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024B1 - 꼽기식 낚시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꼽기식 낚시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024B1
KR100356024B1 KR1020000058144A KR20000058144A KR100356024B1 KR 100356024 B1 KR100356024 B1 KR 100356024B1 KR 1020000058144 A KR1020000058144 A KR 1020000058144A KR 20000058144 A KR20000058144 A KR 20000058144A KR 100356024 B1 KR100356024 B1 KR 100356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cloth
unit
high elastic
mold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664A (ko
Inventor
김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럴스테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럴스테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럴스테이션
Priority to KR1020000058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024B1/ko
Publication of KR2002002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2Fishing rods with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hollow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꼽기식 낚시대에 관한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칸대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구성되는 꼽기식 낚시대의 단위칸대에 있어서, 상기 단위칸대는 테이퍼진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고정되며 몸체부 선단의 다른 단위칸대 후단부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을 제공하는 보강부로 구성된다. 상기 단위칸대는 전체적으로 테이퍼진 몸체부를 갖는 로드 형태의 금형에 고탄성카본천 및 보강카본천을 감은 상태로 열처리함으로써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꼽기식 낚시대에 있어서 각 단위칸대 선단부에 경사면을 제공하는 보강부를 설치하여, 각 단위칸대간의 조립시 단위칸대의 선단부가 앞쪽의 단위칸대의 후단 삽입구 테두리부에 걸리지 않고 상기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지므로, 선단부가 깨지거나 벌어지지 않아 낚시대의 수명이 연장되며,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므로 낚시경기에 참가하였을 때 정해진 시간에 많은 수의 물고기를 낚을 수 있어 좋은 경기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꼽기식 낚시대 및 그 제조방법{Fishing r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낚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꼽기식 낚시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저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레저활동이 행해지고 있다. 낚시도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레저활동중의 하나로서 소재기술의 발전에 따라 보다 가볍고 튼튼한 낚시대가 제작되고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낚시대중의 하나로서 카본낚시대(carbon fishing rod)가 있다. 상기 카본낚시대는 탄소섬유를 말아 만든 낚싯대이다. 공지의 사실과같이, 탄소섬유는 매우 가는 카본섬유 수 만개의 가닥을 일렬로 나란히 배열하고 천과 같이 제작한 것으로서 가볍고 튼튼하며 글라스로드(glass rod) 이후 낚시대 소재로 각광받기 시작한 재료이다.
상기 낚시대의 종류는 기능이나 용도 또는 소재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낚시대를 길게 연장시키는 방법에 따라 안테나식 낚시대와 꼽기식 낚시대로 나눌 수 도 있다. 상기 안테나식 낚시대는 마치 안테나를 뽑거나 줄일 때와 마찬가지로 낚시대를 길게 연장하여 낚시를 하고 반대방향으로 당김으로써 길이를 줄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꼽기식 낚시대는 각각 분리된 다수의 단위칸대를 순서에 맞추어 앞뒤로 끼워 조립되는 낚시대이다. 이와같은 꼽기식 낚시대는 현재 유럽에서 경기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경기용낚시는 정해진 시간안에 보다 많은 물고기를 낚는 경기로서 경기에 승리하기 위해서는 낚시대의 신속한 분리 및 조립이 요구된다. 즉, 예를들어 물고기를 한 마리 낚은 경우 각 단위칸대를 재빨리 분리하여 물고기를 거두어 들이고 분리됐던 단위칸대들을 다시 조립하여 낚시대를 다시 드리워야 하는데, 경기 규칙상 정해진 시간안에 많은 물고기를 낚기 위해서는 낚시대의 신속한 분리 및 조립이 반스시 수행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꼽기식낚시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꼽기식낚시대(10)는 다수의 단위칸대(14)를 순서에 맞추어 앞뒤로 여러개 끼워서 소정길이로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단위칸대(14)는 가장 앞쪽의 1번칸대로부터 2번칸대 3번칸대 등이 차례로 연결되어 제일 후단부의 칸대로 구성된다. 상기 1번칸대는 여러 단위칸대중에서 가장 가느다란 칸대로서 선단에 낚시줄(12)이 연결된다.
상기 각 단위칸대(14)는 테이퍼진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각 단위칸대(14)의 선단부는 삽입선단(16)이 구비되고 후단부에는 삽입구(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단위칸대의 삽입선단(16)은 앞쪽 단위칸대(14)의 삽입구(18)에 삽입되고 뒤쪽 단위칸대의 삽입선단(16)을 수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꼽기식낚시대는, 낚시대의 조립시 삽입구(18)에 삽입되는 삽입선단(16)이 삽입구(18)의 테두리부(19)에 걸린다는 문제가 있어 신속한 조립을 할 수 가 없고, 더욱이 조립시 삽입선단(16)이나 테두리부(19)가 충격에 의해 깨지거나 벌어져 결국 낚시대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유럽에서의 낚시경기는 다수의 단위칸대(14)의 신속한 분리 및 조립이 요구되는 데, 상기와 같이 삽입선단(16)이 삽입구(18)에 끼워질 때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경기에 임하는 선수들의 경기력을 직접적으로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꼽기식 낚시대에 있어서 각 단위칸대 선단부에 경사면을 제공하는 보강부를 설치하여, 각 단위칸대간의 조립시 단위칸대의 선단부가 앞쪽 단위칸대의 후단 삽입구 테두리부에 걸리지 않고 상기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선단부가 깨지거나 벌어지지 않아 낚시대의 수명이 연장되며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있어, 낚시대회에서 좋은 경기결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꼽기식 낚시대와 상기 낚시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꼽기식 낚시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꼽기식 낚시대의 단위칸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절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꼽기식 낚시대의 단위칸대 간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꼽기식 낚시대를 제작하기 전의 금형에 대한 카본천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꼽기식 낚시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꼽기식낚시대 12:낚시줄
14:단위칸대 16:삽입선단
18:삽입구 19:테두리부
50:단위칸대 52:몸체부
54:보강부 56:경사면
58:겹침부 60:테두리부
62:금형 64:선단부
66:테이퍼부 68:고탄성카본천
70:보강카본천 88,90:선단테두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칸대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구성되는 꼽기식 낚시대의 단위칸대에 있어서, 상기 단위칸대는 테이퍼진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고정되며 몸체부선단의 다른 단위칸대 후단부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을 제공하는 보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카본천을 감아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몸체부의 선단과 일정폭 겹치도록 카본천을 감아 이루어지며, 보강부의 선단은 오므라져 경사면이 볼록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위칸대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a. 부분구형으로 곡면처리된 선단부를 가지며 몸체는 전체적으로 테이퍼진 테이퍼부로 이루어진 원형로드 형태의 금형 외주면에 왁스를 도포하는 제 1공정과과; b. 상기 왁스가 도포된 금형의 테이퍼부 외주에 고탄성카본천을 감는 제 2공정과; c. 상기 금형의 선단부에 보강카본천을 감되 상기 고탄성카본천과 50mm 내지 150mm 폭으로 겹치도록 감는 제 3공정과; d. 상기 고탄성카본천 및 보강카본천 위에 내열성테이프를 감아 금형에 대해 고탄성카본천 및 보강카본천을 밀착 고정하는 제 4공정과; e. 상기 내열성테이프가 감긴 보강카본천 상부에 내열성 면테이프를 감는 제 5공정과; f. 상기 제 5공정을 마친 상태로 고탄성카본천 및 보강카본천에 열을 가하여 고탄성카본천 및 보강카본천을 서로에 대해 고착시키는 제 6공정과; g. 상기 내열성테이프와 내열성면테이프 및 금형을 제 6공정을 통해 열처리된 고탄성카본천 및 보강카본천으로부터 분리하는 제 7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탄성카본천은 선단테두리가 금형의 테이퍼부 선단으로부터 5mm내지 20mm 후방에 위치한 상태로 감으며, 보강카본천은 선단테두리가 금형의 선단으로부터 0mm 내지 15mm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한 상태로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5공정은 전기로에 의해 70℃ 내지 90℃로 1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는 1차가열단계와; 상기 1차가열단계 후 110℃ 내지 130℃의 온도로 1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는 2차가열단계와; 상기 1,2차 가열단계를 마친 상태로 자연냉각 또는 강제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7공정을 통해 얻은 열처리된 고탄성카본천 및 보강카본천의 양단부를 커팅하여 마감처리하고, 외주면은 연삭하여 매끄럽게 마감처리하되 보강카본천과 고탄성카본천의 겹침부위의 외주면은 내주면에 대해 전방하향 경사지도록 가공하는 제 8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꼽기식 낚시대의 단위칸대를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꼽기식 낚시대의 단위칸대(50)는 양단이 개방되며 테이퍼(taper)진 중공파이프 형태의 몸체부(52)와, 상기 몸체부(52)의 선단에 구비되며 경사면(56)을 제공하는 보강부(54)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단위칸대(50)는 소정형상을 갖는 금형(도 4의 62)의 외주에 카본천을 감아 형성되므로 금형(62)의 외주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금형(62)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전체적으로 테이퍼가 형성되고 선단부는 곡면처리된형태를 취한다.
상기 몸체부(52)는 금형(도 4의 62)의 테이퍼부(66)에 고탄성카본천(도 4의 68)을 감아 이루어진 부위이다. 상기 테이퍼부(66)는 전체적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몸체부(52)는 금형(62)의 외주형상에 대응하여 도면상 좌측 선단부의 직경이 우측 후단부에 비하여 작도록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52)의 두께는 고탄성카본천(68)의 감는 횟수에 비례함은 물론이다.
상기 몸체부(52)의 선단에 구비되는 보강부(54)는 몸체부(52)의 선단에 대해 일정폭 겹친 상태로 고정된다. 즉, 몸체부(52)와 보강부(54)를 일정폭으로 겹친 상태로 후술하는 열처리과정을 통해 고정시킨 것이다.
상기 보강부(54)는 몸체부(52)와 마찬가지로 카본천(도 4의 70)을 금형(62)의 선단부(64)에 대해 감아 밀착시켜 성형된다. 따라서 보강부(54)의 두께도 카본천(70)을 감는 횟수에 비례한다.
도면부호 58이 상기 보강부(54)와 몸체부(52)와의 겹침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같이 보강부(54)를 이루는 카본천(70)이 금형의 선단부(64)에 밀착되어 형성되므로, 보강부(54)의 앞쪽선단은 오므라져 볼록한 경사면(56)을 제공한다. 상기 경사면(56)의 형상은 금형(62)의 선단부(도 4의 64)의 형상에 따르므로 금형의 선단부가 원뿔의 형태를 취한다면 상기 보강부(54)도 원뿔의 형태를 가져 직선형 경사면을 제공할 것이다.
상기 경사면(56)은 단위칸대(50)가 앞쪽 단위칸대의 후단 삽입구에 끼워지는 동안 몸체부(52)의 선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삽입을 가이드한다. 상기 보강부(54)의 재질은 통상 공지의 고탄성카본천 또는 일반탄성카본천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일반탄성카본천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강부(54)의 외경은 앞쪽 단위칸대의 후단 삽입구(18)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하여 조립시 견고한 결합을 유지토록 하며, 보강부(54)의 마모에 대비하여 보강부(54)의 후단부측 10mm 내지 30mm정도는 후방쪽으로 상향경사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꼽기식 낚시대의 단위칸대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나의 단위칸대(50)가 앞쪽 단위칸대의 후단 삽입구(18)내에 끼워져 조립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54)의 선단이 오므라져 있으므로 보강부(54)의 경사면(56)은 삽입구(18)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며 몸체부(52)를 앞쪽 단위칸대의 삽입구(18)내로 유도하여 단위칸대(50)간의 결합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보강부(54)의 후단부는 삽입구(18)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와 같이 보강부(54)의 후단부에 경사를 제공하였기 때문이다. 상기 경사는 후술할 제 8공정을 통해 구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꼽기식 낚시대를 제작하기 전의 금형(62)에 대한 고탄성카본천(68) 및 보강카본천(70)의 감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금형(62)은 직선형 경사면을 갖는 테이퍼부(66)와, 상기 테이퍼부(66)의 선단에 곡면경사면을 제공하는 선단부(6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금형(62)의 외주에 감기는 고탄성카본천(68)은 선단테두리(88)가 금형(62) 테이퍼부(66)의 선단(A부분)으로부터 폭 a만큼 전진한 위치에 위치하여 감긴다.
상기 고탄성카본천(68)은 테이퍼부(66)의 외주를 감으며 후술하는 열처리공정을 통해 몸체부(도 2의 52)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크기나 재단된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탄성카본천(68)을 감은 후에 금형(62)의 선단부(64)에 감기는 보강카본천(70)은 고탄성카본천(68)과 화살표 c만큼의 폭을 겹친다. 상기 겹침폭도 탄위칸대의 크기에 따라 달리지며 50mm 내지 150mm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강카본천(70)의 선단테두리(90)는 금형(62) 선단으로부터 화살표 b만큼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감기도록 한다. 상기 화살표 b만큼의 길이는 0mm 내지 15mm가 되도록 함이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꼽기식 낚시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금형(62)에 고탄성카본천(68) 및 보강카본천(70)을 감아 고정한 상태로 상기 카본천(68,70)을 소정온도로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꼽기식 낚시대의 제조방법은, 작업준비단계로서 상기 금형(62)의 테이퍼부(66) 외주에 왁스를 도포하는 제 1공정(71)으로 시작된다. 상기 왁스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금형(62)으로부터 카본천(68,70)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도포하는 것으로 공지의 임의의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공정(71)을 통해 금형(62)이 준비되면 금형(62)의 외주에 고탄성카본천(68)을 감는 제 2공정(72)이 수행된다. 이 때 상기 고탄성카본천(68)의 선단테두리(88)가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같이 금형의 테이퍼부(66) 선단(A부분)으로부터 선단으로부터 5mm 내지 15mm정도 전방으로 전진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제 2공정(72)을 통해 테이퍼부(66)에 고탄성카본천(68)을 감은 후, 상기 금형(62)의 선단부(64)에 보강카본천(70)을 감되 상기 고탄성카본천(68)과 50mm 내지 150mm 폭으로 겹치도록 감는 제 3공정(74)이 이어진다. 상기 보강카본천(70)의 선단테두리(도 4의 90)도 상기한 바와같이 금형(62) 선단으로부터 도 4의 폭 b만큼 전진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 2,3공정(72,74)을 통해 금형(62)에 각각 감긴 카본천(68,70)을 금형(62)의 외주에 대해 견고히 밀착고정 시키는 제 4공정(76)이 수행된다. 상기 제 4공정(76)은 금형(62)의 테이퍼부(66) 및 선단부(64)에 내열성테이프를 전체적으로 감아 고탄성카본천(68) 및 보강카본천(70)이 금형(62)의 외주에 밀착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상기 내열성테이프는 내열성을 갖는 한 임의의 접착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내열성 셀로판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4공정(76)에 이어지는 제 5공정(78)은, 상기 내열성테이프가 감긴 부위 중에서 특히 보강카본천(70)이 감긴부위를 내열성 면테이프로 다시한번 감는 공정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금형(62)의 선단부(64)는 곡면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곡면인 선단부(64)의 외주에 감기는 보강카본천(70)은 제 4공정을 통하여 완전히 밀착되지 않을 수 도 있다. 따라서 제 5공정(78)을 통하여 보강카본천(70)을 보다 완전히 밀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5공정(78)을 통하여 고탄성카본천(68) 및 보강카본천(70)이 금형(62)에 대해 완전히 밀착된 후 제 6공정(80)이 이어진다. 상기 제 6공정(80)은 열처리공정으로서 1차가열단계(82)와 2차가열단계(84) 및 냉각단계(85)를 포함한다. 상기 열처리의 대상은 감긴 상태의 고탄성카본천(68) 및 보강카본천(70)임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1차가열단계(82) 및 2차가열단계(84)는 전기로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가열수단을 적용할 수 도 있다.
상기 1차가열단계(82)는 상기 카본천(68,70)을 70℃ 내지 90℃로 1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며, 2차가열단계(84)는 1차가열을 마친 카본천(68,70)을 110℃ 내지 130℃의 온도로 1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냉각단계(85)는 가열된 카본천(68,70)을 전기로로부터 빼내어 냉각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냉각방법은 상온에서의 자연냉각이나 냉각수를 사용한 강제냉각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은 카본천(68,70)의 크기 및 두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카본천을 가열하면 카본천의 표면에 코팅되어있던 에폭시수지가 녹게되어 접착제의 역할을 한다. 카본천의 생산시 통상적으로 카본천의 표면에 에폭시수지를 코팅하는데, 상기한 에폭시수지의 물성을 이용하여 가열 및 냉각을 통해 카본천(68,70) 상호 접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6공정(80)을 통해 고탄성카본천(68) 및 보강카본천(70)이 상호 접합된 상태로 경화된 후, 상기 내열성테이프와 내열성면테이프 및 금형(62)을 카본천(68,70)으로부터 분리하여 단위칸대(50)를 얻는 제 7공정(86)이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금형(62)의 표면에는 왁스가 미리 도포되어 있으므로 상호 접합 및 경화된 카본천(68,70)은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7공정(86)을 통해 얻은 단위칸대를 직접 사용할 수 도 있으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하여 마감공정인 제 8공정(91)을 수행한다. 상기 제 8공정(91)은 제 7공정(86)을 마친 단위칸대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10mm 내지 20mm정도 절단하고 절단부위를 부드럽게 마감처리함과 아울러 외주면을 연삭하는 공정이다.
상기 외주면을 연삭함에 있어서 공지의 센터레스연삭기를 사용함이 좋으며 연삭시 특히 보강부(54)의 후단부 10mm 내지 30mm를 후방상향 경사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각은 5도 이하로 함이 좋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한 세트의 꼽기식 낚시대를 구성하는 단위칸대의 크기는 상호 다르지만 각각의 단위칸대의 구성과 제조방법은 상호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꼽기식 낚시대에 있어서 각 단위칸대 선단부에 경사면을 제공하는 보강부를 설치하여, 각 단위칸대간의 조립시 단위칸대의 선단부가 앞쪽의 단위칸대의 후단 삽입구 테두리부에 걸리지 않고 상기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지므로, 선단부가 깨지거나 벌어지지 않아 낚시대의 수명이 연장되며,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있어 낚시대회에서 좋은 경기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다수의 단위칸대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구성되는 꼽기식 낚시대의 단위칸대에 있어서,
    상기 단위칸대(50)는 테이퍼진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는 몸체부(52)와, 상기 몸체부(52)의 선단에 고정되며 몸체부선단의 다른 단위칸대 후단부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56)을 제공하는 보강부(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꼽기식 낚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52)는 카본천을 감아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부(54)는 상기 몸체부(52)의 선단과 일정폭 겹치도록 카본천을 감아 이루어지며, 보강부(54)의 선단은 오므라져 경사면(56)이 볼록한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꼽기식 낚시대.
  3. 상기 단위칸대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a. 부분구형으로 곡면처리된 선단부(64)를 가지며 몸체는 전체적으로 테이퍼진 테이퍼부(66)로 이루어진 원형로드 형태의 금형(62) 외주면에 왁스를 도포하는 제 1공정과(71)과;
    b. 상기 왁스가 도포된 금형(62)의 테이퍼부(66) 외주에 고탄성카본천을 감는 제 2공정(72)과;
    c. 상기 금형(62)의 선단부(64)에 보강카본천을 감되 상기 고탄성카본천과 50mm 내지 150mm 폭으로 겹치도록 감는 제 3공정(74)과;
    d. 상기 고탄성카본천 및 보강카본천 위에 내열성테이프를 감아 금형에 대해 고탄성카본천 및 보강카본천을 밀착 고정하는 제 4공정(76)과;
    e. 상기 내열성테이프가 감긴 보강카본천 상부에 내열성 면테이프를 감는 제 5공정(78)과;
    f. 상기 제 5공정(78)을 마친 상태로 고탄성카본천 및 보강카본천에 열을 가하여 고탄성카본천 및 보강카본천을 서로에 대해 고착시키는 제 6공정(80)과;
    g. 상기 내열성테이프와 내열성면테이프 및 금형을 제 6공정을 통해 열처리된 고탄성카본천 및 보강카본천으로부터 분리하는 제 7공정(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꼽기식 낚시대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탄성카본천은 선단테두리(88)가 금형(62)의 테이퍼부(66) 선단으로부터 5mm 내지 20mm 후방에 위치한 상태로 감으며, 보강카본천은 선단테두리(90)가 금형(62)의 선단으로부터 0mm 내지 15mm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한 상태로 감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꼽기식 낚시대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5공정(80)은 전기로에 의해 70℃ 내지 90℃로 1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는 1차가열단계(82)와;
    상기 1차가열단계(82) 후 110℃ 내지 130℃의 온도로 1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가열하는 2차가열단계(84)와;
    상기 1,2차 가열단계를 마친 상태로 자연냉각 또는 강제냉각시키는 냉각단계(8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꼽기식 낚시대 제조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7공정(86)을 통해 얻은 열처리된 고탄성카본천 및 보강카본천의 양단부를 커팅하여 마감처리하고, 외주면은 연삭하여 매끄럽게 마감처리하되 보강카본천과 고탄성카본천의 겹침부위의 외주면은 내주면에 대해 전방하향 경사지도록 가공하는 제 8공정(9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꼽기식 낚시대 제조방법.
KR1020000058144A 2000-10-04 2000-10-04 꼽기식 낚시대 및 그 제조방법 KR100356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144A KR100356024B1 (ko) 2000-10-04 2000-10-04 꼽기식 낚시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144A KR100356024B1 (ko) 2000-10-04 2000-10-04 꼽기식 낚시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664A KR20020027664A (ko) 2002-04-15
KR100356024B1 true KR100356024B1 (ko) 2002-10-25

Family

ID=1969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144A KR100356024B1 (ko) 2000-10-04 2000-10-04 꼽기식 낚시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0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534A (ko) * 2020-02-25 2021-09-03 김용봉 골프장 그린 통기작업용 터프 사이드 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00339U (ko) * 2019-10-30 2023-02-14 주식회사 바낙스 꽂기식 낚시대용 플러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3140A (en) * 1975-08-13 1978-04-11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Fishing rod ferrule
JPS6010285A (ja) * 1983-06-30 1985-01-19 Fuji Xerox Co Ltd 複写機用感光体ベルト支持装置
JPH0327229A (ja) * 1989-06-23 1991-02-05 Daiwa Seiko Inc 釣竿の製造法
JPH0646720A (ja) * 1992-07-24 1994-02-22 Shimano Inc 竿及び竿の製造方法
JPH08133A (ja) * 1994-06-23 1996-01-09 Daio Shoji Kk 釣竿用管体の製造方法
KR960016031U (ko) * 1994-11-15 1996-06-17 굽힘 강도가 보강된 낚시대
JPH1175631A (ja) * 1997-09-03 1999-03-23 Mamiya Op Co Ltd 釣用中通し竿およびその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3140A (en) * 1975-08-13 1978-04-11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Fishing rod ferrule
JPS6010285A (ja) * 1983-06-30 1985-01-19 Fuji Xerox Co Ltd 複写機用感光体ベルト支持装置
JPH0327229A (ja) * 1989-06-23 1991-02-05 Daiwa Seiko Inc 釣竿の製造法
JPH0646720A (ja) * 1992-07-24 1994-02-22 Shimano Inc 竿及び竿の製造方法
JPH08133A (ja) * 1994-06-23 1996-01-09 Daio Shoji Kk 釣竿用管体の製造方法
KR960016031U (ko) * 1994-11-15 1996-06-17 굽힘 강도가 보강된 낚시대
JPH1175631A (ja) * 1997-09-03 1999-03-23 Mamiya Op Co Ltd 釣用中通し竿およびその成形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39U (ko) * 2019-10-30 2023-02-14 주식회사 바낙스 꽂기식 낚시대용 플러그
KR200496982Y1 (ko) 2019-10-30 2023-06-28 주식회사 바낙스 꽂기식 낚시대용 플러그
KR20210108534A (ko) * 2020-02-25 2021-09-03 김용봉 골프장 그린 통기작업용 터프 사이드 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91145B1 (ko) * 2020-02-25 2022-04-27 김용봉 골프장 그린 통기작업용 터프 사이드 펀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664A (ko) 200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30246B (zh) 钓鱼竿用竿体
KR100356024B1 (ko) 꼽기식 낚시대 및 그 제조방법
KR100879904B1 (ko) 장대의 제조 방법
KR102178995B1 (ko) 티타늄 초릿대를 사용하는 바다낚시대
US6454691B1 (en) Method for making tubular product of fiber composite material
JP7133994B2 (ja) 穂先竿及び釣竿
JP4381581B2 (ja) 元竿
JP4420367B2 (ja) 竿体の製造方法
KR102302397B1 (ko) 다각형 그립부를 구비한 낚싯대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0132A (ko) 장대의 제조 방법
JP4292318B2 (ja) 竿体の連結構造
JP4022124B2 (ja) 釣竿
JP3952451B2 (ja) 穂先竿
KR20030084679A (ko) 낚싯대
JP4371561B2 (ja) 釣竿
JP4292378B2 (ja) 釣竿
JP2003061524A (ja) 中通し竿用竿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107540B2 (ja) 継式釣竿
CN108391630B (zh) 一种空心碳纤维浮标的制备方法
JP3568916B2 (ja) 1本釣り漁業用の振り出し式釣り竿セットとその製造法
JP2023023418A (ja) ブランク及び玉の柄
JP4044197B2 (ja) 竿体の連結構造
JP2001103877A (ja) 中通し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4131563B2 (ja) 釣竿
JP2002209477A (ja) 竿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