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970B1 - 무릎 관절용 서포터 - Google Patents

무릎 관절용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970B1
KR102294970B1 KR1020167027066A KR20167027066A KR102294970B1 KR 102294970 B1 KR102294970 B1 KR 102294970B1 KR 1020167027066 A KR1020167027066 A KR 1020167027066A KR 20167027066 A KR20167027066 A KR 20167027066A KR 102294970 B1 KR102294970 B1 KR 102294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wearer
support
supporter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872A (ko
Inventor
아키하루 쓰치야
겐타 쓰즈라누키
히토시 오지마
히데노리 가세노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반싱구
디엠체인 교도쿠미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반싱구, 디엠체인 교도쿠미아이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9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61F13/062Openable re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착용자의 보행성을 높일 수 있는 테이핑 기능을 가지는 무릎 서포터를 제공한다. 무릎 서포터[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면 파스너의 루프면(21)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고, 착용자의 대퇴부에 체결되는 제1 앵커부(20)와, 착용자의 슬와부의 아래쪽에 적어도 배치되는 제2 앵커부(211),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 중 일 측방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12), 및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아래쪽에서 제1 지지부(211)에 교차하여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다른 측방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13)로 이루어지고, 밴드형의 직물로 직성되는 본체부(1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릎 관절용 서포터{KNEE SUPPORTER}
본 발명은, 착용자의 일상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 무릎 서포터(knee supporter)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착용자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슬개건(patellar tendon)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키는 테이핑(taping) 기능을 가지는 무릎 관절용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손목 관절(wrist joint), 발목 관절 또는 무릎 관절의 염좌(捻挫) 등의 외상 예방, 이들의 외상을 입었을 때의 응급 처치, 부상을 입은 후부터 완전 회복까지의 사회 복귀 요법의 보조, 또는 외상 등의 재발 예방 등의 의료용의 목적에 대응하기 위해, 밴드형(band-shaped)의 테이핑 테이프[신체의 부분에 접착하여 사용하는 신축성(伸縮性) 또는 비신축성(非伸縮性) 점착포(粘着布) 테이프] 또는 붕대(bandage)나 환편(丸編)으로 편성(編成)된 대략 통형(筒形)의 서포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테이핑 테이프는, 일회용이므로, 경제적이 아니고, 사용자의 체질에 따라서는 점착제(粘着劑)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발진이 생기게 하는 데다가, 고령자 등의 피부의 약한 사용자에는 테이핑 테이프를 벗길 때 표피 박리(剝離)가 생기게 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환편의 서포터는, 대략 통형이므로, 부상을 입은 부위를 무리하게 굽혀 삽입으로 하는 경우에 통증을 수반할 우려가 있는 데다, 테이핑 테이프와 비교하여 고정력이 뒤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붕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형체이므로, 환부에 추종하기 쉽고, 착용자 자신이 고정력을 조정하면서 권취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몸의 동작에 대하여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아, 안정된 고정력이 얻어져,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무릎 관절용 서포터는, 그 일면에 파일 기능을 가지고, 또한 그 한쪽 면의 단부(端部)에는 파일 기능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가지는 밴드형 신축성의 제1 벨트와, 그 일면에 파일 기능을 가지고, 또한 그 한쪽 면 단부에는 파일 기능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가지는 밴드형 신축성의 제2 벨트로 이루어지고, 제2 벨트는 그 기단부(基端部)를 제1 벨트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장착하도록 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종래의 무릎 교정구는, 신축(伸縮) 가능한 가압 밴드(가압부)의 기단(基端)은, 환형(環形) 권취부의 나선(螺旋) 권취의 기단이 봉합(縫合)되어 있는 개소에 봉합되고, 가압 밴드(가압부)의 선단의 단면(端面) 파스너(fastener)는 환형 권취부의 반대측의 연결단에 걸린다. 그러면, 가압 밴드에 의해, 나선 권취부의 기단은 가압단으로부터 연결단을 향해 가압되고, 따라서 나선 권취부는 그 신축 방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다리를 움직여도, 교정구가 느슨해지지 않아, 교정의 효과가 향상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종래의 무릎 관절용 서포터는, 신축성과 유연성을 가진 소재와, 표면을 매직 테이프와 계착할 수 있는 유연성과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한 환형 밴드(annular band)와 나선 밴드(spiral band)을 조합시켜 사용하고, 해부학적인 견지로부터와 운동 역학적 작용을 이용함으로써, 장착 시에 위화감(sense of discomfort)이 생기는 지주(支柱) 스테이 등의 보강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충분한 지지력과 고정력을 얻는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또한, 종래의 무릎 서포터는, 무릎뼈(patella) 아래쪽 외측으로부터 무릎 관절 내측을 통하여 대퇴 하부 후방측으로 걸어돌려지는 신축성의 내측 체결 벨트와, 무릎뼈 아래쪽 내측으로부터 무릎 관절 외측을 통하여 대퇴 하부 후방측으로 걸어돌려지는 신축성의 외측 체결 벨트를 서포터 본체에 형성하여 구성되며, 내측 체결 벨트는, 외측 체결 벨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신축성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참조).
또한, 종래의 무릎 관절용 서포터는, 대퇴부 부분, 하퇴부 부분 및 무릎 관절부 부분을 피복하는 탄력성 천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본체 표면의 좌우에 대퇴부 부분 위쪽으로부터 하퇴부 부분 아래쪽으로 건너 배치한 스테이와, 스테이를 덮도록 본체의 대퇴부 부분과 하퇴부 부분에 각각 형성한 스테이 커버(stay cover)와, 하퇴부 부분 중 어느 한쪽의 스테이 커버의 상방 측에 일단(一端)을 장착하는 경골조면(脛骨粗面) 상을 지나도록 하여 타단을 다른 쪽의 스테이 커버의 상방 측에 장착한 금속 부재와 결합 가능한 비신축성 또는 난신축성(難伸縮性)의 하퇴부 부분 전부(前部) 벨트와, 하퇴부 부분의 스테이 커버 중 어느 한쪽에 일단을 장착하고 하퇴부 부분의 후방을 지나도록 하여 타단을 다른 쪽의 스테이 커버에 장착한 금속 부재와 결합 가능한 비신축성 또는 난신축성의 하퇴부 부분 후부(後部) 벨트와, 대퇴부 부분의 스테이 커버 중 어느 한쪽에 일단을 장착하고 대퇴부 부분의 후방을 지나도록 하여 타단을 다른 쪽의 스테이 커버에 장착한 금속 부재와 결합 가능한 비신축성 또는 난신축성의 대퇴부 부분 후부 벨트와, 하퇴부 부분의 좌우 스테이 커버의 하방측에 각각 일단을 장착하는 경골조면 상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경사 위쪽으로 연장되고 대퇴부 부분에 도달하는 신축성의 2개의 보조 벨트를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5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2006-637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1-45628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5-168532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2-143311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평1-150915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무릎 관절용 서포터는, 제2 벨트를 아래쪽으로 인장(引張)하면서 하퇴부의 내선 방향(internal rotation direction)으로부터 감고, 제2 벨트의 일면에 형성한 파일 기능에 접합부를 접합하여 고정함으로써, 경골(脛骨; tibia)의 외측으로의 비틀림에 대하여 항상 내측에 장력이 걸려, 대퇴골이 내측에 경골이 외측으로 비틀림 없이 역방향으로 되돌리는 힘이 작용한다.그러므로, 종래의 무릎 관절용 서포터는, 다리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걸리는 제2 벨트에 의한 장력의 밸런스에 빠지는 것이며,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므로, 착용자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는, 제1 벨트 및 제2 벨트의 최대 신장도[최고 하중으로 잡아당겼을 때의 최장의 길이(신장 치수)와 원래의 길이(lay-flat size)와의 차이의, 원래의 길이에 대한 백분율]가 구체적인 개시는 없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종래의 무릎 교정구는, 나선 권취부의 앞의 대략 절반이 다리를 주회(周回)하여 권취되고, 나선 권취부의 앞 대략 절반의 주회 권취 부분이 환형 권취부와 같은 기능을 다하고 있고, 나선 권취부가 무릎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무릎의 외선(external rotation) 또는 내선(internal rotation)을 교정하는 것이며, 무릎 관절을 안정시키기 위한 테이핑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종래의 무릎 교정구는, 고무판의 표리면(表裏面)에 천[면 파스너 천(touch fastener cloth), 통상 천]이 접합 고정되어 있는 소재를 환형 권취부에 사용하고, 고무판의 주위를 천이 덮고 있는 소재를 나선 권취부에 사용하고 있고, 환형 권취부 및 나선 권취부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환형 권취부 및 나선 권취부의 최대 신장도의 구체적인 개시는 없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종래의 무릎 관절용 서포터는, 환형 밴드[환형 밴드 상부 밴드(upper band), 환형 밴드 하부 밴드(lower band)]와 나선 밴드(spiral band)와의 접합 수단 및 접합 위치가 불명하지만, 특허 문헌 3의 도면을 보는 한, 나선 밴드가 환형 밴드의 상부 밴드에 접합되어 있고, 나선 밴드가 환형 밴드의 하부 밴드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환형 밴드의 상부 밴드는, 나선 밴드의 상부 앵커로서 기능하고 있지만, 환형 밴드의 하부 밴드는, 나선 밴드의 하부 앵커로서 기능하고 있지 않으므로, 나선 밴드가 위쪽으로 어긋나 버리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종래의 무릎 서포터는, 서포터 본체의 하부가 통형의 하부 통형 본체이므로, 무릎 서포터를 장착하는 경우에, 개폐 플랩(opening-closing flap)을 개방한 상태에서 다리를 위쪽으로부터 하부 통형 본체에 꽂을 필요가 있어, 하퇴부의 주위 직경(circumference)의 개인차에 따라 사이즈 전개(展開)에 제한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무릎 서포터는, 내측 체결 벨트 및 외측 체결 벨트에서의 무릎뼈 아래쪽에서 교차한 부분을 1개의 신축성 생지(生地; cloth)로 이루어지는 플랩으로 구성하고,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교차 부분보다 아래쪽의 내측 체결 벨트 및 외측 체결 벨트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착용자의 무릎뼈를 끌어올리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종래의 무릎 관절용 서포터는, 양 보조 밴드가 무릎뼈 하부에 피팅되어 경골조면 상을 지나는 하퇴부 부분 전부(前部) 벨트 상에서 교차하고 있고, 직립 상태(upright position)에서 무릎이 굴곡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하퇴부 부분 전부 벨트에 의해 경골조면에 적당한 압박력이 가해져 경골조면을 정상(正常)인 위치로 끊임없이 되돌리도록 기능하여, 무릎이 크게 굴곡되면 보조 벨트에 의해 경골조면에 대한 압박력이 증대하여, 경골조면이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무릎 관절용 서포터는, 2개의 보조 밴드가 착용자의 무릎뼈를 들어 올리도록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착용자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슬개건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무릎 관절용 서포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에 있어서는, 면 파스너의 루프면(loop face)를 가지는 직물로 직성(織成)되고, 착용자의 대퇴부에 체결되는 제1 앵커부(anchor part)와, 밴드형의 직물로서, 적어도 착용자의 슬와부(膝窩部; popliteal region)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2 앵커부,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아래쪽으로부터 일 측방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아래쪽에서 제1 지지부에 교차하여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다른 측방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제1 앵커부 및 제2 앵커부에 접합되고, 제1 앵커부 및 본체부를 일체화하는 연결부와, 제2 지지부의 단부에 접합되고, 제1 앵커부의 루프면에 착탈(着脫)되는 면 파스너의 훅면(hook face)을 가지는 제1 계착부(engaging part)와, 제1 앵커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접합되고, 제1 앵커부의 루프면에 착탈되는 면 파스너의 훅면을 가지는 제2 계착부와, 제1 지지부의 단부에 접합되고, 제1 앵커부의 루프면에 착탈되는 면 파스너의 훅면을 가지는 제3 계착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본체부의 일단측에 제1 지지부가 형성되고, 본체부의 타단측에 제2 지지부가 형성되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사이에 제2 앵커부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가 같은 폭의 직선형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연결부가, 지지체를 내포한 좌우 한 쌍의 백형부(bag-shape part)로서,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양쪽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연결부가, 지지체를 내포한 좌우 한 쌍의 백형부와, 상기 좌우 한 쌍의 백형부, 제1 앵커부의 하변 및 제2 앵커부의 상변으로 포위되는 영역을 피복하는 피복부로서,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양쪽으로부터 착용자의 슬와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 이하의 기술(記述)에 있어서는, 「배치(being disposed)」란 「사람(착용자의 부위 기관)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 닿아 멈추어 두는 것」을 의미하여 나타내는 데 「배치」라고 하는 문언을 사용하고, 「형성(being provided)」란 「물품(서포터)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 형성한 것」을 의미하여 나타내는 데 「형성」이라고 하는 문언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에 있어서는, 본체부(지지부)에 의해 착용자의 무릎부(knee region)(무릎 관절)를 좌우로부터 협지함으로써, 착용자의 무릎부가 필요 이상으로 좌우로 떨리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에 있어서는, 본체부(지지부)에 의해 착용자의 무릎부(무릎 관절)를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들어 올려 지지함으로써, 대퇴사두근(大腿四頭筋)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보조하여, 착용자의 무릎부에 걸리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의 (a)는 루프면의 직물 조직(組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직물 조직의 화살표 A-A'선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2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2의 (a)에 나타낸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배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에 나타낸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제1 앵커부를 대퇴부에 체결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b)는 도 2에 나타낸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제1 지지부의 제3 계착부(engaging part)를 제1 앵커부에 계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c)는 도 2에 나타낸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제2 지지부의 제1 계착부를 제1 앵커부에 계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며, (d)는 도 2에 나타낸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우측면 측으로부터 본 설명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에 나타낸 본체부의 표지면(表地面; front ground face)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도 4의 (a)에 나타낸 직물 조직의 화살표 C-C'선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고 있지 않은 본체부의 무늬(pattern) 부분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b)는 도 5의 (a)에 나타낸 직물 조직의 화살표 D-D'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6의 (a)에 나타낸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제1 앵커부를 대퇴부에 체결시키는 동시에 제2 앵커부를 하퇴부에 체결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또한 다른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7의 (a)에 나타낸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제1 앵커부를 대퇴부에 체결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도 3의 (a)에 나타낸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배면도이다.
제1 앵커부(20)는, 착용자의 대퇴부에 체결함으로써, 착용자의 무릎 아래에서 교차하는 본체부(10)의 상부 앵커로 된다.
본체부(10) 및 제1 앵커부(20)는, 밴드형으로서, 니들 직기(needle loom)나 자카드(jacquard) 니들 직기 등의 역직기(power loom)에 의해, 경사(warp)(1) 및 위사(weft)(2)를 조합시켜 직성되고, 경사 방향(길이 방향 L, 주위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위사 방향(폭 방향 W)의 신축성을 억제한 세폭의 신축 직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부(10)는, 제1 지지부(12)가 본체부(10)의 일단(10a) 측에 형성되고, 제2 지지부(13)이 본체부(10)의 타단(10b) 측에 형성되고, 또한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가 같은 폭의 직선형이다.
또한, 제1 앵커부(20)의 경사(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사(2)와 함께 직물의 하나의 면[예를 들면, 안감면(background face)]을 구성하는 경지사(warp ground yarn)(1a)와, 경사 방향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위사(2) 상으로 떠올라 직물의 다른 면[예를 들면, 표지면(front ground face)]에 루프를 형성하는 파일사(pile yarn)(1b)와, 경사 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사(elastic yarn)(1c)를 구비한다.
위사(2)는, 경지사(1a)와 함께 직물의 안감면을 구성하는 위지사(weft ground yarn)(2a)와, 위지사(2a)에 병설되는 열융착성을 가지는 융착사(2b)를 구비하고, 1개의 위지사(2a) 및 1개의 융착사(2b)를 병설하여 2개의 위사(2)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는, 1개의 위지사(2a) 및 1개의 융착사(2b)를 1개의 위사(2)로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의 (b)에 있어서는, 병설되는 위사(2)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이 표지면으로 되고, 하측이 안감면으로 된다.
다음에, 도 1을 사용하여 제1 앵커부(20)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한다. 즉, 루프면(21)을 이루는 경지사(1a)는,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1-3의 교차 부침(浮沈)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루프면(21)을 이루는 파일사(1b)는,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6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2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고, 인접하는 2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2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6-2-2-2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루프면(21)을 이루는 탄성사(1c)는,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와의 1-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경지사(1a), 파일사(1b) 및 탄성사(1c)에 의한 직물 조직은, 일례이며, 표지면에 루프[루프면(21)]를 가질 수 있는 것이면, 이 직물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체부(10) 및 제1 앵커부(20)는,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특히, 탄성사(1c) 및 위지사(2a)의 굵기] 및 위사(2)의 타입(打入; picking) 횟수(개수)에 의해,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최대 신장도란, 「최고 하중으로 잡아당겼을 때의 최장의 길이[신장 치수)와 원래의 길이(lay-flat size)]라는 차이의, 원래의 길이에 대한 백분율」을 나타낸다.
특히, 본체부(10)의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는, 후술하는 관능 평가의 총합 목표 판단의 결과로부터, 40%∼8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75%가 더욱 바람직하고, 60%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앵커부(20)의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는, 본체부(10)의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앵커부(20)의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가 본체부(10)의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보다 큰 것에 의해, 제1 앵커부(20)에 의한 착용자의 대퇴부에 대한 체결력을 억제하면서[대퇴부의 혈류 저해(沮害)에 의한 착용자의 불쾌감을 일으키게 하지 않음], 본체부(10)의 긴체(緊締) 힘에 의해 무릎 관절을 고정하여 무릎 관절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무릎 관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탄성사(1c)의 굵기는, 420 데니어(denier)∼1120 데니어이면, 본체부(10)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를 상기 범위 내의 최대 신장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앵커부(20)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도 원하는 범위 내의 최대 신장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위사(2)의 위지사(2a)의 굵기는, 100 데니어∼300 데니어이면, 본체부(10)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를 상기 범위 내의 최대 신장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앵커부(20)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도 원하는 범위 내의 최대 신장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의 타입 횟수(개수)는, 2.54cm당 32.8회(각 32.8개)∼41.0회(각 41.0개)이면, 본체부(10)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를 상기 범위 내의 최대 신장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앵커부(20)의 경사 방향의 최대 신장도도 원하는 범위 내의 최대 신장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앵커부(20)에는, 착용자의 대퇴부에 제1 앵커부(20)를 체결한 경우에 외측으로 되는 면(표지면)에 루프[루프면(21)]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1 앵커부(20)에 배치한 제2 계착부(40)[훅면(43)]은, 탈착(脫着)의 용이성 및 계착 위치의 자유도로부터, 제1 앵커부(20)의 일단(20a) 또는 타단(20b)의 안감면 측에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본체부(10)에 배치한 제1 계착부(30)[훅면(33)]은, 탈착의 용이성 및 계착 위치의 자유도로부터, 본체부(10)의 타단(10b)의 안감면 측에 형성한다.
또한, 제1 앵커부(20)는, 제1 앵커부(20)의 루프면(21)에 착탈되는 면 파스너의 훅면(43)을 가지는 제2 계착부(40)을, 일단(20a) 또는 타단(20b)의 안감면 측에 구비함으로써, 제1 앵커부(20)의 원주 길이의 길이 조정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되어, 다양한 착용자의 대퇴부의 굵기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앵커부(20)는, 착용자의 대퇴부에 체결할 수 있는 원주 길이로 일단(20a)과 타단(20b)을 봉제(縫製)하여 환형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제1 앵커부(20) 및 본체부(10)에 의한 착용자의 대퇴부 및 하퇴부에 대한 체결력을 강하게 너무 강하게 하면, 대퇴부 및 하퇴부에서의 혈류 저해가 생기게 하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게 한다. 특히, 이 불쾌감은, 하퇴부에 비하여, 대퇴부에 있어서 현저하다.
그러므로, 본체부(10)에 대하여, 착용자의 체표(體表)에 접촉되는 제1 앵커부(20)의 면적을 넓혀 제1 앵커부(20)에 의한 체표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착용자에게 주어지는 불쾌감을 완화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앵커부(20)의 폭은, 본체부(10)의 폭보다 넓게, 예를 들면, 6cm∼8c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계착부(30)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과 등각(等脚) 사다리꼴을 조합한 평면 형상이며, 직사각형 부분(31)이 본체부(10)의 하나의 면(안감면)에 봉제되고, 등각 사다리꼴 부분(32)이 본체부(10)의 타단(10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계착부(40)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과 등각 사다리꼴을 조합한 평면 형상이며, 직사각형 부분(41)이 제1 앵커부(20)의 하나의 면(안감면)으로 봉제되고, 등각 사다리꼴 부분(42)이 제1 앵커부(20)의 타단(20b)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계착부(30)[제2 계착부(40)]는, 등각 사다리꼴 부분(32)(등각 사다리꼴 부분(42)이 본체부(10)의 타단(10b)[제1 앵커부(20)의 타단(20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본체부(10)[제1 앵커부(20)]와 중첩되지 않는 분만큼 얇아져, 등각 사다리꼴 부분(32)[등각 사다리꼴 부분(42)]을 착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把持)시키기 용이하여, 제1 앵커부(20)의 루프면(21)에 대하여 훅면(33)[훅면(43)]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 파스너의 루프면(21)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고, 착용자의 대퇴부에 체결되는 제1 앵커부(20)와, 적어도 착용자의 슬와부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2 앵커부(211), 착용자의 무릎뼈(300)에 대응하는 부분의 아래쪽으로부터 일 측방으로 팽팽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지지부(12), 및 착용자의 무릎뼈(300)에 대응하는 부분의 아래쪽에서 제1 지지부(12)에 교차하여 착용자의 무릎뼈(300)에 대응하는 부분의 다른 측방으로 팽팽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지지부(13)로 이루어지고, 밴드형의 직물인 본체부(10)와, 제1 앵커부(20) 및 제2 앵커부(211)에 접합되고, 제1 앵커부(20) 및 본체부(10)를 일체화하는 연결부(70)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앵커부(211)는,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 사이에 형성되어 본체부(10)를 구성하고, 또한 제1 지지부(12), 제2 앵커부(211) 및 제2 지지부(13)가 같은 폭의 직선형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부(70)는, 지지체(72)를 내포한 좌우 한 쌍의 백형부(71)로서,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양쪽에 팽팽하게 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좌우의 백형부(71)[지지체(72)]를 구별하기 위해, 도 2의 (a)에 있어서, 좌측의 백형부(71)[지지체(72)]를 좌측 백형부(71a)[좌측 지지체(72a)]라고 하고, 우측의 백형부(71)[지지체(72)]를 우측 백형부(71b)[우측 지지체(72b)]라고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본체부(10)의 타단(10b)인 제2 지지부(13)의 단부에 접합되고, 제1 앵커부(20)의 루프면(21)에 착탈되는 면 파스너의 훅면(33)을 가지는 제1 계착부(30)와, 제1 앵커부(20)의 일단(20a) 또는 타단(20b)에 접합되고, 제1 앵커부(20)의 루프면(21)에 착탈되는 면 파스너의 훅면(43)을 가지는 제2 계착부(40)와, 본체부(10)의 일단(10a)인 제1 지지부(12)의 단부에 접합되고, 제1 앵커부(20)의 루프면(21)에 착탈되는 면 파스너의 훅면(63)을 가지는 제3 계착부(60)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3 계착부(60)[훅면(63)]는, 탈착의 용이성 및 계착 위치의 자유도로부터, 본체부(10)의 일단(10a)의 안감면 측에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3 계착부(60)는, 예를 들면,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과 등각 사다리꼴을 조합한 평면 형상이며, 직사각형 부분(61)이 본체부(10)의 하나의 면(안감면)에 봉제되고, 등각 사다리꼴 부분(62)이 본체부(10)의 일단(1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계착부(60)는, 등각 사다리꼴 부분(62)이 본체부(10)의 일단(1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본체부(10)와 중첩되지 않는 분만큼 얇아져, 등각 사다리꼴 부분(62)을 착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시키기 용이하여, 제1 앵커부(20)의 루프면(21)에 대하여 훅면(63)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그리고,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착용자의 좌측 다리 또는 우측 다리의 무릎에 착용 가능한 좌우 겸용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 파스너의 루프면(10d)을 가지고 있지 않은 신축 직물이라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는, 본체부(10)가 면 파스너의 루프면(10d)를 가지고 있지 않은 신축 직물이라도, 40%∼8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75%가 더욱 바람직하고, 60%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본체부(10)는, 루프면(10d)를 이루는 파일사(1b)를 필요로 하지 않고, 파일사(1b)에 의한 루프를 유지하는 융착사(2b)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경사(1)를 구성하는 파일사(1b)의 교체에, 전술한 경지사(1a)[이하, 본체부(10)의 경지사(1a)를 「제1 경지사(1a)」라고 함)에 대하여 위사(2)와의 교차 부침을 반대로 대응시킨 경지사(1a)[이하, 제2 경지사(1d)라고 함]를 사용하고 있다.
즉, 경사(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사(2)와 함께 직물의 하나의 면(예를 들면, 안감면)을 구성하는 제1 경지사(1a)와, 경사 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사(1c)와, 위사(2)와 함께 직물의 다른 면(예를 들면, 표지면)을 구성하는 제2 경지사(1d)를 구비한다.
또한, 위사(2)는, 제1 경지사(1a)와 함께 직물의 안감면을 구성하는 위지사(2a)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4의 (b) 및 도 5의 (b)에 있어서는, 병설되는 위사(2)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이 표지면으로 되고, 하측이 안감면으로 된다.
또한, 본체부(10)는, 자카드 니들 직기를 사용함으로써,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위사(2)에 대하여, 경사(1)의 제1 경지사(1a)(예를 들면, 녹색의 실)를 표지면 측으로 떠올려[제2 경지사(1d)(예를 들면, 흑색의 실)를 안감면 측에 가라앉게 하여], 자유롭게 개구되는 쟈가드 조직에 의해, 문자, 도형 또는 기호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무늬(14)를 표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한다. 즉, 제1 경지사(1a)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1-3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탄성사(1c)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1-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제2 경지사(1d)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3-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제1 경지사(1a), 탄성사(1c) 및 제2 경지사(1d)에 의한 직물 조직은, 일례이며, 이 직물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도 5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무늬 부분의 직물 조직의 일례를 설명한다. 즉, 무늬(14)를 이루는 제1 경지사(1a)는,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3-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무늬(14)를 이루는 탄성사(1c)는,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1-1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또한, 무늬(14)를 이루는 제2 경지사(1d)는,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상측을 통하여 떠올리고, 인접하는 3개의 위사(2)[위지사(2a)]에 대하여 하측을 통하여 가라앉히는, 위사(2)[위지사(2a)]와의 1-3의 교차 부침을 반복하여, 직물 조직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제1 경지사(1a), 탄성사(1c) 및 제2 경지사(1d)에 의한 직물 조직은, 일례이며, 표지면에 무늬(14)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이 직물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체부(10)의 최대 신장도를 60%(1.60배±0.1)로 설정하고, 제1 앵커부(20)의 최대 신장도를 95%(1.95배±0.1)로 설정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제1 경지사(1a) 및 제2 경지사(1d)는, 굵기 100 데니어의 울리 나일론 쌍사(wooly nylon two-fold yarn)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152개의 울리 나일론 쌍사를 제1 경지사(1a) 및 제2 경지사(1d)에 각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앵커부(20)의 경지사(1a)는, 굵기 100 데니어의 울리 나일론 쌍사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앵커부(20)에는, 200개의 울리 나일론 쌍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앵커부(20)의 파일사(1b)는, 10개의 나일론 필라멘트를 꼬아 합하고 열을 가하여, 다시 10개의 나일론 필라멘트의 꼰 방향(twisting direction)과 반대 방향으로 꼬아 가공한 굵기 235 텍스의 특수 가공실(235T-10F)이며,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앵커부(20)에는, 200개의 특수 가공실(235 T-10F)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탄성사(1c)는, 굵기 560 데니어의 폴리우레탄사[예를 들면, 도레이·오페론텍스 가부시키가이샤의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 「라이크라(등록상표) 섬유」]에 2개의 굵기 15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울리(EW: polyester woolly) 단사(單絲; single yarn)를 커버링한 커버링사(covering yarn)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41개의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앵커부(20)의 탄성사(1c)는, 굵기 840 데니어의 폴리우레탄사[예를 들면, 아사히 가세이 파이버 가부시키가이샤의 스판덱스(폴리우레탄 섬유) 「로이카(등록상표」]에 2개의 굵기 15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울리(EW) 단사를 커버링한 커버링사이며,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앵커부(20)에는, 53개의 커버링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의 위지사(2a)는, 굵기 15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울사(woolly yarn)(EW) 1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본체부(10)의 위사(2)는, 파일사(1b)에 의한 루프를 유지하는 융착사(2b)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본체부(10)의 위사(2)에 융착사(2b)를 구비하고,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져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에는, 역직기에 의해 1개의 위지사(2a)가 위사(2)로서 타입(打入)되고, 위사(2)[위지사(2a)]의 타입 횟수(개수)가 2.54cm(1인치)당 33.6회(33.6개)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앵커부(20)의 위지사(2a)는, 굵기 15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울리(EW) 단사 1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앵커부(20)의 융착사(2b)에는, 굵기 100 데니어의 나일론 열융착 단사[예를 들면,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엘더(등록상표」] 1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앵커부(20)에는, 역직기에 의해 1개의 위지사(2a) 및 1개의 융착사(2b)가 위사(2)로서 동시에 타입되고, 위사(2)[위지사(2a), 융착사(2b)]의 타입 횟수(개수)가 2.54cm(1인치) 당 30.8회(각 30.8개)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전술한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특히, 탄성사(1c) 및 위지사(2a)의 굵기]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에 의해,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를 60%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나일론 47%, 폴리에스테르 44%, 폴리우레탄 9%의 혼율(混率)이지만, 이 혼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앵커부(20)는, 전술한 경사(1) 및 위사(2)의 재질[특히, 탄성사(1c) 및 위지사(2a)의 굵기] 및 위사(2)의 타입 횟수(개수)에 의해,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를 95%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앵커부(20)는, 나일론 66%, 폴리에스테르 24%, 폴리우레탄 10%의 혼율이지만, 이 혼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체부(10)는, 무릎 아래의 교차부 및 아래쪽 앵커를 구성하기 위해, 착용자의 무릎 아래에서 교차하는 부분[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의 길이와, 착용자의 슬와부의 아래쪽에서 착용자의 하퇴부를 적어도 반바퀴 도는 부분[제2 앵커부(211)]의 길이가 필요하며, 성별이나 연령 등에 의해 무릎 주위나 하퇴부의 굵기에 개인차는 있지만, 예를 들면, 44cm∼52cm(예를 들면, S사이즈: 44cm, M사이즈: 48cm, L사이즈: 52cm)의 길이로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앵커부(20)는, 착용자의 대퇴부를 주회하기 위해, 예를 들면, 밴드형체의 길이를 29cm∼37cm(예를 들면, S사이즈: 29cm, M사이즈: 33cm, L사이즈: 37c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부(70)의 백형부(71)는, 폴리에스테르 100%의 더블 라셀 생지(double Russell fabric)(예를 들면, 이노우에 니트 가부시키가이샤의 품번 「7200 SK」)를 사용하고 있고, 지지체(72)를 협지시켜 직사각형(예를 들면, 세로 17.5cm, 가로 6cm)의 더블 라셀 생지를 절반으로 절첩(折疊)하고, 접힘 부분을 제외하고 주위 에지부를 봉제함으로써, 지지체(72)를 내포하는 구조로 한 것이다.
그리고, 백형부(71)는, 완충성을 가지는 생지이면, 더블 라셀 생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네오프렌(neoprene)의 양면에 다른 생지를 본딩한 생지나 발포 우레탄의 양면에 다른 생지를 본딩한 생지 등이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좌측 백형부(71a)[우측 백형부(71b)]는, 제1 앵커부(20)의 일단(20a)[타단(20b)]으로부터 좌측 백형부(71a)[우측 백형부(71b)]의 중심선까지의 거리가 약 6cm가 되는 위치에, 좌측 백형부(71a)[우측 백형부(71b)]의 상변과 제1 앵커부(20)의 상변(20d)을 맞추어 안감 측으로부터 접합(예를 들면, 봉제)되고, 본체부(10)의 일단(10a)[타단(10b)]으로부터 좌측 백형부(71a)[우측 백형부(71b)]의 중심선까지의 거리가 약 14.5cm가 되는 위치에, 좌측 백형부(71a)[우측 백형부(71b)]의 하변과 본체부(10)의 하변을 맞추어 안감 측으로부터 접합(예를 들면, 봉제)되어 있다. 그러나, 백형부(71)[좌측 백형부(71a), 우측 백형부(71b)]의 접합 위치는, 본체부(10) 및 제1 앵커부(20)의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좌측 백형부(71a)[좌측 지지체(72a)]의 상단(上端) 및 우측 백형부(71b)[우측 지지체(72b)]의 상단 사이의 간격에 대한, 좌측 백형부(71a)[좌측 지지체(72a)]의 하단(下端) 및 우측 백형부(71b)[우측 지지체(72b)]의 하단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게 한정되지 않고, 상이한(넓은, 좁은) 구성이라도 되고, 본체부(10) 및 제1 앵커부(20)의 경사 방향(길이 방향 L)의 최대 신장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백형부(71)에 내포되는 지지체(72)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100%의 1.2㎜∼4.0㎜ 두께의 PP판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판두께 및 재질의 PP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발포체(예를 들면, 「선펠카(Sunpelca)(등록상표)」, 「벨포렌(Belporen)」), 경질(硬質)의 염화 비닐판, 경질의 고무(러버)판, 또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이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체(72)는, 판형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기둥이나 각기둥(角柱) 등의 기둥형체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中空) 또는 홈을 가지는 기둥형체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또는 홈에 별개의 부재를 끼워맞춘 기둥형체 등이라도 된다.
특히, 백형부(71)에 내포된 지지체(72)가, 주면(主面)에 수직인 방향으로 만곡되는(주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쉽게 만곡되지 않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판형체인 것에 의해, 착용자의 무릎 관절이 굴곡된 경우에, 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만곡된 지지체(72)의 복원력에 의해, 착용자의 무릎 관절을 정상인 위치로 되돌리려고 하는 힘이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백형부(71)[좌측 백형부(71a), 우측 백형부(71b)]는, 본체부(10) 및 제1 앵커부(20)의 안감 측에서 접합함으로써,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본체부(10) 및 제1 앵커부(20)에 대하여 내측(착용자측)에 연결부(70)[지지체(72)]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연결부(70)[백형부(71), 지지체(72)]의 상단 및 하단을 본체부(10) 및 제1 앵커부(20)로 압압(押壓)할 수 있어, 연결부(70)[백형부(71), 지지체(72)]의 상단 및 하단의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연결부(70)[백형부(71)]의 상단과 제1 앵커부(20)는, 제1 앵커부(20)의 상변(20d) 측으로부터 안감 측으로 제1 앵커부(20)의 상변(20d)을 접고(folded), 제1 앵커부(20)의 접음 부분에서 연결부(70)[백형부(71)]의 상단을 협지하여 접합함으로써, 백형부(71)의 상단을 보강하여, 지지체(72)에 의한 백형부(71)의 상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의 착용 방법에 대하여,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우측 관절에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를 착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착용자의 좌측 관절에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우측 관절」, 「하퇴부의 외측면」, 「하퇴부의 내측면」을 각각 「좌측 관절」, 「하퇴부의 내측면」, 「하퇴부의 외측면」으로 바꾸어 읽어, 착용한다.
착용자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앵커부(20)의 일단(20a)을 무릎 머리 근방의 대퇴부의 중앙에 맞추어 왼손으로 제1 앵커부(20)의 일단(20a)을 가압하고, 오른손으로 제1 앵커부(20)를 대퇴부에 권취하고, 신장(伸長) 상태의 제1 앵커부(20)를 대퇴부에 배치시키고, 제1 앵커부(20)의 타단(20b)에 있는 제2 계착부(40)의 훅면(43)을 제1 앵커부(20)의 루프면(21)에 계착시켜, 제1 앵커부(20)를 대퇴부에 체결한다.
이 경우에, 좌측의 연결부(70)[좌측 백형부(71a), 좌측 지지체(72a)]는, 착용자의 무릎뼈(300) 및 봉공근(縫工筋; sartorius muscle)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의 연결부(70)[우측 백형부(71b), 우측 지지체(72b)]는, 착용자의 무릎뼈(300) 및 장경인대(腸脛靭帶)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착용자는, 오른손으로 본체부(10)[제1 지지부(12)]의 일단(10a)을 파지하면서 본체부(10)의 제1 지지부(12)를 견인하고, 우측 관절의 무릎뼈(300)에 대응하는 부분의 아래쪽으로부터 우측편에 신장 상태의 본체부(10)의 제1 지지부(12)를 배치시킨다.
그리고, 착용자는,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앵커부(20)의 루프면(21)에 본체부(10)의 일단(10a)에 있는 제3 계착부(60)의 훅면(63)을 계착시킨다. 이 경우에, 제1 지지부(12)는, 우측의 연결부(70)[우측 백형부(71b), 우측 지지체(72b)]에 중첩시켜, 우측의 연결부(70)를 압압하게 된다.
그리고, 착용자는, 왼손으로 본체부(10)[제2 지지부(13)]의 타단(10b)을 파지하여, 우측 관절의 무릎뼈(300)에 대응하는 부분의 아래쪽에서 제1 지지부(12)에 교차하면서 좌측편에 신장 상태의 본체부(10)의 제2 지지부(13)를 배치시킨다.
마지막으로, 착용자는, 도 3의 (c) 및 도 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앵커부(20)의 루프면(21)에 본체부(10)의 타단(10b)에 있는 제1 계착부(30)의 훅면(33)을 계착시켜, 완료한다. 이 경우에, 제2 지지부(13)는, 좌측의 연결부(70)[좌측 백형부(71a), 좌측 지지체(72a)]에 중첩시켜, 좌측의 연결부(70)를 압압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의 착용 방법은, 우측 관절의 무릎뼈(300)에 대응하는 부분의 우측편으로부터 본체부(10)의 제1 지지부(12)를 배치시킨 후에, 우측 관절의 무릎뼈(300)에 대응하는 부분의 좌측편으로부터 본체부(10)의 제2 지지부(13)을 배치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우측 관절의 무릎뼈(300)에 대응하는 부분의 좌측편으로부터 본체부(10)의 제2 지지부(13)를 배치시킨 후에, 우측 관절의 무릎뼈(300)에 대응하는 부분의 우측편으로부터 본체부(10)의 제1 지지부(12)를 배치시켜도 된다.
이상과 같이,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본체부(10)[제1 지지부(12), 제2 지지부(13)]가, 착용자의 무릎뼈(300)(무릎 관절)를 하퇴 측으로부터 대퇴 측을 향해 아래로부터 들어올려 에워싸도록 고정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내측 측부인대(medial collateral ligament) 및 내측 측부인대를 지지함으로써, 대퇴사두근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보조할 수 있어, 무릎 관절의 좌우의 진동을 억제하여, 무릎에 걸리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본체부(10)[제1 지지부(12), 제2 지지부(13)]가, 착용자의 무릎 관절을 좌우로부터 협지하여 압압하고, 착용자의 무릎 인대(내측 측부인대 및 내측 측부인대)의 여분의 신장을 제한함으로써, 무릎 관절의 연골의 연마(abrasion)나 인대의 염증(炎症)을 억제하여, 무릎 관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연결부(70)를 구비함으로써,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에 의해 제2 앵커부(211)를 견인하는 상태에 있어서도, 제1 앵커부(20)와 제2 앵커부(211)와의 간격을 유지하여, 제2 앵커부(211)의 밀려올라감을 방지하면서,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의 신장에 기초한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의 교차 부분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교차 부분에 의한 무릎뼈(300)의 인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의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에 상당하는 2개의 밴드형의 지지부를 구비한 무릎 서포터의 장착은, 착용자의 무릎 관절을 서포트하는 방법으로서 효과적이다. 즉, 2개의 밴드형의 지지부[예를 들면, 제1 지지부(12)와 제2 지지부(13)]를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측으로 교차하고나서, 좌우의 양쪽에 배치시켜, 상기 무릎뼈를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들어 올리도록 무릎 서포터[예를 들면,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를 장착함으로써, 2개의 밴드형의 지지부가 착용자의 무릎뼈를 좌우로부터 협지하면서, 2개의 밴드형의 지지부의 교차 부분이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한 작용점으로 하여 무릎뼈를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들어올리도록 지지하므로, 대퇴사두근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보조하여, 착용자의 무릎부에 걸리는 부담을 경감된다는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밴드형의 지지부를 구비한 무릎 서포터에,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의 제1 앵커부(20)에 상당하는 루프면을 가지는 밴드형의 앵커부를 구비한 무릎 서포터의 장착은, 착용자의 무릎 관절을 서포트하는 방법으로서 더욱 효과적이다. 즉, 착용자의 대퇴부에 고정한 밴드형의 앵커부[예를 들면, 제1 앵커부(20)]의 루프면에, 2개의 밴드형의 지지부[예를 들면, 제1 지지부(12)와 제2 지지부(13)]의 일단을 각각 계착시켜 무릎뼈를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들어올리도록 무릎 서포터를 장착함으로써, 무릎 서포터가 착용자의 무릎 관절의 위치에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2개의 밴드형의 지지부의 작용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제2 앵커부(211),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가 연속하여 일체로 직성된 본체부(10)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앵커부(211)와 제1 지지부(12)와 제2 지지부(13)를 별개의 부재로서 직성하고, 제1 지지부(12) 및 제2 지지부(13)를 제2 앵커부(211)에 각각 접합하여 일체로 한 본체부(10)라도 된다.
이 경우에, 제2 앵커부(211)는, 면 파스너의 루프면(211e)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고, 제2 앵커부(211)의 루프면(211e)에 착탈되는 면 파스너의 훅면을 가지는 제4 계착부(80)를, 일단(211a) 또는 타단(211b)[도 6(a)에서는, 타단(211b)]의 안감면 측에 구비하는 것이 된다.
이 형태이면,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앵커부(211)가 착용자의 하퇴부를 주회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에 의해, 제2 앵커부(211)에 의한 앵커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앵커부(20)의 일단(20a)의 표지면[루프면(21)] 측에, 제1 앵커부(20)의 타단(20b)을 삽통(揷通)시키는 것이 가능한 환형의 손잡이(25)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의 착용 방법 중 제1 앵커부(20)의 장착에 있어서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가, 착용자의 대퇴부에 제1 앵커부(20)를 권취하고, 제1 앵커부(20)의 일단(20a)에 있는 손잡이(25)에 제1 앵커부(20)의 타단(20b)에 있는 제2 계착부(40)를 삽통시킨다.
그리고, 착용자는, 제1 앵커부(20)의 타단(20b)[제2 계착부(40)]을 왼손으로 파지하고, 제1 앵커부(20)의 일단(20a)[손잡이(25)]을 오른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타단(20b)[제2 계착부(40)] 및 일단(20a)[손잡이(25)]을 상대하는 방향으로 각각 견인하여, 제2 계착부(40)의 훅면(43)을 제1 앵커부(20)의 루프면(21)에 계착시켜, 제1 앵커부(20)를 대퇴부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손잡이(25)는, 제2 계착부(40)의 존재하지 않는 파지하기 어려운 제1 앵커부(20)의 일단(20a)을 오른손으로 견인하는 경우에, 착용자의 손가락을 당겨 걸어 파지하기 용이하여,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인 등의 착용자에 의한 견인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무늬(14)를 본체부(10)에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자카드 니들 직기를 사용하여 무늬(14)를 본체부(10)에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도 8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8의 (b)는 도 3의 (a)에 나타낸 무릎 관절용 서포터의 배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2∼도 7과 같은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부(7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72)를 내포한 좌우 한 쌍의 백형부(71)[좌측 백형부(71a), 우측 백형부(71b)]와, 상기 좌우 한 쌍의 백형부(71), 제1 앵커부(20)의 하변(20c) 및 제2 앵커부(211)의 상변(211d)으로 포위되는 영역을 피복하는[제1 앵커부(20) 및 제2 앵커부(211)에 봉제되고, 착용자의 슬개골(kneecap side) 측을 개방하고, 착용자의 슬와부 및 무릎의 양 측면을 피복하는] 피복부(73)로서,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양쪽으로부터 착용자의 슬와부에 팽팽하게 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부(73)는, 제1 앵커부(20), 제2 앵커부(211) 및 백형부(71)[좌측 백형부(71a), 우측 백형부(71b)]로 포위되는 영역에 중첩되는 직사각형의 생지로 이루어지고,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의 안감면 측에 봉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부(73)는, 면혼파워 네트(cotton-blended power net)(예를 들면, 이노우에 니트 가부시키가이샤의 품번 「CI1543」(혼율: 나일론 60%[실번(yarn count) 56 데식스], 면 23%(실번 40 단사), 폴리우레탄 17%(실번 310 데식스)의 생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피복부(73)는, 신축성을 가지는 생지이면, 면혼파워 네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경편 생지 또는 경직 생지로서, 안감면에 기모(起毛)를 가지고,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신장되는 투웨이 트리코트(two-way tricot) 기모[예를 들면, 이노우에 니트 가부시키가이샤의 품번 「NS4426K」(혼율: 폴리에스테르 85%, 폴리우레탄 15%, 경편기 게이지 수(warp knitting machine gauge number): 28 게이지, 중량(weight per unit area): 250g/m2, 원사(原絲): 36개의 필라멘트를 꼬아 가공한 굵기 56 데식스의 폴리에스테르사, 44 데식스의 폴리우레탄사), 경편의 투웨이 트리코트(원사로서, 예를 들면, 이노우에 니트 가부시키가이샤의 품번 「3100」(혼율: 폴리에스테르 83%, 폴리우레탄 17%), 이노우에 니트 가부시키가이샤의 품번 「5100」(혼율: 나일론 85%, 폴리우레탄 15%)]이나, 폴리에스테르 100%의 더블 라셀 생지(예를 들면, 이노우에 니트 가부시키가이샤의 품번 「7200 SK」)나, 환편의 베어 플레인(bare plain)[원사로서, 예를 들면, 이노우에 니트 가부시키가이샤의 품번 「YG103」(혼율: 면 95%, 폴리우레탄 5%)] 등의 생지라도 된다.
그리고,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복부(73)를 구비하는 곳만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른 곳이며, 후술하는 피복부(73)에 의한 작용 효과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제1 앵커부(20), 제2 앵커부(211) 및 백형부(71)[지지체(72)]에 대하여 내측(착용자측)에 피복부(73)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무릎 관절이 굴곡된 경우에, 피복부(73)가 완충재로 되고, 제1 앵커부(20) 및 제2 앵커부(211)가 접근하여 제1 앵커부(20) 및 제2 앵커부(211)에서 슬와부의 피부가 협지되는 것에 의한 불쾌감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피복부(73)는, 제1 앵커부(20)와 중첩된 영역 중, 제1 앵커부(20)의 상변(20d) 및 양 측변에서 봉제하고, 제1 앵커부(20)의 하변(20c)에서 봉제하고 있지 않고, 제2 앵커부(211)와 중첩된 영역 중, 제2 앵커부(211)의 하변(211c) 및 양 측변의 하변측 일부에서 봉제하고, 제2 앵커부(211)의 상변(211d)에서 봉제하고 있지 않다.
이 봉제 위치에 따라 제1 앵커부(20) 및 제2 앵커부(211)와의 최대 신장도가 상이한 피복부(73)가, 제1 앵커부(20) 및 제2 앵커부(211)의 신장 동작에 추종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피복부(73)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앵커부(20)의 상변(20d)에서 피복부(73)를 표지측으로 접어 접합함으로써, 제1 앵커부(20)의 상변(20d)에서 만곡된 피복부(73)가 완충재로 되고, 제1 앵커부(20)[상변(20d)]의 에지 단부가 착용자의 대퇴부의 배면측의 맨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앵커부(20)[상변(20d)]의 에지 단부로부터의 압압력(押壓力)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제1 앵커부(20)의 상변(20d) 측으로부터 안감 측으로 제1 앵커부(20)의 상변(20d)을 접고, 제1 앵커부(20)의 접음 부분에서 피복부(73) 및 연결부(70)[백형부(71)]의 상단을 협지하여 접합함으로써, 백형부(71)의 상단을 보강하여, 지지체(72)에 의한 백형부(71)의 상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지지체(72)를 내포한 백형부(71)와, 피복부(73)로 이루어지는 연결부(7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앵커부(20) 및 본체부(10)[제2 앵커부(211)]를 일체화하는 구성이면, 피복부(73)로 이루어지는 연결부(70)라도 된다.
또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는, 맨살에 직접 권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2011/090194호 팜플렛에 개시되는 무릎 관절 서포터나 무릎부를 구비하는 이너 웨어(스패츠, 스타킹류, 타이츠 및 팬티·스타킹류)를 착용한 무릎 관절에 대하여, 무릎 관절 서포터 상이나 이너 웨어 상에 권취함으로써, 맨살에 대한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의 미끄러짐을 없게 하여, 무릎 관절용 서포터(200)의 작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1: 경사
1a: 경지사(제1 경지사)
1b: 파일사
1c: 탄성사
1d: 제2 경지사
2: 위사
2a: 위지사
2b: 융착사
10: 본체부
10a: 일단
10b: 타단
10c: 일측 변
10d: 루프면
11: 권취부
12: 제1 지지부
13: 제2 지지부
14: 무늬
20: 제1 앵커부
20a: 일단
20b: 타단
20c: 하변
20d: 상변
21: 루프면
25: 손잡이
30: 제1 계착부
31: 직사각형 부분
32: 등각 사다리꼴 부분
33: 훅면
40: 제2 계착부
41: 직사각형 부분
42: 등각 사다리꼴 부분
43: 훅면
60: 제3 계착부
61: 직사각형 부분
62: 등각 사다리꼴 부분
63: 훅면
70: 연결부
71a: 좌측 백형부
71b: 우측 백형부
72: 지지체
72a: 좌측 지지체
72b: 우측 지지체
73: 피복부
80: 제4 계착부
200: 무릎 관절용 서포터
211: 제2 앵커부
211a: 일단
211b: 타단
211c: 하변
211d: 상변
211e: 루프면
300: 무릎뼈

Claims (4)

  1. 면 파스너의 루프면을 가지는 직물로 직성되고, 착용자의 대퇴부에 체결되는 제1 앵커부;
    밴드형의 직물로서, 착용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착용자의 슬와부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2 앵커부, 착용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아래쪽으로부터 일 측방에 배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착용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아래쪽에서 상기 제1 지지부에 교차하여 상기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다른 측방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제1 앵커부 및 상기 제2 앵커부에 접합되고, 상기 제1 앵커부 및 상기 본체부를 일체화하는 연결부;
    상기 제2 지지부의 단부에 접합되고, 상기 제1 앵커부의 루프면에 착탈되는 면 파스너의 훅면을 가지는 제1 계착부;
    상기 제1 앵커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접합되고, 상기 제1 앵커부의 루프면에 착탈되는 면 파스너의 훅면을 가지는 제2 계착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에 접합되고, 상기 제1 앵커부의 루프면에 착탈되는 면 파스너의 훅면을 가지는 제3 계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단측에 상기 제1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타단측에 상기 제2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상기 제2 앵커부가 형성되는,
    무릎 관절용 서포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같은 폭의 직선형인, 무릎 관절용 서포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지지체를 내포한 좌우 한 쌍의 백형부로서, 상기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양쪽에 배치되는, 무릎 관절용 서포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지지체를 내포한 좌우 한 쌍의 백형부와, 상기 좌우 한 쌍의 백형부, 상기 제1 앵커부의 하변 및 상기 제2 앵커부의 상변으로 포위되는 영역을 피복하는 피복부로서, 상기 착용자의 무릎뼈에 대응하는 부분의 양쪽으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슬와부에 배치되는, 무릎 관절용 서포터.
KR1020167027066A 2014-03-03 2015-03-03 무릎 관절용 서포터 KR102294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40935 2014-03-03
JP2014040935 2014-03-03
JP2014043638 2014-03-06
JPJP-P-2014-043638 2014-03-06
JP2014266458 2014-12-26
JPJP-P-2014-266458 2014-12-26
PCT/JP2015/056222 WO2015133479A1 (ja) 2014-03-03 2015-03-03 膝サポーター及び膝関節のサポート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872A KR20160129872A (ko) 2016-11-09
KR102294970B1 true KR102294970B1 (ko) 2021-08-26

Family

ID=5405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066A KR102294970B1 (ko) 2014-03-03 2015-03-03 무릎 관절용 서포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751211B2 (ko)
EP (1) EP3115028B1 (ko)
JP (1) JP6603651B2 (ko)
KR (1) KR102294970B1 (ko)
CN (1) CN106061440B (ko)
CA (1) CA2939900A1 (ko)
CL (1) CL2016002199A1 (ko)
EA (1) EA032887B1 (ko)
ES (1) ES2886586T3 (ko)
MY (1) MY184658A (ko)
PH (1) PH12016501723A1 (ko)
PL (1) PL3115028T3 (ko)
SG (1) SG11201607155WA (ko)
TW (1) TWI670106B (ko)
WO (1) WO2015133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41684S (ko) * 2015-06-26 2016-01-18
TR201517806A2 (tr) * 2015-12-31 2016-09-21 Kipas Mensucat Isletmeleri Anonim Sirketi Pamuk i̇pli̇kleri̇yle dokunmuş kumaşa zimparalama prosesi̇ uygulamaksizin zimparalanmiş kumaş özelli̇kleri̇ni̇n elde edi̇lmesi̇
GB2538154B8 (en) * 2016-03-30 2017-05-24 Haddenham Healthcare Ltd A limb compression garment and method of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a limb
JP6708563B2 (ja) * 2017-01-18 2020-06-10 中山式産業株式会社 ひざ用サポーター
JP7242030B2 (ja) * 2018-10-04 2023-03-20 株式会社フィジオスタジオ エラストマー装具
JP7433855B2 (ja) * 2019-11-25 2024-02-20 ヤーマン株式会社 サポーター器具
KR20220160569A (ko) * 2020-03-31 2022-12-0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하지 교정구
JP7387553B2 (ja) * 2020-07-29 2023-11-28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足関節不安定性評価用装置
US20220061429A1 (en) * 2020-08-27 2022-03-03 The Fix Marketing, LLC Gaming gloves
KR20240007177A (ko) * 2021-05-12 2024-01-16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보강 지지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서포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4156A1 (en) * 2002-04-26 2003-10-30 Nelson Ronald E. Knee brace with patella stabilizer
KR200353935Y1 (ko) 2004-03-25 2004-06-22 김신교 무릎 관절 보호대
US20040176715A1 (en) 2003-03-04 2004-09-09 Nelson Ronald E. Self adjusting knee brace
JP2005168532A (ja) * 2003-12-05 2005-06-30 Yasuo Nishikawa 膝関節サポーター
US20080188786A1 (en) 2006-11-01 2008-08-07 Activewrap Inc Orthopaedic compress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5046A (en) * 1974-08-09 1976-03-23 Lawrence Thompson Stromgren Flexible knee support
JP2647871B2 (ja) 1987-12-08 1997-08-27 富士通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装置のサーボ機構
JPH0325773Y2 (ko) 1988-04-05 1991-06-04
CN2079949U (zh) * 1990-12-23 1991-07-03 隋登武 药物护膝
US5221252A (en) * 1991-10-15 1993-06-22 Tru-Fit Marketing Corp. Adjustable knee support
US5507722A (en) * 1994-12-09 1996-04-16 Richardson; James V. Amputation cylinder dressing
US5860945A (en) * 1996-12-31 1999-0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elastic thermal knee wrap
FR2759285B1 (fr) * 1997-02-13 1999-05-14 Richard Freres Sa Genouillere avec bandes de derotation
JP4407850B2 (ja) * 1999-03-30 2010-02-03 ダイヤ工業株式会社 膝関節矯正ベルト
JP2006006375A (ja) * 2004-06-22 2006-01-12 Dm Shokai:Kk 膝関節用サポーター
US8162867B2 (en) * 2004-07-22 2012-04-24 Nordt Development Co., Llc Body support for spanning a hinge joint of the body comprising an elastically stretchable framework
US7762973B2 (en) * 2004-12-22 2010-07-27 Ossur Hf Spacer element for prosthetic and orthotic devices
KR20070075091A (ko) * 2006-01-12 2007-07-18 이영록 무릎통증 완화용 결착패드
US7959591B2 (en) * 2006-03-15 2011-06-14 Djo, Llc Device and method for externally rotating the femur
US7837638B2 (en) * 2007-02-13 2010-11-23 Coolsystems, Inc. Flexible joint wrap
JP4353441B2 (ja) * 2008-03-03 2009-10-28 進 中谷 手首バンド
JP4997612B2 (ja) * 2009-08-28 2012-08-08 政則 愛知 四肢矯正具
TWI551227B (zh) * 2010-01-22 2016-10-01 Kowa Co Knee support belt
KR100975400B1 (ko) * 2010-02-03 2010-08-12 정해천 관절 보호대
JP5033225B2 (ja) 2010-06-28 2012-09-26 株式会社シラック・ジャパン 膝装具
TWI586288B (zh) * 2010-12-28 2017-06-11 Kowa Co Leg support belt
JP5771009B2 (ja) 2011-01-07 2015-08-26 ダイヤ工業株式会社 膝サポータ
TWM411264U (en) * 2011-04-19 2011-09-11 li-xin Zhang Socks with protection function
CN202068990U (zh) * 2011-06-15 2011-12-14 浙江华尔纺织科技有限公司 钛金属护膝
CN202168875U (zh) * 2011-06-20 2012-03-21 王秀娟 膝关节制动固定带
EP2578255A1 (en) * 2011-10-06 2013-04-1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Needle safety device
TWM429157U (en) * 2011-12-28 2012-05-11 zhao-wei Huang Carry-on protection warning device
CN202566382U (zh) * 2012-02-22 2012-12-05 彪仕医技股份有限公司 脚膝盖护具
CN202774246U (zh) * 2012-09-05 2013-03-13 北京立同罗科贸有限公司 一种护膝
JP6101503B2 (ja) * 2013-02-13 2017-03-22 旭化成株式会社 弾性織物
US10058446B2 (en) * 2013-02-28 2018-08-28 Mueller Sports Medicine, Inc. Knee brace
TWM462623U (zh) * 2013-05-06 2013-10-01 Univ Nat Quemoy 鬆緊度可調整之護具
US20140378883A1 (en) * 2013-06-20 2014-12-25 Randall Cooper Garment for Promoting Dynamic Alignment of a Knee
US10463545B2 (en) * 2014-04-10 2019-11-05 Walter R. NOVICK Human joint prot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4156A1 (en) * 2002-04-26 2003-10-30 Nelson Ronald E. Knee brace with patella stabilizer
US20040176715A1 (en) 2003-03-04 2004-09-09 Nelson Ronald E. Self adjusting knee brace
JP2005168532A (ja) * 2003-12-05 2005-06-30 Yasuo Nishikawa 膝関節サポーター
KR200353935Y1 (ko) 2004-03-25 2004-06-22 김신교 무릎 관절 보호대
US20080188786A1 (en) 2006-11-01 2008-08-07 Activewrap Inc Orthopaedic compress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5028A4 (en) 2017-10-11
US10751211B2 (en) 2020-08-25
JP6603651B2 (ja) 2019-11-06
ES2886586T3 (es) 2021-12-20
CL2016002199A1 (es) 2017-03-03
CN106061440A (zh) 2016-10-26
MY184658A (en) 2021-04-14
US20170071773A1 (en) 2017-03-16
KR20160129872A (ko) 2016-11-09
EA032887B1 (ru) 2019-07-31
EP3115028B1 (en) 2021-06-23
CN106061440B (zh) 2019-01-04
PH12016501723B1 (en) 2016-10-24
JPWO2015133479A1 (ja) 2017-04-06
CA2939900A1 (en) 2015-09-11
EP3115028A1 (en) 2017-01-11
TW201538211A (zh) 2015-10-16
PL3115028T3 (pl) 2022-02-14
SG11201607155WA (en) 2016-10-28
PH12016501723A1 (en) 2016-10-24
TWI670106B (zh) 2019-09-01
WO2015133479A1 (ja) 2015-09-11
EA201691769A1 (ru)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4970B1 (ko) 무릎 관절용 서포터
JP5777557B2 (ja) サポーター
KR101557384B1 (ko) 무릎 관절 서포터
US10821015B2 (en) Ankle brace
TWI679008B (zh) 足關節用繃帶
JP2018076628A (ja) 腰用サポーター
KR102314566B1 (ko) 손목 관절용 붕대
KR20190090819A (ko) 체간 서포터 및 그것을 구비한 웨어
JP6489470B2 (ja) 腰用サポーター
JP6256007B2 (ja) 衣類
JP3123091U (ja) 肌着コルセット
EP3972547B1 (en) Wearable tubular textile article
JP6018673B2 (ja) サポーター
JP3741210B2 (ja) サポーター
JP3237255U (ja) 足関節用サポーター
JP6298857B2 (ja) スパッツ
JP2023124509A (ja) 肘関節用サポーター
JP5680437B2 (ja) おむつカバー
JP3165039U (ja) 股関節補助具用デザイン性カバー
JP2013091881A (ja) サポ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