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600B1 -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600B1
KR102292600B1 KR1020190066152A KR20190066152A KR102292600B1 KR 102292600 B1 KR102292600 B1 KR 102292600B1 KR 1020190066152 A KR1020190066152 A KR 1020190066152A KR 20190066152 A KR20190066152 A KR 20190066152A KR 102292600 B1 KR102292600 B1 KR 102292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nience store
picking
product
unmanned convenience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9534A (ko
Inventor
최중인
Original Assignee
최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인 filed Critical 최중인
Priority to KR1020190066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600B1/ko
Priority to PCT/KR2020/007235 priority patent/WO2020246809A1/ko
Publication of KR20200139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편의점 서버, 그리고 상기 편의점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운송로봇 등을 구비한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이 고객으로부터의 주문을 기반으로 상품을 픽킹하여 제공하는 실시예, 특히 고객들로부터 복수 개의 주문이 수신된 경우 최적의 픽킹 경로를 연산해 내어 고객들에게 신속하게 상품들을 제공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AN AUTONOMOUS CONVENIENCE STORE SYSTEM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편의점 서버, 그리고 상기 편의점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운송로봇 등을 구비한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이 고객으로부터의 주문을 기반으로 상품을 픽킹하여 제공하는 실시예, 특히 고객들로부터 복수 개의 주문이 수신된 경우 최적의 픽킹 경로를 연산해 내어 고객들에게 신속하게 상품들을 제공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에서 편의점 이용은 점점 더 필수적인 것이 되어 가고 있다. 각종 생활용품, 비상약, 음식물 등을 구비하고 있는 편의점과 먼 거리에 있는 마켓까지 갈 시간이 없는 현대인의 이해 관계가 맞아 떨어지면서 점차 편의점 시장이 확장되어 가고 있다.
한편, 종래의 편의점은 일반적으로 이를 관리하는 인력이 있어 물품 정리, 계산 등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인력들에 소요되는 비용이 만만치 않기에 그 동안 편의점업을 영위하는 주체들의 경우 인력을 고용하지 않은 채 자신이 직접 물품정리 및 계산을 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 다른 한편, 종래의 편의점은 물품들을 진열하기 위한 공간, 물품을 계산하기 위한 공간, 그리고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 등과 같이 서로 다른 목적의 공간들을 넓게 필요로 하였기 때문에 하나의 편의점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의 토지를 임대하기 위한 비용과 관리비가 필요하였다.
또한, 종래의 편의점은 물품 재고가 떨어진 경우, 수급을 맞추기 위해 수시로 물품들을 공급받아야 했으며, 이러한 배달을 담당하는 인력 및 물품정리를 위한 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이처럼 편의점은 현대인의 일상에 반드시 필요한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에는 비효율성을 가지는 요소들이 여럿 존재하여 왔는바, 본 발명은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무인 편의점 시스템 또는 힉스 스토어(Higgs store)라 명명될 수 있는 무인 편의점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 그리고 이러한 무인 편의점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0594호 (2017.4.20. 등록)
본 발명은 관리를 위한 인력이 없이도 운용이 가능한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물품을 보관하는 공간, 그리고 물품을 출고시키는 공간만을 둠으로써 최소한의 영역 상에서 편의점업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을 판매한 이력에 따라 경험적으로 물품의 수급을 맞추도록 함으로써 물류 최적화가 가능한 편의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편의점 시스템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관리 서버가,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주문정보를 수신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b)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한 상품주문정보 내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상기 상품주문정보 내 포함된 상품을 수령할 수 있는 무인 편의점을 결정하는 단계; (c)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d) 관리 서버가,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 내 로컬 서버로 상기 상품주문정보가 포함된 상품준비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e) 로컬 서버가, 상기 상품준비명령을 기초로 당해 무인 편의점 내 구비된 픽킹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픽킹 로봇으로 하여금 상기 상품주문정보에 따른 상품들을 픽킹하도록 한 후 출고부에 제공하는 단계;(f) 로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출고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인 편의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가 생성하는 제어명령 내에는 당해 무인 편의점 내에서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픽킹 경로가 더 포함되되, 상기 픽킹 경로는 당해 무인 편의점 내 상품들의 위치가 XYZ 공간 상에서 정의되어 있음을 전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편의점 시스템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관리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상품주문정보들을 수신하고 각 상품주문정보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b)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한 상품주문정보들 내 포함된 각 사용자 단말기들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각 사용자들이 상기 상품주문정보들 내 포함된 상품을 수령할 수 있는 무인 편의점을 결정하는 단계; (c)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d) 관리 서버가,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 내 로컬 서버로 상기 상품주문정보들이 포함된 상품준비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e) 로컬 서버가, 상기 상품준비명령을 기초로 당해 무인 편의점 내 구비된 픽킹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픽킹 로봇으로 하여금 상기 상품주문정보들에 따른 상품들을 픽킹하도록 한 후 출고부에 제공하는 단계; (f) 로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의 출고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인 편의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가 생성하는 제어명령 내에는 당해 무인 편의점 내에서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묶음 픽킹 경로가 적어도 하나 포함되되, 상기 묶음 픽킹 경로는 당해 무인 편의점 내 상품들의 위치가 XYZ 공간 상에서 정의되어 있음을 전제로 생성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묶음 픽킹 경로는 상기 복수의 상품주문정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주문정보들 내 포함된 모든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묶음 픽킹 경로는, 상기 복수의 상품주문정보들 내 포함된 상품들 각각의 당해 무인 편의점 내 위치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존재하는 상품들이 더 많이 포함된 상품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주문정보들 내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 편의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 또는 로컬 서버 중 하나가, 복수의 사용자들의 과거 구매 이력이 포함된 빅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구매 패턴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편의점 시스템은,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주문정보를 수신하고 결제를 수행하고, 상기 수신한 상품주문정보 내 포함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상기 상품주문정보 내 포함된 상품을 수령할 수 있는 무인 편의점을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 내 로컬 서버로 상기 상품주문정보가 포함된 상품준비명령을 전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인 편의점 시스템은,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 내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상품준비명령을 기초로 당해 무인 편의점 내 구비된 픽킹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픽킹 로봇으로 하여금 상기 상품주문정보에 따른 상품들을 픽킹하도록 한 후 출고부에 제공하도록 상기 픽킹 로봇을 제어하는 로컬 서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편의점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상품주문정보들을 수신하고 각 상품주문정보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수신한 상품주문정보들 내 포함된 각 사용자 단말기들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각 사용자들이 상기 상품주문정보들 내 포함된 상품을 수령할 수 있는 무인 편의점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 내 로컬 서버로 상기 상품주문정보들이 포함된 상품준비명령을 전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인 편의점 시스템은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 내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상품준비명령을 기초로 당해 무인 편의점 내 구비된 픽킹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픽킹 로봇으로 하여금 상기 상품주문정보들에 따른 상품들을 픽킹하도록 한 후 출고부에 제공하도록 상기 픽킹 로봇을 제어하는 로컬 서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인 편의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가 생성하는 제어명령 내에는 당해 무인 편의점 내에서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묶음 픽킹 경로가 적어도 하나 포함되되, 상기 묶음 픽킹 경로는 당해 무인 편의점 내 상품들의 위치가 XYZ 공간 상에서 정의되어 있음을 전제로 생성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묶음 픽킹 경로는 상기 복수의 상품주문정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주문정보들 내 포함된 모든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기존 편의점에서 가장 공간이 많이 차지하는 상품진열대, 고객쇼핑공간, 계산대 등을 없앨 수 있으며, 고객들이 단말기(예: 스마트폰)를 상품을 검색, 주문, 및 결제하는 경우 컨테이너 형태의 무인 편의점 내 자동화 된 설비들(예: 운송로봇)을 통해 주문된 물품들을 픽킹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서는 기존의 매장유지를 위한 임대료 및 관리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편의점은 규격화된 하우징으로 구현 및 단순 설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매장 인테리어 및 기타 설비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협소한 공간에도 빠르게 무인 편의점을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많은 지역에 고객의 수요에 따라 편의점의 개수를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객의 접근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렇게 설치된 무인 편의점은 필요한 경우 이전 역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편의점을 완전 무인시스템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인력 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보안화폐를 통해 결제 정산을 하도록 함으로써 저가 소규모 상품 매출에 따른 수수료 등 금융비용을 현금과 같이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의 개략적인 서비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무인 편의점의 실제 구현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무인 편의점 내부를 위에서 본 것으로, 물품 픽킹을 위한 설비들을 무인 편의점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4는 무인 편의점 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편의점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복수의 고객들에 의해 주문이 접수된 경우, 무인 편의점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무인 편의점 내부의 상품들의 위치정보가 XYZ 공간으로 정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무인 편의점 내에서 픽킹 경로, 혹은 비용함수값의 최적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복수의 고객들에 의해 주문이 접수된 경우 묶음 피킹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묶음 피킹 경로가 생성된 경우 픽킹 로봇의 이동경로 최적화를 위해 딥러닝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개념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무인 편의점 시스템 내에서의 상품의 수요 공급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은, 로컬 서버(100)들과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나아가 고객의 사용자 단말기(300)들과도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관리서버(200), 무인 편의점 (1000A, 1000B) 및 당해 무인 편의점(1000)과 대응되는 로컬 서버(미도시)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관리서버(200)는, 장치의 측면에서 볼 때 중앙처리유닛(CPU)과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중앙처리유닛은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유닛은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쉬(flash) 메모리, SRAM(Static RA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중앙처리유닛 및 메모리 외에도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로컬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200)가 수행하는 역할 측면에서 볼 때, 상기 관리서버(2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300A, 300B)로부터, 즉 고객으로부터 주문정보를 수신하고, 이렇게 수신된 주문정보를 기초로 고객이 가장 편하고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는 무인 편의점(1000), 또는 상기 주문을 발주한 고객이 직접 선택한 무인 편의점(1000)에 물품들을 픽킹하도록 픽킹 오더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200)가 수신하는 상기 주문정보에는 고객이 주문을 발주한 시각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당해 관리서버(200)는 상기 고객이 무인 편의점(1000)에 물품들을 픽킹하기 위해 도달하는 시각까지 추정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기(300)란 특정되지 않은 임의의 고객이 휴대하고 있는, 또는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들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여기에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이 연산을 위한 중앙처리유닛(CPU)와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외부의 다른 구성들, 즉 관리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 기능도 갖출 것을 요한다.
또 다른 한편, 상기 관리서버(200)는 후술하게 될 무인 편의점(1000) 내 로컬서버와 공유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주문정보들을 기반으로 연산을 할 수도 있는데, 이 때 관리서버(200)가 정보들을 기반으로 연산을 한다는 것의 의미는 대용량의 정보를 받아 처리하는 소위 빅데이터 처리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서버(200)는 데이터 추출, 변환, 적재 용 모듈 (data ETL Sqoop)을 활용하여 상기 관리정보 내 포함되는 데이터들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데이터 대기모듈(Data Que Kafka), 데이터고속처리모듈(SPARK Stream)로 보내어 데이터처리모듈로 하여금 먼저 데이터분산파일시스템 (Hadooop HDFS)에 원본파일을 저장하고, 이를 정제한 후 빅데이터저장장치 (Hadoop HBASE)에 저장시키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축적된 빅데이터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에서 응용프로그램연계(API)를 통해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의 구성들 중 관리서버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은 각 무인 편의점(1000)과 대응되는 로컬서버(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컬서버(100)는, 예를 들어 각 무인 편의점(1000)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들을 수집 및 보관하며, 이러한 정보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와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로컬서버(10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상품주문정보를 참조하여 무인 편의점(1000) 내에서 픽킹 로봇(1050)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볼 때에, 위 로컬서버 역시 앞서 설명한 관리서버와 유사하게 중앙처리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1000)의 외형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1000)의 외형을 바깥으로부터 바라 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무인 편의점(1000)은 내부에 상품들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외벽(1001), 바깥에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개구부(1002),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상품들을 적층할 수 있는 저장부(1010), 그리고 사용자가 상품을 픽업할 수 있는 출고부(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인 편의점(1000)에는 앞서 언급한 로컬서버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외벽(1001)과 관련하여, 외벽(1001)은 무인 편의점(1000)의 전체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외벽(1001)은 콘크리트 및 철근 구조물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외벽(1001)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임의의 부지 상에 축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벽(1001)은 반드시 콘크리트 및 철근 구조물로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금속 패널로 이루어진 소위 컨테이너 형태의 것으로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렇게 금속 패널의 외벽(1001)으로 이루어진 컨테이너 형의 경우 임의의 부지 상에 설치 및 철거가 비교적 자유로워 운영자의 필요에 따라 쉽게 무인 편의점(1000)을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무인 편의점(1000)의 외벽(100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기존 편의점 건물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줄어든 공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인 편의점(1000)의 너비(W)는 3m 이내, 깊이(D)는 8m이내, 높이는 5m 이내가 되도록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무인 편의점(1000)의 외벽(100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수치들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편의점(1000)이 그 만큼 적은 면적의 부지 및 적은 공간만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위 수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값일 수 있음을 이해한다. 또 한편, 상기 무인 편의점(1000)을 구성하는 외벽(1001)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품들을 입고시키기 위한 입고부(1060)(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개구부(1002)와 관련하여, 당해 개구부(1002)는 무인 편의점(1000)의 전면 외벽(1001)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해당 개구부(1002)를 통해서는 바깥쪽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용자가 내부의 상품 이송 상황을 살필 수 있다. 상기 개구부(1002)는 바람직하게는 외부로부터의 불법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의 패널로 막혀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강화유리가 개구부(1002)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개구부(1002)는 무인 편의점(1000)을 구현하는 데에 있어서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닐 수 있으며, 다만 상품의 출고를 기다리는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한다.
다음으로 저장부(1010)와 관련하여, 무인 편의점(1000) 내에는 외벽(1001)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상품들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부(1010)가 구성될 수 있는데, 이 저장부(1010)는 바람직하게는 선반 또는 랙(rack)과 같이 다수의 상품들을 올려둘 수 있는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저장부(1010)를 구성하는 구조물을 랙(rack)이라 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저장부(1010)를 구성하는 랙은 공간 내에서 후술하게 될 픽킹 로봇(1050)을 비롯하여 상품 픽킹을 위한 설비들이 설치가 될 수 있는 공간을 제외한 채 남은 공간에 설치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2의 개구부(1002)를 통해서도 보이듯 랙이 양측면의 외벽(1001) 내측에 각각 설치되고, 2개의 랙 사이의 공간에서 픽킹 로봇(1050)이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랙에는 복수의 팔레트들, 즉 상품이 담길 수 있는 팔레트들이 더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팔레트들은 입고부(1060)를 통해 새로이 상품들이 입고될 때에 픽킹 로봇(1050)에 의해 입고부(1060) 쪽으로 이동되어 상품들이 담길 수 있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출고부(1020)와 관련하여, 상기 출고부(1020)는 사전에 상품을 주문한 사용자가 직접 상품을 수령할 수 있는 공간 내지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와 같이 외벽(1001)의 일면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부분 중에는 픽킹 로봇(1050)에 의해 픽킹된 상품들이 올려질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의 평평한 면이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출고부(1020)는 사용자가 쉽게 상품들을 수령할 수 있도록 외벽(1001)의 하단에, 더 구체적으로는 1m 이하의 높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무인 편의점(1000)을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모습을 설명하였다.
도 3은 무인 편의점(1000)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무인 편의점(1000)과는 별개의 무인 편의점(1000)이며, 이하에서는 도 3의 평면도를 참조하여 무인 편의점(1000) 내부를 살펴보기로 한다.
무인 편의점(1000)의 내부에는 상품을 픽킹하기 위한 복수의 설비들이 구비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예를 들어 복수의 레일들, 그리고 레일들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한 픽킹 로봇(1050)이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레일과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할 때에 복수의 레일들은 무인 편의점(1000) 내부를 수평 및 수직으로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x축레일(1031), 제2 x축레일(1032)이 각각 평면도 상에서 윗단과 아랫단에, 그리고 제1 y축레일(1041) 내지 제4 y축레일(1044)이 복수 개의 랙(1011, 1012, 1013)들과 교대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일들은 무인 편의점(1000)의 천장면 또는 바닥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무인 편의점(1000)의 천장면에 설치가 되어 픽킹 로봇(1050)으로 하여금 중력을 이용해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픽킹 로봇(1050)과 관련하여, 픽킹 로봇(1050)은 복수의 랙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품을 직접 픽킹할 수 있는 자동화 된 장치를 일컫는 것이다. 당해 픽킹 로봇(1050)은 무인 편의점(1000) 내 구비되어 있는 로컬 서버(100)의 제어명령에 따라 구동되며, 사용자가 사전에 주문해 둔 상품들을 픽킹한 후 최종적으로 출고부(1020) 상에 사용자가 수령 가능한 상태로 놓아두는 기능을 한다. 픽킹 로봇(1050)의 더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게 될 도 4를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할 때에, 앞서 도 2에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던 입고부(1060)가 도시되어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입고부(1060)는 무인 편의점(1000)의 외벽(1001)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개구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평면도 상에서 입고부(1060)는 레일에 의해 픽킹 로봇(1050)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며, 나아가 팔레트가 활용되는 경우 상기 입고부(1060)에는 팔레트가 놓일 수 있는 평면이 존재할 수 있다.
도 4는 무인 편의점(1000)을 정면에서 바라본 내부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3에서의 도면부호 1011 및 1012 랙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픽킹 로봇(1050)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픽킹 로봇(1050)을 살펴볼 때, 픽킹 로봇(1050)은 세부적으로 스트링(1051), 픽커(1052), 카트(1053)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에 스캐너(105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스트링(1051)은 픽킹 로봇(1050)으로 하여금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스트링(1051)은 예를 들어 제2 y축레일과의 접점에 존재하는 제1감김구성의 구동에 따라 감김 및 풀림이 이루어져 픽킹 로봇(105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트링(1051)은 레일에 매달린 도르래에 감긴 채 및 픽킹 로봇(1050)의 몸체에 구비되는 제2감김구성의 구동에 따라 픽킹 로봇(105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스트링(1051)은 픽킹 로봇(105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앞서는 구현예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위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한다.
픽커(1052)는 픽킹 로봇(1050)의 본체(body)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상품을 직접적으로 픽킹하는 구조를 가진다. 픽커(1052)는 상기 픽킹 로봇(1050)의 본체로부터 연장되되 길이가 변할 수 있는 구조, 즉 상품 픽킹을 위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는 암(arm)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품 픽킹의 성공률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커(105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형태의 구조일 수 있으나, 상품 집어 들어올릴 수 있는 이상 또 다른 상이한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카트(1053)는 위 픽커(1052)에 의해 픽킹이 된 상품이 보관되는 것으로, 당해 카트(1053)는 상기 픽커(105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픽커(1052)가 상품을 픽킹한 뒤 홀딩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카트(1053) 위까지 암(arm)의 길이를 줄인 후 홀딩을 풀어줌으로써 당해 상품이 카트(1053)에 떨어져 담기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트(1053)는 반드시 픽킹 로봇(1050)의 본체 하부에 고정적으로 구비된 구성요소는 아닐 수 있으며, 픽킹 로봇(1050)의 본체 하부에 구비된 또 다른 픽업구조에 의해 픽업된 바스켓(바구니)일 수 있다. 즉, 픽킹 로봇(1050)은 주문된 상품들을 픽업하라는 제어명령이 수신되었을 때 1차적으로 본체 하부에 구비된 픽업구조를 이용해 바스켓을 픽업하여 고정시킨 후, 해당 바스켓 내에 픽커(1052)가 픽킹한 물품들을 담도록 할 수 있으며, 모든 상품들에 대한 픽킹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물품이 들어 있는 바스켓을 출고부(1020) 상에 릴리즈(release)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상품들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카트(1053) 또는 바스켓은 봉투로 대체할 수도 있다. 즉, 상품들을 픽업하라는 제어명령이 수신되었을 때 픽킹 로봇(1050)은 본체 하부에 구비된 픽업구조를 이용하여 봉투(종이봉투, 비닐봉투 등)를 픽업한 뒤 상품이 투입될 수 있도록 봉투 입구를 열어 젖힌 후 해당 봉투 내에 픽커(1052)가 픽킹한 물품들을 담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봉투에 직접 상품들을 담도록 구현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출고부(1020)에 봉투에 담긴 상품들이 수령가능한 상태로 놓이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캐너(1054)는 픽킹 로봇(1050)이 픽킹하고자 하는 상품을 인식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해당 스캐너(1054)는 바람직하게는 RFID방식의 것일 수 있으나, 설계에 따라 바코드 인식 방식 또는 형상 인식 방식이 스캐너(1054)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픽킹 로봇(1050)이 로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명령에는 상품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 예를 들어 A번째 랙의 B 번째 층 중 정면으로부터 C번째 위치와 같이 상품의 위치정보까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픽킹 로봇(1050)은 위와 같은 상품의 위치정보를 좇아 픽킹 작업을 수행하게 될 것이나, 설계를 달리하여 픽킹 작업 시작을 위한 제어명령 내에 상품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품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해당 상품을 픽킹하기 직전 다시 한번 픽킹하고자 하는 상품이 맞는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있어 상기 스캐너(1054)가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스캐너(1054)가 RFID방식의 것이고, 상기 픽킹 로봇(1050)은 별도로 상품의 위치정보 없이 픽킹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경우, 주문 상품들을 픽업하라는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픽킹 로봇(1050)은 복수 개의 상품들이 놓인 랙 주변을 상기 RFID 방식의 스캐너(1054)로 스캐닝하면서 주문 상품들을 하나씩 찾아 픽킹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때, 랙 상에 놓여 있는 각 상품들에는 각각 구별되는 RFID 칩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픽킹 로봇(1050)에 구비된 스캐너(1054)는 각 상품들의 RFID 칩으로부터의 신호가 주문된 상품의 것인지를 스캐닝 하여 픽킹을 요하는 상품을 찾아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스캐너(1054)가 바코드 리더 방식의 것이고, 상기 픽킹 로봇(1050)은 각 상품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제어명령에 따라 구동되도록 설계된 경우, 주문 상품들을 픽업하라는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픽킹 로봇(1050)은 우선 주문된 상품들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상품이 놓여 있는 위치로 이동하며, 이동 후에는 해당 위치에 놓여 있는 상품이 실제 주문 상품이 맞는지를 스캐너(1054)의 바코드 인식 기능을 통하여 재차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각 상품들에 개별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이처럼 픽킹 로봇(1050)에 구비된 스캐너(1054)는 상품을 픽킹하는 데에 있어 각 상품을 구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도 2 내지 도 4를 통하여서는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할 때, 가장 먼저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30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사용자의 주문정보를 수신하며, 선택한 상품들에 대한 결제 등을 하는 온라인 주문 수신 및 결제 단계(S101)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무인 편의점(1000)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즉 온라인 주문 및 결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품을 선택하고 결제 할 수 있다.
온라인 주문 및 결제 이후, 관리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상품주문정보,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하나의 무인 편의점(1000), 다시 말해 수령장소가 될 무인 편의점(1000)을 결정한다. (S102) 일 예시로, 관리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사용자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는 무인 편의점(1000)들을 검색할 수 있으며, 이 무인 편의점(1000)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상품주문정보, 즉 주문된 상품들의 재고가 있는 무인 편의점(1000)을 선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그 결과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수령 장소를 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관리 서버(200)는 주문 상품들의 재고가 존재하는 무인 편의점(1000)들 중 사용자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무인 편의점(1000)을 수령 장소로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수령장소가 될 무인 편의점(1000)이 결정된 이후,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상기 수령장소로 결정된 무인 편의점(1000)에 대한 정보를 전달(S103A)할 수 있으며, 동시에 수령장소로 결정된 무인 편의점(1000), 더 정확하게는 무인 편의점(1000) 내 로컬 서버(100)에 상품준비명령을 전달(S103B)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달되는 무인 편의점(1000)에 대한 정보에는 수령장소로 결정된 무인 편의점(1000)의 명칭, 위치, 전화번호, 또는 이동경로가 포함될 수 있다. 무인 편의점(1000)으로 전달되는 상품준비명령에는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상품들의 품목, 크기, 양, 상품번호, 생산(제조)업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3B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수령장소로 결정된 무인 편의점(1000)으로 상기 사용자의 도착예정시각을 연산한 뒤 해당 정보를 함께 전달할 수도 있다. 도착예정시각을 연산하는 데에 활용되는 정보로는 사용자의 주문시각정보, 사용자의 현재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나아가 관리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방식, 즉 상기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을 하는지 아니면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을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더 수신(이동방식에 대한 정보 수신은 상기 온라인 주문 및 결제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질의응답 기능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하여 상기 사용자가 수령장소에 도착할 예정시각을 연산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이동방식이 차량을 이용한 방식으로 파악된 경우, 관리 서버(200)는 현재교통정보를 더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출발점으로부터 수령장소까지의 경로와 해당 경로를 따라 이동할 경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여 최종적으로 도착예정시각을 연산할 수도 있다. 현재교통정보는 관리 서버(200)가 외부의 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관리 서버(200)가 현재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한편, 앞서의 실시예는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의 수령장소 도착예정시각을 직접 연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위 고객의 도착예정시각은 사용자 단말기(300) 상에서 연산이 된 후 해당 값만 관리 서버(200)가 수신하는 방식으로도 전달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200)가 온라인 주문을 수신할 때에 동시에 해당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연산이 마쳐진 도착예정시각도 함께 수신함으로써 관리 서버(200)가 이를 무인 편의점(1000)의 로컬 서버(100)로 전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S103A, S103B단계 이후, 수령장소로 결정된 무인 편의점(1000)의 로컬 서버(100)는 픽킹 로봇(1050)으로 전달될 제어명령,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명령 내 포함될 픽킹 경로를 생성(S104)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제어명령을 픽킹 로봇(1050)에 전달(S105)함으로써 실제 상품들에 대한 픽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출고부(1020)에 상품 출고되어 사용자가 이를 수령하였는지를 확인(S106)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06 단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품을 수령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수령 완료 신호를 관리 서버(200)를 통해 로컬 서버(100)에 전달하도록, 또는 수령 완료 신호를 직접 로컬 서버(100)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픽킹 경로란, 픽킹 로봇(1050)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주문된 상품을 픽킹함에 있어 참조하는 이동경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또한 위 픽킹 경로는 앞서 로컬 서버(100)가 수신한 상품준비명령 내 상품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픽킹 로봇(1050)의 픽킹에 적합하게 재차 가공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로컬 서버(100)는 기 저장되어 있는 무인 편의점(1000)의 저장부(1010) 내 각종 상품들의 위치를 기반으로 위 주문된 상품들을 픽킹하기에 적합한 순서대로 다시 배열하는 등 데이터 가공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이라는 고객이 제1상품, 제2상품, 제3상품을 구입하였다고 가정할 때, 위 픽킹 경로는 위 세 종류의 상품들이 무인 편의점(1000)의 어느 위치에 저장되고 있는지에 따라, 다시 말해 무인 편의점(1000) 내에서의 픽킹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2상품 - 제1상품 - 제3상품의 순서대로 재배열 될 수 있다.
한편, 위 픽킹 경로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로컬 서버(100)가 데이터 가공 과정을 거쳐 생성한 것일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관리 서버(200)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각 사용자들의 상품주문정보, 그리고 각 무인 편의점(1000) 내 상품들의 보관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직접 픽킹 경로를 생성한 후 이를 로컬 서버(100)에 전달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편의점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도 5가 1명의 사용자가 주문한 상품들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었다면, 도 6에서는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 동일 시간대에 주문 및 결제가 수신된 경우 이들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상품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동일 시간대에 접수된 복수 개의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무인 편의점 시스템은 각 주문들에 대한 픽킹 작업을 순서대로 수행하여 무인 편의점(1000)의 출고부(1020)에 각 사용자가 주문한 상품들을 수령 가능한 상태로 제공할 수도 있겠으나, 한꺼번에 많은 주문들이 몰리는 경우 이렇게 하나씩 주문을 처리한다면 수령 대기를 하게 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게 되며, 무인 편의점(1000) 내 픽킹 로봇(1050)으로서도 이동경로가 크게 증가하여 장치에 무리가 가게 되는 등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도 6은 이렇게 복수의 주문들이 하나의 무인 편의점(1000)으로 동시간대에 이루어졌을 때에 관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할 때,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A 및 사용자 단말기(300) B로부터 각각 주문A와 주문B를 수신(S201A, S201B)할 수 있으며, 이 때 주문A와 주문B는 기 설정된 간격보다 짧은 시간의 범위 내에서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렇게 짧은 시간의 범위 내에서 접수된 주문들을 동일 시간대에 접수된 주문들이라 표현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관리 서버(200)는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주문A, 주문B의 상품주문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들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수령장소가 될 무인 편의점(1000)을 결정(S202)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문A와 주문B에 대응되는 무인 편의점(1000)이 동일한 것이라 가정하기로 한다.
S202단계 이후, 관리 서버(200)는 무인 편의점(1000)의 로컬 서버(100)로 주문A, B에 대한 상품준비명령을 전달하며,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300)A 및 B에는 수령장소로 결정된 무인 편의점(1000)에 대한 정보를 안내한다. (S203A, S203B)
한편,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품준비명령을 수신한 로컬 서버(100)는 픽킹 로봇(105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되,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문A 및 주문B에 포함된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픽킹 경로를 연산(S204)하게 되며, 이후 생성된 제어명령 및 픽킹 경로를 픽킹 로봇(1050)에 전달(S205)하고 픽킹 로봇(1050)을 제어함으로써 픽킹 작업을 실행시킨 뒤 최종적으로 각 상품이 출고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S206)
픽킹 경로를 연산하는 S204단계와 관련하여, 로컬 서버(100)는 픽킹 로봇(1050)이 각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해 이동하여야 하는 경로를 소위 비용함수값으로 정의하여, 이 비용함수값이 최소가 되도록 픽킹 경로를 연산하게 되는데, 비용함수값을 연산하는 과정은 도 7과 도 8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무인 편의점(1000) 내부의 상품들 위치정보가 XYZ 공간 상에서 정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해당 XYZ 공간 상에서 픽킹 경로, 즉 비용함수값이 하나의 파라미터로 정의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7을 살펴볼 때, 임의의 사용자 2명이 각각 주문A와 주문B를 하였다고 가정할 때 관리 서버(200)로부터 로컬 서버(100)로 각 주문에 대한 상품준비명령이 전달(도 6의 S203단계)될 수 있고, 로컬 서버(100)는 앞서 수신한 상품준비명령 내 정보들과 로컬 서버(100)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각 상품별 위치정보를 기초로 주문서 900 및 901과 같은 새로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각 주문서 900 및 901의 가장 우측 열에는 각 상품들의 위치정보가 X, Y, Z로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7의 우측에는 주문서 900에 대응되는 물품들의 위치가 붉은색으로, 주문서 901에 대응되는 물품들의 위치가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부호 801에 위치한 상품, 또는 801에 위치한 팔레트에 담긴 상품은 첫 번째 랙(X1)의 4번째 줄(Y4), 그리고 위에서 두 번째 층(Z2)에 위치한 것으로, 이는 (X1, Y4, Z2) 또는 (1, 4, 2)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픽킹 로봇(1050)이 로컬 서버(100)로부터 상기 주문서 900 또는 901을 기초로 생성한 제어명령(이 때 제어명령 내에는 픽킹 경로가 포함됨)에 따라 이동하게 될 픽킹 경로를 도시한 것으로, 픽킹 작업의 최적화를 위하여 활용될 비용함수값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주문서 900 내 4개의 상품을 픽킹한다고 가정할 경우, 픽킹 로봇(1050)은 XYZ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4개의 상품이 놓여져 있는 각 위치에 접근한 뒤 각 상품들을 픽킹하여 카트(1053)에 담고 이를 최종적으로 출고부(1020)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 때 픽킹 로봇(1050)이 각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총 이동 거리는 비용함수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픽킹 로봇(1050)의 이동을 최소화 하면서 모든 주문된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경로, 다시 말해 최적화 된 픽킹 경로를 연산해 내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연산하기 위하여 비용함수값이라는 파라미터를 정의해 둔 것이다.
다시 도 8을 참조할 때, 주문서 900의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해 픽킹 로봇(1050)이 이동하게 될 경로가 P(R)로 표시되어 있으며, P(R)은 총 8개의 구간들(P(R)1 내지 P(R)8)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몇 개의 구간만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P(R)1은 첫 번째 구간으로서 시작점으로부터 첫 번째 주문상품인 우유가 위치하고 있는 지점(801)까지 이동하는 경로이며, 이 때 이동거리는 Y4(Y축 방향으로 4칸)가 된다. 또한 P(R)2는 두 번째 구간으로서 801 지점에서 Z축 방향으로 스트링(1051)을 하강시켜 랙의 두 번째 층에 접근하는 구간인데, 해당 구간에서는 픽킹 로봇(1050)이 2칸 하강하였다가 다시 2칸 상승하게 되므로 이동거리가 Z2의 2배 값인 Z4가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구간들의 이동거리를 구하면 X6+Y24+Z26의 결과가 얻어지며, 이 때 비용함수값은 각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모두 합한 값인 56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위 56이라는 비용함수값은 다른 사항은 고려하지 않은 채 순수하게 픽킹 로봇(1050)이 각 축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만을 더한 것이나, 위 비용함수값을 구함에 있어서는 별도의 이동가중치가 더 고려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이동가중치는, 예를 들어 X축, Y축, Z축 방향으로 픽킹 로봇(1050)이 이동할 때에 걸리는 시간의 차이, 각 위치에서 상품을 스캐닝 한 후 이를 픽킹하는 시간 등이 고려될 때에 활용될 수 있으며, 최종적인 비용함수값은 각 축방향의 이동거리 외에 이동가중치가 더 고려되어 연산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8을 참조할 때, 주문서 901에 대응하여서는 픽킹 로봇(1050)이 이동하게 될 경로가 P(G)로 표시되어 있다. P(G)는 총 6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른 픽킹 로봇(1050)의 총 이동거리는 X6+Y15+Z20가 될 수 있고, 이 때 비용함수값은 41로 산출될 수 있다. 즉, 각 주문서 900 및 901에 대하여 픽킹 로봇(1050)이 독립적으로 구동되었을 때에는 P(R)과 P(G)의 비용함수값인 56과 41이 별개로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도 8에서도 볼 수 있듯 주문서 900 및 901의 모든 상품들은 P(R)의 경로만을 가지고도 모두 픽킹이 가능하며, 이로부터 미루어 볼 때 두 개의 주문서를 모두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비용함수값은 56이면 충분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편의점 시스템 내에서는 픽킹 로봇(1050)의 이동거리 (및 이동가중치)를 기초로 비용함수값이라는 파라미터를 연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산을 통하여 복수 개의 주문서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비용함수를 F라고 표시할 때에, 상기 주문서들에 대한 비용함수값의 관계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비용함수값 연산은 기계학습 기반의 딥러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F(P(R)+P(G)) < F(P(R))+ F(P(G))
한편, 비용함수값이라는 파라미터를 활용할 수 있음을 전제로, 2명 보다 더 많은 수의 사용자들로부터의 온라인 주문이 동시간대에 이루어졌을 때에 각각의 주문에 대응하여 로컬 서버(100)는 픽킹 경로를 연산할 수 있으며, 이들 픽킹 경로들 중 유사도가 높은 주문에 대해서는 그룹핑을 하여 소위 묶음 픽킹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로컬 서버(100)가 상품주문정보를 수신한 후에는 복수 개의 주문서들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들 주문서 내에 포함된 상품들의 위치정보들을 비교하고 상품들 간 위치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것이어서 유사도가 임의의 설정값 이상인 주문서들은 하나로 그룹핑을 하여 이 그룹핑 된 주문서들에 대해 묶음 픽킹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동일 시간대에 복수의 주문이 접수된 경우, 무인 편의점 시스템이 묶음 픽킹 경로를 생성하여 주문들을 처리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동일 시간대 및 동일 무인 편의점(1000)에 대해 총 9개의 서로 다른 주문이 접수된 것을 전제로 하며, 각 주문들에 대해 상품주문정보를 수신한 로컬 서버(100)는 도면부호 952에서와 같이 총 9개의 주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주문서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입된 하나의 개념적인 정보를 일컫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상기 주문서 각각은 실제로는 개별 상품주문정보와 동일한 것일 수 있음을 이해한다. 한편, 생성된 9개의 주문서 내 포함된 상품들의 위치정보들을 기준으로, 로컬 서버(100)는 각 주문서들 내 상품들의 위치가 얼마나 가까운지, 즉 픽킹이 필요한 상품들의 분포가 얼마나 근거리 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연산할 수 있으며, 연산 결과에 따라 복수의 주문서들 내 상품들에 대하여 하나의 묶음 픽킹 경로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서버(100)는 각 주문서 내 상품들 중 동일한 상품이 많은 순서대로 주문서들을 나열한 후 이들 주문서들 중 임의 개수의 것들을 하나로 묶어 묶음 픽킹 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1차적으로는 각 주문서 내 중복되는 상품들이 많은 순서대로 주문서들을 나열을 하고 2차적으로는 각 주문서 내에서 위 중복되는 상품들 외에 나머지 상품들 간 거리가 XYZ 공간 내에서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를 연산하고, 이렇게 연산된 거리들의 누적값이 임의값 이하가 되는 주문서들을 하나로 묶어 묶인 주문서들의 상품들을 대상으로 묶음 픽킹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만, 언급한 방식은 묶음 픽킹 경로를 생성하는 데에 있어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만 설명한 것이며, 상품들 간 위치의 근접성 내지 유사도를 기준으로 주문서를 분별하는 것, 분별된 주문서 내 상품들을 대상으로 묶음 픽킹 경로를 연산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할 때, 도 9의 좌측 상단에는 9개의 주문서들 내 포함된 상품들의 위치 분포가 가상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로컬 서버(100)가 묶음 픽킹 경로를 연산한 후에는 픽킹 로봇(1050)으로 하여금 좌측 하단에서와 같이 주문서 900, 902, 906 내 포함된 상품들을 픽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우측상단에는 동일 시간대에 접수된 주문들에 대한 주문서들 900 내지 908이 도시되어 있으며, 우측하단에는 로컬 서버(100)가 묶음 픽킹 경로 연산 후 분별된 주문서들에 따른 묶음 픽킹 경로들이 도시되어 있다. 묶음 픽킹 경로 P1은 주문서 900, 902, 906 내 상품들을 픽킹하는 경로로 생성된 것이며, P2는 주문서 901, 905, 908 내 상품들을 픽킹하는 경로로, 그리고 P3은 주문서 904, 902, 907 내 상품들을 픽킹하는 경로로 생성된 것이다.
한편, 로컬 서버(100)는 복수의 주문서들을 기반으로 묶음 픽킹 경로를 생성할 때에 비용함수 F(P1)+F(P2)+F(P3)가 최소값이 되도록 하기 위한 연산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로컬 서버(100)는 비용함수 외에 상품들을 픽킹하는 시간도 하나의 파라미터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T(P1)+T(P2)+T(P3)가 기 정해진 시간(target time)보다 짧은 시간이 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로컬 서버(100)가 연산을 반복할 수 있다.
도 10은 묶음 픽킹 경로의 최적화를 위해 딥러닝 알고리즘이 실행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임의의 묶음 픽킹 경로 P1, P2, P3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로컬 서버(100)는 (P1, P2, P3)를 입력으로 하여 입력층 및 다수의 은닉층, 그리고 출력층으로 이루어진 신경회로망 구조의 로컬 서버(100) 내 딥러닝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즉, 3개의 입력변수 P1, P2, P3를 대입하여 첫 번째 은닉층의 가중치를 W11, W21, W31 등을 곱해서 은닉노드의 함수값을 구하고 이를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출력 F와 T를 마지막 은닉층의 가중치 V11, V21, 등을 곱해서 구하도록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딥러닝 기반의 프로그램을 입출력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통해 지능성을 높여 나간다. 빠른 수렴과 정확도를 위하여 각각의 변수들을 통계적으로 전처리 튜닝을 수행한다. 이렇게 구축된 딥러닝 인공 지능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이동거리 최소화가 되고 목표시간 내에 포장완료가 가능한 유사 고객 주문을 묶는 알고리즘이 본 발명의 핵심기능 중 하나가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 더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 또는 로컬 서버(100)는 빅데이터 및 기계학습 기반의 딥러닝을 통하여 사용자들이 다음 구매 단계에서 구매할 상품의 종류 및 개수를 예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유의 판매량 예측이 90개 또는 110개로 되었는데 실제 고객이 주문을 한 우유의 개수는 100개라 할 때, 만일 90개로 예측하여 상품을 들였다면 조기 품절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만일 110개로 예측하여 상품을 들였다면 10개가 남아 상품 폐기로 인한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들이 과거 구매한 이력에 대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들의 구매 패턴(종류 및 수량)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은 본 발명과 같은 물류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11에는 이와 같은 고객들의 구매 패턴을 예측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할 때, 관리 서버(200) 또는 로컬 서버(100)는 고객 구매이력 데이터 테이블을 기반으로 고객별 정규화 및 상품별 정규화를 입력으로 뉴럴네트워크 기반의 딥러닝 과정을 거쳐 각각의 고객별 상품과의 연관지수를 예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산된 고객들의 구매 패턴이 연산되면, 이를 기반으로 한 고객 간의 유사성은 아래 수식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값보다 높은 유사성을 가지는 고객들끼리는 한 그룹으로 묶일 수 있다.
Figure 112019057467317-pat00001
한편, 이러한 방식으로 묶인 그룹 내의 고객과 상품을 대상으로 어떤 고객과 상품이 관련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지표를 관리 서버(200) 또는 로컬 서버(100)가 과거 구매 이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로컬 서버
200 관리 서버
300 사용자 단말기
1000 무인 편의점 1001 외벽 1002 개구부
1010 저장부
1011, 1012, 1013 랙(Rack)
1020 출고부
1031, 1032 X축 레일
1041, 1042, 1043, 1044 Y축 레일
1050 픽킹 로봇
1051 스트링 1052 픽커 1053 카트 1054 스캐너
1060 입고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무인 편의점 시스템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인 편의점은,
    내부에 상품들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외벽;
    상기 외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상품들을 저장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저장부;
    사전에 상품을 주문한 사용자가 상품을 수령하는 공간 또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출고부;
    상기 무인 편의점의 천장면 또는 바닥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x축레일 및 y축레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레일들; 및
    상기 복수의 레일들을 따라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 가능한 픽킹 로봇;을 포함하되,
    상기 픽킹 로봇은,
    상기 픽킹 로봇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스트링;
    픽킹하고자 하는 상품을 인식하는 스캐너; 및
    상기 픽킹 로봇의 본체로부터 연장 가능한 것으로서 상품을 픽킹하는 픽커;
    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 편의점 시스템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관리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상품주문정보들을 수신하고 각 상품주문정보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b)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한 상품주문정보들 내 포함된 각 사용자 단말기들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각 사용자들이 상기 상품주문정보들 내 포함된 상품을 수령할 수 있는 무인 편의점을 결정하는 단계;
    (c)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d) 관리 서버가,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 내 로컬 서버로 상기 상품주문정보들이 포함된 상품준비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e) 로컬 서버가, 상기 상품준비명령을 기초로 당해 무인 편의점 내 구비된 픽킹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픽킹 로봇으로 하여금 상기 상품주문정보들에 따른 상품들을 픽킹하도록 한 후 출고부에 제공하는 단계;
    (f) 로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의 출고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 편의점 내 상품들의 위치정보는 xyz 공간상에서 각각 x, y, z 값에 의해 정의되고, 각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해 상기 픽킹 로봇이 이동하여야 하는 픽킹 경로 P(R)이 정의되되, 상기 P(R)은 상기 픽킹 로봇이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해 각 방향 - 상기 방향은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임 - 으로 이동시 거치는 총 이동거리값을 포함하며,
    상기 로컬 서버가 생성하는 제어명령 내에는 당해 무인 편의점 내에서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묶음 픽킹 경로 - 상기 묶음 픽킹 경로는 상기 복수의 상품주문정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주문정보들 내 포함된 모든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경로임 - 가 포함되되,
    상기 묶음 픽킹 경로는, 복수의 상품들의 무인 편의점 내 위치정보들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존재하는 상품들이 더 많이 포함된 상품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주문정보들 내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경로이며,
    상기 묶음 픽킹 경로는, 복수의 상품들의 무인 편의점 내 위치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상품주문정보들 간 유사도를 연산한 결과 유사도가 임의의 설정값 이상인 상품주문정보들을 기반으로 생성된 것이고,
    상기 로컬 서버는, 각각의 묶음 픽킹 경로에 대한 비용함수 F(P) 및 묶음 픽킹 경로를 따라 상품들을 픽킹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 T(P)를 정의하고, 상기 F(P)를 최소화하고 상기 T(P)가 기 정해진 시간보다 짧은 시간이 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연산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편의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무인 편의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인 편의점은,
    내부에 상품들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한 외벽;
    상기 외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상품들을 저장하기 위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저장부;
    사전에 상품을 주문한 사용자가 상품을 수령하는 공간 또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출고부;
    상기 무인 편의점의 천장면 또는 바닥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x축레일 및 y축레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레일들; 및
    상기 복수의 레일들을 따라 x축 또는 y축으로 이동 가능한 픽킹 로봇;
    을 포함하고,
    상기 픽킹 로봇은,
    상기 픽킹 로봇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스트링;
    픽킹하고자 하는 상품을 인식하는 스캐너; 및
    상기 픽킹 로봇의 본체로부터 연장 가능한 것으로서 상품을 픽킹하는 픽커;
    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 편의점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상품주문정보들을 수신하고 각 상품주문정보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며, 상기 수신한 상품주문정보들 내 포함된 각 사용자 단말기들의 현재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각 사용자들이 상기 상품주문정보들 내 포함된 상품을 수령할 수 있는 무인 편의점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 내 로컬 서버로 상기 상품주문정보들이 포함된 상품준비명령을 전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결정된 무인 편의점 내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상품준비명령을 기초로 상기 픽킹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픽킹 로봇으로 하여금 상기 상품주문정보들에 따른 상품들을 픽킹하도록 한 후 출고부에 제공하도록 상기 픽킹 로봇을 제어하는 로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무인 편의점 내 상품들의 위치정보는 xyz 공간상에서 각각 x, y, z 값에 의해 정의되고, 각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해 상기 픽킹 로봇이 이동하여야 하는 픽킹 경로 P(R)이 정의되되, 상기 P(R)은 상기 픽킹 로봇이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해 각 방향 - 상기 방향은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임 - 으로 이동시 거치는 총 이동거리값을 포함하며,
    상기 로컬 서버가 생성하는 제어명령 내에는 상기 무인 편의점 내에서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묶음 픽킹 경로 - 상기 묶음 픽킹 경로는 상기 복수의 상품주문정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주문정보들 내 포함된 모든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경로임 - 가 포함되되,
    상기 묶음 픽킹 경로는, 복수의 상품들의 무인 편의점 내 위치정보들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존재하는 상품들이 더 많이 포함된 상품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주문정보들 내 상품들을 픽킹하기 위한 경로이며,
    상기 묶음 픽킹 경로는, 복수의 상품들의 무인 편의점 내 위치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상품주문정보들 간 유사도를 연산한 결과 유사도가 임의의 설정값 이상인 상품주문정보들을 기반으로 생성된 것이고,
    상기 로컬 서버는, 각각의 묶음 픽킹 경로에 대한 비용함수 F(P) 및 묶음 픽킹 경로를 따라 상품들을 픽킹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 T(P)를 정의하고, 상기 F(P)를 최소화하고 상기 T(P)가 기 정해진 시간보다 짧은 시간이 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연산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를 포함하는,
    무인 편의점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66152A 2019-06-04 2019-06-04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2292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152A KR102292600B1 (ko) 2019-06-04 2019-06-04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PCT/KR2020/007235 WO2020246809A1 (ko) 2019-06-04 2020-06-03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152A KR102292600B1 (ko) 2019-06-04 2019-06-04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534A KR20200139534A (ko) 2020-12-14
KR102292600B1 true KR102292600B1 (ko) 2021-08-24

Family

ID=7365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152A KR102292600B1 (ko) 2019-06-04 2019-06-04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2600B1 (ko)
WO (1) WO2020246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3054B (zh) * 2021-01-12 2022-12-13 深圳优地科技有限公司 基于机器人的货运方法、装置和智能设备
KR102326983B1 (ko) 2021-02-10 2021-11-16 이승호 모바일로 상품 선택 및 결제가 가능한 밴딩머신 플랫폼 시스템
KR102326974B1 (ko) 2021-02-10 2021-11-16 이승호 모바일로 상품 선택 및 결제가 가능한 키오스크 타입의 밴딩머신 플랫폼 시스템
KR102492751B1 (ko) * 2021-11-08 2023-02-01 나라라 주식회사 원격 조종로봇을 이용한 실시간 비대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97756B1 (ko) * 2022-10-31 2023-11-06 이영재 학습물품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3468A (ja) *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富士通アドバンストエンジニアリング 商品ピッキング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82167B1 (ko) * 2015-09-16 2016-12-02 주식회사 서브원 물품 판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1557B2 (ja) * 1998-06-24 2006-05-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物品の最適移送経路決定方法
US20080142537A1 (en) * 2006-12-14 2008-06-19 The Coca-Cola Company First in First Out Vending Systems
KR101730594B1 (ko) 2015-11-09 2017-04-26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판기의 지능형 상품반출 장치
KR101797656B1 (ko) * 2015-12-09 2017-11-15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멀티자판기의 상품위치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3468A (ja) *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富士通アドバンストエンジニアリング 商品ピッキング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82167B1 (ko) * 2015-09-16 2016-12-02 주식회사 서브원 물품 판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534A (ko) 2020-12-14
WO2020246809A1 (ko)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600B1 (ko) 자판기형 무인 편의점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JP7028984B2 (ja) セルフ操作システム、方法及び操作ドア
JP6585177B2 (ja) ロボットを用いた注文実行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229385B2 (en) Free location item and storage retrieval
EP31548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r storage and management
JP6704030B2 (ja) 物流システム及び物流方法
JP6677858B1 (ja) 自動化倉庫最適化システム
KR102114808B1 (ko)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딥러닝 및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컨테이너로 구현된 자판기형 자동 무인 편의점
CN109747897A (zh) 基于用户订单的物品装箱方法、装置及控制系统
KR20220019832A (ko) 다중구역 자동화 보관 및 회수 시스템
US201801507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on or Delivery of Retail Products
JP2022009557A (ja) バッファ型在庫管理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化された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7212910B2 (ja) 物品管理システム、物流システム、サーバ機器、及び物品管理方法
KR20190048674A (ko) 지능형 무인자율주행 물류 로봇
CN113120487B (zh) 库存系统及货物的存取方法
US9818002B1 (en) Non-binding placement of inventory in a materials handling facility
JP2020506137A (ja) 自動フルフィルメント商品のための宛先ごとのパッキング
TWI831070B (zh) 自動化零售商店和系統
US119546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space utilization of containers at retail storage facilities
KR102592215B1 (ko) 온라인 주문 최적화를 기반으로 직접수령 고객에게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물류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485578B2 (en) Utilization of multiple order sortation systems
JP2022121837A (ja) 棚及びそれを備えた配送車両
GB2565883A (en) Smart container and multi-layer supply chain automation thereof
US11479412B2 (en) Order sortation systems
KR102210662B1 (ko) 가입고 기능을 구비한 물류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