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819B1 -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상체 의복 - Google Patents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상체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819B1
KR102297819B1 KR1020197031068A KR20197031068A KR102297819B1 KR 102297819 B1 KR102297819 B1 KR 102297819B1 KR 1020197031068 A KR1020197031068 A KR 1020197031068A KR 20197031068 A KR20197031068 A KR 20197031068A KR 102297819 B1 KR102297819 B1 KR 102297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knit
path
subset
pat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912A (ko
Inventor
조슈 디아즈
폴 알. 몽고메리
안드레아 제이. 스타우브
니콜 렌돈
버지니아 멕클레이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9012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14Brassieres made from one piece with one or several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 A41C3/128Stay means using specific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8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elastic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5Brassie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C3/0057Brassie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21/207Wearing apparel or garment blank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1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corrugated pl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12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baggy or puckered pl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2Lofty fabric with variab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21Lofty fabric with variab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at least one corrugated pl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2Lofty fabric with variab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22Lofty fabric with variab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at least one baggy or puckered pl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3Fabric with at least two, predominantly unlinked, knitted or woven plies interlaced with each other at spaced locations or linked to a common internal co-extensive yarn syste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Prosthese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상체 의복이, 흉부-커버링 부분 내에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구비한다.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는, 흉부-커버링 부분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되며, 그리고 구역들은,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의 상이한 버전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상체 의복
본 개시는, 서로 독립적으로도 그리고 조합으로도 물품의 작용에 기여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구비하는 상체 의복을 설명한다.
상체 의복들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상체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여러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체 의복들은 흔히, 흉부(chest)-커버링 부분 및 등-커버링 부분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상체 의복들은, 때때로 다양한 속성들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다양한 직물들 및 소재 유형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속성을 가질 수 있는 그리고 상체 의복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유형의 직물의 예가, 니트 직물이다.
상체 의복이, 흉부-커버링 부분 내에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구비한다.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는, 흉부-커버링 부분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되며, 그리고 구역들은,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의 상이한 버전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대상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상체 의복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복의 정면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복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 니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니트 개략도에 대응하는 니트-프로그램 표기(knit-program notations)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전방 경로 및 후방 경로의 상호잠금 교차(interlocking cross overs)를 예시하는 니트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니트-프로그램 표기를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의 개략도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각각,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른 대안적인 니트 구조들을 보여주는 부가적인 니트 개략도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상호잠금 턱 결합사(interlocking tuck binder)를 구비하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예시하는, 다른 예시적인 니트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의 니트 개략도에 대응하는 니트-프로그램 표기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전방 경로 및 후방 경로의 상호잠금 교차와 조합되는 상호잠금 턱 결합사를 예시하는, 니트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니트-프로그램 표기를 도시한다.
도 13은 복수의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구비하는 상체 의복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상체 의복을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의 15A-15A 기준선 또는 15B-15B 기준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의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다.
대상은,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법적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상세하게 그리고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되는 양태들은, 제한적인 대신에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그리고 설명 자체는, 반드시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대신에, 청구된 대상은,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것들과 균등한, 상이한 요소들 또는 요소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청구항들의 의도되는 범위, 그리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른 대상은, 간결함의 관점에서 본 출원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지만,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전체 개시의 관점에서 관련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균등한 특징들, 양태들, 소재들, 구성 방법들, 및 다른 양태들을 포함한다. 특정 특징들 및 하위 조합들이 유용하며 그리고 다른 특징들 및 하위 조합들을 참조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는, 청구항들에 의해 예상되며 그리고 청구항들의 범위 이내에 놓인다.
높은 수준에서, 본 개시는, 서로 독립적으로도 그리고 조합으로도 물품의 작용에 기여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구비하는 상체 의복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체 의복은,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부분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실 가닥이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에 따라 전방 경로와 후방 경로 사이에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고 전달되는 방식은, 상체 의복의 속성들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개시의 다른 부분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실 조성(yarn composition) 및 사이즈, 부가적인 니트 구조들, 및 스티치 사이즈를 포함하는, 다른 요소들이 또한, 의복의 속성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 및 다른 요소들은, 의복의 맞음새 및 형상에, 뿐만 아니라 신장성, 압축성, 통기성, 탄성, 안정성, 지지,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직물 속성들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상체 의복(10)이 도시되며, 그리고 본 설명에서, "상체 의복"은, 착용자의 상체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의복을 설명한다. 예시된 상체 의복(10)은 브라이며, 그리고 도시된 브라의 스타일은 때때로, 스포츠 브라, 운동용 브라, 또는 다른 유사한 명칭으로서 지칭된다. 그리고, 본 개시의 다른 양태들에서, 상체 의복이, 끈 없는 브라, 캐미솔, 베이스-층 셔츠, 러닝 셔츠(singlet), 레이싱 슈트,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여성 또는 남성을 위한 다양한 다른 유형의 의복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체 의복(10)의 다양한 양태들을 설명할 때, 상대적인 용어들이, 상대적인 위치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체 의복(10)은, 좌측부(12) 및 우측부(14)로 분할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체 의복(10)은, 일반적으로 상체 의복(10)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착용자의 등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후방 부분(16) 및, 일반적으로 사용 상태에서 착용자의 흉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전방 부분(18)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상체 의복(10)은, 본 개시의 양태들을 설명할 때 또한 참조될 수 있는, 여러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체 의복(10)은, 어께 스트랩들(20, 22), 뿐만 아니라 팔 구멍들(24, 26) 및, 일반적으로 목-수용 개구 주위의 둘레를 형성하는, 목선(28)을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상체 의복(10)은, 좌측부(12) 상의 가슴(breast)-커버링 부분(30) 및 우측부(14) 상의 가슴-커버링 부분(32)을 구비하며, 그리고 중심 브릿지부(34)가,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 사이에 배치된다. 상체 의복(10)은 또한,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의 둘레를 형성하는, 일련의 에워싸는 구역(35A, 35B, 35C, 35D, 35E, 35F)을 구비한다. 일부의 경우에, 가슴-커버링 부분들, 중심 브릿지부, 및 에워싸는 구역들의 조합은, 총체적으로, 흉부-커버링 부분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체 의복(10)은, 상측-흉부 부분(39), 좌측 겨드랑이 부분(36), 우측 겨드랑이 부분(38), 좌측 날개부(40), 및 우측 날개부(42)를 포함한다. 후방 부분(16)은, 후방 스트랩들(46, 48)과 함께 메인 줄기부(main trunk)(44)를 갖는, 레이서백-스타일 후방 패널을 구비한다. 줄기부(44) 및 후방 스트랩들(46, 48)은 일반적으로, "T-자" 형상 또는 "Y-자" 형상을 형성하며, 그리고 스트랩들(46, 48)은, 어깨 스트랩들(20, 22)과 연결된다. 흉부 밴드(50)가,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 및 날개부들(40, 42) 아래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후방 부분(16) 둘레까지 전체적으로 감싼다. 흉부 밴드(50)는, 대안적인 양태에서 포함될 수 있을, 임의의 걸림구(clasp) 또는 다른 해제 가능한 커넥터 없이 예시된다. 이러한 상대적인 구역들 및 부분들은, 반드시 상체 의복(10)의 정확한 영역들을 구획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그리고 이들은, 설명을 위해 그리고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상체 의복(10)은, 논리적 분할 또는 경계를 제공하는, 이음선들 또는 전이 구역들과 같은, 구조적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체 의복(10)은, 크래들 구역(cradle region), 하부 와이어,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도 1 내지 도 3에 반드시 표시되지 않는, 다른 부품들, 구역들, 및 부분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이상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브라-스타일 상체 의복(10)은, 단지 예시적인 유형의 상체 의복이며, 그리고, 본 개시의 다른 양태들에서, 상체 의복은, 슬리브들, 복부-커버링 부분, 요추-커버링 부분, (예를 들어, 유니타드(unitard)에서와 같은) 일체형 반바지 또는 바지, 및 이와 유사한 것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상체 의복(10)은, 니트-직물 구역을 포함하며, 그리고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니트-직물 구역"은 일반적으로, 서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실 가닥으로 구성되는, 상체 의복(10)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예시적인 니트-직물 구역(52)이 식별되며, 그리고 니트-직물 구역(52)에 대한 부가적인 세부사항들이, 예시적인 니트 구조(56)를 도시하는, 확대도(54)에 추가로 도시된다. 부분 확대도(58)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니트 구조(56)는,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된 전방 스티치들(60)의 경로들 및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된 후방 스티치들(62)의 경로들을 포함한다.
니트-직물 구역(52)은, 니트 구조의 도시 및 설명을 허용하도록 예시적인 목적으로 도 1에서 식별되며, 그리고 본 개시의 다른 양태들에서, 상체 의복(10)은, 구역(52)보다 더 큰 및/또는 상체 의복(10)의 다른 구역들 및 부품들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니트-직물 구역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체 의복(10)의 전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은, 흉부 밴드(50),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 중심 브릿지부(34), 에워싸는 밴드들(35A 내지 35F) 겨드랑이 부분들(36, 38), 날개부들(40, 42), 스트랩들(20, 22),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니트 구조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체 의복(10)의 이러한 부품들은, 연속적인 니트 패널로 일체형으로 편직될 수 있으며, 또는 별개의 니트 패널들일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은 각각, 니트 직물 구역(66, 68)을 구비한다.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은, 가슴-커버링 부분들을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특징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은 일반적으로, 흉부 밴드(50) 상부에 그리고 스트랩들(20, 22) 하부에 배치된다. 부가적으로,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은 일반적으로, 상체 의복(10)의 전방 측부 상에서, 겨드랑이 부분들(36, 38) 사이에 그리고 날개부들(40, 42) 사이에 놓인다. 더불어,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제안되는 바와 같이,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은, 중심 브릿지부(34)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측부에서 에워싸는 구역들(35A 내지 35F)에 의해 경계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부 다른 양태에서, 중심 브릿지부(34)는,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이, 좌측 날개부들 및 겨드랑이 부분들로부터 우측 날개부들 및 겨드랑이 부분들까지 전방 측부에 걸쳐 있는, 단일 가슴-커버링 부분을 형성하도록,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에워싸는 구역들(35A 내지 35F)의 두께는 감소될 수 있으며, 또는 에워싸는 구역들은,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의 측면도들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은, 돔 형상이며 그리고 볼록 외측 표면(70)을 구비하고, 그리고 그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시점들에서 가시적이지 않은 오목 내측 표면을 구비한다.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은, 사람 또는 마네킹에 의해 착용되었을 때와 같이 상체 의복(10)이 사용 상태에 있을 때, 착용자의 흉부 구역을 커버하며 그리고 가능하게는 흉부 구역과 접촉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은, 착용자의 개별적인 가슴 조직에 압축 지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의 사이즈 및 형상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상의 하나의 양태에 대한 예시이며, 그리고 다른 양태에서, 사이즈 및 형상은 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의 양태에서, 니트 직물 구역들(66, 68)은,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구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110)의 일부 특징부를 예시하는 개략도가, 도시된다.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110)는, 제1 실 가닥(116) 및 제2 실 가닥(118)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112)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114)를 포함한다. 더불어, 도 4는, 전방-스티치 경로들(120) 중의 하나가, 전방-스티치 경로(120)로부터 후방-스티치 경로(122)까지 연장되는 제1 실 가닥(116)에 의해, 후방-스티치 경로들(122) 중의 하나와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되는 것을, 도시한다. 부가적으로, 후방-스티치 경로(122)로 연장되는 제1 실 가닥(116)에 대응하는 개소에서, 제2 실 가닥(118)이, 후방-스티치 경로(122)로부터 전방-스티치 경로(120)로 연장된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제1 실 가닥(116)이 전방-스티치 경로(120)로부터 후방-스티치 경로(122)로 연장되며 그리고 제2 실 가닥(118)이 후방-스티치 경로(122)로부터 전방-스티치 경로(120)로 연장되는, 이러한 구조는, 참조 부호 '124'에 의해 식별되는 "상호잠금 교차(interlocking cross over)"로서 지칭된다. 도 4에서, 제1 실 가닥(116)이 후방-스티치 경로(122)로부터 전방-스티치 경로(120)로 연장되며, 그리고 제2 실 가닥(118)이 전방-스티치 경로(120)로부터 후방-스티치 경로(122)로 연장되는, 다른 상호잠금 교차(126)가, 예시된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상호잠금 교차들은, 전방-스티치 경로를, 전방 스티치들의 하위 세트들(subsets)로 또는 전방 스티치들의 하위 수량들(sub-quantities)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상호잠금 교차들(124, 126)은, 전방-스티치 경로(120)를, 제1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128), 제2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130), 및 제3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132)로 분할한다. 마찬가지로, 후방-스티치 경로(122)는, 제1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134), 제2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136), 및 제3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138)로 분할된다.
도 4에서, 제1 실 가닥(116)은, 제2 실 가닥(118)과 상이한 외관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제1 실 가닥(116)은, 제2 실 가닥(118)과 상이한 색상일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2개의 실 가닥(116, 118) 사이의 외관의 차이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이 전방 경로와 후방 경로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간헐적으로 전환될 때, 도 1 내지 도 3에서의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 겨드랑이 부분들(36, 38), 및 날개부들(40, 42) 내의 예시적인 줄무늬 패턴들과 같은, 줄무늬 패턴(striping pattern)을 생성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상체 의복(10)은, 단지 달성될 수 있는 하나의 줄무늬 패턴에 대한 예시이며, 그리고 다른 양태에서, 상체 의복은 상이한 패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은, 시각적 줄무늬 패턴이 전방 경로와 후방 경로 사이에서의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의 전후방 전환에 의해 생성되지 않도록, 동일한 또는 유사한 외관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110)에 상응하는 예시적인 편직 다이어그램(210)이, 도시된다. 편직 다이어그램(210)은, 복수의 행 및 복수의 열을 구비한다. 각 행은 바늘 위치를 나타내며, 그리고 각 열은 실 가닥을 나타낸다. 열들은, 튜브형-자카드 니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실 가닥과 제2 실 가닥 사이에서 서로 엇갈린다. 각 열 내에서, 스티치 유형은, 스티치가 전방 베드(front bed) 상에 또는 후방 베드(back bed) 상에 놓이는지에 대한 지시와 함께, 지정된다. "실" 아래의 스티치 표기가 전방 베드 상에 놓이며, 그리고 "실" 위의 스티치 표기가 후방 베드 상에 놓인다. 예를 들어, 열(212C)이, 10곳의 바늘 위치(A-J)에서 스티치 유형 및 스티치 개소를 지정한다. 스티치 표기(213)는, 전방 베드 상의 스티치를 지정하며, 그리고 스티치 표기(215)는, 후방 베드 상의 스티치를 지정한다. 그에 따라, 선분(220)은, 전방 베드로부터 후방 베드로의 전달에 대응할 것이다.
도 5를 계속 참조하면, 열들(212A 내지 212C)은 각각, 제1 실 가닥(216)에 대한 니트 구조를 규정하며, 그리고 서로 엇갈리는 열들(214A 내지 214C)은, 제2 실 가닥(218)에 대한 니트 구조를 규정한다. 열들(212A, 212B)은, 니트 구조의 전방 측부 상의 제1 실 가닥(216)에 의한 10개의 스티치를 규정하며, 그리고 열들(214A, 214B)은, 니트 구조의 후방 측부 상의 제2 실 가닥(218)에 의한 10개의 스티치를 규정한다. 이러한 열들(212A, 212B, 214A, 214B)은, 도 4의 처음 2개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처음 2개의 후방-스티치 경로에 대응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열(212C)은, 도 4의 제1 실 가닥(116)에 대응하는, 제1 실 가닥(216)에 대한 스티치들을 지정한다. 그에 따라, 열(212C)은, 전방 측부 상의 3개의 스티치, 후방 측부로의 전달(즉, 선분 220), 후방 측부 상의 5개의 스티치, 전방 측부로의 전달(즉, 선분 224), 및 전방 측부 상의 2개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지정한다. 열(214C)은, 도 4의 제2 실 가닥(118)에 대응하는, 제2 실 가닥(218)에 대한 스티치들을 지정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열(214C)은, 후방 측부 상의 3개의 스티치, 전방 측부로의 전달(즉, 선분 222), 전방 측부 상의 5개의 스티치, 후방 측부로의 전달(즉, 선분 226), 및 후방 측부 상의 2개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지정한다. 실행될 때, 참조 부호 '220' 및 '222'에 의해 지정되는 전달들은, 상호잠금 교차(124)로 변환되며, 그리고 참조 부호 '224' 및 '226'에 의해 지정되는 전달들은, 상호잠금 교차(126)로 변환된다. 따라서, 열들(212C, 214C)에 의해 규정되는 스티치들의 조합은, 도 4의 전방-스티치 경로(120) 및 도 4의 후방-스티치 경로(122)로 변환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호잠금 교차들은, 경로를 스티치들의 하위 세트들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전달들(220, 222, 224, 226)은, 상호잠금된 경로를, 제1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228), 제2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230), 제3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232), 제1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234), 제2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236), 및 제3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238)로 분리한다.
예시적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310)를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전방-스티치 경로(120) 및 후방-스티치 경로(122)에 대한 대안적인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전방-스티치 경로(312) 및 후방-스티치 경로(314)에 대한 다른 개략도를 포함한다. 전방-스티치 경로(312) 및 후방-스티치 경로(314)는, 제1 실 가닥(316) 및 제2 실 가닥(318)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전방-스티치 경로(312)는, 상호잠금된 경로(320)를 형성하기 위해 후방-스티치 경로(314)와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된다. 상호잠금된 경로(320)는, 상호잠금 교차(124)(도 4)에 대응하는 실 가닥들(316, 318)의 상호잠금 교차(324), 및 상호잠금 교차(126)(도 4)에 대응하는 다른 상호잠금 교차(326)를 구비한다.
더불어, 도 6a는, 상호잠금 교차들(324, 326)이, 상호잠금된 경로를, 제1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328), 제2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330), 제3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332), 제1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334), 제2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336), 및 제3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338)로 분할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호잠금된 경로(320) 내부에서, 상호잠금 교차들(324, 326), 제2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330), 및 제2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336)의 조합은, 2개의 경로(312, 314) 사이의 공간(340)을 실질적으로 구획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니트 구조(310)는, 힘에 종속될 때, 다양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힘이, 상호잠금된 경로(320)와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342A, 342B, 또는 342C)으로 가해질 때, 니트 구조(310)는, 상호잠금된 경로(320)와 정렬된 방향(예를 들어, 344A 및 344B)으로 신장된다. 부가적으로, 힘이 제거될 때, 니트 구조(310)는, 자체의 휴지 상태로 복귀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서, 상호잠금 교차들(324, 326)은, 더욱 굽혀지거나 또는 만곡되는 제1 상태(예를 들어, 도 6a)로부터 더 직선형인 제2 상태(예를 들어, 도 6b)로 기계적으로 교호 반복되는 제1 실 가닥(316) 및 제2 실 가닥(318)에 의해, 니트 구조(310)의 이러한 속성에 기여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상호잠금 교차들(324, 326)은, 스위치들의 하위 세트들 사이의 팽창 조인트들(expansion joints)과 유사하게 기능한다.
니트 구조(310)를 갖는 니트-직물 구역이 상체 의복(10)으로 구성될 때, 힘이, 다양한 상황에서 니트 구조에 가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체 의복이 착용되며 그리고 착용자의 일부분(예를 들어, 가슴 조직)이 니트-직물 구역에 대해 압박할 때, 힘이, 상호잠금된 경로(3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니트-직물 구역은, 착용자에게 맞추기 위해 기계적으로 늘어나거나 또는 신장되며, 그리고 착용자에 대해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니트 직물 구역 중에 포함되는 상호잠금 교차들의 밀도(예를 들어, 주어진 니트 구역 내의 상호잠금 교차의 개수)가, 착용자의 조직(예를 들어, 가슴 조직)에 대한 기계적 늘어남 및 신장 그리고 압축력의 양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다. 말하자면, 제1 상호잠금된 경로 및 제2 상호잠금된 경로가 동일한 힘에 종속될 때, 주어진 개수의 스티치들 중에 더 많은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하는 제1 상호잠금된 경로가, 주어진 개수의 스티치들 중에 더 적은 개수의 상호잠금 교차를 갖는 제2 상호잠금된 경로보다 더 많이 신장될 것이다. 그에 따라, 제2 상호잠금된 경로는, 동일한 조건 하에서(예를 들어, 의복 사이즈 및 착용자 치수들), 제1 상호잠금된 경로보다 더 많은 압축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상호잠금된 경로는, 제2 상호잠금된 경로보다 더 많이 기계적으로 신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원리들을 적용하면, 본 개시의 양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호잠금 교차들의 밀도에 기초하여 개별적인 정해진 양의 신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구비하는 상체 의복을 포함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편직 다이어그램(710)이, 제1 실 가닥(716)으로 형성되는 스티치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1 가닥 열(712A 내지 712G) 및 제2 실 가닥(718)으로 형성되는 스티치들을 규정하는 복수의 제2 가닥 열(714A 내지 714G)을 도시한다. 부가적으로, 편직 다이어그램(710)은, 복수의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바늘 위치(A 내지 AA)를 포함한다. 실행될 때, 대응하는 제1 가닥 열(예를 들어, 712A) 및 대응하는 제2 가닥 열(예를 들어, 714A)은, 상호잠금 교차들의 밀도를 구비하는, 전방-스티치 경로 및 후방-스티치 경로로 변환된다. 도 7b는, 제1 실 열들(712A, 712B), 제2 실 열들(714A, 714B), 및 바늘 위치들(H 내지 Y)의 하위 세트를 포함하는, 편직 다이어그램(710)의 일부분의 확대도를 포함한다.
제1 가닥 열(712A)로 지정되는 제1 가닥 스티치들은, 상호잠금된 경로(720A)를 형성하기 위해 제2 가닥 열(714A)로 지정되는 제2 가닥 스티치들과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된다. 부가적으로, 상호잠금된 경로(720A)는, 상호잠금된 경로(720A)를 따라 반복되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intra-course knit sequence)를 구비한다. 반복되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는, 박스(722A)(도 7a)에 의해 경계 설정되며, 그리고 경로-내 니트 시퀀스의 반복 인스턴스들(repeating instances)은, 박스들(722B, 722C)에 의해 경계 설정된다. 도 7b는 또한, 박스들(722B, 722C)에 의해 경계 설정되는 반복되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을 예시한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경로-내 니트 시퀀스의, 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경우의, 구조는, 상호잠금된 경로 내부의 상호잠금 교차들의 밀도에 기여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박스(722B)에 의해 식별되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는, 제1 실 가닥(716)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724) 및 제2 실 가닥(718)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726)을 포함한다. 더불어, 바늘 위치들(M 및 N) 사이에서, 제1 실 가닥(716)은, 전방 베드로부터 후방 베드로 전달되며, 그리고 제2 실 가닥(718)은, 후방 베드로부터 전방 베드로 전달된다. 제1 실 가닥(716)은 이어서, 제2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728)을 형성하며, 그리고 제2 실 가닥(718)은, 제2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730)을 형성한다. 제1 실 가닥(716) 및 제2 실 가닥(718)은 이어서, 제2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730) 및 제2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728) 이후에 그리고 바늘 위치들(P 및 Q) 사이에서, 다시 교차한다. 경로-내 니트 시퀀스는 이어서, 바늘 위치들(P 및 Q) 사이에서의 재교차 이후에, 상호잠금된 경로 내에서 적어도 1번 반복된다.
예시적인 편직 다이어그램(710)에서, 경로-내 니트 시퀀스 내의 전방 스티치들의 수량은, 8개이며(예를 들어, 전방 스티치들은 바늘들(I 내지 P)로부터 제공됨), 그리고 경로-내 니트 시퀀스 내의 후방 스티치들의 수량은, 8개이다. 부가적으로, 경로-내 니트 시퀀스의 반복 인스턴스를 개시하는 제2 상호잠금 교차 이전에, 그러한 8개의 전방 스티치 및 8개의 후방 스티치 중에, 단일의 상호잠금 교차가 존재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는, 단지, 편직 다이어그램(710)에 의해 규정되는 구조에 따라 형성되는 니트 직물 구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8개의 전방 스티치, 8개의 후방 스티치, 8개의 전방 스티치 및 8개의 후방 스티치 중의 상호잠금 교차의 반복 패턴으로부터 야기되는, 신장 및 압축 속성들의 양을 구비하는,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서 대한 예시이다. 그리고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각각의 개별적인 경로-내 니트 시퀀스는, 4개 이상이자 12개 이하의 전방 스티치들의 수량을 구비하며, 그리고 4개 이상이자 12개 이하의 후방 스티치들의 수량을 구비한다. 반복되는 시퀀스 내의 전방 스티치들 및 후방 스티치들의 수량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복되는 시퀀스를 구비하는 니트 직물 구역에 의해 제공될 압축의 양에 의존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그리고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편직 다이어그램(710)은,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720A, 720B, 720C)에 대한 표기를 포함하며, 그리고 각각의 상호잠금된 경로는, 개별적인 상호잠금된 경로를 따라 반복되는, 그 자체의 개별적인 경로-내 니트 시퀀스(예를 들어, 722A, 722D, 722E)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제1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 제1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 제2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 및 제2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은 모두, 각각의 개별적인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 중에서, 일치한다. 예를 들어, 상호잠금된 경로(720A)는, 제1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724) 내의 5개의 전방 스티치, 제1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726) 내의 5개의 후방 스티치, 제2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730) 내의 3개의 전방 스티치, 및 제2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728) 내의 3개의 후방 스티치를 갖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722A)를 구비한다. 일관적인 방식으로, 다른 상호잠금된 경로(720B)는, 제1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736) 내의 5개의 전방 스티치, 제1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738) 내의 5개의 후방 스티치, 제2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740) 내의 3개의 전방 스티치, 및 제2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742) 내의 3개의 후방 스티치를 갖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박스(722D)에 의해 식별됨)를 구비한다.
각각 개별적인 상호잠금된 경로 내에 배치되는 것인, 개별적인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예를 들어, 박스(722A) 내의 시퀀스 및 박스(722D) 내의 시퀀스)이, 각각의 전방 스티치 하위 세트 및 후방 스티치 하위 세트 내에 균등한 개수의 스티치들을 포함하는, 니트 구조들에서, 다양한 배열들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에서, 상호잠금된 경로들(720A, 720B)의 상호잠금 교차들은, 인접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된 경로들 내의 동일한 쌍의 바늘 위치(M 및 N) 사이에 배치된다. 부가적으로,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722A, 722D, 722E) 모두에서, 주어진 경로-내 니트 시퀀스 내의 전방 스티치들의 총 개수 및 후방 스티치들의 총 개수(즉, 8개의 전방 스티치 및 8개의 후방 스티치)는, 하위 세트들 내에 상이한 수량의 스티치들을 갖는 하위 세트들(즉,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들 중의 하나 내의 5개의 스티치 및 다른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내의 3개의 스티치)을 생성하도록 분할된다.
지금부터 도 8a를 참조하면,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가 제2 상호잠금된 경로(820B)에 상호 고리모양으로 커플링되는 제1 상호잠금된 경로(820A)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양태가, 도시된다. 상호잠금된 경로들은, 전방-스티치 경로들의 상호 고리모양의 연장 및 후방-스티치 경로들의 상호 고리모양의 연장에 의해, 상호 고리모양으로 커플링된다. 제1 상호잠금된 경로(820A) 및 제2 상호잠금된 경로(820B)는, 개별적인 상호잠금된 경로 내에서 반복되는, 개별적인 경로-내 니트 시퀀스(822A, 822B)를 구비한다. 도 7a 및 도 7b의 편직 다이어그램과 유사하게, 제1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824A, 824B), 제1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826A, 826B), 제2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828A, 828B), 및 제2 수량의 후방 스티치들(830A, 830B)은 모두, 각각의 개별적인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 중에서, 일치한다. 그리고 도 8a에 도시된 대안적인 양태에서, 제1 상호잠금된 경로(820A)내의 (상호잠금 교차를 형성할) 교차(crossing over)(832)가, 제2 상호잠금된 경로(820B) 내의 교차(834)와 상이한 바늘 위치에 배치된다. 상호잠금 교차들이 상이한 쌍의 인접한 바늘 위치들 사이에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상호잠금된 경로들(820A, 820B)은, 주어진 개수의 반복되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 중에 동일한 밀도의 상호잠금 교차들을 구비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상호잠금된 경로들(820A, 820B)은, 니트 직물 구역의 부분을 구성할 때, 유사한 신장 및 압축 속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2세트의 반복되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를 포함하는 16개의 바늘 위치 사이에, 상호잠금된 경로들(820A, 820B)은 양자 모두, 3개의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한다.
지금부터 도 8b를 참조하면,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가 제2 상호잠금된 경로(840B)에 상호 고리모양으로 커플링되는 제1 상호잠금된 경로(840A)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1 상호잠금된 경로 및 제2 상호잠금된 경로는, 개별적인 상호잠금된 경로 내에서 반복되는 개별적인 경로-내 니트 시퀀스(842A, 842B)를 구비하는, 다른 대안적인 양태가, 도시된다. 도 8b의 편직 다이어그램은, 개별적인 경로-내 니트 시퀀스 내의 스티치들의 총 수량이, 동일하기 때문에(즉, 8개의 전방 스티치 및 8개의 후방 스티치), 도 7b의 편직 다이어그램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8b의 편직 다이어그램은, 전방 스티치들 및 후방 스티치들의 하위 세트들이 각각의 경로-내 니트 시퀀스(842A, 842B) 내에서 상이하게 분할됨에 따라, 도 7b 및 도 8a의 편직 다이어그램과 상이하다. 예를 들어, 경로-내 니트 시퀀스(842A)의 제1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844A)은, 경로-내 니트 시퀀스(842B)의 제1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844B)과 상이하다. 전방 스티치 하위 세트 및 후방 스티치 하위 세트가 상호잠금된 경로들(840A, 840B) 사이에서와 같이 상이하게 분할됨에도 불구하고, 상호잠금된 경로들(840A, 840B)은, 주어진 개수의 반복되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 중에 동일한 밀도의 상호잠금 교차들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호잠금된 경로들(840A, 840B)은 양자 모두, 개별적인 경로-내 니트 시퀀스의 2회 반복 인스턴스 중에 3개의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하고, 이는 도 7b 및 도 8a의 편직 다이어그램들과 또한 일치한다. 그에 따라, 상호잠금된 경로들(720A, 820A, 840A)은, 니트 직물 구역들을 구성할 때, 유사한 신장 및 압축 속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 도 8c를 참조하면,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가 제2 상호잠금된 경로(850B)에 상호 고리모양으로 커플링되는 제1 상호잠금된 경로(850A)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1 상호잠금된 경로 및 제2 상호잠금된 경로는, 개별적인 상호잠금된 경로 내에서 반복되는 개별적인 경로-내 니트 시퀀스(852A, 852B)를 구비하는, 다른 대안적인 양태가, 도시된다. 도 8c의 편직 다이어그램은, 개별적인 경로-내 니트 시퀀스 내의 스티치들의 총 수량이, 동일하기 때문에(즉, 8개의 전방 스티치 및 8개의 후방 스티치), 도 7b, 도 8a, 및 도 8b의 편직 다이어그램들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8c의 편직 다이어그램은, 각 경로-내 니트 시퀀스 내에서, 제1 실 가닥이, 제2 실 가닥(즉, 4개)과 같은 동일한 개수의 전방 스티치들 및 후방 스티치들(즉, 4개)을 구성하기 때문에, 상이하다.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8c의 상호잠금된 경로들을 도 7b, 도 8a, 및 도 8b의 상호잠금된 경로들과 비교할 때, 각각의 개별적인 경로-내 니트 시퀀스 내의 스티치들의 총 수량이 동일하며(즉, 8개의 전방 스티치 및 8개의 후방 스티치) 그리고 상호잠금 교차들의 개수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호잠금된 경로들은,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의 주어진 횟수의 반복 인스턴스 중에, 동일한 밀도의 상호잠금 교차들을 구비한다. 그에 따라, 상호잠금된 경로들(720A, 820A, 840A, 850A)은, 니트 직물 구역들을 구성할 때, 유사한 신장 및 압축 속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8d는 도 8c와 유사한 편직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며, 그리고 각 경로-내 니트 시퀀스(862A, 862B) 내에서, 제1 실 가닥은, 제2 실 가닥(즉, 4개)과 같은 동일한 개수의 전방 스티치들 및 후방 스티치들(즉, 4개)을 구성한다. 그러나 도 8c의 니트 시퀀스들(852A, 852B)과 대조적으로,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862A, 862B)은, 상이한 쌍의 인접한 바늘들 사이에 개별적인 상호잠금 교차들을 구비한다. 그러나, 도 8a에 관련하여 설명되는 것과 동일한 이유로, 상호잠금 교차들의 밀도가 유사하기 때문에, 신장 및 압축 속성은 유사하다.
도 7a, 도 7b, 및 도 8a 내지 도 8d에 의해 예시되며 그리고 도 7a, 도 7b, 및 도 8a 내지 도 8d에 관련하여 설명되는, 여러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이, 8개의 전방 스티치 및 8개의 후방 스티치를, 그리고 8개의 전방 및 후방 스티치 중에 단일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상호잠금 교차가, 경로-내 니트 시퀀스 바로 이전에 그리고 경로-내 니트 시퀀스 바로 이후에 배치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경로-내 니트 시퀀스는, 상호잠금 교차들에 의해 양단에서 종결된다. 8개의 전방 및 후방 스티치에 대한 도시는,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 대한 예시이며, 그리고 다른 양태에서, 니트 직물 구역들(66, 68) 내의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은, 4개 초과이자 12개 이하인 수량의 전방 스티치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다른 양태들에서, 도 7a, 도 7b, 및 도 8a 내지 도 8d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원리들이, 단일 경로-내 니트 시퀀스의 상호잠금 교차가, 전방 및 후방 스티치들을 상이하게 크기 결정되는 하위 세트들로 분할하기 위해, 상이한 인접한 바늘 쌍들 사이에 배열될 수 있도록, 동등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12개의 전방 스티치 및 12개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가, 6개의 2개의 그룹, 5개의 그룹과 7개의 그룹, 4개의 그룹과 8개의 그룹, 등으로 나뉠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상호잠금 교차들은, 하나의 상호잠금된 경로로부터 다음 상호잠금된 경로로 동일한 인접한 바늘 쌍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된 경로들 사이에서와 같이 상이한 인접한 바늘 쌍들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a 내지 도 8d에 의해 규정된 여러 니트 구조들은, 한정된 수량의 스티치들(예를 들어, 한정된 세트의 바늘 위치들) 중의 상호잠금 교차들의 밀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 7b 내지 도 8d의 각 니트 구조는, 각각 바늘 위치들(H, T) 사이에 13개의 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2개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각각 바늘 위치들(H, T) 사이에 13개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2개의 후방-스티치 경로를 구비한다. 또한, 전방 스티치들의 수량 및 후방 스티치들의 수량은, 26개의 스티치 수량을 산출한다. 그에 따라, 비율이, 한정된 니트 직물 구역 내의 스티치들의 개수에 대한 상호잠금 교차들의 수량을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3개의 바늘 위치를 구비하는 2개의 경로를 포함하는, 도 7b 내지 도 8d의 편직 다이어그램들에 의해 설명되는 각각의 니트 시퀀스들에서, 상호잠금 교차들의 수량 대 스티치들의 수량의 비율은, 3:13이다. 그에 따라,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서, 상호잠금 교차들 대 스티치들의 수량의 비율이, 니트 직물 영역 내에서의 신장의 양을 평가하고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b 내지 도 8d는, 단지, 8개의 전방 스티치 및 8개의 후방 스티치의 수량을 구비하는, 일부 상이한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에 대한 예들이며, 그리고 다른 경우에,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은, 4개 내지 12개의 스티치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호잠금 교차들 대 스티치들의 비율에 의해 니트 직물 구역을 특징짓는 것에 대해 동일한 근거를 적용하면,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서, 비율은, 약 1:4 내지 약 1:13의 범위 내에 놓인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니트 직물 구역(예를 들어, 66, 68)의 다른 속성들이,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에 부가하여, 니트 직물 구역에 의해 제공되는 신장 및 압축의 양에 부분적으로 기여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양태에서, 전방 실 가닥 및 후방 실 가닥은 양자 모두, 부하가 제거될 때의 비-신장 상태로 복귀하기 이전에 부하 하에서 200% 미만의 최대 신장을 제공하는 탄성의 양을 구비하는, 비-탄성 실 타입(또한 때때로 비-신장성 실로 지칭됨)을 구비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비-탄성 실 타입의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은, 100% 미만의 최대 신장을 제공한다. 비-탄성 실 타입들의 예들이,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서,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 양자 모두는, 나일론 2/78D/68(즉, 각 플라이(ply)가 68개의 필라멘트를 동반하는 78 데시텍스인 2개의 플라이)의 2개의 단부를 구비한다. 대조적으로, 탄성 실 타입들은, 부하가 제거될 때의 비-신장 상태로 복귀하기 이전에 부하 하에서 200% 초과의 최대 신장을 제공하며, 그리고 일부 탄성 실들은, 약 400%의 최대 신장을 제공한다. 탄성 실들의 예들은, 스판덱스, 엘라스테인, 라이크라, 등을 포함한다.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이 비-탄성 실 타입을 구비할 때, 니트 직물 패널의 정해진 양의 신장이, 상호잠금 교차들에 의해 제공되는 기계적 신장과 더불어 달성 가능하다. 비-탄성 실 타입들이 활용되는 이러한 본 개시의 양태에는 없는, 다른 해법들이, 정해진 양의 신장을 달성하기 위해 더 많은 탄성 실 타입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스티치 길이가 또한,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신장 속성들에 부가하여, 니트 직물 구역에 의해 제공되는 신장의 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니트 직물 구역의 전방 및 후방 스티치들의 스티치 길이는, 약 3.00 mm 내지 약 3.30 mm의 범위 이내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스티치 길이는, 3.15 mm이다. 이러한 스티치 길이들은 단지,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의 예시이며, 그리고 다른 양태에서, 더 작은 또는 더 큰 스티치 길이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a 내지 도 8d에 도시된 그리고 상체 의복의 다양한 니트 구역들 내로 통합될 수 있는 구조들은,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으로 구성되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도 7a 내지 도 8d의 각각의 니트 구조, 뿐만 아니라 이들이 그 내부에 통합될 수 있는 상체 의복의 니트-직물 구역들(예를 들어, 66, 68)은, 부가적인 일체형-니트 구조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를 구비하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910)가, 도시된다. 부가적으로, 전방-스티치 경로들(912A, 912B)은, 도 4 내지 도 8d에 관련하여 설명된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들과 유사하게, 후방-스티치 경로들(914A, 914B)과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된다. 그에 따라, 전방-스티치 경로(912A) 및 후방-스티치 경로(914A)는, 상호잠금된 경로를 형성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매번 다른 전방 스티치와 그리고 매번 다른 후방 스티치와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시킴에 의해,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912A)를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914A)에 추가로 결속하는,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interlock tuck stitches)의 경로를 더 구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 가닥(916)이, 후방-스티치 경로(914A) 내에 턱 스티치(918)를 형성하며, 그리고 이어서 다른 턱 스티치(920)를 형성하기 위해 전방-스티치 경로(912A)로 전달된다. 또한, 제3 실 가닥(916)은, 매번 다른 전방 스티치 및 매번 다른 후방 스티치에서 턱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해, 물결 모양의 방식으로, 전방-스티치 경로(912A)와 후방-스티치 경로(914A)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전달된다. 도 9에서 도면을 과밀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다른 경로들이, (예를 들어, 전방-스티치 경로(912B) 및 후방-스티치 경로(914B)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 내에) 도시되지 않지만,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다른 경로들이, 전방-스티치 경로(912B)를, 후방-스티치 경로(914B)와, 뿐만 아니라 다른 전방 경로 및 후방 경로와, 결속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다른 경로는, 전방-스티치 경로(912A)를 후방-스티치 경로(914A)와 결속하는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경로를 편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편직 다이어그램(1010)이, 실행될 때 도 9의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910)와 유사한 니트 구조를 생성할, 편직 표기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편직 다이어그램(1010)은, 제3 실 가닥(1014)에 대한 니트 구조를 규정하는 열(1012)을 도시한다. 도 9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열은, 제3 실 가닥(1014)이 후방 측부 상에 턱 스티치(1016)를 형성하며 그리고 이어서 제3 실 가닥(1014)은 전방 측부로 전달(1018)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3 실 가닥(1014)은 이어서, 전방 측부 상에 턱 스티치(1020)를 형성하며, 그리고 후방 측부로 전달(1022)된다. 이러한 패턴은, 매번 다른 전방 스티치 및 매번 다른 후방 스티치에서 턱 스티치를 형성하는 동안에 제3 실 가닥(1014)이 전방 측부와 후방 측부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전달됨에 따라, 반복된다.
도 11은, 도 9의 전방-스티치 경로(912A) 및 후방-스티치 경로(914A)에 대응하며 그리고 제1 실 가닥(1112), 제2 실 가닥(1114), 및 제3 실 가닥(1116)을 구비하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1110)의 다른 예시적 개략도를 제공한다. 제1 실 가닥(1112) 및 제2 실 가닥(1114)은, 상호잠금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되는 전방-스티치 경로(1118) 및 후방-스티치 경로(1120)를 구비하는, 도 6의 니트 구조(310)와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편직된다. 부가적으로, 제3 실 가닥(1116)은, 매번 다른 전방 스티치 및 매번 다른 후방 스티치에서 일련의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을 구성함에 의해, 전방-스티치 경로(1118) 및 후방-스티치 경로(1120)를 결속한다.
어떻게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경로들이 니트 직물 패널로 구성될 수 있는지를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다른 편직 다이어그램(1210)이 도 12에 도시된다. 편직 다이어그램(1210)은, 일부 관점에서, 도 7a의 편직 다이어그램(710)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편직 다이어그램(1210)은, 제1 실 가닥(1216)에 대한 스티치 유형들 및 위치를 보여주는 일련의 제1 실 열들(1212A 내지 1212E), 및 제2 실 가닥(1218)에 대한 스티치 유형들 및 위치를 보여주는 일련의 제2 실 열들(1214A 내지 1214E)을 도시한다. 부가적으로, 도 7a와 유사하게, 제1 실 가닥(1216) 및 제2 실 가닥(1218)은, 8개의 전방 스티치, 8개의 후방 스티치, 그리고 8개의 전방 및 후방 스티치 중의 단일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하는 반복되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를 갖는, 유사한 상호잠금된 경로들을 구성한다. 부가적으로, 편직 다이어그램(1210)은, 전방 베드로부터 후방 베드로 서로 엇갈리며 그리고 매번 다른 전방 스티치 및 매번 다른 후방 스티치에 구성되는, 각 경로 내의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을 규정하는, 일련의 제3 실 열들(1220A 내지 1220E)을 추가로 도시한다. 더불어, 편직 다이어그램(1210)은,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연속적인 경로들(예를 들어, 1220A 및 1220B)이 서로로부터 편향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생략되고 턱 스티치를 구비하지 않는 경로(1220A)에서의 바늘들은, 바로 연속되는 경로(1220B)에서 턱 스티치를 구비할 것이다.
도 12의 편직 다이어그램(1210)은, 상호잠금 턱 결합사를 구비하는 하나의 니트 구조의 예시이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되는 여러 니트 구조들은 각각, 또한,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편향된 경로들을 구비하도록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도 7a 내지 도 8d에 관해 설명된 부가적인 가능한 편직 조합들은 각각, 또한, 적어도 4개의 전방 스티치들 및 후방 스티치들 그리고 12개 이하의 전방 스티치 및 후방 스티치들을 갖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을 구비하는,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편향된 경로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의 양태에서, 상호잠금 턱 결합사를 갖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들은, 본 개시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스티치들의 더 작은 또는 더 큰 하위 세트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의 양태에서,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3 실 가닥은,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과 유사한 속성들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3 실 가닥은, 부하가 제거될 때의 비-신장 상태로 복귀하기 이전에 부하 하에서 200% 미만의 최대 신장을 제공하는 탄성의 양을 구비하는, 비-탄성 실 타입(또한 때때로 비-신장성 실로 지칭됨)을 구비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비-탄성 실 타입의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은, 100% 미만의 최대 신장을 제공한다. 비-탄성 실 타입들의 예들이,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서, 제3 실 가닥은, 나일론 2/78D/68(즉, 각 플라이(ply)가 68개의 필라멘트를 동반하는 78 데시텍스인 2개의 플라이)의 2개의 단부를 구비한다.
상호잠금 턱 결합사는, 본 개시에 설명되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들을 구비하는 니트 직물 구역에 다양한 속성들을 부가한다. 예를 들어, 상호잠금 턱 결합사는, 더 넓게 펴지거나 내던져지는 평평한 니트 직물 패널을 산출하기 위해, 전방-스티치 경로들 및 후방-스티치 경로들을 함께 유지한다. 더불어, 결합사는, 더욱 조밀하게 편직된 직물 패널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하나의 양태에서, 턱(tuck)의 스티치 길이는, 약 2.6 mm 내지 약 3.0 mm의 범위 내에 놓인다.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경로(들)에 의해 전달되는 속성들은, 턱 스티치들의 더 작은 간격뿐만 아니라 실 조성(예를 들어, 비-신장) 및 사이즈에 의해 달성된다. 상호 잠금 턱 스티치들의 경로는, 흔히 턱 스티치들을 더 멀리 이격시키고, 더 넓은 바늘-베드 간격을 활용하며, 그리고 더 큰 실을 통합하는, 스페이서 니트 구조(spacer knit structure)와 같은, 니트 구조에 부가될 수 있는 일부 다른 유형의 부가적인 니트 구조들과 상이하다.
도 4 내지 도 12에 관련되는 본 개시의 앞서 설명된 부분들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니트-직물 구역들(66, 68)을 구성할 수 있는, 여러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들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들은, 니트-직물 구역들(66, 6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호잠금 교차들의 밀도, 실 조성, 실 사이즈, 스티치 길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기초하게 되는, 정해진 양의 신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신장의 양은, 아래에 놓이는 조직(예를 들어, 가슴 조직)에 정해진 양의 지지 및 압축을 제공하는, 탄성 계수로 변환된다. 그에 따라, 니트-직물 구역들(66, 68)의 사이즈가,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사이즈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고, 다양한 방식 중의 일부는, 상체 의복, 가슴-커버링 부분들의 사이즈, 또는 이들의 조합에 관련될 수 있을 것이다. 탄성 계수가,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나의 양태에서, ASTM D 4964-96에 의해 구체화되는 테스트 방법론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가, 사이즈 및 치수를 갖는 상체 의복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체 의복은, 30 인치 이상이자 42 인치 이하의 사이즈 및 A 내지 E의 범위 내의 컵 사이즈를 갖는 흉부 밴드를 구비하는, 브라일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브라는, 스몰, 미듐, 라지, x-라지 등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 또한, 다양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하부 둘레 에지가 흉부 밴드(50)와 만나는 곳인,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의 하부 둘레 에지에서,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 중의 하나의 하부 둘레 에지는, 약 3" 내지 약 5" 인치의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가슴-커버링 부분들 각각의 하부 둘레 에지는, 약 90개의 스티치 내지 약 120개의 스티치의 범위 내의 스티치 개수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의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은 각각, 흉부 밴드(50)와 만나는 하부 둘레 에지를 따라 약 104개의 스티치를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중심 브릿지부(34)와 접경하는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 각각의 안쪽 둘레 에지는, 약 3.5" 인치 내지 약 5.5" 인치의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른 양태에서,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 각각의 안쪽 둘레 에지는, 약 150개 내지 약 240개의 범위 내의 경로 개수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체 의복의 일부 예시적인 사이즈 및 치수가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다른 양태가, 튜브형-니트 직물을 구비하며 그리고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 내에 배치되는, 니트-직물 구역들(66, 68)의 사이즈에 관련된다. 니트-직물 구역들(66, 68)과 가슴-커버링 부분(30, 32) 사이의 상대적인 사이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니트-직물 구역에 의해 제공되는 신장 속성이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에 전달되는 정도를 결정한다.
니트-직물 구역(66, 68)의 크기가, 다양한 메트릭스(metrics)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니트-직물 구역들(66, 68)은, 측정된 변들을 갖는 다각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나의 양태에서, 니트-직물 구역들(66, 68)은, 적어도 1인치 × 1인치의 정사각형이다. 그리고 다른 양태에서, 니트-직물 구역들(66, 68)은, 흉부 밴드와 접경하는 하부 둘레 에지가 약 3" 내지 약 5"의 범위 내에 놓이며 그리고 안쪽 구역과 접경하는 안쪽 에지가 약 3.5" 내지 약 5.5"의 범위 내에 놓이도록,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의 치수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갖는다. 이러한 치수들은,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대한 예시이며, 그리고 다른 양태에서, 니트 직물 구역의 치수들은, 열거된 범위보다 더 작을 수 있을 것이다. 니트 직물 구역의 이러한 치수들은 또한, 열거된 범위보다 더 클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의 양태에서, 니트-직물 구역들(66, 68)의 사이즈가, 경로 개수 및 스티치 개수에 기초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양태에서, 니트-직물 구역들(66, 68)은, 약 40개의 경로 내지 약 120개의 경로의 범위 내의 상호잠금된 경로들의 수량을 구비하고,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전방-스티치 경로 및 후방-스티치 경로를 구비한다. 니트-직물 구역이 가슴-커버링 부분(30, 32)의 안쪽 에지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때와 같은, 추가의 양태에서, 각 니트-직물 구역(66, 68)은, 약 150개의 경로 내지 약 240개의 경로의 범위 내의 경로들의 수량을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수량 내의 각각의 이러한 경로들은, 상호잠금된 경로를 따라 반복되는, 개별적인 경로-내 니트 시퀀스를 구비한다. 경로-내 니트 시퀀스(예를 들어, 4개 내지 12개의 스티치 사이)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그리고 경로-내 니트 시퀀스가 반복되는 횟수에 기초하여, 니트 직물 패널의 다른 치수가, 개별적인 경로 내의 스티치들의 총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경로-내 니트 시퀀스가, 4개 이상이자 12개 이하의 스티치들의 수량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시퀀스는, 5회 내지 10회 사이에서 반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예시적은 개수들을 사용하면, 니트 직물 구역의 폭이, 20개의 스티치들 내지 120개의 스티치들 사이에 놓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니트-직물 구역이 가슴-커버링 부분(30, 32)의 하부 둘레 에지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때와 같은, 추가의 양태에서, 각 니트-직물 구역(66, 68)은, 약 80개 내지 약 120개의 범위 내의 스티치들의 수량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부분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경로 내의 또는 니트 직물 패널 내의 상호잠금 교차들의 개수가, 신장 속성(예를 들어, 탄성 계수)을 변경하기 위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양태가, 제1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니트 구역 및 제1 탄성 계수보다 더 큰 제2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니트 구역을 구비하는, 상체 의복을 구비한다. 더불어, 제1 니트 구역은, 제1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로 구성되며, 그리고 제2 니트 구역은, 제2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로 구성된다. 제1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 및 제2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는 양자 모두,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와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되는,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를 구비한다. 그러나, 제2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 내의 상호잠금 교차들의 밀도는, 제1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 내의 상호잠금 교차들의 밀도보다 낮으며, 그리고 낮은 밀도는, 더 적은 개수의 상호잠금 교차들에 의해 제공되는 신장을 낮춤에 의해, 탄성 계수를 증가시킨다. 본 개시의 이러한 양태는, 상체 의복의 상이한 구역들이, 동일한 실 타입으로, 동일한 실 사이즈로, 동일한 스티치 구조로, 그리고 상호잠금 교차들의 밀도에 기초하여 상이한 구역적 속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허용한다.
지금부터 도 13을 참조하면, 상체 의복(1310)은, 가슴-커버링 부분 내의 제1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제1 니트 구역(1312), 날개부 내의 제2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제2 니트 구역(1314), 및 중심 브릿지부 내의 제3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제3 니트 구역(1316)을 구비한다.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들은, 개별적인 편직 다이어그램들(1313, 1315, 1317)에 의해 나타나며, 그리고 편직 다이어그램들(1313, 1315, 1317)은, 실행될 때, 개별적인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구성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된다.
편직 다이어그램(1313)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는, 제1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제1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를 구비하고, 제1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제1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는, 제1 실 가닥(1320) 및 제2 실 가닥(1322)으로 구성된다. 제1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의 각 전방-스티치 경로는, 복수의 제1 상호잠금된 경로(1324A, 1324B)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의 후방-스티치 경로와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된다. 복수의 제1 상호잠금된 경로의 각 제1 상호잠금된 경로(1324A, 1324B)는, 정해진 수량의 바늘들(예를 들어, 14개)을 갖는 제1 세트의 연속적인 바늘 위치(1326)를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각 제1 상호잠금된 경로(1324A, 1324B)는, 제1 세트의 연속적인 바늘 위치(1326) 중에 배치되는 제1 실 가닥(1320) 및 제2 실 가닥(1322)의 3개의 상호잠금 교차(1328A 내지 1328C)를 구비한다. 제1 세트의 연속적인 바늘 위치(1326)는, 복수의 제1 상호잠금된 경로(1324A, 1324B) 전체에 걸쳐 일관적이다.
도 13을 계속 참조하면, 편직 다이어그램(1315)에 의해 도시되는 제2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는, 제2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제2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를 구비하고, 제2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제2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는, 제3 실 가닥(1330) 및 제4 실 가닥(1332)으로 구성된다. 제2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의 각 전방-스티치 경로는, 복수의 제2 상호잠금된 경로(1334A, 1334B)를 형성하기 위해, 제2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의 후방-스티치 경로와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되며, 그리고 각 제2 상호잠금된 경로(1334A, 1334B)는, 편직 다이어그램(1315) 내에서 식별되는 바와 같은 동일한 수량의 바늘들(예를 들어, 14개)을 구비하는 제2 세트의 연속적인 바늘 위치(1336)를 구비한다. 제2 상호잠금된 경로들은, 제2 세트의 연속적인 바늘 위치(1336) 중에 배치되는 제3 실 가닥 및 제4 실 가닥의 3개 미만의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제1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와 비교하여, 제2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는, 상호잠금 교차들에 기여하는 더 적은 신장 및 더 높은 탄성 계수 양자 모두를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2개의 니트 구역(1312, 1314) 사이에서와 같이, 동일한 실들이 양자 모두의 구역 전체에 걸쳐 전달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이한 신장 속성들이, 2개의 구역 사이에 상호잠금 교차들의 상이한 밀도를 구성함에 의해 부과될 수 있다.
제3 편직 다이어그램(1317)은 제3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와 상관되며, 그리고 전방-스티치 경로들을 후방-스티치 경로들에 연결하는 상호잠금 교차들은, 편직 다이어그램(1317) 내에 도시되는 바늘 위치들의 개수보다 더 멀게 이격된다. 예를 들어, 제3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 내에서 전방-스티치 경로들과 후방-스티치 경로들을 연결하는 상호잠금 교차들은, 제3 편직 다이어그램(1317)에 의해 도시되는 부분의 외측에 놓이는, 중심 브릿지부로부터 가슴-커버링 부분으로의 전이부에 더 가깝게, 또는 상기 전이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전방-스티치 경로들 및 후방-스티치 경로들은, 상호잠금된 경로들을 형성하지만, 바늘 위치들(1338)의 수량 이내에서, 제3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는, 어떠한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하지 않는다. 제1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 및 제2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와 비교하면, 제3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는, 상호잠금 교차들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양의 신장 및 가장 높은 탄성 계수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의 편직 다이어그램들은, 단지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의 예시이다. 다른 양태에서, 각각의 니트 구역 내의 상호잠금 교차들의 밀도들은, 더 작거나 더 클 수 있지만, 니트 구역들은 여전히, 신장 속성에 관한 구역적 차이를 야기하도록 상이한 밀도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다이어그램들에 도시되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은 대안적으로,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되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 중의 임의의 것을, 도 9 내지 12에 관련하여 설명된 편향된 상호잠금 턱 결합사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고, 또는, 그에 관련하여 설명된 조직 원리들 중의 임의의 것(예를 들어, 다양한 사이즈의 스티치 하위 세트들)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경로-내 니트 시퀀스 내부의 상호잠금 교차가, 전방 스티치들 및 후방 스티치들을, 동등한 개수의 스티치들을 갖는 또는 동등하지 않은 개수의 스티치들을 갖는, 하위 세트들로 분할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하나의 경로 내의 상호잠금 교차들은, 인접한 경로들 내의 상호잠금 교차들과 (바늘 위치에 의해) 정렬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경로 내의 상호잠금 교차들은, 인접한 경로들 내의 상호잠금 교차들과 (바늘 위치에 의해) 편향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편향된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경로들은 또한, 제1, 제2, 및 제3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구조들은 여전히, 상호잠금 교차들의 개별적인 밀도에 관한 차이들에 기초하게 되는, 탄성 계수에 관한 구역적 차이들을 구비할 것이다.
더불어, 18개의 바늘 위치를 갖는 2개의 상호잠금된 경로를 구비하는, 도 13의 편직 다이어그램들의 사이즈는,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다른 양태에서, 각각의 니트 구역은, 니트 구역들이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에 기초하여 변화하는 신장 속성을 갖는 더 큰 니트 직물 부분들을 제공하도록, 더 클(즉, 2개의 경로보다 더 많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각 니트 구역은, 적어도 40개의 상호잠금된 경로 내지 120개 미만의 상호잠금된 경로의 범위 내의, 니트 경로들의 개수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른 양태에서, 니트 구역이, 120개 초과의 상호잠금된 경로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체 의복의 다른 구역들이 또한, 상이한 탄성 계수를 야기하는 상이한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구역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겨드랑이 구역들, 상측-흉부 구역, 에워싸는 구역들, 및 스트랩들 또한,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니트 구역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서, 가슴-커버링 부분들, 중심 브릿지부, 에워싸는 구역들, 상측-흉부 구역, 겨드랑이 부분들, 및 날개부들을 포함하는, 상체 의복의 다양한 부분들이, 각각, 상호잠금 턱 결합사를 구비하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로 구성되며, 그리고 각 부분 내에서, 신장 속성은, 상호잠금 교차들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양태가, 하나 이상의 에워싸는 구역(34, 35A, 35B, 35C, 35D, 35E, 35F)을 제공하기 위해,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 중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에, 낮은 밀도의 상호잠금 교차를 갖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직물 구역들을 배치하는 것에 관련된다. 말하자면, 에워싸는 구역들은, 더 낮은 밀도의 상호잠금 교차들로부터의 더 낮은 정도의 신장을 나타내는 에워싸는 구역들에 기초하여,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에 비해, 더 높은 탄성 계수를 구비한다.
추가의 예시로서, 도 14는, 가슴-커버링 부분 내에 배치되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1412)를 도시하는 확대도(1410)를 포함한다.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1414)를 구비한다.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또한,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1416)를 구비한다.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는, 제1 실 가닥(1418) 및 제2 실 가닥(1420)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의 각 전방-스티치 경로는,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예를 들어, 1422)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의 후방-스티치 경로와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된다.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의 각 상호잠금된 경로(예를 들어, 1422)는,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호잠금된 경로(1422)는, 4개의 상호잠금 교차(1424, 1426, 1428, 1430)(도면에서의 과밀화를 방지하기 위해 파선들로 도시됨)를 구비한다. 각 상호잠금 교차는,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와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 사이에서 위치들을 변경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을 구비한다. 각 상호잠금된 경로에서,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는, 도면 부호 1432, 1434, 1436, 1438, 1440, 1442와 같이,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를 복수의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그리고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를 복수의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분할한다.
도 6a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예를 들어, 1432),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예를 들어, 1438), 및 한 쌍의 인접한 상호잠금 교차(예를 들어, 1424 및 1426)가, 편직 튜브형 구조가 형성되도록, 전방-스티치 경로와 후방-스티치 경로 사이의 공간(예를 들어, 144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한다. 도 15는, 도 14의 기준선 15A-15A 또는 기준선 15B-15B에서 취해진 단면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며, 그리고 예시의 목적으로, 도 15의 단면은, 도 14의 가슴-커버링 부분의 전방 표면이 다양한 곡선들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직선형으로 도시되었다. 부가적으로, 예시의 목적으로, 도 15의 니트 구조는, 상호잠금 턱 결합사를 명시적으로 묘사하지 않는 가운데 도시되지만, 다른 양태에서, 도 15의 니트 구조는, 상호잠금 턱 결합사를 또한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이러한 튜브형 본성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는, 예시적인 개략도를 제공한다. 말하자면,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복수의 나란하게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하며, 그리고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가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결될 때, 도 15의 더욱 신장된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1512, 1514, 1516, 1518, 1520)이, 형성되며 그리고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가로질러 나란하게 배열된다. 모든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이 전방 스티치들 및 후방 스티치들의 개별적인 하위 세트로 구성되는 가운데, 그러한 하위 세트들 내의 스티치들의 수량은, 편직된 튜브형 구조의 폭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편직된 튜브형 구조(1512)를 이루는 전방 스티치들의 하위 세트는, 편직된 튜브형 구조(1512)의 더 넓은 묘사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편직된 튜브형 구조(1514)를 이루는 전방 스티치들의 하위 세트보다 더 많은 스티치들을 구비한다.
도 15에서,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제1 니트 구역(1522), 제2 니트 구역(1524), 제3 니트 구역(1526), 제4 니트 구역(1528), 및 제5 니트 구역(1530)으로 분할되며, 그리고 각 니트 구역은,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의 개별적인 하위 세트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르면, 각 니트 구역 내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의 폭은, 니트 구역의 신장 속성에 영향을 미친다. 더불어,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의 폭은, 상호잠금 교차들의 간격에 의해 그리고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 내의 생성되는 스티치들의 수량에 의해 결정된다.
추가의 양태에서, 제1 니트 구역(1522)은, 에워싸는 구역(들)(35A 및/또는 35B)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제2 니트 구역(1524)은, 가슴-커버링 부분(32)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제3 니트 구역(1526)은 중심 브릿지부(34)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제4 니트 구역(1528)은, 다른 가슴-커버링 부분(3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며, 그리고 제5 니트 구역(1530)은 다른 에워싸는 구역(들)(35E 및/또는 35F)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그에 따라, 제2 니트 구역 및 제4 니트 구역은, 제1 니트 구역, 제3 니트 구역, 및 제5 니트 구역보다 더 작은, 전방 및 후방 스티치들의 하위 세트들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서, 제2 니트 구역 및 제4 니트 구역 내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각각 적어도 2개의 그리고 7개 미만의 전방 스티치 및 적어도 2개의 그리고 7개 미만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2개 이상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한다. 제1 니트 구역, 제3 니트 구역, 및 제5 니트 구역은 각각, 적어도 7개의 전방 스티치 및 적어도 7개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단일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한다.
제2 니트 구역 및 제4 니트 구역 내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의 개수는, 니트 구역의 위치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으며, 그리고 반복 패턴이 다양한 개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할 수 있는 제2 니트 구역 및 제4 니트 구역은, 예시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파단선들로 묘사된다. 예를 들어, 니트 구역이 단면 기준선 15A-15A와 정렬되는 경우, 이때 제2 니트 구역 및 제4 니트 구역 내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의 개수는, 니트 구역이 단면 기준선 15B-15B와 정렬되는 경우보다, 적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4의 줄무늬는, 기준선 15A-15A에서, 제2 니트 구역 및 제4 니트 구역이 각각 대략 16 내지 18개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그리고 기준선 15B-15B에서, 제2 니트 구역 및 제4 니트 구역이 각각 대략 35 또는 36개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불어, 제3 니트 구역 내의 전방 및 후방 스티치들의 개수는, 2개의 가슴-커버링 부분(30, 32)에 걸쳐 연장될 더 넓은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기준선 15A-15A를 따라 증가할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바늘 위치들과 정렬되며 그리고 경로들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을 도시한다. 그리고 다른 양태에서, 상호잠금 교차들은, 대각선, 지그재그, 또는 다른 형상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가 형성되도록, 경로로부터 경로로 편향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에워싸는 밴드들(35A 내지 35F)은, 가슴-커버링 부분들(30, 32) 주변에 다각형 둘레를 형성하기 위해 경로들의 방향에 대해 각도를 갖도록 연장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에서, 각도를 갖는 교차점들(37A, 37B, 37C, 37D)이, 상체 의복이 착용될 때, 가슴 조직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더욱 만곡된 둘레의 에워싸는 구역과 비교하여, 각도를 갖는 교차점들(37A, 37B, 37C, 37D)은, 가슴 조직의 회전 또는 원형 이동을 방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도 14 및 도 15에서 제안되는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은, 단지 예시이며, 그리고 다른 양태에서,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경로-내 니트 시퀀스들 중의 임의의 것을, 뿐만 아니라 도 9 내지 도 12에 관련하여 설명된 편향된 상호잠금 턱 결합사들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경로-내 니트 시퀀스 내부의 상호잠금 교차가, 전방 스티치들 및 후방 스티치들을, 동등한 개수의 스티치들을 갖는 또는 동등하지 않은 개수의 스티치들을 갖는, 하위 세트들로 분할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편향된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경로들은 또한, 신장된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을 형성하는 전방 경로 및 후방 경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구조들은 여전히, 개별적인 튜브 폭들에 관한 차이들에 기초하게 되는, 신장 속성에 관한 구역적 차이들을 구비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6은, 도 15에 도시되는 것과 유사한 파단선들 및 구역들(1622, 1624, 1626, 1628, 1630)을 구비하는, 상호잠금된 경로(1610)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6은, 상호잠금된 경로(1610)와 함께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3 실 가닥(1612)을 또한 도시한다. 본 개시의 다른 부분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접한 경로들은 또한, 제3 실 가닥(1612)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로부터 편향되는,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경로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에 설명된 양태들 중의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상체 의복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V자-베드 편직 기계(V-bed knitting machine)와 같은, 전방 바늘 베드 및 후방 바늘 베드를 구비하는, 평면-베드 편직 기계(flat-bed knitting machine)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베드 게이지들을 구비하는 편직 기계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나의 양태에서, 18 게이지 베드(gauge bed)가, 상체 의복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더불어, 14 게이지, 16 게이지, 18 게이지, 등과 같은, 다양한 사이즈의 바늘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나의 양태에서, 16 게이지 바늘들이, 18 게이지 바늘 베드 상에서 사용된다.
전체 상체 의복이, 좌측부, 우측부,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생성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서 이후에 함께 커플링되는, 단일의 일체형 조각으로서 편직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체 의복의 특정 부분들은, 서로 별개로 편직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후에 상체 의복을 형성하기 위해 커플링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스트랩들을 갖는 전방 부분은, 후방 부분과 별개로 구성되며, 그리고 2개의 조각은 이어서, 상체 의복을 형성하기 위해 커플링된다. 예를 들어, 전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모두 비-탄성 실들로 구성될 수 있는 반면, 탄성 실들이, 후방 부분으로 편직될 수 있을 것이다. 전방 부분은 이어서, 후방 부분에 커플링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조 양태들은, 단지 예시이며, 그리고 다양한 다른 기법들이 또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다양한 양태들뿐만 아니라 대안적인 양태들이 설명되었지만, 도시된, 또는 대안적인 양태들 중의 하나 이상에 의존하는, 일부 부가적인 양태들이,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양태에서, 남성 또는 여성용 상체 의복(예를 들어, 브라, 캐미솔, 탱크, 러닝 셔츠, 베이스-층 셔츠, 레이싱 유니타드, 등)이,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로 구성되는 흉부-커버링 구역을 구비한다.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는, 흉부-커버링 구역이 탄성 실 또는 비-탄성 실로 구성되는지에 무관하게 흉부-커버링 구역(예를 들어, 가슴-커버링 구역)이 신장되고 회복되는 것을 허용하는, 신장 속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여하는 상호잠금 교차들을 구비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상호잠금 교차들의 밀도는, 신장 속성을 조정하기 위해 그리고 상이한 탄성 계수를 갖는 구역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체 의복의 상이한 구역들에서 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체 의복이, 상이한 신장 속성을 갖는 상이한 구역들 내에 동일한 실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이한 구역들은, 주어진 면적 내에 상이한 수량의 상호잠금 교차들을 구비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가슴-커버링 부분들은, 상체 의복의 전방 부분을 가로지르는, 에워싸는 구역들, 영역들, 밴드들, 등과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슴-커버링 부분들은,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부가적인 양태가, 가슴-커버링 부분 및 가슴-커버링 부분 내에 배치되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구비하는, 상체 의복에 관련된다.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를 구비한다.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의 각 전방-스티치 경로는,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의 후방-스티치 경로와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된다.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의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각각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와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 사이에서 위치들을 변경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을 구비하는 것인,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한다. 각 상호잠금된 경로에서,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는,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 및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를, 복수의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분할한다.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각각 한 쌍의 인접한 상호잠금 교차,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구성되는 것인, 복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한다.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가로질러 나란하게 배열된다. 더불어,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제1 니트 구역, 제2 니트 구역 및, 제1 니트 구역과 제2 니트 구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니트 구역으로 분할된다.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제1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제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중간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을 구비한다.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적어도 2개 내지 7개 미만의 전방 스티치 및 적어도 2개 내지 7개 미만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2개 이상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한다.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적어도 7개의 전방 스티치 및 적어도 7개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며, 그리고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을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로부터 분리하는, 단일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가, 가슴-커버링 부분 및 가슴-커버링 부분 내에 배치되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구비하는, 상체 의복을 포함한다.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를 구비한다.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의 각 전방-스티치 경로는,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의 후방-스티치 경로와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된다.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의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각각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와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 사이에서 위치들을 변경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을 구비하는 것인,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한다. 각 상호잠금된 경로에서,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는,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 및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를, 복수의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분할한다.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각각 한 쌍의 인접한 상호잠금 교차,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구성되는 것인, 복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한다.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가로질러 나란하게 배열된다. 또한,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나란한 배치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제1 니트 구역, 제2 니트 구역, 제3 니트 구역, 제4 니트 구역, 및 제5 니트 구역으로 분할된다.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제1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제2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중간 구역에 대응하는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제4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4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제5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5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을 구비한다.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제4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적어도 2개 내지 7개 미만의 전방 스티치 및 적어도 2개 내지 7개 미만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2개 이상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제5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각각, 적어도 7개의 전방 스티치 및 적어도 7개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단일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한다.
추가의 양태가, 가슴-커버링 부분 및 가슴-커버링 부분 내에 배치되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구비하는, 상체 의복에 관련된다.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를 구비한다.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의 각 전방-스티치 경로는,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의 후방-스티치 경로와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된다.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의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각각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와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 사이에서 위치들을 변경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을 구비하는 것인,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한다. 각 상호잠금된 경로에서,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는,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 및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를, 복수의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분할한다.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각각 한 쌍의 인접한 상호잠금 교차,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구성되는 것인, 복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한다.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가로질러 나란하게 배열된다. 부가적으로,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매번 다른 전방 스티치와 그리고 매번 다른 후방 스티치와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됨에 의해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를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에 결속하는,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경로를 구비한다. 더불어,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제1 니트 구역, 제2 니트 구역 및, 제1 니트 구역과 제2 니트 구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니트 구역으로 분할된다.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제1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제2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중간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을 구비한다.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적어도 2개 내지 7개 미만의 전방 스티치 및 적어도 2개 내지 7개 미만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2개 이상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한다.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적어도 7개의 전방 스티치 및 적어도 7개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며, 그리고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을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로부터 분리하는, 단일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로부터, 본 발명의 대상이, 명백한 그리고 구조에 내재된 다른 이점들과 함께 기술되는, 상기한 목표들 및 목적들을 달성하기에 어울리는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특정 특징들 및 하위 조합들이 유용하며 그리고 다른 특징들 및 하위 조합들을 참조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는, 청구항들에 의해 예상되며 그리고 청구항들의 범위 이내에 놓인다. 본 발명의 대상의 많은 가능한 변형예들 및 대안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 기술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되는 모든 대상이, 예시적으로 그리고 제한하는 의미가 아닌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0)

  1. 가슴-커버링 부분을 구비하는 상체 의복으로서:
    가슴-커버링 부분 내에 배치되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으로서,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를 구비하는 것인,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의 각 전방-스티치 경로는,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의 후방-스티치 경로와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되며;
    상기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의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각각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와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 사이에서 위치들을 변경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을 구비하는 것인,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하고;
    각 상호잠금된 경로에서, 상기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는,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 및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를, 복수의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분할하며,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각각 한 쌍의 인접한 상호잠금 교차,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구성되는 것인, 복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상기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가로질러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제1 니트 구역, 제2 니트 구역 및, 제1 니트 구역과 제2 니트 구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니트 구역으로 분할되고,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상기 제1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상기 제2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상기 중간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상기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각각 2개 이상 7개 미만의 전방 스티치 및 2개 이상 7개 미만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2개 이상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적어도 7개의 전방 스티치 및 적어도 7개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을 상기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로부터 분리하는, 하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 가닥 및 상기 제2 실 가닥은 양자 모두, 비-신장 상태로 복귀하기 이전에 200% 미만의 최대 신장을 제공하는 탄성의 양을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비-신장 상태로 복귀하기 이전에 200% 초과의 최대 신장을 제공하는 탄성의 양을 구비하는 어떤 실 가닥도 구비하지 않는 것인, 상체 의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은 각각, 동일한 실 조성 및 동일한 실 사이즈를 갖는 동일한 실 타입을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5. 제 1항에 있어서,
    각 전방 스티치 및 각 후방 스티치는, 3.00 mm 내지 3.30 mm의 범위 내의 스티치 길이를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의 상기 하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는, 상체 의복의 중심 브릿지부인 것인, 상체 의복.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의 상기 하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는, 20 내지 40개의 범위 내의 개수의 전방 스티치 및 20 내지 40개의 범위 내의 개수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의 상기 하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는, 70 내지 90개의 범위 내의 개수의 전방 스티치 및 70 내지 90개의 범위 내의 개수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9. 흉부-커버링 부분을 구비하는 상체 의복으로서:
    가슴-커버링 부분 내에 배치되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으로서,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를 구비하는 것인,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의 각 전방-스티치 경로는,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의 후방-스티치 경로와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되며;
    상기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의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각각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와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 사이에서 위치들을 변경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을 구비하는 것인,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하고;
    각 상호잠금된 경로에서, 상기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는,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 및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를, 복수의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분할하며,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각각 한 쌍의 인접한 상호잠금 교차,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구성되는 것인, 복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상기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가로질러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나란한 배치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제1 니트 구역, 제2 니트 구역, 제3 니트 구역, 제4 니트 구역, 및 제5 니트 구역으로 분할되고,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상기 제1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상기 제2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상기 제3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상기 제4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4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상기 제5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5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상기 제4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각각 2개 이상 7개 미만의 전방 스티치 및 2개 이상 7개 미만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2개 이상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상기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상기 제5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각각, 적어도 7개의 전방 스티치 및 적어도 7개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하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상기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상기 제4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경로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상기 제5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상기 경로 방향에 대해 각도를 갖는 것인, 상체 의복.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위 세트의 상기 하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는, 20 내지 40개의 범위 내의 개수의 전방 스티치 및 20 내지 40개의 범위 내의 개수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위 세트 및 상기 제5 하위 세트의 상기 하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15 내지 25개의 범위 내의 개수의 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위 세트 및 상기 제4 하위 세트는 각각, 상기 가슴-커버링 부분의 개별적인 가슴-커버링 부분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1 하위 세트 및 상기 제5 하위 세트는, 상기 개별적인 가슴-커버링 부분들의 적어도 일부의 주변에 둘레를 형성하는, 에워싸는 구역을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위 세트는, 상체 의복의 중심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상체 의복.
  15. 가슴-커버링 부분을 구비하는 상체 의복으로서:
    가슴-커버링 부분 내에 배치되는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으로서,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를 구비하는 것인,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전방-스티치 경로의 각 전방-스티치 경로는,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후방-스티치 경로의 후방-스티치 경로와 간헐적으로 상호잠금되며;
    상기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의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각각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와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 사이에서 위치들을 변경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는 제1 실 가닥 및 제2 실 가닥을 구비하는 것인,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를 구비하고;
    각 상호잠금된 경로에서, 상기 복수의 상호잠금 교차는,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 및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를, 복수의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복수의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분할하며,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각각 한 쌍의 인접한 상호잠금 교차, 전방-스티치 하위 세트, 및 후방-스티치 하위 세트로 구성되는 것인, 복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상기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을 가로질러 나란하게 배열되며,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매번 다른 전방 스티치와 그리고 매번 다른 후방 스티치와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됨에 의해 개별적인 전방-스티치 경로를 개별적인 후방-스티치 경로에 결속하는, 상호잠금 턱(tuck) 스티치들의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제1 니트 구역, 제2 니트 구역 및, 제1 니트 구역과 제2 니트 구역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니트 구역으로 분할되고, 각 상호잠금된 경로는, 상기 제1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상기 제2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상기 중간 니트 구역에 대응하는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 및 상기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각각 2개 이상 7개 미만의 전방 스티치 및 2개 이상 7개 미만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는, 2개 이상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3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은, 적어도 7개의 전방 스티치 및 적어도 7개의 후방 스티치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1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을 상기 제2 하위 세트의 편직된 튜브형 구조들로부터 분리하는, 단일 편직된 튜브형 구조를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호잠금된 경로는,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상호잠금된 경로들을 구비하며, 그리고 연속적으로 상호 고리모양으로 연장되는 각 경로 내에서, 상기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경로가 인접한 경로들로부터 편향되는 것인, 상체 의복.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 가닥, 제2 실 가닥 및 제3 실 가닥은 모두, 비-신장 상태로 복귀하기 이전에 200% 미만의 최대 신장을 제공하는 탄성의 양을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역은, 비-신장 상태로 복귀하기 이전에 200% 초과의 최대 신장을 제공하는 탄성의 양을 구비하는 어떤 실 가닥도 구비하지 않는 것인, 상체 의복.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 가닥, 제2 실 가닥, 및 제3 실 가닥은 각각, 동일한 실 조성 및 동일한 실 사이즈를 갖는 동일한 실 타입을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20. 제 15항에 있어서,
    각 전방 스티치 및 각 후방 스티치는, 3.00 mm 내지 3.30 mm의 범위 내의 스티치 길이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상호잠금 턱 스티치들의 경로 내의 각 턱 스티치는, 2.6 mm 내지 3.0 mm의 범위 내의 스티치 길이를 구비하는 것인, 상체 의복.
KR1020197031068A 2017-05-02 2017-05-03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상체 의복 KR102297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84,938 2017-05-02
US15/584,938 US10912340B2 (en) 2017-05-02 2017-05-02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PCT/US2017/030861 WO2018203894A1 (en) 2017-05-02 2017-05-03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912A KR20190126912A (ko) 2019-11-12
KR102297819B1 true KR102297819B1 (ko) 2021-09-07

Family

ID=5870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068A KR102297819B1 (ko) 2017-05-02 2017-05-03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상체 의복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12340B2 (ko)
EP (2) EP3619347B1 (ko)
JP (3) JP7262397B2 (ko)
KR (1) KR102297819B1 (ko)
CN (1) CN110582598B (ko)
CA (3) CA3054919C (ko)
TW (4) TWI763833B (ko)
WO (1) WO20182038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8590B2 (en) * 2015-11-03 2019-08-06 Nike, Inc. Flat-knit support garment for upper torso
US10415164B2 (en) 2017-05-02 2019-09-17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hree-dimensional knit structures
US10145042B2 (en) 2017-05-02 2018-12-04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US11142854B2 (en) 2018-10-03 2021-10-12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hree-dimensional knit structures
US11819064B2 (en) * 2018-11-30 2023-11-21 Nike, Inc. Upper torso garment with varied tuck binder knit structure
WO2021035563A1 (en) * 2019-08-28 2021-03-04 Nike Innovate C.V. Double-knit textile with texturized inlay yarns
WO2021067898A1 (en) * 2019-10-04 2021-04-08 Mindd Llc Upper body shaper garment
USD957091S1 (en) * 2020-02-07 2022-07-12 Nike, Inc. Bra
US20220192280A1 (en) * 2020-11-30 2022-06-23 Nike, Inc. Knit Bra
GB2624697A (en) * 2022-11-28 2024-05-29 Prevayl Innovations Ltd Garm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9812A (en) 1959-08-18 Knitted fabrics or articles
US1948670A (en) 1933-03-28 1934-02-27 Vanity Fair Silk Mills Knitted shaped bust section
US1984326A (en) 1934-02-24 1934-12-11 Neidich Cel Lus Tra Corp Lockstitch knit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121489A (en) 1937-05-13 1938-06-21 Vassar Company Knit breast pocket for garment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2397247A (en) 1944-02-21 1946-03-26 Vassar Company Breast pocket for brassieres
US2707381A (en) 1950-01-13 1955-05-03 Lombardi Vincent Knitted fabric and knitted garments
US2946211A (en) 1957-10-08 1960-07-26 Lawson Products Inc Knitted fabrics
US3092987A (en) 1959-02-06 1963-06-11 Levine Alex Element of appar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H373849A (fr) 1961-08-18 1963-12-15 Dubied & Cie Sa E Procédé de diminution de pièces d'articles tricotées en mailles unies, côtes ou autres genres de mailles, et machine à tricoter rectilign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édé
US3241340A (en) 1961-12-05 1966-03-22 Kendall & Co Circular knit garment with added shaping material
GB1106145A (en) 1964-04-18 1968-03-13 Cotton Ltd W Production of knitted articles having pouches on straight bar knitting machines
US3537279A (en) 1967-06-28 1970-11-03 Pilot Res Corp Knit seamless brassiere and method of forming same
GB1231589A (ko) 1967-09-27 1971-05-12
US3500665A (en) 1968-02-16 1970-03-17 Alamance Ind Inc Full-fashioned brassiere and blank
GB1271542A (en) 1968-07-22 1972-04-19 Courtaulds Ltd Knitting methods
US3668898A (en) 1968-09-23 1972-06-13 Courtaulds Ltd Knitting methods
US3561234A (en) 1969-09-19 1971-02-09 Singer Co Fine gauge double knit fabric
BE757588A (fr) 1969-10-31 1971-03-16 Courtaulds Ltd Procede de tricotage sur metier d'une ebauche destinee a la confection d'un vetement tricote
US3677252A (en) 1970-07-17 1972-07-18 Maidenform Inc Unitary brassiere and slip combination
DE2036542A1 (en) 1970-07-23 1972-02-03 Triumph-Uni versa GmbH, Bern One-piece brassiere - stiched on a flat or circular knitting machine
US3796068A (en) 1971-04-08 1974-03-12 Courtaulds Ltd Knitting method
US3789098A (en) 1971-06-11 1974-01-29 Int Playtex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knitted brassiere blanks and brassieres
DE2313651C3 (de) 1973-03-19 1978-03-23 Burlington Ag, Basel (Schweiz) Verfahren zur Einarbeitung rauhfähiger Fäden in eine Rechts-Rechtsstrickware
IT1039834B (it) 1974-07-29 1979-12-10 Universale Maschinenfabrik Dr Macchina retilinea di tessitura a maglia con quattro lettidi aghicontrapposti l und all altro
US3985003A (en) 1975-05-01 1976-10-12 J. P. Stevens & Co., Inc. Preseamed and preformed knitted garm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DE2614283A1 (de) 1976-04-02 1977-10-06 Stoll & Co H Verfahren zum maschinellen stricken eines einstueckigen bekleidungsstueckrohlings
JPS5369586U (ko) 1976-10-18 1978-06-10
US4311150A (en) 1978-12-01 1982-01-19 Jogbra Incorporated Athletic brassiere
JPS55122054A (en) 1979-03-12 1980-09-19 Mizuno Kk Both sides knitted fabric
US4419997A (en) 1981-07-06 1983-12-13 International Playtex, Inc. Method of fabricating two layer cups and brassiere
GB8620491D0 (en) 1986-08-22 1986-10-01 Moore R V A Knitting process
DE4027606A1 (de) 1990-08-31 1992-03-05 Stoll & Co 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gerechten flachgestrickes fuer ein mit aermeln versehenes kleidungsstueck
US5120264A (en) 1991-02-06 1992-06-09 Engel Pearl E Van Women's bra and panty underwear
JP3462226B2 (ja) 1992-10-09 2003-11-05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両面丸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JPH07138850A (ja) 1993-11-12 1995-05-30 Du Pont Toray Co Ltd 伸縮性二重丸編地の製造方法および伸縮性二重丸編地
US5956765A (en) 1994-10-13 1999-09-28 Chin; May Ying Wholly and partially removable garment
US5682771A (en) 1996-03-12 1997-11-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Knitted cover
JP3010480B2 (ja) 1996-08-01 2000-02-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にダブルジャージー組織からなる編込みジャカードを編成する方法
US5787503A (en) 1996-09-04 1998-08-04 Murphy, Iii; Edward J. Multi-layer sweater
JP3126315B2 (ja) 1996-10-29 2001-01-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2×1ゴム編み組織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
DE19704646B4 (de) 1997-02-07 2005-02-03 H. Stoll Gmbh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Ärmeln versehenen Kleidungsstückes auf einer Zweibett-Flachstrickmaschine
US5946944A (en) 1997-05-01 1999-09-07 Alba-Waldensian, Inc. Seamless circular knit brassie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890381A (en) 1997-10-28 1999-04-06 Lear Corporation Knitted upholstery fabric with tubular fastening portions
US6089052A (en) 1998-08-18 2000-07-18 Riegger; Stephen Weft binding layered knitting
ITCO990009A1 (it) 1999-03-03 2000-09-03 Franco Sciacca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articoli tubolari di maglieria forniti di una o piu' aperture e o bretelle complete e prodott
US6178784B1 (en) 1999-05-21 2001-01-30 Alba-Waldensian, Inc. Knit criss-cross brassiere, blank and method for making same
ITCO990018A1 (it) 1999-05-24 2000-11-24 Franco Sciacca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produrre automaticamente articoli tubolari di maglieria forniti di almeno una bretella spallina passante e o si
US6443805B1 (en) 2000-02-09 2002-09-03 Kathleen Kirkwood Bra shelf and application thereof
FR2809932B1 (fr) 2000-06-09 2002-09-27 Playtex Apparel Inc Article de lingerie realise a partir d'un tricotage cylindrique comportant des caracteristiques de maintien
US6287168B1 (en) 2000-06-14 2001-09-11 Alba-Waldensian, Inc. Substantially seamless brassiere, and blank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526783B2 (en) 2001-02-09 2003-03-04 Pat Sheu Double-faced reversible color effect weft knit fabric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6685534B2 (en) 2001-10-31 2004-02-03 Sara Lee Corporation Adjustable circular knit bra with stabilizing area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240522B2 (en) 2001-10-31 2007-07-10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Elastic knitting fabric having multilayer structure
GB0126554D0 (en) 2001-11-06 2002-01-02 Univ Manchester Pressure garment
US6645040B2 (en) 2001-11-09 2003-11-11 Tefron Ltd. Two-ply support gar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790122B2 (en) 2002-03-07 2004-09-14 Sara Lee Corporation Circular knit bra having different areas of stretchabilit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899591B2 (en) 2002-03-07 2005-05-31 Sara Lee Corporation Seamless circular knit garment with differential tightness areas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379759A1 (en) 2002-03-28 2003-09-28 Sara Lee Corporation Hybrid brassiere
EP1521537A4 (en) 2002-05-22 2007-01-03 Lee Sara Corp GLOVES AND METHOD FOR PRODUCING CIRCLAR GROOVE SUPPORTS WITHOUT MESH SEAM AND DOUBLE LAYER FROM A SINGLE CUTTING PIECE
JP4606689B2 (ja) 2002-06-14 2011-01-05 株式会社Mic 装身用成形体
US7051557B2 (en) 2002-07-18 2006-05-30 Sara Lee Corporation Hidden band brassiere, blank and methods of making same
GB0220181D0 (en) 2002-08-30 2002-10-09 Monarch Knitting Machinery Uk Weft knitted spacer fabrics
US7001240B1 (en) 2002-10-12 2006-02-21 Huffman-Jimenez Teri A Brassieres
US7611999B2 (en) 2002-11-16 2009-11-03 Mcmurray Brian Decorative faced multi-layer weft knit spacer fabric, method,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20040168479A1 (en) 2003-02-28 2004-09-02 Mcmurray Brian Highly resilient multifilament yarn and products made therefrom
FR2852026B1 (fr) 2003-03-07 2005-09-23 Article textile tricote de lingerie, notamment soutien-gorge a regions d'elasticite differente.
JP4002870B2 (ja) 2003-08-08 2007-11-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ストライプ柄を具え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ストライプ柄を具える筒状編地
JP2007509253A (ja) 2003-10-23 2007-04-12 サラ リ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ムレスニット衣服
US7442110B2 (en) * 2004-05-17 2008-10-28 Saucony Inc. Brassiere, brassiere components, and materials for use thereof
KR101223919B1 (ko) 2005-03-25 2013-01-1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
US7614256B2 (en) 2005-04-08 2009-11-10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Back supporting brassiere and undergarments with reinforced zon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128457B2 (en) 2005-04-22 2012-03-06 Nike, Inc. Athletic bra
JP4837324B2 (ja) 2005-07-22 2011-12-14 恩翔株式会社 身体用積層シート
CN101313096B (zh) 2005-11-17 2010-12-22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具有边纹花纹的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
WO2007074833A1 (ja) 2005-12-26 2007-07-05 Mitsubishi Rayon Co., Ltd. 部分的に異なるストレッチ性を有する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CA2578393A1 (en) 2006-02-13 2007-08-13 Michael Starbuck Variable power zone spacer fabric
JP2008169533A (ja) 2006-12-11 2008-07-24 Nippon Mayer Ltd ジャカード経編地の製編方法と婦人用下着
EP1975294B2 (en) 2007-03-27 2021-03-10 Lava BVBA Method for knitting a double jersey knit fabric on a double jacquard circular knitting machine
NL1036306A1 (nl) 2007-12-20 2009-06-23 Asml Netherlands Bv Lithographic apparatus and in-line cleaning apparatus.
US8226452B2 (en) 2008-04-24 2012-07-24 Destination Maternity Corporation Pull up nursing undergarment
US8469769B2 (en) 2008-04-24 2013-06-25 Destination Maternity Corporation Nursing garment and method of making
US20100184355A1 (en) 2009-01-21 2010-07-22 Amanda Kennedy Circularly knit anti-slip seamless torso trim bra-slip
WO2011053643A1 (en) 2009-10-30 2011-05-05 Julie Upton Bra top
US8398453B2 (en) 2010-02-26 2013-03-19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Tubular seamless knitted brassiere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787341C (en) 2010-02-26 2017-01-24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Tubular seamless knitted brassiere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12063316A1 (ja) 2010-11-08 2012-05-18 株式会社ワコール 編地及び股付衣類
US8690634B2 (en) * 2010-11-12 2014-04-08 Sturdy Girl Sports, LLC Internal support structure for an athletic support bra, and associated method of fabrication
DE102011000398B3 (de) 2011-01-28 2012-04-26 Terrot Gmbh Strickware mit Lochstruktur,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Funktionstextilie
US10398196B2 (en) 2011-03-15 2019-09-03 Nike, Inc. Knitted component with adjustable inlaid strand for an article of footwear
JP5916062B2 (ja) 2011-10-17 2016-05-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スペーサファブリックの編成方法及びスペーサファブリック
JP3175485U (ja) 2012-02-15 2012-05-17 きよ子 杉浦 立体編み構成体のカップ部を有するブラジャー
CN102657384B (zh) 2012-04-18 2014-06-04 浙江欣君成服饰有限公司 一种收紧边连接结构及采用该结构的内衣及加工工艺
FR2997820A1 (fr) * 2012-11-13 2014-05-16 Dbapparel Operations Soutien-gorge realise en tricot a elasticite variable
US9198467B2 (en) * 2013-03-15 2015-12-01 Paris Gordon Shaping garment
JP2014231665A (ja) 2013-04-30 2014-12-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凹凸のある多層編地
US9850601B2 (en) * 2013-06-17 2017-12-26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Knitted athletic performance garment
US9375045B2 (en) 2013-09-24 2016-06-28 Nike, Inc. Knitted component with adjustable knitted portion
KR102290139B1 (ko) 2013-10-14 2021-08-19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 알.엘. 다중 탄성 실을 갖는 신축성 서큘러 니트 패브릭
EP2952616B1 (de) 2014-06-02 2019-02-13 H. Stoll A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ächigen oder räumlichen Gestricks
JP6361320B2 (ja) 2014-06-27 2018-07-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共用車両の予約管理システム
US9375046B2 (en) 2014-09-30 2016-06-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inlaid tensile elements and method of assembly
EP3302111A4 (en) 2015-06-03 2019-02-20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BUTTER HOLDER OF KNITTED MATERIAL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10368590B2 (en) * 2015-11-03 2019-08-06 Nike, Inc. Flat-knit support garment for upper torso
US10145042B2 (en) 2017-05-02 2018-12-04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US10415164B2 (en) 2017-05-02 2019-09-17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hree-dimensional knit structures
US10179960B2 (en) 2017-05-02 2019-01-15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US11142854B2 (en) 2018-10-03 2021-10-12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hree-dimensional knit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9347B1 (en) 2022-05-25
TWI765394B (zh) 2022-05-21
KR20190126912A (ko) 2019-11-12
CA3169093A1 (en) 2018-11-08
JP2022044043A (ja) 2022-03-16
EP4079950A1 (en) 2022-10-26
TW202348858A (zh) 2023-12-16
TW202108836A (zh) 2021-03-01
TWI817481B (zh) 2023-10-01
TW201843366A (zh) 2018-12-16
TWI763833B (zh) 2022-05-11
CN110582598A (zh) 2019-12-17
WO2018203894A1 (en) 2018-11-08
CA3234644A1 (en) 2018-11-08
EP3619347A1 (en) 2020-03-11
US20180317568A1 (en) 2018-11-08
JP7262397B2 (ja) 2023-04-21
CN110582598B (zh) 2021-11-02
CA3054919A1 (en) 2018-11-08
TW202233927A (zh) 2022-09-01
JP2023153914A (ja) 2023-10-18
JP2020519778A (ja) 2020-07-02
CA3054919C (en) 2023-06-13
US10912340B2 (en)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829B1 (ko)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상체 의복
KR102297819B1 (ko)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상체 의복
KR102203676B1 (ko) 튜브형-자카드 니트 구조를 갖는 상체 의복
KR102317583B1 (ko) 3-차원 니트 구조를 갖는 상체 의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