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046B1 -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046B1
KR102297046B1 KR1020210069238A KR20210069238A KR102297046B1 KR 102297046 B1 KR102297046 B1 KR 102297046B1 KR 1020210069238 A KR1020210069238 A KR 1020210069238A KR 20210069238 A KR20210069238 A KR 20210069238A KR 102297046 B1 KR102297046 B1 KR 102297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liding door
suction pipe
spring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정일
Original Assignee
엄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정일 filed Critical 엄정일
Priority to KR102021006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2Test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2001/002Devic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samples to an analys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료에 대해 실험하는 챔버, 챔버 내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 슬라이딩 도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시료를 이송하는 이송레일, 시료를 교반하기 위해 진동하는 진동장치, 밀폐 케이스, 온습도 조절 모듈, 챔버 내부에 설치된 환기장치가 구비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Vibration complex environmental tester driving system}
본 발명은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료에 대해 실험하는 챔버, 챔버 내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 및 도어 가이드 레일, 슬라이딩 도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챔버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챔버 가이드 레일, 시료 및 장비를 이송하는 이송레일, 시료를 테스트 및 검증하기 위해 진동하는 진동장치, 밀폐 케이스, 온습도 조절 모듈, 챔버 내부에 설치된 환기장치가 구비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환경 상황에서의 제품의 동작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한 환경 시험에 있어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349914호(이하, 선행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칸막이 벽에 의해 분리되는 한편 상하 2곳의 개구를 통해 서로 연통된 시험실 및 공조실을 갖는 환경 시험 장치가 이용된다. 상기 환경 시험 장치에서는, 공조실내에서 가습 장치, 냉각 장치 등에 의해 공기를 일정 온습도로 조정하고, 그 조정된 공기를 공조실의 최상측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상부 개구를 통해 시험실로 공급함으로써, 시험실 내의 공기를 일정 온습도로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에 의한 환경 시험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상부 개구를 통해 시험실에 유입된 공기는, 시험실내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기류가 되어, 하부 개구에서 흡인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시험실에 수평의 선반을 상하로 복수단 설치하여, 각 선반위에 시료를 안착시킬 경우(즉, 복수의 시료를 연직 방향으로 나열했을 경우), 선반의 하단에 안착된 시료에는 공기류가 닿기 어려워져, 선반의 상단에 있는 시료와 선반의 하단에 있는 시료의 환경조건이 달라진다. 게다가 선반의 상단에 있는 시료가 발열하면, 그 발열이 선반의 하단에 있는 시료에 영향을 주어, 이들 시료에 대한 온도 조건도 달라진다.
또한, 시험실에 있어서, 복수의 시료를 수평 방향으로 나열하고 그 시료가 나열된 방향으로 공기류가 생기도록, 공조실에서 시험실로 공기가 공급되는 환경 시험 장치에 있어서도, 기류의 상류와 하류에서 시료에 대한 환경조건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상류에 있는 시료가 발열하면, 하류에 있는 시료에 그 발열이 영향을 주어, 이들 시료에 대한 환경조건이 달라진다. 이와 같이 복수의 시료에 대한 환경조건이 다르면, 환경 시험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료에 대해 실험하는 챔버 및 챔버 내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료 및 장비를 상하좌우로 이송하는 챔버 가이드 레일, 시료 및 장비를 이송하는 이송레일, 시료를 테스트 및 검증하기 위해 진동하는 진동장치 및 이를 밀폐하는 밀폐 케이스가 구비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챔버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습도 조절 모듈이 구비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챔버 내부를 환기할 수 있는 환기장치가 구비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은 시료에 대해 기설정된 실험조건에 따라 실험하는 챔버 및 상기 챔버에 설치되어 챔버 내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도어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챔버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챔버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양측면으로 연장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챔버의 전면에 위치하며, 롤러가 기설정된 속도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챔버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후방부에 장착되는 롤러(11),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열면 상기 롤러가 상승하여 안전하게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안착시키도록 상기 레일의 상부에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닫으면 상기 롤러가 하강하여 안전하게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안착시키도록 상기 레일의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 폐쇄 시 상기 챔버와 밀착배치되도록 하는 자석(16a)으로 이루어진 부착부 및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상기 롤러를 승하강시키도록 구비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있어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과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모듈,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 중에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안전센서, 상기 안전센서의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한 후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대한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수동 모드로 제어하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료를 테스트 및 검증하기 위해 진동하는 진동장치, 상기 시료가 상기 진동장치로 이송된 후 이를 밀폐하는 밀폐 케이스 및 상기 시료의 실험을 위해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습도 조절 모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장치는, 파이프 형태의 보빈부재, 상기 보빈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코일, 상기 보빈부재를 수용하는 제1 스프링, 상기 보빈부재 및 상기 제1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고,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입구에 외측으로 전개된 플렌지, 역립된 상태로 상기 제1 스프링에 고정된 컵 형태의 진동 하우징, 상기 진동 하우징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보빈부재 내부에 타단이 배치되는 자석(206), 상기 진동 하우징 상부에 하단이 장착되는 제2 스프링, 상기 제2 스프링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시료를 안착하고, 상기 시료의 크기에 따라 안착되는 상단의 크기를 변경 가능한 플레이트, 상기 제1 스프링의 하단과 상기 보빈부재의 하단을 함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와 이격된 상태로 진동 하우징의 수용부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1 스프링의 상단을 고정하는 중심부가 개방된 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습도 조절 모듈은, 본체를 감싸는 하우징,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모듈, 상기 순환모듈 외측에 위치하며,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순환기류를 형성하여 본체 외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팬 및 상기 순환모듈으로부터 기류를 배출시키기 위해 흐름을 형성하는 순환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는, 환기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챔버의 천장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트 팬, 상기 제트 팬을 연결하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외부 유입부가 형성되는 메인 덕트, 상기 메인 덕트와 연동하도록 결합되는 내부 흡입관, 상기 내부 흡입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흡입관, 상기 외부 흡입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후드, 상기 외부 흡입관과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흡입관을 승강시키는 흡입관 승강부로 이루어진 보조 덕트, 상기 챔버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센서,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작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 승강부를 작동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화재 감지부, 상기 챔버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챔버의 상부 일부분을 구획하여 화재 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 또는 연기가 챔버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 상기 보조 덕트의 승강운동과 연동되면서 상기 차단부를 승강시키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의 작동 중에 차단부와 보조 덕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챔버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프레임, 상기 천장프레임의 하단부에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말단프레임 및 상기 말단프레임과 상기 천장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난연재질을 포함하는 차단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말단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는 홈에 축이 삽입되어 상기 말단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내부 흡입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를 따라 승강되는 롤러(412) 및 상기 축이 삽입되는 통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흡입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가 수납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결합대 및 상기 결합대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방지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료에 대해 실험하는 챔버, 챔버 내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 슬라이딩 도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시료를 이송하는 이송레일, 시료를 교반하기 위해 진동하는 진동장치, 밀폐 케이스, 온습도 조절 모듈, 챔버 내부에 설치된 환기장치가 구비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의 슬라이딩 도어 및 컨트롤러를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의 슬라이딩 도어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의 슬라이딩 도어의 세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의 컨트롤러 관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의 진동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의 진동장치의 세부 구성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의 온습도 조절 모듈의 세부 구성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의 환기장치에 대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의 환기장치에 대한 구성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시료에 대해 기설정된 실험조건에 따라 실험하는 챔버(1), 상기 챔버(1)에 설치되어 챔버(1) 내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2), 상기 슬라이딩 도어(2)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도어 가이드 레일(3) 및 상기 챔버(1)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챔버 가이드 레일(4)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챔버의 일 실시예로, 챔버(1)는 상, 하 구동이 잭스크류(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후랜지 너트(미도시)의 조임과 풀림 현상에 의해 가능하며, 챔버 기둥(미도시)을 사양에 맞춰 파이프(미도시)를 사용하여 2 내지 3단 높낮이로 조절가능하며, 구동을 위해 감속모터(미도시) 및 베벨기어(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잭스크류를 장비특성 및 주문사양에 맞추어 여러 개를 사용할수 있도록 설계가능하며. 장비 작동시 상, 하 이동를 센서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2)는, 슬라이딩 도어(2)의 양측면으로 연장설치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후방부에 장착되는 롤러(11), 상기 챔버(1)의 전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레일(12), 상기 슬라이딩 도어(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 끼움부(14), 삽입부(15), 부착부(16) 및 유압실린더(17)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슬라이딩 도어(2)의 구성에 필요한 지지틀을 구성하고 있다.
롤러(11)는, 슬라이딩 레일(12)의 후방부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도어(2)의 개폐를 위한 슬라이딩 레일(12)의 동작을 관장하고 있다.
슬라이딩 레일(12)은, 롤러(11)가 기설정된 속도로 슬라이드하여 챔버(1)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동작하고 있다.
지지부재(13)는, 슬라이딩 도어(2)의 상면에 설치되어 프레임(10)과 연결되어 슬라이딩 도어(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끼움부(14)는, 슬라이딩 도어(2)를 열면 롤러(11)가 상승하여 안전하게 슬라이딩 도어(2)를 안착시키도록 레일의 상부에 형성된다.
삽입부(15)는, 슬라이딩 도어(2)를 닫으면 롤러(11)가 하강하여 안전하게 슬라이딩 도어(2)를 안착시키도록 레일의 하부에 형성된다.
부착부(16)는, 슬라이딩 도어(2)의 하부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도어(2) 폐쇄 시 챔버(1)와 밀착배치되도록 자석(16a)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유압실린더(17)는, 프레임(1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도어(2) 개폐쇄 시 롤러(11)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4는 슬라이딩 도어(2)의 컨트롤러(100)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00)는 제어모듈(110), 안전센서(120) 및 레버(130)를 포함한다.
제어모듈(110)은, 슬라이딩 레일(12)의 속도를 제어하여 슬라이딩 도어(2)의 열림과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안전센서(120)는, 슬라이딩 도어(2)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도어(2)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 중에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모듈(110)에 전달하여 제어모듈(110)이 슬라이딩 도어(2)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레버(130)는, 안전센서(120)의 감지신호를 제어모듈(110)에 전달한 후 제어모듈(110)이 슬라이딩 도어(2)에 대한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2)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슬라이딩 도어(2)를 열 경우, 제어모듈(110)을 통해 슬라이딩 도어(2)의 열림 동작을 시작하고, 롤러(11)가 제어모듈(110)의 열림 명령을 받아 슬라이딩 레일(12)과 함께 회전하여 슬라이딩 도어(2)가 상승하게 된다. 슬라이딩 도어(2)의 완전 개방 시점에서 끼움부(14)에 안착되어 다른 동작을 수행하기 전까지 슬라이딩 도어(2)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딩 도어(2)를 닫을 경우, 제어모듈(110)을 통해 슬라이딩 도어(2)의 닫힘 동작을 시작하고, 롤러(11)가 제어모듈(110)의 닫힘 명령을 받아 슬라이딩 레일(12)과 함께 역회전하여 슬라이딩 도어(2)가 하강하게 된다. 슬라이딩 도어(2)의 완전 폐쇄 시점에서 삽입부(15)에 안착되면서 챔버(1)에 밀착되도록 자석(16a)의 인력을 작동하는 부착부(16)가 동작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은 이송 레일(140), 진동장치(150), 밀폐 케이스(160) 및 온습도 조절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레일(140)은, 상기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시료의 이송을 수행한다.
밀폐 케이스(160)는, 진동장치(150) 인근으로 이송레일(140)을 따라 이동한 후에 상기 밀폐 케이스(160)가 하강하여 진동장치(150)를 덮어 밀폐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장치(150)는, 파이프 형태의 보빈부재(201), 상기 보빈부재(201)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코일(202), 상기 보빈부재(201)를 수용하는 제1 스프링(203), 상기 보빈부재(201) 및 상기 제1 스프링(203) 사이에 배치되고,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입구에 외측으로 전개된 플렌지(204), 역립된 상태로 상기 제1 스프링(203)에 고정된 컵 형태의 진동 하우징(205), 상기 진동 하우징(205)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보빈부재(201) 내부에 타단이 배치되는 자석(206), 상기 진동 하우징(205) 상부에 하단이 장착되는 제2 스프링(207) 및 상기 제2 스프링(207)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시료를 안착하고, 상기 시료의 크기에 따라 안착되는 상단의 크기를 변경 가능한 플레이트(208)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의 발생원리는 권선된 코일(202)이 구비된 보빈에 진동판을 부착시키고, 보빈에 구비된 코일(202)에 공급되는 전류가 변화되면, 고정자석(206)에 대한 자기장 변화에 의하여 보빈에 연결된 진동판이 진동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150)는 음파 발생을 위한 스피컷 유닛과 유사한 진동 발생 원리로 시료를 테스트 및 검증하기 위해 코일(202) 및 코일(202)이 장착되는 보빈부재(20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202)은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 보빈부재(201)의 상부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부재(201) 외측에 제1 스프링(20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프링(203)는 후술하는 진동 하우징(205)의 플렌지(204)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스프링(203)는 내구성이 좋은 코일(202)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링(203)에 고정된 진동 하우징(205)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입구에 외측으로 전개된 플렌지(2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진동 하우징(205)의 수용부는 뒤집힌, 즉 역립된 컵 형태로 배치되고, 수용부의 저면의 내측 상면에 자석(206)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하우징(205)의 플렌지(204)는 제1 스프링(203)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하우징(205)을 진동 가능하게 제1 스프링(203)에 고정하고 상기 제1 스프링(203)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고정수단은 베이스판(210), 기둥(211) 및 링부재(212)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고정된 보빈부재(201)에 구비된 코일(202)에 공급되는 전류의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기 진동 하우징(205)의 수용부에 고정된 자석(206)의 자기장에 의하여 제1 스프링(203)에 고정된 진동 하우징(205)은 상기 제1 스프링(203)를 매개로 진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202)에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 또는 세기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시료의 실험 시에 요구되는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1 스프링(203) 그리고 제2 스프링(207) 등의 공진 주파수와 진동 하우징(205)의 진동 주파수가 일치되도록 전류 공급을 조절하여, 플레이트(208)가 공진되도록 코일(202)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진동의 크기 또는 세기 등을 극대화하는 방법도 구현이 가능하다.
보빈부재(201)의 하단은 제1 스프링(203)를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베이스판(210)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판는 진동 하우징(205)이 진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링부재(212)와 복수 개의 기둥(211)으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링부재와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제1 스프링(203)의 상단과 하단이 압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링부재와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장착되는 이유는 진동 하우징(205)의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진동 하우징(205)의 진동이 플레이트(208)에 온전히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링부재는 그 하면에 제1 스프링(203)의 상단이 지지되도록 평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의 개방구의 크기는 진동 하우징(205)이 진동 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제1 스프링(203)의 상단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크기이면 된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203)는 상부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으로 이원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진동 하우징(205)의 플렌지(204) 등의 설치 용이성을 위하여 제1 스프링(203)를 상부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으로 이원화하고 그 사이에 진동 하우징(205)의 플렌지(204)를 배치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진동 하우징(205)과 플레이트(208)는 제2 스프링(207)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207) 역시 코일(202) 스프링과 동일한 구성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스프링(207)의 상단과 하단은 별도의 스프링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플레이트(208)의 하면 및 진동 하우징(205)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프링(203)와 달리 제2 스프링(207)는 진동 하우징(205)의 진동을 플레이트(208)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별도의 구속수단에 구속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스프링 고정유닛에 의하여 플레이트(208)와 진동 하우징(205)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온습도 조절 모듈(170)은, 온습도 조절 모듈(170)의 본체를 감싸는 하우징(171), 상기 챔버(1)의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모듈(172), 상기 순환모듈 외측에 위치하며,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순환기류를 형성하여 본체 외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팬(173) 및 상기 순환모듈로부터 기류를 배출시키기 위해 흐름을 형성하는 순환형성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온습도 조절 모듈(170)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면, 챔버(1) 내의 온습도 조절을 위해 순환팬이 작동하면서 순환 기류를 만들면 기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순환형성부가 작동하면서 순환모듈이 동시에 작동되어 기설정된 온도 및 습도에 맞춰서 온습도 조절 모듈(170)이 제어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챔버(1)는 환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환기장치는, 팬(300), 메인 덕트(310), 내부 흡입관(321), 외부 흡입관(322), 후드(325), 보조 덕트(320), 화재 감지센서(331), 화재 감지부(330), 차단부(400), 연동부(410) 및 이탈방지부(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팬(300)은 챔버(1)의 천장에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면 회전하여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메인 덕트(310)는 일단부가 팬(30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어느 하나의 팬(300)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팬(300)에 결합된다. 또한, 메인 덕트(310)는 팬(300)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입부(311)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유입부(311)는 메인 덕트(310)의 내측으로 함몰 설치되고, 메인 덕트(310)의 내부와 외부 공기압 차이에 의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보조 덕트(320)는 메인 덕트(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 개가 구비되며, 챔버(1) 내의 발생한 가스 또는 기질 오염 정도에 따라 상하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조 덕트(320)는 메인 덕트(310)와 연동하도록 메인 덕트(310)에 결합되는 내부 흡입관(321), 상기 내부 흡입관(32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흡입관(322), 상기 외부 흡입관(322)의 하단에 결합되는 후드(325), 상기 외부 흡입관(322)과 연결되도록 메인 덕트(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흡입관(322)을 승강시키는 흡입관 승강부(326)를 포함한다.
내부 흡입관(321)은 용접이나 볼트 등의 결합방식을 통해 메인 덕트(310)의 하단면에 결합된다.
외부 흡입관(322)은 내부 흡입관(3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내부 흡입관(3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부 흡입관(321)에 지지된 채 상하로 승강된다.
후드(325)는 외부 흡입관(322)의 하단부에 용접이나 볼트 등의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ㅅ'자 형상으로 그 너비가 점차 증가하게 형성된다.
흡입관 승강부(326)는 챔버(1) 내부에서 화재 발생에 따라 유독 가스가 발생하면 이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외부 흡입관(322)을 하강시켜 후드(325)를 유독 가스 발생 지점과 후드(325)의 거리를 최대한 줄이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흡입관 승강부(326)는 외부 흡입관(322)의 하단부 내면에 설치되어 메인 덕트(310)의 내부와 연결하여 승하강 운동을 하는 액추에이터(327)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관 승강부(326)는 화재 감지부(330)의 제어에 따라 액추에이터(327)가 승하강 운동을 하면서 외부 흡입관(322)과 후드(325)가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화재 감지부(330)는 챔버(1)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도록 챔버(1) 내부에 이격되게 복수 개로 설치되는 화재 감지센서(331), 상기 화재 감지센서(331)의 작동에 따라 외부 흡입관(322) 및 후드(325)가 하강하도록 액추에이터(327)를 작동시키는 제어부(333)를 포함한다.
차단부(400)는, 챔버(1)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프레임(402), 상기 천장프레임(402)의 하단부에 힌지부(404a)에 의해 하강하게 연결되는 말단프레임(404), 상기 말단프레임(404)과 천장 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되고 난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단시트(406)를 포함한다.
화재 발생 시에 외부 흡입관(322)이 하강하면 연동부(410)의 작동에 의해 말단프레임(404)이 하강하게 되므로 말단프레임(404)과 천장프레임(40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차단시트(406)가 펼쳐져 챔버(1)의 일부분을 구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 또는 연기가 챔버(1) 내부에서 차단시트(406)에 의해 확산되지 않도록 유지되므로 시료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연동부(410)는 말단프레임(404)의 단부에 형성되는 홈(404b)에 축(412a)이 삽입되어 말단프레임(40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 흡입관(321)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416)를 따라 승강되는 롤러(412)와, 축(412a)이 삽입되는 통과홈부가 형성되고 외부 흡입관(322)에 일체로 형성되며 롤러(412)가 수납되는 케이스(414)를 포함하고, 이탈방지부(420)는, 케이스(414)의 상단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결합대(422)와, 결합대(422)와 케이스(414)의 상단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방지패널(424)을 포함한다.
케이스(414)는, 외부 흡입관(322)의 상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홈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케이스(414)에 롤러(41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케이스(414)의 상면을 밀폐하도록 케이스(414)의 상단과 결합대(422) 사이에 방지패널(424)이 삽입된다.
따라서 롤러(412)는 말단프레임(404)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스(414)와 외부 흡입관(322)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외부 흡입관(322)의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질 때에 말단프레임(404)의 단부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로써, 챔버(1) 내부에 공기의 와류 현상을 방지하면서 오염공기 또는 유해 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화재 시에 발생되는 연기가 챔버(1)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환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 챔버
2 : 슬라이딩 도어
3 : 도어 가이드 레일
4 : 챔버 가이드 레일
100 : 컨트롤러
110 : 제어모듈
120 : 안전센서
130 : 레버
140 : 이송레일
150 : 진동장치
160 : 밀폐케이스
170 : 온습도 조절 모듈
300 : 팬
310 : 메인 덕트
320 : 보조 덕트
330 : 화재 감지부
400 : 차단부
410 : 연동부
420 : 이탈방지부

Claims (2)

  1. 시료에 대해 기설정된 실험조건에 따라 실험하는 챔버;
    상기 챔버에 설치되어 챔버 내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도어 가이드레일; 및
    상기 챔버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챔버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는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 하 구동이 잭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후랜지 너트의 조임과 풀림 현상에 의해 가능하며, 챔버 기둥을 사양에 맞춰 파이프를 사용하여 2 내지 3단 높낮이로 조절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양측면으로 연장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챔버의 전면에 위치하며, 롤러가 기설정된 속도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챔버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후방부에 장착되는 롤러(11);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열면 상기 롤러가 상승하여 안전하게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안착시키도록 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닫으면 상기 롤러가 하강하여 안전하게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안착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 폐쇄 시 상기 챔버와 밀착배치되도록 하는 자석(16a)으로 이루어진 부착부; 및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상기 롤러를 승하강시키도록 구비된 유압실린더;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있어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컨트롤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과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제어모듈;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 중에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안전센서; 및
    상기 안전센서의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모듈에 전달한 후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대한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수동 모드로 제어하도록 하는 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료 및 장비를 이송하는 이송 레일;
    상기 시료를 교반하기 위해 진동하는 진동장치;
    상기 시료가 상기 진동장치로 이송된 후 이를 밀폐하는 밀폐 케이스; 및
    상기 시료의 실험을 위해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습도 조절 모듈;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장치는,
    파이프 형태의 보빈부재;
    상기 보빈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코일;
    상기 보빈부재를 수용하는 제1 스프링;
    상기 보빈부재 및 상기 제1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고,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입구에 외측으로 전개된 플렌지;
    역립된 상태로 상기 제1 스프링에 고정된 컵 형태의 진동 하우징;
    상기 진동 하우징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보빈부재 내부에 하단에 배치되는 자석(206);
    상기 진동 하우징 상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2 스프링;
    상기 제2 스프링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시료를 안착하고, 상기 시료의 크기에 따라 안착되는 상단의 크기를 변경 가능한 플레이트;
    상기 제1 스프링의 하단과 상기 보빈부재의 하단을 함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와 이격된 상태로 진동 하우징의 수용부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1 스프링의 상단을 고정하는 중심부가 개방된 링부재;
    를 포함하고,
    고정된 상기 보빈부재에 구비된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기 진동 하우징의 수용부에 고정된 상기 자석의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제1 스프링에 고정된 상기 진동하우징은 상기 제1 스프링을 매개로 진동할 수 있고,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 또는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스프링 그리고 상기 제2 스프링의 공진 주파수와 상기 진동 하우징의 진동 주파수가 일치되도록 전류 공급을 조절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공진되도록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진동의 크기 또는 세기를 조절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진동 하우징이 진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상기 링부재와 복수 개의 기둥(211)으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링부재와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상기 제1 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이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고,
    탄성부재가 상기 링부재와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진동 하우징의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제어하고, 상기 진동 하우징의 진동이 상기 플레이트에 전달하고,
    상기 링부재는 그 하면에 상기 제1 스프링의 상단이 지지되도록 평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의 개방구의 크기는 상기 진동 하우징이 진동 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제1 스프링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는 크기이고,
    상기 제1 스프링을 상부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으로 이원화하고 그 사이에 상기 진동 하우징의 상기 플렌지를 배치하고,
    상기 진동 하우징과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은 별도의 스프링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및 상기 진동 하우징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온습도 조절 모듈은,
    본체를 감싸는 하우징;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모듈;
    상기 순환모듈 외측에 위치하며,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순환기류를 형성하여 본체 외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팬; 및
    상기 순환모듈로부터 기류를 배출시키기 위해 흐름을 형성하는 순환형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 내의 온습도 조절을 위해 상기 순환팬이 작동하면서 순환 기류를 만들면 기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순환형성부가 작동하면서 상기 순환모듈이 동시에 작동되어 기설정된 온도 및 습도에 맞춰서 상기 온습도 조절 모듈이 제어되고,
    상기 챔버는,
    환기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챔버의 천장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트 팬;
    상기 제트 팬을 연결하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외부 유입부가 형성되는 메인 덕트;
    상기 메인 덕트와 연동하도록 결합되는 내부 흡입관;
    상기 내부 흡입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흡입관;
    상기 외부 흡입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후드;
    상기 외부 흡입관과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흡입관을 승강시키는 흡입관 승강부로 이루어진 보조 덕트;
    상기 챔버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센서;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작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 승강부를 작동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화재 감지부;
    상기 챔버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챔버의 상부 일부분을 구획하여 화재 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 또는 연기가 챔버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
    상기 보조 덕트의 승강운동과 연동되면서 상기 차단부를 승강시키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의 작동 중에 차단부와 보조 덕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챔버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프레임;
    상기 천장프레임의 하단부에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말단프레임; 및
    상기 말단프레임과 상기 천장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난연재질을 포함하는 차단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말단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는 홈에 축이 삽입되어 상기 말단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내부 흡입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를 따라 승강되는 롤러(412); 및
    상기 축이 삽입되는 통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흡입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가 수납되는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결합대; 및
    상기 결합대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방지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흡입관은 상기 내부 흡입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상기 내부 흡입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흡입관에 지지된 채 상하로 승강되고,
    상기 후드는 상기 외부 흡입관의 하단부에 용접이나 볼트 등의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ㅅ'자 형상으로 그 너비가 점차 증가하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 승강부는,
    상기 챔버 내부에서 화재 발생에 따라 유독 가스가 발생하면 이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흡입관을 하강시켜 상기 후드를 유독 가스 발생 지점과 상기 후드의 거리를 줄이고,
    상기 외부 흡입관의 하단부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덕트의 내부와 연결하여 승하강 운동을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감지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가 승하강 운동을 하면서 상기 외부 흡입관과 상기 후드가 상하로 승강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
  2. 삭제
KR1020210069238A 2021-05-28 2021-05-28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 KR102297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238A KR102297046B1 (ko) 2021-05-28 2021-05-28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238A KR102297046B1 (ko) 2021-05-28 2021-05-28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046B1 true KR102297046B1 (ko) 2021-09-01

Family

ID=7777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238A KR102297046B1 (ko) 2021-05-28 2021-05-28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0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2396A (zh) * 2021-11-05 2022-02-01 李静红 一种便携果蔬安全检测设备
CN115575431A (zh) * 2022-10-12 2023-01-06 嘉泰检验认证有限公司 一种产品环保性检测用的检测仪及检测方法
CN117741497A (zh) * 2024-02-21 2024-03-22 临沂衍庆电器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led灯具寿命检测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1332A (ja) * 1982-11-17 1984-05-26 Nitsusoku Eng Kk 複合環境試験装置
KR20130087163A (ko) * 2012-01-27 2013-08-06 이경근 환경시험용 이동식 챔버
JP6052226B2 (ja) * 2014-05-08 2016-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KR20180021785A (ko) * 2015-06-05 2018-03-05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환경 시험 장치
JP2020085581A (ja) * 2018-11-21 2020-06-04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装置
JP2021073470A (ja) * 2021-02-09 2021-05-13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装置及び環境試験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1332A (ja) * 1982-11-17 1984-05-26 Nitsusoku Eng Kk 複合環境試験装置
KR20130087163A (ko) * 2012-01-27 2013-08-06 이경근 환경시험용 이동식 챔버
JP6052226B2 (ja) * 2014-05-08 2016-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KR20180021785A (ko) * 2015-06-05 2018-03-05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환경 시험 장치
JP2020085581A (ja) * 2018-11-21 2020-06-04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装置
JP2021073470A (ja) * 2021-02-09 2021-05-13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装置及び環境試験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2396A (zh) * 2021-11-05 2022-02-01 李静红 一种便携果蔬安全检测设备
CN115575431A (zh) * 2022-10-12 2023-01-06 嘉泰检验认证有限公司 一种产品环保性检测用的检测仪及检测方法
CN115575431B (zh) * 2022-10-12 2023-11-21 嘉泰检验认证有限公司 一种产品环保性检测用的检测仪及检测方法
CN117741497A (zh) * 2024-02-21 2024-03-22 临沂衍庆电器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led灯具寿命检测装置
CN117741497B (zh) * 2024-02-21 2024-04-30 临沂衍庆电器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led灯具寿命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046B1 (ko) 진동 복합 환경시험기 구동시스템
US4723480A (en)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air cleaning device
JP5289461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2422088B (zh) 空调器
US6414828B1 (en) Laser ventilation system
CN111751066A (zh) 环境试验装置、试验室部件和环境试验方法
CN101277890B (zh) 电梯装置
KR101991955B1 (ko) 공기 조화기
JP7019543B2 (ja) 環境試験装置用給排気装置及び環境試験装置
KR20100064337A (ko) 열처리 장치
KR101573067B1 (ko) 방폭형 환기장치
JP2016070528A (ja) 給気装置
JP4486727B2 (ja) 循環型クリーンルーム
KR100679428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
JP2011052931A (ja) 可変風量ユニット
JP4627846B2 (ja) 室圧制御システム
JP4435099B2 (ja) 作業開口面に移動式プッシュ又はプッシュプル気流を備えたフード
JPH07180859A (ja) 騒振音防止装置付空気調和機
KR20030073191A (ko) 천정설치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JP4458859B2 (ja) 空気調和機のファン室フレーム構造
JP2016099034A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装置の調整方法及び空気調和設備の製造方法
WO2017213120A1 (ja) 可変風量装置
JP4486973B2 (ja) 空気調和機のファン室フレーム構造
KR102360942B1 (ko) 냉각 구조가 개선된 터보 송풍장치
WO2023170748A1 (ja) 天井埋込型空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