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442B1 -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및 이를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및 이를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442B1
KR102296442B1 KR1020200144025A KR20200144025A KR102296442B1 KR 102296442 B1 KR102296442 B1 KR 102296442B1 KR 1020200144025 A KR1020200144025 A KR 1020200144025A KR 20200144025 A KR20200144025 A KR 20200144025A KR 102296442 B1 KR102296442 B1 KR 10229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ed
grains
sprout
oat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기병
Original Assignee
국제분석연구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분석연구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분석연구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3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coated with a lay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23P20/18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by spray-coating, fluidised-bed coating or coating by c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제조방법은,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 후 1~2시간 침지한 고형의 곡물과, 80 ~ 100℃ 온도에서 1 ~ 2시간 가열 후 50 ~ 60℃온도로 농축하여 질량농도가 40 ~ 50%가 되도록 농축된 새싹귀리농축액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 상기 곡물 97 ~ 98 중량%와, 상기 새싹귀리농축액 0.5 ~ 1중량%를 교반하여 상기 새싹귀리농축액을 이용하여 상기 곡물의 표면을 코팅하는 농축액코팅단계; 농축액코팅곡물을 100 ~ 150 rpm으로 0.5 ~ 1시간 동안 교반 후 30 ~ 50℃ 온도로 건조하는 농축액코팅건조단계; 건조된 상기 농축액코팅곡물에 새싹귀리분말 0.5 ~ 1중량%와, 산화방지제 0.1 ~ 0.5 중량%와, 식용접착제 0.1 ~ 0.5 중량%를 분무한 후, 천연치자그린 0.1 ~ 0.5 중량%를 2분 간격으로 3 ~ 5회 가압 분무하여 상기 농축액코팅곡물의 표면을 고르게 코팅하는 분말코팅단계; 및 상기 새싹귀리분말, 상기 산화방지제, 상기 식용접착제, 상기 천연치자그린이 코팅된 상기 분말코팅곡물을 120 ~ 130℃ 온도에서 4 ~10초 동안 3 ~ 5회 고온에서 반복적으로 고압 멸균하는 멸균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용접착제는 찹쌀가루가 포함된 곡물풀이고, 상기 곡물풀은 찹쌀가루와 물을 1:2 중량비로 투입하고, 40 ~ 70℃ 온도에서 250 rpm으로 15 ~ 30분간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및 이를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 {GRAIN COATED WITH SPROUT OAT AND METHOD THEREOF INSTANT RIC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및 이를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항암성분인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높은 새싹귀리를 식용접착제인 찹쌀을 이용하여 곡물에 코팅함으로써, 다양한 제품 중 즉석밥을 제조하는 경우 체내에 베타글루칸의 흡수율을 높여 건강에 유용한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및 이를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평균 수명 증가로 최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식품, 건강식품 등의 분야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귀리(Avena sativa L.)는 미국 FDA에서 높은 영양뿐만 아니라 기능성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하여 통귀리 첨가 식품에는 콜레스테롤 저하 및 심장병 위험 감소 효과를 명기할 수 있도록 허가된 세계 10대 슈퍼푸드 중 하나로 소비자 관심과 수요가 높은 작물 중 하나이다. 최근, 귀리에 관한 관심이 높이지면서, 건강한 귀리를 단순하게 혼반하는 수준이 아닌 다양하게 소비할 수 있는 가공소재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귀리의 원산지는 중앙 아시아 지역이며, 녹말을 포함한 식용 식물로서 껍질을 벗기고 납작하게 눌러오트밀이나, 쿠키 등으로 만들어 먹는다. 탈곡과정에서 껍질이 벗겨지면 쌀귀리, 벗겨지지 않으면 겉귀리로 나뉘며, 쌀귀리는 껍질을 벗겨내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주로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고, 겉귀리는 주로 조사료 생산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내한성과 분얼력(tillering capacity)은 겉귀리가 강하고, 초장은 쌀귀리가 크며, 겉귀리가 재배적 안정성이 높다.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따르면, 귀리 식이섬유를 하루 0.8g 이상 섭취 시 식후 혈당상승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고, 3g 이상 섭취 시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등 그 기능성이 인정되고 있다.
또한, 귀리는 면역증강작용을 갖는 베타글루칸((1-3),(1-4)-β-D-glucan)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베타글루칸은 혈중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동시에 HDL-콜레스테롤 농도를 높이고, 콜레스테롤의 간 축적을 억제하며 지방질의 소화기능을 저하시키는 유용한 생리활성물질이다. 베타글루칸은 체내에서 소화, 흡수되지 않는 식이섬유의 일종으로 효모, 버섯, 곡류 등으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생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베타글루칸은 원료에 따라 구조와 특성이 차이가 있는데, 곡류의 베타글루칸은 주로 세포벽에 존재하며, 그 구조는 β-1,3 및 β-1,4 결합이 다양한 비율로 이루어진 직쇄상의 다당류이다. 이러한 베타글루칸은 귀리나 보리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귀리가 높은 베타글루칸을 함유하고 있고, 새싹귀리는 귀리보다 30배 높은 베타글루칸을 함유하고 있다.
귀리를 활용한 가공식품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로 분말 귀리를 물에 용해하여 밥을 제조하는 방법(공개특허 10-2003-0070513), 귀리 등 혼합 곡물 플레이크를 제조하는 방법(공개특허 10-2011-0046896) 및 귀리 즉석밥의 제조(공개특허 10-2013-0087863)등이 있다.
하지만, 귀리 특히 새싹귀리의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제조되는 데에는 아직 한계가 있으며, 귀리 고유의 맛과 향을 살리며 영양학적인 측면까지 고려한 가공식품의 개발을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3-007051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4689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8786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및 이를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제조방법은,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 후 1~2시간 침지한 고형의 곡물과, 80 ~ 100℃ 온도에서 1 ~ 2시간 가열 후 50 ~ 60℃온도로 농축하여 질량농도가 40 ~ 50%가 되도록 농축된 새싹귀리농축액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 상기 곡물 97 ~ 98 중량%, 상기 새싹귀리농축액 0.5 ~ 1중량%를 교반하여 상기 새싹귀리농축액을 이용하여 상기 곡물의 표면을 코팅하는 농축액코팅단계; 농축액코팅곡물을 100 ~ 150 rpm으로 0.5 ~ 1시간 동안 교반 후 30 ~ 50℃ 온도로 건조하는 농축액코팅건조단계; 건조된 상기 농축액코팅곡물에 새싹귀리분말 0.5 ~ 1중량%와, 산화방지제 0.1 ~ 0.5 중량%와, 식용접착제 0.1 ~ 0.5 중량%를 분무한 후, 천연치자그린 0.1 ~ 0.5 중량%를 2분 간격으로 3 ~ 5회 가압 분무하여 상기 농축액코팅곡물의 표면을 고르게 코팅하는 분말코팅단계; 및 상기 새싹귀리분말, 상기 산화방지제, 상기 식용접착제, 상기 천연치자그린이 코팅된 상기 분말코팅곡물을 120 ~ 130℃ 온도에서 4 ~10초 동안 3 ~ 5회 고온에서 반복적으로 고압 멸균하는 멸균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용접착제는 찹쌀가루가 포함된 곡물풀이고, 상기 곡물풀은 찹쌀가루와 물을 1:2 중량비로 투입하고, 40 ~ 70℃ 온도에서 250 rpm으로 15 ~ 30분간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곡물풀은 투명성이 유지되도록 정제되고, 상기 곡물풀은 쌀가루, 옥수수가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새싹귀리분말은 상기 정제수를 이용하여 귀리의 여린잎 세척 후 24시간 자연 건조하고, 상기 자연건조 후 50℃ 온도에서 저온 건조하여 분쇄한 분말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새싹귀리분말은 60 내지 100 메쉬(mash)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말코팅단계는, 상기 분말코팅곡물을 100 ~150 rpm으로 55 ~ 65℃ 온도에서 0.5 ~ 1시간 교반하여 건조시키는 분말코팅건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을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은, 멸균된 분말코팅곡물 중량에 대해 물의 양을 1.2 ~ 1.4배로 투입 후 95 ~ 105℃ 온도에서 20분 ~ 40분 동안 취반하는 곡물취반단계; 및 취반된 상기 분말코팅곡물의 내부압력을 0.2 ~ 1.2kg/㎠로 유지하고 질소가스를 충전하고 리드필름지로 밀봉한 후, 밀봉된 새싹귀리가 코팅된 즉석밥을 상온 15 ~ 25℃ 온도로 쿨링하여 진공 포장하는 진공포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귀리가 코팅된 즉석밥은, 상기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을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귀리보다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30배 높은 새싹귀리를 곡물에 코팅함으로써, 체내에 베타글루칸의 흡수율을 높여 건강에 효과적일 수 있다. 특히, 항암효과가 높은 베타글루칸에 의해 암발생의 위험을 낮춰 면역력을 개선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여 혈관 건강의 개선과 더불어 아토피 피부염 개선, 비만 개선,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싹귀리농축액 및 새싹귀리분말을 곡물의 표면에 균일하게 2번 코팅함으로써, 백미의 베타글루칸 함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용접착제인 찹쌀을 이용하여 새싹귀리분말을 곡물의 표면에 고르게 코팅함으로써, 새싹귀리의 맛, 색상변질을 방지하고, 새싹귀리의 영양분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새싹귀리분말이 곡물에 코팅되어 즉석밥의 밥알의 표면 경도를 개선하여 식감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식품 소재를 생산함으로써, 다양한 상품성에 의해 다양한 연령층에 대한 기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을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제조방법은 재료준비단계(S10), 농축액코팅단계(S20), 농축액코팅건조단계(S30), 분말코팅단계(S40), 분말코팅건조단계(S50) 및 멸균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제조방법은 외부환경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 별도의 공간 예를 들어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온습도, 압력 등 제조 조건을 제어할 수 있는 장비가 구비된 챔버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우선, 재료준비단계(S10)는 주재료인 고형의 곡물과 부재료인 새싹귀리를 준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곡물(Grain)을 백미로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보리, 현미, 밀, 호밀 식용작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재료인 고형의 곡물 즉, 백미를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 후 1~2시간 침지하여 준비할 수 있다. 정제수로 2-3회 반복 세척하여 백미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부재료인 새싹귀리는 분말 형태 및 농축액 형태로 준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새싹귀리농축액은 새싹귀리 100 중량%에 정제수 500 ~ 1000 중량%를 혼합하여 80 ~ 100℃ 온도에서 1 ~ 2시간 가열하여 새싹귀리액을 제조한 후, 새싹귀리액에 포함된 고체성분을 거른 후 50 ~ 60℃온도로 농축하여 질량농도가 40 ~ 50%가 되는 되도록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온도가 80℃ 미만이면 새싹귀리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하며, 새싹귀리의 가열온도가 100℃를 초과하게 되면 약초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여기서, 새싹귀리농축액은 질량농도가 40% 미만이면 새싹귀리액에 함유된 새싹귀리의 유효성분의 함량이 너무 낮아 항암작용, 정혈작용, 배변촉진, 당뇨증상 개선, 아토피 완화 및 피부노화방지 등의 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며, 새싹귀리액의 질량농도가 50%를 초과하게 되면, 농축과정이 어렵고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새싹귀리농축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백미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새싹귀리분말은 국내산 종자를 발아하여 가장 영양이 많은 시기의 6-7일차에 10cm 전후로 자란 길이이 길이가 좋고 푸르고 연하며 푸른빛이 선명한 여린잎을 2단계로 건조하여 분쇄하여 분말로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류식 분쇄기기를 이용하여 새싹귀리가 분말화 될 수 있다. 이때, 새싹귀리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린잎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 후 24시간 자연건조한 다음, 50℃ 온도에서 저온 건조하여 분쇄할 수 있다. 즉, 2단계의 건조공정을 통해 여린잎에 포함된 베타글루칸 등을 포함하는 영양분이 물과 함께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새싹귀리분말은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은 입자의 크기를 갖도록 고르게 분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싹귀리분말은 60 내지 100 메쉬(mash) 입자 크기를 갖도록 분쇄될 수 있다. 새싹귀리분말의 입자가 60 mesh보다 작은 경우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적을 수 있고, 새싹귀리분말의 입자가 100 mesh보다 큰 경우 백미의 표면에 고르게 코팅되지 못할 수 있어 상기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여린잎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 후 80℃ 온도에서 가열 건조하여 건조된 새싹귀리를 분쇄하여 새싹귀리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농축액코팅단계(S20)는 곡물 97 ~ 98 중량%와, 새싹귀리농축액 0.5 ~ 1중량%를 교반하여 백미의 표면에 새싹귀리농축액을 코팅할 수 있다. 이때, 새싹귀리농축액이 백미의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되기 위해 교반기에서 최소 3분을 유지하여 반복적으로 좌우로 교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속도는 저속과 고속을 반복하되 500RPM~4000RPM 사이에서 3분을 주기로 행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새싹귀리농축액의 코팅량이 0.5중량% 미만이면 백미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되지 못하며, 새싹귀리농축액의 코팅량이 1중량% 이상이면 백미의 표면에 모두 도포되지 못하고 흘러내리게 되어 코팅과정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제조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새싹귀리농축액은 일반적인 분무장치를 이용하여 백미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새싹귀리농축액은 회전식 코팅기를 이용하여 백미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농축액코팅건조단계(S30)는 새싹귀리농축액이 코팅된 백미 즉, 농축액코팅곡물을 100 ~ 150 rpm으로 0.5 ~ 1시간 동안 교반 후 30 ~ 50℃ 온도로 건조할 수 있다. 즉, 농축액코팅곡물을 저온에서 건조함으로써, 분말코팅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온도가 30℃ 미만이면 도포된 새싹귀리농축액이 흘러내릴 수 있고, 가열온도가 50℃ 이상이면 백미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분말코팅단계(S40)는 건조된 농축액코팅곡물에 새싹귀리분말 0.5 ~ 1중량%와, 산화방지제 0.1 ~ 0.5 중량%와, 식용접착제 0.1 ~ 0.5 중량%를 분무한 후, 천연치자그린 0.1 ~ 0.5 중량%를 2분 간격으로 3 ~ 5회 가압 분무하여 상기 농축액코팅곡물의 표면을 고르게 코팅할 수 있다.
이때, 산화방지제는 싸이클로덱스트린이고, 식용접착제는 곡물풀일 수 있다. 여기서, 곡물풀이 0.1 중량% 이하이면, 새싹귀리분말, 산화방지제, 천연치자그린 및 백미 사이의 접착력이 감소하여 코팅에 효과적이지 못하고, 곡물풀이 0.5 중량% 이상이며 백미의 표면에 접착력이 증가하여 새싹귀리분말의 뭉침현상이 발생하여 백미의 표면이 고르게 코팅되지 못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곡물풀은 찹쌀가루와 물을 1:2 중량비로 40 ~70℃ 온도에서 250 rpm으로 15 ~ 30분간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곡물풀은, 물을 찹쌀가루 중량에 대해 2배로 투입할 수 있다.
여기서, 곡물풀은 투명성이 유지되도록 정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곡물풀은 찹쌀가루 이외에 쌀가루, 옥수수가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곡물풀은 10 ~ 20℃ 온도에서 10 ~ 24시간 숙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곡물풀을 접착제로 이용함으로써, 식용가능한 젤라틴, 아라비아검 또는 아르긴산농축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의 변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농축액코팅곡물에 새싹귀리의 갈변을 방지하는 산화방지제와, 결합성을 용이하게 하는 식용접착제를 분무하고, 새싹귀리의 색상을 더욱 선명하게 하는 천연치자그린을 가압 분무하는 경우, 백미의 외형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항암효과가 높은 베타글루칸에 의해 암발생의 위험을 낮춰 면역력을 개선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여 혈관 건강의 개선과 더불어 아토피 피부염 개선, 비만 개선,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분말코팅건조단계(S50)는 분말코팅곡물을 100 ~150 rpm으로55 ~ 65℃ 온도에서 0.5 ~ 1시간 교반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즉, 새싹귀리분말이 도포된 백미를 55 ~ 65℃ 온도에서 열풍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 내지 20%가 되도록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수분함량이 10 내지 20%인 경우 취반시 백미와 함께 투입되는 물의 양이 많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취반을 실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멸균단계(S60)는 새싹귀리분말, 산화방지제, 식용접착제 및 천연치자그린이 코팅된 분말코팅곡물을 120 ~ 130℃ 온도에서 4 ~10초 동안 3 ~ 5회 고온에서 반복적으로 고압 멸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을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을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곡물을 이용하여 즉석밥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의 도 2에서는 도 1에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할 수 있다.
즉석밥은 재료준비단계(S10), 농축액코팅단계(S20), 농축액코팅건조단계(S30), 분말코팅단계(S40), 분말코팅건조단계(S50) 및 멸균단계(S60)를 통해서 제조된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을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은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을 이용하여 곡물취반단계(S70) 및 진공포장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
곡물취반단계(S70)는 멸균된 분말코팅곡물 중량에 대해 물의 양을 1.2 ~ 1.4배로 투입 후 95~105℃ 온도에서 20분~40분 동안 취반할 수 있다.
이때, 새싹귀리분말이 코팅된 백미는 수분함량이 10 내지 20%이므로 취반시 백미와 함께 투입되는 물의 양이 많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취반을 실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진공포장단계(S80)는 취반된 분말코팅곡물의 내부압력을 0.2 ~ 1.2kg/㎠로 유지하고 질소가스를 충전하고 리드필름지로 밀봉한 후, 밀봉된 즉석밥을 상온 15 ~ 25℃ 온도로 쿨링하여 진공 포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 후 1~2시간 침지한 고형의 곡물과, 80 ~ 100℃ 온도에서 1 ~ 2시간 가열 후 50 ~ 60℃온도로 농축하여 질량농도가 40 ~ 50%가 되도록 농축된 새싹귀리농축액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
    상기 곡물 97 ~ 98 중량%와, 상기 새싹귀리농축액 0.5 ~ 1중량%를 교반하여 상기 새싹귀리농축액을 이용하여 상기 곡물의 표면을 코팅하는 농축액코팅단계;
    농축액코팅곡물을 100 ~ 150 rpm으로 0.5 ~ 1시간 동안 교반 후 30 ~ 50℃ 온도로 건조하는 농축액코팅건조단계;
    건조된 상기 농축액코팅곡물에 새싹귀리분말 0.5 ~ 1중량%와, 산화방지제 0.1 ~ 0.5 중량%와, 식용접착제 0.1 ~ 0.5 중량%를 분무한 후, 천연치자그린 0.1 ~ 0.5 중량%를 2분 간격으로 3 ~ 5회 가압 분무하여 상기 농축액코팅곡물의 표면을 고르게 코팅하는 분말코팅단계; 및
    상기 새싹귀리분말, 상기 산화방지제, 상기 식용접착제, 상기 천연치자그린이 코팅된 상기 분말코팅곡물을 120 ~ 130℃ 온도에서 4 ~10초 동안 3 ~ 5회 고온에서 반복적으로 고압 멸균하는 멸균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용접착제는 찹쌀가루가 포함된 곡물풀이고,
    상기 곡물풀은 찹쌀가루와 물을 1:2 중량비로 투입하고, 40 ~ 70℃ 온도에서 250 rpm으로 15 ~ 30분간 교반하여 제조하는,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풀은 투명성이 유지되도록 정제되고,
    상기 곡물풀은 쌀가루, 옥수수가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귀리분말은 상기 정제수를 이용하여 귀리의 여린잎 세척 후 24시간 자연 건조하고, 상기 자연건조 후 50℃ 온도에서 저온 건조하여 분쇄한 분말 상태인,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귀리분말은 60 내지 100 메쉬(mesh) 입자 크기를 갖는,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코팅단계는,
    상기 분말코팅곡물을 100 ~150 rpm으로 55 ~ 65℃ 온도에서 0.5 ~ 1시간 교반하여 건조시키는 분말코팅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새싹귀리가 코팅된 즉석밥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새싹귀리가 코팅된 즉석밥을 제조하는 단계는,
    멸균된 분말코팅곡물 중량에 대해 물의 양을 1.2 ~ 1.4배로 투입 후 95 ~ 105℃ 온도에서 20분 ~ 40분 동안 취반하는 곡물취반단계; 및
    취반된 상기 분말코팅곡물의 내부압력을 0.2 ~ 1.2kg/㎠로 유지하고 질소가스를 충전하고 리드필름지로 밀봉한 후, 밀봉된 새싹귀리가 코팅된 즉석밥을 상온 15 ~ 25℃ 온도로 쿨링하여 진공 포장하는 진공포장단계;를 포함하는,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을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
  7. 제6항에 기재된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을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새싹귀리가 코팅된 즉석밥을 포함하는, 새싹귀리가 코팅된 즉석밥.
KR1020200144025A 2020-11-02 2020-11-02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및 이를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 KR102296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025A KR102296442B1 (ko) 2020-11-02 2020-11-02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및 이를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025A KR102296442B1 (ko) 2020-11-02 2020-11-02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및 이를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442B1 true KR102296442B1 (ko) 2021-09-02

Family

ID=7779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025A KR102296442B1 (ko) 2020-11-02 2020-11-02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및 이를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685B1 (ko) * 2022-09-15 2022-12-12 (주)한국데리카후레쉬 복원용 밥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325A (ko) * 2000-07-12 2002-01-19 이영범 코팅 쌀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리된 제품
KR20030070513A (ko) 2002-02-25 2003-08-30 김도영 귀리(燕麥)의 성분이 함유된 청결미 제조방법.
KR20110046896A (ko) 2009-10-29 2011-05-06 김영환 곡물 플레이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곡물 플레이크
KR20130087863A (ko) 2012-01-30 2013-08-07 조홍래 투명 디스플레이 쇼케이스를 위한 온라인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1533536B1 (ko) * 2014-09-05 2015-07-09 이재운 녹차가 코팅된 즉석밥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325A (ko) * 2000-07-12 2002-01-19 이영범 코팅 쌀과 그 제조방법 및 조리된 제품
KR20030070513A (ko) 2002-02-25 2003-08-30 김도영 귀리(燕麥)의 성분이 함유된 청결미 제조방법.
KR20110046896A (ko) 2009-10-29 2011-05-06 김영환 곡물 플레이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곡물 플레이크
KR20130087863A (ko) 2012-01-30 2013-08-07 조홍래 투명 디스플레이 쇼케이스를 위한 온라인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1533536B1 (ko) * 2014-09-05 2015-07-09 이재운 녹차가 코팅된 즉석밥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685B1 (ko) * 2022-09-15 2022-12-12 (주)한국데리카후레쉬 복원용 밥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50495B (zh) 一种马铃薯固体饮品的制作方法
CN104585637A (zh) 一种紫薯燕麦冲调粥及其制备方法
KR102296442B1 (ko) 새싹귀리가 코팅된 곡물 및 이를 이용한 즉석밥 제조방법
KR101402079B1 (ko) 블루베리 호두 찐빵의 제조방법
CN100998402A (zh) 一种糜子米粉及其制备方法
CN104286687B (zh) 一种富含β-葡聚糖麦精的制备方法
KR20190042329A (ko) 2단계 발효에 의한 울금현미식초 제조방법
KR101913277B1 (ko) 매실발효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101421186B1 (ko) 사과조청을 이용한 한과의 제조방법
KR20200074451A (ko) 식이섬유가 함유된 양념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8391B1 (ko) 감귤농축액을 포함하는 감귤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7657B1 (ko) 여주를 이용한 환 형태의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8009A (ko) 아로니아 및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방법
CN105410606A (zh) 一种水果味儿童面粉及其制作方法
CN110720588A (zh) 一种营养全面的面粉及其制作工艺
KR100370775B1 (ko) 생식이 가능한 곡물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4638B1 (ko) 귀리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귀리 된장
CN1067865C (zh) 胡萝卜速食粥及其制造方法
KR20200106717A (ko) 곡물튀밥이 부착된 감귤칩 한과 및 그 제조방법
KR100686185B1 (ko) 겔 함유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67182A (ko) 김치맛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만들어진 김부각
KR102642419B1 (ko) 찹쌀을 이용한 김부각의 제조방법
CN109170570A (zh) 一种茶汁挂面的加工方法
Sakhale et al. Nutritional Values and Processing of Tropical Tuber Crops
KR102144017B1 (ko) 김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