되도록 한다. 겹침 폴딩부(10LF)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원단(10)(원단(10)의 안쪽면에 보강원단(12)이 부착된 경우 보강원단(12)도 포함)이 금형(6)에 말린 상태에서 박리되지 않고 더 확실하게 금형(6)의 외주면에 말려져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금형(6)은 금속과 같이 내열성이 있는 중공의 테이퍼봉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금형(6)에는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가 구비된다. 상기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는 낚싯대(20)의 각이진 다각형 그립부(22)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는 단면으로 볼 때에 사각형이나 육각형이나 팔각형과 같이 단면 다각형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가 육각형일 때에는 여섯 개의 다각 포밍편이 이어진 형상이고, 두 개씩의 다각 포밍편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는 금형(6)의 기단부에서부터 선단부 쪽으로 일정 거리 나아간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금형(6)은 기단부에서 선단부 쪽으로 일정 거리 나아간 부분이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를 구비한다.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는 육각형, 팔각형, 사각형과 같이 다양한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단(10)을 금형(6)의 외주면에 말아줄 때에 원단(10)에 다각형 그립부(22)가 형성된다. 원단(10)의 기단부에서부터 선단부 쪽으로 일정 거리 나아간 위치까지 다각형 그립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금형(6)의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의 길이만큼 원단(10)에 다각형 포밍부가 형성된다. 원단 폴딩 단계에서 금형(6)에 원단(10)을 말아주면 원단(10)에 다각형 그립부(22)가 형성된다.
상기 금형(6)의 외주면에 원단(10)이 말아져 있는 상태에서 성형 테이프(14)를 원단(10)의 외주면에 말아준다. 테이프 폴딩 단계에서 금형(6)에 말아져 있는 원단(10)의 외주면에 성형 테이프(14)를 말아준다. 그러면, 상기 성형 테이프(14)도 상기 금형(6)의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와 대응(다시 말해, 원단(10)의 다각형 그립부와 대응)되는 테이프 다각 형상부를 구비하도록 말아진다. 이때, 성형 테이프(14)를 감아줄 때에는 성형 테이프(14)를 일정 압력으로 더 당겨준 상태에서 원단(10)(카본 원단)의 외주면에 감아준다. 그러면, 원단(10)과 성형 테이프(14)간의 밀착력도 더 높여주고 원단(10)의 다각형 그립부(22)와 성형 테이프(14)의 테이프 다각 형상부도 더 확실하게 나타나도록 형성된다. 이때, 성형 테이프(14)도 접착제와 같은 접합수단에 의해 원단(10)의 외주면에 말아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성형 테이프(14)를 원단(10)의 외주면에 말아줌으로써 성형 테이프(14)에 의해 원단(10)(보강원단(12)이 있는 경우에는 보강원단(12)을 포함)이 금형(6)의 외주면에 말아져서 붙어있는 상태로 유지시키고 동시에 낚싯대(20)를 성형하고 나서는 낚싯대(2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금형(6)에 원단(10)과 성형 테이프(14)가 말려져 있는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형성하면 낚싯대 성형 조립체에 다각형 그립부(22)가 형성된다. 금형의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로 인하여 낚싯대 성형 조립체에 다각형 그립부(22)가 형성된다. 이러한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하여 낚싯대(20)를 형성한다. 낚싯대 성형 단계에서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하여 낚싯대(20)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가열로에 클램프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고정한 상태에서 가열로 내부에서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하여 낚싯대(20)를 성형한다.
상기 가열로의 내부 온도는 135~145℃이며,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의 내부에서 상기 온도로 가열하여 낚싯대(20)를 성형하며, 상기 가열로 내부에서의 가열 시간은 1시간 40분에서 2시간 10분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가열로에서의 가열 온도는 135~140℃ 정도이고, 가열 시간은 2시간 정도 가동한다. 상기 가열 시간이 1시간 40분 미만이면 원단(10)과 보강원단(12)이 충분한 시간 동인 제대로 용융되지 못해서 제대로 낚싯대(20)가 성형되지 못하고 가열 시간이 2시간 10분을 초과하면 에너지 낭비 원인이 되므로, 상기 가열 시간을 지킨다. 또한, 가열로의 온도가 135℃에 미치지 못하면 원단(10)(카본 원단)과 보강원단(12)이 제대로 용융되지 못하여서 원단(10)과 보강원단(12)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낚싯대(20)를 제대로 성형하기 어렵고 가열로의 온도가 145℃를 초과하면 원단(10)과 보강원단(12)의 탄화가 너무 크게 되어서 낚싯대(20)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불량이 나올 수 있으므로, 상기 가열로의 온도는 상기 온도 범위로 지킨다.
본 발명에서는 금형(6)을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를 구비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원단 폴딩 단계에서 원단(10)을 금형(6)의 외주면에 말아줄 때에 원단(10)에 다각형 그립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 테이프(14)를 원단(10)에 말아준 상태에서 성형 테이프(14)도 상기 원단(10)의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와 대응되는 다각형상으로 말아진 다각형 그립부(22)가 형성되며,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상기 온도 범위로 가열)하면, 상기 다각형 그립부(22)가 경화되어 형성된 낚싯대(20)가 만들어진다.
상기 낚싯대(20)와 금형(6)을 가열로에서 꺼내서 경화(자연 경화를 채용 가능함)시키면, 다각형 그립부(22)를 구비한 낚싯대(20)로 성형된다. 가열로에서 낚싯대 바디(21)와 다각형 그립부(22)가 일체로 형성된 낚싯대(20)가 경화되어 형성되는데, 필요에 따라 낚싯대(20)와 금형(6)을 가열로에서 꺼내서 자연 경화와 같은 방식으로 경화시킬 수도 있다. 즉, 낚싯대(20)가 낚싯대 바디(21)에 일체형으로 다각형 그립부(22)가 구비된 구조가 된다.
상기 가열로에서 금형(6)과 함께 낚싯대(20)(카본봉)를 꺼낸 다음에는 낚싯대(20)에서 금형(6)을 분리한다. 다시 말해, 금형(6)에서 낚싯대(20)를 분리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가 금형 탈거 단계이다. 상기 가열로에서 가열되어 금형(6)의 외주면에 성형된 낚싯대(20)는 카본봉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카본봉에 연마 가공을 하고 도장을 하면 낚싯대(20)가 되므로, 카본봉을 낚싯대(20)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카본봉을 낚싯대(20)로 칭하였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금형(6)이 분리된 낚싯대(20)에서 물리는 부분을 잘 맛도록 가공하고, 낚싯대(20)의 외주면을 도장을 위해 연마 가공한 다음, 낚싯대(20)의 연마 가공된 외주면에 도료를 도장하여 낚싯대(20)의 외관을 마무리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금형(6)의 외주면에 원단(10)이 감겨지고 원단(10)의 외주면에는 성형 테이프(14)가 감져져 있는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하면, 상기 원단(10)이 금형(6)에 의해 지지(원단(10)에 보강원단(12)이 접합된 경우에는 원단(10)과 보강원단(12)에 금형(6)에 의해 지지)되어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로 성형되고, 상기 금형(6)에 지지된 낚싯대를 경화시켜서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20)로 형성된다.
상기 성형 테이프(14)를 원단(10)에 말아준 상태에서 성형 테이프(14)도 원단의 다각형 그립부와 대응되는 테이프 다각 형상부를 구비하도록 말아져서 상기 원단(10)이 가열된 다음 경화되어 낚싯대(20)가 성형된 다음에는 성형 테이프(14)를 벗겨낸다. 즉, 상기 낚싯대(20)의 외주면에 감아져 있던 성형 테이프(14)는 벗겨낸다. 성형 테이프(14)는 가열로에서 녹지 않는 내열성 테이프로서 낚싯대(20)가 성형된 다음에는 낚싯대(14)에서 벗겨내는 것이다.
상기 성형 테이프(14)는 가열로에서 원단(10)을 가열(원단(10)에 보강원단(14)이 접합된 경우에는 원단(10)과 보강원단(14)을 가열)하여 낚싯대(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낚싯대(20)의 성형이 잘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성형 테이프(14)에 의해서 낚싯대(20)의 형상이 지나치게 팽창되거나 틀어지는 것과 같은 불량이 생기지 않고 낚싯대(20)의 형상이 잘 나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성형 테이프(14)로 인하여 낚싯대(20)의 형상이 잘 나오도록 성형된 다음에는 성형 테이프(14)를 낚싯대(20)에서 벗겨낸다.
이때, 성형 테이프(14)를 벗겨내는 과정에서 불순물도 함께 낚싯대(20)에서 벗겨져 나오면서 낚싯대(20)에 불순물이 남아있는 경우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에서는 낚싯대(20)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그립부를 다각형 그립부(22)로 형성되도록 낚싯대(20)를 제조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낚싯대(20)의 다각형 그립부(22)를 잡은 상태에서 낚시를 즐길 때에 낚싯대(20)가 손에서 슬립이 되거나 손에서 헛돌아가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낚시를 보다 편안하고 더 즐겁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금형(6)에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를 형성함으로 인하여 금형(6)의 외주면에 원단(10)(카본 원단)을 감아주고 나서 가열로에서 가열하여 주기만 하면 낚싯대(20)에 손으로 잡는 다각형 그립부(22)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낚싯대(20)의 다각형 그립부(22)를 형성하는 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싯대 바디(21)와, 상기 낚싯대 바디(21)의 기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그립부 포밍편(22AF)으로 이루어진 다각형 그립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20)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에 의해서 낚싯대(20)가 낚싯대 바디와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각형 그립부(22)는 낚싯대(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그립부 포밍편(22AF)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낚싯대 바디(21)와 다각형 그립부(22)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금형(6)을 이용한다. 즉, 원단(10)의 양쪽 끝단과 인접한 안쪽면에 한 쌍의 보강원단(12)이 부착된 상태에서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를 구비한 금형(6)의 둘레부에 원단(10)과 보강원단(12)을 감아서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형성한다.
다음,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가열함으로써 다각형 그립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원단(10)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한 쌍의 보강원단(12)에 의해서는 낚싯대 바디(21)에 프론트 보강부(22FF)가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 그립부(22)에 리어 보강부(22RF)가 형성된다. 상기 원단(10)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한 쌍의 보강원단(12)에 의해서는 낚싯대 바디(21)의 선단부쪽에 프론트 보강부(22FF)와 다각형 그립부(22)의 기단부쪽에 리어 보강부(22RF)가 형성된다.
한 쌍의 보강원단(12)은 원단(10)의 안쪽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보강원단(12)이 원단(1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프론트 보강부(22FF)과 리어 보강부(22RF)에 의해 상기 낚싯대 바디(21)의 선단부와 인접한 부분과 다각형 그립부(22)의 기단부에 인접한 부분의 강도가 보강된다. 프론트 보강부(22FF)가 있는 부분과 리어 보강부(22RF)가 있는 부분의 안쪽면과 바깥면 사이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므로, 상기 낚싯대 바디(21)의 선단부와 인접한 부분과 다각형 그립부(22)의 기단부에 인접한 부분의 강도가 보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원단(12)은 원단(10)의 선단부와 기단부에 인접한 안쪽면에 각각 부착되며 상대적으로 길이가 다른 단변 보강원단(12)과 장변 보강원단(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변 보강원단(12)의 길이는 낚싯대 바디(2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다각형 그립부(22)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3 참조.
따라서, 상기 원단(10)에 단변 보강원단(12)과 장변 보강원단(12)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낚싯대 바디(21)와 다각형 그립부(22)를 형성한 상태에서 낚싯대 바디(21)의 선단부와 인접한 안쪽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프론트 보강부(22FF)가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 그립부(22)의 안쪽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리어 보강부(22RF)가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보강부(22FF)에 의해 낚싯대 바디(21)의 선단부쪽의 강도가 보강되고, 상기 리어 보강부(22RF)에 의해 다각형 그립부(22) 전체의 강도가 보강된다. 리어 보강부(22RF)에 의해 다각형 그립부(22)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낚싯대(20)의 강도가 더 많이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각형 그립부(22)에서 서로 마주하는 대칭 그립부 포밍편(22AF)의 외표면을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 가압롤(32)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가압롤(32)들이 서로 대칭된 위치의 그립부 포밍편(22AF)의 외표면을 따라 롤링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낚싯대(20)에 다각형 그립부(22)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 다음,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상기 온도로 가열)하여 낚싯대(20)를 성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낚싯대(20)의 다각형 그립부(22)가 단면 사각형인 경우, 두 개씩 서로 마주하는 대칭 가압롤(32)을 두 개의 셋트로 준비하고, 상기 두 개 셋트의 대칭 가압롤(32)들에 의해 상기 다각형 그립부(22)의 대칭 그립부 포밍편(22AF)의 외표면을 가압한 다음,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상기 온도로 가열)하여 낚싯대(20)를 성형한다.
상기 낚싯대(20)의 다각형 그립부(22)가 단면 육각형인 경우, 두 개씩 서로 마주하는 대칭 가압롤(32)을 세 개의 셋트로 준비하고, 상기 세 개 셋트의 대칭 가압롤(32)들에 의해 상기 다각형 그립부(22)의 대칭 그립부 포밍편(22AF)의 외표면을 가압한 다음,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상기 온도로 가열)하여 낚싯대(20)를 성형한다. 즉, 상기 낚싯대(20)를 복수개의 가압롤(32)들 사이에 통과시켜서 상기 다각형 그립부(22)를 가압롤(32)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눌러준 다음에 가열로에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투입하여 일정한 고온으로 낚싯대 성형 조립체의 원단(10)(카본 원단)을 가열(원단(10)의 안쪽면에 보강원단(12)이 부착된 경우에는 원단(10)과 보강원단(12)을 가열)하여 낚싯대(20)를 성형하고 낚싯대(20)의 기단부 쪽에서 선단부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다각형 그립부(22)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 낚싯대(20)의 다각형 그립부(22)가 단면 팔각형인 경우, 두 개씩 서로 마주하는 대칭 가압롤(32)을 네 개의 셋트로 준비하고, 상기 네 개 셋트의 대칭 가압롤(32)들에 의해 상기 다각형 그립부(22)의 대칭 그립부 포밍편(22AF)의 외표면을 가압한 다음,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으로 가열(상기 온도로 가열)하여 낚싯대(20)를 성형한다. 즉, 상기 낚싯대(20)를 복수개의 가압롤(32)들 사이에 통과시켜서 상기 다각형 그립부(22)를 가압롤(32)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눌러준 다음에 가열로에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투입하여 일정한 고온으로 낚싯대 성형 조립체의 원단(10)(카본 원단)을 가열(원단(10)의 안쪽면에 보강원단(12)이 부착된 경우에는 원단(10)과 보강원단(12)을 가열)하여 낚싯대(20)를 성형하고 낚싯대(20)의 기단부 쪽에서 선단부 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다각형 그립부(22)를 성형하게 된다.
이처럼 대칭 가압돌들에 의해 낚싯대(20)의 다각형 그립부(22)에서 서로 마주하는 대칭 그립부 포밍편(22AF)을 일정 압력으로 먼저 가압한 상태에서 낚싯대(20)를 성형하면, 낚싯대(20)에서 다각형 그립부(22)가 더 확실하게 도드라지기 때문에, 낚싯대(20)의 다각형 그립부(22)를 더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롤(32)은 다각형 그립부(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앞뒤로 거리 차이를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다각형 그립부(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하여 다각형 그립부(22)가 더 도드라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다각형 그립부(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대칭 배치 형태의 가압롤(32)들이 앞뒤 방향에서 간섭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다각형 그립부(22)를 보다 원활하게 도드라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6. 금형 6GF.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
10. 원단 12. 보강원단
14. 성형 테이프 20. 낚싯대
21. 낚싯대 바디 22. 다각형 그립부
22FF. 프론트 보강부 22RF. 리어 보강부
22AF. 그립부 포밍편 32. 가압롤

Claims (8)

  1. 낚싯대 바디(21);
    상기 낚싯대 바디(21)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그립부 포밍편(22AF)으로 이루어진 다각형 그립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낚싯대 바디(21)와 상기 다각형 그립부(22)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원단(10)의 양쪽 끝단과 인접한 안쪽면에 한 쌍의 보강원단(12)이 부착된 상태에서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를 구비한 금형(6)의 둘레부에 상기 원단(10)과 상기 보강원단(12)을 감아서 낚싯대 성형 조립체에 다각형 그립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가열함으로써 다각형 그립부(22)가 경화되고, 상기 원단(10)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한 쌍의 상기 보강원단(12)에 의해서는 상기 낚싯대 바디(21)에 프론트 보강부(22FF)가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 그립부(22)에 리어 보강부(22RF)가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 그립부(22)에서 서로 마주하는 대칭 그립부 포밍편(22AF)의 외표면을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 가압롤(32)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가압롤(32)들이 서로 대칭된 위치의 그립부 포밍편(22AF)의 외표면을 따라 롤링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낚싯대 바디(21)에 다각형 그립부(22)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 다음,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가열하여 낚싯대(20)를 성형하도록 구성된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2. 삭제
  3. 낚싯대(20)의 제작을 위한 원단(10)의 끝부분을 금형(6)에 부착하는 원단 부착 단계;
    상기 원단(10)을 금형(6)에 말아주는 원단 폴딩 단계;
    상기 금형(6)에 말아진 상기 원단(10)의 외주면에 성형 테이프(14)를 말아주는 테이프 폴딩 단계;
    상기 금형(6)에 상기 원단(10)과 상기 성형 테이프(14)가 말려져 있는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135~145℃로 가열하여 낚싯대(20)를 형성하는 낚싯대 성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금형(6)에는 낚싯대(20)의 각이진 다각형 그립부(22)를 형성하기 위한 다각형 그립부 포밍부(6GF)를 구비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원단 폴딩 단계에서 상기 원단(10)을 상기 금형(6)의 외주면에 말아줄 때에 상기 원단(10)에 다각형 그립부(22)가 형성되어,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상기 가열로에 투입하여 135~145℃로 가열하면, 낚싯대 바디(21)에 다각형 그립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낚싯대(20)가 성형되고,
    상기 금형(6)의 외주면에 상기 원단(10)이 감겨지고 상기 원단(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성형 테이프(14)가 감져져 있는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상기 가열로에 투입하여 135~145℃로 가열한 다음 경화시키면, 상기 원단(10)이 상기 낚싯대 바디와 상기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20)로 성형되고, 상기 성형 테이프(14)는 상기 낚싯대(20)에서 벗겨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각형 그립부(22)에서 서로 마주하는 대칭 그립부 포밍편(22AF)의 외표면을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 가압롤(32)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가압롤(32)들이 서로 대칭된 위치의 그립부 포밍편(22AF)의 외표면을 따라 롤링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낚싯대(20)에 다각형 그립부(22)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 다음, 상기 낚싯대 성형 조립체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135~145℃로 가열하여 낚싯대(20)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10)은 카본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낚싯대(20)가 카본 낚싯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6)을 상기 낚싯대(20)에서 탈거하는 금형 탈거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폴딩 단계에서는 일정 사이즈로 재단된 상기 원단(10)을 폴딩 베이스에 얹혀서 폴딩기를 이용하여 상기 금형(6)의 외주면에 상기 원단(10)을 말아주며, 상기 폴딩 베이스는 35~45℃의 온열로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원단(10)을 상기 금형(6)의 외주면에 말아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부착 단계를 실시하기 이전에 상기 원단(10)의 앞쪽과 뒤쪽에 보강원단(12)을 부착하는 보강원단 부착 단계를 더 실시한 다음, 상기 보강원단(12)이 부착된 상기 원단(10)의 끝쪽을 상기 원단 부착 단계에서 상기 금형(6)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제조방법.
KR1020200117694A 2020-09-14 2020-09-14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 KR102302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694A KR102302397B1 (ko) 2020-09-14 2020-09-14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694A KR102302397B1 (ko) 2020-09-14 2020-09-14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397B1 true KR102302397B1 (ko) 2021-09-15

Family

ID=7779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694A KR102302397B1 (ko) 2020-09-14 2020-09-14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39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232A (ja) * 1985-07-30 1987-02-06 Daiwa Seiko Inc 多角釣竿の製造法
JPH0163374U (ko) * 1987-10-20 1989-04-24
JPH0819354A (ja) * 1994-07-07 1996-01-23 Daiwa Seiko Inc 釣 竿
JP2542352B2 (ja) * 1990-09-07 1996-10-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製造法
JP2546471Y2 (ja) * 1991-10-29 1997-09-0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のグリップ構造
JP2727538B2 (ja) * 1992-08-05 1998-03-1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及び釣竿製造用マンドレル
JP3838558B2 (ja) * 2002-05-31 2006-10-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管状体
KR101056110B1 (ko) 2010-06-01 2011-08-10 주식회사 디아이에프레포츠 낚시대 제조방법
KR101728159B1 (ko) 2011-09-06 2017-04-19 주식회사 디아이에프레포츠 낚시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232A (ja) * 1985-07-30 1987-02-06 Daiwa Seiko Inc 多角釣竿の製造法
JPH0163374U (ko) * 1987-10-20 1989-04-24
JP2542352B2 (ja) * 1990-09-07 1996-10-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の製造法
JP2546471Y2 (ja) * 1991-10-29 1997-09-0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のグリップ構造
JP2727538B2 (ja) * 1992-08-05 1998-03-1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及び釣竿製造用マンドレル
JPH0819354A (ja) * 1994-07-07 1996-01-23 Daiwa Seiko Inc 釣 竿
JP3838558B2 (ja) * 2002-05-31 2006-10-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管状体
KR101056110B1 (ko) 2010-06-01 2011-08-10 주식회사 디아이에프레포츠 낚시대 제조방법
KR101728159B1 (ko) 2011-09-06 2017-04-19 주식회사 디아이에프레포츠 낚시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6027A (en) Reinforced hockey stick blad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302397B1 (ko)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
JP2000093559A (ja) 中実杆を使用したスポ―ツ用杆部材
JP2003009722A (ja) 竿体の製造方法
US5820483A (en) Reduced weight golf club shafts
US3629029A (en) Method of making sectional rods
JPH06284841A (ja) 継式釣竿とその製造方法
JPH03151989A (ja) 管状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28435B2 (ja) 釣竿
JPS63317320A (ja) 釣竿の製造法
JP2001314142A (ja) 竿体の嵌合構造
KR0169132B1 (ko)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
JP4371561B2 (ja) 釣竿
JP2002101790A (ja) 竿体の嵌合構造
JP4292318B2 (ja) 竿体の連結構造
JPH0511026B2 (ko)
KR100356024B1 (ko) 꼽기식 낚시대 및 그 제조방법
JP2002101788A (ja) 釣 竿
JP2516591B2 (ja) 釣竿の把持部の空間形成方法
TW202247764A (zh) 釣竿
JP4145433B2 (ja) 竿体の製造方法
KR100443188B1 (ko) 낚시대용 적층관의 제조방법 및 낚시대용 적층관
JP6402073B2 (ja) 釣竿
JP2002084931A (ja) 竿体の製造方法
JP2004254650A (ja) インロー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