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616B1 -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616B1
KR102289616B1 KR1020167012092A KR20167012092A KR102289616B1 KR 102289616 B1 KR102289616 B1 KR 102289616B1 KR 1020167012092 A KR1020167012092 A KR 1020167012092A KR 20167012092 A KR20167012092 A KR 20167012092A KR 102289616 B1 KR102289616 B1 KR 102289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eth
bonding
adhesive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3003A (ko
Inventor
히사노리 야마네
후미타케 이토세
도시유키 나카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2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continuous webs only
    • B32B37/203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경화 후의 두께가 2.5 ㎛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 접착제층을 통해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접합한 후의 접착제층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포함하고, 제1 필름 및 제2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은 광학 필름이고, 접합 공정에 있어서,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접합할 때의 접착제층의 점도가 60 cP 이하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OPTICAL FILM}
본 발명은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제층을 통해 필름의 접합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와 같은 광학 장치에는 각종의 적층 광학 필름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하나의 대표예는,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이용되고 있는 편광판이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적층 광학 필름이란, 복수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며, 적층체를 구성하는 필름 중 적어도 하나가 광학 필름인 것을 말한다. 광학 필름이란, 광학 장치의 부재로서 이용되는 등, 광학 용도에 이용되는 필름을 말한다.
편광판은 통상, 편광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을 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30806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키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30806호 공보
최근, 광학 장치는 보다 한층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고, 이에 따라, 그것에 편입되는 편광판과 같은 적층 광학 필름에 대해서도 한층 더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적층 광학 필름 제작을 위한 필름 접합에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의 두께도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접착제층의 두께를 보다 작게 하면, 접착제층 전체에 작은 기포가 생기는 것이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해 명백해졌다. 이 기포는, 매우 작은 것이어도 적층 광학 필름을 투과하는 광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적층 광학 필름의 광학 기능에 예기치 못한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사이에 개재시키는 접착제층의 두께를 보다 작게 한 경우라도, 접착제층에 기포를 발생시키지 않고 필름 접합을 행할 수 있는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경화 후의 두께가 2.5 ㎛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 접착제층을 통해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을 접합한 후의 접착제층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은 광학 필름이고,
상기 접합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을 접합할 때의 상기 접착제층의 점도가 60 cP 이하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2] 상기 접합 공정 전에, 상기 접착제층을 가열하여 그 점도를 60 cP 이하로 조정하는 가열 공정을 더 포함하는 [1]에 기재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3]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 적외선의 조사에 의해 상기 접착제층을 가열하는 [2]에 기재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4]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을 40℃ 이상으로 가열하는 [2] 또는 [3]에 기재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5] 상기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무용제형의 경화성 접착제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6]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을 접합할 때의 점도가, 용제를 함유함으로써 60 cP 이하로 조정되는 [1]에 기재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7] 상기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인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8] 장척(長尺)의 상기 제1 필름 및 장척의 상기 제2 필름을 이들의 길이 방향이 반송 방향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적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필름 또는 상기 제2 필름의 접합면에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도포 공정과,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을 이들의 반송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한 쌍의 접합 롤 사이에 통과시키는 상기 접합 공정
을 포함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9] 상기 한 쌍의 접합 롤 사이에 통과되는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이 상기 한 쌍의 접합 롤 사이에서 이루는 각도는 60° 이하인 [8]에 기재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0] 상기 한 쌍의 접합 롤 사이에 통과되는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의 반송 속도가 10 m/분 이상인 [8] 또는 [9]에 기재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1]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의 폭이 0.4~2 m인 [8]~[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2] 상기 제1 필름이 편광 필름이고, 상기 제2 필름이 보호 필름인 [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필름 사이에 개재시키는 접착제층의 두께를 2.5 ㎛ 이하로 매우 작게 한 경우라도, 접착제층에 기포를 발생시키지 않고 적층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제조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제조 장치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경화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함으로써 적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및 제2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은 광학 필름이고, 전형적으로는 양자가 광학 필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광학 필름은, 예컨대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 등)와 같은 광학 장치의 일 부재로서 이용되는 광학 부재이고, 그 하나의 대표예는 편광판이다.
편광판은, 광학 필름인 제1 필름으로서의 편광 필름과,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접합되는, 광학 필름인 제2 필름으로서의 보호 필름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이다. 편광판은, 편광 필름의 다른쪽 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적층·접합되는 제3 필름으로서의 보호 필름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형태를 나타내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주로, 제1 필름이 편광 필름이고, 제2 필름이 보호 필름이며, 제조되는 적층 광학 필름이 편광판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필름 접합을 행하는 다른 적층 광학 필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타당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다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에 대해서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다음 공정:
제1 필름 또는 제2 필름의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도포 공정,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하는 접합 공정, 및
접착제층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
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각 공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제조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은 편광 필름(10)(제1 필름)의 한쪽 면에 보호 필름(20)(제2 필름)을 접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편광판과 같은 적층 광학 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척의 필름을 연속적으로 권출하여 반송하면서 각 공정에서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장척품(長尺品)으로서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이러한 장척의 필름을 이용한 연속 생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매엽(枚葉) 필름을 이용한 방법이어도 좋다.
<도포 공정>
도 1을 참조하여, 본 공정에서는 먼저, 장척의 편광 필름(10)의 롤(권취품) 및 장척의 보호 필름(20)의 롤을 준비하고, 이들을 도시하지 않은 권출 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권출하면서 필름 반송을 행한다. 각 필름은, 이들의 길이 방향이 반송 방향이 되도록 반송된다. 필름의 반송 경로에는 적절하게, 주행하는 필름을 지지하는 가이드 롤(60)이 설치된다. 도 1에서의 화살표는, 필름의 반송 방향 또는 각종 롤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보호 필름(20)의 반송 경로는, 보호 필름(20)이 접합되게 되는 편광 필름의 접합면측(도 1에서의 상측)에 배치된다. 통상, 편광 필름(10)의 반송 방향(필름 길이 방향)과 보호 필름(20)의 반송 방향(필름 길이 방향)은 평행하다. 도 1에서는, 편광 필름(10)의 한쪽 면에 보호 필름(20)을 접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2와 같이 편광 필름(10)의 다른쪽 면에도 보호 필름(제3 필름)(21)을 접합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 필름(10)의 하측에 보호 필름(21)(제3 필름)의 반송 경로를 더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3 필름과 같이, 제2 필름 이외의 필름이 제1 필름에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더 접합되는 경우, 이러한 다른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접합되지만,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공정에서는, 접착제 도공 장치(30)를 이용하여, 편광 필름(10)의 접합면 또는 보호 필름(20)의 접합면에 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도 1의 예에서는, 보호 필름(20)측에 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있다. 접합면에 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하는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닥터 블레이드, 와이어 바, 다이 코터, 콤마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 여러 가지 도포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편광 필름(10)의 다른쪽 면에도 보호 필름(21)(제3 필름)을 접합하는 경우, 보호 필름(20)(제2 필름)을 접합하기 위한 경화성 접착제와, 보호 필름(21)(제3 필름)을 접합하기 위한 경화성 접착제는 동종이어도, 이종이어도 좋으나,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접착제는, 편광판으로 했을 때의 두께, 즉 경화 후의 두께가 2.5 ㎛ 이하가 되도록 도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제층의 두께를 2.5 ㎛ 이하로 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매우 얇은 접착제층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 비로소 기포의 발생이라고 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접착제층의 두께를 2.5 ㎛ 이하로 매우 작게 할 때에 특히 유효한 수단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제층의 두께를 또한 2.0 ㎛ 이하, 더욱이 1.5 ㎛ 이하로 한 경우라도, 기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접착제층의 두께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경화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0.5 ㎛ 이상이다.
도포 공정이 실시되는 환경 온도 및 도포될 때의 경화성 접착제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온도는, 예컨대 10~35℃ 정도(25℃ 정도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편광 필름(10), 보호 필름(20) 및 경화성 접착제에 대해 설명한다.
(1) 편광 필름
제1 필름으로서의 편광 필름(10)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일 수 있고,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편광 필름(10)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예시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예는,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및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를 포함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 ㏖% 정도이고, 98 ㏖% 이상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및 폴리비닐아세탈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정도이고, 1500~5000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製膜)한 것이, 편광 필름(10)의 원반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방법이 채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원반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10~150 ㎛ 정도이다.
편광 필름은 통상,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원반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일축 연신은, 이색성 색소의 염색 전, 염색과 동시, 또는 염색 후에 행할 수 있다. 일축 연신을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 이 일축 연신은, 붕산 처리 전 또는 붕산 처리 중에 행해도 좋다. 또한, 이들의 복수 단계에서 일축 연신을 행해도 좋다.
일축 연신시에는, 주속(周速)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일축으로 연신해도 좋고, 열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해도 좋다. 또한 일축 연신은,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이어도 좋고, 용제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좋다. 연신 배율은 통상, 3~8배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가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가 이용된다. 한편,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염색 처리 전에 물에의 침지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중량부당 0.01~1 중량부 정도이다. 또한,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중량부당 0.5~20 중량부 정도이다. 염색에 이용하는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40℃ 정도이다. 또한,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20~1800초 정도이다.
한편,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수용성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이색성 염료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중량부당 1×10-4~10 중량부 정도이고, 1×10-3~1 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수용액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염색 조제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염색에 이용하는 이색성 염료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80℃ 정도이다. 또한,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10~1800초 정도이다.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의 붕산 처리는 통상,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 있어서의 붕산의 양은 통상, 물 100 중량부당, 2~15 중량부 정도이고, 5~12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화칼륨의 양은 통상, 물 100 중량부당, 0.1~15 중량부 정도이고, 5~12 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은 통상, 60~1200초 정도이고, 150~600초 정도가 바람직하며, 200~400초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붕산 함유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50℃ 이상이고, 50~85℃가 바람직하며, 60~80℃가 보다 바람직하다.
붕산 처리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통상, 수세 처리된다. 수세 처리는, 예컨대,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물에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수세 처리에 있어서의 물의 온도는 통상, 5~40℃ 정도이다. 또한, 침지 시간은 통상, 1~120초 정도이다.
수세 후에는 건조 처리가 실시되어, 편광 필름(10)이 얻어진다. 편광 필름(10)의 두께는, 통상 1~80 ㎛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40 ㎛ 정도이다. 건조 처리는,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건조 처리의 온도는 통상, 30~100℃ 정도이고, 50~80℃가 바람직하다. 건조 처리의 시간은 통상, 60~600초 정도이고, 120~600초가 바람직하다.
건조 처리에 의해, 편광 필름(10)의 수분율은 실용 정도로까지 저감된다. 그 수분율은 통상, 5~20 중량%이고, 8~15 중량%가 바람직하다. 수분율이 5 중량%를 하회하면, 편광 필름(10)의 가요성이 상실되어, 편광 필름(10)이 그 건조 후에 손상되거나, 파단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분율이 20 중량%를 상회하면, 편광 필름(10)의 열 안정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장척의 편광 필름(10)에 있어서의 필름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0.2~2 m 정도일 수 있으나, 필름 폭이 클수록 접착제층이 기포를 포함하기 쉬운 것이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해 명백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필름 폭이 큰 경우, 예컨대 제1 필름의 폭이 0.4~2 m인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2) 보호 필름
제2 필름으로서의 보호 필름(20)은, 편광 필름(10) 상에 적층되어, 편광 필름(10)을 보호하는 역할을 적어도 담당하는 것이다. 보호 필름(20)은, 투광성(바람직하게는 투명성)을 갖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나 유리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일 수 있다. 유리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47785호 공보, 국제 공개 제12/090693호,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08-283041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유리 필름이 예시된다.
보호 필름(20)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는, 예컨대, 쇄상(鎖狀)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계 수지 필름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물 등을 포함한다. 보호 필름(20)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의 다층 구조여도 좋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등의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의 유닛을 갖는 수지이며, 예컨대, 상기 환상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2종 이상의 환상 올레핀을 이용한 개환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환상 올레핀과 쇄상 올레핀(에틸렌, 프로필렌 등) 및/또는 비닐기 등을 갖는 방향족 화합물(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핵알킬 치환 스티렌 등) 등과의 부가 중합체일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계 수지를 주체로 하는(50 중량% 이상 포함함),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일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함으로써, 편광판 및 이것을 액정셀에 접합하여 얻어지는 액정 패널의 내습열성 및 기계적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메타크릴 및/또는 아크릴을 말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란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아크릴레이트를 말하며, (메트)아크릴산이란 메타크릴산 및/또는 아크릴산을 말한다.
메타크릴계 수지란,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50 중량% 이상 포함함) 중합체이다. 메타크릴계 수지는, 1종류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여도 좋고, 메타크릴산에스테르와 다른 메타크릴산에스테르나 아크릴산에스테르 등과의 공중합체여도 좋다. 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등의 메타크릴산알킬을 들 수 있고, 그 알킬기의 탄소수는 통상 1~4 정도이다. 또한, 메타크릴산에스테르와 공중합할 수 있는 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아크릴산알킬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고, 그 알킬기의 탄소수는 통상 1~8 정도이다. 이들 외에,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적어도 1개 갖는 화합물인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나,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비닐시안 화합물 등을 공중합체 중에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은, 필름의 내충격성이나 제막성의 점에서, 아크릴 고무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에 포함될 수 있는 아크릴 고무 입자의 양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이다. 아크릴 고무 입자의 양의 상한은 임계적이지 않으나, 아크릴 고무 입자의 양이 너무 많으면, 필름의 표면 경도가 저하되고, 또한 필름에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표면 처리제 중의 유기 용제에 대한 내용제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메트)아크릴계 수지에 포함될 수 있는 아크릴 고무 입자의 양은, 8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하이다.
아크릴 고무 입자는,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50 중량% 이상 포함함) 탄성 중합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입자이며, 실질적으로 이 탄성 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의 것이어도 좋고, 이 탄성 중합체를 하나의 층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이 탄성 중합체로서,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알킬 50~99.9 중량%와,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비닐계 단량체를 적어도 1종류 0~49.9 중량%와, 공중합성의 가교성 단량체 0.1~10 중량%로 이루어지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가교 탄성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아크릴산알킬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고, 그 알킬기의 탄소수는 통상 1~8 정도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산알킬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비닐계 단량체로서는,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1개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타크릴산메틸과 같은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비닐시안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성의 가교성 단량체로서는,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적어도 2개 갖는 가교성의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나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다가 알코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알릴이나 (메트)아크릴산메탈릴과 같은 (메트)아크릴산의 알케닐에스테르,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20)은, 필요에 따라, 각종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의 구체예는, 형광 증백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유기계 염료, 안료, 무기계 색소 등을 포함한다.
보호 필름(20)의 두께는, 통상 2~300 ㎛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다. 장척의 보호 필름(20)에 있어서의 필름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 접합되는 편광 필름(10)과 동일한 폭이 된다. 편광 필름(10) 및 보호 필름(20)의 폭이 모두 0.4~2 m로 큰 경우라도,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기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보호 필름(20)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대해 연신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좋다. 연신함으로써 임의의 위상차값을 부여할 수 있다. 소정의 위상차 특성을 갖는 보호 필름을 광학 보상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이라고도 한다. 연신 처리로서는, 일축 연신이나 이축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연신 방향으로서는, 미연신 필름의 기계 유동 방향(MD),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TD), 기계 유동 방향(MD)에 사교(斜交)하는 방향 등을 들 수 있다. 이축 연신은, 2개의 연신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동시 이축 연신이어도 좋고, 소정 방향으로 연신한 후에 다른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차 이축 연신이어도 좋다.
보호 필름(20)은, 편광 필름(10)과의 접합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 방현층, 대전 방지층, 반사 방지층, 오염 방지층 등의 표면 처리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편광 필름(10)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경화성 접착제의 도포에 앞서, 보호 필름(20)의 접합면에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활성화 처리의 구체예는,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플레임(화염) 처리, 비누화 처리(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 수용액에의 침지 등)를 포함한다. 보호 필름(20)의 접합면 대신에, 혹은 보호 필름(20)의 접합면과 함께, 편광 필름(10)의 접합면에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도 2의 예에 나타나는, 편광 필름(10)의 다른쪽 면에 접합되는 제3 필름으로서의 보호 필름(21)에 대해서는, 보호 필름(20)에 대해 서술하는 위의 기재가 인용된다. 제2 필름(보호 필름(20))과 제3 필름(보호 필름(21))은, 동종의 필름이어도 좋고, 이종의 필름이어도 좋다.
(3) 경화성 접착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경화성 접착제는, 예컨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또는 열에 의해 경화할 수 있는 접착제이다. 그 중에서도 경화성 접착제로서는, 접착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등이 우수한 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고, 양이온 중합에 의해 경화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 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이란, 분자 내에 평균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에폭시계 화합물은,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내후성, 굴절률, 양이온 중합성 등의 관점에서, 예컨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와 같은 경화성 접착제에 함유되는 에폭시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방향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폭시계 화합물로서, 수소화 에폭시계 화합물(지환식 고리를 갖는 폴리올의 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수소화 에폭시계 화합물은, 방향족 폴리올의 방향 고리에 수소화 반응을 행하여 얻어지는 지환식 폴리올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방향족 폴리올로서는, 예컨대,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와 같은 비스페놀형 화합물; 페놀노볼락 수지, 크레졸노볼락 수지,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페놀노볼락 수지와 같은 노볼락형 수지; 테트라히드록시디페닐메탄,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폴리비닐페놀과 같은 다작용형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수소화 에폭시계 화합물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으로서, 수소화된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로서는, 지방족 다가 알코올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4-부탄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지방족 다가 알코올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은, 지환식 고리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이다. 「지환식 고리에 결합한 에폭시기」란, 하기 식에 나타나는 구조에서의 가교의 산소 원자 -O-를 의미한다. 하기 식 중, m은 2~5의 정수이다.
Figure 112016043780519-pct00001
상기 식에서의 (CH2)m 중의 1개 또는 복수 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한 형태의 기가 다른 화학 구조에 결합하고 있는 화합물이,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이 될 수 있다. (CH2)m 중의 1개 또는 복수 개의 수소 원자는, 메틸기나 에틸기 등의 직쇄상 알킬기로 적절하게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 중에서도, 옥사비시클로헥산 고리(상기 식에 있어서 m=3인 것)나, 옥사비시클로헵탄 고리(상기 식에 있어서 m=4인 것)를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은, 편광 필름(10)과 보호 필름(20) 사이의 양호한 접착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하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지만, 이들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하기 식 (Ⅰ)로 표시되는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류:
Figure 112016043780519-pct00002
식 (Ⅰ)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낸다.
(b) 하기 식 (Ⅱ)로 표시되는 알칸디올의 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류:
Figure 112016043780519-pct00003
식 (Ⅱ) 중,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2~20의 정수를 나타낸다.
(c) 하기 식 (Ⅲ)으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실산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스테르류:
Figure 112016043780519-pct00004
식 (Ⅲ) 중,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p는 2~20의 정수를 나타낸다.
(d) 하기 식 (Ⅳ)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류:
Figure 112016043780519-pct00005
식 (Ⅳ) 중,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q는 2~10의 정수를 나타낸다.
(e) 하기 식 (Ⅴ)로 표시되는 알칸디올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류:
Figure 112016043780519-pct00006
식 (Ⅴ) 중, R9 및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은 2~20의 정수를 나타낸다.
(f) 하기 식 (Ⅵ)으로 표시되는 디에폭시트리스피로 화합물:
Figure 112016043780519-pct00007
식 (Ⅵ) 중, R11 및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낸다.
(g) 하기 식 (Ⅶ)로 표시되는 디에폭시모노스피로 화합물:
Figure 112016043780519-pct00008
식 (Ⅶ) 중, R13 및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낸다.
(h) 하기 식 (Ⅷ)로 표시되는 비닐시클로헥센디에폭시드류:
Figure 112016043780519-pct00009
식 (Ⅷ) 중, R15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낸다.
(i) 하기 식 (Ⅸ)로 표시되는 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류:
Figure 112016043780519-pct00010
식 (Ⅸ) 중, R16 및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낸다.
(j) 하기 식 (Ⅹ)으로 표시되는 디에폭시트리시클로데칸류:
Figure 112016043780519-pct00011
식 (Ⅹ) 중, R1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예시한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 중에서도, 다음의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은, 시판되어 있거나, 또는 그 유사물로서, 입수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등의 이유에서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A) 7-옥사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실산과 (7-옥사-비시클로[4.1.0]헵트-3-일)메탄올과의 에스테르화물[식 (Ⅰ)에 있어서, R1=R2=H인 화합물],
(B) 4-메틸-7-옥사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실산과 (4-메틸-7-옥사-비시클로[4.1.0]헵트-3-일)메탄올과의 에스테르화물[식 (Ⅰ)에 있어서, R1=4-CH3, R2=4-CH3인 화합물],
(C) 7-옥사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실산과 1,2-에탄디올과의 에스테르화물[식 (Ⅱ)에 있어서, R3=R4=H, n=2인 화합물],
(D) (7-옥사비시클로[4.1.0]헵트-3-일)메탄올과 아디프산과의 에스테르화물[식 (Ⅲ)에 있어서, R5=R6=H, p=4인 화합물],
(E) (4-메틸-7-옥사비시클로[4.1.0]헵트-3-일)메탄올과 아디프산과의 에스테르화물[식 (Ⅲ)에 있어서, R5=4-CH3, R6=4-CH3, p=4인 화합물],
(F) (7-옥사비시클로[4.1.0]헵트-3-일)메탄올과 1,2-에탄디올과의 에테르화물[식 (Ⅴ)에 있어서, R9=R10=H, r=2인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의 에폭시 당량은 통상, 30~3000 g/당량, 바람직하게는 50~1500 g/당량의 범위 내이다. 에폭시 당량이 30 g/당량을 하회하면, 경화 후의 접착제층의 가요성이 저하되거나, 접착 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3000 g/당량을 초과하면, 접착제에 함유되는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 하는 경화성 접착제는,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로 하는 경우에는,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또는 열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여,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것이며, 그 중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여,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것이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착제의 경화를 행하는 방법은, 상온에서의 경화가 가능해지고, 편광 필름(10)의 내열성 또는 팽창에 의한 변형을 고려할 필요가 감소하며, 필름 사이를 양호하게 접착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광에 의해 촉매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에폭시계 화합물에 혼합해도 보존 안정성이나 작업성이 우수하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컨대,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이나 방향족 술포늄염 등의 오늄염; 철-아렌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디아조늄염으로서는, 예컨대,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요오도늄염으로서는, 예컨대, 디페닐요오도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4-노닐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포늄염으로서는, 예컨대, 트리페닐술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페닐술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페닐술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4,4'-비스(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비스[디(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4'-비스[디(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7-[디(p-톨루일)술포니오]-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7-[디(p-톨루일)술포니오]-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4-페닐카르보닐-4'-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p-tert-부틸페닐카르보닐)-4'-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p-tert-부틸페닐카르보닐)-4'-디(p-톨루일)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철-아렌 착체로서는, 예컨대, 크실렌-시클로펜타디에닐철(II)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쿠멘-시클로펜타디에닐철(I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크실렌-시클로펜타디에닐철(II)-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메타나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방향족 술포늄염은, 300 ㎚ 이상의 파장 영역에서도 자외선 흡수 특성을 갖기 때문에, 경화성이 우수하여, 양호한 기계적 강도 및 접착 강도를 갖는 경화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에폭시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 0.5~2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상, 또한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하이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이, 에폭시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0.5 중량부를 하회하면, 경화가 불충분해져, 기계적 강도 또는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에 있다. 또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이, 에폭시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물 중의 이온성 물질이 증가함으로써 경화물의 흡습성이 높아져, 편광판의 내구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광증감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광증감제를 이용함으로써, 양이온 중합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경화물의 기계적 강도 및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증감제로서는, 예컨대, 카르보닐 화합물, 유기 황 화합물, 과황화물, 레독스계 화합물, 아조 및 디아조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광환원성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광증감제의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예컨대,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α,α-디메톡시-α-페닐아세토페논과 같은 벤조인 유도체; 벤조페논, 2,4-디클로로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과 같은 벤조페논 유도체; 2-클로로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과 같은 티오크산톤 유도체; 2-클로로안트라퀴논, 2-메틸안트라퀴논과 같은 안트라퀴논 유도체; N-메틸아크리돈, N-부틸아크리돈과 같은 아크리돈 유도체; 그 외, α,α-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질, 플루오레논, 크산톤, 우라닐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등이 있다. 광증감제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광증감제는, 경화성 접착제 100 중량부 중에, 0.1~2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접착제는, 옥세탄류나 폴리올류 등, 양이온 중합을 촉진하는 화합물을 더 함유해도 좋다.
옥세탄류는, 분자 내에 4원환 에테르를 갖는 화합물이다. 옥세탄류의 구체예는,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3-에틸-3-(페녹시메틸)옥세탄, 디[(3-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3-에틸-3-(2-에틸헥실옥시메틸)옥세탄, 페놀노볼락옥세탄을 포함한다. 옥세탄류는, 경화성 접착제 중, 통상 5~95 중량%, 바람직하게는 30~7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된다.
폴리올류로서는, 페놀성 수산기 이외의 산성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수산기 이외의 작용기를 갖지 않는 폴리올 화합물,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화합물,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화합물,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 화합물,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류의 분자량은, 통상 48 이상, 바람직하게는 6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또한 바람직하게는 1000 이하이다. 폴리올류는, 경화성 접착제 중, 통상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된다.
또한, 경화성 접착제는,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과 같은 양이온 중합성 경화성 성분과 함께 라디칼 중합성인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함유해도 좋다.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병용함으로써, 접착제층의 경도나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점도나 경화 속도 등의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나, 작용기 함유 화합물을 2종 이상 반응시켜 얻어지며,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함유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은,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2종 이상 병용하는 경우,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2종 이상이어도 좋고,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2종 이상이어도 좋으며, 물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1종 이상과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1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분자 내에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단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분자 내에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2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단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구체예는,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 또는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단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카르복실기 함유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이용되어도 좋다. 카르복실기 함유의 단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구체예는,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N-(메트)아크릴로일옥시-N',N'-디카르복시메틸-p-페닐렌디아민, 4-(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멜리트산을 포함한다.
2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구체예는, 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할로겐 치환 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지방족 폴리올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수소 첨가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트리시클로데칸디알칸올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옥산글리콜 또는 디옥산디알칸올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비스페놀 A 또는 비스페놀 F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비스페놀 A 또는 비스페놀 F의 에폭시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를 포함한다.
2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린산네오펜틸글리콜에스테르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시클로헥실]프로판, 수소 첨가 디시클로펜타디에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디옥산-2,5-디일디(메트)아크릴레이트〔별명: 디옥산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알데히드와 트리메틸올프로판과의 아세탈 화합물〔화학명: 2-(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5-에틸-5-히드록시메틸-1,3-디옥산〕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다.
3작용 이상의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작용 이상의 지방족 폴리올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대표적인 것이고, 그 외에, 3작용 이상의 할로겐 치환 폴리올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1,1,1-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프로판,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이 있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란, 분자 내에 우레탄 결합(-NHCOO-) 및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및 적어도 1개의 수산기를 각각 갖는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우레탄화 반응 생성물이나, 폴리올류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얻어지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우레탄 화합물과,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및 적어도 1개의 수산기를 각각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의 우레탄화 반응 생성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화 반응에 이용되는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의 우레탄화 반응에 제공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방향족의 이소시아네이트류를 수소 첨가하여 얻어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예컨대,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디벤질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다- 또는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상기한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다량화시켜 얻어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우레탄 화합물로 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폴리올류로서는, 방향족, 지방족 또는 지환식의 폴리올 외에,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지방족 및 지환식의 폴리올로서는,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디메틸올헵탄,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탄산, 글리세린,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상기한 폴리올류와 다염기성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과의 탈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다염기성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로서는, (무수)숙신산, 아디프산,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피로멜리트산,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은, 폴리알킬렌글리콜 외에, 상기한 폴리올류 또는 디히드록시벤젠류와 알킬렌옥사이드와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폴리올 등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란, 분자 내에 에스테르 결합과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산, 다염기성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 및 폴리올의 탈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탈수 축합 반응에 이용되는 다염기성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로서는, (무수)숙신산, 아디프산,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피로멜리트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무수)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탈수 축합 반응에 이용되는 폴리올로서는,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디메틸올헵탄,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탄산, 글리세린,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폴리글리시딜에테르와 (메트)아크릴산과의 부가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고,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고 있다. 부가 반응에 이용되는 폴리글리시딜에테르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접착제에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배합하는 경우, 그 양은, 경화성 성분 전체의 양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 나아가서는 10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의 배합량이 많아지면, 편광 필름(10)과 보호 필름(20)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경화성 접착제가 (메트)아크릴계 화합물과 같은 라디칼 중합성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로 하는 경우에는,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는, 아세토페논, 3-메틸아세토페논, 벤질디메틸케탈,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과 같은 아세토페논계 개시제; 벤조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과 같은 벤조페논계 개시제;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와 같은 벤조인에테르계 개시제; 4-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과 같은 티오크산톤계 개시제; 그 외, 크산톤, 플루오레논, 캄퍼퀴논, 벤즈알데히드, 안트라퀴논을 포함한다.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메트)아크릴계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 0.5~2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6 중량부이다.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양이 0.5 중량부를 하회하면,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병용하는 것의 효과가 보여지기 어려운 경향에 있다. 또한,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양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편광판의 내구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경화성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점착 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 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온 트랩제로서는 분말형의 비스무트계, 안티몬계, 마그네슘계, 알루미늄계, 칼슘계, 티탄계 및 이들의 혼합계 등의 무기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산화 방지제로서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경화성 성분의 적어도 일부로서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접착제는, 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무용제형의 경화성 접착제로서 이용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제로 희석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용제의 구체예는, n-헥산, 시클로헥산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과 같은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과 같은 에스테르류;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와 같은 셀로솔브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를 포함한다.
<접합 공정>
본 공정에서는, 상기 도포 공정에서 형성된 접착제층을 통해 편광 필름(10)과 보호 필름(20)을 접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의 접합은,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편광 필름(10) 및 보호 필름(20)을, 이들의 길이 방향(반송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겹쳐 한 쌍의 접합 롤(40, 40) 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접합 롤(40, 40)에 의해 적층된 필름을 상하로부터 압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접합 롤(40, 40)에 의해 필름에 가해지는 압력은, 예컨대 0.5~4 ㎫ 정도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편광 필름(10)과 보호 필름(20)을 접합할 때(접합 롤(40, 40) 사이에 통과될 때)의 접착제층(즉, 이것을 구성하는 경화성 접착제)의 점도가 60 cP 이하가 되도록 한다. 필름 접합시의 접착제층의 점도를 60 cP 이하로 함으로써, 필름 사이의 접착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접착제층 중에 기포가 없거나, 또는 기포가 대폭 억제된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점도값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되는 값이다. 기포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접착제층의 점도는, 50 cP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cP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제층의 점도가 너무 낮으면, 도포된 경화성 접착제가 접합시에 필름으로부터 비어져 나오기 쉬워진다. 따라서, 필름 접합시의 접착제층의 점도는, 10 cP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cP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의 점도를 60 cP 이하로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1) 점도가 60 cP를 초과하는 경화성 접착제에 용제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이것을 편광 필름(10) 또는 보호 필름(20)의 접합면에 도포하는 방법,
2) 필름 접합을 행하기 전(접합 롤(40, 40) 사이에 통과시키기 전)에, 접착제층을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마련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제를 별도로 이용하지 않고 점도를 내릴 수 있는 점에서 2)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1)의 방법에서는, 전술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와 같은 경화성 접착제를 용제와 혼합하고, 이 희석된 경화성 접착제를 도포 공정에서 도포한 후, 용제의 휘발에 의해 필름 접합시의 접착제층의 점도가 60 cP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접합 공정을 실시한다. 용제로서는, 예컨대 전술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용제의 사용량은, 필름 접합시의 접착제층의 점도가 60 cP 이하가 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2)의 방법에서의 접착제층의 가열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적외선의 조사에 의해 가열해도 좋고, 온풍 가열기나 오븐 등을 이용하여 가열해도 좋다. 이들 수단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필름의 접착제층 전체를 연속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중에서도, 적외선 조사에 의한 가열은, 보다 단시간에서의 가열이 가능하고, 필름의 반송 속도를 크게 해도 연속적으로 접착제층을 원하는 정도까지 가열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적외선은, 접착제층측으로부터 조사해도 좋고, 접착제층을 형성한 필름의 이면측(접착제층을 갖지 않는 측)으로부터 조사해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층측으로부터 조사한다. 도 1의 예에서는, 적외선 조사 장치(70)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20)에 형성한 접착제층측으로부터 적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의 가열을 행하고 있다. 2)의 방법에서는, 가열됨으로써 점도가 낮아지는 성상의 접착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무용제형의 접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전술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적외선 조사 장치(70)는, 경화성 접착제가 흡수 가능한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다. 에폭시계 화합물, 또는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 하는 전술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대체로 6~12 ㎛ 정도의 파장의 적외선을 흡수한다. 따라서 적외선 조사 장치(70)로서는, 파장 6~12 ㎛의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예컨대 핫코 덴키사 제조의 「원적외선 플레이트 히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의 가열 온도는, 그 점도가 60 cP 이하가 되고, 그 가열 온도에 있어서도 접착제와 기능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용하는 경화성 접착제의 조성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예컨대 40℃ 이상이고, 보다 전형적으로는 50℃ 이상이다. 또한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이하이다. 가열 온도가 너무 높으면, 접착제층이나 필름에 열 열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한 쌍의 접합 롤(40, 40) 사이에 통과되는 편광 필름(10)과 보호 필름(20)이 한 쌍의 접합 롤(40, 40) 사이에서 이루는 각도(θ)(양 필름이 접합될 때에 양 필름이 이루는, 필름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각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60° 이하로 할 수 있으나, 이 각도(θ)가 작을수록 접착제층에 기포가 많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도(θ)가 40° 이하여도, 접착제층 중에 기포가 없거나, 또는 기포가 대폭 억제된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각도(θ)는 통상, 20° 이상이다.
한 쌍의 접합 롤(40, 40) 사이를 통과할 때의 편광 필름(10) 및 보호 필름(20)의 통과 속도(반송 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10 m/분 이상으로 할 수 있으나, 통과 속도가 클수록 접착제층에 기포가 많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과 속도가 20 m/분 이상이어도, 접착제층 중에 기포가 없거나, 또는 기포가 대폭 억제된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통과 속도는 통상, 40 m/분 이하이다.
<경화 공정>
본 공정은, 접착제층을 통해 접합된 편광 필름(10)과 보호 필름(20)의 적층체의 상기 접착제층을 경화시키는 공정이다. 접착제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80)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접착제층을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적층체가 편광 필름(10) 및 보호 필름(20)으로 이루어지고, 제3 필름(편광 필름(10)의 다른쪽 면에 적층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은, 보호 필름(20)측으로부터 조사해도 좋고, 편광 필름(10)측으로부터 조사해도 좋으나, 도 1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보호 필름(20)측으로부터 조사된다.
활성 에너지선은,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일 수 있으나, 취급의 용이함,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의 조제의 용이함 및 그 안정성 및 그 경화 성능의 관점에서, 자외선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파장 400 ㎚ 이하에 발광 분포를 갖는, 예컨대,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에의 광 조사 강도는, 접착제의 조성마다 결정되는 것이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중합 개시제의 활성화에 유효한 파장 영역의 조사 강도가 0.1~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조사 강도가 0.1 ㎽/㎠ 이상임으로써, 반응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지 않고, 100 ㎽/㎠ 이하임으로써, 광원으로부터 복사되는 열 및 접착제의 경화시의 발열에 의한 접착제의 황변이나 편광 필름의 열화가 발생할 우려가 적다. 접착제층에의 광 조사 시간도 또한, 접착제의 조성마다 제어되는 것이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광 조사 강도와 조사 시간의 곱으로서 나타나는 적산 광량이 10~5000 mJ/㎡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산 광량이 10 mJ/㎡ 이상임으로써, 중합 개시제 유래의 활성종을 충분량 발생시켜 경화 반응을 보다 확실하게 진행시킬 수 있고, 또한, 5000 mJ/㎡ 이하임으로써, 조사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지 않아, 양호한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80)를 복수 대 설치하여,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복수 회로 나누어 행하도록 해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킬 때, 상기 적층체를 볼록 곡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은, 얻어지는 편광판에 생길 수 있는 주름이나 컬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볼록 곡면으로서는, 가이드 롤이나 냉각 롤과 같은 롤의 외주면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도 1 및 도 2의 예와 같이 적절히 냉각된 냉각 롤(50)의 외주면에 감은 상태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면, 주름이나 컬의 억제 효과가 크다. 냉각 롤의 온도는, 예컨대 10~30℃이고, 바람직하게는 15~25℃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편광판은 통상, 도시하지 않은 권취 장치에 의해 순차 권취되어, 필름 롤이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예에 있어서, 경화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 및 필름 접합시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의 점도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경화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
키엔스사 제조의 분광 간섭 막후계(膜厚計)를 이용하여, 임의의 5점에 대해 경화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를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접착제층의 두께로 하였다.
(필름 접합시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의 점도)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샘플컵에 채취하고, 그 온도를 필름 접합시와 동일한 온도로 조정한 후, 도키 산교(주) 제조의 「E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의 점도를 측정하며, 이 측정값을 필름 접합시의 접착제층의 점도로 하였다.
<제조예>
(A) 편광 필름의 제작
롤 형상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두께 75 ㎛,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을 연속적으로 권출하면서, 30℃의 순수에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중량비가 0.02/2/100인 수용액에 30℃에서 침지하였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중량비가 12/5/100인 수용액에 56.5℃에서 침지하였다. 계속해서, 8℃의 순수로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시키고, 권취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두께 약 30 ㎛, 폭 1300 ㎜)의 필름 롤을 얻었다. 연신은, 주로, 요오드 염색 및 붕산 처리의 공정에서 행하고, 총 연신 배율은 5.3배였다.
(B) (메트)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의 제작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메틸(중량비 96/4)의 공중합체를 준비하였다. 또한, 아크릴 고무 입자로서, 최내층이 메타크릴산메틸에 소량의 메타크릴산알릴을 공중합시킨 경질의 중합체이고, 중간층이 아크릴산부틸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스티렌 및 소량의 메타크릴산알릴을 공중합시킨 연질의 탄성체이며, 최외층이 메타크릴산메틸에 소량의 아크릴산에틸을 공중합시킨 경질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탄성체 입자로서, 최외층을 갖지 않을 때의 평균 입경이 약 250 ㎚인 아크릴계 탄성 중합체 입자를 준비하였다.
상기한 아크릴계 수지와 아크릴 고무 입자가 70/30의 중량비로 배합되어 있는 펠릿을 65 ㎜φ의 일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설정 온도 275℃의 T형 다이로부터 압출하였다. 압출된 필름형 용융 수지의 양면을, 45℃로 온도 설정된 경면을 갖는 2개의 폴리싱 롤 사이에 끼워 넣어 냉각하여, 두께 80 ㎛, 폭 1300 ㎜의 장척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보호 필름)을 필름 롤로서 얻었다.
<실시예 1>
도 1과 동일한 편광판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위에서 얻어진 편광 필름 및 보호 필름의 필름 롤로부터 각각 편광 필름(10), 보호 필름(20)을 연속적으로 권출하고, 이들 필름을 이들의 길이 방향이 반송 방향이 되도록 반송하였다(반송 속도: 30 m/분). 보호 필름(20)의 접합면에, 에폭시계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A를 접착제 도공 장치(30)(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접합 롤(40, 40) 바로 앞에서, 적외선 조사 장치(70)로서 핫코 덴키사 제조의 「원적외선 플레이트 히터」(적외선 파장: 7 ㎛)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20) 상에 형성된 접착제층에, 접착제층측으로부터 적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60℃까지 가열한 후, 편광 필름(10) 및 보호 필름(20)을, 이들의 길이 방향(반송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겹쳐 한 쌍의 접합 롤(40, 40) 사이에 통과시킴으로써 압박하여, 필름 접합을 행하였다. 도 1에서의 각도(θ)는 45°로 하였다. 접합 롤(40, 40) 사이를 통과할 때의 편광 필름(10) 및 보호 필름(20)의 통과 속도는 30 m/분으로 하였다. 필름 접합시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의 점도는 30 cP이다.
계속해서, 필름 접합에 의해 얻어진 적층체를 반송하여, 20℃로 설정된 냉각 롤(50)의 외주면에 감고, 거기에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80)로서의 퓨전 UV 시스템즈사 제조의 D 벌브를 이용하여, 적산 광량 1500 mJ/㎠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켰다. 마지막으로, 얻어진 편광판을 권취하여 편광판의 필름 롤을 얻었다. 경화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는 1.5 ㎛였다.
얻어진 편광판으로부터 사각형의 샘플을 잘라내고, 그 표면으로부터 반사 현미경(100배)을 이용해서 관찰하여, 경화 후의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기포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A 대신에 에폭시계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B를 이용한 것, 및 경화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가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포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참고예 1>
경화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 필름 접합시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의 온도 및 점도가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포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의 편광판에 있어서는, 경화 후의 접착제층에 직경 10 ㎛ 정도의 기포가 다수 확인되었다.
Figure 112016043780519-pct00012
10: 편광 필름 20, 21: 보호 필름
30: 접착제 도공 장치 40: 접합 롤
50: 냉각 롤 60: 가이드 롤
70: 적외선 조사 장치 80: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Claims (12)

  1. 경화 후의 두께가 2.5 ㎛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 접착제층을 통해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을 접합한 후의 접착제층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은 광학 필름이고,
    상기 접합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을 접합할 때의 상기 접착제층의 점도가 60 cP 이하이고,
    상기 접합 공정 전에, 상기 접착제층을 가열하여 그 점도를 60 cP 이하로 조정하는 가열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 적외선의 조사에 의해 상기 접착제층을 가열하는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을 40℃ 이상으로 가열하는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무용제형의 경화성 접착제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장척의 상기 제1 필름 및 장척의 상기 제2 필름을 이들의 길이 방향이 반송 방향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적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필름 또는 상기 제2 필름의 접합면에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도포 공정과,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을 이들의 반송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한 쌍의 접합 롤 사이에 통과시키는 상기 접합 공정
    을 포함하는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합 롤 사이에 통과되는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이 상기 한 쌍의 접합 롤 사이에서 이루는 각도는 60° 이하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합 롤 사이에 통과되는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의 반송 속도가 10 m/분 이상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의 폭이 0.4~2 m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이 편광 필름이고, 상기 제2 필름이 보호 필름인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67012092A 2013-11-05 2014-10-21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289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9265 2013-11-05
JP2013229265A JP6356408B2 (ja) 2013-11-05 2013-11-05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PCT/JP2014/077887 WO2015068561A1 (ja) 2013-11-05 2014-10-21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003A KR20160083003A (ko) 2016-07-11
KR102289616B1 true KR102289616B1 (ko) 2021-08-17

Family

ID=5304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092A KR102289616B1 (ko) 2013-11-05 2014-10-21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56408B2 (ko)
KR (1) KR102289616B1 (ko)
CN (1) CN105723256B (ko)
TW (1) TWI666124B (ko)
WO (1) WO2015068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2580B2 (ja) * 2016-07-22 2020-07-29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と光学表示パネルの製造システム
JP2018022026A (ja) * 2016-08-03 2018-02-08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US20190275778A1 (en) * 2016-10-26 2019-09-12 Nitto Denko Corporation Production method for film laminate
JP6874589B2 (ja) * 2017-08-10 2021-05-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パレータ付き電極板の製造方法
JP7083612B2 (ja) * 2017-10-18 2022-06-13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2024059255A (ja) * 2022-10-18 2024-05-0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481A (ja) * 1998-09-11 2000-03-31 Asahi Optical Co Ltd 光学素子の接着装置及び接着方法
WO2012008456A1 (ja) * 2010-07-16 2012-01-19 三菱樹脂株式会社 反射材
JP2013177547A (ja) * 2012-02-06 2013-09-09 Kohjin Holdings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4697A (ja) * 1994-05-27 1995-12-05 Tec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ヘッドの製作方法
JP5449815B2 (ja) 2009-03-26 2014-03-1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CN103403120B (zh) * 2011-04-19 2015-04-15 Dic株式会社 阳离子聚合性胶粘剂及使用它得到的偏振板
JP6027839B2 (ja) * 2011-10-07 2016-11-1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WO2013055158A2 (ko) * 2011-10-14 2013-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2013178466A (ja) * 2012-02-06 2013-09-09 Kohjin Holdings Co Ltd 偏光板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
JPWO2014178239A1 (ja) * 2013-05-02 2017-02-23 Dic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及び偏光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481A (ja) * 1998-09-11 2000-03-31 Asahi Optical Co Ltd 光学素子の接着装置及び接着方法
WO2012008456A1 (ja) * 2010-07-16 2012-01-19 三菱樹脂株式会社 反射材
JP2013177547A (ja) * 2012-02-06 2013-09-09 Kohjin Holdings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003A (ko) 2016-07-11
CN105723256B (zh) 2019-06-25
CN105723256A (zh) 2016-06-29
WO2015068561A1 (ja) 2015-05-14
TWI666124B (zh) 2019-07-21
JP6356408B2 (ja) 2018-07-11
TW201527125A (zh) 2015-07-16
JP2015090388A (ja)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616B1 (ko) 적층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WO2018139358A1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906895B2 (ja) 偏光板
JP5267919B2 (ja) 偏光板、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243122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13160775A (ja) 偏光板及び光学部材
JP6977110B2 (ja) 偏光板
KR20100134521A (ko)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TW201930931A (zh) 偏光板、偏光板載膜層壓板、偏光板載膜層壓板的製造方法、偏光板的製造方法以及用於偏光片的保護層的活化能束硬化組成物
CN111443415B (zh) 偏振板
JP2022104558A (ja) 偏光板
CN114910989A (zh) 偏振板
TW201731697A (zh) 單面保護偏光板的製造方法
JP2016206684A (ja) 偏光板及び光学部材
CN114902096A (zh) 光学层叠体
WO2022145369A1 (ja) 偏光板
JP2015206967A (ja) 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TW202334719A (zh) 偏光板及圖像顯示裝置
KR20160116689A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2016126070A (ja) 偏光板
KR20170019190A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